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6117A - 해안 세굴보수보강장치 - Google Patents

해안 세굴보수보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6117A
KR20160016117A KR1020140099624A KR20140099624A KR20160016117A KR 20160016117 A KR20160016117 A KR 20160016117A KR 1020140099624 A KR1020140099624 A KR 1020140099624A KR 20140099624 A KR20140099624 A KR 20140099624A KR 20160016117 A KR20160016117 A KR 20160016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protrusion
plate portion
scour
coa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9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3569B1 (ko
Inventor
박준식
Original Assignee
최낙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낙영 filed Critical 최낙영
Priority to KR1020140099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569B1/ko
Publication of KR20160016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1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using active mechanical means, e.g. fluidizing or pu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안 세굴보수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방조제, 방파제 등의 해안 구조물에 발생된 세굴부위 및 상기 해안 구조물 주변의 지반 퇴적층에 발생된 세굴부위를 내부에 콘크리트몰탈 등의 충진물이 충진되는 1개의 에어백으로 간편하게 보수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해안 세굴보수보강장치{Coastal scour repair and reinforcement device}
본 발명은 방조제, 방파제 등의 해안 구조물에 발생된 세굴부위 및 상기 해안 구조물 주변의 지반 퇴적층에 발생된 세굴부위를 내부에 콘크리트몰탈 등의 충진물이 충진되는 1개의 에어백으로 간편하게 보수보강할 수 있는 해안 세굴보수보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안에 설치된 방조제, 방파제 등의 해안 구조물 주변에는 대게 물의 흐름이 빠르거나 와류가 발생되는데, 유량이 많으면 유속이 빨라져 해안 구조물의 주변부위에 큰 와류를 발생시키며, 이와 같은 큰 와류는 해안 구조물의 주변을 보호하는 퇴적층을 패이게 함과 동시에 수중으로 유입되는 흙과 자갈 등이 해안 구조물을 마모 및 침식시키는 세굴현상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세굴현상은 홍수 때나 유속이 빠른 하상에서 장기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되면서 방조제, 방파제 등의 해안 구조물이 침하되거나 전도되어 해안 구조물이 붕괴되는 원인으로 작용하며, 이러한 현상은 기초지반의 지질과는 관계없이 해안 구조물에 변위가 발생진행됨으로, 해안 구조물의 변위는 상부 구조물에까지 구조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세굴부위에 부정형 섬유매트로 이루어진 세굴 방지구를 설치하여 세굴부위를 용이하게 보수하도록 한 수중 구조물용 세굴 방지구가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69898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69898호(수중 구조물용 세굴 방지구)는 세굴부위의 높낮이에 따라 복수의 상기 부정형 섬유매트를 상하로 적층시켜 세굴부위를 보수하는 방식으로서, 1개의 부정형 섬유매트로 세굴부위 전체를 보수할 수 없는 즉, 많은 수의 부정형 섬유매트를 요구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6989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방조제, 방파제 등의 해안 구조물에 발생된 세굴부위 및 상기 해안 구조물 주변의 지반 퇴적층에 발생된 세굴부위를 내부에 콘크리트몰탈 등의 충진물이 충진되는 1개의 에어백으로 간편하게 보수보강할 수 있는 해안 세굴보수보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판부 및 하부판부와; 상기 상부판부와 상기 하부판부 사이에 구비되고,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압에 의해 팽창되는 에어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세굴보수보강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판부의 상부와 상기 하부판부의 하부에 각각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상부판부의 상부에서 상기 상부판부의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상부돌출부와; 상기 하부판부의 하부에서 상기 하부판부의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하부돌출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부돌출부의 좌우폭은 상기 상부돌출부의 하측에서 상기 상부돌출부의 상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고, 상기 하부돌출부의 좌우폭은 상기 하부돌출부의 상측에서 상기 하부돌출부의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상부돌출부와 상기 하부돌출부는 환형형상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어백의 일측 표면적 크기는 상기 에어백의 타측 표면적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부판부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과 상기 하부판부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 사이에 상기 에어백의 타측 표면이 상기 에어백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는 팽창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팽창방지부는 와이어, 로프, 벨트, 금속패드, 금속기둥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에어백은 상기 상부판부와 상기 하부판부 사이에 구비되는 외측에어백과; 상기 외측에어백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상부판부와 상기 하부판부 사이에 구비되는 내측에어백;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측에어백과 상기 내측에어백 사이의 공간에 공기가 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에어백의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에어백에 보강매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방조제, 방파제 등의 해안 구조물에 발생된 세굴부위 및 상기 해안 구조물 주변의 지반 퇴적층에 발생된 세굴부위를 내부에 콘크리트몰탈 등의 충진물이 충진되는 1개의 에어백으로 간편하게 보수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해안 세굴보수보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하부판부의 상부에 상부판부가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해안 구조물의 세굴부위내에 상부판부와 하부판부가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에어백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압에 의해 에어백이 팽창되어 세굴부위를 보수보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상부판부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해안 세굴보수보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에어백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압에 의해 에어백이 팽창되어 세굴부위를 보수보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해안 세굴보수보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해안 세굴보수보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하부판부(20)의 상부에 상부판부(10)가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해안 세굴보수보강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부판부(10), 하부판부(20) 및 에어백(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상부판부(10)는 상기 에어백(30)의 팽창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승강될 수 있도록 플라스틱 등의 경량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판부(20)는 중량의 콘크리트 재질 또는 중량의 금속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판부(10)는 환형의 상부측벽(101)과 상부고정판(102)으로 구성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상부측벽(101)의 상부에 상기 상부고정판(102)이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상부측벽(101)의 일측면의 반대측인 타측면 하부에는 환형의 상기 상부측벽(101)의 내부와 연통되는 공기주입관(103)이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주입관(103)에는 상기 공기주입관(103)을 개폐하는 개폐밸브(10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판부(20)는 환형의 하부측벽(201)과 하부고정판(202)으로 구성될 수 있다.
환형의 상기 하부측벽(201)의 하부에 상기 하부고정판(202)이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판부(20)의 환형의 하부측벽(201)의 일측면 중심부와 타측면 중심부에 잠수부 등이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손잡이부재(105)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판부(10)의 환형의 상부측벽(101)의 일측면 중심부와 타측면 중심부에도 상기 손잡이부재(105)가 각각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상기 에어백(30)은 상기 상부판부(10)의 내부 및 상기 하부판부(20)의 내부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상부판부(10)의 하부와 상기 하부판부(20)의 상부 사이에 일체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에어백(30)은 상기 에어백(3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압에 의해 점차 팽창되고, 이때 상기 하부판부(20)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상부판부(10)는 상기 하부판부(20)의 상부방향으로 점차 상승하게 된다.
상기 에어백(30)은 탄성력을 지닌 합성고무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에어백(30)을 보강하기 위해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가령, 상기 에어백(30)의 외주면 또는 상기 에어백(30)의 내주면에는 섬유매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보강매쉬가 접착구비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매쉬가 상기 에어백(30)의 외주면과 상기 에어백(30)의 내주면 모두에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해안 구조물(3)의 세굴부위(31)내에 상부판부(10)와 하부판부(20)가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1인 또는 2인 이상의 잠수부는 상기 상부판부(10)와 함께 상기 하부판부(20)를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방조제, 방파제 등의 해안 구조물(3)에 홈형태로 형성된 세굴부위(31)의 바닥면으로 운반하여 안착시킬 수 있다.
이상태에서, 잠수부는 상기 상부판부(10)의 공기주입관(103)에 컴프레셔 등의 공기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된 호스 등의 공급라인(5)을 연결시킨 후 상기 개폐밸브(104)를 개방시킬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에어백(3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압에 의해 에어백(30)이 팽창되어 세굴부위(31)를 보수보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로서, 상기 에어백(30)의 내부로 고압의 공기가 유입되면서 상기 에어백(30)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팽창되면서 상기 세굴부위(31)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팽창되는 상기 에어백(30)으로 인해 상기 하부판부(20)는 상기 하부판부(20)의 하부와 마주보는 상기 세굴부위(31)의 내주면 하측에 밀착됨과 더불어 상기 상부판부(10)는 상기 에어백(30)의 상부방향으로 점차 상승하면서 상기 상부판부(10)의 상부와 마주보는 상기 세굴부위(31)의 내주면 상측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판부(10)와 상기 하부판부(20)가 각각 상기 세굴부위(31)의 내주면 상측 및 상기 세굴부위(31)의 내주면 하측에 보다 강하게 안정적으로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판부(10)의 상부와 상기 하부판부(20)의 하부에 각각 돌출부(40)가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40)는 상부돌출부(410)와 하부돌출부(4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돌출부(410)는 상기 상부판부(10)의 상부에서 상기 상부판부(10)의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세굴부위(31)의 내주면 상측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돌출부(420)는 상기 하부판부(20)의 하부에서 상기 하부판부(20)의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세굴부위(31)의 내주면 하측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돌출부(410)와 상기 하부돌출부(420)가 각각 상기 세굴부위(31)의 내주면 상측에 보다 더욱 용이하게 삽입고정 및 상기 세굴부위(31)의 내주면 하측에 보다 더욱 용이하게 삽입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상부돌출부(410)의 상측이 첨예해지도록 상기 상부돌출부(410)의 좌우폭은 상기 상부돌출부(410)의 하측에서 상기 상부돌출부(410)의 상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돌출부(420)의 하측이 첨예해지도록 상기 하부돌출부(420)의 좌우폭은 상기 하부돌출부(420)의 상측에서 상기 하부돌출부(420)의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질 수 있다.
도 7은 상부판부(10)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40)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는, 상기 상부돌출부(410)와 상기 하부돌출부(420)가 각각 진공상태로 상기 세굴부위(31)의 내주면 상측과 상기 세굴부위(31)의 내주면 하측에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돌출부(410)와 상기 하부돌출부(42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형 형상의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에어백(30)이 팽창된 상태에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팽창된 상기 에어백(30)의 내부로는 콘크리트몰탈 등의 충진물(60)이 충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에어백(3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에는 상기 에어백(30)의 내부와 연통되는 충진물주입관(10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충진물주입관(106)에는 상기 충진물주입관(106)을 개폐하는 개폐밸브(107)가 구비될 수 있다.
잠수부는 상기 충진물주입관(106)에 콘크리트 펌프카 등의 충진물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된 호스 등의 공급라인(7)을 연결시킨 후 상기 개폐밸브(107)를 개방시킬 수 있다.
팽창된 상태인 상기 에어백(30)의 내부로 콘크리트몰탈 등의 충진물(60)이 보다 원활하게 충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에어백(30)의 일측에는 상기 에어백(30)내의 공기를 상기 에어백(3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체크밸브(10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에어백(30) 내부로 충진되는 콘크리트몰탈 등의 상기 충진물(60)이 상기 상부판부(10)와 상기 하부판부(20)로 각각 가하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상부돌출부(410)와 상기 하부돌출부(420)가 각각 상기 세굴부위(31)의 내주면 상측과 상기 세굴부위(31)의 내주면 하측에 보다 더욱 강하게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해안 구조물 주변(3)의 지반(4) 퇴적층에 일정깊이로 발생된 세굴부위(31) 또한 보다 용이하게 보수할 수 있게 되고, 이때 눕혀진 상태의 상기 상부돌출부(410)는 지반(4) 퇴적층에 일정깊이로 발생된 세굴부위(31)의 내주면 일측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될 수 있고, 눕혀진 상태의 상기 하부돌출부(420)는 지반(4) 퇴적층에 일정깊이로 발생된 세굴부위(31)의 내주면 타측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해안 세굴보수보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에어백(3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압에 의해 에어백(30)이 팽창되어 세굴부위(31)를 보수보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인 해안 세굴보수보강장치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상부판부(10) 및 상기 하부판부(20)와 상기 에어백(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단,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에어백(30)의 일측 표면적 크기는 상기 에어백(30)의 타측 표면적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령, 방조제, 방파제 등의 해안 구조물(3)에 홈형태로 형성된 세굴부위(31)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세굴부위(311)와 제 2세굴부위(3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세굴부위(311)는 상기 해안 구조물(3)의 타측에서 상기 해안 구조물(3)의 일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세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세굴부위(312)는 상기 제 1세굴부위(311)와 연통된 상태로 상기 제 1세굴부위(311)의 일측에서 상기 해안 구조물(3)의 일측방향으로 세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세굴부위(312)의 부피는 상기 제 1세굴부위(311)의 부피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백(30)의 일측 표면적 크기는 상기 에어백(30)의 타측 표면적 크기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에어백(30)이 팽창되는 과정 중에 상기 에어백(30)이 일측이 상기 제 1세굴부위(311)에서 상기 제 2세굴부위(312) 방향으로도 보다 용이하게 팽창이동되면서 상기 제 1세굴부위(311)의 내주면 및 상기 제 2세굴부위(312)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에어백(30)의 타측이 상기 에어백(30)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판부(1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과 상기 하부판부(2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 사이에 팽창방지부(50)가 상기 에어백(30)의 전측에서 상기 에어백(3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팽창방지부(50)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측걸림고리(510), 하측걸림고리(520), 상측걸림고정부재(530), 하측걸림고정부재(540) 및 팽창방지부재(5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걸림고리(510)는 상기 공기주입관(103)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판부(10)의 환형의 상부측벽(101)의 타측에 호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걸림고리(520)는 상기 손잡이부재(105)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판부(20)의 환형의 하부측벽(201)의 타측에 호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걸림고정부재(530)는 후크 형상 등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측걸림고리(510)에 걸림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측걸림고정부재(540)는 상기 상측걸림고정부재(530)와 상하대칭되도록 후크 형상 등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측걸림고리(520)에 걸림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팽창방지부재(550)는 상기 상측걸림고정부재(530)와 상기 하측걸림고정부재(540) 사이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되는 와이어, 로프, 벨트, 금속패드, H빔 등의 금속기둥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해안 세굴보수보강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인 해안 세굴보수보강장치는 제 1실시예 및 제 2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상부판부(10) 및 상기 하부판부(20)와 상기 에어백(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단,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에어백(30)은 외측에어백(310)과 내측에어백(3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에어백(310)과 상기 내측에어백(320)은 상기 상부판부(10)의 하부와 상기 하부판부(20)의 상부 사이에 일체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측에어백(310)의 상부는 상기 상부판부(10)의 환형의 상부측벽(101)의 하부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외측에어백(310)의 하부는 상기 하부판부(20)의 환형의 상기 하부측벽(201)의 상부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내측에어백(320)의 상부는 상기 외측에어백(310)의 내측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상부판부(10)의 환형의 상부측벽(101)의 하부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내측에어백(320)의 하부는 상기 외측에어백(310)의 내측방향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하부판부(20)의 환형의 상기 하부측벽(201)의 상부에 일체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외측에어백(310)과 상기 내측에어백(320) 사이의 공간(330)에는 공기가 주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공기주입관(103)은 상기 공간(330)과 연통되도록 상기 외측에어백(31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에 수평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충진물주입관(106)은 상기 공기주입관(103)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내측에어백(32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내측에어백(32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에 상기 외측에어백(310)을 관통한 상태로 일체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충진물주입관(106)을 통해 상기 내측에어백(320)내로 콘크리트몰탈 등의 충진물(60)이 충진될 수 있다.
상기 외측에어백(310)의 일측과 상기 내측에어백(320)의 일측 사이에 상기 내측에어백(320)의 내부와 상기 외측에어백(310)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공기 배출관(70)이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배출관(70)에는 상기 내측에어백(320)내로 콘크리트몰탈 등의 충진물(60)이 충진되는 과정 중에 상기 내측에어백(320)내의 공기를 상기 외측에어백(310)의 외부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한 상기 체크밸브(108)가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방조제, 방파제 등의 해안 구조물(3)에 발생된 세굴부위(31) 및 상기 해안 구조물(3) 주변의 지반(4) 퇴적층에 발생된 세굴부위(31)를 내부에 콘크리트몰탈 등의 충진물(60)이 충진되는 1개의 에어백(30)으로 간편하게 보수보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상부판부, 20; 하부판부,
30; 에어백.

Claims (10)

  1. 상부판부(10) 및 하부판부(20)와;
    상기 상부판부(10)와 상기 하부판부(20) 사이에 구비되고,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압에 의해 팽창되는 에어백(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세굴보수보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부(10)의 상부와 상기 하부판부(20)의 하부에 각각 돌출부(40)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40)는 상기 상부판부(10)의 상부에서 상기 상부판부(10)의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상부돌출부(410)와;
    상기 하부판부(20)의 하부에서 상기 하부판부(20)의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하부돌출부(4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세굴보수보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돌출부(410)의 좌우폭은 상기 상부돌출부(410)의 하측에서 상기 상부돌출부(410)의 상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고,
    상기 하부돌출부(420)의 좌우폭은 상기 하부돌출부(420)의 상측에서 상기 하부돌출부(420)의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세굴보수보강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돌출부(410)와 상기 하부돌출부(420)는 환형형상의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세굴보수보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30)의 일측 표면적 크기는 상기 에어백(30)의 타측 표면적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세굴보수보강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부(1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과 상기 하부판부(2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 사이에 상기 에어백(30)의 타측 표면이 상기 에어백(30)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는 팽창방지부(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세굴보수보강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방지부(50)는 와이어, 로프, 벨트, 금속패드, 금속기둥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세굴보수보강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30)은 상기 상부판부(10)와 상기 하부판부(20) 사이에 구비되는 외측에어백(310)과;
    상기 외측에어백(31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상부판부(10)와 상기 하부판부(20) 사이에 구비되는 내측에어백(320);으로 구성되고,
    상기 외측에어백(310)과 상기 내측에어백(320) 사이의 공간(330)에 공기가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세굴보수보강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30)의 내부에 충진되는 충진물(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세굴보수보강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30)에 보강매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안 세굴보수보강장치.
KR1020140099624A 2014-08-04 2014-08-04 해안 세굴보수보강장치 KR101663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624A KR101663569B1 (ko) 2014-08-04 2014-08-04 해안 세굴보수보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624A KR101663569B1 (ko) 2014-08-04 2014-08-04 해안 세굴보수보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117A true KR20160016117A (ko) 2016-02-15
KR101663569B1 KR101663569B1 (ko) 2016-10-14

Family

ID=55356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9624A KR101663569B1 (ko) 2014-08-04 2014-08-04 해안 세굴보수보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56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9234A (ja) * 1994-08-08 1996-02-20 Nittoc Constr Co Ltd 地盤アンカー用パッカー
KR20010016170A (ko) * 2000-11-17 2001-03-05 송재헌 세굴 및 침식방지 섬유대와 시공방법
JP2002275898A (ja) * 2001-03-14 2002-09-25 Tokyo Gas Co Ltd 土留用エアバッグ
JP2004060348A (ja) * 2002-07-30 2004-02-26 Maeda Kosen Co Ltd 浸水防止用袋体を備えた止水装置及び止水方法
KR200369898Y1 (ko) 2004-09-01 2004-12-16 주식회사 엠티마스타 수중구조물용 세굴 방지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9234A (ja) * 1994-08-08 1996-02-20 Nittoc Constr Co Ltd 地盤アンカー用パッカー
KR20010016170A (ko) * 2000-11-17 2001-03-05 송재헌 세굴 및 침식방지 섬유대와 시공방법
JP2002275898A (ja) * 2001-03-14 2002-09-25 Tokyo Gas Co Ltd 土留用エアバッグ
JP2004060348A (ja) * 2002-07-30 2004-02-26 Maeda Kosen Co Ltd 浸水防止用袋体を備えた止水装置及び止水方法
KR200369898Y1 (ko) 2004-09-01 2004-12-16 주식회사 엠티마스타 수중구조물용 세굴 방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3569B1 (ko) 2016-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1369B2 (en) Automatic relief valve system with water level sensing for a fiberglass swimming pool body
CN109338996B (zh) 一种投挂式堤坝决口的封堵装置
CN109083174A (zh) 一种可快速就位和移除的整体式围堰及其施工方法
JP5828520B2 (ja) 鋼矢板の継手部止水工法及び流出防止金物
KR101422143B1 (ko) 고무댐
US20120207545A1 (en) Rapid Deployment, Self-Inflating, Interlocking, Modular Flood-Water Barrier Wall System
CN110565585A (zh) 一种用于管涌抢险的折叠便携式充水围井
US20100310315A1 (en) Inflatable flood barrier
JP2003201722A (ja) 雨水等の貯留及び/又は浸透施設、及びこの施設に使用する充填部材
KR101663569B1 (ko) 해안 세굴보수보강장치
GB1585170A (en) Forming concrete structures for underwater pipelines
CN214613890U (zh) 一种用于管涌抢险的整体式柔性充水围井
CN210887098U (zh) 一种用于管涌抢险的折叠便携式充水围井
CN209144845U (zh) 一种可快速就位和移除的整体式围堰
KR100774551B1 (ko) 침식방지용 튜브형 매트 및 이를 이용한 침식방지 공법
JP2008144566A (ja) 築堤の構築装置および築堤の構築方法
JP6262183B2 (ja) 水和硬化バッグ及びそれを用いた固定構造物設置方法
JP4688099B2 (ja) 上部斜面スリット堤用止水蓋及び上部斜面スリット堤の曳航方法並びに上部斜面スリット堤の施工方法
JPH09195281A (ja) 海上におけるケーソンの据付方法
JP6260333B2 (ja) 護岸コンクリートの遮水構造及び護岸コンクリートの補修工法
JP2645985B2 (ja) 護岸ブロック間のシール材及びその施工方法
KR20100048288A (ko) 지하수 관정의 원상복구 장치 및 방법
KR101404471B1 (ko) 제체 시공시 부력 및 수압에 의한 부상방지 및 억지 기능이 있는 저면, 필터 용 매트와 그 시공방법
JPH01151612A (ja) 自立式汚濁拡散防止膜
CN114293516B (zh) 一种防止土石坝超标漫顶洪水破坏的快速解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