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6576A - 디스플레이장치, 무선통신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무선통신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6576A
KR20170006576A KR1020150097401A KR20150097401A KR20170006576A KR 20170006576 A KR20170006576 A KR 20170006576A KR 1020150097401 A KR1020150097401 A KR 1020150097401A KR 20150097401 A KR20150097401 A KR 20150097401A KR 20170006576 A KR20170006576 A KR 20170006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lution
video signal
image
different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7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7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6576A/ko
Priority to US15/203,076 priority patent/US20170013231A1/en
Publication of KR20170006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5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5Adapting incoming signals to the display format of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characters or indicia using display control signals derived from coded signals representing the characters or indicia, e.g. with a character-code memory
    • G09G5/222Control of the character-code memory
    • G09G5/227Resolution modifying circuits, e.g. variable screen formats, resolution change between memory contents and display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 H04N21/44027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for performing aspect ratio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6Zoom, i.e. interaction techniques or interactors for controlling the zooming ope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42Handling or displaying different aspect ratios, or changing the aspect rati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5Zooming at least part of an image, i.e. enlarging it or shrinking 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 G09G2370/045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using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e.g. parallel and serial
    • G09G2370/047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using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e.g. parallel and serial using display data channel standard [DDC] communi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외부장치로부터 소정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와; 수신된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처리된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부와; 수신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해상도와는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전송을 외부장치에 요청하고, 외부장치로부터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의 크기에 대응하여 수신된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영상의 크기를 조정하도록 신호처리부를 제어하고, 조정된 크기의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해상도와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 영상을 표시함에 의해 사용자의 시청 영역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무선통신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DISPLAY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무선통신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조정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 무선통신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V 모니터 상에서 PC와 같은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DDC(Display Data Channel) 통신을 통해 PC와 TV 모니터 간에 EDID 정보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상호 간에 EDID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TV 모니터에서 지원 가능한 해상도 이하의 컨테츠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만약 TV 모니터에서 지원 가능한 해상도보다 높은 해상도를 갖는 컨텐츠 영상이 입력으로 들어올 경우, TV 모니터는 이를 지원하지 못한다는 OSD(On Screen Display) 정보만을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보고자 하는 컨텐츠 영상은 디스플레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게임이나 스포츠 등과 같이 고해상도의 컨텐츠 영상을 저해상도의 화면에 표시하게 되는 경우, 전체 영상의 시청 가능한 부분을 화면상에 모두 표시하지 못하고 예컨대 좌우 영역의 일부가 잘려나간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영상을 시청함에 있어 잘려나간 영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해상도와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자기기로 영상의 스트림을 전송함에 있어, 전자기기의 요청에 따라 전송되는 영상의 해상도와는 다른 해상도의 영상을 스트림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외부장치로부터 소정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와; 수신된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처리된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부와; 수신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해상도와는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전송을 외부장치에 요청하고, 외부장치로부터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의 크기에 대응하여 수신된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영상의 크기를 조정하도록 신호처리부를 제어하고, 조정된 크기의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해상도와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 영상을 표시함에 의해 사용자의 시청 영역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장치가 제공하는 영상의 해상도와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해상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영상을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입력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전송을 상기 외부장치에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설정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해상도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입력은, UI메뉴의 선택, 단축키 입력, 음성명령, 모션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영상의 해상도를 설정함에 있어, 화면 상의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 이외에도 단축키, 음성, 모션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원하는 해상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영상신호의 전송을 위하여 액세스하는 메모리영역에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해상도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해상도에 대응하도록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TV 모니터의 해상도 정보를 저장하는 EDID 테이블의 정보를 변경하여, TV에서 지원되지 못하던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 가능한 해상도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전송 가능한 해상도의 정보를 포함하는 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장치가 제공해줄 수 있는 해상도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해상도의 영상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UI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통해 상기 전송 가능한 해상도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전송을 상기 외부장치에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외부장치가 제공 가능한 해상도 중 하나를 선택하여 원하는 해상도의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수신된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영상을 수평 및 수직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스케일링하는 스케일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의 크기를 화면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영상에 대해 스케일링 영역 및 스케일링 비율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설정 UI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UI에 대한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영상을 스케일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신된 영상의 크기를 조정함에 있어, UI메뉴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크기를 조정하고자 하는 일부 영역을 지정하거나, 크기의 조정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된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영상은, 상기 수신되고 있던 소정 해상도의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오리지널 시청영역과, 상기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오리지널 시청영역에 추가된 추가 시청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TV가 표시할 수 있는 해상도보다 높은 해상도의 영상을 수신하는 경우, TV가 원래 표시할 수 있는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과, 요청에 따라 수신한 높은 해상도의 영상에 기초하여 추가적으로 표시되는 추가 영역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리지널 시청영역과 상기 추가 시청영역 각각에 대해 스케일링 비율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TV가 원래 표시할 수 있는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과, 요청에 따라 수신한 높은 해상도의 영상에 기초하여 추가적으로 표시되는 추가 영역 각각에 대해 크기의 조정 비율을 다르게 설정하여, 영역에 따라 포함하는 정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해상도보다 큰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된 큰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영상을 다운 스케일링하여 표시할 수 있고, 상기 수신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해상도보다 작은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된 작은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영상을 업 스케일링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의 크기를 조정함에 있어, 화면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화면비와는 다른 화면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전송을 상기 외부장치에 요청하고,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다른 화면비의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화면비와 다른 화면비의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편의성이 있다.
상기 외부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무선통신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소정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스트리밍하고, 상기 스트리밍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해상도와는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를 상기 무선통신장치에 요청하고, 상기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상기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스트리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등의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영상의 스트림을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해상도의 영상을 요청하여, 요청된 해상도의 영상을 스트리밍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전자기기와 무선으로 연결되고, 소정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스트림으로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통신부와; 전자기기로부터 전송되는 해상도와는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요청에 대응하여,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스트림으로 전자기기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폰 등의 무선통신장치에서 TV로 영상의 스트림을 전송하는 경우, TV의 요청에 따라 전송되는 영상의 해상도와는 다른 해상도의 영상을 스트림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소정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스트림으로 상기 전자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등의 무선통신장치에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TV로 영상의 스트림을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전송되는 해상도와는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대해, 상기 다른 해상도로 상기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변경하거나, 상기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파일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등의 무선통신장치에서 TV로부터 요청되는 해상도의 영상을 스트림으로 전송하기 위해,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변경하거나 요청되는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 파일을 검색하여 TV로 요청된 해상도의 영상을 스트림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외부장치로부터 소정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해상도와는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전송을 외부장치에 요청하는 단계와; 외부장치로부터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의 크기에 대응하여 수신된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영상의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와; 조정된 크기의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해상도와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 영상을 표시함에 의해 사용자의 시청 영역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장치가 제공하는 영상의 해상도와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해상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영상을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전송을 상기 외부장치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설정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해상도로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화면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입력은, UI메뉴의 선택, 단축키 입력, 음성명령, 모션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영상의 해상도를 설정함에 있어, 화면 상의 메뉴를 선택하는 방법 이외에도 단축키, 음성, 모션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간단한 방법으로 원하는 해상도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영상신호의 전송을 위하여 액세스하는 메모리영역에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해상도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다른 해상도에 대응하도록 상기 저장된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TV 모니터의 해상도 정보를 저장하는 EDID 테이블의 정보를 변경하여, TV에서 지원되지 못하던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 가능한 해상도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전송 가능한 해상도의 정보를 포함하는 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장치가 제공해줄 수 있는 해상도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해상도의 영상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UI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통해 상기 전송 가능한 해상도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전송을 상기 외부장치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외부장치가 제공 가능한 해상도 중 하나를 선택하여 원하는 해상도의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영상의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영상을 수평 및 수직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스케일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의 크기를 화면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된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영상에 대해 스케일링 영역 및 스케일링 비율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설정 UI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UI에 대한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영상을 스케일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신된 영상의 크기를 조정함에 있어, UI메뉴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크기를 조정하고자 하는 일부 영역을 지정하거나, 크기의 조정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된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영상은, 상기 수신되고 있던 소정 해상도의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오리지널 시청영역과, 상기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오리지널 시청영역에 추가된 추가 시청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TV가 표시할 수 있는 해상도보다 높은 해상도의 영상을 수신하는 경우, TV가 원래 표시할 수 있는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과, 요청에 따라 수신한 높은 해상도의 영상에 기초하여 추가적으로 표시되는 추가 영역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영상의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오리지널 시청영역과 상기 추가 시청영역 각각에 대해 스케일링 비율을 다르게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TV가 원래 표시할 수 있는 해상도의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과, 요청에 따라 수신한 높은 해상도의 영상에 기초하여 추가적으로 표시되는 추가 영역 각각에 대해 크기의 조정 비율을 다르게 설정하여, 영역에 따라 포함하는 정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해상도보다 큰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된 큰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영상을 다운 스케일링하여 표시하고, 상기 수신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해상도보다 작은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된 작은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영상을 업 스케일링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의 크기를 조정함에 있어, 화면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다.
상기 수신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화면비와는 다른 화면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전송을 상기 외부장치에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다른 화면비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화면비와 다른 화면비의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편의성이 있다.
상기 외부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무선통신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소정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스트리밍하는 단계와; 상기 스트리밍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해상도와는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스트리밍을 상기 무선통신장치에 요청하고, 상기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상기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스트리밍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등의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영상의 스트림을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해상도의 영상을 요청하여, 요청된 해상도의 영상을 스트리밍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무선통신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전자기기와 무선으로 연결되고, 소정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스트림으로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전자기기로부터 전송되는 해상도와는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요청에 대응하여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스트림으로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폰 등의 무선통신장치에서 TV로 영상의 스트림을 전송하는 경우, TV의 요청에 따라 전송되는 영상의 해상도와는 다른 해상도의 영상을 스트림으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소정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스트림으로 상기 전자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등의 무선통신장치에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TV로 영상의 스트림을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전송되는 해상도와는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대해, 상기 다른 해상도로 상기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변경하거나, 상기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파일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등의 무선통신장치에서 TV로부터 요청되는 해상도의 영상을 스트림으로 전송하기 위해,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변경하거나 요청되는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 파일을 검색하여 TV로 요청된 해상도의 영상을 스트림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해상도와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 영상을 표시함에 의해 사용자의 시청 영역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 외부장치가 제공하는 영상의 해상도와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해상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영상을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된 다른 해상도의 영상에 대한 스케일링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TV가 PC로부터 EDID 정보를 변경하여 다른 해상도의 영상을 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TV가 스마트폰으로부터 다른 해상도의 영상의 스트림을 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TV에서 지원되는 해상도에 의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TV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해상도의 변경이 가능함을 안내하는 UI를 표시하는 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TV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해상도를 설정할 수 있는 해상도 설정 UI를 표시하는 예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모컨을 이용하여 TV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하는 예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의해 TV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하는 예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션 인식에 의해 TV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하는 예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되고 있던 해상도의 영상에 대응하는 오리지널 시청영역과, 다른 해상도의 영상의 수신에 대응하여 오리지널 시청영역에 추가된 추가 시청영역을 도시한 예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리지널 시청영역과 추가 시청영역 각각에 대해 스케일링 비율을 설정할 수 있는 UI를 표시하는 예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1:9 포맷의 컨텐츠를 16:9 화면과 21:9 화면에 각각 표시하는 경우를 비교하여 도시한 예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1:9 포맷의 컨텐츠를 16:9 화면에 표시함에 있어 스케일링을 적용하지 않은 예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1:9 포맷의 컨텐츠를 16:9 화면에 표시함에 있어 수평 및 수직 방향에 대해 다운 스케일링을 적용하는 예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1:9 포맷의 컨텐츠를 16:9 화면에 표시함에 있어 수평 방향에 대해 다운 스케일링을 적용하는 예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을 화면에 다양한 크기로 표시하기 위한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영상표시 설정 UI를 표시하는 예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먼저 도 1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의 특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필요에 따라 도 5 내지 도 21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는 신호수신부(11), 신호처리부(12), 디스플레이부(13), 사용자입력부(14), 제어부(15), 저장부(16)를 포함하고, 예컨대 스마트 TV, 스마트폰, 테블릿, PC, 넷북, 노트북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10)는 외부장치(17)와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외부장치(17)은 예컨대, PC, DVD장치, 인터넷 서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10)에 포함되는 구성은 앞서 기재된 일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추가적인 다른 구성들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는 외부장치(17)로부터 소정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는 수신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해상도와는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전송을 외부장치에 요청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는 외부장치(17)로부터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3)의 화면의 크기에 대응하여 수신된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영상의 크기를 조정하고, 조정된 크기의 영상을 화면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해상도와는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 영상을 표시함에 의해 사용자의 시청 영역(FOV: field of view)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장치가 제공하는 영상의 해상도와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해상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영상을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신호수신부(11)는 외부장치(17)로부터 소정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신호수신부(11)는 수신하는 방송신호의 규격 및 디스플레이장치(1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식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신호나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튜너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신호수신부(11)는 디스플레이장치(10)와 연결된 외부장치(17), 예컨대 PC, DVD 장치 등으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신호수신부(1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현 형태로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외부장치(17)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는 예컨대 게임 영상, 스포츠 영상, 방송 영상, DVD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고, 그 외에도 디스플레이장치(10)에서 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영상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2)는 신호수신부(11)에서 수신된 영상신호에 대해 복수의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복수의 신호처리는 영상신호에 대한 혼신 제거, 순방향 에러정정(FEC), ATV/DTV AGC Speed 변경, 이퀄라이저 슬로프(Equalizer slope) 변경, 파일럿(Pilot) 크기 변경, 심볼 레이트(Symbol rate) 감지범위 변경, 위상추적 루프이득(Phase Tracking Loop gain), 주파수 변경 등의 처리를 포함할 수 있고,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부(13)은 신호처리부(12)에서 처리된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3)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 바, 디스플레이부(13)는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4)는 사용자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입력부(14)는 예컨대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장치(10)의 외측에 구비된 입력패널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사용자입력부(14)는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하여 사용자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은, UI메뉴의 선택, 단축키 입력, 음성명령, 모션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6)는 외부장치(17)가 영상신호의 전송을 위하여 액세스하는 메모리영역에 디스플레이장치(10)에서 지원 가능한 해상도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일실시예로서, 저장부(16)는 디스플레이장치(10)의 모니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EDID(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EDID 테이블은 디스플레이장치(10)에서 지원 가능한 복수의 해상도 정보와 기본적인 디스플레이의 변수 및 특성들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EDID 테이블은 영상기기 및 멀티미디어 장치에 대한 표준 규격인 VESA(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 규격을 따른다.
제어부(15)는 외부장치(17)로부터 수신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해상도와는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전송을 외부장치(17)에 요청한다. 일실시예로서, 제어부(15)는 사용자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전송을 외부장치(17)에 요청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외부장치(17)로 전송 가능한 해상도의 정보를 요청하고, 외부장치(17)로부터 수신되는 전송 가능한 해상도의 정보를 포함하는 UI를 디스플레이부(13)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5)는 UI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통해 전송 가능한 해상도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전송을 외부장치(17)에 요청할 수 있다.
예로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10)는 가로(111) 대 세로(112)의 비가 16:9인 화면에 게임 영상(113)을 표시하고, 사용자는 16:9의 해상도보다 더 높은 해상도로 영상을 시청하기 위해 해상도 설정 UI(114)를 통해 영상의 해상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해상도 설정 UI(114)는 외부장치(17)로부터 전송 가능한 게임 영상(113)의 해상도 정보를 표시하고, 예컨대 외부장치(17)가 제공하는 게임 영상(113)의 실제 해상도 이하이고 디스플레이장치(10)에서 지원 가능한 해상도 이상인 해상도들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실제 게임 영상(113)의 해상도가 4096*2160(21:9)인 경우, 해상도 설정 UI(114)는 디스플레이장치(110)의 해상도인 3840*2160(16:9) 이상이고 4096*2160(21:9) 이하인 해상도들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표시된 해상도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표시되고 있는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하여 영상에서 시청이 가능하지 않던 영역을 시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른 예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외부장치(17)로부터 수신되는 게임 영상(103)의 해상도의 변경이 가능함을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UI(104)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해상도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직접 선택하지 않은 경우라도,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게임 영상(103)의 해상도와는 다른 해상도의 지원이 가능한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안내해주는 UI(104)를 자동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UI(104)에서 '변경' 버튼을 선택하면, 도 11의 해상도 설정 UI(114)를 표시하여 현재 표시중인 게임 영상(103)의 해상도를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표시되고 있는 영상의 해상도와 다른 해상도의 지원이 가능한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최적의 해상도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제어부(15)는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전송을 외부장치(17)에 요청하기 위해, UI메뉴의 선택, 단축키 입력, 음성명령, 모션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로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20)는 리모컨(125) 상에서 특정 버튼을 선택함에 의해 표시되고 있는 게임 영상(123)의 해상도를 3840*2160(16:9)에서 4096*2160(21:9)로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게임 영상(123)의 해상도가 4096*2160(21:9)로 변경됨을 안내하는 UI(124)를 표시하거나, UI(124)의 표시 없이 곧바로 게임 영상(123)의 해상도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키보드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키보드 상의 단축키를 누름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30)는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의해 표시되고 있는 게임 영상(133)의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가 "21대9"(135)와 같이 음성을 발화하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30)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음성 인식 결과에 따라 "21대9"(135)를 21:9에 대응하는 해상도로 변경하라는 명령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해상도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찾아 실행하는 여러 단계를 거치지 않고도 간단한 음성 명령에 의해 게임 영상(133)의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40)는 사용자의 모션 인식에 의해 표시되고 있는 게임 영상(143)의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확대 또는 축소를 나타내는 모션(145)을 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40)는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고, 모션 인식 결과에 따라 손가락을 이용한 확대 모션을 해상도를 높이는 명령으로 판단하고, 손가락을 이용한 축소 모션을 해상도를 낮추는 명령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해상도를 변경하기 위해 다른 추가적인 동작 없이 손가락을 이용한 단순한 모션만으로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표시되는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의 모션은 손가락을 이용한 모션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팔이나 리모컨에 의한 모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외부장치(17)로부터 현재 수신되고 있는 영상의 해상도와는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이 때, 제어부(15)는 다른 해상도에 대응하도록 저장부(16)에 저장된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제어부(15)는 외부장치(17)로부터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EDID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는 기존의 해상도 정보를 다른 해상도 정보로 변경하거나, 기존의 해상도 정보에 다른 해상도 정보를 추가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5)는 변경 또는 추가된 EDID 정보를 이용하여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77)가 TV(70)로 21:9 해상도를 가진 영상(73)의 영상신호를 전송하면, TV(70)는 EDID 테이블(71)에 기 저장되어 있는 EDID 정보를 이용하여 TV(70)의 화면(72)에서 지원 가능한 16:9의 해상도로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TV(70)가 지원하는 16:9의 해상도와 PC(77)로부터 전송된 영상(73)의 21:9의 해상도가 일치하지 않음에 따라, TV(70)는 화면(72) 상에 PC(77)로부터 수신한 영상(73)을 표시하지 못하거나, 또는 영상(73)의 우측 및 좌측의 일부 영역이 잘려진 형태로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영상(73)의 전체 영역을 화면(72)에 표시하기 위해 PC(77)로 TV(70)의 16:9의 해상도보다 큰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EDID 테이블(71)에 기 저장되어 있는 16:9의 해상도를 21:9의 해상도로 변경하거나, 21:9의 해상도를 추가할 수 있다. TV(7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PC(77)는 변경된 EDID 테이블(71)의 EDID 정보를 이용하여 21:9의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TV(70)로 전송하여 TV(70)의 화면(72)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제어부(15)는 수신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화면비와는 다른 화면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전송을 외부장치(17)에 요청하고, 외부장치(17)로부터 다른 화면비의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로서, 외부장치(17)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화면비가 16:9인 경우, 사용자의 요청 또는 디스플레이장치(10)의 제안에 따라 21:9의 화면비를 가지는 영상신호를 전송해 줄 것을 외부장치(17)에 요청할 수 있다. 즉, 외부장치(17)로 해상도 대신 화면비가 다른 영상신호를 요청하여 현재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화면비와 다른 화면비의 영상을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신호처리부(12)는 수신된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영상을 수평 및 수직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스케일링하는 스케일러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는, 수신된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영상에 대해 스케일링 영역 및 스케일링 비율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설정 UI를 표시할 수 있고, 표시된 UI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수신된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영상을 스케일링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제어부(15)는 조정된 크기의 영상을 표시함에 있어, 수신되고 있던 소정 해상도의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오리지널 시청영역과,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오리지널 시청영역에 추가된 추가 시청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오리지널 시청영역은 저장부(16)에 기 저장되어 있는 EDID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되는 시청영역이고, 추가 시청영역은 외부장치(17)로 요청한 다른 해상도에 대응하도록 변경된 EDID 정보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표시되는 추가 시청영역이다. 제어부(15)는 오리지널 시청영역과 추가 시청영역 각각에 대해 스케일링 비율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예로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50)는 가로(151) 대 세로(152)의 비가 16:9인 화면에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한 21:9의 해상도를 가진 게임 영상을 표시함에 있어, 디스플레이장치(160)에서 지원 가능한 16:9의 해상도의 게임 영상에 대응하는 오리지널 시청영역(153)과, 21:9의 해상도의 게임 영상의 수신에 대응하여 추가된 좌측 추가 시청영역(154)과 우측 추가 시청영역(155)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오리지널 시청영역(153)은 기 저장된 EDID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영역이고, 좌측 추가 시청영역(154) 및 우측 추가 시청영역(155)은 21:9의 해상도의 영상을 수신할 수 있도록 변경된 EDID 정보를 이용하여 오리지널 시청영역(153)에 추가적으로 표시되는 영역이다.
일실시예로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60)는 가로(161) 대 세로(162)의 비가 16:9인 화면에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한 21:9의 해상도의 게임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게임 영상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이 때, 게임 영상의 오리지널 시청영역(163) 및 추가 시청영역(164, 165) 각각에 대해 스케일링 비율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예로서, 스케일링을 위한 사용자설정 UI(166)을 표시하고, 표시된 UI(166)를 이용하여 오리지널 시청영역(163) 및 추가 시청영역(164, 165) 중 스케일링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영역에 대해 확대 또는 축소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한 영역에 대한 확대 또는 축소 비율은 '-50%'와 '50%' 사이에서 설정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제어부(15)는 수신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해상도보다 큰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를 외부장치(17)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3)의 화면의 크기에 대응하여 수신된 큰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영상을 다운 스케일링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는 수신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해상도보다 작은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를 외부장치(17)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3)의 화면의 크기에 대응하여 수신된 작은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영상을 업 스케일링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로서, TV의 해상도가 3840*2160(16:9)이고, 수신하는 영상의 해상도가 4096*2160(21:9)인 경우, 영상의 전체 영역을 화면에 표시하기 위해 크기를 축소하도록 다운 스케일링을 적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TV의 해상도가 4096*2160(21:9)이고, 수신하는 영상의 해상도가 3840*2160(16:9)인 경우, 영상을 전체 화면에 여백 없이 표시하기 위해 크기를 확대하도록 업 스케일링을 적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20)는 통신부(21), 신호처리부(22), 디스플레이부(23), 사용자입력부(24), 제어부(25), 저장부(26)를 포함하고, 예컨대 스마트 TV, 스마트폰, 테블릿, PC, 넷북, 노트북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20)는 무선통신장치(27)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예컨대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무선통신장치(27)는 예컨대, 스마트폰, 테블릿, 스마트 TV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20)에 포함되는 구성은 앞서 기재된 일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추가적인 다른 구성들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20)에 포함되는 구성 중 신호처리부(22), 디스플레이부(23), 사용자입력부(24), 제어부(25), 저장부(26)는 도 1의 신호처리부(12), 디스플레이부(13), 사용자입력부(14), 제어부(15), 저장부(16)에 각각 대응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도 1의 구성과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통신부(21)는 무선통신장치(27)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예로서, 통신부(21)는 무선통신장치(27)와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21)가 무선통신장치(27)와 연결되면, 디스플레이장치(20)는 통신부(21)를 통해 무선통신장치(27)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25)는 무선통신장치(27)로부터 소정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스트리밍하도록 통신부(21)를 제어한다. 제어부(25)는 스트리밍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해상도와는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를 무선통신장치(27)에 요청한다. 제어부(25)는 무선통신장치(27)로부터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스트리밍한다. 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87)이 어플리케이션(81)을 실행하여 TV(80)로 21:9의 해상도를 가진 영상(83)의 영상신호를 스트림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TV(80)는 기 저장되어 있는 해상도 정보를 이용하여 TV(80)의 화면(82)에서 지원 가능한 16:9의 해상도로 영상신호의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TV(80)가 지원하는 16:9의 해상도와 스마트폰(87)로부터 전송된 영상(83)의 21:9의 해상도가 일치하지 않음에 따라, TV(80)는 화면(82) 상에 스마트폰(87)으로부터 스트리밍한 영상(83)을 표시하지 못하거나, 또는 스트리밍한 영상(83)의 우측 및 좌측의 일부 영역이 잘려진 형태로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영상(83)의 전체 영역을 TV(80)의 화면(82)에 표시하기 위해, 스마트폰(87)으로 TV(80)의 16:9의 해상도보다 큰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스트림을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TV(8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스마트폰(87)은 21:9의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스트림을 TV(80)로 전송하여 TV(80)의 화면(82)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동작 S30에서, 외부장치로부터 소정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동작 S31에서, 수신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해상도와는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전송을 외부장치에 요청한다. 여기서, 동작 S31은,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동작과, 사용자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전송을 외부장치에 요청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입력은, UI메뉴의 선택, 단축키 입력, 음성명령, 모션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외부장치가 영상신호의 전송을 위하여 액세스하는 메모리 영역에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해상도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동작과, 다른 해상도에 대응하도록 저장된 정보를 변경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외부장치로 전송 가능한 해상도의 정보를 요청하는 동작과,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전송 가능한 해상도의 정보를 포함하는 UI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UI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통해 전송 가능한 해상도 중 하나를 선택하는 동작과, 선택된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전송을 외부장치에 요청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작 S32에서, 외부장치로부터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동작 S33에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의 크기에 대응하여 수신된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영상의 크기를 조정한다. 여기서, 동작 S33은, 수신된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영상을 수평 및 수직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스케일링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작 S33은, 수신되고 있던 소정 해상도의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오리지널 시청영역과,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오리지널 시청영역에 추가된 추가 시청영역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동작 S33은, 오리지널 시청영역과 추가 시청영역 각각에 대해 스케일링 비율을 다르게 적용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수신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해상도보다 큰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를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의 크기에 대응하여 수신된 큰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영상을 다운 스케일링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수신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해상도보다 작은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를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의 크기에 대응하여 수신된 작은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영상을 업 스케일링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수신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화면비와는 다른 화면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전송을 외부장치에 요청하는 동작과, 외부장치로부터 다른 화면비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외부장치로 해상도 대신 화면비가 다른 영상신호를 요청하여 현재 수신되는 영상신호의 화면비와 다른 화면비의 영상을 수신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동작 S34에서, 조정된 크기의 영상을 표시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해상도와는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 영상을 표시함에 의해 사용자의 시청 영역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부장치가 제공하는 영상의 해상도와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해상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영상을 수신하여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동작 S40에서,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소정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스트리밍한다. 다음으로, 동작 S41에서, 스트리밍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해상도와는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스트림의 전송을 무선장치에 요청하고, 동작 S42에서, 무선통신장치로부터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스트리밍한다. 다음으로, 동작 S43에서,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의 크기에 대응하여 스트리밍된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영상의 크기를 조정한다. 마지막으로, 동작 S44에서, 조정된 크기의 영상을 표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된 다른 해상도의 영상에 대한 스케일링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동작 S50에서, 외부장치로부터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동작 S51에서, 수신된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영상에 대해 스케일링을 위한 사용자설정 UI를 표시하고, 동작 S52에서, 사용자설정 UI를 통해 스케일링 영역을 선택한다. 여기서 스케일링 영역은 수신되고 있던 해상도에 대응하는 오리지널 시청영역과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오리지널 시청영역에 추가된 추가 시청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작 S53에서, 사용자설정 UI를 통해 스케일링 비율을 선택한다. 이 때, 오리지널 시청영역과 추가 시청영역 각각에 대해 스케일링 비율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예로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 영상의 오리지널 시청영역(163) 및 추가 시청영역(164, 165) 각각에 대해 스케일링 비율을 다르게 적용하기 위해, 사용자설정 UI(166)를 이용하여 오리지널 시청영역 및 추가 시청영역에 대해 각각 확대 또는 축소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동작 S54에서, 선택된 스케일링 영역 및 스케일링 비율에 기초하여 수신된 영상을 스케일링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장치는,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스케일링함에 있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영상의 서로 다른 영역에 대해 다른 스케일링 비율을 적용하여, 영상의 서로 다른 영역으로부터 얻는 정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동작 S60에서, 소정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스트림으로 전자기기로 전송한다. 여기서, 동작 S60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소정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스트림으로 전자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동작 S61에서, 전자기기로부터 전송되는 해상도와는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요청을 수신한다. 여기서, 요청에 대해, 다른 해상도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변경하거나,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파일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동작 S62에서, 요청에 대응하여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스트림으로 전자기기로 전송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TV가 PC로부터 EDID 정보를 변경하여 다른 해상도의 영상을 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77)가 TV(70)로 21:9의 해상도를 가진 영상(73)의 영상신호를 전송하면, TV(70)는 EDID 테이블(71)에 기 저장되어 있는 EDID 정보를 확인하여 전송되고 있는 21:9 영상(73)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지 판단하게 된다. 이 때, 기 저장되어 있는 EDID 정보는 TV(70)에서 지원 가능한 해상도 정보이고, 이에 따라 TV(70)는 지원 가능한 16:9의 해상도로 영상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TV(70)가 지원하는 16:9의 해상도와 PC(77)로부터 전송된 영상(73)의 21:9의 해상도가 일치하지 않음에 따라, TV(70)는 화면(72) 상에 PC(77)로부터 수신한 영상(73)을 표시하지 못하거나, 또는 영상(73)의 우측 및 좌측의 일부 영역이 잘려진 형태로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영상(73)의 전체 영역을 화면(72)에 표시하기 위해 PC(77)로 TV(70)의 16:9의 해상도보다 큰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EDID 테이블(71)에 기 저장되어 있는 16:9의 해상도를 21:9의 해상도로 변경하거나, 21:9의 해상도를 추가할 수 있다. TV(7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PC(77)는 변경된 EDID 테이블(71)의 EDID 정보를 이용하여 21:9의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TV(70)로 전송하여 TV(70)가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TV가 스마트폰으로부터 다른 해상도의 영상의 스트림을 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87)이 어플리케이션(81)을 실행하여 TV(80)로 21:9의 해상도를 가진 영상(83)의 영상신호를 스트림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TV(80)는 기 저장되어 있는 해상도 정보를 이용하여 TV(80)의 화면(82)에서 지원 가능한 16:9의 해상도로 영상신호의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TV(80)가 지원하는 16:9의 해상도와 스마트폰(87)로부터 전송된 영상(83)의 21:9의 해상도가 일치하지 않음에 따라, TV(80)는 화면(82) 상에 스마트폰(87)으로부터 스트리밍한 영상(83)을 표시하지 못하거나, 또는 스트리밍한 영상(83)의 우측 및 좌측의 일부 영역이 잘려진 형태로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영상(83)의 전체 영역을 TV(80)의 화면(82)에 표시하기 위해, 스마트폰(87)으로 TV(80)의 16:9의 해상도보다 큰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스트림을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TV(8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스마트폰(87)은 21:9의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스트림을 TV(80)로 전송하여 TV(70)가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TV에서 지원되는 해상도에 의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예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90)는 가로(91) 대 세로(92)의 비가 16:9인 화면에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한 21:9의 해상도를 가진 게임 영상(93)을 표시함에 있어, 디스플레이장치(90)에서 지원 가능한 16:9의 해상도로 게임 영상(93)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장치(90)에 기 저장되어 있는 EDID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지원 가능한 해상도가 16:9의 해상도임을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16:9의 해상도로 게임 영상(93)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21:9의 해상도의 게임 영상(93)을 16:9의 해상도의 화면에 표시하기 위해, 게임 영상(93)의 전체 영역 중 좌측 및 우측의 일부 영역이 잘려진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게임 영상(93)의 좌측 및 우측의 일부 영역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없으므로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TV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해상도의 변경이 가능함을 안내하는 UI를 표시하는 예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가로(101) 대 세로(102)의 비가 16:9인 화면에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한 21:9의 해상도를 가진 게임 영상(93)을 표시하는 중에, 게임 영상(103)의 해상도의 변경이 가능함을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UI(104)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21:9의 해상도의 게임 영상(93)을 16:9의 해상도의 화면에 표시함에 의해 게임 영상(93) 중 사용자가 보지 못하는 시청영역이 존재함을 판단하고, 이러한 시청영역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자가 다른 해상도로 변경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해상도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직접 선택하지 않은 경우라도,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게임 영상(103)의 해상도와는 다른 해상도의 지원이 가능한 경우 사용자에게 이를 안내해주는 UI(104)를 자동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UI(104)에서 '변경' 버튼을 선택하면, 해상도를 설정할 수 있는 UI를 표시하여 현재 표시중인 게임 영상(103)의 해상도를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표시되고 있는 영상의 해상도와 다른 해상도의 지원이 가능한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자가 원하는 해상도로 변경함에 의해 시청영역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TV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해상도를 설정할 수 있는 해상도 설정 UI를 표시하는 예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10)는 가로(111) 대 세로(112)의 비가 16:9인 화면에 게임 영상(113)을 표시하고, 사용자는 16:9의 해상도보다 더 높은 해상도로 영상을 시청하기 위해 해상도 설정 UI(114)를 통해 영상의 해상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해상도 설정 UI(114)는 외부장치(17)로부터 전송 가능한 게임 영상(113)의 해상도 정보를 표시하고, 예컨대 외부장치(17)가 제공하는 게임 영상(113)의 실제 해상도 이하이고 디스플레이장치(10)에서 지원 가능한 해상도 이상인 해상도들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실제 게임 영상(113)의 해상도가 4096*2160(21:9)인 경우, 해상도 설정 UI(114)는 디스플레이장치(110)의 해상도인 3840*2160(16:9) 이상이고 4096*2160(21:9) 이하인 해상도들을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는 표시된 해상도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표시되고 있는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하여 영상에서 시청이 가능하지 않던 영역을 시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모컨을 이용하여 TV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하는 예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20)는 가로(121) 대 세로(122)의 비가 16:9인 화면에 게임 영상(123)을 표시하는 중에, 리모컨(125) 상에서 특정 버튼을 선택함에 의해 표시되고 있는 게임 영상(123)의 해상도를 3840*2160(16:9)에서 4096*2160(21:9)로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게임 영상(123)의 해상도가 4096*2160(21:9)로 변경됨을 안내하는 UI(124)를 표시하거나, UI(124)의 표시 없이 곧바로 게임 영상(123)의 해상도를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게임 영상(123)을 4096*2160(21:9)의 해상도로 변경하여 표시한 이후에, 사용자가 리모컨(125) 상에서 기 설정된 버튼을 선택하면, 게임 영상(123)을 다시 원래의 해상도인 3840*2160(16:9)로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음성 명령에 의해 TV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하는 예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30)는 가로(131) 대 세로(132)의 비가 16:9인 화면에 게임 영상(133)을 표시하는 중에,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의해 표시되고 있는 게임 영상(133)의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가 "21대9"(135)와 같이 음성을 발화하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30)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음성 인식 결과에 따라 "21대9"(135)를 21:9에 대응하는 해상도로 변경하라는 명령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해상도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를 찾아 실행하는 여러 단계를 거치지 않고도 간단한 음성 명령에 의해 게임 영상(133)의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션 인식에 의해 TV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하는 예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40)는 가로(141) 대 세로(142)의 비가 16:9인 화면에 게임 영상(143)을 표시하는 중에,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여 표시되고 있는 게임 영상(143)의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확대 또는 축소를 나타내는 모션(145)을 취하는 경우, 디스플레이장치(140)는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고, 모션 인식 결과에 따라 손가락을 이용한 확대 모션을 해상도를 높이는 명령으로 판단하고, 손가락을 이용한 축소 모션을 해상도를 낮추는 명령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해상도를 변경하기 위해 다른 추가적인 동작 없이 손가락을 이용한 단순한 모션만으로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표시되는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의 모션은 손가락을 이용한 모션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의 팔이나 리모컨에 의한 모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되고 있던 해상도의 영상에 대응하는 오리지널 시청영역과, 다른 해상도의 영상의 수신에 대응하여 오리지널 시청영역에 추가된 추가 시청영역을 도시한 예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50)는 가로(151) 대 세로(152)의 비가 16:9인 화면에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한 21:9의 해상도를 가진 게임 영상을 표시함에 있어, 디스플레이장치(160)에서 지원 가능한 16:9의 해상도의 게임 영상에 대응하는 오리지널 시청영역(153)과, 21:9의 해상도의 게임 영상의 수신에 대응하여 추가된 좌측 추가 시청영역(154)과 우측 추가 시청영역(155)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오리지널 시청영역(153)은 기 저장된 EDID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영역이고, 좌측 추가 시청영역(154) 및 우측 추가 시청영역(155)은 21:9의 해상도의 영상을 수신할 수 있도록 변경된 EDID 정보를 이용하여 오리지널 시청영역(153)에 추가적으로 표시되는 영역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리지널 시청영역과 추가 시청영역 각각에 대해 스케일링 비율을 설정할 수 있는 UI를 표시하는 예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160)는 가로(161) 대 세로(162)의 비가 16:9인 화면에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한 21:9의 해상도의 게임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게임 영상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이 때, 게임 영상의 전체 영역 중 TV가 원래 지원 가능한 해상도인 16:9의 해상도로 표시될 수 있는 오리지널 시청영역(163)과, TV의 요청에 따라 16:9보다 높은 21:9의 해상도의 게임 영상을 수신함에 의해 추가적으로 표시될 수 있는 추가 시청영역(164, 165) 각각에 대해 스케일링 비율을 다르게 적용할 수 있다. 예로서, 스케일링을 위한 사용자설정 UI(166)을 표시하고, 표시된 UI(166)를 이용하여 오리지널 시청영역(163) 및 추가 시청영역(164, 165) 중 스케일링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영역에 대해 확대 또는 축소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한 영역에 대한 확대 또는 축소 비율은 '-50%'와 '50%' 사이에서 설정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1:9 포맷의 컨텐츠를 16:9 화면과 21:9 화면에 각각 표시하는 경우를 비교하여 도시한 예이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1:9 포맷의 스포츠 영상을 스케일링 처리를 하지 않고 가로(174) 대 세로(172)의 비가 16: 9인 화면(176)에 표시하는 경우, 21:9 포맷의 스포츠 영상을 좌측 및 우측 일부가 잘려진 영상(175)으로 표시할 수 있다. 반면, 21:9 포맷의 스포츠 영상을 스케일링 처리를 하지 않고 가로(171) 대 세로(172)의 비가 21:9인 화면(170)에 표시하는 경우, 21:9 포맷의 스포츠 영상을 잘려지는 부분 없이 전체 영상(173)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의 실제 포맷과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의 크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영상의 일부 영역을 시청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의 실제 포맷과 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의 크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실제 포맷의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화면의 크기에 맞도록 조정함에 의해 사용자가 영상의 전체 영역을 시청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1:9 포맷의 컨텐츠를 16:9 화면에 표시함에 있어 스케일링을 적용하지 않은 예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1:9 포맷의 컨텐츠 영상(181)을 디스플레이장치(180)의 16:9의 화면에 표시함에 있어, 스케일링을 적용하지 않는 경우 21:9 포맷의 컨텐츠 영상(181)의 전체 영역을 화면에 표시하지 못하고, 좌측 및 우측의 일부 영역이 잘려진 영상(182)으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1:9 포맷의 컨텐츠를 16:9 화면에 표시함에 있어 수평 및 수직 방향에 대해 다운 스케일링을 적용하는 예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21:9 포맷의 컨텐츠 영상(191)을 디스플레이장치(190)의 16:9의 화면에 표시함에 있어, 21:9 포맷의 컨텐츠 영상(191)의 전체 영역을 화면에 표시하기 위해 컨텐츠 영상(191)의 수평 및 수직 방향에 대해 다운 스케일링을 적용할 수 있다. 예로서, 컨텐츠 영상(191)을 수평 및 수직 방향에 대해 동일한 비율로 다운 스케일링하여 컨텐츠 영상(191)에서 좌우측 영역이 잘려지는 부분 없이 전체 영상(192)이 모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화면의 상하측 부분은 소정 크기의 여백(193, 19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21:9 포맷의 컨텐츠를 16:9 화면에 표시함에 있어 수평 방향에 대해 다운 스케일링을 적용하는 예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1:9 포맷의 컨텐츠 영상(201)을 디스플레이장치(200)의 16:9의 화면에 표시함에 있어, 21:9 포맷의 컨텐츠 영상(201)의 전체 영역을 화면에 표시하기 위해 컨텐츠 영상(201)의 수평방향에 대해 다운 스케일링을 적용할 수 있다. 예로서, 컨텐츠 영상(201)을 수평방향에 대해서만 소정 비율로 다운 스케일링하여 컨텐츠 영상(201)에서 좌우측 및 상하측 영역이 잘려지는 부분 없이 전체 영상(202)이 모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 영상(201)의 수평방향에 대해서만 다운 스케일링을 적용하기 때문에 화면 상의 밀도변화에 의해 왜곡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을 화면에 다양한 크기로 표시하기 위한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영상표시 설정 UI를 표시하는 예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210)에 있어, 21:9 포맷의 영상(212)을 16:9의 화면에 표시함에 있어, 사용자가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212)의 크기를 조정하도록 하기 위한 영상표시 설정 UI(213)를 표시할 수 있다. 영상표시 설정 UI(213)는 영상을 다양한 크기로 표시하기 위해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옵션을 포함하고, 예컨대 '전체화면 표시', '수평방향 고정', '수직방향 고정', '오리지널 크기로 표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영상표시 설정 UI(213)을 이용하여 옵션 중 하나를 선택함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통신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통신장치(220)는 신호처리부(222), 디스플레이부(223), 사용자입력부(224), 제어부(225), 통신부(226)를 포함하고, 예컨대 스마트폰, 테블릿, 스마트 TV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무선통신장치(220)는 전자기기(227)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전자기기(17)는 예컨대, 스마트 TV, 스마트폰, 테블릿, PC, 넷북, 노트북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선통신장치(220)에 포함되는 구성은 앞서 기재된 일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추가적인 다른 구성들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선통신장치(220)에 포함되는 구성 중 신호처리부(222), 디스플레이부(223), 사용자입력부(224)는 도 1의 디스플레이장치(10)의 구성 중 신호처리부(12), 디스플레이부(13), 사용자입력부(14)에 각각 대응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도 1의 구성과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통신부(226)는 전자기기(227)와 무선으로 연결되고, 예컨대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226)는 소정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스트림으로 전자기기(227)로 전송한다.
제어부(225)는 전자기기(227)로부터 전송되는 해상도와는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요청에 대응하여,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스트림으로 전자기기(227)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26)를 제어한다.
일실시예로서, 제어부(225)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소정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스트림으로 전자기기(227)로 전송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예로서, 스마트폰에서 사용자가 21:9의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스트림을 16:9의 해상도의 TV로 전송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225)는 전자기기(227)로부터 전송되는 해상도와는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에 대해, 다른 해상도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변경하거나,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파일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로서, 스마트폰에서 21:9의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스트림을 16:9의 해상도의 TV로 전송하는 경우, TV는 16:9의 해상도보다 높은 해상도로 영상신호를 스트리밍하기 위해, 스마트폰으로 16:9보다 높은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폰은 TV의 요청에 대해 16:9이상 21:9이하의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스트림으로 변경하여 TV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스마트폰은 TV의 요청에 대해 16:9이상 21:9 이하의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파일이 있는지를 검색하여, 검색된 영상신호의 스트림을 TV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무선통신장치(220)는 전송되는 해상도와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스트림을 전자기기(227)로 전송함에 의해, 사용자의 시청영역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 디스플레이장치
11: 신호수신부
12: 신호처리부
13: 디스플레이부
14: 사용자입력부
15: 제어부
16: 저장부
17: 외부장치
20: 디스플레이장치
21: 신호수신부
22: 신호처리부
23: 디스플레이부
24: 사용자입력부
25: 제어부
26: 저장부
27: 무선통신장치

Claims (32)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외부장치로부터 소정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와;
    상기 수신된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와;
    상기 처리된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을 가지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수신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해상도와는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전송을 상기 외부장치에 요청하고,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된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영상의 크기를 조정하도록 상기 신호처리부를 제어하고, 상기 조정된 크기의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입력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전송을 상기 외부장치에 요청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입력은, UI메뉴의 선택, 단축키 입력, 음성명령, 모션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영상신호의 전송을 위하여 액세스하는 메모리영역에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해상도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해상도에 대응하도록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변경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 가능한 해상도의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전송 가능한 해상도의 정보를 포함하는 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UI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통해 상기 전송 가능한 해상도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전송을 상기 외부장치에 요청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수신된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영상을 수평 및 수직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스케일링하는 스케일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영상에 대해 스케일링 영역 및 스케일링 비율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설정 UI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UI에 대한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영상을 스케일링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정된 크기의 영상을 표시함에 있어, 상기 수신되고 있던 소정 해상도의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오리지널 시청영역과, 상기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오리지널 시청영역에 추가된 추가 시청영역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리지널 시청영역과 상기 추가 시청영역 각각에 대해 스케일링 비율을 다르게 적용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해상도보다 큰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된 큰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영상을 다운 스케일링하여 표시하고,
    상기 수신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해상도보다 작은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된 작은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영상을 업 스케일링하여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화면비와는 다른 화면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전송을 상기 외부장치에 요청하고,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다른 화면비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무선통신장치로 구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소정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스트리밍하고, 상기 스트리밍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해상도와는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를 상기 무선통신장치에 요청하고, 상기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상기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스트리밍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4. 무선통신장치에 있어서,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전자기기와 무선으로 연결되고, 소정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스트림으로 상기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통신부와;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전송되는 해상도와는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스트림으로 상기 전자기기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소정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스트림으로 상기 전자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무선통신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전송되는 해상도와는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대해, 상기 다른 해상도로 상기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변경하거나, 상기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파일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는 무선통신장치.
  17.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외부장치로부터 소정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해상도와는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전송을 상기 외부장치에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된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영상의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조정된 크기의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입력의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전송을 상기 외부장치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입력은, UI메뉴의 선택, 단축키 입력, 음성명령, 모션인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가 상기 영상신호의 전송을 위하여 액세스하는 메모리영역에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지원 가능한 해상도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다른 해상도에 대응하도록 상기 저장된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로 전송 가능한 해상도의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전송 가능한 해상도의 정보를 포함하는 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UI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통해 상기 전송 가능한 해상도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전송을 상기 외부장치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3.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영상을 수평 및 수직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스케일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영상에 대해 스케일링 영역 및 스케일링 비율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설정 UI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UI에 대한 상기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영상을 스케일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된 크기의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되고 있던 소정 해상도의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오리지널 시청영역과, 상기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수신에 대응하여 오리지널 시청영역에 추가된 추가 시청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크기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오리지널 시청영역과 상기 추가 시청영역 각각에 대해 스케일링 비율을 다르게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7.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해상도보다 큰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된 큰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영상을 다운 스케일링하여 표시하고,
    상기 수신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해상도보다 작은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된 작은 해상도의 영상신호의 영상을 업 스케일링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화면비와는 다른 화면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전송을 상기 외부장치에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상기 다른 화면비의 영상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무선통신장치로 구현되고,
    상기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소정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스트리밍하는 단계와;
    상기 스트리밍되고 있는 영상신호의 해상도와는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스트리밍을 상기 무선통신장치에 요청하고, 상기 무선통신장치로부터 상기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스트리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30. 무선통신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전자기기와 무선으로 연결되고, 소정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스트림으로 상기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전송되는 해상도와는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다른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스트림으로 상기 전자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장치의 제어방법.
  31. 제 30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소정 해상도의 영상신호를 스트림으로 상기 전자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장치의 제어방법.
  32.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로부터 상기 전송되는 해상도와는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요청에 대해, 상기 다른 해상도로 상기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변경하거나, 상기 다른 해상도를 가지는 영상신호의 파일이 존재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50097401A 2015-07-08 2015-07-08 디스플레이장치, 무선통신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KR2017000657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401A KR20170006576A (ko) 2015-07-08 2015-07-08 디스플레이장치, 무선통신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US15/203,076 US20170013231A1 (en) 2015-07-08 2016-07-06 Display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401A KR20170006576A (ko) 2015-07-08 2015-07-08 디스플레이장치, 무선통신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576A true KR20170006576A (ko) 2017-01-18

Family

ID=57730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401A KR20170006576A (ko) 2015-07-08 2015-07-08 디스플레이장치, 무선통신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70013231A1 (ko)
KR (1) KR2017000657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5365A1 (ko) * 2021-04-23 2022-10-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735095B2 (en) 2021-02-08 2023-08-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882331B2 (en) 2021-04-23 2024-0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24080666A1 (ko) * 2022-10-09 2024-04-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미러링 장치 및 그 운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803B1 (ko) * 2016-09-06 2023-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20180108114A1 (en) * 2016-10-18 2018-04-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lective scaling for user device display outputs
KR20180097384A (ko) * 2017-02-23 2018-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EP3644261B1 (en) 2018-04-28 2023-09-0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Image processing method, apparatus,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CN108711054B (zh) * 2018-04-28 2020-02-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和电子设备
JP7128036B2 (ja) * 2018-06-07 2022-08-30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映像信号受信装置、及び映像信号受信方法
CN112333538A (zh) * 2019-07-17 2021-02-05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分辨率调整方法、装置、显示屏控制器及信源设备
CN111223047B (zh) * 2019-11-26 2022-01-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图像显示方法及电子设备
KR20210093605A (ko) 2020-01-20 2021-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4246960A4 (en) * 2021-02-01 2024-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17231A1 (en) * 2008-05-06 2009-11-11 Sony Corporation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service providing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digital television signal stream and method and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and processing a digital television signal stream
US8296359B2 (en) * 2010-07-12 2012-10-23 Opus Medicu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networked, in-context, high resolution image viewing
US9007426B2 (en) * 2012-10-04 2015-04-14 Blackberry Limited Comparison-based selection of video resolutions in a video cal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35095B2 (en) 2021-02-08 2023-08-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22225365A1 (ko) * 2021-04-23 2022-10-27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882331B2 (en) 2021-04-23 2024-0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WO2024080666A1 (ko) * 2022-10-09 2024-04-18 삼성전자 주식회사 미러링 장치 및 그 운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013231A1 (en) 2017-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6576A (ko) 디스플레이장치, 무선통신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US9921716B2 (en) Minimal and preferential option user interface
KR102633595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032293B2 (en) Dynamic iconic setting indicator
US1144929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9854323B2 (en)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device
US8819588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user interface thereof
US20070008338A1 (en) Display system,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video source and display apparatus
US20220368975A1 (en) Control device, broadcast receiver, method for controlling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S10949160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845957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117938A (ko)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방법 및,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US20070094610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60191841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US20120060115A1 (en) Method for setting function and display apparatus applying the same
US11600211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2014002610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160198099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KR20120065689A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JP4759409B2 (ja) テレビ受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9005258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16014757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370343B1 (ko)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US20230247260A1 (en) Mobile terminal
US20230247261A1 (en) Image display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