KR20160022435A -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2435A
KR20160022435A KR1020140107731A KR20140107731A KR20160022435A KR 20160022435 A KR20160022435 A KR 20160022435A KR 1020140107731 A KR1020140107731 A KR 1020140107731A KR 20140107731 A KR20140107731 A KR 20140107731A KR 20160022435 A KR20160022435 A KR 20160022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layer
display panel
bottom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7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5106B1 (ko
Inventor
박성동
권혁태
이상환
차기석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7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106B1/ko
Priority to US14/731,333 priority patent/US10353138B2/en
Publication of KR20160022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435A/ko
Priority to KR1020210004654A priority patent/KR1023167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3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of light sources to drivers, circuit boards, or the lik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78Rigid circuit boards or rigid supports of circuit boards locally made bendable, e.g. by removal or replacement of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9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lexible or folded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009Substrate related
    • H05K2201/0909Preformed cutting or breaking li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05K2201/10136Liquid Crystal display [LC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2Details related to mechanical or acoustic processing, e.g. drilling, punching, cutting, using ultrasound
    • H05K2203/0228Cutting, sawing, milling or shear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10Using electric, magnetic and electromagnetic fields; Using laser light
    • H05K2203/107Using laser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58Laminating printed circuit boards onto other substrates, e.g. metallic substr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1Assembl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88Composite multilayer circuits, i.e. comprising insulating layers having different properties
    • H05K3/4691Rigid-flexible multilayer circuits comprising rigid and flexible layers, e.g. having in the bending regions only flexible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리어 테입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굴곡된 형태를 갖는 표시패널;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들;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표시패널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캐리어 테입;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표시패널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캐리어 테입; 및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층의 일부이다.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캐리어 테입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평판 표시 장치 중 하나로서, 화소전극과 공통전극 등 전기장 생성 전극(field generating electrode)이 형성되어 있는 두 장의 기판과 그 사이에 들어 있는 액정층을 포함한다. 액정표시장치는 전기장 생성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층의 액정 분자들을 재배열시켜 투과되는 빛의 양을 조절한다.
액정표시장치는 텔레비전 수신기의 표시 장치로 사용되면서, 대면적화 되고 있다. 이처럼 액정표시장치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시청자가 화면의 중앙부와 좌우 양단을 보는 경우에 따라 시각차가 커진다.
이러한 시각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최근에 표시 영역의 중앙부를 기점으로 양측이 둥글게 굴곡된, 곡면형 표시장치가 개발되었다.
곡면형 표시장치는 굴곡된 형태의 표시패널 및 바텀 케이스를 포함한다. 여기서, 표시패널과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테입 캐리어들이 위치한다.
표시장치가 완성되면 인쇄회로기판은 테입 캐리어들을 축으로 회전하여 바텀 커버의 배면에 위치하게 된다.
인쇄회로기판이 바텀 케이스의 배면으로 이동하기 전에, 인쇄회로기판의 곡률은 표시패널의 곡률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곡률을 유지한다. 그러나, 인쇄회로기판이 바텀 케이스의 배면으로 이동하게 되면 인쇄회로기판의 곡률이 증가하게 된다. 이때, 증가된 곡률로 인해 인쇄회로기판은 이의 양쪽으로부터 인장력을 받게 된다. 이러한 인장력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은 계속적으로 스트레스를 받는다. 그리고 이 스트레스는 이에 접속된 테입 캐리어들에 영향을 준다. 즉, 그 스트레스에 의해, 상대적으로 약하고 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테입 캐리어들이 찢어질 수 있다. 그러면, 그 테입 캐리어에 형성된 배선패턴들 및 구동 집적회로가 손상을 받게 되어 제 기능을 할 수 없게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테입 캐리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굴곡된 형태를 갖는 표시패널;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들;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표시패널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캐리어 테입;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표시패널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캐리어 테입; 및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층의 일부이다.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길이보다 상기 연결부의 길이가 더 길다.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을 향해 돌출된다.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을 향해 돌출된다.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 및 제 2 인쇄회로기판 중 적어도 하나는, 폴리이미드층; 상기 폴리이미드층의 위에 위치한 제 1 상부 도전층; 상기 제 1 상부 도전층의 위에 위치한 상부 커버레이층; 상기 상부 커버레이층의 위에 위치한 상부 프리프레그층; 상기 상부 프리프레그층의 위에 위치한 제 2 상부 도전층; 상기 제 2 상부 도전층의 위에 위치한 제 1 레지스트층; 상기 폴리이미드층의 아래에 위치한 제 1 하부 도전층; 상기 제 1 하부 도전층의 아래에 위치한 하부 커버레이층; 상기 하부 커버레이층의 아래에 위치한 하부 프리프레그층; 상기 하부 커버레이층의 아래에 위치한 제 2 하부 도전층; 및 상기 제 2 하부 도전층의 아래에 위치한 제 2 레지스트층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폴리이미드층, 상기 제 1 상부 도전층, 상기 상부 커버레이층 및 상기 상부 프리프레그층을 포함한다.
바텀 케이스; 광을 방출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부터의 광을 상기 표시패널로 전달하는 도광판; 및 상기 바텀 케이스에 고정된 상태에서 표시패널을 지지하는 몰드 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이 상기 바텀 케이스의 뒷면에 위치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은, 굴곡된 형태를 갖는 표시패널;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들;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표시패널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캐리어 테입;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표시패널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캐리어 테입; 및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층의 일부이며;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의 적어도 일부와 제 2 인쇄회로기판의 적어도 일부가 연결된 굴곡형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굴곡된 형태를 갖는 바텀 케이스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바텀 케이스와 상기 표시패널을 조립하는 단계;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제 2 인쇄회로기판을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제 2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바텀 케이스의 뒷면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바텀 케이스에 반사판, 도광판, 광학시트, 몰드 프레임 및 광원부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제 2 인쇄회로기판을 분리하는 단계는, 레이저 절단 장비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레이저 절단 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제 2 인쇄회로기판 간의 연결부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제 2 인쇄회로기판 간의 연결부에 절단 라인이 표시된다.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제 2 인쇄회로기판을 분리하는 단계는, 레이저 절단 장비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레이저 절단 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절단 라인을 따라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제 2 인쇄회로기판 간의 연결부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길이보다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길이가 더 길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에 따르면,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제 2 인쇄회로기판이 양쪽으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제 2 인쇄회로기판에 스트레스가 쌓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 1 캐리어 테입과 제 2 캐리어 테입의 변형 및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패널에 대한 상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표시 영역에 위치한 화소들의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I-I`의 선상을 따라 절단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제 2 인쇄회로기판을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바텀 케이스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그에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제 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명칭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으로, 실제 제품의 명칭과는 상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그리고 도 2는 도 1의 I-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그 표시 영역의 중앙부를 기점으로 양측이 둥글게 굴곡된, 곡면형 표시장치이다. 이하,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모든 구성요소들은 휘어질 수 있는 성질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짐을 밝힌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곡면형 표시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 케이스(BC), 반사판(900), 도광판(LGP), 광학 시트(201), 광원부(801), 광원 덮개(LC), 몰드 프레임(MF), 표시패널(DP) 및 탑 커버(TC)를 포함한다. 위 열거된 구성요소들은 그 곡면 형상에 맞춰 둥글게 굴곡된 형태를 이룬다. 여기서, 반사판(900), 도광판(LGP), 광학 시트(201), 광원부(801), 광원 덮개(LC), 몰드 프레임(MF)이 백라이트 유닛에 포함된다. 한편, 표시패널(DP)과 백라이트 유닛은 적층된 상태로 조립되어 표시모듈을 구성한다. 이 표시모듈은 표시패널(DP)과 백라이트 유닛을 보호 및 고정하기 위한 탑 케이스(TC) 및 바텀 케이스(BC)와, 그리고 표시패널(DP)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 보드(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텀 케이스(BC)는 그 내부에 수납공간을 포함한다. 이 수납공간에 반사판(900), 도광판(LGP), 광학 시트(201), 광원부(801) 및 광원 덮개(LC)가 배치된다. 이 수납공간의 확보를 위해, 바텀 케이스(BC)는 바닥부(111a) 및 복수의 측부(111b)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부(111a)는 사각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전술된 측부(111b)들 각각은 이 바닥부(111a)의 각 가장자리로부터 소정 높이를 갖도록 돌출된다. 서로 인접한 측부(111b)들의 가장자리는 서로 연결된다. 이 측부(111b)들 및 바닥부(111a)에 의해 둘러싸여 정의된 공간이 위에서 설명된 수납공간이 된다. 한편, 서로 마주보는 측부(111b)의 외측에 걸림턱(635)이 형성되는 바, 이 걸림턱(635)에 의해 몰드 프레임(MF)이 바텀 케이스(BC)에 고정된다. 이 걸림턱(635)은, 해당 측부(111b)의 일부가 몰드 프레임(MF)을 향해 돌출된 형태를 갖도록 구부러져 형성될 수 있다.
광원부(801)는 광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801a) 및 적어도 하나의 광원(801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쇄회로기판(801a)은 둥글게 굴곡된 형태를 이룬다.
인쇄회로기판(801a)의 일면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적어도 하나의 실장(mounting, 實裝) 영역과 배선 영역으로 구분된다. 광원이 두 개 이상일 경우 각 실장 영역에 광원이 하나씩 설치되고, 그리고 배선 영역에 그 광원들로 구동전원을 전송하기 위한 복수의 배선들이 설치된다. 전술된 구동전원은 외부의 전원공급부(도시되지 않음)에서 생성된 후, 별도의 커넥터(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위의 복수의 배선들로 공급된다.
광원(801b)은 외부로 광을 방출하는 수단으로서, 인쇄회로기판(801a)에 설치된다. 이 광원(801b)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가 포함된 발광 패키지(package)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발광 패키지는 그 내부에 적색 광을 출사하는 적색 발광다이오드, 녹색 광을 출사하는 녹색 발광다이오드 및 청색광을 출사하는 청색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패키지는 세 종류의 색상을 조합하여 백색광을 생성한다. 또 다른 예로서, 이 발광 패키지는 그 내부에 전술된 세 가지 색상의 발광다이오드들 중 청색 발광다이오드만을 포함할 수도 있는 바, 이와 같은 경우 청색광을 백색광으로 변환하기 위한 형광체가 그 청색 발광다이오드의 발광부에 형성된다. 광원(801b)으로부터 방출된 광은 도광판(LGP)으로 입사된다.
도광판(LGP)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글게 굴곡된 다면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광판(LGP)에 포함된 복수의 면들 중 광원과 마주보는 하나의 면이 입광면(122)으로 설정된다. 이 입광면(122)은 둥글게 굴곡된 형태를 이룬다. 만약 표시패널(DP)의 장변이 굴곡된 형태라면, 이 표시패널(DP)은 그의 장변이 입광면(122)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 광원(801b)으로부터 방출된 광은 입광면(122)에 입사된 후, 도광판(LGP)의 내부로 진행한다. 도광판(LGP)은 그 내부로 들어온 광을 전반사시켜 표시패널(DP)의 표시 영역 측으로 안내한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광판(LGP)의 반사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 도광판(LGP)의 하부 외측면에 다수의 산란 패턴들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이 산란 패턴들은, 도광판(LGP)의 입광면(122)으로부터 멀리 위치할수록 점점 그 간격이 벌어지는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광판(LGP)은 광을 효율적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투광성을 가지는 재료, 예를 들어 PMMA(PolyMethylMethAcrylate)와 같은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와 같은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사판(900)은 도광판(LGP)의 하부에 구비된다. 이 반사판(900)은 도광판(LGP)의 하부 외측면을 통과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광을 다시 반사시켜 도광판(LGP)측으로 되돌림으로써 광 손실률을 최소화한다.
광학 시트(201)는 도광판(LGP)으로부터 전달되는 광을 확산 및 집광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도광판(LGP)과 표시패널(DP) 사이에 위치한다. 광학 시트(201)는 확산 시트(201a), 집광 시트(201b) 및 보호 시트(201c)를 포함할 수 있다. 확산 시트(201a), 집광 시트(201b) 및 보호 시트(201c)는 그 열거된 순서로 도광판(LGP) 상에 차례로 적층된다.
확산 시트(201a)는 도광판(LGP)으로부터 전달된 광을 분산시켜서 광이 부분적으로 밀집되는 것을 방지한다.
집광 시트(201b)는 확산 시트(201a) 상에 위치하여 그 확산 시트(201a)로부터 확산된 광을 표시패널(DP)에 수직한 방향으로 집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이 집광 시트(201b)의 일면에 삼각기둥 모양의 프리즘들이 일정한 배열을 갖고 배치될 수 있다.
보호 시트(201c)는 집광 시트(201b) 상에 위치하여 그 집광 시트(201b)의 표면을 보호하고, 광을 확산시켜 광의 분포를 균일하게 한다. 보호 시트(201c)를 통과한 광은 표시패널(DP)로 제공된다.
광원 덮개(LC)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의 수납공간에 광원부(801) 및 입광면(122)이 포함되도록 도광판(LGP)의 일측을 둘러싼다. 이 광원 덮개(LC)는, 광원(801b)들로부터의 광이 도광판(LGP)의 입광면(122)에 정확하게 조사될 수 있도록, 그 입광면(122)과 광원(801b)들을 정렬시킨다. 이 때문에, 이 광원 덮개(LC) 역시 둥글게 굴곡된 형태를 갖는다. 한편, 도광판(LGP)이 특정 형태, 예를 들어 굴곡된 상태를 자체적으로 유지할 수 없는 유연한 재질로 제조된 경우, 이 광원 덮개(LC)는 그러한 도광판(LGP)이 굴곡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강제력을 제공한다.
광원 덮개(LC)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광원 덮개(LC)는 광원 설치부(777a), 상부 덮개(777b) 및 하부 덮개(777c)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덮개(777b)는 광원 설치부(777a)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도광판(LGP)의 상부 외측면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하부 덮개(777c)는 광원 설치부(777a)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도광판(LGP)의 하부 외측면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하부 덮개(777c)는 바텀 케이스(BC)의 바닥부(111a)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하부 덮개(777c)는 광원 설치부(777a)의 타측으로부터 소정 길이로 연장된 제 1 수평부(780a)와, 제 1 수평부(780a)보다 도광판(LGP)의 하부면에 더 근접하여 위치한 제 2 수평부(780b)와, 그리고 및 제 1 및 제 2 수평부(780a, 780b)들간을 연결시키는 경사부(780c)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 설치부(777a), 상부 덮개(777b) 및 하부 덮개(777c)에 의해 둘러싸인 수납공간에 광원(801b) 및 인쇄회로기판(801a)이 배치된다. 이때, 이 인쇄회로기판(801a)의 타면과 광원 설치부(777a) 간의 마주보는 면들 중 하나에 접착부재(801c)가 마련된다. 이 접착부재(801c)에 의해 광원부(801)가 광원 설치부(777a)에 부착될 수 있다. 이 접착부재(801c)는 양면 테이프가 될 수 있으다. 이때 그 양면 테이프의 일측 접착면이 인쇄회로기판(801a)에 부착된 상태로 광원부(801)가 구성될 수 있다.
몰드 프레임(MF)은 바텀 케이스(BC)에 고정된 상태에서 표시패널(DP)과 탑 케이스(TC)를 지지함과 아울러, 표시패널(DP)과 광학 시트(201)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이를 위해, 이 몰드 프레임(MF)은 제 1 지지부(311a), 제 2 지지부(311b) 및 고정부(311c)를 포함하는 사각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지지부(311a)는 복수의 측부(111b)들 상에 얹힌 상태에서 자신의 위에 덮이는 탑 케이스(TC)를 지지한다.
제 2 지지부(311b)는 제 1 지지부(311a)의 내측 가장자리로부터 광학 시트(201) 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제 2 지지부(311b)는 제 1 지지부(311a)에 비하여 그 높이가 낮다. 이러한 제 2 지지부(311b)와 제 1 지지부(311a)간의 높이차에 의해 탑 케이스(TC)와 제 2 지지부(311b)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바, 그 공간에 표시패널(DP)의 가장자리가 위치한다. 여기서, 제 2 지지부(311b)의 끝단에 그 끝단으로부터 표시패널(DP) 측으로 돌출된 완충패드(500)가 더 형성될 수 있는 바, 표시패널(DP)의 가장자리는 이 완충패드(500) 상에 놓인다. 이 완충패드(500)는 표시패널(DP)과 제 2 지지부(311b)가 서로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표시패널(DP)에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고정부(311c)는 제 1 지지부(311a)의 하측면으로부터 측부(111b)를 향해 연장되어 있다. 이 고정부(311c)의 내측면, 즉 이 고정부(311c)의 면들 중 걸림턱(635)과 마주하는 면에 결합홈이 형성된다. 이 결합홈에 걸림턱(635)이 끼워짐으로써 몰드 프레임(MF)이 바텀 케이스(BC)에 고정될 수 있다.
탑 케이스(TC)는 중심부가 개구된 사각틀 형태를 갖는다. 탑 케이스(TC)는 표시패널의 위에 위치한다. 탑 케이스(TC)의 개구된 부분을 통해 표시패널(DP)의 표시 영역(A2)이 노출된다. 탑 케이스(TC)는 표시패널(DP)의 가장자리, 몰드 프레임(MF)의 제 1 지지부(311a)의 상면 및 측면, 그리고 고정부(311c)의 측면을 감싼다. 이를 위해, 이 탑 케이스(TC)는 표시패널(DP)의 가장자리와 제 1 지지부(311a)의 상면을 덮는 전면(前面) 덮개(933a)와, 그리고 제 1 지지부(311a)의 측면 및 고정부(311c)의 측면을 함께 덮는 측면 덮개(933b)를 포함한다. 한편, 측면 덮개(933b)의 내측에는 후크(425)가 형성될 수 있는 바, 이 후크(425)는 몰드 프레임(MF)에 형성된 고정부(311c)의 하면과 접촉한다. 이 후크(425)에 의해서 탑 케이스(TC)가 몰드 프레임(MF)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측면 덮개(933b)들 중 어느 하나의 일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이 개구부를 통해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들(401, 402)이 탑 케이스(TC)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시스템(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의 영상 데이터 신호 및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의 광을 제공받아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패널(DP)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두 개의 변(이하, 장변)이 둥글게 굴곡된 형태를 이루는 반면,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두 개의 변(이하, 단변)은 직선 형태로 곧게 뻗어있다. 한편, 이와 반대로, 장변이 직선 형태를 이루고, 단변이 둥글게 굴곡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로 하여 도 1의 표시패널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표시패널(DP)에 대한 상세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표시 영역에 위치한 화소들의 배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패널(DP)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하부 기판(361a)과 상부 기판(361b)을 포함한다.
하부 기판(361a)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영역(A1)과 비표시 영역(A2)으로 구분된다. 표시 영역(A1)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과, 이 게이트 라인들과 교차되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과, 그리고 게이트 라인들 및 데이터 라인들에 접속된 복수의 화소들이 배열된다.
상부 기판(361b)은 하부 기판(361a) 위에 위치한다. 상부 기판(361b)은 적어도 하부 기판(361a)의 표시 영역(A1)의 전체면을 가릴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다.
상부 기판 및 하부 기판은 각각 복수의 면들을 갖는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 각 기판(361a, 361b)에 포함된 복수의 면들은 다음과 같은 용어로 정의된다. 즉,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면들 각각은 해당 기판의 앞면으로 정의되고, 상부면을 기준으로 그 반대편에 위치한 면은 해당 기판의 뒷면으로 정의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부 기판(361b)의 앞면 위에 블랙 매트릭스, 복수의 컬러필터들 및 공통 전극이 위치한다.
블랙 매트릭스는, 상기 앞면 중 화소 영역들에 대응되는 부분들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 위에 위치한다.
컬러필터들은 화소 영역에 위치한다. 컬러필터들은 적색 컬러필터, 녹색 컬러필터 및 청색 컬러필터로 구분된다.
화소들은 표시 영역(A1)에 행렬 형태로 배열된다. 화소들(R, G, B)은 적색 컬러필터에 대응하여 위치한 적색 화소(R)들, 녹색 컬러필터에 대응하여 위치한 녹색 화소(G) 및 청색 컬러필터에 대응하여 위치한 청색 화소(B)로 구분된다. 이때, 수평 방향으로 인접한 적색 화소(R), 녹색 화소(G) 및 청색 화소(B)는 하나의 단위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단위 화소가 될 수 있다.
제 n 수평라인(n은 1 내지 i 중 어느 하나)을 따라 배열된 j개의 화소들(이하, 제 n 수평라인 화소들)은 제 1 내지 제 j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j) 각각에 개별적으로 접속된다. 아울러, 이 제 n 수평라인 화소들은 제 n 게이트 라인에 공통으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제 n 수평라인 화소들은 제 n 게이트 신호를 공통으로 공급받는다. 즉, 동일 수평라인 상에 배열된 j개의 화소들은 모두 동일한 게이트 신호를 공급받지만, 서로 다른 수평라인 상에 위치한 화소들은 서로 다른 게이트 신호를 공급받는다. 예를 들어, 제 1 수평라인(HL1)에 위치한 적색 화소(R) 및 녹색 화소(G)는 모두 제 1 게이트 신호를 공급받는 반면, 제 2 수평라인(HL2)에 위치한 적색 화소(R) 및 녹색 화소(G)는 이들과는 다른 타이밍을 갖는 제 2 게이트 신호를 공급받는다.
각 화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막 트랜지스터(TFT), 액정용량 커패시터(CLC) 및 보조용량 커패시터(Cst)를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게이트 라인으로부터의 게이트 신호에 따라 턴-온된다. 턴-온된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데이터 라인으로부터 제공된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 신호를 액정용량 커패시터(CLC) 및 보조용량 커패시터(Cst)로 공급한다.
액정용량 커패시터(CLC)는 서로 대향하여 위치한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을 포함한다.
보조용량 커패시터(Cst)는 서로 대향하여 위치한 화소 전극과 대향 전극을 포함한다. 여기서, 대향 전극은 전단 게이트 라인 또는 공통 전압을 전송하는 공통 라인이 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534)는 비표시 영역(A2)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드라이버(534)는, 비표시 영역(A2) 중 표시 영역(A1)의 좌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534)는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제공된 게이트 제어신호에 따라 게이트 신호들을 생성하고, 그 게이트 신호들을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에 차례로 공급한다. 게이트 드라이버(534)는, 예를 들어, 게이트 쉬프트 클럭에 따라 게이트 스타트 펄스를 쉬프트 시켜 게이트 신호들을 발생시키는 쉬프트 레지스터로 구성될 수 있다. 쉬프트 레지스터는 복수의 스위칭소자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스위칭소자들은 표시 영역(A1)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동일한 공정으로 하부 기판(361a)의 앞면 위에 형성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D-IC)들은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디지털 영상 데이터 신호들 및 데이터 제어신호를 공급받는다.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D-IC)들은 데이터 제어신호에 따라 디지털 영상 데이터 신호들을 샘플링한 후에, 매 수평기간마다 한 수평 라인에 해당하는 샘플링 영상 데이터 신호들을 래치하고 래치된 영상 데이터 신호들을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j)에 공급한다. 즉,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D-IC)들은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의 디지털 영상 데이터 신호들을 전원 공급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입력되는 감마전압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영상 신호들로 변환하여 데이터 라인들(DL1 내지 DLj)로 공급한다.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D-IC)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테입들(carrier tape; 601 내지 603, 701 내지 703)에 하나씩 실장(mount)된다.
캐리어 테입은 필름(flim)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D-IC)가 실장된 캐리어 테입은 테입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로도 불린다.
캐리어 테입들(601 내지 603, 701 내지 703)은 제 1 캐리어 테입들(601 내지 603)과 제 2 캐리어 테입들(701 내지 703)로 구분될 수 있다.
제 1 캐리어 테입들(601 내지 603)은 제 1 인쇄회로기판(401)과 표시패널(DP)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제 1 캐리어 테입들(601 내지 603)의 입력 단자들은 제 1 인쇄회로기판(401)에 형성된 제 1 신호배선패턴들(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되고, 제 1 캐리어 테입들(601 내지 603)의 출력 단자들은 표시패널(DP)의 비표시 영역(A2)에 형성된 제 1 패드부(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된다.
제 1 패드부는 제 1 링크 라인들을 통해 데이터 라인들 중 일부에 연결된다.
입력 단자들이 위치한 제 1 캐리어 테입의 일측과 제 1 인쇄회로기판(401)은 이방성 도전성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bonding Film)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출력 단자들이 위치한 제 1 캐리어 테입의 타측과 표시패널(DP)은 이방성 도전성 필름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제 2 캐리어 테입들(701 내지 703)은 제 2 인쇄회로기판(402)과 표시패널(DP)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제 2 캐리어 테입들(701 내지 703)의 입력 단자들은 제 2 인쇄회로기판(402)에 형성된 제 2 신호배선패턴들(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되고, 제 2 캐리어 테입들(701 내지 703)의 출력 단자들은 표시패널(DP)의 비표시 영역(A2)에 형성된 제 2 패드부(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된다.
제 2 패드부는 제 2 링크 라인들을 통해 데이터 라인들 중 다른 일부에 연결된다.
입력 단자들이 위치한 제 2 캐리어 테입의 일측과 제 2 인쇄회로기판(402)은 이방성 도전성 필름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출력 단자들이 위치한 제 2 캐리어 테입의 타측과 표시패널(DP)은 이방성 도전성 필름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캐리어 테입들(701 내지 703)은 구부러질 수 있는 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캐리어 테입들(701 내지 703)은 열팽창 계수(CT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나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인 폴리이미드(polyimide)로 제조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아크릴(acrylic), 폴리에테르니트릴(polyether nitrile),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드(polyethylenenaphthalate) 등의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제 1 및 제 2 패드부들은 비표시 영역(A2) 중 표시 영역(A1)의 상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캐리어 테입들(601 내지 603)의 출력 단자들 및 제 2 캐리어 테입들(701 내지 703)의 출력 단자들은 비표시 영역(A2) 중 표시 영역(A1)의 상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신호배선패턴들 중 일부는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제공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 신호들 및 데이터 제어신호를 제 1 캐리어 테입(601 내지 603)에 실장된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D-IC; 이하, 제 1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들로 전송한다. 이때, 제 1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는 제 1 캐리어 테입에 형성된 입력배선패턴들(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디지털 영상 데이터 신호들 및 데이터 제어신호를 제공받는다. 그리고, 제 1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는 제 1 캐리어 테입에 형성된 출력배선패턴들을 통해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 신호들을 출력한다. 여기서, 각 입력배선패턴의 끝단이 전술된 입력 단자에 해당하며, 각 출력배선패턴의 끝단이 전술된 출력 단자에 해당된다.
제 1 신호배선패턴들 중 다른 일부는, 어느 하나의 캐리어 테입에 형성된 보조 배선패턴들 및 하부 기판(361a)의 모서리에 형성된 보조 라인들을 통해, 게이트 드라이버(534)로 게이트 제어신호를 전송한다. 보조 배선패턴들은 전체 캐리어 테입들(601 내지 603, 701 내지 703) 중 최외각에 위치한 하나의 캐리어 테입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 좌측에 위치한 하나의 제 1 캐리어 테입(601)에 보조 배선패턴들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신호배선패턴들 중 일부는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제공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 신호들 및 데이터 제어신호를 제 2 캐리어 테입들(701 내지 703)에 실장된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D-IC; 이하 제 2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들로 전송한다. 이때, 제 2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는 제 2 캐리어 테입에 형성된 입력배선패턴들(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디지털 영상 데이터 신호들 및 데이터 제어신호를 제공받는다. 그리고, 제 2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는 제 2 캐리어 테입에 형성된 출력배선패턴들을 통해 아날로그 영상 데이터 신호들을 출력한다. 여기서, 각 입력배선패턴의 끝단이 전술된 입력 단자에 해당하며, 각 출력배선패턴의 끝단이 전술된 출력 단자에 해당된다.
타이밍 컨트롤러 및 전원 공급부는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402)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인쇄회로기판(401)과 제 2 인쇄회로기판(402)은 연결부(777)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결부(777)로서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연결부(777)에 복수의 연결배선패턴들이 형성된다.
타이밍 컨트롤러가 제 1 인쇄회로기판(401)에 위치할 경우,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의 신호들은 연결부(777)의 연결배선패턴들을 통해 제 1 인쇄회로기판(401)의 제 1 신호배선패턴들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타이밍 컨트롤러가 제 2 인쇄회로기판(402)에 위치할 경우,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의 신호들은 연결부(777)의 연결배선패턴들을 통해 제 2 인쇄회로기판(402)의 제 2 신호배선패턴들로 공급될 수 있다.
제 1 인쇄회로기판(401)의 적어도 일부는 제 2 인쇄회로기판(402)을 향해 돌출된다. 또한, 제 2 인쇄회로기판(402)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인쇄회로기판(401)을 향해 돌출된다. 예를 들어, 제 1 인쇄회로기판(401)과 제 2 인쇄회로기판(402) 간의 마주보는 면들 중 각각의 일부가 서로를 향해 소정 길이로 돌출된다. 여기서, 그 마주보는 면들 중 돌출된 부분들 각각을 제 1 및 제 2 돌출부(401a, 402a)로 정의하고, 돌출되지 않은 부분들 각각을 제 1 및 제 2 비돌출부(401b, 402b)로 정의한다.
제 1 돌출부(401a)와 제 2 돌출부(402a)가 정확히 맞닿은 상태에서, 제 1 비돌출부(401b)와 제 2 비돌출부(402b) 간의 거리를 D로 정의하고, 연결부(777)의 길이를 L로 정의할 때, L은 D보다 더 크다. 다시 말하여, 제 1 돌출부(401a)와 제 2 돌출부(402a)가 접촉된 상태에서, 연결부(777)의 길이는 제 1 비돌출부(401b)와 제 2 비돌출부(402b) 간의 거리보다 더 길다.
전술된 연결부(777)는 제 1 인쇄회로기판(401)과 제 2 인쇄회로기판(402)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층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이의 한 예를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3의 I-I`의 선상을 따라 절단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 1 인쇄회로기판(40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402)은 복수의 층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 1 인쇄회로기판(40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이미드층(10), 상기 폴리이미드층(10)의 위에 위치한 제 1 상부 도전층(11u), 상기 제 1 상부 도전층(11u)의 위에 위치한 상부 커버레이층(12u), 상기 상부 커버레이층(12u)의 위에 위치한 상부 프리프레그(prepreg)층(13u), 상기 상부 프리프레그층(13u)의 위에 위치한 제 2 상부 도전층(14u), 상기 제 2 상부 도전층(14u)의 위에 위치한 제 1 레지스트층(15u), 상기 폴리이미드층(10)의 아래에 위치한 제 1 하부 도전층(11d), 상기 제 1 하부 도전층(11d)의 아래에 위치한 하부 커버레이층(12d), 상기 하부 커버레이층(12d)의 아래에 위치한 하부 프리프레그층(13d), 상기 하부 프리프레그층(13d)의 아래에 위치한 제 2 하부 도전층(14d) 및 상기 제 2 하부 도전층(14d)의 아래에 위치한 제 2 레지스트층(15d)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상부 도전층(11u)에, 노광 및 식각 공정을 통해 패터닝된 회로패턴들이 형성된다. 제 1 하부 도전층(11d)은 제 1 상부 도전층(11u)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부 커버레이층(12u)은 절연층으로서, 연결부(777)의 표면을 보호한다. 하부 커버레이층(12d)은 상부 커버레이층(12u)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부 프리프레그층(prepreg)은 제 1 인쇄회로기판(40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402)에 경성(硬性)을 부여한다. 하부 프리프레그층(13d)은 상부 프리프레그층(13u)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 2 상부 도전층(14u)에, 노광 및 식각 공정을 통해 패터닝된 회로패턴들이 형성된다. 제 2 하부 도전층(14d)은 제 2 상부 도전층(14u)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 1 인쇄회로기판(40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402)에 이를 관통하는 콘택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콘택홀들을 통해 제 1 인쇄회로기판(401)에 형성된 제 2 상부 도전층(14u)과 연결부(777)에 형성된 제 1 상부 도전층(11u)이 서로 연결되거나, 제 2 인쇄회로기판(402)에 형성된 제 2 상부 도전층(14u)과 연결부(777)에 형성된 제 1 상부 도전층(11u)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인쇄회로기판(40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402)은 제 1 캐리어 테입들(601 내지 603) 및 제 2 캐리어 테입들(701 내지 703)을 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 1 인쇄회로기판(40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402)이 회전할 때 제 1 캐리어 테입들(601 내지 603) 및 제 2 캐리어 테입들(701 내지 703)은 그 회전 방향을 따라 구부러진다.
표시장치가 완성되면 제 1 인쇄회로기판(401)과 제 2 인쇄회로기판(402)은 회전하여 바텀 케이스(TC)의 배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굴곡된 형태로 갖는 바텀 케이스(BC)가 준비된다. 바텀 케이스(BC)는 금속과 같은 경성 재질로 처음부터 굴곡된 형태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바텀 케이스(BC)는 별도의 외력 없이 그 굴곡된 형태를 유지한다.
이어서, 바텀 케이스(BC)의 바닥부(111a)에 반사판(900)이 놓여진다. 반사판(900)은 구부러질 수 있는 연성 재질로 제조된다. 따라서, 바텀 케이스(BC) 바닥부에 반사판(900)이 놓이면, 반사판(900)은 바텀 케이스(BC)와 같은 굴곡된 형태를 취한다.
다음으로, 반사판(900)의 상부에, 광원 덮개(LC) 및 광원부(801)가 결합된 도광판(LGP)이 놓여진다.
광원 덮개(LC)는, 전술된 바텀 케이스(BC)와 마찬가지로, 금속과 같은 경성 재질로 처음부터 굴곡된 형태로 만들어진다.
광원 덮개(LC)는 바텀 케이스(BC)와 동일한 형태로 굴곡되어 있다. 그리고, 도광판(LGP)은 연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광판(LGP)은 경성 재질의 광원 덮개(LC)에 의해 바텀 케이스(BC)와 같은 형태로 굴곡된다.
한편, 광원부(801)에 포함된 인쇄회로기판(801a)은 폴리이미드와 같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801a)은 광원 덮개(LC)에 결합되면서 바텀 케이스(BC)와 같은 형태로 굴곡된다.
이어서, 도광판(LGP)의 상부에 광학 시트(201)가 놓여진다. 광학 시트(201)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광학 시트(201)는 바텀 케이스(BC)와 같은 형태로 굴곡된다.
다음으로, 바텀 케이스(BC)의 측부(111b)들 상에 몰드 프레임(MF)이 놓여지고, 그 몰드 프레임(MF)의 제 2 지지부(311b)에 표시패널(DP)이 놓여진다. 몰드 프레임(MF) 및 표시패널(DP)은 플라스틱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몰드 프레임(MF) 및 표시패널(DP)은 이후 설명할 탑 케이스(TC)가 바텀 케이스(BC)에 결합됨에 따라 굴곡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표시패널(DP)에는 제 1 및 제 2 캐리어 테입들(701 내지 703)을 통해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401, 402)이 부착된 상태이다.
이어서, 제 1 인쇄회로기판(401)과 제 2 인쇄회로기판(402)이 분리된다. 이를 도 6a 및 도 6b를 참조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는 제 1 인쇄회로기판(401)과 제 2 인쇄회로기판(402)을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바텀 케이스(BC)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제 1 인쇄회로기판(401)과 제 2 인쇄회로기판(402)은 분리되지 않은 하나의 인쇄회로기판(444)으로 만들어져 있다. 이때, 이 하나의 인쇄회로기판(444)의 중심부에 절단선(969)이 더 표시될 수도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절단 장비(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인쇄회로기판(969)의 중심부가 잘려진다. 그러면, 하나의 인쇄회로기판(969)이 두 개의 인쇄회로기판들(401, 402)로 나누어진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제 1 인쇄회로기판(40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402)이 제 1 캐리어 테입들(601 내지 603) 및 제 2 캐리어 테입들(701 내지 703)을 축으로 하여 바텀 케이스(BC)의 배면을 향하여 회전된다. 그러면, 제 1 인쇄회로기판(40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402)이 바텀 케이스(BC)의 배면에 위치한다.
이어서, 탑 케이스(TC)가 표시패널(DP)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바텀 케이스(BC)에 결합된다. 탑 케이스(TC)는, 전술된 바텀 케이스(BC)와 마찬가지로, 금속과 같은 경성 재질로 처음부터 굴곡된 형태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탑 케이스(TC)는 별도의 외력 없이 그 굴곡된 형태를 유지한다. 탑 케이스(TC)와 바텀 케이스(BC)가 결합됨에 따라 이들 사이에 위치한 표시패널(DP) 및 몰드 프레임이 굴곡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이 바텀 케이스(BC), 반사판(900), 광원부(801), 광원 덮개(LC), 도광판(LGP), 광학 시트(201), 몰드 프레임(MF), 표시패널(DP), 제 1 인쇄회로기판(401) 및 탑 케이스(TC)는 모두 닮은꼴을 갖는 굴곡 형상을 갖지만 서로 다른 곡률을 갖는다.
즉, 표시장치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401, 402)들이 가장 큰 곡률을 갖는다. 이는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401, 402)들이 그 구성요소들 중 가장 하측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반면 가장 상측에 위치한 탑 케이스(TC)가 가장 작은 곡률을 갖는다. 인쇄회로기판들(401, 402)과 탑 케이스(TC) 사이에 위치한 구성요소들은 전술된 가장 큰 곡률과 가장 작은 곡률 사이의 곡률 값을 갖는다.
한편,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401, 402)이 바텀 케이스(BC)의 배면으로 이동하기 전에, 이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401, 402)의 곡률은 표시패널(DP)의 곡률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곡률을 유지한다. 그러나,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401, 402)이 바텀 케이스(BC)의 배면으로 이동하게 되면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401, 402)의 곡률이 증가하게 된다. 이때, 증가된 곡률에 의해 제 1 인쇄회로기판(40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402)은 서로에게서 멀어지려는 힘을 받는다. 이 힘에 의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인쇄회로기판(401)은 좌측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이는 반면 제 2 인쇄회로기판(402)은 우측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때, 제 1 인쇄회로기판(401)과 제 2 인쇄회로기판(402)이 서로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이들 사이에 결합된 연결부(777)도 양쪽으로 잡아당겨지면서 구부러져 있던 부분이 펴지게 된다. 연결부(777)에 의해 제 1 인쇄회로기판(401)과 제 2 인쇄회로기판(402) 간의 간격과 증가된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401, 402)의 곡률이 유지된다.
이와 같이, 제 1 인쇄회로기판(401)과 제 2 인쇄회로기판(402)의 곡률이 증가하더라도, 제 1 인쇄회로기판(401)과 제 2 인쇄회로기판(402)이 양쪽으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제 1 인쇄회로기판(401)과 제 2 인쇄회로기판(402)에 스트레스가 쌓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 1 캐리어 테입들(601 내지 603)과 제 2 캐리어 테입들(701 내지 703)의 변형 및 손상 방지된다. 또한, 그 캐리어 테입들(601 내지 603, 701 내지 703)에 형성된 배선패턴들 및 데이터 구동 집적회로(D-IC)의 파손도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제시된 표시패널(DP)은 액정패널이 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액정패널 이외에도 유기발광표시패널(DP) 등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패널 형태의 구조는 어떠한 구조든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777: 연결부 401: 제 1 인쇄회로기판
402: 제 2 인쇄회로기판 BC: 바텀 케이스
401a: 제 1 돌출부 401b: 제 1 비돌출부
402a: 제 2 돌출부 402b: 제 2 비돌출부
601-603: 제 1 캐리어 테입 701-703: 제 2 캐리어 테입

Claims (14)

  1. 굴곡된 형태를 갖는 표시패널;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들;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표시패널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캐리어 테입;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표시패널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캐리어 테입; 및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층의 일부인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간격보다 큰 길이를 갖는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을 향해 돌출된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을 향해 돌출된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 및 제 2 인쇄회로기판 중 적어도 하나는,
    폴리이미드층;
    상기 폴리이미드층의 위에 위치한 제 1 상부 도전층;
    상기 제 1 상부 도전층의 위에 위치한 상부 커버레이층;
    상기 상부 커버레이층의 위에 위치한 상부 프리프레그층;
    상기 상부 프리프레그층의 위에 위치한 제 2 상부 도전층;
    상기 제 2 상부 도전층의 위에 위치한 제 1 레지스트층;
    상기 폴리이미드층의 아래에 위치한 제 1 하부 도전층;
    상기 제 1 하부 도전층의 아래에 위치한 하부 커버레이층;
    상기 하부 커버레이층의 아래에 위치한 하부 프리프레그층;
    상기 하부 커버레이층의 아래에 위치한 제 2 하부 도전층; 및
    상기 제 2 하부 도전층의 아래에 위치한 제 2 레지스트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폴리이미드층, 상기 제 1 상부 도전층, 상기 상부 커버레이층 및 상기 상부 프리프레그층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바텀 케이스;
    광을 방출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부터의 광을 상기 표시패널로 전달하는 도광판; 및
    상기 바텀 케이스에 고정된 상태에서 표시패널을 지지하는 몰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이 상기 바텀 케이스의 뒷면에 위치하는 굴곡형 표시장치.
  9. 굴곡된 형태를 갖는 표시패널; 제 1 및 제 2 인쇄회로기판들;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표시패널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캐리어 테입;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표시패널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캐리어 테입; 및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층의 일부이며;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의 적어도 일부와 제 2 인쇄회로기판의 적어도 일부가 연결된 굴곡형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굴곡된 형태를 갖는 바텀 케이스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바텀 케이스와 상기 표시패널을 조립하는 단계;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제 2 인쇄회로기판을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제 2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바텀 케이스의 뒷면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굴곡형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케이스에 반사판, 도광판, 광학시트, 몰드 프레임 및 광원부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제 2 인쇄회로기판을 분리하는 단계는,
    레이저 절단 장비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레이저 절단 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제 2 인쇄회로기판 간의 연결부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제 2 인쇄회로기판 간의 연결부에 절단 라인이 표시된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제 2 인쇄회로기판을 분리하는 단계는,
    레이저 절단 장비를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레이저 절단 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절단 라인을 따라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제 2 인쇄회로기판 간의 연결부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 2 인쇄회로기판 사이의 길이보다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길이가 더 긴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40107731A 2014-08-19 2014-08-19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05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731A KR102205106B1 (ko) 2014-08-19 2014-08-19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14/731,333 US10353138B2 (en) 2014-08-19 2015-06-04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20210004654A KR102316791B1 (ko) 2014-08-19 2021-01-13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731A KR102205106B1 (ko) 2014-08-19 2014-08-19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4654A Division KR102316791B1 (ko) 2014-08-19 2021-01-13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435A true KR20160022435A (ko) 2016-03-02
KR102205106B1 KR102205106B1 (ko) 2021-01-21

Family

ID=55349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7731A KR102205106B1 (ko) 2014-08-19 2014-08-19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353138B2 (ko)
KR (1) KR1022051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47108A1 (en) * 2014-11-20 2016-05-26 Japan Display Inc. Display device
KR20180073774A (ko) * 2016-12-22 2018-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US10209548B2 (en) 2016-09-19 2019-02-1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having a flexible circuit boar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79711B1 (en) * 2014-03-06 2017-06-13 William J. Rintz Portable programmable display and control module
USD776666S1 (en) * 2015-02-05 2017-01-17 Neonode Inc. Curved light guide frame
US10107955B2 (en) * 2015-04-27 2018-10-23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backlight module having double-side adhesive blocks
KR20180038114A (ko) 2016-10-05 2018-04-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JP6922303B2 (ja) * 2017-03-22 2021-08-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超音波デバイスユニット、超音波探触子、及び超音波装置
CN107621736A (zh) * 2017-09-05 2018-01-23 昆山龙腾光电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20190066100A (ko) * 2017-12-04 2019-06-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0392222B (zh) * 2018-04-23 2022-05-1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背板及电视机
KR102652758B1 (ko) * 2018-07-06 2024-04-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CN211123566U (zh) * 2020-01-20 2020-07-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背光模组及显示装置
EP4093160A1 (en) * 2021-05-20 2022-11-23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S.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connector, system comprising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and a connector, and a method of repairing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4483A (ja) * 1997-12-09 1999-07-02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JP2003315820A (ja) * 2002-04-26 2003-11-06 Optrex Corp 液晶表示装置
KR20050049078A (ko) * 2003-11-21 2005-05-2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2009168904A (ja) * 2008-01-11 2009-07-30 Sharp Corp 表示装置
KR20130087341A (ko) * 2012-01-27 2013-08-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1796A (en) * 1992-10-15 1998-03-24 Hitachi, Ltd. Liquid crystal display driving method/driving circuit capable of being driven with equal voltages
JP3184853B2 (ja) * 1993-06-24 2001-07-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KR100278609B1 (ko) * 1998-10-08 2001-01-15 윤종용 인쇄회로기판
KR100631301B1 (ko) 2000-07-29 2006-10-04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040100756A (ko) 2003-05-24 2004-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액정표시장치의 조립 방법
KR20060095345A (ko) * 2005-02-28 2006-08-3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269293B1 (ko) * 2006-06-30 2013-05-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US8188372B2 (en) * 2006-09-21 2012-05-29 Daisho Denshi Co., Ltd. Flex-rigid printed wiring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8304535A (ja) * 2007-06-05 2008-12-18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US8297788B2 (en) * 2008-12-08 2012-10-30 Avx Corporation Card edge LED strip connector and LED assembly
KR101594620B1 (ko) * 2009-07-14 2016-02-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EP2489928A4 (en) * 2009-11-12 2014-03-12 Sharp Kk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STATION
KR101730847B1 (ko) 2010-11-16 2017-04-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칩 온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US9597607B2 (en) * 2011-08-26 2017-03-21 Littlebits Electronics Inc. Modular electronic building systems with magnetic interconnec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8757861B2 (en) * 2012-01-27 2014-06-24 Samsung Display Co., Ltd.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4483A (ja) * 1997-12-09 1999-07-02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JP2003315820A (ja) * 2002-04-26 2003-11-06 Optrex Corp 液晶表示装置
KR20050049078A (ko) * 2003-11-21 2005-05-2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JP2009168904A (ja) * 2008-01-11 2009-07-30 Sharp Corp 表示装置
KR20130087341A (ko) * 2012-01-27 2013-08-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47108A1 (en) * 2014-11-20 2016-05-26 Japan Display Inc. Display device
US9964787B2 (en) * 2014-11-20 2018-05-08 Japan Display Inc. Display device having frames
US10209548B2 (en) 2016-09-19 2019-02-1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having a flexible circuit board
KR20180073774A (ko) * 2016-12-22 2018-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53138B2 (en) 2019-07-16
KR102205106B1 (ko) 2021-01-21
US20160057872A1 (en) 2016-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5106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8253887B2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2113610B1 (ko) 보더리스 타입의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조립 방법
US779621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having flexible printed circuit sandwiched between liquid crystal panel and light guide plate thereof
CN211454161U (zh) 液晶显示装置
TW201040620A (en) Protective plate integrated display apparatus
KR20080001751A (ko) 액정표시장치
US8208092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17003420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50294B1 (ko) 표시장치
KR101830242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950831B1 (ko)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180016667A (ko) 표시 장치
KR20160038148A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12067B1 (ko) 백라이트 유닛
US1028164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10451920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60147110A (ko) 표시 장치
KR102039362B1 (ko) 액정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KR102316791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20760B1 (ko)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모듈
KR20100071533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170079244A (ko) 액정 표시 장치
JP2014048322A (ja) 液晶表示装置
KR20170080284A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