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6364A - 다중문자 선택 발광키보드 - Google Patents

다중문자 선택 발광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6364A
KR20090066364A KR1020070133862A KR20070133862A KR20090066364A KR 20090066364 A KR20090066364 A KR 20090066364A KR 1020070133862 A KR1020070133862 A KR 1020070133862A KR 20070133862 A KR20070133862 A KR 20070133862A KR 20090066364 A KR20090066364 A KR 20090066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film
character
light emitting
key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3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주
박순영
Original Assignee
정병주
박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주, 박순영 filed Critical 정병주
Priority to KR1020070133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6364A/ko
Publication of KR20090066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63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01H2013/026Light-emitting indicators with two or more independent lighting elements located inside the push button switch that illuminate separate zones of push buttons

Landscapes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색 필터를 활용하여 구현되는 다중문자 선택 발광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즉 투명 키 캡 위에 문자군에 따른 빛이 투과하도록 각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색 필터를 입혀서 문자군에 따라 다른 색의 빛으로 발광하게 한다. 이를 위해서 키 캡의 아래에서는 문자군에 따라서 각각 다른 빛이 생성될 수 있게 광원을 구성해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기존의 키보드를 큰 변경 없이 다중문자 선택 발광키보드로 만들 수 있다.
다중문자 선택 발광키보드. 색 필터. LED. 필름.

Description

다중문자 선택 발광키보드 {Lighting keyboard selecting multi-character}
본 발명은 색 필터를 활용하여 구현되는 다중문자 선택 발광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다중문자 선택 발광키보드에 대한 다양한 시도들이 있어왔다. 키 캡의 구조에 의한 방법, 평판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방법, 키스킨에 발광부를 구성하는 방법들이 제안되었고 부분적으로 활성화되고 있다. 그 가운데 키 캡의 구조에 의한 방법은 논의가 많이 되었지만 다중 문자 선택 발광시 각 영역별로 격벽을 구성해야 하기때문에 그 구조가 구현하기 어려워 상용화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10-2007-7020705"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키, 키보드 및 이를이용하는 전자 장치" 와 10-2006-7016747"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및 키보드"에서 착색필터를 이용한 다양한 다중 이미지 선택에 도움을 주는 방법을 보이고 있다. 디스플레이될 메시지에 각각 다른 필터를 할당하고, 각 필터에 맞는 광원을 배면에서 발광함으로써 특정 메시지를 표시하게 하였다. 이는 색필터를 사용한다는 점에서는 본 발명의 취지와 부분적인 유사성을 갖지만, 구현되는 결과물은 상이하다.
본 발명은 LED가 실장된 LED필름과 문자별 통과 대역이 다른 색필터층을 갖는 키캡을 사용하여 다중문자 선택 발광키보드를 구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기존의 키보드의 구조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키 캡을 바꾸고 LED필름을 덧붙여서 다중문자 선택 발광키보드를 구현한다.
이를 위하여 투명 부재의 골격위에 형성된 색필터층, 그 위에 형성된 반 투명층, 그 위에 형성된 문자투광층, 그 위에 형성된 UV코팅 보호층으로 키 캡을 만들고, 적합한 형태를 갖고 LED를 실장하고 있는 LED필름을 만든다.
기존의 키보드를 큰 변경 없이 다중문자 선택 발광키보드로 만들 수 있어서 쉽게 다중문자 선택 발광키보드의 상용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영문자와 함께 다른 문자가 사용되는 키보드에 있어서 현재의 입력에 사용되는 문자의 모드를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그 문자 입력을 편하게 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문자가 빛나게 하는 것에 대한 것이다. 한글 사용자의 키보드의 경우 예를 들면 영문자는 파란색으로 빛나고, 한글문자는 빨갛게 빛나게 하여 문자 입력이 편리하게 하고, 색으로도 쉽게 구분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두가지 색을 발하는 광원을 준비하고, 각 문자군에 두가지 광원 중 한개만을 통과 시킬 수 있는 색필터를 할당하여 문자가 표시되는 곳의 아래에 놓고 문자가 나타나는 부분을 투광층으로 구성하여 해당되는 빛이 통과하여 문자부가 빛이 나게 한다. 또한 기존의 키보드의 설계를 바꾸지 않고 광원을 추가하기 위하여 LED가 실장된 LED필름을 사용하게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활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색필터를 구비한 새로운 키캡의 제작순서도이다. 왼쪽에서 오른쪽의 순서로 층을 입혀간다. 기존의 키보드에서 사용되는 키캡을 투명부재(210)로 사출한다. 문자가 인쇄될 영역들에 각각 다른 파장의 투과 기능을 갖는 색필터(220,225)를 인쇄한다. 예를 들면 영문자 Q 가 표시되는 영역은 파란색 광이 통과하는 색필터(220)를 인쇄하고, 한글 ㅂ 이 표시되는 영역은 빨간색 광이 통과하는 색필터(225)를 인쇄한다. 색필터는 광을 투과하지 않아도 색을 가질 수 있으므로 그 색을 사전에 보이지 않게 하기 위해서 뿌옇게 보이는 반투명층(230)을 인쇄할 수 있다. 물론 인쇄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 위에 문자 부분만 빛이 투과하고 문자 이외의 부분은 빛이 통과하지 못하게 문자 이외의 부분에 불투명층(240)을 인쇄한다. 그 위에 인쇄된 부분이 보호되도록 UV코팅층(250)을 형성한다. 이와같은 작업에 의하여 선택발광이 가능한 새로운 키캡(200)이 만들어진다.
도 2는 색필터를 내장한 키캡의 단면도이다. 도 1의 제작과정에 의하여 만들어진 키캡(200)을 보인다. 색필터(220,225)가 윗면의 문자 영역에 부분적으로 분포해 있고, 불투명층(240)과 UV코팅층(250)은 외부면 전체를 덮고 있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키보드의 구성도이다. 하부판(110)위에 스위치회로 필름(120)을 놓고 , 그 위에 광원층(130)을 구성하고, 광원층(130)에 구멍을 내어 그 구멍을 관통하여 탄성체가 스위치회로필름(120)에 접하게 한다. 광원층(130) 위에 상부판(140)이 놓여서 상부판(140)과 하부판(110)을 체결하여 키보드의 형태를 완성한다. 키캡(200)을 상부판의 홈에 삽입하면 광원(130)이 그 사이를 통하여 상부로 발산하여 문자를 빛나게 한다. 작동 상태의 예를 보면 광원으로 LED(132,134)를 사용할 경우 LED(132)를 파란색, LED(134)를 빨간색으로 하면, LED(132)가 ON이고 LED(134)가 OFF일때 파란색 광(170)이 색필터(220)을 통하여 외부로 나오게 되고 영문자 Q 가 파란색으로 빛나게 된다. 도 4에서 보인 것처럼 LED(132)가 OFF이고 LED(134)가 ON일때 빨간색 광(175)이 색필터(225)을 통하여 외부로 나오게 되고 한글자 ㅂ ㅃ 이 빨간색으로 빛나게 된다. 도면에서는 멤브레인방식의 키보드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펜타그라프방식의 키보드에도 똑같은 방법이 적용되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것은 자명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키보드의 구성도이다. 도 3의 키보드와는 다르게 발광층(135)이 상부판(140)위에 위치하고 있다. 많은 키보드가 발광을 고려하지 않고 제작되어 왔다. 따라서 도 3과 같은 발광층(130)이 설치되려면 새로운 설계가 진행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새로운 설계가 필요없이 기존의 키보드의 구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도 6은 도 5의 키보드에 설치되는 LED필름에 대한 구성도이다. LED필름(135)은 PE나 PI필름에 직렬 혹은 병렬의 LED구동을 위한 회로패턴을 인쇄하고, 상부판(140)에 키캡(200)의 삽입을 위해 구성된 돌출부(142)의 외부보다 약간 크게 홀(138)을 뚫는다. 홀(138)안쪽으로 폭이 좁은 날개(139)가 형성되게 홀(138)을 만들고 그 날개에 LED(136,137)를 실장한다. 그 날개(139)는 LED필름(135)이 상부층(140)위에 설치될 때 상부층(140)의 돌출부(142)에 홀(138)이 끼워지면서 세워지게 된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142)와 평행하게 되고 키캡(200)의 상부면에 가깝게 위치하여 빛을 방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키캡(200) 외부로의 광의 노출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어부에 대한 구성도이다. 본 출원인들에 의해 기 제출된 내용을 인용한다. 컴퓨터와 본 발명의 키보드는 USB(450) Composite에 의하여 복합장치로 연결된다. 컴퓨터는 본 발명의 키보드가 연결되면 현재 사용하는 프로그램의 문자모드를 USB(450)의 EP1 OUT(454)을 통하여 키보드에 알려준다. 제어부(400)의 CPU(410)는 문자모드에 맞춰서 LED드라이버(440,441)를 작동시켜서 특정 색의 광을 생성해 내고 키캡(200)의 색필터에 의해 특정 문자그룹을 발광하게 한다. 사용자가 키입력을 하게 되면 스위치회로필름(120)의 신호를 키스캔모듈(430)을 통하여 특정 문자 데이터로 인식한다. 인식된 키데이터는 기존의 키보드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EP0 IN(451)을 통하여 컴퓨터에 인터페이스된다. USB(450)의 EP0 IN(451)과 EP0 OUT(452)는 현재 사용되는 키보드인터페이스 규약을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색필터를 구비한 새로운 키캡의 제작순서도
도 2는 색필터를 내장한 키캡의 단면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키보드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키보드의 구성
도 6은 도 5의 키보드에 설치되는 LED필름에 대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어부에 대한 구성도

Claims (3)

  1. 발광키보드에 있어서,
    하부판;
    상기 하부판 위에 배치되는 스위치회로필름;
    상기 스위치회로필름 위에 놓이는 탄성체;
    상기 하부판과 체결되는 상부판;
    투명 부재의 골격위에 형성된 색필터층, 그 위에 형성된 반 투명층, 그 위에 형성된 문자투광층, 그 위에 형성된 UV코팅 보호층으로 구성된 상기 상부판에 삽입되어 상하 슬라이드되는 키캡;
    상기 상부판 위에 씌워지는 LED를 실장하고 있는 LED필름;
    상기 스위치필름의 신호를 데이터로 변환하여 그 데이터를 외부의 컴퓨터로 전송하고, 외부의 컴퓨터의 명령 혹은 내부의 명령에 의하여 상기 LED필름의 LED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다중문자선택발광키보드
  2. 제 1항에 있어서 LED를 실장하고 있는 LED필름이 스위치회로필름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문자선택발광키보드
  3. 제 1항에 있어서 LED를 실장하고 있는 LED필름이 상기 상부판 위에 씌워지면서 상부판의 요철 위로 솟아오르게 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문자선택발광키보드
KR1020070133862A 2007-12-20 2007-12-20 다중문자 선택 발광키보드 KR200900663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862A KR20090066364A (ko) 2007-12-20 2007-12-20 다중문자 선택 발광키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3862A KR20090066364A (ko) 2007-12-20 2007-12-20 다중문자 선택 발광키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6364A true KR20090066364A (ko) 2009-06-24

Family

ID=40994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3862A KR20090066364A (ko) 2007-12-20 2007-12-20 다중문자 선택 발광키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636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8878A1 (ru) * 2010-07-12 2012-01-19 Alimov Igor Evgen Evich Мультисимвольная клавиатура с подсветкой
KR20160020727A (ko) * 2014-08-14 2016-02-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WO2017153809A1 (en) * 2016-03-10 2017-09-14 Opatchi Gheorghi Multi-language keyboard
WO2017222286A3 (ko) * 2016-06-21 2018-02-15 크루셜텍(주) 지문센서 모듈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8878A1 (ru) * 2010-07-12 2012-01-19 Alimov Igor Evgen Evich Мультисимвольная клавиатура с подсветкой
RU2471224C2 (ru) * 2010-07-12 2012-12-27 Игорь Евгеньевич Алимов Мультисимвольная клавиатура с подсветкой
KR20160020727A (ko) * 2014-08-14 2016-02-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입력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
WO2017153809A1 (en) * 2016-03-10 2017-09-14 Opatchi Gheorghi Multi-language keyboard
WO2017222286A3 (ko) * 2016-06-21 2018-02-15 크루셜텍(주) 지문센서 모듈 및 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8677B2 (en) Illuminated keyboard
US7283066B2 (en) Illuminated keyboard
US7172303B2 (en) Illuminated keyboard
EP0508563B1 (en) Illuminated pushbutton keyboard
US7284872B2 (en) Low power, low cost illuminated keyboards and keypads
KR100527264B1 (ko) 키보드 장치 및 키보드 키들의 색상을 선정하는 방법
TWI460754B (zh) Keyboard cover and its containing the light keyboard
JP2002023924A (ja) キーボード
US7193536B2 (en) Illuminated keyboard
KR20090066364A (ko) 다중문자 선택 발광키보드
US7193535B2 (en) Illuminated keyboard
CN101483109A (zh) 导光线式发光键盘
JP2007242302A (ja) キーシート及びそれを備えたキーユニット
CN103000424A (zh) 发光键盘
CN109243896B (zh) 发光键盘
US20010040802A1 (en) Keyboard having illuminated keys
JPH03164922A (ja) キーボード装置
WO2006090984A1 (en) Keyboard and method of selecting colors of keys of the keyboard
US20020088697A1 (en) Illuminated keyboard keys
JPH0863271A (ja) キーボード
US8540384B2 (en) Low power low cost illuminated keyboards and keypads
KR100856440B1 (ko) 멀티 발광이 가능한 이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이엘 키패드
JP4094602B2 (ja) 電子機器のキーボタン照明構造
KR20090080013A (ko) 자외선 형광을 이용한 다중문자 선택 발광키보드
TW201037560A (en) An electrical device with PLEDs and method for mak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