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0727A -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0727A
KR20160020727A KR1020140105817A KR20140105817A KR20160020727A KR 20160020727 A KR20160020727 A KR 20160020727A KR 1020140105817 A KR1020140105817 A KR 1020140105817A KR 20140105817 A KR20140105817 A KR 20140105817A KR 20160020727 A KR20160020727 A KR 201600207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mode
image
light emitting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5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8127B1 (ko
Inventor
오석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5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127B1/ko
Publication of KR20160020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0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01H9/182Illumination of the symbols or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오디오 시스템의 모드변경에 대응한 버튼의 기능변경을 컬러필터를 사용한 버튼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차량용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입력장치는 서로 다른 색의 광을 방출하는 두 개 이상의 발광부; 상기 두 개 이상의 발광부 중 어느 하나에서 방출되는 광을 통과시키는 제1필터와 다른 하나에서 방출되는 광을 통과시키는 제2필터를 포함하는 컬러필터; 및 상기 컬러필터의 전면에 마련되는 버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INPUT APPARATUS, VEHICLE COMPRIS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FOR THE VEHICLE}
차량의 조작을 위한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오디오 시스템이 기본적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오디오 시스템은 차량의 센터페시아에 주로 설치되는 조작패널에 의해 작동된다. 조작패널에는 오디오를 작동시키기 위한 여러 종류의 버튼들이 마련된다.
오디오 시스템의 다양한 기능들을 각각 하나의 버튼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버튼을 마련하게 되면, 버튼의 수가 증가하게 된다. 이 경우 원하는 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해서 그에 대응되는 버튼을 조작하기만 하면 되므로 사용성은 증대될 수 있다. 그러나 오디오 시스템을 위해 제공될 수 있는 한정된 공간에 많은 수의 버튼을 설치하게 되면, 디자인이 열악해지게 되고 그로 인해 상품성이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조작에 익숙해지기 전까지는 원하는 조작을 바로 수행하기까지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나의 버튼에 다수의 기능을 적용하거나 일부 기능을 소프트 키(soft key)로 조작 가능하도록 구현하고 있으나 이는 사용성 측면에서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버튼의 개수를 줄이면서 사용성의 불리함을 극복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오디오 시스템의 모드변경에 대응한 버튼의 기능변경을 컬러필터를 사용한 버튼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차량용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입력장치는 버튼; 상기 버튼에 인접하게 마련되고 서로 다른 색의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발광부; 및 상기 버튼과 발광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발광부 각각에서 방출되는 서로 다른 색의 광을 각각 통과시키는 복수의 필터를 포함하는 컬러필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필터는 각각 미리 정해진 서로 다른 텍스트 또는 이미지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필터는 서로 겹치도록 마련되고 겹치는 부분은 상기 두 개 이상의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광을 모두 통과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은 상기 컬러필터를 통과한 광이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제1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복수의 필터 중 상기 제1모드와 관련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마련된 필터를 통과하는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가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제1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버튼은 상기 제1모드와 관련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마련된 필터를 통과한 광이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제2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복수의 필터 중 상기 제2모드와 관련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마련된 필터를 통과하는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가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제2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버튼은 상기 제2모드와 관련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마련된 필터를 통과한 광이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필터 중 어느 하나는 소정의 기능의 동작이 잠금상태임을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기능이 동작하지 않도록 잠긴 상태에서 상기 소정의 기능을 동작시키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잠금상태임을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마련되는 필터를 통과하는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기능이 동작하지 않도록 잠긴 상태에서 상기 소정의 기능을 동작시키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버튼은 잠금상태임을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마련되는 필터를 통과하는 광이 나타내는 잠금상태임을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입력장치는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한 모드가 선택되면 선택된 모드와 관련된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표시하고, 다른 모드가 선택되면 표시된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선택된 다른 모드와 관련된 이미지 또는 텍스트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버튼; 및 상기 버튼에 이미지 또는 텍스트가 표시되도록 상기 버튼으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버튼, 상기 버튼에 인접하게 마련되고 서로 다른 색의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발광부 및 상기 버튼과 발광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발광부 각각에서 방출되는 서로 다른 색의 광을 각각 통과시키는 복수의 필터를 구비하는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 따라 상기 복수의 발광부 중 어느 하나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제1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복수의 필터 중 상기 제1모드와 관련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마련된 필터를 통과하는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제2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복수의 필터 중 상기 제2모드와 관련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마련된 필터를 통과하는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필터 중 어느 하나는 소정의 기능의 동작이 잠금상태임을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기능이 동작하지 않도록 잠긴 상태에서 상기 소정의 기능을 동작시키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잠금상태임을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마련되는 필터를 통과하는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를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동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은 버튼, 상기 버튼에 인접하게 마련되고 서로 다른 색의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발광부 및 상기 버튼과 발광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발광부 각각에서 방출되는 서로 다른 색의 광을 각각 통과시키는 복수의 필터가 구비된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가 구비된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1모드를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필터 중 상기 제1모드와 관련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마련된 필터를 통과하는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제2모드를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필터 중 상기 제2모드와 관련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마련된 필터를 통과하는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필터 중 어느 하나는 소정의 기능의 동작이 잠금상태임을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정의 기능이 동작하지 않도록 잠긴 상태에서 상기 소정의 기능을 동작시키는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잠금상태임을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마련되는 필터를 통과하는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를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동작시키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의하면, 오디오 시스템의 조작을 위한 조작패널의 버튼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시스템의 모드에 따라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버튼만 제공함으로써 사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차량 내부에 마련된 오디오 장치의 조작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에 포함된 버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빛에 따라 달라지는 버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차량용 오디오 장치의 조작패널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컬러필터를 채용한 버튼이 적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구성을 나타낸 제어블럭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석 입력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차량용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차량(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 차량(100)을 이동시키는 차륜(51, 52), 차륜(51, 52)을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60), 차량(100)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71),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에게 차량(100)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30), 운전자에게 차량(100)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81, 82)를 포함한다.
차륜(51, 52)은 차량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51),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52)을 포함하며, 구동 장치(60)는 본체(1)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전륜(51) 또는 후륜(52)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동 장치(60)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engine) 또는 축전기(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motor)를 채용할 수 있다.
도어(71)는 본체(1)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가 차량(100)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0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킨다.
전면 유리(30)는 본체(10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00)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윈드쉴드 글래스(windshield glass)라고도 한다.
또한, 사이드 미러(81, 82)는 본체(1)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81)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82)를 포함하며, 차량(100)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00)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도 차량(100)은 후방의 장애물 내지 다른 차량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 강수 여부 및 강수량을 감지하는 레인 센서 등의 감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의 일 예로서, 차량의 측면 또는 후면에 감지 신호를 발신하고, 다른 차량 등의 장애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수신된 반사 신호의 파형을 기초로 차량(100) 후방의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고, 장애물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근접 센서는 초음파를 발신하고, 장애물에 반사된 초음파를 이용하여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검출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차량 내부에 마련된 오디오 장치의 조작패널(133)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차량은 기어박스(120), 센터페시아(130) 및 스티어링 휠(140) 등이 마련된 대시보드(dash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박스(120)에는 차량 변속을 위한 변속 기어(121)가 설치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가 내비게이션 장치(10)나 차량의 주요 기능의 수행을 제어하기 위한 다이얼 조작부(110)가 기어 박스(120)에 설치될 수 있다.
센터페시아(130)에는 공조 장치, 시계(132), 오디오 장치 및 내비게이션 장치(10)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공조 장치는 차량 내부의 온도, 습도, 공기의 청정도,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차량의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한다. 공조 장치는 센터페시아(130)에 설치되고 공기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130)에는 공조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운전자 등의 사용자는 센터페시아에 배치된 버튼이나 다이얼을 이용하여 차량의 공조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센터페시아(130)에는 내비게이션 장치(10)가 설치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장치(10)는 차량의 센터페시아(130) 내부에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센터페시아에는 일 실시예에 의하면 내비게이션 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부가 설치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내비게이션 장치(10)의 입력부는 센터페시아가 아닌 다른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장치(10)의 입력부는 내비게이션 장치(10)의 디스플레이부(300) 주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예로 내비게이션 장치(10)의 입력부는 기어 박스(120) 등에 설치될 수도 있다.
스티어링 휠(140)은 차량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림(141) 및 차량의 조향 장치와 연결되고 림(141)과 조향을 위한 회전축의 허브를 연결하는 스포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스포크(142)에는 차량 내의 각종 장치, 일례로 오디오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장치(142a, 142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대시보드는 실시예에 따라서 차량의 주행 속도, 엔진 회전수 또는 연료 잔량 등을 표시할 수 있는 각종 계기판 및 각종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글로브 박스(globe box)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오디오 장치의 조작패널(133)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들을 포함한다. 오디오 장치는 라디오 기능을 제공하는 라디오 모드와 오디오 파일이 담긴 다양한 저장매체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미디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조작패널(133)에 형성된 버튼들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라디오 모드의 수행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는 버튼들과 미디어 모드의 수행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는 버튼들과 두 모드에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버튼들로 나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는 컬러필터(220)를 구비한 버튼을 이용하여 보다 적은 수의 버튼으로 구현된 조작패널(133)을 제공한다. 이하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에 포함된 버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오디오 장치의 조작을 위한 입력장치, 예를 들면 조작패널(133)은 서로 다른 색의 광을 방출하는 두 개의 발광부와, 발광부에서 방출된 광의 진행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부(240)와, 상기 가이드부(240)를 커버하고 버튼(210)의 조작에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이동부(230)와, 두 개의 발광부 각각에서 방출된 광만 통과시키는 두 개 이상의 필터를 포함하는 컬러필터(220)와, 컬러필터(220)의 전면에 설치된 버튼(210)을 포함한다.
버튼(210)의 내부에 마련되는 발광부는 서로 다른 색의 광을 방출하는 두 개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에서 제공하는 모드가 두 개 이상인 경우에는 서로 다른 색의 광을 방출하는 두 개 이상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발광부가 파란색의 빛을 방출하는 제1발광부(250B)와 적색의 빛을 방출하는 제2발광부(250R)를 구비하는 것을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발광부에서 방출된 광은 가이드부(240)를 따라 컬러필터(220)로 조사된다.
컬러필터(220)는 제1발광부(250B)에서 방출된 파란색의 광만 통과시키는 제1필터와 제2발광부(250R)에서 방출된 적색의 광만 통과시키는 제2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필터와 제2필터는 소정의 텍스트나 이미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텍스트나 이미지는 해당 버튼(210)이 조작되면 구현될 기능을 설명하는 텍스트나 사용자가 상기 기능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고안된 이미지로 디자인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제1필터는 소정의 텍스트 형태를 가지고, 제2필터는 소정의 이미지의 형태를 갖는다. 제1발광부(250B)에서 방출된 파란색 빛이 제1필터를 통과하면, 버튼(210)에는 파란색으로 제1필터가 나타내는 텍스트가 표시되고, 제2발광부(250R)에서 방출된 적색의 빛이 제2필터를 통과하면 버튼(210)에는 적색으로 제2필터가 나타내는 이미지가 표시된다.
제1필터나 제2필터가 나타내는 텍스트나 이미지는 오디오 장치가 제공하는 모드의 일부 기능을 나타내는 텍스트와 이미지의 형태를 갖는다.
예를 들면, 제1필터는 미디어 모드와 관련된 기능을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제2필터는 라디오 모드와 관련된 기능을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필터를 통과한 파란색 광이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가 버튼(210)에 표시되고, 사용자가 해당 버튼(210)을 누르면 버튼(210)에 표시된 텍스트나 이미지가 나타내는 미디어 모드와 관련된 기능이 구현된다.
그리고 제2필터를 통과한 적색 광이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가 버튼(210)에 표시되고 사용자가 해당 버튼(210)을 누르면 버튼(210)에 표시된 텍스트나 이미지가 나타내는 라디오 모드와 관련된 기능이 구현된다. 즉, 하나의 버튼(210)이 서로 다른 모드에서 다른 기능을 구현하는 버튼(210)으로 활용되어, 버튼(210)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버튼(210)의 크기가 제한될 수 있으므로, 컬러필터(220)의 제1필터와 제2필터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겹칠 수 있다. 제1필터와 제1필터가 겹치는 부분은 제1발광부(250B)와 제2발광부(250R)에서 방출되는 광을 모두 통과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필터와 제2필터가 겹치는 경우, 제2필터와 겹치지 않는 제1필터 부분은 파란색 광만 통과시키고, 제1필터와 겹치지 않는 제2필터 부분은 적색의 광만 통과시키며, 제1필터와 제2필터가 겹치는 부분은 파란색 광과 적색 광을 모두 통과시킨다.
오디오 장치의 조작패널(133)을 구성하는 모든 버튼(210)이 컬러필터(220)를 채용한 버튼(210)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일부 버튼(210)만 컬러필터(220)를 채용한 버튼(210)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은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빛에 따라 달라지는 버튼(21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는 제1발광부(250B)에서 파란색의 광이 방출될 때의 버튼(210)이 도시되어 있다. 오디오 장치에서 제공하는 어느 한 모드가 선택되면, 예를 들어 미디어 모드가 선택되면, 제1발광부(250B)에서 파란색 광을 방출한다. 제1발광부(250B)에서 방출된 파란색 광은 컬러필터(220)의 제1필터를 통과하게 되고, 버튼(210)의 표면에는 제1필터가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도면에서는 텍스트로 도시하였음)가 파란색으로 표시된다.
도 6에는 제2발광부(250R)에서 적색의 광이 방출될 때의 버튼(210)이 도시되어 있다. 오디오 장치에서 제공하는 어느 한 모드가 선택되면, 예를 들어 라디오 모드가 선택되면, 제2발광부(250R)에서 적색의 광을 방출한다. 제2발광부(250R)에서 방출된 적색 광은 컬러필터(220)의 제2필터를 통과하게 되고, 버튼(210)의 표면에는 제2필터가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도면에서는 이미지로 도시하였음)가 적색으로 표시된다.
도 7은 차량용 오디오 장치의 조작패널(133)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컬러필터(220)를 채용한 버튼(210)이 적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7a 내지 도 7c에는 조작패널(133)을 구성하는 전체 버튼(210)이 아닌 일부 버튼(210)에 컬러필터(220)가 적용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컬러필터(220) 버튼(210)이 적용되는 영역이나 적용되는 버튼(210)의 개수는 일 예일 뿐, 다른 영역에 다른 개수의 컬러필터(220) 버튼(210)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a에 도시된 것처럼, 컬러필터(220) 적용영역에 적용되는 버튼(B1~B6) 중, B1의 제1필터는 RPT라는 미디어 모드의 반복재생기능을 나타내는 텍스트의 형태로 마련되고, 제2필터는 라디오 모드의 프리셋 기능을 나타내는 숫자 1의 형태로 마련된다. B2의 제1필터는 RDM이라는 미디어 모드의 랜던재생 기능을 나타내는 텍스트의 형태로 마련되고, 제2필터는 라디오 모드의 프리셋 기능을 나타내는 숫자 2의 형태로 마련된다. B3의 제1필터는 EJECT라는 미디어 모드에서 CD같은 저장매체를 오디오 장치에서 꺼내는 기능을 나타내는 텍스트의 형태로 마련되고, 제2필터는 라디오 모드의 프리셋 기능을 나타내는 숫자 3의 형태로 마련된다. B4의 제1필터는 ▼FLR이라는 미디어 모드에서 CD같은 저장매체의 폴더를 검색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텍스트 및 이미지의 형태로 마련되고, 제2필터는 라디오 모드의 프리셋 기능을 나타내는 숫자 4의 형태로 마련된다. B5의 제1필터는 ▲FLR이라는 미디어 모드에서 CD같은 저장매체의 폴더를 검색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텍스트 및 이미지의 형태로 마련되고, 제2필터는 라디오 모드의 프리셋 기능을 나타내는 숫자 5의 형태로 마련된다. B6는 제1필터를 구비하지 않고, 제2필터는 라디오 모드의 프리셋 기능을 나타내는 숫자 6의 형태로 마련된다. 전술한 컬러필터(220)의 텍스트나 이미지는 일 예일 뿐, 다른 기능은 나타내는 다른 텍스트 또는 다른 이미지의 형태로 컬러필터(220)가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미디어 모드가 선택되면, 컬러필터(220) 버튼은 제1필터가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나타낸다. 즉, 도 7b에 도시된 것처럼, B1은 RPT, B2는 RDM, B3는 EJECT, B4는 ▼FLR, B5는 FLR▲를 표시하고, B6에는 텍스트나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다.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해당 버튼이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가 나타내는 기능이 구현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B1을 누르면, 현재 재생 중인 오디오가 반복하여 재생된다.
라디오 모드가 선택되면, 컬러필터(220) 버튼은 제2필터가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나타낸다. 즉, 도 7c에 도시된 것처럼, B1은 1, B2는 2, B3는 3, B4는 4, B5는 5, B6는 6를 표시한다.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해당 버튼이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가 나타내는 기능이 구현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B1이 나타내는 1을 누르면, 저장된 주파수의 라디오 채널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컬러필터(220)를 사용하여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된 것처럼 버튼을 구현할 경우, 컬러필터(220)를 사용한 버튼에 구현된 기능을 제공하는 버튼(R1, R2)은 생략 가능하다.
이와 같이 컬러필터(220)를 사용하여 하나의 버튼으로 두 개 이상의 기능을 구현함으로써, 버튼의 수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버튼(210)에 두 개의 기능이 모두 표시되지 않고, 컬러필터(220)를 사용하여 선택된 모드와 관련된 기능만 표시되므로 하나의 버튼(210)으로 하나의 기능을 제공할 때처럼 쉽고 직관적으로 조작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구성을 나타낸 제어블럭도이다.
오디오 장치의 조작패널(133)을 포함하는 입력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오디오 장치의 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300)는 선택된 모드에 따라 제1발광부(250B) 또는 제2발광부(250R)를 동작시킨다.
사용자에 의해 미디어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300)는 전술한 것처럼, 파란색 광을 방출하는 제1발광부(250B)를 동작시키고, 라디오 모드가 선택되면 적색 광을 방출하는 제2발광부(250R)를 동작시킨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에 의해 모드가 선택되고(500), 선택된 모드가 미디어 모드이면(510), 제어부(300)는 제1발광부(250B)를 동작시킨다(520).
제1발광부(250B)가 동작하여 파란색 광이 방출되면, 파란색 광은 컬러필터(220)의 제1필터를 통과한다. 제1필터는 미디어 모드와 관련된 기능을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의 형태를 가진다. 파란색 광이 제1필터를 통과하면, 제1필터를 통과한 파란색 광이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가 버튼(210)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해당 버튼(210)을 누르면 버튼(210)에 표시된 텍스트나 이미지가 나타내는 미디어 모드와 관련된 기능이 구현된다.
선택된 모드가 라디오 모드이면(512), 제어부(300)는 제2발광부(250R)를 동작시킨다(522).
제2발광부(250R)가 동작하여 적색 광이 방출되면, 적색 광은 컬러필터(220)의 제2필터를 통과한다. 제2필터는 라디오 모드와 관련된 기능을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의 형태를 가진다. 적색 광이 제2필터를 통과하면, 제2필터를 통과한 적색 광이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가 버튼(210)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해당 버튼(210)을 누르면 버튼(210)에 표시된 텍스트나 이미지가 나타내는 라디오 모드와 관련된 기능이 구현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석 입력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후석 입력장치는 차량의 오디오, 공조기,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장치를 뒷자석의 탑승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차량의 뒷좌석에 마련된 조작패널(133)이다. 뒷좌석 탑승자는 후석 입력장치를 조작하여 차량의 원하는 기능을 조절할 수 있다. 후석 입력장치는 후석 탑승자의 오조작이나 어린이의 장난에 의한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해 후석 입력장치를 조작해도 그에 대응하는 기능이 구현되지 않는 잠금기능을 제공한다.
후석 입력장치가 잠금상태일 때, 후석 입력장치가 조작되면, 후석 입력장치의 조작에 대응하는 기능이 실행되지 않는데, 이 때 잠금설정이 되어서 기능이 실행되지 않는지 후석 입력장치에 고장이 발생하여 기능이 실행되지 않는 것인지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판단하기 어렵다.
이에 개시된 실시예는 전술한 컬러필터(220)를 사용한 버튼(210)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후석 입력장치가 잠금상태인지 여부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한다.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참조번호 B7이 나타내는 버튼은 평상시에는 PWR이라는 텍스트를 표시한다. 후석 입력장치가 잠금설정되고, 후석 입력장치가 조작되면, B7은 후석 입력장치가 잠금설정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자물쇠 형태의 이미지를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표시한다. 사용자는 자물쇠 형태의 이미지를 통해 후석 입력장치가 잠금설정되어 있음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버튼 외에 다른 버튼에 상기 기능이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평소에는 PWR이라는 텍스트 형태로 마련된 컬러필터(220), 예를 들면 제1필터를 통과하는 광을 방출하는 제1발광부(250B)가 동작하다가, 잠금설정상태에서 후석 입력장치가 조작되면, 자물쇠 이미지의 형태로 마련된 컬러필터(220), 예를 들면 제2필터를 통과하는 광을 방출하는 제2발광부(250R)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동작한다. 미리 정해진 시간은 수초 일 수 있고,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제1발광부(250B)가 on, off를 반복하여 자물쇠 형상이 깜빡이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후석 입력장치가 조작되면(600), 제어부(300)는 후석 입력장치가 잠금상태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610). 후석 입력장치가 잠금상태로 설정되어 있으면, 제어부(300)는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제1발광부(250B)를 동작시킨다(620).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참조번호 B7이 나타내는 버튼은 평상시에는 PWR이라는 텍스트를 표시한다. 후석 입력장치가 잠금설정되고, 후석 입력장치가 조작되면, B7은 후석 입력장치가 잠금설정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자물쇠 형태의 이미지를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표시한다. 사용자는 자물쇠 형태의 이미지를 통해 후석 입력장치가 잠금설정되어 있음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평소에는 PWR이라는 텍스트 형태로 마련된 컬러필터(220), 예를 들면 제1필터를 통과하는 광을 방출하는 제1발광부(250B)가 동작하다가, 잠금설정상태에서 후석 입력장치가 조작되면, 제어부(300)는 자물쇠 이미지의 형태로 마련된 컬러필터(220), 예를 들면 제2필터를 통과하는 광을 방출하는 제2발광부(250R)를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동작시킨다.
후석 입력장치가 잠금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제어부(300)는 입력장치의 조작에 대응하는 기능을 동작시킨다.
100 : 차량
133 : 입력장치
220 : 컬러필터
300 : 제어부

Claims (21)

  1. 버튼;
    상기 버튼에 인접하게 마련되고 서로 다른 색의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발광부; 및
    상기 버튼과 발광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발광부 각각에서 방출되는 서로 다른 색의 광을 각각 통과시키는 복수의 필터를 포함하는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필터는 각각 미리 정해진 서로 다른 텍스트 또는 이미지의 형태로 마련되는 입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필터는 서로 겹치도록 마련되고 겹치는 부분은 상기 두 개 이상의 발광부에서 방출되는 광을 모두 통과시키도록 마련되는 입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상기 컬러필터를 통과한 광이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입력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제1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복수의 필터 중 상기 제1모드와 관련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마련된 필터를 통과하는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가 동작하는 입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제1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버튼은 상기 제1모드와 관련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마련된 필터를 통과한 광이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입력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제2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복수의 필터 중 상기 제2모드와 관련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마련된 필터를 통과하는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가 동작하는 입력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제2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버튼은 상기 제2모드와 관련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마련된 필터를 통과한 광이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입력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필터 중 어느 하나는 소정의 기능의 동작이 잠금상태임을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마련되는 입력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능이 동작하지 않도록 잠긴 상태에서 상기 소정의 기능을 동작시키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잠금상태임을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마련되는 필터를 통과하는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동작하는 입력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능이 동작하지 않도록 잠긴 상태에서 상기 소정의 기능을 동작시키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버튼은 잠금상태임을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마련되는 필터를 통과하는 광이 나타내는 잠금상태임을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표시하는 입력장치.
  12. 복수의 모드 중 어느 한 모드가 선택되면 선택된 모드와 관련된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표시하고, 다른 모드가 선택되면 표시된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선택된 다른 모드와 관련된 이미지 또는 텍스트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버튼; 및
    상기 버튼에 이미지 또는 텍스트가 표시되도록 상기 버튼으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13. 버튼, 상기 버튼에 인접하게 마련되고 서로 다른 색의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발광부 및 상기 버튼과 발광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발광부 각각에서 방출되는 서로 다른 색의 광을 각각 통과시키는 복수의 필터를 구비하는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 따라 상기 복수의 발광부 중 어느 하나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제1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복수의 필터 중 상기 제1모드와 관련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마련된 필터를 통과하는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를 동작시키는 차량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제2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복수의 필터 중 상기 제2모드와 관련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마련된 필터를 통과하는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를 동작시키는 차량.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필터 중 어느 하나는 소정의 기능의 동작이 잠금상태임을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마련되는 차량.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정의 기능이 동작하지 않도록 잠긴 상태에서 상기 소정의 기능을 동작시키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잠금상태임을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마련되는 필터를 통과하는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를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동작시키는 차량
  18. 버튼, 상기 버튼에 인접하게 마련되고 서로 다른 색의 광을 방출하는 복수의 발광부 및 상기 버튼과 발광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발광부 각각에서 방출되는 서로 다른 색의 광을 각각 통과시키는 복수의 필터가 구비된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가 구비된 차량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1모드를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필터 중 상기 제1모드와 관련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마련된 필터를 통과하는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제2모드를 선택하는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필터 중 상기 제2모드와 관련된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마련된 필터를 통과하는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필터 중 어느 하나는 소정의 기능의 동작이 잠금상태임을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마련되는 차량의 제어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능이 동작하지 않도록 잠긴 상태에서 상기 소정의 기능을 동작시키는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잠금상태임을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로 마련되는 필터를 통과하는 광을 방출하는 발광부를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동작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140105817A 2014-08-14 2014-08-14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118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817A KR102118127B1 (ko) 2014-08-14 2014-08-14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5817A KR102118127B1 (ko) 2014-08-14 2014-08-14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0727A true KR20160020727A (ko) 2016-02-24
KR102118127B1 KR102118127B1 (ko) 2020-06-02

Family

ID=55449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5817A KR102118127B1 (ko) 2014-08-14 2014-08-14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1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318B1 (ko) 2019-02-27 2020-06-30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스마트 스위치 기능을 갖는 차량 오디오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3318A (ko) * 1996-12-26 1998-09-25 김광호 리모콘의 잠금모드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JP2004196207A (ja) * 2002-12-20 2004-07-15 Murakami Corp アウターミラー
KR20090066364A (ko) * 2007-12-20 2009-06-24 정병주 다중문자 선택 발광키보드
KR20120120582A (ko) * 2011-04-25 2012-11-0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스티어링 휠 햅틱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햅틱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3318A (ko) * 1996-12-26 1998-09-25 김광호 리모콘의 잠금모드를 표시하는 장치 및 방법
JP2004196207A (ja) * 2002-12-20 2004-07-15 Murakami Corp アウターミラー
KR20090066364A (ko) * 2007-12-20 2009-06-24 정병주 다중문자 선택 발광키보드
KR20120120582A (ko) * 2011-04-25 2012-11-02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스티어링 휠 햅틱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햅틱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8318B1 (ko) 2019-02-27 2020-06-30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스마트 스위치 기능을 갖는 차량 오디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8127B1 (ko) 202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51984B (zh) 一种车辆用显示设备以及一种车辆
JP6434884B2 (ja) 表示機器
JP5594772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5850673B2 (ja) 自動車用コンビネーションインストルメントおよび自動車
US8025327B1 (en) Theft and tamper resistant vehicle interior
US20130151072A1 (en) Eye breakaway prevention system for use while driving a vehicle
US20090009314A1 (en) Display system and program
KR101630153B1 (ko) 제스처 인식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차량의 제어 방법
JP6215917B2 (ja) 車載表示装置
KR20160083721A (ko)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CN109278844B (zh) 方向盘、具有方向盘的车辆以及用于控制车辆的方法
US20180203517A1 (en) Method and operator control system for operating at least one function in a vehicle
US20200055397A1 (en)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the input and output of information in a vehicle
US20020158448A1 (en) Modern automotive cockpit
KR101657656B1 (ko)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JP2007076383A (ja) 車両用情報表示装置
KR20160020727A (ko)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20150167824A1 (en) Flap type electronic automatic transmission lever control method
JP2007137331A (ja) インナーミラー
JP2007062668A (ja) 車両用入力装置
JPH07117562A (ja) カメラシステム
US11977809B2 (en) Console display interlocking method and vehicle system using the same
JP2007033660A (ja) 電子機器
KR101657658B1 (ko)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JP2020131729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