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3774A - 플렉서블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3774A
KR20180073774A KR1020160176795A KR20160176795A KR20180073774A KR 20180073774 A KR20180073774 A KR 20180073774A KR 1020160176795 A KR1020160176795 A KR 1020160176795A KR 20160176795 A KR20160176795 A KR 20160176795A KR 20180073774 A KR20180073774 A KR 20180073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cover
film
printed circuit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6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4364B1 (ko
Inventor
이훈택
장지광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6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4364B1/ko
Publication of KR20180073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평면 형상에서 곡률 형상 또는 곡률 형상에서 평면 형상으로 변경이 가능한 표시패널, 표시패널 배면에 배치되는 백커버, 백커버의 배면에 위치하는 적어도 2개의 인쇄회로 기판 및 표시패널 및 인쇄회로 기판과 연결되고, 일부 영역에 칩이 실장된 필름을 포함하고, 여기서 필름은 칩이 실장된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접착부재를 통해 상기 백커버에 접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필름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플렉서블 표시장치{FLEXIBLE DISPLAY DEVICE}
본 실시예들은 플렉서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플렉서블 표시장치가 상용화되었다.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플라스틱 OLED가 형성된 표시패널의 화면 상에 입력 영상을 재현한다. 플라스틱 OLED는 휘어질 수 있는 플라스틱 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다.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다양한 디자인 구현이 가능하고 휴대성과 내구성에 장점이 있다.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벤더블(Bendable) 표시장치, 폴더블(Folderable) 표시장치, 롤러블(Rollable) 표시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표시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굽힘 가능한 표시장치는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기기뿐만 아니라 TV(Television), 자동차 표시장치, 웨어러블 기기 등에 적용될 수 있고 그 응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한편, 굽힘 가능한 표시장치가 평면 형상 또는 곡률 형상으로 변경될 때, 표시패널 및 표시패널 배면에 배치되는 백커버와 결합되는 구성들에 응력이 가해져 표시패널 및 표시패널 배면에 배치되는 백커버와 결합되는 구성들의 파손이 발생하여, 표시장치의 품질을 떨어트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굽힘이 가능한 표시장치의 백커버와 백커버에 결합되는 구성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평면 형상에서 곡률 형상 또는 곡률 형상에서 평면 형상으로 변경이 가능한 표시패널을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배면에 배치되는 백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백커버의 배면에 위치하는 적어도 2개의 인쇄회로 기판을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및 인쇄회로 기판과 연결되고, 일부 영역에 칩이 실장된 필름을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의 필름은 상기 칩이 실장된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접착부재를 통해 상기 백커버에 접착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평면 형상에서 곡률 형상 또는 곡률 형상에서 평면 형상으로 변경이 가능한 표시패널을 포함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배면에 배치되는 백커버를 포함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백커버의 배면의 적어도 일 측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2개의 인쇄회로 기판을 포함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장치는 1개의 상기 인쇄회로 기판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른 인쇄회로 기판 사이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1 개의 강성바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는 드라이버 집적회로 칩이 실장 된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접착부재를 통해 백커버에 고정되고, 백커버의 변곡점 발생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 적어도 1 개의 강성바가 배치됨으로써, 필름의 손상을 방지하고, 백커버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백커버의 일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X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A-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백커버의 변곡점이 발생하는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비교예에 따른 필름의 이미지이다.
도 10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필름의 이미지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소자(element)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beneath)", "하부 (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 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0)는 표시패널(100) 및 표시패널(100) 배면에 배치되는 백커버(2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0)는 백커버(200) 배면에 배치되는 커버부재(11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0)는 평면 형상 또는 곡률 형상으로 변경이 가능한 표시장치(1000)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0)는 평면 형상에서 곡률 형상으로 변경하거나 곡률 형상에서 평면 형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들에 따른 표시장치(1000)는 벤더블(Bendable) 표시장치, 폴더블(Folderable) 표시장치, 롤러블(Rollable) 표시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표시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1000)는 평면 형상에서 곡률 형상으로 변경하거나, 곡률 형상에서 평면 형상으로 변경하기 위해 표시패널(100)과 백커버(200)는 적어도 1 개의 변곡점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원활한 표시장치(1000)의 형상 변경을 위해 표시패널(100)의 변곡점과 백커버(200)의 변곡점은 동일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더불어, 커버부재(110)의 변곡점 역시 표시패널(100)의 변곡점 및 백커버(200)이 변곡점과 동일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표시장치(1000)를 평면 형상 또는 곡률 형상으로 변경하거나, 곡률 형상에서 평면 형상으로 변경할 경우, 표시패널(100) 및 백커버(200) 뿐만 아니라, 표시패널(100) 및 백커버(200)에 구비되는 구성요소들에 변형에 의한 응력(stress)가 가해지게 된다. 표시패널(100) 및 백커버(200)에 구비되는 구성요소들에 지속적으로 응력이 가해질 경우, 구성요소들에 파손이 발생한다.
특히, 본 실시예들은 표시장치(1000)가 평면 형상 또는 곡률 형상으로 변경될 때, 백커버(200) 및 백커버(200)와 결합되는 구성들에 응력이 가해져 백커버(200) 및 백커버(200)와 결합되는 구성들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백커버(200) 및 백커버(200)와 결합되는 구성들의 파손 방지할 수 있는 본 실시예들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백커버의 일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백커버(200)는 일면에 구비되는 컨트롤 인쇄회로 기판(250), 복수의 케이블(210), 복수의 인쇄회로 기판(300), 복수의 필름(400) 및 백커버(200)와 다른 구성요소 예를 들면, 케이스와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결합부(2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백커버(200)의 일면의 적어도 일 측에는 복수의 인쇄회로 기판(300)이 배치된다. 이 때, 도 2에서는 복수의 인쇄회로 기판(300)이 백커버(200)의 일 측 및 마주보는 타 측에 구비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실시예들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복수의 인쇄회로 기판(300)은 백커버(200)의 일 측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인쇄회로 기판(300)은 인접한 다른 인쇄회로 기판(300)과 제 1 연결부재(401)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인쇄회로 기판(300)의 일 측은 적어도 1 개의 제 2 연결부재(402)를 통해 백커버(200)의 일면에 구비된 컨트롤 인쇄회로 기판(25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연결부재(401) 및 제 2 연결부재(402)는 연성 플랫 케이블(FFC: Flexibl Flat Cable) 또는 연성 인쇄회로(FPC: 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의 필름일 수 있으나, 본 실시예들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1개의 인쇄회로 기판(300)의 일 측은 적어도 1 개의 필름(400)과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인쇄회로 기판(300)은 소스 인쇄회로 기판일 수 있으며, 필름(400)은 소스 드라이버일 수 있다. 이 때, 필름(400)의 일 측은 인쇄회로 기판(300)과 연결되고, 타 측은 표시패널과 연결된다. 한편, 필름(400)은 연성 필름으로, 인쇄회로 기판(300)으로부터 표시패널까지 휘어져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필름(400)은 백커버(200)의 일 측면을 둘러싸면서 표시패널로부터 인쇄회로 기판(300)까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들에서는 복수의 인쇄회로 기판(300)이 소스 인쇄회로 기판이고, 복수의 필름(400)이 소스 드라이버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나, 본 실시예들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일 측이 인쇄회로 기판과 연결되고 타 측이 표시패널에 연결되는 필름의 구성이면 본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필름(400)은 표시패널에 배치된 복수의 데이터라인을 구동하는 드라이버로서, 일 예로, 칩 온 필름(COF: Chip On Film)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필름(400) 각각은 베이스 필름과 베이스 필름 상에 실장된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S-DIC: Source Driver IC) 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복수의 필름(400) 각각에는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 칩과 연결되는 복수의 배선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 기판(300)과 연결된 컨트롤 인쇄회로 기판(250)에는 제어부가 위치할 수 있으며, 제어부는 복수의 필름(400) 및 복수의 게이트 드라이버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하여, 데이터 제어 신호(DCS: Data Control Signal), 게이트 제어 신호(GCS: Gate Control Signal) 등의 각종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 인쇄회로기판(250)에는 전원 관리 집적회로(PMIC: Power Management IC) 등이 더 배치될 수도 있다.
컨트롤 인쇄회로 기판(240) 상에 배치된 제어부, 전원 관리 집적회로 등은 복수의 필름(400), 복수의 게이트 드라이버 및 표시패널 간의 신호 전달이 가능해질 수 있다. 여기서, 선호 전달은 각종 전원(전압, 전류), 제어 신호, 센싱 신호,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모든 전기적인 신호의 전달을 의미한다.
한편,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의 백커버(200)는 평면 형상에서 곡률 형상으로 변경되거나, 곡률 형상에서 평면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백커버(200)뿐만 아니라 백커버(200) 일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필름(400) 역시 응력이 작용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의 형상 변경으로 인해, 필름(400)의 유동으로 인해 복수의 필름(400)에 크랙(crack)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는 필름(400)에 작용되는 응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필름(400) 상에 실장 된 소스 드라이버와 대응되는 영역에 접착부재가 부착되어, 필름(400)에 가해지는 응력을 최소화 하여 필름(4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자세히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2의 X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는 백커버(200) 일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1 개의 인쇄회로 기판(300)을 포함하고, 인쇄회로 기판(300)의 일 측과 연결되는 적어도 1 개의 필름(400)을 포함한다.
이 때, 적어도 1 개의 필름(400) 상에는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 칩(450)이 실장 될 수 있다. 그리고,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 칩(450)이 실장 된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필름(400)과 백커버(200) 사이에는 접착부재(500)가 구비될 수 있다. 필름(400)과 백커버(200) 사이에 구비된 접착부재(500)는 필름(400)을 백커버(20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필름(400)은 인쇄회로 기판(300)과 연결되는 일 측과 표시패널과 연결되는 타 측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고정되지 않고, 다른 구성요소들과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필름(400)은 인쇄회로 기판(300)과 연결되는 일 측과 표시패널과 연결되는 타 측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유동이 발생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장치를 평면 형상에서 곡률 형상으로 변경하거나, 곡률 형상에서 평면 형상으로 변경할 때, 필름(400)은 인쇄회로 기판(300) 및 표시패널과 연결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유동이 발생하여 필름(400)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필름(400)은 인쇄회로 기판(300)과 연결되는 일 측과 표시패널과 연결되는 타 측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 중 일부 영역에서 접착부재(500)를 통해 백커버(200)에 고정됨으로써,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접착부재(500)는 필름(400) 상에 실장 된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 칩(450)이 위치한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 칩(450)이 위치한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필름(400)이 접착부재(500)를 통해 백커버(200)의 일 면 상에 고정됨으로써, 백커버(200)에 고정된 필름(400) 영역은 휘어짐 없이 평탄해질 수 있다. 즉,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 칩(450)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필름(400)은 평탄해질 수 있다.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 칩(450)이 필름(400)이 다른 구성요소와 고정되지 않는 영역에 위치할 경우, 필름(400) 휘어짐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이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 칩(450)에도 가해 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 칩(250)의 손상이 야기될 수 있다. 반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 칩(450)은 필름(400)이 평탄하게 배치될 수 있는 영역에 실장 됨으로써, 필름(400)의 휘어짐으로 인해 소스 드라이버 집척회로 칩(450)에 응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 1 방향(수평방향)을 기준으로 한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 칩(450)의 폭(W1)은 제 1 방향을 기준으로 한 접착부재(500)의 폭(W1)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수직방향)을 기준으로 한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 칩(450)의 폭(L1)은 제 2 방향을 기준으로 한 접착부재(500)의 폭(W2)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접착부재(500)가 위치한 영역의 면적이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 칩(450)이 위치한 영역의 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착부재(500)가 위치한 영역의 면적이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 칩(450)이 위치한 영역의 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짐으로써,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 칩(450)이 필름(400)이 휘어지는 영역에 배치될 확률이 낮아질 수 있다. 즉,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 칩(450)이 백커버(200)에 부착된 필름(400) 영역에 구비됨으로써, 필름(400) 유동으로 인해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 칩(450)에 응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도 4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3의 A-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100), 표시패널(100) 배면에 배치되는 백커버(200), 백커버(200) 배면에 배치되는 인쇄회로 기판(300)을 포함한다. 이 때, 인쇄회로 기판(300)의 일 측에는 필름(400)이 연결되고, 필름(400)은 표시패널(100)과도 연결된다.
이때, 필름(400)은 연성의 필름일 수 있으며, 인쇄회로 기판(300)으로부터 표시패널(100)까지 휘어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필름(400)은 인쇄회로 기판(300)과 연결되는 연결영역과 표시패널(100)과 연결되는 연결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다른 구성들과 이격할 수 있다.
필름(400)과 다른 구성들이 이격하는 영역에서는 필름(400)의 유동이 심하여 필름(400)의 손상(예를 들면, 크랙(crack))이 야기될 수 있으므로, 필름(400)과 백커버(200) 사이에 접착부재(500)를 배치한다. 즉, 필름(400)이 접착부재(500)를 통해 백커버(200)의 배면에 부착됨으로써, 필름(400)의 유동을 줄일 수 있다.
필름(400)의 일부 영역에 부착되는 접착부재(500)는 필름(400) 상에 실장 된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 칩(450)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필름(400)은 소스 드라이버 집적회로 칩(450)이 배치되는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백커버(20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접착부재(500)는 양면테이프 일 수 있으나, 본 실시예의 접착부재(500)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름(400)을 백커버(200)의 일면에 부착할 수 있는 재료이면 충분하다.
이와 같이, 필름(400)을 접착부재(500)로 백커버(200)에 고정시킴으로써, 필름(400)의 유동을 줄일 수 있다. 특히, 백커버(200)가 평면 형상에서 곡률 형상으로 변경되거나, 곡률 형상에서 평면 형상으로 변경될 때, 필름(400)도 백커버(200)와 동일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필름(400)의 움직임이 심하게 발생하여, 필름(400)에 크랙(crack)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필름(400)의 일부 영역을 백커버(200)에 고정함으로써, 필름(400) 움직임에 의한 크랙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설명하면, 백커버(200)가 평면 형상에서 곡률 형상으로 변경되거나, 곡률 형상에서 평면 형상으로 변경될 때, 필름(400)에도 백커버(200)에 가해지는 응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응력이 가해진다. 이 가운데, 접착부재(500)가 필름(400)과 백커버(200) 사이에 배치되어, 필름(400)을 백커버(200)에 부착함으로써, 필름(400)에 가해지는 응력으로 인해 필름(400)이 움직이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5를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을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도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도 4와 비교하였을 때, 필름(400)과 표시패널(100)의 연결영역에 지지부재(550)가 구비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표시패널(100)과 필름(400)이 연결되는 영역에서 필름(400)의 일 측과 접촉하는 지지부재(5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지지부재(550)는 표시패널(100)의 배면의 일부와 필름(400)의 일 측의 일부 영역과 접촉할 수 있다.
지지부재(550)는 필름(400)이 표시패널(100)에 연결되면서 휘어지는 부분을 지지하여, 필름(400)이 휘어짐으로 인해 받는 응력을 최소화해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때, 지지부재(550)는 유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가 이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도 6을 참조하여, 제 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성을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도 실시예들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백커버(200)이 적어도 일 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인쇄회로 기판(300)을 포함한다. 이 때, 인쇄회로 기판(300)은 소스 인쇄회로 기판일 수 있으나, 본 실시예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적어도 2개의 인쇄회로 기판(300)은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이격된 인쇄회로 기판(300)들은 적어도 1개의 제 1 연결부재(401)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인쇄회로 기판(300)의 일 측에는 적어도 1개의 필름(300)이 구비된다. 필름(300)의 타 측은 표시패널과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필름(300)은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커버(200)의 일부와 접착부재를 통해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2개의 인쇄회로 기판(300)이 구비된 백커버(200)의 일면에는 적어도 1개의 강성바(6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1개의 강성바(600)는 1개의 인쇄회로 기판(300)과 인접하는 다른 인쇄회로 기판(3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2 개의 인쇄회로 기판(300)이 구비된 백커버(200)를 평면 형상에서 굴곡 형상으로 변경할 때, 백커버(200)에는 적어도 1 개의 변곡점이 생기게 된다.
이를 도 7을 참조하여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백커버의 변곡점이 발생하는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여 검토하면, 백커버(200)의 일 면에 적어도 2개의 인쇄회로 기판(300)이 배치된다고 할 때, 백커버(200)를 평면 형상에서 굴곡 형상으로 변경 시, 백커버(200)의 변곡점은 1개의 인쇄회로 기판(300)과 인접하는 다른 인쇄회로 기판(300) 사이에서 발생된다. 변곡점이 발생한 영역에서는 백커버(200)에 가해지는 응력이 변곡점이 발생하지 않은 영역에서 백커버(200)에 가해지는 응력보다 클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강성바(600)는 백커버(200)의 변곡점이 발생하는 영역에 중첩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강성바(600)의 강도는 백커버(200)의 강도보다 클 수 있다.
변곡점 발생 위치와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필름(300)에는 백커버(200)의 형상 변형을 위해 가해지는 응력으로 인해,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백커버(200)의 형상 변경 시 변곡점이 발생하는 위치에 적어도 1개의 강성바(600)를 배치함으로써, 백커버(200)의 휨을 잡아줄 수 있다. 이 때, 강성바(600)의 강도가 백커버(200)의 강도보다 크므로, 백커버(200)의 휨을 잡아줄 수 있다.
또한, 강성바(600)가 백커버(200)의 휨을 잡아줌으로써, 백커버(200)와 접착된 필름(300)의 휨 역시 잡아줄 수 있다. 따라서, 필름(400)의 휨으로 인해 발생하는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1 개의 강성바(600)는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백커버(200)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강성바(600)가 복수 개일 경우, 강성바는 중앙부에서 서로 이격한 상태로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강성바(600)는 인쇄회로 기판(300)과 인접하는 다른 인쇄회로 기판(300) 사이에 위치하되, 백커버(200)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강성바(600)는 백커버(200)의 중앙부에서 잡아주게 되므로, 백커버(200)의 상부, 하부, 측부의 휨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필름(400)의 휨 역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는 강성바(600)의 형상이 직사각형인 구성을 도시하였으나, 강성바(600)의 형상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이 때, 인쇄회로 기판(300)과 이접하는 다른 인쇄회로 기판(300) 사이와 대응되는 영역, 즉, 백커버(200)의 변곡점이 발생하는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강성바(600)의 부분면적이 큰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강성바(600)는 백커버(200)의 변곡점이 발생하는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서부터 백커버(200)의 변곡점이 발생하는 영역과 인접하는 일부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까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백커버(200)의 변곡점이 발생하는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강성바(600)가 백커버(200)의 휨을 효율적으로 잡아주기 위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강성바(600)는 마름모 또는 타원 등의 형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때, 마름모 또는 타원의 단축은 상기 백커버(200)의 변곡점이 발생하는 영역과 대응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한편, 강성바(600)의 위치는 도 6에 국한되지 않으며, 강성바(600) 위치의 다른 구성을 도 8을 참조하여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제 4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제 4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도 실시예들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4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도 6과 비교하였을 때, 백커버(200)의 일면에 복수의 강성바(700)가 위치하고, 강성바(700)는 백커버(200)의 일 측 및 백커버(200)의 일 측과 마주보는 타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강성바(700)가 백커버(200)의 일 측 및 백커버(200)의 일 측과 마주보는 타 측에 위치함으로써, 백커버(200)가 휘어질 때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백커버(200)의 일 측에만 치우치도록 강성바(700)가 위치할 경우, 마주보는 다른 측부의 백커버(200)에 응력이 가해져 강성바(700)가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서 뒤틀림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강성바(700)가 백커버(200)의 일 측과 마주보는 타 측에 위치함으로써, 강성바(700)가 백커버(200)의 마주보는 두 측면에 배치됨으로써, 백커버(200)가 평면 형상에서 굴곡 형상으로 변경되거나, 굴곡 형상에서 평면 형상으로 변경될 때 가해지는 응력으로 인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백커버(200)의 뒤틀림이 방지됨으로써, 백커버(200)의 일부 영역에 부착되는 필름(400)의 뒤틀림 역시 방지될 수 있다.
이어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비교예 및 실시예에 따른 필름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비교예에 따른 필름의 이미지이다. 도 10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필름의 이미지이다.
이 때, 도 9의 비교예에 따른 필름의 이미지는 평면 형상에서 굴곡 형상으로 변경시키고, 굴곡 형상에서 평면 형상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4000회 진행한 후 필름 상태를 찍은 이미지이다. 비교예에 따른 필름은 평면 형상에서 굴곡 형상으로 변경되고, 굴곡 형상에서 평면 형상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4000회 진행할 시, 크랙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즉, 비교예에 따른 필름을 벤더블(Bendable) 표시장치, 폴더블(Folderable) 표시장치, 롤러블(Rollable) 표시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표시장치에 적용하였을 때, 필름의 손상이 발생할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도 10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필름의 이미지는 평면 형상에서 굴곡 형상으로 변경시키고, 굴곡 형상에서 평면 형상으로 변경하는 과정을 40000회 진행한 후 필름 상태를 찍은 이미지이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필름은 비교예에 따른 필름의 실험 횟수보다 10배 많은 40000회를 진행했음에도 불구하고, 필름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즉, 제 1 실시예에 따른 필름을 벤더블(Bendable) 표시장치, 폴더블(Folderable) 표시장치, 롤러블(Rollable) 표시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표시장치에 적용하였을 때, 필름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장치는 벤딩 표시장치 또는 플렉서블 표시장치에서 드라이버 집적회로 칩이 실장 된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접착부재를 통해 백커버에 고정되고, 백커버의 변곡점 발생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 적어도 1 개의 강성바가 배치됨으로써, 필름의 손상을 방지하고, 백커버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0: 표시패널
200: 백커버
300: 인쇄회로 기판
400: 필름
500: 접착부재
600, 700: 강성바

Claims (12)

  1. 평면 형상에서 곡률 형상 또는 곡률 형상에서 평면 형상으로 변경이 가능한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배면에 배치되는 백커버;
    상기 백커버의 배면에 위치하는 적어도 2개의 인쇄회로 기판; 및
    상기 표시패널 및 상기 인쇄회로 기판과 연결되고, 일부 영역에 칩이 실장된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필름은 상기 칩이 실장된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접착부재를 통해 상기 백커버에 접착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칩 온 필름(COF: Chip On Film)인 플렉서블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접착부재의 폭은 상기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기 칩의 폭보다 큰 플렉서블 표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필름의 연결영역에서 상기 표시패널의 배면의 일부 및 상기 필름의 일 측의 일부와 접촉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커버의 배면에 위치하는 적어도 1 개의 강성바를 포함하고,
    상기 강성바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인쇄회로 기판 사이의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강성바는 백커버의 변곡점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바의 강도는 상기 백커버의 강도보다 큰 플렉서블 표시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바는 평면상에서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기 백커버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표시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바는 상기 백커버의 일 측 및 상기 백커버의 일 측과 마주보는 타 측에 배열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바의 형상은 평면상으로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인 플렉서블 표시장치.
  11. 평면 형상에서 곡률 형상 또는 곡률 형상에서 평면 형상으로 변경이 가능한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 배면에 배치되는 백커버;
    상기 백커버의 배면의 적어도 일 측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2개의 인쇄회로 기판; 및
    1개의 상기 인쇄회로 기판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다른 인쇄회로 기판 사이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1 개의 강성바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 기판 및 표시패널과 연결되고 일부 영역에 칩이 실장된 적어도 1 개의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필름은 상기 칩이 실장된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서 접착부재를 통해 상기 백커버에 접착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0160176795A 2016-12-22 2016-12-22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604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795A KR102604364B1 (ko) 2016-12-22 2016-12-22 플렉서블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795A KR102604364B1 (ko) 2016-12-22 2016-12-22 플렉서블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774A true KR20180073774A (ko) 2018-07-03
KR102604364B1 KR102604364B1 (ko) 2023-11-22

Family

ID=62918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6795A KR102604364B1 (ko) 2016-12-22 2016-12-22 플렉서블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43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64921A3 (en) * 2020-09-08 2022-06-29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411063B2 (en) 2019-04-24 2022-08-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bricating method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30779A (ja) * 2011-12-22 2013-07-04 Mitsubishi Electric Corp 表示装置
KR20130089038A (ko) * 2012-02-01 2013-08-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08825A (ko) * 2013-02-28 2014-09-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122597A (ko) * 2013-04-10 2014-10-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58990A (ko) * 2013-11-21 2015-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면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61738A (ko) * 2013-11-28 2015-06-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
JP2016018198A (ja) * 2014-07-11 2016-02-0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20160020181A (ko) * 2014-08-13 2016-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딩부를 갖는 칩 온 필름 패키지
KR20160022435A (ko) * 2014-08-19 2016-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60181345A1 (en) * 2014-12-22 2016-06-23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with 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EP3088986B1 (en) * 2015-04-30 2020-04-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llable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30779A (ja) * 2011-12-22 2013-07-04 Mitsubishi Electric Corp 表示装置
KR20130089038A (ko) * 2012-02-01 2013-08-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08825A (ko) * 2013-02-28 2014-09-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122597A (ko) * 2013-04-10 2014-10-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58990A (ko) * 2013-11-21 2015-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면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61738A (ko) * 2013-11-28 2015-06-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
JP2016018198A (ja) * 2014-07-11 2016-02-0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20160020181A (ko) * 2014-08-13 2016-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딩부를 갖는 칩 온 필름 패키지
KR20160022435A (ko) * 2014-08-19 2016-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60181345A1 (en) * 2014-12-22 2016-06-23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with 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EP3088986B1 (en) * 2015-04-30 2020-04-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llable display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11063B2 (en) 2019-04-24 2022-08-09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bricating method
EP3964921A3 (en) * 2020-09-08 2022-06-29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699366B2 (en) 2020-09-08 2023-07-11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4364B1 (ko) 2023-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0410B2 (en) Flexible array substrate,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CN107068710B (zh) 柔性显示设备
US10281779B2 (en) Display unit having a curved display panel
US10064268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US10866444B2 (en) Display device
US9520088B2 (en) Display device having flexible film cable
US9666535B2 (en) Flexible display panel
US20200372850A1 (en) Display and Mobile Terminal
US20160183387A1 (en) Display device
US9715298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sensor layer
US9078362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20170047713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JP2018040977A (ja) 表示装置
JP2018205337A (ja) 表示装置
US20080123335A1 (en)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and display having the same
KR20180073774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US20180153038A1 (en) Display device having display panel and back cover
US9559157B2 (en) Display device
US11495646B2 (en) Device substrate with asymmetrical fan-out lines and splice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160196782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11068102B2 (en) Display device
US11189207B2 (en) Chip-on-film and display including the same
KR102455728B1 (ko) 회로기판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220031839A (ko) 표시 장치
US20230119961A1 (en) Chip on film packag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