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7944A - 접합유리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접합유리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7944A
KR20160017944A KR1020140101664A KR20140101664A KR20160017944A KR 20160017944 A KR20160017944 A KR 20160017944A KR 1020140101664 A KR1020140101664 A KR 1020140101664A KR 20140101664 A KR20140101664 A KR 20140101664A KR 20160017944 A KR20160017944 A KR 201600179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rotary
tilting table
til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3515B1 (ko
Inventor
전병만
Original Assignee
(주) 청일에스앤이
전병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청일에스앤이, 전병만 filed Critical (주) 청일에스앤이
Priority to KR1020140101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515B1/ko
Publication of KR20160017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27/00Joining pieces of glass to pieces of other inorganic material; Joining glass to glass other than by fusing
    • C03C27/06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 C03C27/10Joining glass to glass by processes other than fusing with the aid of adhesive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합유리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속하고 간편하게 유리를 접합할 수 있고, 접합시에 기포가 발생되지 않아 접합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구조가 간결, 단순하고 에너지의 소모량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크기의 유리를 호환성 있게 접합할 수 있는 접합유리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는 상하로 포개어진 유리 사이에 접착제를 주입하여 접합유리를 제조하는 접합유리 제조장치에 있어서, 고정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접속되어 각운동 되는 틸팅테이블;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틸팅테이블 사이에 접속, 설치되고, 상기 틸팅테이블을 각운동 시키는 틸팅테이블구동수단; 및 상기 틸팅테이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에 의하면, 각운동 되는 틸팅테이블과 이 틸팅테이블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회전테이블에 상부 및 하부 유리가 올려져 각운동 및 회전운동을 통해 접합 되므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유리를 접합할 수 있어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에 따르면, 종래와 같이 고상의 접합제를 녹혀 접합하는 것이 아니라 UV 경화성 레진과 같은 액상의 접착제를 주입하고 이를 고르게 퍼지도록 하여 접합유리를 제조하는 것이므로 접합시에 기포가 발생되지 않아 고품질의 접합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소모가 많은 가열기구 등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가열기구, 진공기구, 덮개 등이 요구되지 않아 구조가 간결, 단순하고 다양한 크기의 유리를 호환성 있게 접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접합유리 제조장치{APPARATUS FOR PRODUCING LAMINATED GLASS}
본 발명은 접합유리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속하고 간편하게 유리를 접합할 수 있고, 접합시에 기포가 발생되지 않아 접합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구조가 간결, 단순하고 에너지의 소모량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크기의 유리를 호환성 있게 접합할 수 있는 접합유리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는 두꺼운 유리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박판의 유리를 서로 접합하여 접합유리로 형성하게 되면 강도, 단열성 및 방음성이 향상되고, 유해광선의 차단효과가 증가될 뿐만 아니라 파손시에 비산을 방지하므로 안전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한 접합유리의 제조방법은 PVB(Polyvinyl Butyral Film)나 EVA(Ethylene-Vinyl Acetate)로 형성된 핫멜트 필름(hotmelt film)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적층된 유리가 놓이도록 한 다음 가열하여 핫멜트 필름(hotmelt film)을 용융시키는 방식으로 상하 유리를 접합하게 된다.
그리고, 접합유리는 제조하는 장치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27333호의 유리접합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47963호의 콘베어시스템으로 가공하는 다층유리판의 접합장치 등이 개시되어 있다.
예컨대, 등록특허 제10-1027333호에 따른 유리접합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프레임(10), 히팅기구(60), 진공기구(70), 제어기구(80) 등을 구비한다.
몸체프레임(10)은 작업테이블(20)과, 작업테이블(20)의 상부 끝단부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되는 실링용 시트판(30)과, 작업테이블(20)의 상부 끝단부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되되 실링용 시트판(3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되는 덮개(40)로 이루어진다.
히팅기구(60)는 도1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발열판(61)과, 발열판(61)으로 전기를 공급하게 되는 전원장치(62)로 이루어진다.
진공기구(70)는 진공펌프(71)와, 진공펌프와 공기홀(23)을 연결시키는 연결호스(7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작업테이블(20)에 설치되는데, 작업공간(50) 하측에 위치되어 작업테이블(20)의 상부면(21)에 형성된 공기홀(23)과 연통되어 덮개(40)에 의해 밀폐된 작업공간(50)을 진공상태로 유도하게 된다.
제어기구(80)는 다수개의 열감지센서(81)와, 컨트롤패널(82)를 포함하는 것으로 작업테이블(20)에 설치되어 작동실린더(26)의 푸싱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덮개(40)의 개폐를 제어하게 되고, 히팅기구(60)의 온오프 동작 및 인가전류량을 제어함으로써 덮개(40)에 의해 밀폐되는 작업공간(50)의 온도를 조절하게 되며, 진공기구(70)의 온오프 동작 및 공기흡입량을 제어함으로써 덮개(40)에 의해 밀폐되는 작업공간(50)의 진공도를 조절하게 된다.
전술한 종래 접합유리 제조장치는 협소한 장소에서 접합유리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이하와 같은 다양한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첫째, 종래 접합유리 제조장치는 핫멜트 필름을 가열하여 용융시킨 다음 상하 유리를 접하는 방식이므로 핫멜트 필름의 가열 및 용융시간이 비교적 길어서 생산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둘째, 종래 접합유리 제조장치는 핫멜트 필름을 녹일 경우 쉽게 기포가 발생되므로 불량품이 양산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접합유리 제조장치는 기포의 제거를 위해 진공기구를 구비하고 있지만 기포 제거를 위해 추가로 작업시간이 요구될 뿐만 미세한 기포의 제거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셋째, 종래 접합유리 제조장치는 히팅기구(60), 진공기구(70), 제어기구(80) 등의 작동을 위해 전기에너지가 필요하고, 특히 다량의 전기에너지가 요구되는 히팅기구(60)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운전비용의 상승으로 생산원가가 지나치게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넷째, 종래 접합유리 제조장치는 구성요소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여 설비비가 상승되고 고장의 우려가 높아 유지보수비용이 상승 될 뿐만 아니라 시트판(30)의 상측에 위치하는 덮개(40)를 덮어서 제조하는 방식이므로 사이즈에 맞추어 덮개 등을 구비하여야 하고 대형 유리의 접합이 불가능하여 호환성이 결여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유리를 접합할 수 있고, 접합시에 기포가 발생되지 않아 접합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접합유리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결, 단순하고 에너지의 소모량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크기의 유리를 호환성 있게 접합할 수 있도록 한 접합유리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는 상하로 포개어진 유리 사이에 접착제를 주입하여 접합유리를 제조하는 접합유리 제조장치에 있어서, 고정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접속되어 각운동 되는 틸팅테이블;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틸팅테이블 사이에 접속, 설치되고, 상기 틸팅테이블을 각운동 시키는 틸팅테이블구동수단; 및 상기 틸팅테이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는 상기 회전테이블의 회전을 위한 회전력을 생성, 인가하는 회전테이블구동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틸팅테이블구동수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되고 로드측이 상기 틸팅테이블에 접속되는 한 쌍의 싱크로실린더(synchro cylinder); 상기 싱크로실린더의 입력축에 접속되는 동력전달축; 및 상기 동력전달축에 접속되고 회전력을 생성, 인가하는 틸팅테이블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는 회전테이블의 회전을 위해 상기 회전테이블에 설치되는 회전구동축, 및 상기 회전구동축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도록 상기 틸팅테이블에 설치되는 회전축하우징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테이블구동수단은 구동력을 생성, 인가하는 회전테이블구동모터, 상기 회전테이블구동모터의 출력축과 접속되는 파워실린더(power cylinder), 상기 파워실린더의 로드축에 일측이 접속되고 타측이 상기 회전구동축에 접속되는 회전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테이블은 회전테이블프레임; 상기 회전테이블프레임이 상기 틸팅테이블상에서 이동되도록 상기 회전테이블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1 구름부재; 유리가 안착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회전테이블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2 구름부재; 상기 회전테이블프레임의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되어 유리를 압박, 고정하는 유리가압부재; 및 상기 회전테이블프레임의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되어 유리의 이탈을 방지하는 유리가이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에 의하면, 각운동 되는 틸팅테이블과 이 틸팅테이블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회전테이블에 상부 및 하부 유리가 올려져 각운동 및 회전운동을 통해 접합 되므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유리를 접합할 수 있어서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에 의하면, 종래와 같이 고상의 접합제를 녹혀 접합하는 것이 아니라 UV 경화성 레진과 같은 액상의 접착제를 주입하고 이를 고르게 퍼지도록 하여 접합유리를 제조하는 것이므로 접합시에 기포가 발생되지 않아 고품질의 접합유리를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에 의하면, 에너지 소모가 많은 가열기구 등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가열기구, 진공기구, 덮개 등이 요구되지 않아 구조가 간결, 단순하고 다양한 크기의 유리를 호환성 있게 접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종래 접합유리 제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a 내지 도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2a는 정면도, 도2b는 측면도, 도2c는 평면도이고, 도2d는 틸팅테이블 및 회전테이블이 각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2e는 회전테이블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3a 내지 도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의 베이스프레임, 틸팅테이블 및 틸팅테이블구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3a는 정면도, 도3b는 측면도, 도3c는 평면도이다.
도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싱크로실린더의 단면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4a 내지 도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의 틸팅테이블, 회전테이블 및 회전테이블구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4a는 정면도, 도4b는 측면도, 도4c는 평면도이다.
도5a 내지 도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의 회전테이블 및 회전테이블구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5a는 정면도, 도5b는 측면도, 도5c는 평면도이다.
도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파워실린더의 단면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를 이용한 접합유리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2a 내지 도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의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2a는 정면도, 도2b는 측면도, 도2c는 평면도이고, 도2d는 틸팅테이블 및 회전테이블이 각운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2e는 회전테이블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3a 내지 도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의 베이스프레임, 틸팅테이블 및 틸팅테이블구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3a는 정면도, 도3b는 측면도, 도3c는 평면도이고 각 도면에서 굵은 실선으로 도시된 부분은 베이스프레임 및 틸팅테이블구동수단과 관련된 구성이고, 가는 실선 및 이점쇄선선으로 도시된 부분은 틸팅테이블과 같은 인접한 구성요소를 도시한 것이다.
도4a 내지 도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의 틸팅테이블, 회전테이블 및 회전테이블구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4a는 정면도, 도4b는 측면도, 도4c는 평면도이고 각 도면에서 굵은 실선으로 도시된 부분은 틸팅테이블 및 회전테이블구동수단과 관련된 구성이고, 가는 실선 및 이점 쇄선으로 도시된 부분은 회전테이블과 같은 인접한 구성요소를 도시한 것이다.
도2a 내지 도2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는 상하로 포개어진 상부 유리(g1) 및 하부 유리(g2) 사이의 틈새에 UV 경화성 레진과 같은 접착제를 주입하여 접합유리를 제조하는 제조장치로서, 베이스프레임(1), 틸팅테이블(2), 틸팅테이블구동수단(3), 회전테이블(4), 및 회전테이블구동수단(5)이 구비되어 있다.
베이스프레임(1)은 접합유리 제조공장의 바닥면과 같은 고정면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ㄱ', 'ㄷ', 'ㅁ', 'I'자형 등의 형강재가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몸체(11)와, 이 프레임몸체(11)의 하측에 설치되어 고정면에 안착되는 지지다리(12)가 구비되어 있다.
틸팅테이블(2)은 베이스프레임(1)에 접속되어 각운동 되는 구성요소로서, 형강재에 의해 대략 직사각 틀 형태로 형성된 틸팅테이블프레임(21)이 베이스프레임(1)과 회전축(61)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때 회전축(61)은 도3a 및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테이블프레임(21) 및 베이스프레임(1)에 각각 형성된 회전축지지부재(62,63)에 삽입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틸팅테이블(2)은 저부에 후술되는 싱크로실린더(31)의 로드(311)가 접속되는 힌지부재(7)가 구비되어 있다. 힌지부재(7)는 도4a의 확대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핀(71), 틸팅테이블프레임(21)에 설치되어 상측에서 힌지핀(71)을 지지하는 힌지축지지부재(72)로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틸팅테이블(2) 또는 베이스프레임(1)에는 과도하게 회전될 경우 이를 감지하는 근접센서나 리미트스위치가 구비되어 틸팅테이블구동수단(3)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틸팅테이블프레임(21)의 중심에는 도4b 및 도5a의 확대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테이블(4)에 설치된 회전구동축(49)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도록 회전축하우징(29)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축하우징(29)은 하부에 틸팅테이블프레임(21)에 체결되는 프랜지(291)가 형성된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고, 내부 관통홀에 회전구동축(49)의 축부 외주면에 밀착되는 베어링(292)이 결합되어 있다.
도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싱크로실린더의 단면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틸팅테이블구동수단(3)은 도3a 내지 도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과 틸팅테이블(2) 사이에 접속, 구성되어 틸팅테이블(2)을 각운동 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싱크로실린더(31,synchro cylinder), 동력전달축(32), 및 틸팅테이블구동모터(33)가 구비되어 있다.
싱크로실린더(31)는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1개씩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싱크로실린더는 로드(311)측이 틸팅테이블(2)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싱크로실린더(31)는 유.공압이 필요없이 전기에 의해 작동되는 모터를 장착하여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을 변환시키는 기계요소로서 통상 2개의 싱크로실린더가 동조 운전을 하도록 구성된다. 이 싱크로실린더(31)는 도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테이블구동모터(33)에 의해 회전되는 동력전달축(32)에 입력축(316)이 접속되어 베벨기어(315)를 매개로 스크류(314)에 회전력이 전달되면 이 스크류(314)에 접속된 너트(313)가 전후진 되고, 너트의 전후진시에 연동되는 로드(311)가 실린더(312)에 내장된 구조로 되어 있다.
아울러 싱크로실린더(31)는 한 쌍의 힌지플레이트(317)에 회동 가능하게 베이스프레임(1)에 결합되어 있고, 그 세부적인 구조는 도3d에 도시된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조사 (주)남광에서 제조된 모델명 NCW500S3을 적용하여 구성한다. 아울러, 싱크로실린더(31)는 기계장치, 리프팅장치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계요소이고 도3d을 통해 기본적인 구조를 이해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동력전달축(32)은 싱크로실린더(31)의 입력축(316)에 접속되는 축부재로서, 커플러(321)를 매개로 양쪽 싱크로실린더(31)의 입력축(316)에 접속되어 틸팅테이블구동모터(33)의 동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틸팅테이블구동모터(33)는 서보모터(331)로 구성된 것으로, 이 서보모터(331)의 출력축에는 동력전달축(32)에 접속되어 정해진 감속비로 서보모터(331)의 회전을 감속하도록 워엄기어들이 내장된 기어박스(332)가 접속되어 있다.
도5a 내지 도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의 회전테이블 및 회전테이블구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5a는 정면도, 도5b는 측면도, 도5c는 평면도이고 각 도면에서 굵은 실선으로 도시된 부분은 회전테이블, 회전테이블구동수단과 관련된 구성이고, 가는 실선 및 이점 쇄선으로 도시된 부분은 틸팅테이블과 같은 인접한 구성요소를 도시한 것이다.
도4a 내지 도5c를 참조하면, 회전테이블(4)은 틸팅테이블(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요소로서, 회전테이블프레임(41)에 제1 구름부재(42), 제2 구름부재(43), 유리가압부재(44), 및 유리가이드수단(45)이 구비되어 있다.
회전테이블프레임(41)은 도5a 및 도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강재에 의해 대략 사각 틀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중심 부분에 회전베이스플레이트(411)가 결합되어 있고, 이 회전베이스플레이트(411)에는 회전테이블구동수단(5)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회전구동축(49)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회전구동축(49)은 도5a의 확대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베이스플레이트(411)에 체결되는 원판부(491)와 이 원판부(491)에 하방으로 돌출되는 축부(492)로 구성된 것으로, 축부(492)는 전술한 회전축하우징(29)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회전테이블프레임(41)은 상면에 판상구조로 형성된 별도의 마감판(미도시)이 결합되고, 이 마감판의 상면에 다수의 제2 구름부재(43)가 결합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구름부재(42)는 회전테이블프레임(41)이 틸팅테이블(2)상에서 구름 이동되도록 회전베이스플레이트(411)의 하측에 설치되는 캐스터(caster)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구름부재(42)는 회전테이블프레임(41)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회전베이스플레이트(411) 외에도 다른 개소에도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 구름부재(43)는 유리가 안착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회전테이블프레임(41)의 상측에 구성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5a 및 도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테이블프레임(41)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는 캐스터(caster)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구름부재(43)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테이블프레임(41)에 마감판(미도시)를 설치할 경우 이 마감판의 상면에 다수 개를 배치, 고정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접합용 유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유리가압부재(44)는 회전테이블프레임(41)의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되어 상부 및 하부 유리를 압박, 고정하는 구성요소로서, 도5a 및 도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테이블프레임(41)의 하측 가장자리 선상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가 설치되고, 회전테이블프레임(41)의 일측 가장자리 선상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유리가압부재(44)는 압축공기의 공급 및 배기시에 전후진 되는 구동로드(441)와 이 구동로드(441)가 수용되는 실린더(442)로 이루어지되, 구동로드(441)의 양쪽으로 가이드(443)가 배치된 가이드 부착형 공압실린더로 구성된다. 그리고, 가이드 부착형 공압실린더는 구동로드(441) 및 가이드(443)의 단부에 유리의 표면을 눌러 가압하는 가압판(444)이 결합된 것으로 공압실린더 제조사 SMC의 모델명 MGPL25-25Z-A93를 적용한다.
아울러, 유리가압부재(44)의 가압판(444)과 마주보는 위치에 해당되는 회전테이블프레임(41)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도5a 및 도5c의 확대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지지부재(46)가 더 구비되어 있다. 이 유리지지부재(46)는 가압판(444)이 구동로드(441)의 후진에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상부 유리(g1)의 표면을 가압하는 동작시에 마주 보는 하부 위치에서 하부 유리(g2)의 저면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서, 상부 및 하부 유리(g1,g2)는 가압판(444)과 유리지지부재(46) 사이에 위치하도록 끼워져 장착된 상태에서 하강되는 가압판(444)의 가압력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유리가이드수단(45)은 회전테이블프레임(41)의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되어 상부 및 하부 유리(g1,g2)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요소로서 도5a의 확대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유리가압부재(44)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롤러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테이블구동수단(5)은 회전테이블(4)을 도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역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생성, 인가하는 구성요소로서, 구동력을 생성, 인가하는 회전테이블구동모터(51), 틸팅테이블(2)에 설치되어 회전테이블구동모터(51)의 출력축과 접속되는 파워실린더(52,power cylinder), 파워실린더(52)의 로드(521)측에 일측이 접속되고 타측이 회전구동축(49)에 접속되도록 대략 링크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아암(53)이 구비되어 있다.
도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에 적용되는 파워실린더의 단면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파워실린더(52,power cylinder)는 유.공압이 필요없이 전기에 의해 작동되는 모터를 장착하여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을 변환시키는 기계요소로서, 도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테이블구동모터(51)와 커플러(525)를 매개로 접속되어 회전되는 스크류(524), 스크류(524)의 정역 회전시에 전후진 되는 너트(523), 너트(523)에 의해 전후진 되는 로드(521), 및 로드(521)의 외부를 감싸는 실린더(52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파워실린더(52)는 제조사 (주)남광에서 제조된 모델명 NCS300S1을 적용하여 구성한다. 아울러, 파워실린더(52)는 자동차, 기계장치, 리프팅장치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계요소이고 도5d을 통해 기본적인 구조를 이해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를 이용한 접합유리 제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유리의 테이핑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상부 유리(g1) 및 하부 유리(g2)를 하나의 유리로 접합하는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부 유리 및 하부 유리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세척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이후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유리(g2)의 상면 가장자리 부분에 접착용 양면 테이프(b)의 일면을 부착한 후 상부 유리(g1)를 포개어 양면 테이프의 타면과 접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전술한 테이핑 과정에서 유리의 일측 가장자리의 일 부분에는 양면 테이프(b)가 부착되지 않는 미부착 틈새(t)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 미부착 틈새(t)는 후술되는 접착제 주입공정에서 접착제가 골고루 퍼지도록 하는 작용과 함께 공기빼기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배기홀의 기능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테이핑 공정이 완료되면 접합유리 제조장치의 틸팅테이블구동수단(3)를 작동시켜 틸팅테이블(2)이 각운동 되도록 하여 회전테이블(4)이 도2d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사진 상태에 있도록 조작한다.
틸팅테이블(2)의 각운동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조작부(미도시, 틸팅테이블구동수단(3) 및 회전테이블구동수단(5) 등의 조작을 위한 버튼과, 마이콤 등이 장착된 PCB 등이 구비한 조작패널을 의미함)의 조작에 따라 서보모터(331)가 정방향으로 회전되고 회전력이 기어박스(332)를 통해 감속된 후 동력전달축(32)으로 전달되어 동력전달축(32)이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그 양단에 결합된 싱크로실린더(31)의 로드(311)가 전진되면서 틸팅테이블(2)을 들어올려 각운동 시키게 된다. 부연 설명하면, 동력전달축(32)과 접속된 입력축(316)이 회전되면 회전력이 베벨기어(315)를 경유하여 스크류(314)에 전달되고, 스크류(314)의 회전으로 이에 접속된 너트(313)가 전진하게 되면서 로드(322)를 전방으로 밀어내게 되므로 로드(322)와 접속된 팅틸테이블(2)은 도2d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사진 상태로 각운동하게 된다.
이후, 테이핑 된 상부 및 하부 유리를 회전테이블프레임(41)에 장착하게 되면 하부 유리(g2)의 저면은 제2 구름부재(43)에 밀착, 지지되고 유리의 가장자리 부분은 유리가이드수단(45)에 올려지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유리가압부재(44)를 작동시켜 가압판(444)이 유리의 모서리 부분에 밀착, 고정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테이핑 된 유리의 장착이 완료되면 유리의 상단 부분의 틈새를 통해 UV 경화성 레진과 같은 액상의 접착제를 주입하여 상부 유리(g1) 및 하부 유리(g2) 사이의 틈새에 채워넣게 된다. 이때, 주입되는 접착제는 테이핑 된 유리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채워지게 되는데, 이때 접착제의 주입량은 유리의 면적과 틈새의 간격을 계산하여 미리 정해진 양이 주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테이핑 된 유리의 틈새에 접착제의 주입이 완료되면 조작부를 조작하여 틸팅테이블구동수단(3)의 서보모터(331)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서보모터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역방향 회전력이 동력전달축(32)을 매개로 싱크로실린더(31)에 전달되면서 전진되어 있던 로드(311)가 후진 되면서 도2b에 도시된 형태로 틸팅테이블(2)을 당겨 역방향으로 각운동 시키게 작동되므로 회전테이블(4)에 장착된 유리 또한 수평상태로 각운동하게 된다. 이때 상부 및 하부 유리(g1,g2) 사이의 틈새에 주입되어 있는 액상의 접착제는 틈새를 타고 흘러 퍼지게 된다.
한편,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테이블(2)이 수평방향으로 각운동을 수행하게 되더라도 테이핑 된 유리의 상측(유리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위쪽 부분을 의미함)의 양쪽 모서리 부분으로는 접착제가 이동되지 않아 쉽게 채워지지 않게 되는데, 이때 회전테이블구동모터(51)를 구동시켜 파워실린더(52)를 작동시키게 되면 유리의 상측 모서리 부분까지 접착제를 골고루 주입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작동을 도5c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회전테이블구동모터(51)가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면 회전력이 파워실린더(52)의 스크류(524)로 전달되면서 너트가 전후진 하게 되어 로드(521)를 전후진 시키게 되므로 이 로드(521)의 단부와 접속된 회전아암(53)이 링크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아암(53)이 링크운동을 수행하게 되면 이와 접속된 회전구동축(49)이 정역 회전되므로 도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테이블(4)을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유리의 상측 모서리 부분까지 접착제를 골고루 주입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접착제를 고르게 주입하는 과정이 완료되면 유리의 상측 가장자리의 양면 테이프 미부착 부위를 밀봉한 다음, UV조사기(미도시)로 유리를 이동시켜 UV광선에 노출 시키게 되면 유리 틈새 내부에 수용된 UV 경화성 접착제가 경화되면서 상부 및 하부 유리는 견고하게 서로 고착되므로 접합유리의 제조가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접합유리 제조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베이스프레임 11:프레임몸체
12:지지다리 2:틸팅테이블
21:틸팅테이블프레임 29:회전축하우징
3:틸팅테이블구동수단 31:싱크로실린더
311:로드 312:실린더
313:너트 314:스크류
315:벨벨기어 316:입력축
32:동력전달축 33:틸팅테이블구동모터
4:회전테이블 41:회전테이블프레임
42:제1 구름부재 43:제2 구름부재
44:유리가압부재 45:유리가이드수단
49:회전구동축 5:회전테이블구동수단
51:회전테이블구동모터 52:파워실린더
521:로드 522:실린더
523:너트 524:스크류
525:커플러 53:회전아암
61:회전축 62,63:회전축지지부재
7:힌지부재 71:힌지핀
72:힌지축지지부재 g1:상부 유리
g2:하부 유리 t:틈새

Claims (5)

  1. 상하로 포개어진 유리 사이에 접착제를 주입하여 접합유리를 제조하는 접합유리 제조장치에 있어서,
    고정면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접속되어 각운동 되는 틸팅테이블;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틸팅테이블 사이에 접속, 설치되고, 상기 틸팅테이블을 각운동 시키는 틸팅테이블구동수단; 및
    상기 틸팅테이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유리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테이블의 회전을 위한 회전력을 생성, 인가하는 회전테이블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유리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테이블구동수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되고 로드측이 상기 틸팅테이블에 접속되는 한 쌍의 싱크로실린더(synchro cylinder);
    상기 싱크로실린더의 입력축에 접속되는 동력전달축; 및
    상기 동력전달축에 접속되고 회전력을 생성, 인가하는 틸팅테이블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유리 제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테이블에 설치되는 회전구동축, 및 상기 회전구동축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도록 상기 틸팅테이블에 설치되는 회전축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테이블구동수단은 구동력을 생성, 인가하는 회전테이블구동모터, 상기 회전테이블구동모터의 출력축과 접속되는 파워실린더(power cylinder), 상기 파워실린더의 로드축에 일측이 접속되고 타측이 상기 회전구동축에 접속되는 회전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유리 제조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테이블은,
    회전테이블프레임;
    상기 회전테이블프레임이 상기 틸팅테이블상에서 이동되도록 상기 회전테이블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1 구름부재;
    유리가 안착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상기 회전테이블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는 제2 구름부재;
    상기 회전테이블프레임의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되어 유리를 압박, 고정하는 유리가압부재; 및
    상기 회전테이블프레임의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되어 유리의 이탈을 방지하는 유리가이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유리 제조장치.
KR1020140101664A 2014-08-07 2014-08-07 접합유리 제조장치 KR101623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664A KR101623515B1 (ko) 2014-08-07 2014-08-07 접합유리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1664A KR101623515B1 (ko) 2014-08-07 2014-08-07 접합유리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944A true KR20160017944A (ko) 2016-02-17
KR101623515B1 KR101623515B1 (ko) 2016-05-23

Family

ID=55457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664A KR101623515B1 (ko) 2014-08-07 2014-08-07 접합유리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351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945B1 (ko) * 2020-04-22 2020-12-16 김천래 유리판 재단장치
KR20210046430A (ko) * 2019-10-18 2021-04-28 박태수 유리재단용 작업대
CN114408576A (zh) * 2022-01-27 2022-04-29 扬州大学 一种同步转夹装置
KR102628758B1 (ko) * 2023-07-11 2024-01-23 오현택 곡면 접합유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6430A (ko) * 2019-10-18 2021-04-28 박태수 유리재단용 작업대
KR102191945B1 (ko) * 2020-04-22 2020-12-16 김천래 유리판 재단장치
CN114408576A (zh) * 2022-01-27 2022-04-29 扬州大学 一种同步转夹装置
KR102628758B1 (ko) * 2023-07-11 2024-01-23 오현택 곡면 접합유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3515B1 (ko) 2016-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3515B1 (ko) 접합유리 제조장치
CN104015454B (zh) 全自动贴合组装智能生产线
US10222638B2 (en) Curved display manufacturing device and curved display manufacturing method
CN104362107B (zh) 晶圆真空键合机及键合方法
KR20140010919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방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장치
KR101757718B1 (ko) 사이드 곡면을 가진 액정 패널 표면에 필름을 접합시키는 장치
KR101419363B1 (ko) 라미네이팅 장치
CN107638993B (zh) 一种电容体涂胶设备
CN114670306A (zh) 一种智能激光封边机
CN208549067U (zh) 自动压合装置
KR101442030B1 (ko) 진공 복층유리 제조장치
CN104816280A (zh) 一种胶框与膜材贴合设备
KR101080913B1 (ko) 덕트용 압착장치
KR101576275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접착장치
CN218928119U (zh) 用于办公家具生产的封边装置
KR101309699B1 (ko) 라미네이팅 장치 및 라미네이팅 방법
JP2013000747A (ja) 接合装置
CN215588361U (zh) 一种液晶显示屏加工用夹取机构
CN220517644U (zh) 一种三工位冷热压设备
CN211387632U (zh) 一种轮系部件的装配设备
CN205271184U (zh) 一种门框三角板快速焊接专机
CN220828403U (zh) 一种传感器多层叠粘装置
KR100330813B1 (ko) 접합유리의 제조방법 및 예압 오븐
CN219173821U (zh) 无纺织纤维棉网压棉装置
CN210954523U (zh) 一种真空贴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