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9656A -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그에 따른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그에 따른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9656A
KR20160019656A KR1020140104194A KR20140104194A KR20160019656A KR 20160019656 A KR20160019656 A KR 20160019656A KR 1020140104194 A KR1020140104194 A KR 1020140104194A KR 20140104194 A KR20140104194 A KR 20140104194A KR 20160019656 A KR20160019656 A KR 20160019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d water
sensing
water level
per unit
uni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4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희
송준걸
김성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4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9656A/ko
Priority to EP15180631.2A priority patent/EP2985543B1/en
Priority to US14/824,594 priority patent/US10203239B2/en
Publication of KR20160019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96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G01F23/263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f capaci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30Condensation of water from cooled air

Abstract

본 발명은 냉방중인 경우, 복수개의 전극패드를 통해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응축수저장부에 저장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 상기 감지된 응축수 수위 및 메모리에 저장된 배수 수위를 비교하는 단계(S20); 상기 응축수 수위가 상기 배수 수위의 오차범위 내로 형성 된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20)를 작동시키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응축수감지장치가 정전용량을 통해 응축수의 수위를 보다 정밀하게 감지하고, 이를 통해 드레인펌프를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작동 소음 또는 소비전력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그에 따른 공기조화기{method of controlling a air conditioner and a air conditioner thereby}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에는 작동 중 발생되는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펌프가 배치되고, 상기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 수위감지장치가 설치된다.
종래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수위감지장치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드레인탱크에 배치되어 상기 응축수와 직접 접촉되고, 상기 응축수 수위에 따라 플로트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플로트가 소정 높이 이상 상승되었을 때, 마그네틱센서가 상기 플로트에 설치된 자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수위감지장치는 응축수와 직접 접촉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물질이 상기 플로트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플로트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종래 공기조화기는 상기 마그네틱 센서가 소정 높이 이상 상승된 플로트를 검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응축수의 소정 높이만을 감지하고, 이로 인해 상기 응축수의 소정 높이에 대해서만 상기 드레인펌프가 온/오프 작동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51024
본 발명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는 응축수와 비접촉되어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응축수 수위를 보다 정밀하게 검출하고, 이를 통해 드레인펌프를 다양한 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단위시간당 응축수의 생성속도, 생성유량, 생성수위 등을 검출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응축수저장부를 형성시키는 응축수격벽에 설치되어 응축수와 비접촉되고, 복수개의 전극패드를 통해 상기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응축수감지장치를 포함하고, 냉방중인 경우, 상기 응축수감지장치를 통해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상기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 상기 감지된 응축수 수위 및 메모리에 저장된 배수 수위를 비교하는 단계(S20); 상기 응축수 수위가 상기 배수 수위의 오차범위 내로 형성된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20)를 작동시키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응축수저장부를 형성시키는 응축수격벽에 설치되어 응축수와 비접촉되고, 복수개의 전극패드를 통해 상기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응축수감지장치를 포함하고, 냉방중인 경우, 상기 응축수감지장치를 통해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상기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 상기 S10 단계에서 감지된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계산하는 단계(S40); 상기 S40 단계의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참조하여 드레인펌프의 작동조건을 판단하는 단계(S50)를 포함하고, 상기 S50 단계에서 작동조건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응축수를 배수시키는 드레인펌프를 작동시키고(S30), 상기 S50 단계에서 작동조건에 충족되지 않으면 상기 S10 단계로 리턴시킨도록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작동조건은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 및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의 비교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작동조건은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 및 컨트롤러에 저장된 기준값의 비교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응축수저장부를 형성시키는 응축수격벽에 설치되어 응축수와 비접촉되고, 복수개의 전극패드를 통해 상기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응축수감지장치를 포함하고, 냉방중인 경우, 상기 응축수감지장치를 통해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상기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 상기 S10 단계에서 감지된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계산하는 단계(S40);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과 컨트롤러에 저장된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S80);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이 상기 기준값이 비해 더 큰 경우 드레인펌프의 인터벌을 축소시키는 단계(S90);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응축수저장부를 형성시키는 응축수격벽에 설치되어 응축수와 비접촉되고, 복수개의 전극패드를 통해 상기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응축수감지장치를 포함하고, 냉방중인 경우, 상기 응축수감지장치를 통해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상기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 상기 S10 단계에서 감지된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계산하는 단계(S40);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과 컨트롤러에 저장된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S85);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이 기준값이 비해 작은 경우 드레인펌프의 인터벌을 증가시키는 단계(S100);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응축수저장부를 형성시키는 응축수격벽에 설치되어 응축수와 비접촉되고, 복수개의 전극패드를 통해 상기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응축수감지장치를 포함하고, 냉방중인 경우, 상기 응축수감지장치를 통해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상기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 상기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계산하는 단계(S40); 응축수 저장부에 저장된 응축수 수위를 통해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을 계산하고, 상기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 및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비교하는 단계(S110); 상기 S110 단계에서 상기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보다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이 더 큰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응축수저장부를 형성시키는 응축수격벽에 설치되어 응축수와 비접촉되고, 복수개의 전극패드를 통해 상기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응축수감지장치를 포함하고, 냉방중인 경우, 상기 응축수감지장치를 통해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상기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 상기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계산하는 단계(S40); 응축수 저장부에 저장된 응축수 수위를 통해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을 계산하고, 상기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 및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비교하는 단계(S115); 상기 S115 단계에서 상기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보다 더 큰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의 작동을 연기하는 단계(S35)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응축수저장부를 형성시키는 응축수격벽에 설치되어 응축수와 비접촉되고, 복수개의 전극패드를 통해 상기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응축수감지장치를 포함하고, 냉방중인 경우, 상기 응축수감지장치를 통해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상기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 상기 S10 단계에서 감지된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계산하는 단계(S40);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에 따라 제습추천조건을 판단하는 단계(S60); 제습추천조건인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을 실시하고는 단계(S70);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응축수저장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응축수 저장부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수저장부에 저장되는 응축수의 수위를 정전용량을 통해 감지하는 수위감지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응축수감지장치가 정전용량을 통해 응축수의 수위를 보다 정밀하게 감지하고, 이를 통해 드레인펌프를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작동 소음 또는 소비전력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정밀하게 감지된 응축수 수위에 따라 드레인펌프의 작동 유무를 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에 따라 드레인펌프의 작동조건을 판단하고, 이를 통해 드레인펌프의 작동 소음 및 소비전력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 및 기준값의 비교를 통해 드레인펌프의 작동 인터벌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 및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을 비교하여 응축수를 최대한도로 저장한 다음 배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수위감지장치의 설치위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위감지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수위감지장치의 설치위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위감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로서, 상기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 및 실외기로 구성된다.
상기 실내기는 공기조화기의 설치 위치 및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실내의 천장에 매립되어 하측면만이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실내기는 외형을 형성시키는 케이스(1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10)는 하측면에 흡입구(11) 및 토출구(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실내열교환기(미도시), 실내송풍기(미도시), 드레인펌프(20) 등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저장부(30)가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응축수저장부(30)는 상기 케이스(10)와 일체화되어 제작된다.
여기서 상기 응축수저장부(30)에 저장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장치(50)가 상기 케이스(10)에 설치되고, 상기 수위감지장치(50)는 상기 응축수와 비접촉되도록 상기 응축수저장부(30) 외부 또는 상기 응축수저장부(30)를 형성시키는 프레임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위감지장치(50)가 상기 응축수저장부(30)를 형성시키는 응축수격벽(16)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이를 통해 상기 응축수와는 비접촉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수위감지장치(50)는 본 실시예에서 정전용량 방식을 이용해 수위를 감지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도체에 전위 포텐셜(potential)가 인가되면, 전하(charge)가 축전(charging)된다. 이 효과는 단일 도체에서 보다, 둘 이상의 도체에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전위 포텐셜이 인가되었을 때(둘 이상에 도체에서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보다 잘 관찰할 수 있다.
정전용량 센서 또는 전기용량 센서는 이러한 축전 효과를 이용하여 정전용량(Capacitance)을 정량화 하는 센서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응축수저장부(30)에 저장된 응축수 수위에 따라 상기 정전용량이 변화되는 것을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정전용량 방식 센서의 작동원리 및 구성은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위감지장치(50)는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PCBA)의 형태로 제작되고, 상기 응축수격벽(16)에 상기 응축수와 비접촉되도록 배치된 인쇄회로기판(52)과, 상기 인쇄회로기판(52)에 배치된 복수개의 전극패드(54)와, 상기 인쇄회로기판(52)과 상기 공기조화기의 컨트롤러(미도시)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커넥터(56)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패드(54)는 응축수와 상호작용되어 정전용량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고, 상기 인쇄회로기판(52)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52)이 상기 응축수격벽(16)에 삽입된 후 상기 인쇄회로기판(52)를 커버하여 상기 응축수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수위커버(58)가 더 배치된다.
상기 수위커버(58)는 상기 응축수격벽(16)에 조립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52)과 응축수가 물리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차단시킨다.
여기서 상기 수위커버(58)의 가장자리에는 패킹(미도시)이 배치되어 상기 응축수가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56)는 상기 응축수격벽(16)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컨트롤러(미도시)와 연결되어 감지된 상기 응축수 수위값을 제공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다수개의 전극패드(54)가 구비된 수위감지장치(50)로부터 정밀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여 드레인펌프(20)를 제어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냉방중인 경우, 응축수저장부(30)에 저장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와, 상기 감지된 수위 및 메모리에 저장된 배수 수위를 비교하는 단계(S20)와, 상기 응축수 수위가 상기 배수 수위의 오차범위 내로 형성된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20)를 작동시키는 단계(S30)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수 수위가 상기 배수 수위의 오차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S10 단계로 리턴시킨다.
종래 플로트 스위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응축수가 플로트스위치에 매우 근접하더라도 드레인펌프가 작동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다수개의 전전극패드(54)로부터 정밀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면, 상기 배수 수위 및 응축수 수위를 비교한 후, 상기 응축수 수위가 상기 배수 수위에 미치지 못하더라도 상기 오차범위에 따라 상기 드레인펌프(20)를 미리 작동시킬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응축수저장부(30)를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응축수가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최대 응축수 생성량을 기준으로 상기 드레인펌프(20)를 작동시키고, 이로 인해 상기 드레인펌프(20)의 작동으로 인한 소음 및 소비전력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다수개의 전극패드를 이용하여 정전용량방식으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게 되면, 현재 응축수의 생성량을 기준으로 드레인펌프(20)의 작동 인터벌을 제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작동 소음 및 소비전력을 최적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감지장치(50)는 응축수와 비접촉되어 응축수수위를 감지하기 때문에, 응축수에 부유되는 먼지 등과의 접촉이 원천적으로 차단되고, 이를 통해 작동에러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감지장치(50)는 전기회로로 구성되는 바, 고장진단을 컨트롤러 스스로 수행할 수 있고, 이를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알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1 실시예와 달리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드레인펌프(20)를 제어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냉방중인 경우, 응축수저장부(30)에 저장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와, 상기 S10 단계에서 감지된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을 계산하는 단계(S40)와, 상기 S40 단계의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참조하여 드레인펌프의 작동조건을 판단하는 단계(S50)를 포함하고, 상기 S50 단계에서 작동조건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드레인펌프(20)를 작동시키고(S30), 상기 S50 단계에서 작동조건에 충족되지 않으면 상기 S10 단계로 리턴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응축수저장부(30)에서 생성되는 단위 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계산하였으나, 본 실시예와 달리 단위 시간당 응축수 생성높이 또는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속도를 계산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단위 시간당 응축수 생성높이는 임의 전극패드(54)에서 상측 전극패드(54)까지 감지되는 시간으로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단위 시간당 응축수 생성속도는 상기 전극패드(54) 간 거리를 응축수 생성에 따른 소요시간으로 나눠 구할 수 있다.
어느 것이든지 복수개의 전극패드(54)에서 감지되는 시간을 이용하여 응축수의 유량, 부피, 속도, 높이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S50 단계에서 상기 드레인펌프의 작동조건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드레인펌프의 작동조건은 상기 응축수의 생성유량, 생성부피, 생성속도, 생성높이 등을 기준으로 상기 드레인펌프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단위시간당 응축수의 생성량에 따라 사용자에게 특정 모드를 제안하도록 구성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제어방법은 냉방중인 경우, 응축수저장부(30)에 저장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와, 상기 S10 단계에서 감지된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을 계산하는 단계(S40)와,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에 따라 제습추천조건을 판단하는 단계(S60)를 포함하고, 상기 제습추천조건인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을 실시하고(S70)하고, 제습추천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S10 단계로 리턴된다.
상기 S60단계에서는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과 컨트롤러에 저장된 기준 값(sv)을 비교하고,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실내에 습도가 높아서 응축수가 과다하게 생성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래서 S60 단계에서 제습추천조건이라고 판단되면, S70 단계에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디스플레이(미도시), 리모콘(미도시) 또는 소리 등을 통해 알림을 실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습추천조건 시, 실내온도와 목표온도를 비교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실내온도 및 목표온도의 온도차가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에만 상기 S70 단계로 이행되게 제어할 수 있다.
즉, 실내온도와 목표온도와의 차이가 작은 경우, 실내 냉방 보다는 제습모드로 공기조화기를 구동시켜 절전을 유도하고, 공기 중의 습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사용자에게 제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 및 기준값(sv)은 상기 제 2 실시예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응축수의 유량, 부피, 속도, 높이 등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2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응축수의 생성량에 따라 드레인펌프의 인터벌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을 계산하는 단계(S40)와,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과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S80)와,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이 기준값이 비해 더 큰 경우 드레인펌프의 인터벌을 축소시키는 단계(S90)를 포함한다.
상기 S80단계에서, 단위시간당 응축수의 생성량이 기준값보다 크면, 실내 공기에 습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드레인펌프를 더 자주 작동시킴으로서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만수위까지 드레인펌프(20)의 작동을 지연시켜 제어하는 경우,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이 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응축수의 감지주기를 단축시켜 응축수의 넘침을 예방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2 또는 3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제 4 실시예와 달리 실내 습도가 낮은 경우 드레인펌프의 인터벌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을 계산하는 단계(S40)와,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과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S85)와,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이 기준값이 비해 작은 경우 드레인펌프의 인터벌을 증가시키는 단계(S90)를 포함한다.
상기 드레인펌프의 인터벌이 증가되는 경우, 작동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고,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공기조화기는 주변환경에 영향을 받아 작동되는 제품인 바, 공장 출고 시 설치 지역의 습도, 온도에 따라 각기 다른 세팅을 수행하지 않고, 주변 상황을 판단하여 상기 드레인펌프의 인터벌을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4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통해 응축수저저장부의 오버플로우를 방지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을 계산하는 단계(S40)와,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 및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비교하는 단계(S110)와, 상기 S110 단계에서 상기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보다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이 더 큰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상기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은 최대 수위에서 현재 수위를 뺀 값을 통해 계산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전극패드가 설치되기 때문에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S110 단계에서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이 작다고 판단되면, 상기 응축수의 오버플로우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드레인 펌프를 작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응축수 저장부(30)를 최대까지 활용하는 것은 상기 드레인펌프(20)의 작동을 최소화하여, 작동소음 및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을 계산하여 드레인펌프를 제어하는 방법은 공기조화기의 작동 중에만 실시되고, 공기조화기가 종료되면, 상기 드레인펌프를 작동 시켜 상기 응축수 저장부의 응축수를 모두 배수해야만 한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2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제 6 실시예와 달리,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에 여유가 있으면, 상기 드레인펌프의 작동을 연기하도록 제어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 및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을 비교하는 단계(S115)와, 상기 S115 단계에서 상기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보다 더 큰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의 작동을 연기하는 단계(S35)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드레인펌프의 작동을 연기하고, 이를 통해 상기 응축수 저장부(30)에 응축수를 최대한 많이 채운 후, 상기 드레인펌프를 작동시킴으로서, 상기 드레인펌의 작동 소음 및 소비전력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6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케이스 20 : 드레인펌프
30 : 응축수저장부 50 : 수위감지장치
52 : 인쇄회로기판 54 : 전극패드
56 : 커넥터

Claims (16)

  1. 응축수저장부를 형성시키는 응축수격벽 에 설치되어 응축수와 비접촉되고, 복수개의 전극패드를 통해 상기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응축수감지장치를 포함하고,
    냉방중인 경우, 상기 응축수감지장치를 통해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상기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
    상기 감지된 응축수 수위 및 메모리에 저장된 배수 수위를 비교하는 단계(S20);
    상기 응축수 수위가 상기 배수 수위의 오차범위 내로 형성 된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20)를 작동시키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수위가 상기 배수 수위의 오차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S10 단계로 리턴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3. 응축수저장부를 형성시키는 응축수격벽 에 설치되어 응축수와 비접촉되고, 복수개의 전극패드를 통해 상기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응축수감지장치를 포함하고,
    냉방중인 경우, 상기 응축수감지장치를 통해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상기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
    상기 S10 단계에서 감지된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계산하는 단계(S40);
    상기 S40 단계의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참조하여 드레인펌프의 작동조건을 판단 하는 단계(S50)를 포함하고,
    상기 S50 단계에서 작동조건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응축수를 배수시키는 드레인펌프를 작동시키고(S30), 상기 S50 단계에서 작동조건에 충족되지 않으면 상기 S10 단계로 리턴시킨도록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작동조건은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 및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의 비교를 통해 결정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작동조건은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 및 컨트롤러에 저장된 기준값의 비교를 통해 결정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6. 응축수저장부를 형성시키는 응축수격벽 에 설치되어 응축수와 비접촉되고, 복수개의 전극패드를 통해 상기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응축수감지장치를 포함하고,
    냉방중인 경우, 상기 응축수감지장치를 통해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상기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
    상기 S10 단계에서 감지된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계산하는 단계(S40);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과 컨트롤러에 저장된 기준값을 비교 하는 단계(S80);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이 상기 기준값이 비해 더 큰 경우 드레인펌프의 작동 인터벌을 축소 시키는 단계(S90);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7. 응축수저장부를 형성시키는 응축수격벽 에 설치되어 응축수와 비접촉되고, 복수개의 전극패드를 통해 상기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응축수감지장치를 포함하고,
    냉방중인 경우, 상기 응축수감지장치를 통해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상기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
    상기 S10 단계에서 감지된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계산하는 단계(S40);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과 컨트롤러에 저장된 기준값을 비교 하는 단계(S85);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이 기준값이 비해 작은 경우 드레인펌프의 작동 인터벌을 증가 시키는 단계(S100);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8. 응축수저장부를 형성시키는 응축수격벽 에 설치되어 응축수와 비접촉되고, 복수개의 전극패드를 통해 상기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응축수감지장치를 포함하고,
    냉방중인 경우, 상기 응축수감지장치를 통해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상기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
    상기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계산하는 단계(S40);
    응축수 저장부에 저장된 응축수 수위를 통해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을 계산하고, 상기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 및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비교 하는 단계(S110);
    상기 S110 단계에서 상기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보다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이 더 큰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작동 시키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9. 응축수저장부를 형성시키는 응축수격벽에 설치되어 응축수와 비접촉되고, 복수개의 전극패드를 통해 상기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응축수감지장치를 포함하고,
    냉방중인 경우, 상기 응축수감지장치를 통해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상기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
    상기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계산하는 단계(S40);
    응축수 저장부에 저장된 응축수 수위를 통해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을 계산하고, 상기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 및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비교 하는 단계(S115);
    상기 S115 단계에서 상기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보다 더 큰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의 작동을 연기 하는 단계(S35)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0. 응축수저장부를 형성시키는 응축수격벽 에 설치되어 응축수와 비접촉되고, 복수개의 전극패드를 통해 상기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응축수감지장치를 포함하고,
    냉방중인 경우, 상기 응축수감지장치를 통해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상기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
    상기 S10 단계에서 감지된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계산하는 단계(S40);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에 따라 제습추천조건을 판단 하는 단계(S60);
    제습추천조건인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을 실시하고는 단계(S70);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S60 단계에서 상기 제습추천조건이라고 판단되면, S70 단계에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디스플레이(미도시), 리모콘(미도시) 또는 소리 등을 통해 알림을 실시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2. 청구항 1 내지 11의 제어방법이 적용된 공기조화기.
  13. 응축수저장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응축수 저장부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수저장부에 저장되는 응축수의 수위를 정전용량을 통해 감지하는 수위감지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저장부는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응축수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위감지장치는 상기 응축수격벽에 배치된 공기조화기.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장치는 상기 응축수저장부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위감지장치 및 응축수의 접촉을 차단시키는 수위커버가 배치된 공기조화기.
  16. 청구항 13 내비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장치는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PCBA)의 형태로 제작되고, 상기 응축수저장부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된 복수개의 전극패드;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공기조화기의 컨트롤러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40104194A 2014-08-12 2014-08-12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그에 따른 공기조화기 KR2016001965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194A KR20160019656A (ko) 2014-08-12 2014-08-12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그에 따른 공기조화기
EP15180631.2A EP2985543B1 (en) 2014-08-12 2015-08-11 Method of controlling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controlled thereby
US14/824,594 US10203239B2 (en) 2014-08-12 2015-08-12 Method of controlling air conditioner based on level of condensed w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194A KR20160019656A (ko) 2014-08-12 2014-08-12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그에 따른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9656A true KR20160019656A (ko) 2016-02-22

Family

ID=53794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4194A KR20160019656A (ko) 2014-08-12 2014-08-12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그에 따른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03239B2 (ko)
EP (1) EP2985543B1 (ko)
KR (1) KR201600196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103B1 (ko) * 2019-10-31 2020-04-27 신우공조 주식회사 정전식 수위센서가 구비된 팬코일유니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31291B (en) * 2014-10-14 2019-12-04 Aspen Pumps Ltd Liquid level detector
CN106152398A (zh) * 2016-06-30 2016-11-2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凝露控制方法和装置
SG10201605668QA (en) * 2016-07-11 2018-02-27 Trends Home Electrical Pte Ltd Improved air-conditioner unit
CN106168407A (zh) * 2016-08-12 2016-11-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座吊机的排水控制系统、控制方法及座吊机
CN106765899B (zh) * 2016-11-30 2020-03-0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排水控制方法、装置及空调器
USD873283S1 (en) 2017-08-01 2020-01-21 D-M-S Holdings, Inc. Computerized display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arget humidity
USD865930S1 (en) 2017-08-01 2019-11-05 D-M-S Holdings, Inc. Humidifier
US10830469B2 (en) 2017-08-01 2020-11-10 D-M-S Holdings, Inc. Humidifier measurement and control
GB2568284B (en) * 2017-11-10 2021-09-22 Aspen Pumps Ltd Liquid level sensor and method of controlling a condensate pump
CN109269069B (zh) * 2018-09-30 2020-04-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室内机水泵控制方法及空调设备
CN110567049A (zh) * 2019-08-20 2019-12-1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内机的排水装置、空调内机及排水方法
JP7041366B2 (ja) * 2019-11-15 2022-03-2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GB2599094A (en) * 2020-09-21 2022-03-30 Charles Austen Pumps Ltd Arctikblue - condensate tra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024B1 (ko) 2007-03-19 2014-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위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7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10175A (en) * 1964-06-04 1968-04-18 Rosemount Eng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luid level sensors
US3882381A (en) * 1973-11-05 1975-05-06 Surface Systems System for detecting wet and icy surface conditions
US3873927A (en) * 1973-11-05 1975-03-25 Surface Systems System for detecting wet and icy surface conditions
US3986110A (en) * 1975-08-29 1976-10-12 Surface Systems, Inc. Water depth measuring device
US4058765A (en) * 1976-06-07 1977-11-15 David Richardson General displacement sensor
US4115877A (en) * 1977-03-24 1978-09-26 Frederick Wall Liquid level sensing device and swimming pool water circulation systems containing the same
US4145927A (en) * 1977-11-10 1979-03-27 Larson Roger G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liquid level in a tank
US4135151A (en) * 1977-12-14 1979-01-16 Surface Systems, Inc. Apparatus for detecting wet and icy surface conditions
US4174498A (en) * 1978-03-30 1979-11-13 Preikschat F K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parate conductivity, dielectric coefficient, and moisture measurements of particulate material
DE2824144C2 (de) * 1978-06-02 1983-12-08 Vdo Adolf Schindling Ag, 6000 Frankfurt Einrichtung zur kapazitiven Niveauhöhenmessung von Flüssigkeiten oder Feststoffen
USD256787S (en) * 1978-06-19 1980-09-09 Petersen Lee O Water detector
US4258422A (en) * 1979-05-04 1981-03-24 Honeywell Inc. Liquid gaging system
US4389900A (en) * 1979-06-14 1983-06-2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Interior Capacitance probe sensor device
US4281286A (en) * 1979-11-15 1981-07-28 Surface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wet and icy conditions on the surface of a pathway
US4288742A (en) * 1979-12-18 1981-09-08 Dartmouth College Electrical moisture sensor
JPS56119474A (en) * 1980-02-25 1981-09-19 Nippon Denso Co Device for responding to refrigerang amount for refrigerant circulating apparatus
US4388828A (en) * 1980-05-14 1983-06-21 Honeywell Inc. Liquid gaging system sensor calibration
US4352159A (en) * 1980-05-14 1982-09-28 Honeywell Inc. Liquid gaging system lost sensor recovery
US4350039A (en) * 1980-05-14 1982-09-21 Honeywell Inc. Liquid gaging system null balance circuitry
US4363239A (en) * 1980-05-14 1982-12-14 Honeywell Inc. Liquid gaging system contamination monitor
US4337638A (en) * 1980-05-14 1982-07-06 Honeywell Inc. Liquid gaging system self test circuitry
US4355363A (en) * 1980-05-14 1982-10-19 Honeywell Inc. Digital characterization of liquid gaging system sensors
US4373390A (en) * 1980-05-14 1983-02-15 Honeywell Inc. Liquid gaging system compatible with multiple characterization of each sensor
JPS5719806A (en) * 1980-07-09 1982-02-02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Fluctuation driving device
JPS5835421A (ja) * 1981-08-27 1983-03-02 Nissan Motor Co Ltd 燃料センサ
US4510436A (en) * 1982-07-15 1985-04-09 Southwest Medical Products, Incorporated Dielectric measuring systems
JPS60169719A (ja) * 1984-02-14 1985-09-03 Nippon Soken Inc 物理量検出装置
US4789822A (en) * 1984-07-18 1988-12-06 Naoyuki Ohmatoi Three-electrode sensor for phase comparison and pulse phase adjusting circuit for use with the sensor
JPH0833320B2 (ja) * 1986-03-20 1996-03-29 株式会社東芝 自動化学分析装置
US4766369A (en) * 1986-03-31 1988-08-2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Ice detector
US4765187A (en) * 1986-07-30 1988-08-2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Liquid thickness gauge
US4745893A (en) * 1986-12-03 1988-05-24 Caterpillar Inc. Digital oil level sensor
US4805070A (en) * 1987-10-22 1989-02-14 Ppg Industries, Inc. Capacitive coupled moisture sensor
JPH063395B2 (ja) * 1988-08-26 1994-01-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面検出機能を有する分析装置
US4897597A (en) * 1988-12-08 1990-01-30 Surface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detecting wet and icy conditions
US4982606A (en) * 1989-03-06 1991-01-08 Raytheon Company Fluid level sensor and controller
JP2934672B2 (ja) * 1989-07-03 1999-08-16 直之 大纒 静電容量型検出装置
US5040411A (en) * 1989-12-27 1991-08-20 Ppg Industries, Inc. Windshield moisture sensor
US5012683A (en) * 1990-01-18 1991-05-07 E. I. Dupont De Nemours And Company Capacitive liquid interface sensor
JPH05322629A (ja) * 1992-05-25 1993-12-07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静電容量式レベルセンサ
JPH07103805A (ja) 1993-09-30 1995-04-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除湿機
JPH08105635A (ja) 1994-10-05 1996-04-23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US5598971A (en) * 1995-08-17 1997-02-04 Bevles Company, Inc. Humidity control system
US6078729A (en) * 1997-10-21 2000-06-20 National Environmental Products Ltd., Inc. Foam, drain and fill control system for humidifier
US5965814A (en) * 1997-10-21 1999-10-12 French; Arnold E. Freeze/overflow detector with deactivating mechanism
DE10037715A1 (de) * 2000-08-02 2002-02-14 Endress Hauser Gmbh Co Vorrichtung zur Messung des Füllstands eines Füllguts in einem Behälter
US20040149032A1 (en) * 2003-01-31 2004-08-05 Sell Jeffrey A Liquid level sensor
US7258005B2 (en) * 2004-02-06 2007-08-21 David Scott Nyce Isolated capacitive fluid level sensor
US7255004B2 (en) * 2004-09-13 2007-08-14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Wireless fluid level measuring system
JP2007253137A (ja) 2006-02-27 2007-10-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除湿装置
JP4876637B2 (ja) 2006-03-08 2012-02-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除湿装置
KR101059818B1 (ko) * 2007-01-08 2011-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팀발생기와 이를 갖는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08101333A1 (en) * 2007-02-23 2008-08-28 Warren Michael Levy Fluid level sensing device and methods of using same
US8380355B2 (en) * 2007-03-19 2013-02-19 Wayne/Scott Fetzer Company Capacitive senso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ump using same
US8810260B1 (en) * 2007-04-02 2014-08-19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characteristics of a material occupying a volume with capactive sensing of mirrored plates
KR100920218B1 (ko) 2007-11-14 2009-10-05 이영훈 수위센서를 구비한 습식 공기청정기
EP2238440A4 (en) * 2008-01-09 2013-11-20 Diraction Llc AUTOMATED PHASE SEPARATION AND FUEL QUALITY SENSOR
EP2085711B1 (en) * 2008-01-29 2014-12-31 SANYO Electric Co., Ltd. Air conditioner having antibacterial unit for drain water
FR2936051B1 (fr) * 2008-09-16 2011-08-05 Sauermann Ind Sa Dispositif de pilotage d'une pompe de relevage de condensats detecteur capacitif et systeme correspondants.
US10564025B2 (en) * 2011-01-25 2020-02-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apacitive fluid level sensing
JP5879434B2 (ja) * 2011-06-27 2016-03-08 ヒューレット−パッカード デベロップメント カンパニー エル.ピー.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インクレベルセンサー及び関連する方法
EP2669642B1 (en) * 2012-02-09 2016-04-0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Liquid level detection device and fuel tank structure
US9574928B2 (en) * 2012-02-13 2017-02-21 Goodrich Corporation Liquid level sensing systems
DE102013207446A1 (de) * 2013-04-24 2014-10-30 Skf Lubrication Systems Germany Ag Füllstandsmessanordnung
JP2014232002A (ja) * 2013-05-28 2014-12-11 愛三工業株式会社 液質検出装置
US9718549B2 (en) * 2013-08-09 2017-08-01 Mag Aerospace Industries, Llc Grey water interface valve liquid level sensor system
AU2014315412B2 (en) * 2013-09-03 2018-08-02 Henny Penny Corporation Holding cabinets with closed-loop environmental control systems, methods for controlling environmental conditions in holding cabinets, and computer-readable media storing instructions for implementing such methods
GB2519783A (en) * 2013-10-30 2015-05-06 Airbus Operations Ltd Capacitive liquid level sensor
US10203238B2 (en) * 2014-03-07 2019-02-12 Barrelogix, Llc Liquid detection apparatus
WO2015184414A1 (en) * 2014-05-30 2015-12-03 Tachyus Corporation Fluid volumetric analyzer
US20160003663A1 (en) * 2014-07-03 2016-01-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apacitive liquid level measurement with differential out-of-phase channel drive to counteract human body capacitance
FR3027669B1 (fr) * 2014-10-22 2018-05-25 Dover Europe Sarl Dispositif de mesure de niveau dans un reservoir
US9297686B1 (en) * 2015-04-02 2016-03-29 Texas Lfp, Llc Liquid level transducer with insertable quality sensor
US9943116B2 (en) * 2015-11-17 2018-04-17 Lunatech, Llc Electronic vapor device warning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024B1 (ko) 2007-03-19 2014-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위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5103B1 (ko) * 2019-10-31 2020-04-27 신우공조 주식회사 정전식 수위센서가 구비된 팬코일유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85543A2 (en) 2016-02-17
EP2985543A3 (en) 2016-02-24
US10203239B2 (en) 2019-02-12
EP2985543B1 (en) 2019-10-23
US20160047563A1 (en) 2016-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19656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그에 따른 공기조화기
KR20160019655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그에 따른 공기조화기
KR101691799B1 (ko) 제습기의 제어방법 및 그에 따른 제습기
US8161987B2 (en) Dishwasher with a system for recognition of filling level
US8508373B2 (en) Fluid leak detection and alarm
US11788750B2 (en) Liquid level sensor
JP2020505576A (ja) 外気調和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装置
EP3214382B1 (en) Drainage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dehumidifier and dehumidifier
CN107681474A (zh) 一种开关防凝露智能监测控制系统
US6229229B1 (en) Liquid sensor for disabling an electrical device
CN109539502A (zh) 一种湿度控制器的控制方法、装置和湿度控制器
CN104534619A (zh) 变频除湿机的控制方法和控制装置
CN111562803A (zh) 电子设备、温度控制器、温度控制方法、设备和存储介质
CN114294732B (zh) 家用电器以及家用电器的控制方法
CN209415694U (zh) 一种湿度控制器的控制装置和湿度控制器
KR102087223B1 (ko)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 장치
JP4879224B2 (ja) 空気調和機、ドレン水検出方法
WO2020196466A1 (ja) 加湿装置
CN114354700A (zh) 一种悬挂物坠落风险检测方法及装置
KR20140027809A (ko) 제습장치
KR20170058100A (ko) 공기 조화 장치
JP6644152B2 (ja) 液面検知装置、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及び液面検知方法
KR101663107B1 (ko) 솔레노이드 에어밴트
JP2015017853A (ja) 結露検出装置および機器
CN114151877B (zh) 一种除湿机及用于除湿机的排水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