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9655A -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그에 따른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그에 따른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9655A
KR20160019655A KR1020140104193A KR20140104193A KR20160019655A KR 20160019655 A KR20160019655 A KR 20160019655A KR 1020140104193 A KR1020140104193 A KR 1020140104193A KR 20140104193 A KR20140104193 A KR 20140104193A KR 20160019655 A KR20160019655 A KR 20160019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d water
sensing
water level
per unit
uni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4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희
송준걸
김성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4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19655A/ko
Priority to EP15180632.0A priority patent/EP2985544B1/en
Priority to US14/824,779 priority patent/US20160047564A1/en
Publication of KR20160019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96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G01F23/263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by measuring variations in capacitance of capaci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30Condensation of water from cooled air

Abstract

본 발명은 냉방중인 경우, 복수개의 전극패드를 통해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응축수저장부에 저장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 상기 감지된 응축수 수위 및 메모리에 저장된 배수 수위를 비교하는 단계(S20); 상기 응축수 수위가 상기 배수 수위의 오차범위 내로 형성 된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20)를 작동시키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응축수감지장치가 정전용량을 통해 응축수의 수위를 보다 정밀하게 감지하고, 이를 통해 드레인펌프를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작동 소음 또는 소비전력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그에 따른 공기조화기{method of controlling a air conditioner and a air conditioner thereby}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에는 작동 중 발생되는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펌프가 배치되고, 상기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 수위감지장치가 설치된다.
종래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수위감지장치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드레인탱크에 배치되어 상기 응축수와 직접 접촉되고, 상기 응축수 수위에 따라 플로트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플로트가 소정 높이 이상 상승되었을 때, 마그네틱센서가 상기 플로트에 설치된 자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수위감지장치는 응축수와 직접 접촉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물질이 상기 플로트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플로트의 상하 움직임이 제한되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종래 공기조화기는 상기 마그네틱 센서가 소정 높이 이상 상승된 플로트를 검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응축수의 소정 높이만을 감지하고, 이로 인해 상기 응축수의 소정 높이에 대해서만 상기 드레인펌프가 온/오프 작동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51024
본 발명에서 해결하려는 과제는 응축수와 비접촉되어 수위를 감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응축수 수위를 보다 정밀하게 검출하고, 이를 통해 드레인펌프를 다양한 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단위시간당 응축수의 생성속도, 생성유량, 생성수위 등을 검출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응축수저장부 내부에 설치되되, 수위감지하우징을 통해 응축수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시키고, 복수개의 전극패드를 통해 상기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응축수감지장치를 포함하고, 냉방중인 경우, 상기 응축수감지장치를 통해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상기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 상기 감지된 응축수 수위 및 메모리에 저장된 배수 수위를 비교하는 단계(S20); 상기 응축수 수위가 상기 배수 수위의 오차범위 내로 형성 된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20)를 작동시키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응축수저장부 내부에 설치되되, 수위감지하우징을 통해 응축수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시키고, 복수개의 전극패드를 통해 상기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응축수감지장치를 포함하고, 냉방중인 경우, 상기 응축수감지장치를 통해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상기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 상기 S10 단계에서 감지된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계산하는 단계(S40); 상기 S40 단계의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참조하여 드레인펌프의 작동조건을 판단 하는 단계(S50)를 포함하고, 상기 S50 단계에서 작동조건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응축수를 배수시키는 드레인펌프를 작동시키고(S30), 상기 S50 단계에서 작동조건에 충족되지 않으면 상기 S10 단계로 리턴시킨도록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응축수저장부 내부에 설치되되, 수위감지하우징을 통해 응축수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시키고, 복수개의 전극패드를 통해 상기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응축수감지장치를 포함하고, 냉방중인 경우, 상기 응축수감지장치를 통해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상기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 상기 S10 단계에서 감지된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계산하는 단계(S40);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과 컨트롤러에 저장된 기준값을 비교 하는 단계(S80);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이 상기 기준값이 비해 더 큰 경우 드레인펌프의 작동 인터벌을 축소 시키는 단계(S90);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응축수저장부 내부에 설치되되, 수위감지하우징을 통해 응축수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시키고, 복수개의 전극패드를 통해 상기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응축수감지장치를 포함하고, 냉방중인 경우, 상기 응축수감지장치를 통해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상기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 상기 S10 단계에서 감지된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계산하는 단계(S40);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과 컨트롤러에 저장된 기준값을 비교 하는 단계(S85);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이 기준값이 비해 작은 경우 드레인펌프의 작동 인터벌을 증가 시키는 단계(S100);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응축수저장부 내부에 설치되되, 수위감지하우징을 통해 응축수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시키고, 복수개의 전극패드를 통해 상기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응축수감지장치를 포함하고, 냉방중인 경우, 상기 응축수감지장치를 통해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상기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 상기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계산하는 단계(S40); 응축수 저장부에 저장된 응축수 수위를 통해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을 계산하고, 상기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 및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비교 하는 단계(S110); 상기 S110 단계에서 상기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보다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이 더 큰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작동 시키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응축수저장부 내부에 설치되되, 수위감지하우징을 통해 응축수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시키고, 복수개의 전극패드를 통해 상기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응축수감지장치를 포함하고, 냉방중인 경우, 상기 응축수감지장치를 통해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상기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 상기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계산하는 단계(S40); 응축수 저장부에 저장된 응축수 수위를 통해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을 계산하고, 상기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 및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비교 하는 단계(S115); 상기 S115 단계에서 상기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보다 더 큰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의 작동을 연기 하는 단계(S35)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응축수저장부 내부에 설치되되, 수위감지하우징을 통해 응축수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시키고, 복수개의 전극패드를 통해 상기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응축수감지장치를 포함하고, 냉방중인 경우, 상기 응축수감지장치를 통해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상기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 상기 S10 단계에서 감지된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계산하는 단계(S40);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에 따라 제습추천조건을 판단 하는 단계(S60); 제습추천조건인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을 실시하고는 단계(S70);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응축수저장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응축수저장부 내부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정전용량을 통해 상기 응축수저장부에 저장되는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상기 수위감지장치는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PCBA)의 형태로 제작되고, 상기 응축수저장부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된 복수개의 전극패드;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공기조화기의 컨트롤러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커넥터; 및 상기 전극패드 및 응축수와의 접촉이 차단시키는 수위감지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응축수감지장치가 정전용량을 통해 응축수의 수위를 보다 정밀하게 감지하고, 이를 통해 드레인펌프를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작동 소음 또는 소비전력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정밀하게 감지된 응축수 수위에 따라 드레인펌프의 작동 유무를 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에 따라 드레인펌프의 작동조건을 판단하고, 이를 통해 드레인펌프의 작동 소음 및 소비전력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 및 기준값의 비교를 통해 드레인펌프의 작동 인터벌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 및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을 비교하여 응축수를 최대한도로 저장한 다음 배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수위감지장치의 설치위치가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위감지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용어가 동일하더라도 표시하는 부분이 상이하면 도면 부호가 일치하지 않음을 미리 말해두는 바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실험자 및 측정자와 같은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수위감지장치의 설치위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위감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천장형 공기조화기로서, 상기 천장형 공기조화기는 실내기 및 실외기로 구성된다.
상기 실내기는 공기조화기의 설치 위치 및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실내의 천장에 매립되어 하측면만이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실내기는 외형을 형성시키는 케이스(10)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10)는 하측면에 흡입구(11) 및 토출구(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실내열교환기(미도시), 실내송풍기(미도시), 드레인펌프(20) 등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응축수저장부(30)가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응축수저장부(30)는 상기 케이스(10)와 일체화되어 제작된다.
여기서 상기 응축수저장부(30)에는 상기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장치(50)가 설치된다.
상기 수위감지장치(50)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응축수저장부(30)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되, 응축수와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위감지하우징(58) 내부에 삽입되어 배치된다.
상기 수위감지장치(50)는 본 실시예에서 정전용량 방식을 이용해 수위를 감지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도체에 전위 포텐셜(potential)가 인가되면, 전하(charge)가 축전(charging)된다. 이 효과는 단일 도체에서 보다, 둘 이상의 도체에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전위 포텐셜이 인가되었을 때(둘 이상에 도체에서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보다 잘 관찰할 수 있다.
정전용량 센서 또는 전기용량 센서는 이러한 축전 효과를 이용하여 정전용량(Capacitance)을 정량화 하는 센서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응축수저장부(30)에 저장된 응축수 수위에 따라 상기 정전용량이 변화되는 것을 감지한다.
여기서 상기 정전용량 방식 센서의 작동원리 및 구성은 당업자에게 일반적인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위감지장치(50)는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PCBA)의 형태로 제작되고, 상기 응축수저장부(30)에 삽입되어 배치된 수위감지하우징(58)과, 상기 응축수와 비접촉되도록 상기 수위감지하우징(58)에 삽입되어 배치된 인쇄회로기판(52)과, 상기 인쇄회로기판(52)에 배치된 복수개의 전극패드(54)와, 상기 인쇄회로기판(52)과 상기 공기조화기의 컨트롤러(미도시)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커넥터(56)를 포함한다.
상기 전극패드(54)는 응축수와 상호작용되어 정전용량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고, 상기 인쇄회로기판(52)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된다.
상기 수위감지하우징(58)은 상기 응축수저장부(3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응축수 및 전극패드(54)가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수위감지하우징(58)에는 패킹(미도시) 또는 실링(미도시)이 배치되어 상기 응축수가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위감지하우징(58)은 상기 케이스(10)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59)가 형성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형성된 리브 또는 격벽에 걸림고정된다.
상기 커넥터(56)는 상기 인쇄회로기판(52) 및 컨트롤러를 연결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극패드(54)에서 감지된 응축수 수위값을 상기 컨트롤러에 전달하여 공기조화기의 제어에 활용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다수개의 전극패드(54)가 구비된 수위감지장치(50)로부터 정밀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여 드레인펌프(20)를 제어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냉방중인 경우, 응축수저장부(30)에 저장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와, 상기 감지된 수위 및 메모리에 저장된 배수 수위를 비교하는 단계(S20)와, 상기 응축수 수위가 상기 배수 수위의 오차범위 내로 형성된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20)를 작동시키는 단계(S30)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수 수위가 상기 배수 수위의 오차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S10 단계로 리턴시킨다.
종래 플로트 스위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응축수가 플로트스위치에 매우 근접하더라도 드레인펌프가 작동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다수개의 전전극패드(54)로부터 정밀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면, 상기 배수 수위 및 응축수 수위를 비교한 후, 상기 응축수 수위가 상기 배수 수위에 미치지 못하더라도 상기 오차범위에 따라 상기 드레인펌프(20)를 미리 작동시킬 수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응축수저장부(30)를 보다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응축수가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최대 응축수 생성량을 기준으로 플로트스위치가 배치되어 상기 드레인펌프(20)를 작동시키고, 이로 인해 상기 드레인펌프(20)의 작동으로 인한 소음 및 소비전력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다수개의 전극패드를 이용하여 정전용량방식으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게 되면, 현재 응축수의 생성량을 기준으로 드레인펌프(20)의 인터벌을 제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작동 소음 및 소비전력을 최적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감지장치(50)는 응축수와 비접촉되어 응축수수위를 감지하기 때문에, 응축수에 부유되는 먼지 등과의 접촉이 원천적으로 차단되고, 이를 통해 작동에러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 따른 응축수감지장치(50)는 전기회로로 구성되는 바, 고장진단을 컨트롤러 스스로 수행할 수 있고, 이를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알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1 실시예와 달리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드레인펌프(20)를 제어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냉방중인 경우, 응축수저장부(30)에 저장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와, 상기 S10 단계에서 감지된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을 계산하는 단계(S40)와, 상기 S40 단계의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참조하여 드레인펌프의 작동조건을 판단하는 단계(S50)를 포함하고, 상기 S50 단계에서 작동조건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드레인펌프(20)를 작동시키고(S30), 상기 S50 단계에서 작동조건에 충족되지 않으면 상기 S10 단계로 리턴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응축수저장부(30)에서 생성되는 단위 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계산하였으나, 본 실시예와 달리 단위 시간당 응축수 생성높이 또는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속도를 계산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단위 시간당 응축수 생성높이는 임의 전극패드(54)에서 상측 전극패드(54)까지 감지되는 시간으로 계산할 수 있다.
상기 단위 시간당 응축수 생성속도는 상기 전극패드(54) 간 거리를 응축수 생성에 따른 소요시간으로 나눠 구할 수 있다.
어느 것이든지 복수개의 전극패드(54)에서 감지되는 시간을 이용하여 응축수의 유량, 부피, 속도, 높이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S50 단계에서 상기 드레인펌프의 작동조건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드레인펌프의 작동조건은 상기 응축수의 생성유량, 생성부피, 생성속도, 생성높이 등을 기준으로 상기 드레인펌프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단위시간당 응축수의 생성량에 따라 사용자에게 특정 모드를 제안하도록 구성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제어방법은 냉방중인 경우, 응축수저장부(30)에 저장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와, 상기 S10 단계에서 감지된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을 계산하는 단계(S40)와,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에 따라 제습추천조건을 판단하는 단계(S60)를 포함하고, 상기 제습추천조건인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을 실시하고(S70)하고, 제습추천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S10 단계로 리턴된다.
상기 S60단계에서는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과 컨트롤러에 저장된 기준 값(sv)을 비교하고,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실내에 습도가 높아서 응축수가 과다하게 생성되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래서 S60 단계에서 제습추천조건이라고 판단되면, S70 단계에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디스플레이(미도시), 리모콘(미도시) 또는 소리 등을 통해 알림을 실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습추천조건 시, 실내온도와 목표온도를 비교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실내온도 및 목표온도의 온도차가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에만 상기 S70 단계로 이행되게 제어할 수 있다.
즉, 실내온도와 목표온도와의 차이가 작은 경우, 실내 냉방 보다는 제습모드로 공기조화기를 구동시켜 절전을 유도하고, 공기 중의 습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사용자에게 제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 및 기준값(sv)은 상기 제 2 실시예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응축수의 유량, 부피, 속도, 높이 등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2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응축수의 생성량에 따라 드레인펌프의 인터벌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을 계산하는 단계(S40)와,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과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S80)와,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이 기준값이 비해 더 큰 경우 드레인펌프의 작동 인터벌을 축소시키는 단계(S90)를 포함한다.
상기 S80단계에서, 단위시간당 응축수의 생성량이 기준값보다 크면, 실내 공기에 습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드레인펌프를 더 자주 작동시킴으로서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배출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만수위까지 드레인펌프(20)의 작동을 지연시켜 제어하는 경우,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이 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응축수의 감지주기를 단축시켜 응축수의 넘침을 예방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2 또는 3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제 4 실시예와 달리 실내 습도가 낮은 경우 드레인펌프의 인터벌을 증가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을 계산하는 단계(S40)와,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과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S85)와,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이 기준값이 비해 작은 경우 드레인펌프의 인터벌을 증가시키는 단계(S90)를 포함한다.
상기 드레인펌프의 인터벌이 증가되는 경우, 작동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고, 소비 전력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공기조화기는 주변환경에 영향을 받아 작동되는 제품인 바, 공장 출고 시 설치 지역의 습도, 온도에 따라 각기 다른 세팅을 수행하지 않고, 주변 상황을 판단하여 상기 드레인펌프의 인터벌을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4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통해 응축수저장부의 오버플로우를 방지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을 계산하는 단계(S40)와,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 및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비교하는 단계(S110)와, 상기 S110 단계에서 상기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보다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이 더 큰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S30)를 포함한다.
상기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은 최대 수위에서 현재 수위를 뺀 값을 통해 계산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전극패드가 설치되기 때문에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S110 단계에서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이 작다고 판단되면, 상기 응축수의 오버플로우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드레인 펌프를 작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응축수 저장부(30)를 최대까지 활용하는 것은 상기 드레인펌프(20)의 작동을 최소화하여, 작동소음 및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을 계산하여 드레인펌프를 제어하는 방법은 공기조화기의 작동 중에만 실시되고, 공기조화기가 종료되면, 상기 드레인펌프를 작동 시켜 상기 응축수 저장부의 응축수를 모두 배수해야만 한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2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제 6 실시예와 달리,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에 여유가 있으면, 상기 드레인펌프의 작동을 연기하도록 제어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 및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을 비교하는 단계(S115)와, 상기 S115 단계에서 상기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보다 더 큰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의 작동을 연기하는 단계(S35)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드레인펌프의 작동을 연기하고, 이를 통해 상기 응축수 저장부(30)에 응축수를 최대한 많이 채운 후, 상기 드레인펌프를 작동시킴으로서, 상기 드레인펌의 작동 소음 및 소비전력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6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케이스 20 : 드레인펌프
30 : 응축수저장부 50 : 수위감지장치
52 : 인쇄회로기판 54 : 전극패드
56 : 커넥터

Claims (14)

  1. 응축수저장부 내부 에 설치되되, 수위감지하우징을 통해 응축수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시키고, 복수개의 전극패드를 통해 상기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응축수감지장치를 포함하고,
    냉방중인 경우, 상기 응축수감지장치를 통해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상기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
    상기 감지된 응축수 수위 및 메모리에 저장된 배수 수위를 비교하는 단계(S20);
    상기 응축수 수위가 상기 배수 수위의 오차범위 내로 형성 된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20)를 작동시키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수위가 상기 배수 수위의 오차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S10 단계로 리턴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3. 응축수저장부 내부 에 설치되되, 수위감지하우징을 통해 응축수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시키고, 복수개의 전극패드를 통해 상기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응축수감지장치를 포함하고,
    냉방중인 경우, 상기 응축수감지장치를 통해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상기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
    상기 S10 단계에서 감지된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계산하는 단계(S40);
    상기 S40 단계의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참조하여 드레인펌프의 작동조건을 판단 하는 단계(S50)를 포함하고,
    상기 S50 단계에서 작동조건이라고 판단되면 상기 응축수를 배수시키는 드레인펌프를 작동시키고(S30), 상기 S50 단계에서 작동조건에 충족되지 않으면 상기 S10 단계로 리턴시킨도록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작동조건은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 및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의 비교를 통해 결정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작동조건은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 및 컨트롤러에 저장된 기준값의 비교를 통해 결정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6. 응축수저장부 내부 에 설치되되, 수위감지하우징을 통해 응축수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시키고, 복수개의 전극패드를 통해 상기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응축수감지장치를 포함하고,
    냉방중인 경우, 상기 응축수감지장치를 통해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상기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
    상기 S10 단계에서 감지된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계산하는 단계(S40);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과 컨트롤러에 저장된 기준값을 비교 하는 단계(S80);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이 상기 기준값이 비해 더 큰 경우 드레인펌프의 작동 인터벌을 축소 시키는 단계(S90);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7. 응축수저장부 내부 에 설치되되, 수위감지하우징을 통해 응축수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시키고, 복수개의 전극패드를 통해 상기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응축수감지장치를 포함하고,
    냉방중인 경우, 상기 응축수감지장치를 통해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상기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
    상기 S10 단계에서 감지된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계산하는 단계(S40);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과 컨트롤러에 저장된 기준값을 비교 하는 단계(S85);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이 기준값이 비해 작은 경우 드레인펌프의 작동 인터벌을 증가 시키는 단계(S100);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8. 응축수저장부 내부 에 설치되되, 수위감지하우징을 통해 응축수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시키고, 복수개의 전극패드를 통해 상기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응축수감지장치를 포함하고,
    냉방중인 경우, 상기 응축수감지장치를 통해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상기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
    상기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계산하는 단계(S40);
    응축수 저장부에 저장된 응축수 수위를 통해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을 계산하고, 상기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 및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비교 하는 단계(S110);
    상기 S110 단계에서 상기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보다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이 더 큰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를 작동 시키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9. 응축수저장부 내부 에 설치되되, 수위감지하우징을 통해 응축수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시키고, 복수개의 전극패드를 통해 상기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응축수감지장치를 포함하고,
    냉방중인 경우, 상기 응축수감지장치를 통해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상기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
    상기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계산하는 단계(S40);
    응축수 저장부에 저장된 응축수 수위를 통해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을 계산하고, 상기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 및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비교 하는 단계(S115);
    상기 S115 단계에서 상기 응축수 저장가능 용량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cv)보다 더 큰 경우, 상기 드레인펌프의 작동을 연기 하는 단계(S35)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0. 응축수저장부 내부 에 설치되되, 수위감지하우징을 통해 응축수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시키고, 복수개의 전극패드를 통해 상기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는 응축수감지장치를 포함하고,
    냉방중인 경우, 상기 응축수감지장치를 통해 응축수의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상기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는 단계(S10);
    상기 S10 단계에서 감지된 응축수 수위를 기준으로 소정 시간 동안 증가된 응축수 수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을 계산하는 단계(S40);
    상기 단위시간당 응축수 생성량에 따라 제습추천조건을 판단 하는 단계(S60);
    제습추천조건인 경우 사용자에게 알림을 실시하고는 단계(S70);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S60 단계에서 상기 제습추천조건이라고 판단되면, S70 단계에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디스플레이(미도시), 리모콘(미도시) 또는 소리 등을 통해 알림을 실시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2. 청구항 1 내지 11의 제어방법이 적용된 공기조화기.
  13. 응축수저장부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응축수저장부 내부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정전용량을 통해 상기 응축수저장부에 저장되는 응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4. 청구항 13 에 있어서,
    상기 수위감지장치는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PCBA)의 형태로 제작되고, 상기 응축수저장부에 배치된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된 복수개의 전극패드;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공기조화기의 컨트롤러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커넥터; 및
    상기 전극패드 및 응축수와의 접촉이 차단시키는 수위감지하우징;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40104193A 2014-08-12 2014-08-12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그에 따른 공기조화기 KR2016001965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193A KR20160019655A (ko) 2014-08-12 2014-08-12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그에 따른 공기조화기
EP15180632.0A EP2985544B1 (en) 2014-08-12 2015-08-11 Method of controlling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controlled thereby
US14/824,779 US20160047564A1 (en) 2014-08-12 2015-08-12 Method of controlling air conditioner and air conditioner controlled there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4193A KR20160019655A (ko) 2014-08-12 2014-08-12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그에 따른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9655A true KR20160019655A (ko) 2016-02-22

Family

ID=53794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4193A KR20160019655A (ko) 2014-08-12 2014-08-12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그에 따른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60047564A1 (ko)
EP (1) EP2985544B1 (ko)
KR (1) KR2016001965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68284B (en) * 2017-11-10 2021-09-22 Aspen Pumps Ltd Liquid level sensor and method of controlling a condensate pump
CN109028453B (zh) * 2018-07-11 2021-04-20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空调器以及空调器控制方法
CN109916027B (zh) * 2019-03-08 2021-04-27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除湿机水泵的控制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271850B (zh) * 2019-07-18 2021-08-24 宁波奥克斯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导风门及出风控制方法、装置、空调及介质
CN111720970B (zh) * 2020-06-17 2022-04-08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空调器的控制方法
GB2599094A (en) * 2020-09-21 2022-03-30 Charles Austen Pumps Ltd Arctikblue - condensate tray
CN112484271A (zh) * 2020-11-17 2021-03-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天井机空调控制方法、装置及天井机空调
CN113983634A (zh) * 2021-09-30 2022-01-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凝露检测方法、降低凝露的方法及空调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024B1 (ko) 2007-03-19 2014-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위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5814A (en) * 1997-10-21 1999-10-12 French; Arnold E. Freeze/overflow detector with deactivating mechanism
KR101059818B1 (ko) * 2007-01-08 2011-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팀발생기와 이를 갖는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2085711B1 (en) * 2008-01-29 2014-12-31 SANYO Electric Co., Ltd. Air conditioner having antibacterial unit for drain water
FR2936051B1 (fr) * 2008-09-16 2011-08-05 Sauermann Ind Sa Dispositif de pilotage d'une pompe de relevage de condensats detecteur capacitif et systeme correspondant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1024B1 (ko) 2007-03-19 2014-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위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47564A1 (en) 2016-02-18
EP2985544A3 (en) 2016-02-24
EP2985544B1 (en) 2020-02-19
EP2985544A2 (en) 201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19656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그에 따른 공기조화기
KR20160019655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그에 따른 공기조화기
KR101691799B1 (ko) 제습기의 제어방법 및 그에 따른 제습기
US11788750B2 (en) Liquid level sensor
US10088177B2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50276241A1 (en) Dehumidifier
US6229229B1 (en) Liquid sensor for disabling an electrical device
CN109539502A (zh) 一种湿度控制器的控制方法、装置和湿度控制器
JP2016038135A (ja) 空気調和機
CN114294732B (zh) 家用电器以及家用电器的控制方法
CN209415694U (zh) 一种湿度控制器的控制装置和湿度控制器
KR102087223B1 (ko) 정전용량형 수위 감지 장치
CN101997098B (zh) 无线遥控装置
JP4879224B2 (ja) 空気調和機、ドレン水検出方法
KR20090094550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장치
KR101351024B1 (ko) 수위감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20170058100A (ko) 공기 조화 장치
KR20140027809A (ko) 제습장치
JP6644152B2 (ja) 液面検知装置、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及び液面検知方法
CN204786843U (zh) 吸顶式空调器
KR101663107B1 (ko) 솔레노이드 에어밴트
JP2015017853A (ja) 結露検出装置および機器
JP7336973B2 (ja) 浴室システム
CN114151877B (zh) 一种除湿机及用于除湿机的排水控制方法
JP2020506357A (ja) 空調機室内機用の温度感知パッケージブラケットおよび空調機室内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