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7132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7132A
KR20180027132A KR1020160114328A KR20160114328A KR20180027132A KR 20180027132 A KR20180027132 A KR 20180027132A KR 1020160114328 A KR1020160114328 A KR 1020160114328A KR 20160114328 A KR20160114328 A KR 20160114328A KR 20180027132 A KR20180027132 A KR 20180027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mage
mode
partial image
display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7803B1 (ko
Inventor
서관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4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7803B1/ko
Priority to CN201780054285.9A priority patent/CN109661809B/zh
Priority to US15/695,771 priority patent/US10645283B2/en
Priority to PCT/KR2017/009724 priority patent/WO2018048178A1/en
Priority to EP17849062.9A priority patent/EP3510767A4/en
Publication of KR20180027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7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7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4451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achieving an enlarged field of view, e.g. panoramic image cap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the whole image or part thereof
    • G06T3/4038Scaling the whole image or part thereof for image mosaicing, i.e. plane images composed of plane sub-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89Recording image signals; Reproducing recorded imag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8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by altering the content in the rendering process, e.g. blanking, blurring or masking an image reg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5/4403
    • H04N5/4458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02Special television systems not provided for by H04N7/007 - H04N7/1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06Manual adjust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8Arrangements within a display terminal for setting, manually or automatically, display parameters of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42Handling or displaying different aspect ratios, or changing the aspect rati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5Zooming at least part of an image, i.e. enlarging it or shrinking 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H04N2005/44517
    • H04N2005/4458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방향 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전방향 영상의 표시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 및 수신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모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표시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전방향 영상 중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영역의 사이즈를 설정하고, 상기 전방향 영상 중 설정된 사이즈의 영역을 포함하는 제1 부분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전방향 영상 컨텐츠를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 모드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방향 촬영 카메라를 이용하여 전방향을 촬영한 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이 나타나고 있다. 360도 카메라라고 불리우는 촬영 장치와 360도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말기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전방향 촬영된 영상을 하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심한 왜곡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전방향 촬영된 영상은 전방향 촬영된 영상 중 특정 시점에 해당하는 일부 영역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 후, 사용자의 조작이 있으면 시점을 이동시켜 다른 영역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전방향 촬영된 영상 중 일부 영역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화면 비율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의 크기가 설정되므로, 영상에 포함된 특정 오브젝트(피사체)가 하나의 화면에 모두 포함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즉, 화면 가장자리에서 오브젝트의 일부가 표시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는 해당 오브젝트의 나머지 부분을 보기 위해 영역을 이동시키는 조작을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전방향 촬영된 영상을 시청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에 비해 대화면을 갖는 바 보다 효과적인 시청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바, 전방향 촬영된 영상의 시점 이동이 이동 단말기보다 불편하므로, 사용자는 전방향 촬영된 영상의 시청에 불편함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고정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전방향 촬영된 영상을 보다 편리하게 시청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표시 모드의 설정에 기초하여 전방향 영상을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방향 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전방향 영상의 표시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 및 수신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모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표시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전방향 영상 중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영역의 사이즈를 설정하고, 상기 전방향 영상 중 설정된 사이즈의 영역을 포함하는 제1 부분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비에 대응하는 사이즈의 영역을 포함하는 부분 영상을 표시하는 제1 모드와, 상기 화면비에 대응하지 않는 사이즈의 영역을 포함하는 부분 영상을 표시하는 제2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제1 모드에 따라 표시되는 부분 영상의 영역보다 가로 영역을 더 포함하는 부분 영상을 표시하는 가로 표시 모드와, 상기 제1 모드에 따라 표시되는 부분 영상의 영역보다 세로 영역을 더 포함하는 부분 영상을 표시하는 세로 표시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비 설정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화면비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비보다 가로 비율이 더 큰 경우, 상기 표시 모드를 상기 가로 표시 모드로 설정하고, 설정된 화면비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비보다 세로 비율이 더 큰 경우, 상기 표시 모드를 상기 세로 표시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모드가 상기 제2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설정된 화면비에 해당하는 사이즈의 영역을 갖는 상기 제1 부분 영상을 상기 전방향 영상으로부터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제1 부분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모드가 상기 제2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1 부분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방향 영상 중 표시되는 상기 제1 부분 영상의 시점을 이동시키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표시하고, 표시된 인디케이터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에 기초하여 이동된 시점의 영역을 포함하는 제2 부분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디케이터를 선택하는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부분 영상의 시점으로부터 소정 각도만큼 이동된 시점의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제2 부분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시점의 이동 각도는, 상기 설정된 표시 모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방향 영상의 기준 시점과, 상기 제2 부분 영상의 시점 사이의 각도를 나타내는 각도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부분 영상의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점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준 시점 인디케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기준 시점 인디케이터가 선택되면, 상기 기준 시점의 영역을 포함하는 제3 부분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표시 모드는 줌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모드가 상기 줌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방향 영상의 부분 영상에 대한 줌인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줌인 인디케이터, 및 상기 전방향 영상의 부분 영상에 대한 줌아웃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줌아웃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방향 영상 중 제1 시점에 해당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1 부분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설정되는 화면비에 기초하여 상기 전방향 영상에 대한 표시 모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표시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전방향 영상 중 상기 제1 시점에 해당하는 영역의 사이즈를 설정하고, 설정된 사이즈의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제1 부분 영상을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설정된 사이즈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설정되는 상기 화면비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화면비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비와 동일한 경우, 상기 표시 모드를 일반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화면비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비보다 가로 비율이 더 큰 경우, 상기 표시 모드를 가로 표시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화면비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비보다 세로 비율이 더 큰 경우, 상기 표시 모드를 세로 표시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점을 제2 시점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표시하고, 표시된 인디케이터를 선택하는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부분 영상을 상기 제2 시점의 영역을 포함하는 제2 부분 영상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제1 시점을 가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인디케이터와, 상기 제1 시점을 세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인디케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인디케이터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1 시점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제1 각도만큼 이동된 상기 제2 시점의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제2 부분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인디케이터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1 시점으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제2 각도만큼 이동된 상기 제2 시점의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제2 부분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표시 모드가 상기 일반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각도와 상기 제2 각도는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표시 모드가 상기 가로 표시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각도는 상기 제2 각도보다 큰 각도를 갖고, 상기 표시 모드가 상기 세로 표시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각도는 상기 제2 각도보다 작은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방향 영상의 일부 영역을 포함하는 부분 영상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경우, 전방향 영상에 대해 설정되는 표시 모드에 기초하여 영역의 사이즈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표시 모드를 설정함으로써 가로 부분 또는 세로 부분의 영역을 한 화면에 보다 많이 포함시켜 시청할 수 있으므로, 전방향 영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시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방향 영상 중 표시되는 영역의 시점을 이동시키는 인디케이터를 제공하고, 기준 시점으로부터 이동된 각도를 표시하는 각도 인디케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제공된 인디케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부분 영상의 영역을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고, 기준 시점으로부터 이동된 시점의 각도 정보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설정된 표시 모드에 따라 인디케이터를 이용한 시점 이동시 이동되는 각도의 정도를 변경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전방향 영상 시청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향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전방향 영상 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되는 부분 영상의 예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전방향 영상에 대한 표시 모드가 가로 표시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부분 영상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7a 내지 도 7d의 실시 예에 따라 전방향 영상 중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부분 영상의 영역을 이동시키기 위한 인디케이터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전방향 영상에 대한 표시 모드가 세로 표시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부분 영상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9a 내지 도 9d의 실시 예에 따라 표시되는 부분 영상의 영역을 이동시키기 위한 인디케이터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전방향 영상에 대한 줌인 및 줌아웃 동작에 따라 표시되는 부분 영상의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썸네일 이미지 추출과 관련된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전방향 영상에 대한 시청 모드가 가로 시청 모드로 설정된 경우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향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전방향 영상에 대한 시청 모드가 세로 시청 모드로 설정된 경우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향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전방향 영상에 대한 시청 모드가 일반 시청 모드로 설정된 경우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향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a 내지 도 16b는 전방향 영상에 대한 시청 모드가 수평 파노라마 모드로 설정된 경우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향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a 내지 도 17b는 전방향 영상에 대한 시청 모드가 수직 파노라마 모드로 설정된 경우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향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a 내지 도 18b는 전방향 영상에 대한 시청 모드가 구 파노라마 모드로 설정된 경우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향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 모니터, 프로젝터 또는 이를 포함하는 장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30),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카메라(16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및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30)는 튜너(131), 복조부(13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33)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31)는 채널 선국 명령에 따라 특정 방송 채널을 선국할 수 있다. 튜너 (131)는 선국된 특정 방송 채널에 대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132)는 수신한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복원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장치 간의 연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외부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35)는 외부장치로부터 출력된 영상, 오디오 중 하나 이상을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35)에 연결 가능한 외부장치는 셋톱박스, 블루레이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게임기, 사운드 바,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 PC, USB 메모리, 홈 씨어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3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33), 또는 카메라(16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이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33)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 (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또는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 (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튜너(13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튜너(131)와 복조부(132)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3) 또는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을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신호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에 따른 컨텐츠들을 수신하기 위한 등과 같은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와 상기 영상 처리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뿐 아니라, 상기 분리된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영상 처리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출력부(185)를 구비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실제 구성 예를 보여준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지문인식부(210), 무선통신부 (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 (270), 제어부(280), 음성 획득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을 참조하면, 무선통신부(220)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하며,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 모듈(225)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 (2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할 수 있는 NFC 모듈(227)을 구비하며, WLAN(Wireless LAN) 통신 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WLAN 모듈(229)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해 전송한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복수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버튼은 지문 인식 버튼(212), 전원 버튼(231), 홈 버튼(232), 라이브 버튼(233), 외부 입력 버튼(234), 음량 조절 버튼(235), 음성 인식 버튼(236), 채널 변경 버튼(237), 확인 버튼(238) 및 뒤로 가기 버튼(239)을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인식 버튼(212)은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지문 인식 버튼(212)은 푸쉬 동작이 가능하여, 푸쉬 동작 및 지문 인식 동작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전원 버튼(231)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오프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홈 버튼(232)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홈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라이브 버튼(233)은 실시간 방송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외부 입력 버튼(234)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량 조절 버튼(235)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하는 음량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음성 인식 버튼(236)은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채널 변경 버튼(237)은 특정 방송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확인 버튼(238)은 특정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고, 뒤로 가기 버튼(239)은 이전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으며,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으며,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 (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하며, 원격제어장치(20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음성 획득부(290)는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음성 획득부(29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고, 마이크를 통해 음성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를 활용하는 예를 보여준다.
도 4의 (a)는 원격 제어 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 (180)에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상하, 좌우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 제어 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 하, 좌, 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상, 하, 좌, 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 제어 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향 영상 표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향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전방향 영상이란, 전방향 촬영 카메라(일례로, 360도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된 영상으로서 카메라를 중심으로 구 형태의 모든 영역이 촬영된 영상을 의미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방향 영상에 대한 표시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S100).
상기 전방향 영상에 대한 표시 모드는, 전방향 영상 중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될 부분 영상의 사이즈를 설정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표시 모드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비(aspect ratio)에 대응하는 사이즈를 갖는 부분 영상을 표시하는 제1 모드(또는 일반 모드)와,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비와 대응하지 않는 사이즈를 갖는 부분 영상을 표시하는 제2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모드는 가로 표시 모드와 세로 표시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로 표시 모드는 제1 모드의 부분 영상에 비해 가로 부분의 사이즈가 더 큰 부분 영상을 표시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고, 세로 표시 모드는 상기 제1 모드의 부분 영상에 비해 세로 부분의 사이즈가 더 큰 부분 영상을 표시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표시 모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비 설정 항목을 통해 설정되는 화면비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설정되는 화면비가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비와 동일한 경우, 전방향 영상의 표시 모드는 제1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반면, 설정되는 화면비가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비보다 가로 비율이 더 큰 경우, 전방향 영상의 표시 모드는 가로 표시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설정되는 화면비가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비보다 세로 비율이 더 큰 경우, 전방향 영상의 표시 모드는 세로 표시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실시 예에 따르면, 설정되는 화면비의 구체적인 값에 따라 가로 표시 모드와 세로 표시 모드 각각은 보다 세분화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원격제어장치(200) 등을 통해 상기 전방향 영상에 대한 표시 모드를 설정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설정된 표시 모드에 기초하여, 전방향 영상 중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부분 영상의 사이즈를 설정할 수 있다(S110).
제어부(170)는 설정된 표시 모드가 제1 모드인 경우, 표시할 부분 영상의 사이즈를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비에 대응하는 사이즈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비가 16:9인 경우, 설정되는 사이즈 또한 16:9 사이즈일 수 있다.
반면, 설정된 표시 모드가 제2 모드인 경우, 제어부(170)는 표시할 부분 영상의 사이즈를 상기 제1 모드의 사이즈와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 가로 표시 모드의 경우 설정되는 사이즈는, 제1 모드의 사이즈에 비해 가로 부분이 더 클 수 있다(예컨대, 21:9). 반면, 세로 표시 모드의 경우 설정되는 사이즈는, 제1 모드의 사이즈에 비해 세로 부분이 더 클 수 있다(예컨대, 4:3).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설정된 사이즈에 해당하는 제1 부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S120).
예컨대, 제1 부분 영상은 전방향 영상의 정면 시점에 해당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영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방향 영상의 표시 각도(또는 표시 시점)를 이동하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130).
제어부(170)는 상기 표시 시점을 이동하는 요청을 수신하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상기 인디케이터에 기초하여 전방향 영상의 표시 시점을 상, 하, 좌, 우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에 대해서는 추후 도 8a 내지 도 8c 및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수신된 이동 요청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부분 영상으로부터 이동된 제2 부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S140).
제2 부분 영상은 제1 부분 영상에 해당하는 영역의 일부를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제1 부분 영상에 해당하는 영역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S100 단계 내지 S140 단계에 대해서는 도 6a 내지 도 10c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전방향 영상 중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되는 부분 영상의 예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방향 촬영용 카메라 등에 의해 생성되는 전방향 영상(500)을 수신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6a에서는 전방향 영상(500)을 복수의 영역들(501~505)로 구분하여 도시하였으나, 전방향 영상(500)이 반드시 복수의 영역들(501~505)로 구분되는 것은 아니다.
전방향 촬영용 카메라는 구 형태의 전체 영역(600)을 촬영하고, 촬영 결과에 기초하여 전방향 영상(500)을 생성할 수 있다. 도 6a와 같이 전방향 영상(500)을 평면 형태로 표시하는 경우, 전방향 영상(500)에는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방향 영상(500)의 일부 영역을 포함하는 부분 영상을 표시하여 왜곡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방향 영상에 대한 표시 모드가 제1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비에 대응하는 사이즈의 영역을 갖는 부분 영상(501)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비가 16:9인 것으로 가정하면, 부분 영상(501)의 사이즈 또한 16:9에 해당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전방향 영상(500) 중 기준 시점(또는 기준 위치)에 해당하고, 16:9의 사이즈를 갖는 부분 영상(501)을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되는 부분 영상(501)은 전체 영역(600) 중 제1 영역(601)에 해당하는 부분 영상일 수 있다. 상기 기준 시점은 전방향 영상(500)의 정면 시점을 의미할 수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이하, 도 7a 내지 도 10c에서는, 전방향 영상의 표시 모드가 제2 모드(가로 표시 모드 또는 세로 표시 모드)인 경우에 표시되는 부분 영상을, 도 6c의 부분 영상(501)과 비교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a 내지 도 7d는 전방향 영상에 대한 표시 모드가 가로 표시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부분 영상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전방향 영상의 표시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창(700)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표시된 설정 창(700)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모드를 가로 표시 모드로 설정하는 입력을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부(170)는 전방향 영상의 표시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즉, 도 7a의 설정 창(700) 내에 표시된 '360 좌우 보기'는 가로 표시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비 설정 항목을 이용하여 전방향 영상의 표시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비가 16:9이고, 화면비 설정 항목을 통해 설정되는 화면비가 21:9인 경우, 전방향 영상의 표시 모드는 가로 표시 모드에 해당할 수 있다.
종래 화면비 설정의 경우, 제어부(170)는 설정된 화면비에 기초하여 영상을 스케일링하고, 스케일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한다. 이 경우, 스케일링된 영상은 디스플레이부(180)의 전 영역에 표시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면비가 21:9로 설정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의 상하 일부 영역에는 아무런 영상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전방향 영상에 대한 표시 모드 설정의 경우, 전방향 영상(500) 중 디스플레이부(180)의 전 영역을 통해 표시할 부분 영상의 사이즈를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표시 모드에 관계없이, 부분 영상은 디스플레이부(180)의 전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도 7b와 도 7c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설정된 표시 모드에 기초하여, 전방향 영상(500) 중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부분 영상의 사이즈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표시 모드가 가로 표시 모드인 경우, 제어부(170)는 제1 모드의 사이즈에 비해 가로 부분을 더 포함하도록 부분 영상의 사이즈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설정된 사이즈에 기초하여 전방향 영상(500) 중 디스플레이부 (180)를 통해 표시할 부분 영상(511)을 획득할 수 있다. 즉, 도 7b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제1 모드의 부분 영상(501)의 영역(601)에 비해 가로 부분이 더 큰 영역(611)을 포함하는 부분 영상(511)을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비를 21:9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표시 모드가 가로 표시 모드로 설정된 경우, 획득된 부분 영상(511)의 사이즈는 21:9 사이즈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설정된 화면비에 해당하는 사이즈의 영역을 갖는 부분 영상(511)을 전방향 영상(500)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도 7d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획득된 부분 영상(511)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6c에 도시된 부분 영상(501)과 비교하면, 부분 영상(511)은 가로 영역의 영상을 더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가로 영역의 영상을 더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부분 영상(511)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가로 부분의 길이는, 도 6c에 도시된 부분 영상(501)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가로 부분의 길이보다 축소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가로 표시 모드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모드에 비해 보다 많은 가로 영역의 정보를 포함하는 부분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모드의 부분 영상에서 좌우 가장자리에 위치한 오브젝트의 일부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표시 모드를 가로 표시 모드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오브젝트의 전체를 한 화면으로 시청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7a 내지 도 7d의 실시 예에 따라 전방향 영상 중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부분 영상의 영역을 이동시키기 위한 인디케이터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전방향 영상(500) 중 표시되는 부분 영상(511)의 영역의 시점을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디케이터(801~804)를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170)는 상기 시점을 세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디케이터(801, 802), 및 상기 시점을 가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디케이터(803, 804)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a에는 적어도 하나의 인디케이터(801~804) 각각이 디스플레이부(180)의 상, 하, 좌, 우측 각각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적어도 하나의 인디케이터(801~804)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포인터(205)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의 상측에 배치된 인디케이터(801)는, 전방향 영상(500) 중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되는 영역을 상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인디케이터이다. 즉, 제어부(170)는 인디케이터(801)가 선택된 경우, 현재 표시된 부분 영상의 시점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각도 이동된 시점의 영역을 포함하는 부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의 하측에 배치된 인디케이터(802)는, 전방향 영상(500) 중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되는 영역을 하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인디케이터이다. 즉, 제어부(170)는 인디케이터(802)가 선택된 경우, 현재 표시된 부분 영상의 시점으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각도 이동된 시점의 영역을 포함하는 부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의 좌측에 배치된 인디케이터(803)는, 전방향 영상(500) 중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되는 영역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인디케이터이다. 즉, 제어부(170)는 인디케이터(803)가 선택된 경우, 현재 표시된 부분 영상의 시점으로부터 좌측으로 소정 각도 이동된 시점의 영역을 포함하는 부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의 우측에 배치된 인디케이터(804)는, 전방향 영상(500) 중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되는 영역을 우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인디케이터이다. 즉, 제어부(170)는 인디케이터(804)가 선택된 경우, 현재 표시된 부분 영상의 시점으로부터 우측으로 소정 각도 이동된 시점의 영역을 포함하는 부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8b와 도 8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전방향 영상(500) 중 현재 표시된 부분 영상(511)의 우측 영역에 대한 영상을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원격제어장치(200)를 이용하여 인디케이터(804)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현재 표시된 부분 영상(511)의 시점으로부터 우측으로 소정 각도(예컨대, 60˚) 이동된 시점에 해당하는 부분 영상(512)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각도의 이동 정도에 따라, 부분 영상(512)은 도 8a에 도시된 부분 영상(511)의 일부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시점의 이동 각도는, 설정된 표시 모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어부(170)는 전방향 영상(500)의 기준 시점과 현재 표시된 부분 영상(512)의 시점 사이의 각도를 나타내는 각도 인디케이터(8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 인디케이터(805)는 기준 시점으로부터 이동된 방향에 대응하는 인디케이터(804)에 인접하여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인디케이터(804)에 기초하여, 현재 표시된 부분 영상(512)의 시점은 기준 시점으로부터 우측으로 60˚ 이동된 시점에 해당함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70)는 전방향 영상(500) 중 현재 표시된 부분 영상(512)의 시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구 형태의 인디케이터(806)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어부(170)는 기준 시점으로 곧바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준 시점 인디케이터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디케이터들(801~804)이 여러 번 선택됨에 따라 부분 영상의 시점이 기준 시점으로부터 멀어진 경우, 사용자는 다시 기준 시점의 부분 영상을 시청하고자 할 경우 인디케이터들(801~804)을 여러 번 선택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기준 시점으로 곧바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준 시점 인디케이터를 표시하고, 표시된 기준 시점 인디케이터가 선택되면 기준 시점의 영역을 포함하는 부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d는 전방향 영상에 대한 표시 모드가 세로 표시 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부분 영상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표시된 설정 창(700)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모드를 세로 표시 모드로 설정하는 입력을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부(170)는 전방향 영상의 표시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즉, 도 9a의 설정 창(700) 내에 표시된 '360 상하 보기'는 세로 표시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비 설정 항목을 이용하여 전방향 영상의 표시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비가 16:9이고, 화면비 설정 항목을 통해 설정되는 화면비가 4:3인 경우, 전방향 영상의 표시 모드는 세로 표시 모드에 해당할 수 있다.
종래 화면비 설정의 경우, 제어부(170)는 설정된 화면비에 기초하여 영상을 스케일링하고, 스케일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한다. 이 경우, 스케일링된 영상은 디스플레이부(180)의 전 영역에 표시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면비가 4:3으로 설정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80)의 좌우 일부 영역에는 아무런 영상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전방향 영상에 대한 표시 모드 설정의 경우, 전방향 영상(500) 중 디스플레이부(180)의 전 영역을 통해 표시할 부분 영상의 사이즈를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표시 모드에 관계없이, 부분 영상은 디스플레이부(180)의 전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도 9b와 도 9c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설정된 표시 모드에 기초하여, 전방향 영상(500) 중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부분 영상의 사이즈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표시 모드가 세로 표시 모드인 경우, 제어부(170)는 제1 모드의 사이즈에 비해 세로 부분을 더 포함하도록 부분 영상의 사이즈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설정된 사이즈에 기초하여 전방향 영상(500) 중 디스플레이부 (180)를 통해 표시할 부분 영상(521)을 획득할 수 있다. 즉, 도 9b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제1 모드의 부분 영상(501)의 영역(601)에 비해 세로 부분이 더 큰 영역(621)을 포함하는 부분 영상(521)을 획득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비를 4:3으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표시 모드가 세로 표시 모드로 설정된 경우, 획득된 부분 영상(511)의 사이즈는 4:3 사이즈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설정된 화면비에 해당하는 사이즈를 갖는 부분 영상(521)을 전방향 영상(500)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도 9d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획득된 부분 영상(521)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6c에 도시된 부분 영상(501)과 비교하면, 부분 영상(521)은 세로 영역의 영상을 더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세로 영역의 영상을 더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부분 영상(521)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세로 부분의 길이는, 도 6c에 도시된 부분 영상(501)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세로 부분의 길이보다 축소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세로 표시 모드의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모드에 비해 보다 많은 세로 영역의 정보를 포함하는 부분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모드의 부분 영상에서 상하 가장자리에 위치한 오브젝트의 일부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표시 모드를 세로 표시 모드로 변경함으로써 상기 오브젝트의 전체를 한 화면으로 시청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9a 내지 도 9d의 실시 예에 따라 표시되는 부분 영상의 영역을 이동시키기 위한 인디케이터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면, 도 8a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70)는 전방향 영상(500) 중 표시되는 부분 영상(521)의 영역을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디케이터(801~804)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전방향 영상(500) 중 현재 표시된 부분 영상(521)의 상측 영역에 대한 영상을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원격제어장치(200)를 이용하여 인디케이터(801)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현재 표시된 부분 영상(521)의 시점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각도(예컨대, 60˚) 이동된 시점에 해당하는 부분 영상(522)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각도의 이동 정도에 따라, 부분 영상(512)은 도 10a에 도시된 부분 영상(521)의 일부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이동 각도는, 설정된 표시 모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모드의 경우 인디케이터들(801~804) 각각의 선택시 이동되는 각도는 모두 동일(예컨대, 45˚)한 것으로 가정한다.
도 8b 및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향 영상의 표시 모드가 가로 표시 모드인 경우, 제1 모드에 비해 가로 영역의 영상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좌측 또는 우측 인디케이터(803, 804)의 선택시 이동되는 각도(예컨대, 60˚)는 제1 모드에서 좌측 또는 우측 인디케이터(803, 804)의 선택시 이동되는 각도(45˚)보다 클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가로 표시 모드의 경우 좌측 또는 우측 인디케이터(803, 804)의 선택시 이동되는 각도(60˚)는, 상측 또는 하측 인디케이터(801, 802)의 선택시 이동되는 각도(45˚)보다 클 수 있다.
반면, 도 10b 및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향 영상의 표시 모드가 세로 표시 모드인 경우, 상측 또는 하측 인디케이터(801, 802)의 선택시 이동되는 각도(예컨대, 60˚)는 제1 모드에서 상측 또는 하측 인디케이터(801, 802)의 선택시 이동되는 각도(45˚)보다 클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세로 표시 모드의 경우 상측 또는 하측 인디케이터(801, 802)의 선택시 이동되는 각도(60˚)는, 좌측 또는 우측 인디케이터(803, 804)의 선택시 이동되는 각도(45˚)보다 클 수 있다.
도 8c에서 상술한 바와 유사하게, 제어부(170)는 현재 표시된 부분 영상(522)의 시점은 기준 시점으로부터 상측으로 60˚ 이동된 시점에 해당함을 나타내는 각도 인디케이터(805)를 상측 인디케이터(801)에 인접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인디케이터(801) 및 각도 인디케이터(805)에 기초하여, 현재 표시된 부분 영상(522)의 시점은 기준 시점으로부터 상측으로 60˚ 이동된 시점에 해당함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70)는 전방향 영상(500) 중 현재 표시된 부분 영상(512)의 시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구 형태의 인디케이터(806)를 표시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10c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방향 영상(500)에 대한 표시 모드로서 일반 모드, 가로 표시 모드, 및 세로 표시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로 부분의 영상을 한 화면에 보다 많이 포함시켜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표시 모드를 가로 표시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는 세로 부분의 영상을 한 화면에 보다 많이 포함시켜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표시 모드를 세로 표시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전방향 영상 시청시 특정 영역의 영상을 한 화면에 보다 많이 포함시켜 시청할 수 있는 바, 전방향 영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시청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전방향 영상에 대한 줌인 및 줌아웃 동작에 따라 표시되는 부분 영상의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0c에서 상술한 가로 표시 모드와 세로 표시 모드 외에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방향 영상에 대한 표시 모드로서 줌 모드를 더 제공할 수 있다.
도 11a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표시된 설정 창(700)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모드를 줌 모드로 설정하는 입력을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입력에 기초하여, 제어부(170)는 전방향 영상의 표시 모드를 줌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즉, 도 11a의 설정 창(700) 내에 표시된 '360 줌인 & 줌아웃'은 줌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전방향 영상의 표시 모드가 줌 모드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70)는 표시된 부분 영상(900)에 대한 줌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줌인 인디케이터(811) 및 줌아웃 인디케이터(812)를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11b에는 줌인 인디케이터(811) 및 줌아웃 인디케이터(812) 각각이 디스플레이부(180)의 중앙 영역에 표시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인디케이터들(811, 812)의 표시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어부(170)는 도 8a 등에 도시된 인디케이터들(801~804)을 더 표시할 수도 있다.
도 11b와 도 11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줌인 인디케이터(811)가 선택되면, 제어부(170)는 부분 영상(900)을 확대한 줌인 영상(901)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특정 영역의 영상을 보다 확대하여 시청하고자 하는 경우, 줌인 인디케이터(811)를 이용하여 확대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도 11b와 도 11d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줌아웃 인디케이터(812)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70)는 부분 영상(900)에 대한 줌아웃 영상(902)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전방향 영상의 경우, 특정 시점의 부분 영상(900)에 대해 줌아웃된 영상은 해당 시점을 중심으로 반구 형태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특정 시점을 중심으로 반구 형태의 영역을 포함하는 영상(902)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시청함으로써, 보다 넓은 영역의 영상을 한 화면으로 시청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전방향 영상을 썸네일 이미지 형태로 제공하는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썸네일 이미지 추출과 관련된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방향 영상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 및 전송하는 썸네일 관리 모듈(172)을 포함할 수 있다. 썸네일 관리 모듈(172)은 제어부(170)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이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썸네일 관리 모듈(172)은 썸네일 관리자(173)와 영상 타이밍 생성부(video timing generator(VTG); 17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방향 영상으로부터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을 생성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전방향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176)을 실행할 수 있다. 실행된 어플리케이션(176)을 통해 전방향 영상의 썸네일 이미지 제공 요청이 수신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176)은 수신된 요청에 기초하여 썸네일 관리 모듈(172)로 썸네일 이미지의 사이즈, 썸네일 이미지 생성 시간의 간격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썸네일 관리 모듈(172)에 포함된 썸네일 관리자(173)는, 수신된 썸네일 이미지의 사이즈 정보 및 썸네일 이미지 생성 시간의 간격 정보에 기초하여, 전방향 영상으로부터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썸네일 관리자(173)는 VTG(174)와 상기 간격 정보를 이용하여, 전방향 영상의 특정 재생 시점에서, 상기 전방향 영상으로부터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을 추출할 수 있다. 썸네일 관리자(173)는 추출된 썸네일 이미지들을 메모리(140)에 저장하고, 저장된 썸네일 이미지들의 저장 경로에 대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176)으로 전송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176)은 상기 저장 경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도 13a 내지 도 15c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방향 영상의 썸네일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전방향 영상을 제공하는 일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a 내지 도 13c는 전방향 영상에 대한 시청 모드가 가로 시청 모드로 설정된 경우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향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전방향 영상에 대한 시청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시청 모드는 가로 시청 모드, 세로 시청 모드, 및 일반 시청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70)는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해 가로 시청 모드, 세로 시청 모드, 및 일반 시청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전방향 영상에 대한 시청 모드로 설정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입력을 수신하기 위해, 제어부(170)는 시청 모드 설정 창(820)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수신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전방향 영상에 대한 시청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전방향 영상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 표시 요청을 수신한 경우, 상기 설정된 시청 모드에 따라 전방향 영상에 대한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청 모드가 가로 시청 모드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70)는 전방향 영상의 특정 재생 시점(예컨대, 제1 재생 시점)에 대한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TI1~TI5)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표시되는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TI1~TI5)은, 기준 썸네일 이미지(TI1)로부터 가로 영역(좌측 또는 우측)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들(TI2~TI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썸네일 이미지들(TI1~TI5)은 소정 시간 경과 후 제2 재생 시점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들로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표시된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TI1~TI5)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7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움직임 정보에 기초하여 포인터(205)를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TI1~TI5) 중 하나에 표시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선택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70)는 포인터(205)가 위치한 썸네일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3b를 참조하면,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가 제1 썸네일 이미지(TI1)인 경우, 제어부(170)는 전방향 영상 중 제1 썸네일 이미지(TI1)에 해당하는 영역, 및 상기 영역과 연결되는 가로 부분의 영역을 더 포함하는 부분 영상(TI1')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즉, 부분 영상(TI1')은 제1 썸네일 이미지(TI1)를 포함하고, 제2 썸네일 이미지(TI2)의 적어도 일부 및 제4 썸네일 이미지(TI4)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c를 참조하면, 실시 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제2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 측면이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형태로 구현(이하, '트윈 모드'라 함)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트윈 모드로 구현된 경우, 선택된 제1 썸네일 이미지(TI1)를 중심으로 전방향 영상의 가로 영역을 모두 포함하는 부분 영상(TI1'')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전방향 영상의 부분 영상(TI1'')은 제1 썸네일 이미지(TI1) 내지 제5 썸네일 이미지(TI5)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전방향 영상에 대한 시청 모드가 세로 시청 모드로 설정된 경우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향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a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전방향 영상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 표시 요청을 수신하고, 시청 모드 설정 창(820)을 통해 전방향 영상의 시청 모드를 세로 시청 모드로 설정하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요청에 응답하여, 제어부(170)는 전방향 영상의 제1 재생 시점에 대한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TI1~TI3)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표시되는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TI1~TI3)은, 기준 썸네일 이미지(TI1)로부터 세로 영역(상측 또는 하측)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들(TI2, TI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썸네일 이미지들(TI1~TI3)은 소정 시간 경과 후 제2 재생 시점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들로 변경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표시된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TI1~TI3)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4b를 참조하면,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가 제1 썸네일 이미지(TI1)인 경우, 제어부(170)는 전방향 영상 중 제1 썸네일 이미지(TI1)에 해당하는 영역, 및 상기 영역과 연결되는 세로 부분의 영역을 더 포함하는 부분 영상(TI1')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즉, 부분 영상(TI1')은 제1 썸네일 이미지(TI1)를 포함하고, 제2 썸네일 이미지(TI2)의 적어도 일부 및 제3 썸네일 이미지(TI3)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4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트윈 모드로 구현된 경우,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썸네일 이미지들(TI1~TI3)을 표시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선택된 제1 썸네일 이미지(TI1)를 포함하는 부분 영상(TI1')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된 썸네일 이미지들(TI1~TI3) 중 제1 썸네일 이미지(TI1)가 아닌 다른 썸네일 이미지(예컨대, 제2 썸네일 이미지(TI2))가 선택되는 경우, 제어부(17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표시된 부분 영상(TI1') 대신, 제2 썸네일 이미지(TI2) 및 제2 썸네일 이미지(TI2)의 영역과 연결되는 세로 부분의 영역을 더 포함하는 부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전방향 영상에 대한 시청 모드가 일반 시청 모드로 설정된 경우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향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a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전방향 영상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 표시 요청을 수신하고, 시청 모드 설정 창(820)을 통해 전방향 영상의 시청 모드를 일반 시청 모드로 설정하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요청에 응답하여, 제어부(170)는 전방향 영상의 제1 재생 시점에 대한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TI1~TI5)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15a에서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된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TI2~TI5)은 기준 썸네일 이미지(TI1)로부터 가로 영역(좌측 또는 우측)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들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실시 예에 따라, 썸네일 이미지들(TI2~TI5)은 기준 썸네일 이미지(TI1)로부터 세로 영역(상측 또는 하측)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들일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표시된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TI1~TI5) 중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5b를 참조하면,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가 제1 썸네일 이미지(TI1)인 경우, 제어부(170)는 제1 썸네일 이미지(TI1)의 영역에 해당하는 부분 영상(TI1)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즉, 일반 시청 모드인 경우, 제어부(170)는 선택된 썸네일 이미지에 해당하는 영상만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15c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트윈 모드로 구현된 경우, 제어부(17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2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부분 영상(TI1)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썸네일 이미지들(TI1~TI5)이 표시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선택된 제1 썸네일 이미지에 해당하는 부분 영상(TI1)이 표시될 수도 있다.
즉, 도 13a 내지 도 15c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전방향 영상을 구성하는 각 영역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들에 기초하여, 전방향 영상 중 시청할 부분 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시청 모드에 따라, 선택된 영역 외에 다른 영역을 한 화면에 더 포함하는 부분 영상이 표시됨으로써, 사용자는 상황에 따라 최적의 시청 모드를 선택하여 효과적인 영상 시청이 가능하다.
이하, 도 16a 내지 도 18b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방향 영상의 썸네일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전방향 영상을 제공하는 다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6a 내지 도 16b는 전방향 영상에 대한 시청 모드가 수평 파노라마 모드로 설정된 경우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향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a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전방향 영상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 표시 요청을 수신하고, 시청 모드 설정 창(820)을 통해 전방향 영상의 시청 모드를 가로 파노라마 모드로 설정하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요청에 응답하여, 제어부(170)는 전방향 영상의 제1 재생 시점에 대한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TI1~TI5)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표시되는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TI1~TI5)은, 기준 썸네일 이미지(TI1)로부터 가로 영역(좌측 또는 우측)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들(TI2~TI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썸네일 이미지들(TI1~TI5)은 소정 시간 경과 후 제2 재생 시점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들로 변경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표시된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TI1~TI5)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70)는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TI1~TI5) 중 제1 썸네일 이미지(TI1), 제4 썸네일 이미지(TI4), 및 제5 썸네일 이미지(TI5)를 선택하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6b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도 16a에서 선택된 제1 썸네일 이미지(TI1), 제4 썸네일 이미지(TI4), 및 제5 썸네일 이미지(TI5)를 포함하는 부분 영상(TI)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즉, 부분 영상(TI)은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하는 영역에 대한 부분 영상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7a 내지 도 17b는 전방향 영상에 대한 시청 모드가 수직 파노라마 모드로 설정된 경우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향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a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전방향 영상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 표시 요청을 수신하고, 시청 모드 설정 창(820)을 통해 전방향 영상의 시청 모드를 세로 파노라마 모드로 설정하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요청에 응답하여, 제어부(170)는 전방향 영상의 제1 재생 시점에 대한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TI1~TI5)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표시되는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TI1~TI5)은, 기준 썸네일 이미지(TI1)로부터 세로 영역(상측 또는 하측)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들(TI2~TI5)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썸네일 이미지들(TI1~TI5)은 소정 시간 경과 후 제2 재생 시점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들로 변경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표시된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TI1~TI5)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70)는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TI1~TI5) 중 제1 썸네일 이미지(TI1)와 제2 썸네일 이미지(TI2)를 선택하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7b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도 17a에서 선택된 제1 썸네일 이미지(TI1)와 제2 썸네일 이미지(TI2)를 포함하는 부분 영상(TI)을 디스플레이부 (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즉, 부분 영상(TI)은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하는 영역에 대한 부분 영상에 해당할 수 있다.
도 18a 내지 도 18b는 전방향 영상에 대한 시청 모드가 구 파노라마 모드로 설정된 경우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방향 영상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a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전방향 영상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 표시 요청을 수신하고, 시청 모드 설정 창(820)을 통해 전방향 영상의 시청 모드를 구(sphere) 파노라마 모드로 설정하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요청에 응답하여, 제어부(170)는 전방향 영상의 제1 재생 시점에 대한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TI1~TI7)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표시되는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TI1~TI5)은, 기준 썸네일 이미지(TI1)로부터 가로 영역(좌측 또는 우측)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들(TI2~TI5), 및 세로 영역(상측 또는 하측)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들(TI6, TI7)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썸네일 이미지들(TI1~TI7)은 소정 시간 경과 후 제2 재생 시점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들로 변경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표시된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TI1~TI7)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를 선택하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70)는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TI1~TI7) 중 제1 썸네일 이미지(TI1), 제4 썸네일 이미지(TI4), 제5 썸네일 이미지(TI5), 및 제7 썸네일 이미지(TI7)를 선택하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도 18b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도 18a에서 선택된 제1 썸네일 이미지(TI1), 제4 썸네일 이미지(TI4), 제5 썸네일 이미지(TI5), 및 제7 썸네일 이미지(TI7)를 포함하는 부분 영상(TI)을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즉, 부분 영상(TI)은 복수의 썸네일 이미지들 중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썸네일 이미지를 포함하는 영역에 대한 부분 영상에 해당할 수 있다.
즉, 도 16a 내지 도 18b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되는 전방향 영상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들에 기초하여, 한 화면으로 시청하고자 하는 영역들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들을 선택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9)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전방향 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전방향 영상의 표시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 및
    수신된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 모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표시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전방향 영상 중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영역의 사이즈를 설정하고,
    상기 전방향 영상 중 설정된 사이즈의 영역을 포함하는 제1 부분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비에 대응하는 사이즈의 영역을 포함하는 부분 영상을 표시하는 제1 모드와,
    상기 화면비에 대응하지 않는 사이즈의 영역을 포함하는 부분 영상을 표시하는 제2 모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드는,
    상기 제1 모드에 따라 표시되는 부분 영상의 영역보다 가로 영역을 더 포함하는 부분 영상을 표시하는 가로 표시 모드와,
    상기 제1 모드에 따라 표시되는 부분 영상의 영역보다 세로 영역을 더 포함하는 부분 영상을 표시하는 세로 표시 모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비 설정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화면비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비와 동일한 경우, 상기 표시 모드를 상기 제1 모드로 설정하고,
    설정된 화면비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비보다 가로 비율이 더 큰 경우, 상기 표시 모드를 상기 가로 표시 모드로 설정하고,
    설정된 화면비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비보다 세로 비율이 더 큰 경우, 상기 표시 모드를 상기 세로 표시 모드로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화면비에 대응하는 사이즈의 영역을 갖는 상기 제1 부분 영상을 상기 전방향 영상으로부터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제1 부분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모드가 상기 제2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1 부분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전체 영역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방향 영상 중 표시되는 상기 제1 부분 영상의 시점을 이동시키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표시하고,
    표시된 인디케이터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에 기초하여 이동된 시점의 영역을 포함하는 제2 부분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디케이터를 선택하는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부분 영상의 시점으로부터 소정 각도만큼 이동된 시점의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제2 부분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시점의 이동 각도는, 상기 설정된 표시 모드에 따라 달라지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방향 영상의 기준 시점과, 상기 제2 부분 영상의 시점 사이의 각도를 나타내는 각도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부분 영상의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점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준 시점 인디케이터를 표시하고,
    상기 기준 시점 인디케이터가 선택되면, 상기 기준 시점의 영역을 포함하는 제3 부분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드는 줌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모드가 상기 줌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방향 영상의 부분 영상에 대한 줌인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줌인 인디케이터, 및 상기 전방향 영상의 부분 영상에 대한 줌아웃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줌아웃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전방향 영상 중 제1 시점에 해당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1 부분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설정되는 화면비에 기초하여 상기 전방향 영상에 대한 표시 모드를 설정하고,
    설정된 표시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전방향 영상 중 상기 제1 시점에 해당하는 영역의 사이즈를 설정하고,
    설정된 사이즈의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제1 부분 영상을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사이즈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설정되는 상기 화면비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화면비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비와 동일한 경우, 상기 표시 모드를 일반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화면비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비보다 가로 비율이 더 큰 경우, 상기 표시 모드를 가로 표시 모드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화면비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비보다 세로 비율이 더 큰 경우, 상기 표시 모드를 세로 표시 모드로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시점을 제2 시점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인디케이터를 표시하고,
    표시된 인디케이터를 선택하는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부분 영상을 상기 제2 시점의 영역을 포함하는 제2 부분 영상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제1 시점을 가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인디케이터와, 상기 제1 시점을 세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인디케이터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1 시점으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제1 각도만큼 이동된 상기 제2 시점의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제2 부분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인디케이터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제1 시점으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제2 각도만큼 이동된 상기 제2 시점의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제2 부분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드가 상기 일반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각도와 상기 제2 각도는 동일한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드가 상기 가로 표시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각도는 상기 제2 각도보다 큰 각도를 갖고,
    상기 표시 모드가 상기 세로 표시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각도는 상기 제2 각도보다 작은 각도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60114328A 2016-09-06 2016-09-06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67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328A KR102567803B1 (ko) 2016-09-06 2016-09-06 디스플레이 장치
CN201780054285.9A CN109661809B (zh) 2016-09-06 2017-09-05 显示设备
US15/695,771 US10645283B2 (en) 2016-09-06 2017-09-05 Display device
PCT/KR2017/009724 WO2018048178A1 (en) 2016-09-06 2017-09-05 Display device
EP17849062.9A EP3510767A4 (en) 2016-09-06 2017-09-05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328A KR102567803B1 (ko) 2016-09-06 2016-09-06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132A true KR20180027132A (ko) 2018-03-14
KR102567803B1 KR102567803B1 (ko) 2023-08-18

Family

ID=61282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328A KR102567803B1 (ko) 2016-09-06 2016-09-06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645283B2 (ko)
EP (1) EP3510767A4 (ko)
KR (1) KR102567803B1 (ko)
CN (1) CN109661809B (ko)
WO (1) WO20180481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8082B1 (ko) * 2016-10-28 2023-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모바일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561274B1 (ko) * 2016-12-01 2023-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JP7268369B2 (ja) * 2019-01-30 2023-05-08 株式会社リコー 撮像システム、現像システム、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351314B (zh) * 2019-08-07 2023-03-14 腾讯数码(天津)有限公司 多媒体信息播放方法、服务器、终端、系统及存储介质
US11259081B2 (en) 2020-02-28 2022-02-22 Rovi Guid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ly modifying presentation of media content
JP2023177422A (ja) * 2022-06-02 2023-12-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7131A (ko) * 2001-11-02 2003-05-12 주식회사 디지털스트림테크놀로지 영상신호의 화면비에 따른 티브이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JP3498001B2 (ja) * 1999-02-16 2004-02-16 富士通株式会社 パノラマ画像表示システム,作成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20160018719A (ko) * 2013-07-08 2016-02-17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표시 제어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23182B2 (ja) * 2004-04-15 2008-07-23 船井電機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の状態設定変更装置
US8319891B2 (en) * 2006-08-09 2012-11-27 Panasonic Corporation Video display device displaying input videos in various screen modes and/or aspect ratios
JP5093557B2 (ja) * 2006-10-10 2012-12-12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218792B2 (en) 2008-12-11 2015-12-22 Nvidia Corporation Variable scaling of image data for aspect ratio conversion
US8340654B2 (en) * 2009-05-26 2012-12-25 Lextech Lab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video display and control for portable device
JP5678324B2 (ja) 2011-02-10 2015-03-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表示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表示方法
KR20140030668A (ko) * 2012-09-03 2014-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4094203A1 (en) * 2012-12-17 2014-06-26 Intel Corporation Content aware video resizing
JP6044328B2 (ja) * 2012-12-26 2016-12-1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399694A (zh) * 2013-07-25 2013-11-20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控制屏幕显示的方法和移动终端
CN104135657B (zh) * 2014-07-10 2016-08-17 上海大学 基于信息驱动的实体三维显示装置
US10028653B2 (en) 2015-04-17 2018-07-24 The Cleveland Clinic Foundation Assessment of low contrast visual sensitivity
KR20170006576A (ko) * 2015-07-08 2017-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무선통신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8001B2 (ja) * 1999-02-16 2004-02-16 富士通株式会社 パノラマ画像表示システム,作成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20030037131A (ko) * 2001-11-02 2003-05-12 주식회사 디지털스트림테크놀로지 영상신호의 화면비에 따른 티브이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20160018719A (ko) * 2013-07-08 2016-02-17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표시 제어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661809B (zh) 2021-09-21
US10645283B2 (en) 2020-05-05
CN109661809A (zh) 2019-04-19
WO2018048178A1 (en) 2018-03-15
KR102567803B1 (ko) 2023-08-18
US20180070011A1 (en) 2018-03-08
EP3510767A4 (en) 2020-04-15
EP3510767A1 (en) 201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6542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248413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80027132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144929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20180019421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79042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631039B2 (en) Image display device
US20190286318A1 (en) Display device
KR2018001680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6009537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190007B1 (ko) 영상제공장치,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영상 제공 시스템
KR10249931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920641B1 (ko) 화상회의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77228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230274684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20240036802A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8004313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600216B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920640B1 (ko) 화상회의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7013814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09568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
KR20180040230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5405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081454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22725A (ko)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