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0928A - 차량 비상 탈출 보조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비상 탈출 보조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0928A
KR20160020928A KR1020140106289A KR20140106289A KR20160020928A KR 20160020928 A KR20160020928 A KR 20160020928A KR 1020140106289 A KR1020140106289 A KR 1020140106289A KR 20140106289 A KR20140106289 A KR 20140106289A KR 20160020928 A KR20160020928 A KR 20160020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indow
door
unit
un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6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기태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6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0928A/ko
Publication of KR20160020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9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16Fall i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18Roll-ov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emergency conditions, e.g.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비상 탈출 보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측정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침수된 깊이를 측정하는 수심센서, 상기 차량의 도어를 언락하는 도어 언락부, 상기 차량의 윈도우를 언락하는 윈도우 언락부, 상기 차량의 윈도우를 개폐하는 윈도우 개폐부 및 상기 기울기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차량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차량의 전복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전복 여부 및 상기 수심센서의 측정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도어 언락부, 상기 윈도우 언락부 및 상기 윈도우 개폐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비상 탈출 보조 장치 및 방법{SUPPOR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LE EMERGENCY ESCAPE}
본 발명은 차량 비상 탈출 보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침수 및 전복 상황에서 차량 탑승자의 탈출을 보조하는 차량 비상 탈출 보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이 강이나 바다에 추락하거나 천재지변으로 인해 물에 잠기는 경우 등 차량 침수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차량 외부의 압력 즉 수압과 차량 내부의 압력 사이에는 압력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차량 내외부의 압력차를 극복하고 차량의 도어를 여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 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차량의 침수 사고에서의 올바른 탈출 방법을 모르는 탑승자는 차량 침수 사고 발생 시 당황하게 되고, 열기 어려운 차량의 도어를 억지로 열려고 시도하게 된다. 이로 인해 탑승자는 이차적인 부상을 입거나 체력 저하로 차량을 탈출하지 못해 인명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73399호(2013.07.03.)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침수 및 전복 상황에서 차량 탑승자의 탈출을 보조할 수 있는 차량 비상 탈출 보조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비상 탈출 보조 장치는 차량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측정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침수된 깊이를 측정하는 수심센서; 상기 차량의 도어를 언락하는 도어 언락부; 상기 차량의 윈도우를 언락하는 윈도우 언락부; 상기 차량의 윈도우를 개폐하는 윈도우 개폐부; 및 상기 기울기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차량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차량의 전복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전복 여부 및 상기 수심센서의 측정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도어 언락부, 상기 윈도우 언락부 및 상기 윈도우 개폐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전복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도어 언락부 및 상기 윈도우 언락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 및 윈도우를 언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차량이 전복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심센서의 측정결과에 따라 침수가 감지되면, 상기 도어 언락부 및 상기 윈도우 언락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 및 윈도우를 언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심센서를 통해 측정된 침수된 깊이가, 제1기준값이면 상기 윈도우 개폐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윈도우를 개방시키고, 제2기준값이면 상기 윈도우 개폐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윈도우를 폐쇄시키되, 상기 제2기준값은 상기 제1기준값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비상 탈출 보조 장치는 상기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는 도어 개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심센서를 통해 측정된 침수된 깊이가 제3기준값이면 상기 도어 개방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를 개방시키되, 상기 제3기준값은 상기 제2기준값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비상 탈출 보조 장치는 상기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는 도어 개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전복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수심센서의 측정결과에 따라 침수가 감지되면, 상기 도어 개방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비상 탈출 보조 장치는 상기 차량의 상태 및 탈출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복 여부 및 상기 수심센서의 측정결과에 근거하여 전복경고, 침수경고, 윈도우탈출방법 및 도어탈출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비상 탈출 보조 방법은 제어부가 기울기 측정부를 통해 차량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수심센서를 통해 침수된 깊이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측정된 차량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차량의 전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판단된 전복 여부 및 상기 침수된 깊이를 측정하는 단계의 측정결과에 근거하여 도어 언락부, 윈도우 언락부 및 윈도우 개폐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도어 언락부, 윈도우 언락부 및 윈도우 개폐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전복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도어 언락부 및 상기 윈도우 언락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 및 윈도우를 언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도어 언락부, 윈도우 언락부 및 윈도우 개폐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전복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측정결과에 따라 침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도어 언락부 및 상기 윈도우 언락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 및 윈도우를 언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도어 언락부, 윈도우 언락부 및 윈도우 개폐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도어 및 윈도우를 언락시키는 단계 이후, 상기 수심센서를 통해 측정된 침수된 깊이가 제1기준값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윈도우 개폐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윈도우를 개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심센서를 통해 측정된 침수된 깊이가 제2기준값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윈도우 개폐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윈도우를 폐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도어 언락부, 윈도우 언락부 및 윈도우 개폐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 이후, 상기 수심센서를 통해 측정된 침수된 깊이가 제3기준값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도어 개방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를 개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기준값은 상기 제2기준값보다 작고, 상기 제3기준값은 상기 제2기준값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비상 탈출 보조 방법은 상기 차량이 전복된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측정결과에 따라 침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도어 개방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를 개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비상 탈출 보조 장치 및 방법은 차량의 전복 여부 및 침수된 정도에 따라 차량의 도어 및 윈도우를 제어함으로써 탑승자가 안전하게 차량을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비상 탈출 보조 장치 및 방법은 차량의 전복 여부 및 침수된 정도에 따라 올바른 탈출방법을 표시함으로써 탑승자가 당황하지 않고 올바른 방법으로 차량을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비상 탈출 보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비상 탈출 보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비상 탈출 보조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비상 탈출 보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비상 탈출 보조 장치는 제어부(100), 기울기 측정부(110), 수심센서(120), 도어 언락부(130), 윈도우 언락부(140), 윈도우 개폐부(150), 도어 개방부(160) 및 디스플레이부(170)를 포함한다.
기울기 측정부(110)는 차량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울기 측정부(110)는 3축 자이로(Gyro) 센서를 포함하여 차량이 기울어진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울기 측정부(110)가 차량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수심센서(120)는 차량에 설치되어 침수된 깊이를 측정한다. 수심센서(120)는 센서 자신이 침수된 깊이를 측정한다. 다만 수심센서(120)의 측정결과는 제어부(100)에서 차량이 침수된 깊이로 치환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수심센서(120)는 수압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센서를 포함하여 수심센서(120) 자신이 침수된 깊이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의 침수 시 엔진 무게로 인해 차량의 앞부분이 먼저 침수될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침수 판단을 위해 수심센서(120)를 차량의 앞쪽 범퍼 하단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어 언락부(13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차량의 도어를 언락한다. 즉 도어 언락부(130)는 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 도어의 락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윈도우 언락부(14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차량의 윈도우를 언락한다. 즉 윈도우 언락부(140)는 도어 언락부(130)와 마찬가지로 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차량 윈도우의 락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윈도우 개폐부(15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차량의 윈도우를 개폐한다. 예를 들어 윈도우 개폐부(150)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를 구동시켜 차량의 윈도우를 개폐할 수 있다. 즉 윈도우 개폐부(150)는 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여 차량의 윈도우를 열거나 닫을 수 있다.
도어 개방부(16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차량의 도어를 개방한다. 예를 들어 도어 개방부(160)는 차량 도어의 힌지부분에 결합되어 차량 도어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구동할 수 있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차량의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즉 도어 개방부(160)는 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를 구동하여 차량의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어 개방부(160)가 차량의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7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차량의 상태 및 탈출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의 상태는 차량이 전복된 상태 및 차량이 침수된 상태를 포함한다. 즉 제어부(100)는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해 차량이 전복된 경우에는 전복 상황을 알리는 전복경고를 표시할 수 있고, 차량이 침수된 경우에는 침수되고 있음을 알리는 침수경고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70)가 표시할 수 있는 상기 탈출방법은 윈도우탈출방법 및 도어탈출방법을 포함한다. 즉 제어부(100)는 탑승자가 차량의 윈도우로 탈출하는 것이 적합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해 윈도우탈출방법을 표시할 수 있고, 탑승자가 차량의 도어로 탈출하는 것이 적합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해 도어탈출방법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70)는 수면이 윈도우보다 낮으므로 윈도우를 연 뒤, 윈도우를 통하여 차량을 탈출하되, 뒤로 돌아서 탈출해야 한다는 내용의 탈출방법을 그림과 설명을 통해 윈도우탈출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70)는 수면이 윈도우보다 높으므로 차량 내외부의 수압차가 작아질 수 있도록 물이 가슴을 지나 머리부위까지 차오를 때까지 기다린 뒤, 차량 내부가 완전히 침수되기 전에 심호흡을 하고 도어를 열고 탈출해야 한다는 내용의 탈출방법을 그림과 설명을 통해 도어탈출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기울기 측정부(110)를 통해 측정된 차량의 기울기에 따라 차량의 전복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3축 자이로 센서를 통해 측정된 차량의 z축(차량 상판의 수직방향) 기울기가 90도가 넘는 경우 차량이 전복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차량이 전복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도어 언락부(130) 및 윈도우 언락부(140)를 제어하여 차량의 도어 및 윈도우를 언락시킬 수 있다. 즉 차량이 전복되어 탑승자가 탈출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제어부(100)는 차량의 도어 및 윈도우를 언락시켜 탑승자가 도어 또는 윈도우를 열고 탈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차량이 전복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제어부(100)는 수심센서(120)의 측정결과에 따라 침수가 감지되면, 도어 언락부(130) 및 윈도우 언락부(140)를 제어하여 차량의 도어 및 윈도우를 언락시킬 수 있다. 즉 차량이 전복되지 않은 경우라 하더라도 수심센서(120)의 측정결과로 0이 아닌 양의 값이 측정되어 침수가 감지되는 경우는, 차량이 전복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탑승자가 탈출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제어부(100)는 차량의 도어 및 윈도우를 언락시켜 탑승자가 도어 또는 윈도우를 열고 탈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수심센서(120)를 통해 측정된 침수된 깊이가 제1기준값이면 윈도우 개폐부(150)를 제어하여 차량의 윈도우를 개방시키고, 수심센서(120)를 통해 측정된 침수된 깊이가 제2기준값이면 윈도우 개폐부(150)를 제어하여 차량의 윈도우를 폐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기준값은 차량 내부로 물이 유입되기 시작한다고 볼 수 있는 깊이의 기준으로, 차량의 사양 및 수심센서(120)가 차량의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2기준값은 차량의 개방된 윈도우를 통해 물이 유입되기 시작한다고 볼 수 있는 깊이의 기준으로, 제1기준값과 마찬가지로 차량의 사양 및 수심센서(120)가 설치된 위치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제1기준값 및 제2기준값의 특성상 제2기준값은 제1기준값보다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기준값은 차량의 안개등이 침수되기 시작하는 수심으로 설정될 수 있고, 제2기준값은 차량의 보닛이 완전히 침수되는 수심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수심센서(120)를 통해 측정된 침수된 깊이가 제1기준값이 되어 차량 내부로 물이 유입되기 시작하면, 제어부(100)는 윈도우 개폐부(150)를 제어하여 차량의 윈도우를 개방시켜 탑승자가 윈도우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수심센서(120)를 통해 측정된 침수된 깊이가 제2기준값이 되어 개방된 윈도우를 통해 물이 유입되기 시작하면, 개방된 윈도우로 인해 침수속도가 빨라질 수 있고, 유입되는 물로 인해 사용자가 윈도우로 탈출하기 힘든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제어부(100)는 윈도우 개폐부(150)를 제어하여 차량의 윈도우를 폐쇄시켜 개방된 윈도우를 통해 물이 급속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수심센서(120)를 통해 측정된 침수된 깊이가 제2기준값을 넘어 제3기준값이 되면 도어 개방부(160)를 제어하여 차량의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3기준값은 차량의 상부까지 침수되어 차량 내외부의 수압차가 차량의 도어를 개방할 수 있을 정도로 낮아졌다고 볼 수 있는 깊이의 기준으로, 차량의 사양 및 수심센서(120)가 차량의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제2기준값 및 제3기준값의 특성상 제3기준값은 제2기준값보다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수심센서(120)를 통해 측정된 침수된 깊이가 제3기준값이 되어 차량 내외부의 수압차가 충분히 낮아져 차량의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제어부(100)는 도어 개방부(160)를 제어하여 차량의 도어를 개방시켜 탑승자가 도어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00)는 차량이 전복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수심센서(120)의 측정결과에 따라 침수가 감지되면, 도어 개방부(160)를 제어하여 차량의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다. 즉 차량이 전복된 경우에는 차량이 전복되지 않은 경우와 반대로, 침수가 감지되기 시작하면 이미 차량 내부에 물이 차오른 상태일 수 있으므로, 제어부(100)는 도어 개방부(160)를 제어하여 차량의 도어를 개방시켜 탑승자가 도어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비상 탈출 보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비상 탈출 보조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100)는 기울기 측정부(110)를 통해 차량의 기울기를 측정한다(S201).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기울기 측정부(110)에 포함된 3축 자이로 센서를 통해 차량이 기울어진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00)는 수심센서(120)를 통해 침수된 깊이를 측정한다(S202).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수심센서(120)에 포함된 수압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센서를 통해 수심센서(120)가 침수된 깊이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단계(S202) 이후, 제어부(100)는 상기 단계(S201)에서 측정된 차량의 기울기에 따라 차량의 전복 여부를 판단한다(S203).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3축 자이로 센서를 통해 측정된 차량의 z축(차량 상판의 수직방향) 기울기가 90도가 넘는 경우 차량이 전복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단계(S203)의 판단결과, 차량이 전복된 것으로 판단되었다면, 제어부(100)는 도어 언락부(130) 및 윈도우 언락부(140)를 제어하여 차량의 도어 및 윈도우를 언락시킨다(S204). 즉 차량이 전복되어 탑승자가 탈출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제어부(100)는 차량의 도어 및 윈도우를 언락시켜 탑승자가 도어 또는 윈도우를 열고 탈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제어부(100)는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해 전복경고를 표시한다(S205). 즉 제어부(100)는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해 전복 상황을 알리는 표시를 하여 탑승자에게 차량을 탈출하라는 경고를 할 수 있다.
상기 단계(S205) 이후, 제어부(100)는 상기 단계(S202)의 측정결과에 따라 침수가 감지되는지 확인한다(S206). 여기서 침수가 감지되었다함은 수심센서(120)의 측정결과로 0이 아닌 양의 값이 측정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상기 단계(S206)의 확인결과, 침수가 감지되었다면, 제어부(100)는 도어 개방부(160)를 제어하여 차량의 도어를 개방시킨다(S207). 즉 차량이 전복된 경우에 침수가 감지되기 시작하면, 이미 차량 내부에 물이 차오른 상태일 수 있으므로, 제어부(100)는 도어 개방부(160)를 제어하여 차량의 도어를 개방시켜 탑승자가 도어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단계(S203)의 판단결과, 차량이 전복된 것으로 판단되지 않았다면, 제어부(100)는 상기 단계(S202)의 측정결과에 따라 침수가 감지되는지 확인한다(S208).
상기 단계(S208)의 확인결과, 침수가 감지되었다면, 제어부(100)는 도어 언락부(130) 및 윈도우 언락부(140)를 제어하여 차량의 도어 및 윈도우를 언락시킨다(S209). 즉 차량이 전복되지 않은 경우라 하더라도 침수가 감지되는 경우는, 차량이 전복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탑승자가 탈출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제어부(100)는 차량의 도어 및 윈도우를 언락시켜 탑승자가 도어 또는 윈도우를 열고 탈출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상기 단계(S208)의 확인결과, 침수가 감지되지 않았다면, 제어부(100)는 상기 단계(S201)로 회귀하여, 차량의 기울기 측정부터 다시 시작한다. 즉 이러한 경우는 차량이 전복되지도 않았고 침수되지도 않은 경우이므로, 도어 언락부(130), 윈도우 언락부(140), 윈도우 개폐부(150) 등의 구동을 제어함 없이, 처음으로 회귀하여 차량의 기울기 측정부터 다시 시작한다.
한편 상기 단계(S209) 이후, 제어부(100)는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해 침수경고를 표시한다(S210). 즉 제어부(100)는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해 침수 상황을 알리는 표시를 하여 탑승자에게 차량을 탈출하라는 경고를 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00)는 상기 단계(S202)에서 측정된 침수된 깊이가 제1기준값인지 확인한다(S211). 여기서 제1기준값은 차량 내부로 물이 유입되기 시작한다고 볼 수 있는 깊이의 기준으로, 차량의 사양 및 수심센서(120)가 차량의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단계(S211)의 확인결과, 침수된 깊이가 제1기준값이었다면, 제어부(100)는 윈도우 개폐부(150)를 제어하여 윈도우를 개방시킨다(S212). 즉 수심센서(120)를 통해 측정된 침수된 깊이가 제1기준값이 되어 차량 내부로 물이 유입되기 시작하면, 제어부(100)는 윈도우 개폐부(150)를 제어하여 차량의 윈도우를 개방시켜 탑승자가 윈도우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제어부(100)는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해 윈도우탈출방법을 표시한다(S213).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해 윈도우를 통하여 차량을 탈출하되, 뒤로 돌아서 탈출해야 한다는 내용의 탈출방법을 그림과 설명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계(S211)의 확인결과, 침수된 깊이가 제1기준값이 아니었다면, 제어부(100)는 상기 단계(S202)에서 측정된 침수된 깊이가 제2기준값인지 확인한다(S214). 여기서 제2기준값은 차량의 개방된 윈도우를 통해 물이 유입되기 시작한다고 볼 수 있는 깊이의 기준으로, 제1기준값과 마찬가지로 차량의 사양 및 수심센서(120)가 설치된 위치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단계(S214)의 확인결과, 침수된 깊이가 제2기준값이었다면, 제어부(100)는 윈도우 개폐부(150)를 제어하여 윈도우를 폐쇄시킨다(S215). 즉 수심센서(120)를 통해 측정된 침수된 깊이가 제2기준값이 되어 개방된 윈도우를 통해 물이 유입되기 시작하면, 개방된 윈도우로 인해 침수속도가 빨라질 수 있고 유입되는 물로 인해 사용자가 윈도우로 탈출하기 힘든 상태가 될 수 있으므로, 제어부(100)는 윈도우 개폐부(150)를 제어하여 차량의 윈도우를 폐쇄시켜 개방된 윈도우를 통해 물이 급속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어서 제어부(100)는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해 도어탈출방법을 표시한다(S216).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디스플레이부(170)를 통해 수면이 윈도우보다 높으므로 차량 내외부의 수압차가 작아지도록 물이 가슴을 지나 머리부위까지 차오를 때까지 기다린 뒤, 차량 내부가 완전히 침수되기 전에 심호흡을 하고 도어를 열고 탈출해야 한다는 내용의 탈출방법을 그림과 설명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탑승자가 물이 차오를 때까지 당황하지 않고 기다릴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단계(S214)의 확인결과, 침수된 깊이가 제2기준값이 아니었다면, 제어부(100)는 상기 단계(S202)에서 측정된 침수된 깊이가 제3기준값인지 확인한다(S217). 여기서 제3기준값은 차량의 상부까지 침수되어 차량 내외부의 수압차가 차량의 도어를 개방할 수 있을 정도로 낮아졌다고 볼 수 있는 깊이의 기준으로, 제1기준값 및 제2기준값과 마찬가지로 차량의 사양 및 수심센서(120)가 차량의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제1기준값, 제2기준값 및 제3기준값의 특성상 제1기준값은 제2기준값보다 작은 값으로, 제3기준값은 제2기준값보다 큰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단계(S217)의 확인결과, 침수된 깊이가 제3기준값이었다면, 제어부(100)는 상기 단계(S207)로 진행하여 차량의 도어를 개방시킨다. 즉 수심센서(120)를 통해 측정된 침수된 깊이가 제3기준값이 되어 차량 내외부의 수압차가 충분히 낮아져 차량의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제어부(100)는 도어 개방부(160)를 제어하여 차량의 도어를 개방시켜 탑승자가 도어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비상 탈출 보조 장치 및 방법은 전복 여부 및 침수된 정도에 따라 차량의 도어 및 윈도우를 제어하고, 올바른 탈출방법을 표시하여 탑승자가 안전하게 차량을 탈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제어부
110: 기울기 측정부
120: 수심센서
130: 도어 언락부
140: 윈도우 언락부
150: 윈도우 개폐부
160: 도어 개방부
170: 디스플레이부

Claims (12)

  1. 차량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 측정부;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침수된 깊이를 측정하는 수심센서;
    상기 차량의 도어를 언락하는 도어 언락부;
    상기 차량의 윈도우를 언락하는 윈도우 언락부;
    상기 차량의 윈도우를 개폐하는 윈도우 개폐부; 및
    상기 기울기 측정부를 통해 측정된 차량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차량의 전복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전복 여부 및 상기 수심센서의 측정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도어 언락부, 상기 윈도우 언락부 및 상기 윈도우 개폐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비상 탈출 보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전복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도어 언락부 및 상기 윈도우 언락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 및 윈도우를 언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비상 탈출 보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전복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심센서의 측정결과에 따라 침수가 감지되면, 상기 도어 언락부 및 상기 윈도우 언락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 및 윈도우를 언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비상 탈출 보조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심센서를 통해 측정된 침수된 깊이가, 제1기준값이면 상기 윈도우 개폐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윈도우를 개방시키고, 제2기준값이면 상기 윈도우 개폐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윈도우를 폐쇄시키되, 상기 제2기준값은 상기 제1기준값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비상 탈출 보조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는 도어 개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심센서를 통해 측정된 침수된 깊이가 제3기준값이면 상기 도어 개방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를 개방시키되, 상기 제3기준값은 상기 제2기준값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비상 탈출 보조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도어를 개방하는 도어 개방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이 전복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수심센서의 측정결과에 따라 침수가 감지되면, 상기 도어 개방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비상 탈출 보조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상태 및 탈출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복 여부 및 상기 수심센서의 측정결과에 근거하여 전복경고, 침수경고, 윈도우탈출방법 및 도어탈출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비상 탈출 보조 장치.
  8. 제어부가 기울기 측정부를 통해 차량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수심센서를 통해 침수된 깊이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측정된 차량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차량의 전복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판단된 전복 여부 및 상기 침수된 깊이를 측정하는 단계의 측정결과에 근거하여 도어 언락부, 윈도우 언락부 및 윈도우 개폐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비상 탈출 보조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언락부, 윈도우 언락부 및 윈도우 개폐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전복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도어 언락부 및 상기 윈도우 언락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 및 윈도우를 언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비상 탈출 보조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언락부, 윈도우 언락부 및 윈도우 개폐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이 전복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측정결과에 따라 침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도어 언락부 및 상기 윈도우 언락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 및 윈도우를 언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비상 탈출 보조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언락부, 윈도우 언락부 및 윈도우 개폐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의 도어 및 윈도우를 언락시키는 단계 이후,
    상기 수심센서를 통해 측정된 침수된 깊이가 제1기준값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윈도우 개폐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윈도우를 개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심센서를 통해 측정된 침수된 깊이가 제2기준값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윈도우 개폐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윈도우를 폐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도어 언락부, 윈도우 언락부 및 윈도우 개폐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단계 이후, 상기 수심센서를 통해 측정된 침수된 깊이가 제3기준값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도어 개방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를 개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기준값은 상기 제2기준값보다 작고, 상기 제3기준값은 상기 제2기준값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비상 탈출 보조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전복된 것으로 판단되고 상기 측정결과에 따라 침수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도어 개방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를 개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비상 탈출 보조 방법.
KR1020140106289A 2014-08-14 2014-08-14 차량 비상 탈출 보조 장치 및 방법 KR201600209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289A KR20160020928A (ko) 2014-08-14 2014-08-14 차량 비상 탈출 보조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6289A KR20160020928A (ko) 2014-08-14 2014-08-14 차량 비상 탈출 보조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928A true KR20160020928A (ko) 2016-02-24

Family

ID=55449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6289A KR20160020928A (ko) 2014-08-14 2014-08-14 차량 비상 탈출 보조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0928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046B1 (ko) * 2017-02-02 2018-07-2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공명현상을 이용한 유리창 파쇄장치
CN109229044A (zh) * 2018-08-06 2019-01-18 常州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安全智能汽车
KR20190075293A (ko) * 2017-12-21 2019-07-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제어 장치, 자동차의 도어와 테일 게이트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90082614A (ko) * 2018-01-02 2019-07-1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압 차이를 이용한 침수 차량 탈출 장치
KR102071242B1 (ko) 2019-06-05 2020-01-30 주식회사 동아테크 침수 차량 탈출 체험 시스템 및 방법
CN112009409A (zh) * 2019-05-28 2020-12-01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落水保护的控制方法及系统
CN113844401A (zh) * 2021-10-26 2021-12-28 浙江东握科技有限公司 一种车窗自动打开电路及装置
KR20240047653A (ko) 2022-10-05 2024-04-12 국립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탈출 보조장치
KR20240057821A (ko) 2022-10-25 2024-05-03 국립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상 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탈출 보조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046B1 (ko) * 2017-02-02 2018-07-2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공명현상을 이용한 유리창 파쇄장치
KR20190075293A (ko) * 2017-12-21 2019-07-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제어 장치, 자동차의 도어와 테일 게이트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90082614A (ko) * 2018-01-02 2019-07-1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압 차이를 이용한 침수 차량 탈출 장치
CN109229044A (zh) * 2018-08-06 2019-01-18 常州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安全智能汽车
CN112009409A (zh) * 2019-05-28 2020-12-01 北京新能源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落水保护的控制方法及系统
KR102071242B1 (ko) 2019-06-05 2020-01-30 주식회사 동아테크 침수 차량 탈출 체험 시스템 및 방법
CN113844401A (zh) * 2021-10-26 2021-12-28 浙江东握科技有限公司 一种车窗自动打开电路及装置
KR20240047653A (ko) 2022-10-05 2024-04-12 국립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탈출 보조장치
KR20240057821A (ko) 2022-10-25 2024-05-03 국립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부상 방지 기능을 갖는 차량용 탈출 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20928A (ko) 차량 비상 탈출 보조 장치 및 방법
KR102057498B1 (ko) 건설 기계의 안전 장치
CN108238003B (zh) 车辆及其车门锁控制方法、车门锁控制系统及存储介质
KR102164673B1 (ko) 자동 물 센서 윈도우 개방 시스템
CN109863048A (zh) 车门装置
CN106672767A (zh) 一种汽车电梯的汽车位置检测装置及检测方法
US6489739B2 (en) Vehicle window actuation assembly
KR101999711B1 (ko) 수압 차이를 이용한 침수 차량 탈출 장치
KR102182900B1 (ko) 차량의 테일 게이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6666199B2 (ja) セキュリティドアシステム
KR101593424B1 (ko) 차량의 비상 탈출 보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9093786A (ja) 車両の換気装置
JP3223789U (ja) 車両用浮力付与装置
CN104828003B (zh) 车辆涉水自动逃脱系统及车辆
CN207345933U (zh) 用于车辆前舱盖的监控系统及车辆
KR20190075293A (ko) 자동차의 도어 제어 장치, 자동차의 도어와 테일 게이트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751313B1 (ko) 선박 평형 모니터링을 통한 개폐구 차단 장치 및 이를 통한 선박의 개폐구 차단 제어 방법
KR100956199B1 (ko) 차량용 도어체커의 개폐각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TW201821301A (zh) 汽車之安全後擋裝置
JP2024032433A (ja) 水没避難支援装置
KR20240050520A (ko) 차량 사고 발생 시 비상 탈출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40145352A (ko) 자동차의 위험 경보 장치
JP2018075901A (ja) 無人運転装置
KR20060053713A (ko) 차량의 도어개폐 안전장치
KR102474034B1 (ko) 덤프트럭 전복 예방을 위한 알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