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8719A - 표시 제어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표시 제어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8719A
KR20160018719A KR1020167000386A KR20167000386A KR20160018719A KR 20160018719 A KR20160018719 A KR 20160018719A KR 1020167000386 A KR1020167000386 A KR 1020167000386A KR 20167000386 A KR20167000386 A KR 20167000386A KR 20160018719 A KR20160018719 A KR 20160018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iewpoint
display
thumbnail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0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5369B1 (ko
Inventor
세이이치로 후쿠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160018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2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spects of the displayed game scene
    • A63F13/525Changing parameters of virtual cameras
    • A63F13/5255Changing parameters of virtual cameras according to dedicated instructions from a player, e.g. using a secondary joystick to rotate the camera around a player's charac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로부터 해당 이미지의 일부의 영역의 이미지이면서 상기 이미지에 대한 임의의 시점을 중앙에 포함하는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이미지와 복수의 상기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리스트인 시점 리스트 이미지를 포함하는 표시 이미지를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와; 상기 이미지와 상기 시점 리스트 이미지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조작에 따라 상기 표시 이미지 중의 상기 이미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입력을 접수하는 접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입력에 따라 상기 표시 이미지 중의 상기 이미지를 변경하고, 상기 이미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입력에 따라 새롭게 표시될 상기 이미지의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이 상기 시점 리스트 이미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표시되도록 상기 시점 리스트 이미지의 상기 섬네일의 순서를 변경하는, 표시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표시 제어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표시 제어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촬영 지점의 모든 방향을 촬영하여, 촬영 지점의 모든 방향을 한 장의 이미지로 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예컨대, 특허 문헌 1에는 촬영 지점의 모든 방향을 촬영한 이미지를 표시용 이미지로 변환하여, 해당 표시용 이미지를 원통형 케이스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관찰 장치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촬영 지점의 모든 방향을 한 장으로 한 이미지의 일부를, 촬영 지점에서 소정의 방향을 실제로 보고 있는 것 같은 형식으로 퍼스널 컴퓨터의 디스플레이 등에 표시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이미지의 표시 범위(방향)를 자유롭게 변경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48028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기술로서는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이미지의 표시 범위와 이미지에 대한 시점의 리스트를 나타낸 정보와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곤란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이미지의 표시 범위와 이미지에 대한 시점의 리스트를 나타낸 정보와의 관계를 명확히 할 수 있는 표시 제어 장치 및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를, 이미지로부터 해당 이미지의 일부의 영역의 이미지이면서 상기 이미지에 대한 임의의 시점을 중앙에 포함하는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이미지와 복수의 상기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리스트인 시점 리스트 이미지를 포함하는 표시 이미지를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와; 상기 이미지와 상기 시점 리스트 이미지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조작에 따라 상기 표시 이미지 중의 상기 이미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입력을 접수하는 접수부;로서 기능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입력에 따라 상기 표시 이미지 중의 상기 이미지를 변경하여, 상기 이미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입력에 따라 새롭게 표시될 상기 이미지의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이 상기 시점 리스트 이미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표시되도록 상기 시점 리스트 이미지의 상기 섬네일의 순서를 변경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를, 이미지로부터 해당 이미지의 일부의 영역의 이미지이면서 상기 이미지에 대한 임의의 시점을 중앙에 포함하는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이미지와 복수의 상기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리스트인 시점 리스트 이미지를 포함하는 표시 이미지를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와; 상기 이미지와 상기 시점 리스트 이미지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조작에 따라 상기 표시 이미지 중의 상기 이미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입력을 접수하는 접수부;로서 기능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입력에 따라 상기 표시 이미지 중의 상기 이미지를 변경하고, 상기 이미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입력에 따라 새롭게 표시될 상기 이미지의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크기를 변경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제어 장치는 이미지로부터 해당 이미지의 일부의 영역의 이미지이면서 상기 이미지에 대한 임의의 시점을 중앙에 포함하는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상기 이미지와 복수의 상기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리스트인 시점 리스트 이미지를 포함하는 표시 이미지를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와; 상기 이미지와 상기 시점 리스트 이미지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조작에 따라 상기 표시 이미지 중의 상기 이미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입력을 접수하는 접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입력에 따라 상기 표시 이미지 중의 상기 이미지를 변경하여, 상기 이미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입력에 따라 새롭게 표시될 상기 이미지의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이 상기 시점 리스트 이미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표시되도록 상기 시점 리스트 이미지의 상기 섬네일의 순서를 변경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이미지의 표시 범위와 이미지에 대한 시점의 리스트를 나타낸 정보와의 관계를 명확히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전방향 이미지(omnidirectional image)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표시 이미지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표시 이미지의 변경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전방향 이미지에 대한 시점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화각(angle of view), 카메라 앵글 및 카메라 위치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화각, 카메라 앵글 및 카메라 위치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장치의 시점 리스트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표시 이미지의 변경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표시 이미지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제2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표시 이미지의 변경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장치의 시점 리스트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표이다.
도 14는 제3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표시 이미지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제1∼제3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장치의 주요부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표시 제어 장치와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의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장치(1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장치(10)는 취득부(11), 기억부(12), 생성부(13), 표시 제어부(14) 및 접수부(15)를 포함한다. 표시 제어 장치(10)는 표시 장치(20)에 접속된다. 표시 제어 장치(10)는 표시 장치(20)에 표시되는 이미지(이하, "표시 이미지")을 제어한다.
취득부(11)는 촬영 지점에서의 모든 방향의 이미지인 전방향 이미지(omnidirectional image)를, 해당 전방향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는 촬영 장치 등의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한다. 예컨대, 상호 역방향을 향하는 2개의 어안 렌즈(fish-eye lens)를 사용하여 촬영 지점의 모든 방향을 촬영하는 촬영부와 2개의 어안 렌즈에 의해 촬영된 2장의 이미지를 1장의 이미지로 합성하는 합성부의 장비에 의해 전방향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취득부(11)가 전술한 촬영 장치의 기능을 갖추는 것에 의해 외부 장치로부터 전방향 이미지를 취득할 필요가 없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전방향 이미지를 예로 하고 있지만, 전방향 이미지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의 이미지, 수평이나 수직으로 연장되는 파노라마 이미지 등일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방향 이미지를 단순히 이미지로 부를 수 있고, 후술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를 단순히 부분 이미지로 부를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기억부(12)는 해당 전방향 이미지를 저장한다. 도 2는 제1 실시 형태의 전방향 이미지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향 이미지는 촬영 지점에서의 모든 방향을 촬영한 이미지이므로, 파노라마 이미지 같은 이미지가 된다. 도 2에서는 모든 방향 중 수평 부분이 표시되고 있지만, 상부와 하부의 부분은 표시되어 있지 않다. 상부와 하부를 표시하고 싶은 경우는 사용자를 이미지 내로 가상으로 이동되게 하는 것으로 해당 부분의 표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전방향 이미지 상에는 복수의 시점(A∼G)이 존재한다. 시점은 전방향 이미지를 작성한 사람이나, 전방향 이미지를 이용하는 사람 등의 사용자가 초점을 맞추고자 하는 영역을 나타낸 정보이다. 이 시점을 포함하는 영역을 추출한 이미지(후술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에 해당함)가 후술하는 시점 리스트 정보에 표시되는 이미지가 된다. 따라서, 이 시점 리스트 정보에 표시되는 이미지와 이 이미지가 포함되는 전방향 이미지에 대한 위치는 연관된다. 도 2는 시점(A∼G)이 전방향 이미지 상에 존재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기억부(12)는 전방향 이미지에 대한 시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하, "시점 리스트 정보")를 저장한다. 전방향 이미지 및 시점 리스트 정보의 상세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생성부(13)는 전방향 이미지로부터 해당 전방향 이미지의 일부의 영역의 이미지인 전방향 부분 이미지를 생성한다. 전방향 부분 이미지는 전방향 이미지에 대한 임의의 시점을 이미지의 중앙에 포함한다. 전방향 이미지는 촬영 지점의 모든 방향을 포함하는 이미지이며, 사용자가 임의의 방향의 전방향 이미지를 볼 수 있게 한다. 사용자가 보고 싶은 방향의 이미지를 추후에 확인하고 싶은 경우나 해당 이미지를 다른 사용자에게 보여주고 싶은 경우에는 소정의 시점을 중앙에 포함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로서 나타낸다. 생성부(13)는 소정의 시점에 대응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를 미리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제어 장치(10)는 사용 빈도가 높은 전방향 부분 이미지이나, 후술하는 시점 리스트 정보에 등록되어 있는 시점에 대응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 등을 기억부(12)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표시 제어부(14)는 전방향 이미지와 복수의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thumbnails)의 리스트인 시점 리스트 이미지를 포함하는 이미지인 표시 이미지를 표시 장치(20)에 표시한다. 표시 제어 장치(10)는 전방향 이미지와 동시에 시점 리스트 이미지를 표시 장치(2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시점을 선택할 때의 조작성 및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표시 장치(20) 상에 표시되어 있는 전방향 이미지는 일부의 경우 전방향 이미지의 일부의 영역만 확대되는 등의 방식으로 표시된다. 이하, 전방향 이미지로 설명되는 경우는 모든 이미지를 나타내거나 모든 이미지의 영역의 일부분만이 표시되어 있는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든 이미지의 영역의 일부만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라도, 표시되어 있는 영역 밖의 이미지를 스크롤이나, 터치 패널의 조작을 통해 표시 영역 내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는 제1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20)에 표시되는 표시 이미지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표시 이미지는 전방향 이미지의 일부를 나타내는 전방향 이미지(30) 및 시점 리스트 이미지(40)를 포함한다. 도 3에 예시된 전방향 이미지(30)는 도 2에 나타낸 전방향 이미지에 대한 시점(D)을 이미지의 중앙에 포함하는 경우의 예이다. 즉, 표시 장치(20)가 시점(D)에 대응하는 전방향 이미지(30)를 표시하고 있는 경우의 예이다. 전방향 이미지는 전방향 이미지 상에 2개 이상의 시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방향 이미지(30)는 시점(D) 외에도 이미지의 좌측의 시점(C)과 이미지의 우측의 시점(E)을 포함한다.
시점 리스트 이미지(40)의 영역은 표시 장치(20)의 화면 하부에 표시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시점 리스트 이미지(40)의 영역은 시점(B∼F)에 대응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이 표시되어 있다. 즉, 섬네일이 5장 표시되고, 그 밖의 섬네일의 표시는 "...."으로서 생략된다. 그러나, 표시 제어부(14)는 그 밖의 섬네일의 표시를 생략하지 않고 시점 리스트 이미지(40)의 영역의 크기에 따라 섬네일의 크기를 축소시키는 것에 의해 지정된 모든 시점 중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14)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중앙에 포함되는 시점의 섬네일을 시점 리스트 이미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도 3에 나타낸 예에서, 전방향 이미지에는 시점(D)에 대응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에 해당하는 영역이 중앙에 표시되어 있고, 표시 제어부(14)는 이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을 시점 리스트 이미지(40)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장치(10)로서는 해당 미리 정해진 위치를 시점 리스트 이미지의 중앙의 위치로 하는 것에 의해 표시 장치(20)에 표시되어 있는 전방향 이미지와 시점 리스트 이미지의 섬네일 사이의 관계를 명확히 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표시 제어부(14)는 표시 이미지의 전방향 이미지(30)에 포함되는 시점을 포함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크기를 표시 이미지의 전방향 부분 이미지에 포함되지 않는 시점을 포함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크기보다 크게 한다. 도 3의 예에서, 표시 이미지에 포함되는 전방향 이미지(30)에 시점(C∼E)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시점(C∼E)에 대응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크기가 확대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장치(10)는 표시 장치(20)에 표시되어 있는 전방향 이미지와 시점 리스트 이미지에 표시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 사이의 관계를 명확히 할 수 있다.
도 1로 돌아가면, 접수부(15)는 전방향 이미지 또는 시점 리스트 이미지에 대한 조작에 따라 표시 이미지의 전방향 이미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입력을 접수한다. 전방향 이미지에 대해 이루어진 조작은 예컨대, 전방향 이미지 상에 표시된 시점을 지정(선택)하는 조작이다. 이 조작에 연동하여, 예컨대, 도 3에서 전방향 이미지(30)가 이동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전방향 이미지 상의 시점(C)을 지정하면, 전방향 이미지(30)는 시점(C)을 중앙에 갖는 전방향 이미지(30)로 변경된다. 또한, 이에 따라, 시점 리스트 이미지도 시점(C)의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이 중앙으로 오도록 정렬되게 변경된다.
또한, 시점 리스트 이미지에 대한 조작은 시점 리스트 이미지에 대한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을 선택하는 조작, 시점 리스트 이미지를 스크롤 하는 것에 의해 시점 리스트 이미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표시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을 변경하는 조작 등이다. 이 조작에 연동하여, 예컨대, 도 3에 있어서의 전방향 이미지(30)가 이동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시점 리스트 이미지에 대한 시점(F)의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을 선택하면, 전방향 이미지(30)는 시점(F)을 중앙으로 하는 전방향 이미지(30)로 변경된다. 또한, 이에 따라, 시점 리스트 이미지도 시점(F)의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이 중앙으로 오도록 정렬되게 변경된다.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장치(10)에서, 해당 미리 정해진 위치는 시점 리스트 이미지의 중앙의 위치이다.
사용자가 조작에 사용하는 입력 장치는 임의의 것일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컨대, 마우스, 키보드 또는 표시부와 입력부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로 구현된 표시 장치(20) 등일 수 있다.
표시 제어부(14)는 전방향 이미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입력에 따라 표시 이미지의 전방향 이미지를 변경하고, 전방향 이미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입력에 따라 새롭게 표시하는 전방향 이미지의 영역에 해당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이 시점 리스트 이미지의 중앙에 표시되도록 시점 리스트 이미지의 섬네일의 순서를 변경한다. 변경 전의 전방향 이미지와 변경 후의 전방향 이미지는 이미지로서 차이가 없고, 표시 제어부(14)가 표시될 전방향 이미지의 영역을 변경함으로써 표시 이미지의 전방향 이미지가 변경된다. 도 4 (a~c)를 참조하여 표시 이미지의 변경예에 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 (a~c)는 제1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20)에 표시되는 표시 이미지의 변경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b)의 전방향 이미지(30)는 시점(D)을 포함하는 영역의 이미지인 전방향 부분 이미지를 중앙에 포함하는 경우이며, 변경 전의 표시 이미지를 나타낸다.
도 4 (c)는 접수부(15)가 사용자로부터 시점(E)으로 변경하라는 지시를 접수한 경우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접수부(15)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표시 이미지에 포함되는 전방향 이미지의 표시를 시점(E)로 변경하라는 지시를 나타낸 입력을 접수한다. 해당 사용자의 조작은 전방향 이미지(30)상의 시점(E)을 지시하는 조작, 시점 리스트 이미지(40) 상의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401)(시점(E)을 포함하는 영역의 이미지인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을 선택하는 조작, 또는 시점 리스트 이미지(40)에 대한 스크롤 동작을 통해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401)을 시점 리스트 이미지의 중앙으로 하는 조작(시점 리스트 이미지(40)의 상태로부터 시점 리스트 이미지(41)의 상태로 하는 조작) 등이다.
접수부(15)가 사용자로부터 시점(E)로 변경하라는 입력을 접수하면, 표시 제어부(14)는 전방향 이미지(31) 및 시점 리스트 이미지(41)를 포함하는 표시 이미지를 표시한다. 즉, 표시 제어부(14)는 표시 이미지에 포함되는 전방향 이미지의 표시를, 시점(D)을 중앙으로 하는 전방향 이미지(30)로부터 시점(E)을 중앙으로 하는 전방향 이미지(31)로 변경한다. 또한, 동시에, 표시 제어부(14)는 표시 이미지에 포함되는 시점 리스트 이미지를 시점 리스트 이미지(40)으로부터 시점 리스트 이미지(41)로 변경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방향 이미지(31)는 시점(E)을 포함하는 영역인 전방향 부분 이미지를 중앙에 포함하는 전방향 이미지가 된다. 또한, 시점 리스트 이미지(41)는 전방향 이미지(31)에 포함되는 시점에 대응하는 섬네일을 시점 리스트 이미지(41)의 중앙에 표시하여, 시점(D, E, F)에 대응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크기를 확대한 시점 리스트 이미지가 된다.
또한, 도 4 (a)는 접수부(15)가 사용자로부터 시점(C)으로 변경하라는 지시를 접수한 경우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접수부(15)가 시점(C)으로 변경하라는 지시를 나타낸 조작을 사용자로부터 접수한 경우의 표시 제어부(14)의 동작은 시점(E)으로 변경하라는 지시를 나타낸 조작을 사용자로부터 접수한 경우와 같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4 (a)의 표시 이미지는 전방향 이미지(32) 및 시점 리스트 이미지(42)를 포함한다. 전방향 이미지(32)는 시점(C)을 포함하는 영역인 전방향 부분 이미지를 중앙에 포함하는 전방향 이미지이다. 시점 리스트 이미지(42)는 전방향 이미지(32)에 포함되는 시점에 대응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에 해당하는 섬네일을 시점 리스트 이미지(42)의 중앙에 표시하여, 시점(B∼D)에 대응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크기를 확대한 시점 리스트 이미지이다.
다음에, 표시 제어 장치(10)의 표시 제어 방법을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 전에, 전방향 이미지에 대한 위치를 나타낸 좌표 및 시점 리스트 정보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제1 실시 형태의 전방향 이미지에 대한 시점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장치(10)는 표시 장치(20)를 보고 있는 사용자가 촬영 지점에서 소정의 방향을 실제로 보고 있는 것과 같은 형식으로 표시 장치(20)에 표시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장치(10)는 전방향 이미지에 대한 지점을 구면 상의 지점에 대응시킴으로써, 전방향 이미지를 구면 상의 이미지로서 사용한다. 전방향 이미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이미지이므로, 그 곡률은 구면의 곡률과 다르다. 그러나, 전방향 이미지를 메르카토르 도법(Mercator projection)을 기초로 작성하는 것에 의해, 표시 제어 장치(10)는 전방향 이미지에 대한 지점을 구면 상의 지점에 대응되게 배열할 수 있다.
전방향 이미지에 대한 좌표는 구체의 중심점부터의 방위각(수평 방향의 좌표)과 구체의 중심점부터의 앙각(수직 방향의 좌표)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방위각은 시계 방향으로 0°∼360°의 범위의 값을 취한다. 앙각은 -90°∼90°의 범위의 값을 취한다. 따라서, 전방향 이미지에 대한 시점의 위치는 방위각과 앙각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전방향 부분 이미지는 전방향 이미지에 대한 임의의 시점을 이미지의 중앙에 포함하는 이미지이다. 따라서, 전방향 부분 이미지는 이미지의 중앙의 시점의 좌표(방위각 및 앙각)와 화각(카메라의 줌(zoom) 값)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카메라 앵글와 카메라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표시 장치(20)에 표시되는 전방향 이미지의 화각을 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화각, 카메라 앵글 및 카메라 위치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화각, 카메라 앵글 및 카메라 위치 간의 관계에 관해 소정의 범위(a∼d)와 구체적인 값(A∼D)을 예시하고 있다. 도 7은 상기 범위(a∼d)와 구체적인 값(A∼D) 간과의 기하학적인 위치관계를 나타낸다. 도 7의 원주는 전방향 이미지를 나타낸다. 화각은 중심점부터의 각도에 의해 구의 중심점으로부터의 전방향 이미지의 중앙에 포함되는 시점을 보는 경우의 광경(sight)의 범위(이미지의 크기)를 나타낸다. 이 광경의 범위에 의해 나타낸 전방향 이미지는 도 3 또는 도 4에 나타낸 전방향 이미지(30, 31, 32)에 해당한다.
카메라 앵글 및 카메라 위치에 의해 화각을 조정하는 경우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 A의 예(화각 60°)는 카메라 위치를 구의 중심(0.0)으로 설정하고 카메라 앵글을 60°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B의 예(화각 120°)는 카메라의 위치를 구의 중심에서 1.0만큼 후퇴시켜 -1.0으로 설정하고 카메라 앵글을 60°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C의 예(화각 240°)는 카메라의 위치를 구의 중심으로부터 1.0만큼 후퇴시켜 -1.0으로 설정하고 카메라 앵글을 120°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D의 예(화각 286°)는 카메라의 위치를 구의 중심에서 1.38만큼 후퇴시켜 -1.38로 설정하고 카메라 앵글을 120°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표시 제어부(14)는 이와 같이 카메라 앵글와 카메라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표시 장치(20)에 표시되는 전방향 이미지의 화각을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전방향 이미지의 화각을 120°(B의 예)로 고정한다. 전방향 이미지의 화각은 120°로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값으로 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8은 제1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장치(10)의 시점 리스트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시점 리스트 정보는 시점, 방위각, 앙각, 화각 및 섬네일을 포함한다. 시점은 시점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방위각은 전방향 이미지에 대한 시점의 수평 방향의 위치를 나타낸다. 앙각은 전방향 이미지에 대한 시점의 수직 방향의 위치를 나타낸다. 화각은 해당 시점을 이미지의 중앙에 포함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범위를 나타낸다. 섬네일은 시점 리스트 이미지에 표시되는 해당 시점의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축소 이미지이다.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전방향 이미지의 표시의 변경 처리와 시점 리스트 이미지의 표시의 변경 처리를 서로 연동시키는 것을 쉽게 이해 가능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 8에 예시된 예의 경우, 시점(A∼G)의 위치의 차이가 방위각에서만 생기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 화각은 수평 방향의 화각(수평 화각)으로서 설명한다.
또한, 시점 리스트 정보의 방위각, 앙각 및 화각의 값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시점의 위치의 차이가 방위각(수평 방향의 좌표)뿐만 아니라 앙각(수직 방향의 좌표)에도 생기는 경우의 예는 제3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다.
다음에, 제1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장치(10)의 표시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9는 제1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20)에 표시되는 표시 이미지의 변경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10을 참조하여, 표시 이미지의 전방향 이미지를 시점(D)을 중앙으로 하는 전방향 이미지(30)로부터 시점(E)을 중앙으로 하는 전방향 이미지(31)로 변경하는 경우의 처리를 설명한다.
표시 제어부(14)는 표시 장치(20)에 표시되는 전방향 이미지의 영역, 즉 표시되는 전방향 이미지를 결정한다(S1 단계). 표시 제어부(14)는, 처음으로 전방향 이미지를 표시하는 경우, 표시 장치(20)에 표시하는 전방향 이미지를 시점(D)을 포함하는 전방향 이미지(30)로 결정한다. 이것은 도 8의 시점 리스트 정보에 있어서 시점(D)을 전방향 이미지의 방위각 및 앙각의 기준(0°)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접수부(15)가 사용자로부터 시점의 변경을 나타내는 입력을 접수한 경우(후술하는 S6 단계: 예(YES)), 표시 제어부(14)가 시점의 변경을 나타내는 입력에 따라 표시 장치(20)에 표시되는 전방향 이미지를 결정한다. 이어서, 도 10 (a)에 나타낸 표시가 작성되는 흐름을 설명한다.
다음에, 표시 제어부(14)는 시점 리스트 화상에 표시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순서를 결정한다(S2 단계). 이후에는 표시 장치(20)에 표시되는 전방향 이미지가 S1 단계에서 시점(D)을 포함하는 전방향 이미지(30)로 결정된 경우를 예로써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표시 제어부(14)는 섬네일의 순서를 현재 표시되는 전방향 이미지(30)의 방위각(수평 방향의 좌표)에 따라 결정한다. 도 8에 나타낸 시점 리스트 정보의 예에서, 섬네일의 순서는 해당 섬네일에 대응하는 시점의 방위각 이 작은 순서대로, 시점(D)(0°), 시점(E)(50°), 시점(F)(100°), 시점(G)(150°), 시점(A)(200°), 시점(B)(250°), 시점(C)(300°)으로 된다. 방위각은 시계 방향으로 나타냄에 유의하여야 한다. 다음에, 표시 제어부(14)는 섬네일의 순서를 시점(D)에 대응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이 시점 리스트 이미지의 중앙에 오도록 재배열한다. 즉, 표시 제어부(14)는 시점(D)에 대응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을 중심으로 하여 중심으로부터 180°의 범위로 섬네일을 좌우로 분류한다. 시점(D)의 방위각이 0°이기 때문에, 좌측은 0°∼-180°(180°∼360°), 우측은 0°∼+180°이 된다. 따라서, 섬네일의 순서는 시점(A)(200°(-160°)), 시점(B)(250°(-110°)), 시점(C)(300°(-60°)), 시점(D)(0°), 시점(E)(50°), 시점(F)(100°), 시점(G)(150°)으로 된다.
다음에, 표시 제어부(14)는 시점 리스트 이미지에 표시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크기를 결정한다(S3 단계). 여기서, 표시 장치(20)에 표시하는 전방향 이미지가 S1 단계에서 시점(D)을 중앙에 포함하는 전방향 이미지(30)로 결정된 경우를 예로써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표시 제어부(14)는 전방향 이미지(30)에 포함되는 시점에 대응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크기를 확대한다. 도 8의 시점 리스트 정보를 참조하면, 시점(D)의 방위각 0°이며 화각은 120°이다. 또한, 모든 시점(A∼G)의 앙각은 0°이므로, 앙각의 차이에 의해 시점이 전방향 이미지의 범위를 결코 벗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표시 제어부(14)는 방위각이 전방향 이미지(30)의 화각의 범위 내에 포함되고 있는 시점에 대응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을 확대한다. 표시 제어부(14)는 시점(D)의 방위각 0°이고 시점(D)을 중앙에 포함하는 전방향 이미지(30)의 화각이 120°이므로, 방위각이 +60°∼-60°(300°)인 시점이 전방향 이미지(30)에 포함되는 것을 결정한다. 다음에, 표시 제어부(14)는 시점 리스트 정보로부터 방위각이 +60°∼-60°(300°)인 시점으로서 시점(C)(방위각 300°), 시점(D)(방위각 0°), 시점(E)(방위각 50°)을 식별한다. 이상의 과정에 의해, 표시 제어부(14)는 시점(C)(방위각 300°), 시점(D)(방위각 0°), 시점(E (방위각 50°)에 대응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을 크기를 확대하는 섬네일로 결정한다.
다음에, 표시 제어부(14)는 표시 장치(20)에 표시하는 시점 리스트 이미지에 표시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을 결정한다(S4 단계). 구체적으로, S1 단계에서 결정된 전방향 이미지와 시점 리스트 이미지의 크기에 따라, 시점 리스트 이미지에 표시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을 결정한다. 즉, S1에서 결정된 전방향 이미지에 포함되는 시점과 거리가 가까운 다른 시점의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을 거리가 가까운 순으로 소정의 수로 선택한다. 해당 예에서, 소정의 수는 4이다.
시점 리스트 이미지에 표시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경우, S3 단계에서 결정된 섬네일의 순서가 시점(A)(200°(-180°)), 시점(B)(250°(-110°)), 시점(C)(300°(-60°)), 시점(D)(0°), 시점(E)(50°), 시점(F)(100°), 시점(G)(150°)인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시점(D)(0°)이 시점 리스트 이미지의 중앙이 되기 때문에, 시점(B)(250°(-110°)), 시점(C)(300°(-60°)), 시점(D)(0°), 시점(E)(50°), 시점(F)(100°)에 대응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을 표시한다. 즉, 시점(A)(200°(-180°)) 및 시점(G)(150°)에 대응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표시는 "...."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생략한다.
표시 제어부(14)는 S1 단계에서 결정한 전방향 이미지와 S2∼S4 단계에서 작성한 시점 리스트 이미지를 포함하는 표시 이미지를 표시 장치(20)에 표시한다(S5 단계). 이러한 흐름의 제어에 의해 도 10 (a)의 표시가 이루어진다.
다음에, 도 10 (a)에 나타낸 표시로부터 도 10 (b)에 나타낸 표시로 변경하는 흐름을 설명한다. 우선, 접수부(15)는 사용자로부터 전방향 이미지의 변경(시점의 변경)을 나타낸 입력의 접수 여부를 판정하고(S6 단계), 시점의 변경을 나타내는 입력을 접수하고 있지 않은 경우(S6 단계, 아니오(No)),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전방향 이미지의 변경(시점의 변경)을 나타낸 입력을 검출하는 처리를 계속한다.
시점의 변경을 나타내는 입력을 접수한 경우(S6 단계, 예(Yes)), S1 단계로 복귀한다. 여기서, 접수부(15)가 전방향 이미지의 표시를 시점(E)을 중앙에 포함하는 전방향 이미지로 변경하는 것을 나타낸 입력을 접수한 경우를 예로써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표시 제어부(14)는 표시 장치(20)에 표시하는 전방향 이미지를 시점(E)을 중앙에 포함하는 전방향 이미지(31)로 결정한다(S1 단계).
다음에, 표시 제어부(14)는 시점 리스트 이미지에 표시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순서를 결정한다(S2 단계). 우선, 표시 제어부(14)는 섬네일의 순서를 방위각(수평 방향의 좌표)에 따라 결정한다. 도 8의 시점 리스트 정보의 예에서, 섬네일의 순서는 해당 섬네일에 대응하는 시점의 방위각이 작은 순서대로, 시점(D)(0°), 시점(E)(50°), 시점(F)(100°), 시점(G)(150°), 시점(A)(200°), 시점(B)(250°), 시점(C)(300°)으로 된다. 방위각은 시계 방향으로 나타냄에 유의하여야 한다. 다음에, 표시 제어부(14)는 섬네일의 순서를 시점(E)에 대응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31)의 섬네일이 시점 리스트 이미지의 중앙이 되도록 재배열한. 즉, 표시 제어부(14)는 시점(E)에 대응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31)의 섬네일을 중심으로 하여 중심으로부터 180°의 범위에서 섬네일을 좌우로 분류한다. 시점(E)이 방위각이 50°이기 때문에, 좌측은 50°∼-130°(230°∼360°및 0°∼50°), 우측은 50°∼+230°이 된다. 따라서, 섬네일의 순서는 시점(B)(250°(-110°)), 시점(C)(300°(-60°)), 시점(D)(0°), 시점(E)(50°), 시점(F)(100°), 시점(G)(150°), 시점(A)(200°(-180°))으로 된다.
다음에, 표시 제어부(14)는 시점 리스트 이미지에 표시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크기를 결정한다(S3 단계). 도 10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제어부(14)는 전방향 이미지(31)에 포함되는 시점에 대응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크기를 확대한다. 도 8의 시점 리스트 정보를 참조하면, 시점(E)의 방위각은 50°이고 화각은 120°이다. 또한, 모든 시점(A∼G)의 앙각은 0°이므로, 앙각의 차이에 의해 시점이 전방향 이미지(31)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은 없다. 따라서, 표시 제어부(14)는 방위각이 전방향 이미지(31)의 화각의 범위 내에 포함되고 있는 시점에 대응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을 확대한다. 표시 제어부(14)는 시점(E)의 방위각이 50°이고 시점(E)를 중앙에 포함하는 전방향 이미지(31)의 화각이 120°이므로, 방위각이 -10°(350°)∼+110°인 시점이 전방향 이미지(31)에 포함되는 것을 결정한다. 다음에, 표시 제어부(14)는 시점 리스트 정보로부터 방위각이 -10°(350°)∼+110°인 시점으로서, 시점(D)(방위각 0°), 시점(E)(방위각 50°), 시점(F)(100°)을 식별한다. 이상의 과정에 의해 표시 제어부(14)는 시점(D)(방위각 0°), 시점(E)(방위각 50°), 시점(F)(100°)에 대응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크기를 확대하는 것을 결정한다.
다음에, 표시 제어부(14)는 표시 장치(20)에 표시하는 시점 리스트 이미지에 표시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을 결정한다(S4 단계). 시점(E)(50°)이 시점 리스트 이미지의 중앙이 되기 때문에, 시점(C)(300°(-60°)), 시점(D)(0°), 시점(E)(50°), 시점(F)(100°), 시점(G)(150°)에 대응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을 표시한다. 즉, 시점(B)(250°(-110°)) 및 시점(A)(200°(-180°))에 대응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표시는 "...."으로서 생략한다.
이상의 흐름도의 처리를 요약하면, 표시 장치(20)에 표시되는 표시 이미지는 도 10 (a)에 표시된 것으로부터 도 10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앙각이 동일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후술하는 변형례로 나타낸 도 14를 참조하면, 앙각이 다른 시점을 포함하는 경우라도, 전방향 이미지(60)이 표시되어 있는 범위 내의 시점인 시점(b, d, e, f, h)의 섬네일이 확대되는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장치(10)의 표시 제어부(14)는 전방향 이미지의 변경(전방향 이미지를 표시하는 영역의 변경으로도 간주될 수 있다)를 나타낸 입력에 따라 새롭게 표시하는 전방향 이미지의 영역에 해당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을 시점 리스트 이미지의 중앙에 표시함과 동시에 표시 이미지의 전방향 이미지에 포함되는 시점을 중앙에 포함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크기를 확대한다. 따라서, 화면에 현재 표시되어 있는 이미지의 표시 범위와 이미지에 대한 시점의 리스트를 나타낸 정보 사이의 관계를 명확히 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제2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장치(10)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장치(10)의 표시 제어부(14)는 표시 이미지의 전방향 이미지에 포함되는 시점을 중앙에 포함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크기를 표시 이미지의 전방향 이미지에 포함되지 않는 시점을 중앙에 포함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크기보다도 작게 한다. 즉, 제1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장치(10)는 표시 장치(20)에 표시되어 있는 시점의 섬네일을 시점 리스트 이미지로 강조하지만, 제2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장치(10)는 표시 장치(20)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시점의 섬네일을 시점 리스트 이미지로 강조한다.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장치(10)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장치(10)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설명은 제1 실시 형태의 설명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예를 기초로 제1 실시 형태와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20)에 표시되는 표시 이미지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 참조한 도 3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그러나, 시점 리스트 이미지(50)이 제1 실시 형태의 시점 리스트 이미지(40)과는 다르다. 즉, 표시 제어부(14)는 전방향 이미지(30)에 포함되고 있지 않은 시점(A, B, F, G)의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을 확대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14)는 전방향 이미지(30)에 포함되고 있는 시점(C, D, E)의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을 확대하지 않는다. 시점(D)의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은 생략되어 있지만, 시점(D)의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을 생략하지 않고 표시될 수 있다.
도 12 (a~c)는 제2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20)에 표시되는 표시 이미지의 변경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제1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 참조한 도 4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2 (b)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시점(D)을 전방향 이미지의 중앙에 포함하는 경우이며, 변경 전의 표시 이미지를 나타낸다. 접수부(15)가 사용자로부터 시점(E)로 변경하라는 지시를 접수한 경우, 표시 제어부(14)는 전방향 이미지(31) 및 시점 리스트 이미지(51)을 포함하는 도 12 (c)에 나타낸 표시 이미지를 표시한다. 우선, 전방향 이미지(31) 및 시점 리스트 이미지(51)을 설명한다. 전방향 이미지(31)는 시점(E)가 포함되어 있는 표시가 되도록 영역이 설정된 전방향 이미지이다. 시점 리스트 이미지(51)은 시점(E) 등의 전방향 이미지(31)에 포함되는 시점에 대응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을 생략한 "...."을 시점 리스트 이미지(51)의 중앙에 표시하고, 전방향 이미지(31)에 포함되고 있지 않은 시점(B, C, G, A)에 대응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크기를 확대한 시점 리스트 이미지이다.
또한, 접수부(15)가 사용자로부터 시점(C)으로 변경하라는 지시를 접수한 경우, 즉, 도 12 (a)에 표시된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 표시 제어부(14)는 전방향 이미지(32) 및 시점 리스트 이미지(52)을 포함하는 표시 이미지를 표시한다. 전방향 이미지(32)는 시점(C)이 포함되어 있는 표시가 되도록 영역이 설정된 전방향 이미지이다. 시점 리스트 이미지(52)은 시점(C) 등의 전방향 이미지(32)에 포함되는 시점에 대응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을 생략한 "...."을 시점 리스트 이미지(52)의 중앙에 표시하고, 전방향 이미지(32)에 포함되고 있지 않은 시점(G, A, E, F)에 대응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크기를 확대한 시점 리스트 이미지이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앙각이 동일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후술하는 변형례로 표시된 도 14를 참조하면, 앙각이 다른 시점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전방향 이미지(60)이 표시되어 있는 범위 밖의 시점인 시점(a, c, g, i)의 섬네일이 확대되는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장치(10)의 표시 제어부(14)는 표시 이미지의 전방향 이미지에 포함되지 않는 시점을 중앙에 포함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크기를 확대함으로써, 시점 리스트 이미지의 섬네일의 크기를 구별한다. 이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이미지의 표시 범위와 이미지에 대한 시점의 리스트를 나타낸 정보 사이의 관계를 명확히 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이미 전방향 이미지에 표시되어 있는 시점 대신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시점의 섬네일을 표시하는 것으로, 다른 시점의 존재를 강조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제3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장치(10)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장치(10)의 표시 제어부(14)는 해당 표시 제어부(14)가 방위각뿐만 아니라 앙각도 다른 복수의 시점이 전방향 이미지에 존재하는 경우의 표시를 제어한다는 점이 제1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장치(10)와 다르다.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장치(10)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장치(10)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설명은 제1 실시 형태의 설명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예에 기초로 제1 실시 형태와의 차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장치(10)의 시점 리스트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시점 리스트 정보는 시점, 방위각, 앙각, 수평 화각, 수직 화각 및 섬네일을 포함한다. 시점은 시점을 식별하기 위한 정보이다. 방위각은 전방향 이미지에 대한 시점의 수평 방향의 위치를 나타낸다. 수평 화각은 해당 시점을 이미지의 중앙에 포함하는 전방향 이미지의 수평 방향의 범위를 나타낸다. 수직 화각은 해당 시점을 이미지의 중앙에 포함하는 전방향 이미지의 수직 방향의 범위를 나타낸다. 섬네일은 시점 리스트 이미지에 표시하는 해당 시점을 중앙에 포함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축소 이미지이다. 도 13의 시점 리스트 정보에 포함되는 시점(a∼i)의 전방향 이미지에 대한 좌표는 수평 방향의 좌표를 방위각으로 하고 수직 방향의 좌표를 앙각으로 하는 것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도 14는 제3 실시 형태의 표시 장치(20)에 표시되는 표시 이미지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표시 이미지는 전방향 이미지(60) 및 시점 리스트 이미지(70)을 포함한다. 도 14의 전방향 이미지(60)은 전방향 이미지에 대한 시점(e)을 이미지의 중앙에 포함하는 경우의 예이다. 즉, 표시 장치(20)가 시점(e)을 중앙으로 한 표시에 대응하는 전방향 이미지(60)을 표시하고 있는 경우의 예이다. 전방향 이미지(60) 시점(e) 이외에 이미지의 좌측의 시점(b), 이미지의 우측의 시점(h), 이미지의 중앙의 상측의 시점(d), 이미지의 중앙의 아래쪽의 시점(f)을 포함한다. 시점(a), 시점(c), 시점(g) 및 시점(i)은 전방향 이미지(60)의 표시 범위 밖에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범위 밖에 있더라도, 전방향 이미지는 존재하고 있고 이 전방향 이미지(60)은 표시 영역에 표시된 전방향 이미지임을 의미한다.
도 14의 시점 리스트 이미지(70)은 표시 장치(20)의 화면 하부에 표시되는 경우의 예이다. 시점 리스트 이미지(70)은 시점(a∼i)에 대응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이 표시되어 있다. 표시 제어부(14)는 시점(e)에 대응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60)의 섬네일을 시점 리스트 이미지(70)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장치(10)에서 해당 미리 정해진 위치는 시점 리스트 이미지의 중앙의 위치이다.
다음에, 시점 리스트 이미지(70)의 섬네일의 크기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부(14)는 크기를 확대하는 시점 리스트 이미지(70)의 섬네일을 다음과 같이 결정한다. 우선, 표시 제어부(14)는 전방향 이미지(60)의 수평 화각과 수직 화각, 그리고 각 시점의 좌표(방위각 및 앙각)를 기초로 하여, 전방향 이미지(60)에 포함되는 시점이 시점(b), 시점(d), 시점(e), 시점(f) 및 시점(h)인 것을 식별한다. 표시 제어부(14)는 시점의 좌표의 수평 방향(방위각)에 관하여는 전방향 이미지(60)의 수평 화각에 의해 시점이 이미지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표시 제어부(14)는 시점의 좌표의 수직 방향(앙각)에 관하여는 전방향 이미지(60)의 수직 화각에 의해 시점이 이미지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표시 이미지의 전방향 이미지에 시점이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의 설명은 제1 실시 형태의 설명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표시 제어부(14)는 전방향 이미지(60)의 중앙에 포함되는 시점(e)의 섬네일을 확대하는 것을 결정한다. 다음에, 표시 제어부(14)는 전방향 이미지(60)의 중앙 이외에 포함되는 시점에 관해서, 해당 시점을 중앙에 포함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을 확대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표시 제어부(14)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60)의 표시 범위에 포함되는 시점 중, 도 13의 시점 리스트 정보의 각 시점의 앙각을 참조하여, 전방향 부분 이미지(60)의 중앙에 포함하는 시점(e)과 동일한 앙각(0°) 또는 소정의 범위 내의 앙각(예컨대, ± 10°)을 갖는 시점을 식별한다. 해당 시점은 시점(b) 및 시점(h)이다. 표시 제어부(14)는 시점(b)를 중앙에 포함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 및 시점(h)을 중앙에 포함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크기를 확대하는 것을 결정한다. 요약하면, 표시 제어부(14)는 시점(b), 시점(e), 및 시점(h)에 대응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크기를 확대한다.
다시 말해서, 표시 제어부(14)는 전방향 이미지(60)의 표시 범위에 포함되는 시점 중, 표시 이미지의 전방향 이미지(60)의 중앙에 포함되는 시점(e)의 좌표와는 수직 방향의 좌표가 다른 시점(시점(d) 및 시점(f))을 중앙에 포함하는 상기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크기는 확대하지 않는다. 또한, 표시 제어부(14)는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같이, 전방향 이미지(60)의 표시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시점을 중앙에 포함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은 확대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장치(10)의 표시 제어부(14)는 표시 이미지의 전방향 이미지에 포함되는 시점 중, 표시 이미지의 전방향 이미지의 중앙에 포함되는 시점의 좌표와는 수직 방향의 좌표가 다른 시점을 중앙에 포함하는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크기는 확대하지 않는다. 본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장치(10)에 따르면, 시점의 차이가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생기는 경우에도, 현재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이미지의 표시 범위와 이미지에 대한 시점의 리스트를 나타내는 정보 사이의 관계를 명확히 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변형례로서, 수평 방향의 좌표가 다른 경우, 상이한 시점의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크기는 확대하지 않고, 수직 방향의 좌표가 동일하거나 소정의 범위 내에 포함되고 있는 시점의 전방향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 14에 나타낸 시점 리스트 이미지(70)의 섬네일로서는 시점(e, d, f)의 섬네일이 확대되고 시점(b, h)의 섬네일이 확대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제1∼제3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장치(10)의 주요부의 하드웨어구성을 설명한다. 도 15는 제1∼제3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장치(10)의 주요부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1∼제3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장치(10)는 제어 장치(81)와, 주기억 장치(82)와, 보조 기억 장치(83)와, 입력 장치(84)와, 통신 장치(85)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81), 주기억 장치(82), 보조 기억 장치(83), 입력 장치(84) 및 통신 장치(85)는 버스(86)를 통해 상호 접속되어 있다.
제어 장치(81)는 보조 기억 장치(83)로부터 주기억 장치(82)에 판독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주기억 장치(82)는 ROM과 RAM 등의 메모리이다. 보조 기억 장치(83)는 예컨대, 하드 디스크 등이다. 입력 장치(84)는 표시 제어 장치(10)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통신 장치(85)는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제1∼제3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장치(10)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설치 가능한 형식 또는 실행 가능한 형식의 파일로 CD-ROM, 메모리 카드, CD-R 및 DVD(Digital Versatile Disk) 등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제3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장치(10)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컴퓨터 상에 저장하여, 그 네트워크를 경유한 다운로드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제3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장치(10)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다운로드를 통하지 않고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거나 배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제3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장치(10)의 프로그램은 ROM 등에 미리 설치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제1∼제3 실시 형태의 표시 제어 장치(10)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은 전술한 표시 제어 장치(10)의 각 기능 블록 중 프로그램으로서 실현 가능한 기능 블록(취득부(11), 생성부(13), 표시 제어부(14) 및 접수부(15))을 포함하는 모듈 구성을 가진다.
해당 모듈은 실제의 하드웨어로서는 제어 장치(81)가 상기 기록 매체로부터 프로그램을 독출하여 실행함으로써 상기 각 모듈이 주기억 장치(82) 상에 로딩된다. 즉, 상기 각 모듈은 주기억 장치(82) 상에 생성된다. 표시 제어 장치(10)의 각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전부는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하지 않고 IC(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10: 표시 제어 장치
11: 취득부
12: 기억부
13: 생성부
14: 표시 제어부
15: 접수부
20: 표시 장치
81: 제어 장치
82: 주기억 장치
83: 보조 기억 장치
84: 입력 장치
85: 통신 장치
86: 버스

Claims (17)

  1.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이미지로부터, 상기 이미지의 일부의 영역의 이미지이고 상기 이미지에 대한 임의의 시점을 중앙에 포함하는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는 생성부;
    복수의 상기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thumbnail)의 리스트인 시점 리스트 이미지 및 상기 이미지를 포함하는 표시 이미지를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 및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시점 리스트 이미지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이루어진 조작에 따라, 상기 표시 이미지에서의 상기 이미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입력을 접수하는 접수부
    로서 기능하게 하며,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입력에 따라 상기 표시 이미지 중의 상기 이미지를 변경하고, 상기 이미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입력에 따라 새롭게 표시될 상기 이미지의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이 상기 시점 리스트 이미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표시되도록 상기 시점 리스트 이미지의 상기 섬네일의 순서를 변경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전방향(omnidirectional) 이미지인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는 상기 시점 리스트 이미지의 중앙의 위치인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이미지 중의 상기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의 시점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표시 이미지 중의 상기 이미지에 포함되는 상기 시점을 중앙에 포함하는 상기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크기를 상기 표시 이미지 중의 상기 이미지에 포함되지 않는 상기 시점을 중앙에 포함하는 상기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크기보다 크게 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표시 이미지 중의 상기 이미지에 포함되는 상기 시점을 중앙에 포함하는 상기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크기를 상기 표시 이미지 중의 상기 이미지에 포함되지 않는 상기 시점을 중앙에 포함하는 상기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크기보다 작게 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점은 수평 방향의 좌표와 수직 방향의 좌표에 의해 표현되며,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시점 리스트 이미지의 상기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순서를 상기 수평 방향의 좌표에 기반하여 배열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에 대해 행해지는 조작은 상기 이미지 위를 상기 시점으로 지정하는 조작인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점 리스트 이미지에 대해 행해지는 조작은, 상기 시점 리스트 이미지의 상기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을 선택하는 조작 및 상기 시점 리스트 이미지 상의 스크롤링에 의해 상기 시점 리스트 이미지의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 표시되는 상기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을 변경하는 조작 중 어느 하나인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9.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이미지로부터, 상기 이미지의 일부의 영역의 이미지이고 상기 이미지에 대한 임의의 시점을 중앙에 포함하는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는 생성부;
    복수의 상기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리스트인 시점 리스트 이미지 및 상기 이미지를 포함하는 표시 이미지를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 및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시점 리스트 이미지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이루어진 조작에 따라, 상기 표시 이미지에서의 상기 이미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입력을 접수하는 접수부
    로서 기능하게 하며,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입력에 따라 상기 표시 이미지 중의 상기 이미지를 변경하고, 상기 이미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입력에 따라 새롭게 표시될 상기 이미지의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크기를 변경하는 것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10. 표시 제어 장치에 있어서,
    이미지로부터, 상기 이미지의 일부의 영역의 이미지이고 상기 이미지에 대한 임의의 시점을 중앙에 포함하는 부분 이미지를 생성하는 생성부;
    복수의 상기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리스트인 시점 리스트 이미지 및 상기 이미지를 포함하는 표시 이미지를 표시 장치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부; 및
    상기 이미지 및 상기 시점 리스트 이미지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이루어진 조작에 따라, 상기 표시 이미지에서의 상기 이미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입력을 접수하는 접수부
    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입력에 따라 상기 표시 이미지 중의 상기 이미지를 변경하고, 상기 이미지의 변경을 나타내는 입력에 따라 새롭게 표시될 상기 이미지의 영역에 해당하는 상기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이 상기 시점 리스트 이미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표시되도록 상기 시점 리스트 이미지의 상기 섬네일의 순서를 변경하는 것인, 표시 제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전방향 이미지인 것인, 표시 제어 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는 상기 시점 리스트 이미지의 중앙의 위치인 것인, 표시 제어 장치.
  13.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이미지 중의 상기 이미지는 적어도 하나의 시점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표시 이미지 중의 상기 이미지에 포함되는 상기 시점을 중앙에 포함하는 상기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크기를 상기 표시 이미지 중의 상기 이미지에 포함되지 않는 상기 시점을 중앙에 포함하는 상기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크기보다 크게 하는 것인, 표시 제어 장치.
  14.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표시 이미지 중의 상기 이미지에 포함되는 상기 시점을 중앙에 포함하는 상기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크기를 상기 표시 이미지 중의 상기 이미지에 포함되지 않는 상기 시점을 중앙에 포함하는 상기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크기보다 작게 하는 것인, 표시 제어 장치.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점은 수평 방향의 좌표와 수직 방향의 좌표에 의해 표현되며,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시점 리스트 이미지의 상기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의 순서를 상기 수평 방향의 좌표에 기반하여 배열하는 것인, 표시 제어 장치.
  16. 제10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에 대해 행해지는 조작은 상기 이미지 위를 상기 시점으로 지정하는 조작인 것인, 표시 제어 장치.
  17. 제10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점 리스트 이미지에 대해 행해지는 조작은, 상기 시점 리스트 이미지의 상기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을 선택하는 조작 및 상기 시점 리스트 이미지 상의 스크롤링에 의해 상기 시점 리스트 이미지의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에 표시되는 상기 부분 이미지의 섬네일을 변경하는 조작 중 어느 하나인 것인, 표시 제어 장치.
KR1020167000386A 2013-07-08 2014-06-25 표시 제어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19153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43056 2013-07-08
JP2013143056A JP6167703B2 (ja) 2013-07-08 2013-07-08 表示制御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PCT/JP2014/067598 WO2015005184A1 (en) 2013-07-08 2014-06-25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719A true KR20160018719A (ko) 2016-02-17
KR101915369B1 KR101915369B1 (ko) 2018-11-05

Family

ID=52279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0386A KR101915369B1 (ko) 2013-07-08 2014-06-25 표시 제어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0360658B2 (ko)
EP (1) EP3019939B1 (ko)
JP (1) JP6167703B2 (ko)
KR (1) KR101915369B1 (ko)
CN (1) CN105359075B (ko)
CA (1) CA2917196C (ko)
HK (1) HK1219329A1 (ko)
MX (1) MX353457B (ko)
MY (1) MY177986A (ko)
RU (1) RU2643445C2 (ko)
SG (1) SG11201510472YA (ko)
WO (1) WO2015005184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6216A (ko) * 2016-09-02 2018-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80027132A (ko) * 2016-09-06 2018-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43098A (ko) * 2016-10-19 2018-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80046681A (ko) * 2016-10-28 2018-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모바일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80062867A (ko) * 2016-12-01 2018-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US10349046B2 (en) 2016-07-28 2019-07-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for displaying 360-degree image on plurality of screens, each screen representing a different angle of the 360-degree image
WO2019194529A1 (ko) * 2018-04-05 2019-10-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뷰포인트들을 포함하는 3차원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82822A1 (en) * 2014-12-19 2016-06-23 Sony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rmiing a front facing view of and centering an omnidirectional image
JP5987931B2 (ja) 2015-02-09 2016-09-07 株式会社リコー 映像表示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映像表示方法、映像表示プログラム、映像処理装置、映像処理方法および映像処理プログラム
JP6497965B2 (ja) * 2015-02-23 2019-04-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EP3070942B1 (en) * 2015-03-17 2023-11-22 InterDigital CE Patent Holdings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light field video data
JP6636252B2 (ja) * 2015-03-19 2020-01-29 株式会社メガチップス 投影システム、プロジェクター装置、撮像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037072B2 (ja) * 2016-03-22 2016-11-30 株式会社リコー 映像表示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映像表示方法および映像表示プログラム
KR102474745B1 (ko) * 2016-06-02 2022-12-05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모니터링 장치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20180017944A (ko) * 2016-08-11 2018-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80020386A (ko) * 2016-08-18 2018-0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80031437A (ko) * 2016-09-20 2018-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37721A (ko) * 2016-10-05 2018-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37725A (ko) * 2016-10-05 2018-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89853B1 (ko) * 2016-10-27 2023-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JP7020024B2 (ja) * 2016-11-30 2022-02-16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80070297A (ko) * 2016-12-16 2018-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789671B2 (en) 2016-12-28 2020-09-29 Ricoh Company, Ltd.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nd recording medium
US10503456B2 (en) * 2017-05-05 2019-12-10 Nvid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ndering perspective-correct images for a tilted multi-display environment
US10687119B2 (en) 2017-06-27 2020-06-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for providing multiple virtual reality views
KR102422929B1 (ko) * 2017-08-16 2022-07-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102396526B1 (ko) * 2017-09-29 2022-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166079B2 (en) * 2017-12-22 2021-11-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iewport selection for hypervideo presentation
US11006154B2 (en) * 2018-04-04 2021-05-11 DISH Technologies L.L.C. Selected replacement of digital imagery portions using augmented reality
TWI698117B (zh) * 2018-08-07 2020-07-01 宏碁股份有限公司 多媒體檔案的產生方法與播放方法、多媒體檔案產生裝置與多媒體檔案播放裝置
JP2020042064A (ja) * 2018-09-06 2020-03-19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撮像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7268369B2 (ja) * 2019-01-30 2023-05-08 株式会社リコー 撮像システム、現像システム、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419723B2 (ja) 2019-09-25 2024-01-2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WO2021140274A1 (en) * 2020-01-07 2021-07-15 Nokia Technologies Oy A method, an apparatus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video encoding and video decod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8028A (ja) 2008-12-22 2010-07-01 Olympus Imaging Corp 観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56567B (en) * 1991-06-05 1995-01-11 Sony Broadcast & Communication Modelling system for imaging three-dimensional models
US6977676B1 (en) * 1998-07-08 2005-12-20 Canon Kabushiki Kaisha Camera control system
JP2001186334A (ja) * 1999-12-27 2001-07-06 Canon Inc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WO2001089221A1 (en) * 2000-05-18 2001-11-22 Imove Inc. Multiple camera video system which displays selected images
US6882350B2 (en) * 2000-08-07 2005-04-19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storage medium and program
WO2002059676A1 (en) * 2001-01-26 2002-08-01 Wavegroup Ltd. Spherical view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EP1363246A4 (en) * 2001-02-23 2006-11-08 Fujitsu Ltd "DISPLAY CONTROL DEVICE, INFORMATION EQUIPMENT EQUIPPED WITH THE DISPLAY CONTROL DEVICE AND VIEWPOINT POSITION CONTROL DEVICE"
JP2003141562A (ja) * 2001-10-29 2003-05-16 Sony Corp 非平面画像の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記憶媒体、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161411B2 (en) * 2003-04-25 2012-04-17 Apple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browsing, searching and presenting media items
JP3744002B2 (ja) * 2002-10-04 2006-02-08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撮像装置、および撮像/表示システム
US7823058B2 (en) * 2002-12-30 2010-10-26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ractive point-of-view authoring of digital video content
US7082572B2 (en) * 2002-12-30 2006-07-25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eractive map-based analysis of digital video content
JP2005176301A (ja) * 2003-11-11 2005-06-30 Canon Inc 画像処理装置、ネットワークカメラ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5234663A (ja) * 2004-02-17 2005-09-02 Seiko Epson Corp ファイルの一覧表示
JP2007043225A (ja) * 2005-07-29 2007-02-15 Univ Of Electro-Communications 撮像画像処理装置及び撮像画像処理方法
US8160400B2 (en) * 2005-11-17 2012-04-17 Microsoft Corporation Navigating images using image based geometric alignment and object based controls
US9070402B2 (en) * 2006-03-13 2015-06-30 Autodesk, Inc. 3D model presentation system with motion and transitions at each camera view point of interest (POI) with imageless jumps to each POI
US8866883B2 (en) * 2007-06-29 2014-10-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ynchronized views of video data and three-dimensional model data
US7823076B2 (en) * 2007-07-13 2010-10-26 Adobe Systems Incorporated Simplified user interface navigation
US20100122208A1 (en) * 2007-08-07 2010-05-13 Adam Herr Panoramic Mapping Display
US9052797B2 (en) 2007-09-26 2015-06-09 Autodesk, Inc. Navigation system for a 3D virtual scene
US8791984B2 (en) * 2007-11-16 2014-07-29 Scallop Imaging, Llc Digital security camera
JP5194776B2 (ja) * 2007-12-21 2013-05-08 株式会社リコー 情報表示システム、情報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151215B2 (en) * 2008-02-07 2012-04-03 Sony Corporation Favorite GUI for TV
US8786596B2 (en) * 2008-07-23 2014-07-22 Disney Enterprises, Inc. View point representation for 3-D scenes
JP4760892B2 (ja) * 2008-10-10 2011-08-31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31193B1 (ko) * 2008-11-18 2015-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맵 제어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1411593B1 (ko) * 2009-09-14 2014-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JP5464955B2 (ja) 2009-09-29 2014-04-09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パノラマ画像表示装置
JP5063671B2 (ja) * 2009-12-11 2012-10-31 京セラ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4716205B1 (ja) 2009-12-25 2011-07-06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オブジェクト画像表示装置、オブジェクト画像表示方法、オブジェクト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5663920B2 (ja) * 2010-03-29 2015-02-04 株式会社ニコン 電子機器、およびパノラマ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2011210138A (ja) * 2010-03-30 2011-10-20 Sony Corp 電子機器、画像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858626B2 (ja) 2010-04-16 2012-01-1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EP2426929A1 (en) 2010-09-06 2012-03-0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AB (Publ) Viewpoint navigation
US9282321B2 (en) * 2011-02-17 2016-03-08 Legend3D, Inc. 3D model multi-reviewer system
US9020241B2 (en) * 2011-03-03 2015-04-2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mage providing device, image providing method, and image providing program for providing past-experience images
US8907968B2 (en) * 2011-03-31 2014-12-09 Panasonic Corporation Image rendering device, image rendering method, and image rendering program for rendering stereoscopic panoramic images
US9692965B2 (en) * 2011-04-25 2017-06-27 Mitsuo Hayashi Omnidirectional image editing program and omnidirectional image editing apparatus
JP5772202B2 (ja) * 2011-05-12 2015-09-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電子機器および表示制御方法
KR101249901B1 (ko) * 2011-06-22 2013-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US20130054319A1 (en) * 2011-08-29 2013-02-28 United Video Propert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esenting a three-dimensional media guidance application
US20130178257A1 (en) * 2012-01-06 2013-07-11 Augaroo,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acting with virtual objects in augmented realities
US20150153933A1 (en) * 2012-03-16 2015-06-04 Google Inc. Navigating Discrete Photos and Panoramas
US9153073B2 (en) * 2012-05-23 2015-10-06 Qualcomm Incorporated Spatially registered augmented video
JP6041535B2 (ja) * 2012-05-29 2016-12-07 株式会社トプコン 画像取得方法及び撮影装置
JP5467123B2 (ja) * 2012-05-30 2014-04-09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6186775B2 (ja) 2012-05-31 2017-08-30 株式会社リコー 通信端末、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156051A (ja) * 2012-06-06 2015-08-27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2014112302A (ja) * 2012-12-05 2014-06-19 Ricoh Co Ltd 所定領域管理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75066B2 (ja) * 2012-12-28 2017-02-0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管理システム、画像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25279B2 (ja) * 2013-02-27 2015-12-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40267589A1 (en) * 2013-03-14 2014-09-18 Dai Nippon Printing Co., Ltd. Free viewpoint video display apparatus
US9164653B2 (en) * 2013-03-15 2015-10-20 Inspace Technologies Limited Three-dimensional space for navigating objects connected in hierarchy
CN110401795A (zh) * 2013-04-30 2019-11-01 索尼公司 图像处理装置、图像处理方法和程序
KR102067620B1 (ko) * 2013-05-21 2020-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파노라마 사진의 썸네일 이미지 표시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8028A (ja) 2008-12-22 2010-07-01 Olympus Imaging Corp 観察装置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49046B2 (en) 2016-07-28 2019-07-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 for displaying 360-degree image on plurality of screens, each screen representing a different angle of the 360-degree image
KR20180026216A (ko) * 2016-09-02 2018-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0467987B2 (en) 2016-09-02 2019-11-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80027132A (ko) * 2016-09-06 2018-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43098A (ko) * 2016-10-19 2018-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80046681A (ko) * 2016-10-28 2018-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모바일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80062867A (ko) * 2016-12-01 2018-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WO2019194529A1 (ko) * 2018-04-05 2019-10-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의 뷰포인트들을 포함하는 3차원 컨텐트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516454B2 (en) 2018-04-05 2022-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ree-dimensional content including multiple view poi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6000007A (es) 2016-03-09
CN105359075B (zh) 2018-08-24
US10360658B2 (en) 2019-07-23
EP3019939B1 (en) 2018-12-19
EP3019939A4 (en) 2016-08-10
EP3019939A1 (en) 2016-05-18
WO2015005184A1 (en) 2015-01-15
MX353457B (es) 2018-01-15
KR101915369B1 (ko) 2018-11-05
RU2015155277A (ru) 2017-08-11
RU2643445C2 (ru) 2018-02-01
CN105359075A (zh) 2016-02-24
HK1219329A1 (zh) 2017-03-31
CA2917196A1 (en) 2015-01-15
JP6167703B2 (ja) 2017-07-26
JP2015018296A (ja) 2015-01-29
US20160132991A1 (en) 2016-05-12
MY177986A (en) 2020-09-28
CA2917196C (en) 2019-08-06
SG11201510472YA (en) 2016-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5369B1 (ko) 표시 제어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US9723203B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a target user interface for capturing panoramic images
US9667864B2 (en) Image conversion apparatus, camera, image convers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with program stored therein
US2013026531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quality of enlarged image
EP3008888B1 (en) Imaging system and imaging method, and program
KR102225617B1 (ko) 영상 정합 알고리즘을 설정하는 방법
JP2015201704A (ja) 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WO2018101227A1 (ja) 表示制御装置、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表示制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5018013A (ja) 表示制御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23033288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O2015156149A1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11184545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imag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display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JP2019029721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WO2018189971A1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端末装置、画像補正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5889022B2 (ja)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86411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検索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7016166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6443505B2 (ja) プログラム、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JP6405539B2 (ja) 多視点画像に対するラベル情報の処理装置及びそのラベル情報の処理方法
KR101565926B1 (ko) 저시력자를 위한 영상보정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20108112A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7059829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108111A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CN113170077A (zh) 显示装置
JP2014078861A (ja) 表示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