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6119A - 제습기의 제어방법 및 그에 따른 제습기 - Google Patents

제습기의 제어방법 및 그에 따른 제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6119A
KR20160016119A KR1020140099626A KR20140099626A KR20160016119A KR 20160016119 A KR20160016119 A KR 20160016119A KR 1020140099626 A KR1020140099626 A KR 1020140099626A KR 20140099626 A KR20140099626 A KR 20140099626A KR 20160016119 A KR20160016119 A KR 20160016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d water
bucket
sensing
water level
p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9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1799B1 (ko
Inventor
김대희
송준걸
김성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9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799B1/ko
Publication of KR20160016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킷에 저장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 상기 S10 단계에서 감지된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을 계산하는 단계(S20); 실내 온도에 따른 상대습도를 구하는 단계(S80); 상기 상대습도에 따른 응축수 생성 기준값(sv)을 구하는 단계(S85); 상기 S20 단계를 통해 얻어진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 및 상기 S80 단계를 통해 얻어진 기준값(sv)의 생성범위를 비교하는 단계(S90);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이 상기 상대습도에 따른 기준값(sv)의 생성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응축수 감지장치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100)를 포함하는 제습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캐비닛 측에 응축수 감지장치가 설치되어 응축수와 비접촉된 상태로 작동되기 때문에, 응축수에 포함된 이물질로 인한 오작동 및 손상을 방지하고,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통해 제습기에 설치된 응축수감지장치의 고장을 판단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습기의 제어방법 및 그에 따른 제습기{method of controlling a dehumidifier and a dehumidifier thereby}
본 발명은 제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습기는 실내의 습한 공기를 캐비닛의 내부로 흡입한 후, 냉매가 유동되는 응축기 및 증발기를 통과하도록 상기 흡입 공기를 유동시켜 상기 흡입 공기 중의 습도를 저감시키는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제습기는 상기 흡입 공기 및 증발기를 열교환시켜 공기 중의 습기를 응축수로 변환시키고, 상기 응축수는 버킷에 저장된다.
상기 제습기의 버킷은 생성된 응축수를 저장하고,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장치가 설치된다.
종래의 수위감지장치는 플로트 및 응축수의 상대적인 부력차를 이용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고, 만수 시 전기적인 신호를 제습기의 제어부에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종래 제습기는 생성된 응축수가 자동으로 배출되지 않고, 버킷에 저장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버킷을 분리한 후 배출시켜야 하고, 이를 위해 종래에는 상기 버킷에 수위감지장치가 설치된 후, 상기 제습기의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분리가능한 버킷이 정확하게 설치되지 않은 경우, 응축수의 만수위가 제어부에 전달되지 않아서 응축수의 만수위를 감지하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종래 제습기에 설치된 수위감지장치는 응축수와 직접 접촉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물질이 상기 플로트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플로트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제습기는 상기 마그네틱 센서가 소정 높이 이상 상승된 플로트를 검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응축수의 수위를 보다 정밀하기 감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28076
본 발명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는 응축수와 비접촉되어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제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버킷의 장착상태와 무관하게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고, 버킷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배제할 수 있는 제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응축수 수위를 보다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는 제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단위시간당 응축수의 생성속도, 생성유량, 생성수위 등을 검출할 수 있는 제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응축수가 저장되는 버킷; 상기 버킷이 탈착되도록 버킷설치부가 형성된 캐비닛; 상기 버킷설치부에 배치되어 상기 버킷에 저장된 응축수와 비접촉되고, 복수개의 전극패드를 통해 상기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응축수감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버킷에 저장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 상기 S10 단계에서 감지된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을 계산하는 단계(S20); 실내 온도에 따른 상대습도를 구하는 단계(S80); 상기 상대습도에 따른 응축수 생성 기준값(sv)을 구하는 단계(S85); 상기 S20 단계를 통해 얻어진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 및 상기 S80 단계를 통해 얻어진 기준값(sv)의 생성범위를 비교하는 단계(S90);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이 상기 상대습도에 따른 기준값(sv)의 생성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응축수 감지장치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100)를 포함하는 제습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응축수가 저장되는 버킷; 상기 버킷이 탈착되도록 버킷설치부가 형성된 캐비닛; 상기 버킷설치부에 배치되어 상기 버킷에 저장된 응축수와 비접촉되고, 복수개의 전극패드를 통해 상기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응축수감지장치를 포함하며, 버킷에 저장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 상기 S10 단계에서 감지된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을 계산하는 단계(S20); 상기 버킷의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 및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을 비교하여 만수위 예상시간을 계산하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제습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응축수가 저장되는 버킷; 상기 버킷이 탈착되도록 버킷설치부가 형성된 캐비닛; 상기 버킷설치부에 배치되어 상기 버킷에 저장된 응축수와 비접촉되고, 복수개의 전극패드를 통해 상기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응축수감지장치를 포함하며, 버킷에 저장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 상기 S10 단계에서 감지된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을 계산하는 단계(S20);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 및 제어부에 저장된 기준값(sv)을 비교하는 단계(S50); 상기 기준값(sv)을 기준으로 사용자에게 제습강도를 추천하는 단계(S60)를 포함하는 제습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응축수감지장치가 정전용량을 통해 응축수의 수위를 보다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캐비닛 측에 응축수 감지장치가 설치되어 응축수와 비접촉된 상태로 작동되기 때문에, 응축수에 포함된 이물질로 인한 오작동 및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계산된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통해 제습기에 설치된 응축수감지장치의 고장을 판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응축수 생성량을 계산하여 만수위 예상시간을 사용자에게 알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응축수 생성량을 계산하여 최적화된 제습강도를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버킷이 분리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위감지장치의 설치상태가 도시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버킷이 분리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수위감지장치의 설치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습기는 토출구 및 흡입구가 형성된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저장되고, 상기 캐비닛(10)에서 분리가능하게 설치된 버킷(20)과, 상기 캐비닛(10)에 설치되고 상기 버킷(20)의 응축수와 비접촉되어 정전용량 방식을 통해 상기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장치(50)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0) 내부에는 공기 중의 제습을 실시하기 위한,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송풍기, 필터 등이 설치될 수 있고, 이는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캐비닛(10)에는 상기 버킷(20)이 탈착가능하도록 버킷설치부(15)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위감지장치(50)가 상기 버킷설치부(15)에 설치되어 상기 버킷(20)에 저장된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상기 버킷(20)에 저장된 응축수와 비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수위감지장치(50)는 본 실시예에서 정전용량 방식을 이용해 수위를 감지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도체에 전위 포텐셜(potential)가 인가되면, 전하(charge)가 축전(charging)된다. 이 효과는 단일 도체에서 보다, 둘 이상의 도체에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전위 포텐셜이 인가되었을 때(둘 이상에 도체에서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보다 잘 관찰할 수 있다.
정전용량 센서 또는 전기용량 센서는 이러한 축전 효과를 이용하여 정전용량(Capacitance)을 정량화 하는 센서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버킷(20)에 저장된 응축수 수위에 따라 상기 정전용량이 변화되는 것을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정전용량 방식 센서의 작동원리 및 구성은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위감지장치(50)는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PCBA)의 형태로 제작되고, 상기 버킷설치부(15)에 상기 응축수와 비접촉되도록 배치된 인쇄회로기판(52)과, 상기 인쇄회로기판(52)에 배치된 복수개의 전극패드(54)와, 상기 인쇄회로기판(52)과 상기 제습기의 제어부(미도시)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커넥터(5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위감지장치는(50)는 설명을 위해 상기 버킷설치부(15)에 노출된 것을 예로 들었으나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버킷설치부(15)를 형성시키는 캐비닛(10) 내부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전극패드(54)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제어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는 다수개의 전극패드(54)가 구비된 수위감지장치(50)로부터 정밀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여 현재 제습기의 제습능력을 계산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제어방법은 버킷(20)에 저장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와, 상기 S10 단계에서 감지된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을 계산하는 단계(S20)와, 상기 버킷(20)의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 및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을 비교하여 만수위 예상시간을 계산하는 단계(S30)와, 상기 만수위 예상시간을 사용자에게 알림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상기 S20 단계에서는 상기 버킷(20)에 저장되는 단위 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계산하였으나, 본 실시예와 달리 단위 시간당 응축수 생성높이 또는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속도를 계산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단위 시간당 응축수 생성높이는 임의 전극패드(54)에서 상측 전극패드(54)까지 감지되는 시간으로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단위 시간당 응축수 생성속도는 상기 전극패드(54) 간 거리를 응축수 생성에 따른 소요시간으로 나눠 구할 수 있다.
어느 것이든지 복수개의 전극패드(54)에서 감지되는 시간을 이용하여 응축수의 유량, 부피, 속도, 높이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S20 단계를 통해 상기 제습기의 현재 제습능력을 수치적으로 계량할 수 있다.
상기 S30 단계에서는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이용하여 만수위까지의 예상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은 최대 수위에서 현재 수위를 뺀 값을 통해 계산할 수 있다.
그래서 상기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을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으로 나눠 만수위까지의 예상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30 단계를 통해 계산된 시간은 S4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점등 또는 소리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림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전극패드(54)가 구비된 응축수감지장치(50)를 통해 제습기의 제습능력을 계산하고, 이를 활용하여, 만수위에 도달되는 시간을 계산한 후,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는 상기 만수위까지의 예상시간을 확인한 후, 상기 버킷(20)에 저장된 응축수를 미리 버리는 등의 예방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습기의 가동 중 사용자가 외출할 때, 상기 만수위 예상시간을 확인 한 후, 사용자가 버킷(20)의 배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습 강도를 추천할 수 있게 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제어방법은 버킷(20)에 저장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와, 상기 S10 단계에서 감지된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을 계산하는 단계(S20)와,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 및 제어부에 저장된 기준값(sv)을 비교하는 단계(S50)와, 상기 기준값(sv)을 기준으로 사용자에게 제습강도를 추천하는 단계(S60)와, 상기 S60 단계를 사용자에게 알림하는 단계(S70)를 포함한다.
상기 S50 단계는 제어부에 저장된 기준값과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를 비교하는 단계로서, 상기 기준값은 실험을 통해 얻어진 실험치이다. 상기 응축수의 생성량은 풍량에 비례하는 바, 상기 기준값은 현재 작동 중인 제습기의 풍량을 고려하여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과 비교된다.
즉, 제습기의 송풍기의 회전수가 높은 경우, 증발기와 접촉되는 공기의 양이 증가되어 많은 양의 제습이 이루어지고, 회전수가 낮은 경우, 적의 양의 제습이 이루어지는 바, 단순하게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만을 비교하는 것이 아니라 제습되는 공기의 풍속을 기준값에 해당되는 풍속으로 보정한 후, 비교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이 소정 범위 내에 형성되면 제습강도를 "중"으로 추천하고, 상기 소정범위를 밑돌면 제습강도를 "약"으로 추천하며, 상기 소정범위를 넘으면 제습강도를 "강"으로 추천한다.(S60)
그래서 사용자는 제시된 제습추천 강도를 통해 상기 제습기의 작동강도를 설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습강도를 최적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강"으로 작동되고 있으나, 추천강도가 "중"인 경우 사용자가 이를 변경하여 소비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고, "약"으로 작동되고 있으나, 추천강도가 "중"인 경우 사용자가 이를 변경하여 실내의 습도를 최적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에게 제습강도를 추천하는 것으로만 설명되었으나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어부가 상기 S60 단계의 판단을 기준으로 제습강도를 자동으로 변경시켜도 된다. 즉 상기 S70 단계 이후에 소정시간 동안 사용자가 제습강도를 변경하지 않으면,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변경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더불어 상기 제습강도의 자동변경은 소비전력을 절감시키는 방향으로만 수행되도록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상대습도 및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통해 응축수감지장치의 고장을 자체적으로 진단하는 알고리즘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은 버킷(20)에 저장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와, 상기 S10 단계에서 감지된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을 계산하는 단계(S20)와, 실내 온도에 따른 상대습도를 구하는 단계(S80)와, 상기 상대습도에 따른 응축수 생성 기준값(sv)을 구하는 단계(S85)와, 상기 S20 단계를 통해 얻어진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 및 상기 S80 단계를 통해 얻어진 기준값(sv)의 생성범위를 비교하는 단계(S90)와,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이 상기 상대습도에 따른 기준값(sv)의 생성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응축수 감지장치(50)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100)와, 상기 S100 단계를 사용자에게 알림하는 단계(S70)를 포함한다.
상기 S80 단계는 상대습도를 구하는 단계로서, 상기 상대습도는 습도센서 및 온도센서를 통해 현재 온도에서의 상대습도를 구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습도센서에 의존하지 않고도 상기 상대습도를 구할 수 있다.
즉, 상대습도=(현재온도의 수증기량)/(현재온도의 포화수증기량)*100
= (이슬점에서의 포화수증기량)/(현재온도의 포화수증기량)*100
이므로, 포화수증기량 그래프를 이용하여 현재 온도에서의 상대습도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상대습도를 구하는 포화수증기량 그래프 및 계산식은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상기 S80 단계에서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상대습도를 구할 수 있고, S85 단계에서는 상기 상대습도에 따른 응축수 생성 기준값(sv)의 생성범위를 계산한다.
즉, 제습기는 송풍기를 통해 공기를 유동시키는 바, 유동되는 풍속의 오차범위를 감안하여, 상기 기준값(sv)의 생성범위를 계산한다.
그리고 S90 단계에서 상기 기준값의 생성범위와 실제 감지된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을 비교한다.
그리고 S100에서 실제 감지된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이 생성범위보다 작으면 상기 응축수감지장치(50)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한다.
즉, 상대 습도에 따라 응축수의 생성량은 소정 범위 내로 형성되어야 하는데, 실제 생성된 응축수가 생성범위보다 작으면 상기 응축수감지장치(50)가 이를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더불어 실제 감지된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가 생성범위 보다 큰 경우에도 상기 응축수감지장치(50)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상대습도에 따라 구해진 기준값은 생성범위는 풍량오차, 상대습도의 감지오차는 물론, 기타 여유마진을 모두 포함한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설명되지 않은 단계는 상기 1, 2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캐비닛 20 : 버킷
30 : 버킷 50 : 수위감지장치
52 : 인쇄회로기판 54 : 전극패드
56 : 커넥터

Claims (8)

  1. 응축수가 저장되는 버킷; 상기 버킷이 탈착되도록 버킷설치부가 형성된 캐비닛; 상기 버킷설치부에 배치되어 상기 버킷에 저장된 응축수와 비접촉되고, 복수개의 전극패드를 통해 상기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응축수감지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버킷에 저장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
    상기 S10 단계에서 감지된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을 계산하는 단계(S20);
    실내 온도에 따른 상대습도를 구하는 단계(S80);
    상기 상대습도에 따른 응축수 생성 기준값(sv)을 구하는 단계(S85);
    상기 S20 단계를 통해 얻어진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 및 상기 S80 단계를 통해 얻어진 기준값(sv)의 생성범위를 비교하는 단계(S90);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이 상기 상대습도에 따른 기준값(sv)의 생성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응축수 감지장치가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100)를 포함하는 제습기의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준값(sv)은 제습기의 송풍량을 감안하여 보정되는 제습기의 제어방법.
  3. 응축수가 저장되는 버킷; 상기 버킷이 탈착되도록 버킷설치부가 형성된 캐비닛; 상기 버킷설치부에 배치되어 상기 버킷에 저장된 응축수와 비접촉되고, 복수개의 전극패드를 통해 상기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응축수감지장치를 포함하며,
    버킷에 저장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
    상기 S10 단계에서 감지된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을 계산하는 단계(S20);
    상기 버킷의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 및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을 비교하여 만수위 예상시간을 계산하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제습기의 제어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은 상기 버킷의 최대수위에서 현재 응축수 수위의 차로 계산되는 제습기의 제어방법.
  5. 응축수가 저장되는 버킷; 상기 버킷이 탈착되도록 버킷설치부가 형성된 캐비닛; 상기 버킷설치부에 배치되어 상기 버킷에 저장된 응축수와 비접촉되고, 복수개의 전극패드를 통해 상기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응축수감지장치를 포함하며,
    버킷에 저장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
    상기 S10 단계에서 감지된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을 계산하는 단계(S20);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 및 제어부에 저장된 기준값(sv)을 비교하는 단계(S50);
    상기 기준값(sv)을 기준으로 사용자에게 제습강도를 추천하는 단계(S60)를 포함하는 제습기의 제어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S60 단계를 사용자에게 알림하는 단계(S70)를 더 포함하는 제습기의 제어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S60 단계 후에 자동으로 추천된 제습강도로 전환되게 제어하는 제습기의 제어방법.
  8. 청구항 1 내지 7의 제어방법이 적용된 제습기.
KR1020140099626A 2014-08-04 2014-08-04 제습기의 제어방법 및 그에 따른 제습기 KR101691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626A KR101691799B1 (ko) 2014-08-04 2014-08-04 제습기의 제어방법 및 그에 따른 제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626A KR101691799B1 (ko) 2014-08-04 2014-08-04 제습기의 제어방법 및 그에 따른 제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119A true KR20160016119A (ko) 2016-02-15
KR101691799B1 KR101691799B1 (ko) 2017-01-02

Family

ID=55356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9626A KR101691799B1 (ko) 2014-08-04 2014-08-04 제습기의 제어방법 및 그에 따른 제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79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1444A (ko) * 2016-03-28 2017-10-12 코웨이 주식회사 제가습기, 제습기의 동작 방법 및 가습기의 동작 방법
USD865930S1 (en) 2017-08-01 2019-11-05 D-M-S Holdings, Inc. Humidifier
CN110645695A (zh) * 2019-10-28 2020-01-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电器水箱满水的警报方法、警报装置及电器
USD873283S1 (en) 2017-08-01 2020-01-21 D-M-S Holdings, Inc. Computerized display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arget humidity
US10830469B2 (en) 2017-08-01 2020-11-10 D-M-S Holdings, Inc. Humidifier measurement and control
CN112240632A (zh) * 2020-10-16 2021-01-1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空调除湿控制的方法、装置及空调
CN114704927A (zh) * 2021-12-31 2022-07-05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一种空调器和空调器室内机水泵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3805A (ja) * 1993-09-30 1995-04-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除湿機
JP2007237068A (ja) * 2006-03-08 2007-09-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除湿装置
JP2007253137A (ja) * 2006-02-27 2007-10-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除湿装置
KR101028076B1 (ko) 2003-12-18 2011-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용 버킷의 만수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3805A (ja) * 1993-09-30 1995-04-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除湿機
KR101028076B1 (ko) 2003-12-18 2011-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용 버킷의 만수감지장치
JP2007253137A (ja) * 2006-02-27 2007-10-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除湿装置
JP2007237068A (ja) * 2006-03-08 2007-09-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除湿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1444A (ko) * 2016-03-28 2017-10-12 코웨이 주식회사 제가습기, 제습기의 동작 방법 및 가습기의 동작 방법
USD865930S1 (en) 2017-08-01 2019-11-05 D-M-S Holdings, Inc. Humidifier
USD873283S1 (en) 2017-08-01 2020-01-21 D-M-S Holdings, Inc. Computerized display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arget humidity
US10830469B2 (en) 2017-08-01 2020-11-10 D-M-S Holdings, Inc. Humidifier measurement and control
CN110645695A (zh) * 2019-10-28 2020-01-0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电器水箱满水的警报方法、警报装置及电器
CN112240632A (zh) * 2020-10-16 2021-01-19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用于空调除湿控制的方法、装置及空调
CN114704927A (zh) * 2021-12-31 2022-07-05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一种空调器和空调器室内机水泵控制方法
CN114704927B (zh) * 2021-12-31 2023-08-25 海信空调有限公司 一种空调器和空调器室内机水泵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1799B1 (ko) 2017-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799B1 (ko) 제습기의 제어방법 및 그에 따른 제습기
KR20160019656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그에 따른 공기조화기
KR20160019655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그에 따른 공기조화기
US11788750B2 (en) Liquid level sensor
US8974585B2 (en) Fan-and-filter unit
CN107255341B (zh) 控制方法、控制装置、空调机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4132443A (zh) 一种排水装置、方法及除湿机
EP3290815A1 (en) Temperature-based adaptive dehumidification system
US8572991B2 (en) Condensate liquid level sensor and drain fitting
CN114294732B (zh) 家用电器以及家用电器的控制方法
CN204043164U (zh) 一种排水装置及除湿机
JP4654172B2 (ja) 洗濯乾燥機
JP4879224B2 (ja) 空気調和機、ドレン水検出方法
KR20180083677A (ko) 공기 청정기
EP2221956B1 (en) Motor current calculation device and air conditioning device
JP2009303413A (ja) 電気機器を収容するための収容ボックス
KR101906305B1 (ko) 정전용량방식을 이용한 수위감지 장치
KR20150140952A (ko)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 장치
ITVI20100031A1 (it) Procedimento per il controllo di un essiccatore atto a deumidificare l'aria destinata a vasi di espansione dell'olio impiegati in apparecchiature elettriche
KR20170058100A (ko) 공기 조화 장치
JP6644152B2 (ja) 液面検知装置、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及び液面検知方法
CN215701573U (zh) 一种防溜铁鞋动态监测器具箱
JPH1144568A (ja) 水位検知センサおよび水位検知装置
KR20190100296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용 온도 감지 패키지 브라켓 및 공기조화기 실내기
JP2024013317A (ja) 除湿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