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3742A -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 - Google Patents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3742A
KR20160013742A KR1020140095973A KR20140095973A KR20160013742A KR 20160013742 A KR20160013742 A KR 20160013742A KR 1020140095973 A KR1020140095973 A KR 1020140095973A KR 20140095973 A KR20140095973 A KR 20140095973A KR 20160013742 A KR20160013742 A KR 20160013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ssociative
pontoon
pontoons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5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6071B1 (ko
Inventor
김요섭
Original Assignee
(주)디자인파크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자인파크개발 filed Critical (주)디자인파크개발
Priority to KR1020140095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071B1/ko
Publication of KR20160013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3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성이 용이하며, 친환경적인 플로팅폰툰모듈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폰툰부 및 상기 폰툰부 하부에 구비되며 내부공간부가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내부공간부와 외부가 연결되는 개구부가 구비되는 어소하우징을 포함하는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Floating Pontoon Module Having Fish Housing}
본 발명은 폰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중생물의 서식 및 은폐를 위하여 어도가 형성됨과 동시에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폰툰(Pontoon)은 비중이 물보다 낮은 물체를 이용하여 바다, 강, 호수 등의 수면 위에 가옥, 각종 바지선, 수상자전거 도로, 부잔교, 수상무대 또는 수상태양광발전소 등의 수상건축물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상 부력체를 의미한다.
종래에는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중공형의 하우징을 형성한 후 내부에 비중이 물보다 작은 소재를 발포시켜 충전함으로써 부력을 확보함과 동시에 내구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그러나, 콘크리트 소재의 하우징의 경우, 거푸집 내에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부어 양생하는 특성상 콘크리트 내에 위치하는 철근에 따라 부력의 차이가 나타나게 되고 또한 각 면에 주입되는 콘크리트 두께의 차이에 따라 부력의 차이가 나타나게 되어 안정된 균형을 유지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철근콘크리트는 비중이 2.4이고, 폰툰을 구성하는 벽체와 슬래브의 두께가 10~20cm이기 때문에 자체 하중으로 인한 흘수가 깊어서 수심이 충분히 깊지 않은 수역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편,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000965호 (등록일자: 2010.12.07)는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부력의 차이에 따른 기울어짐을 보상하기 위한 밸러스트 탱크를 구비함으로써 부력이 많은 쪽에 물을 주입하여 부력의 차이를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부력을 보상하기 위한 물을 충진하기 위한 밸러스트 탱크를 하우징의 하부에 별도로 다수 구비해야 하며, 상기 밸러스트 탱크에 물을 주입하기 위한 유체공급관을 별도로 부가해야 하는 등 구성이 복잡하고 이에 따라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005500호 (등록일자: 2010.12.27.) 는 콘크리트 하우징을 사용하는 대신 수납틀을 구비함으로써 내부에 충진되는 발포성 부유소재를 보호하고 부력의 균형을 맞추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의 경우에는 하부틀을 포함한 폰툰수납틀을 구비하고 상기 폰툰수납틀의 상부로 부력재를 삽입한 후 상부에 상기 부력재가 폰툰수납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부마감프레임을 별도의 공정을 통해 결합하도록 하는 등 구성이 복잡하며 또한 불필요한 구성의 부가로 인해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들에 따른 폰툰구조물의 경우는 인공적인 구조물 형태를 이루면서, 수생 생물의 접근을 막아 자연친화적이지 않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자연친화적인 형태로 이루어져 수생생물의 접근을 유도함으로써 친환경적이고 폰툰모듈 주위로 수생생물이 모이게 되어 시각적으로도 좋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플로팅폰툰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조립의 용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플로팅폰툰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물의 유동 속도를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식물 등의 뿌리 생착 등에도 유리한 플로팅폰툰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폰툰부 및 상기 폰툰부 하부에 구비되며 내부공간부가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내부공간부와 외부가 연결되는 개구부가 구비되는 어소하우징을 포함하는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어소하우징은 역피라미드 형상으로 이루어져, 복수 개의 폰툰부가 결합 시 상기 어소하우징 사이로 어도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폰툰부 하부로 상기 어소하우징은 복수 개가 정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소하우징은 역피라미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어소하우징 사이로 어도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폰툰부 두 개를 서로 연결 결합시키는 결합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하 수직으로 구비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상부로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양측 대칭으로 구비되는 상부결합부 및 상기 연결부의 하부로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양측 대칭으로 구비되는 하부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폰툰부는 하부면 둘레를 따라서 사방측으로 각각 내측이 폰툰부로 삽입된 "ㄴ" 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하부삽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결합부는 상기 하부삽입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어소하우징은 상기 하부삽입홈에 대응되는 위치로 보조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에 의하면 상호 인접한 두 개의 폰툰부를 연결부재에 의해 끼움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의 용이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폰툰부 하부로 역피라미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단위어소하우징이 구비되어 어도 및 어소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어소하우징을 이용 물의 유동 흐름이 저하되어 수중생물의 이동통로인 어도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어소하우징 자체에 외부와 연통된 내부공간부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어류 등이 휴식 및 은폐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폰툰모듈 조립용 결합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폰툰모듈 두 개를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조립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폰툰모듈 복수 개가 연결되어 확장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폰툰모듈을 다른 형태로 조립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폰툰모듈(100)은 외관을 이루는 폰툰부(110)와 어소하우징(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폰툰부(110)는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폰툰부(110)는 경량의 폼부재 등 부력이 구비된 합성수지재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내부가 비어있는 형상일 수도 있으며, 내부에 별도의 부력 향상용 폼부재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어소하우징(140)은 상기 폰툰부(110) 하부에 구비된다. 도 1에서는 상기 폰툰부(110)와 어소하우징(140)이 일체화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분리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나사결합 또는 억지끼움 등으로 양 부재가 고정된 형태를 이룰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어소하우징(140)은 내부공간부가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내부공간부와 외부가 연결되는 개구부(145)가 구비된다.
한편, 도시된 것처럼, 상기 폰툰부(110)에는 삽입부(1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120)는 상부삽입홈(124), 하부삽입홈(122), 수직삽입홈(1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삽입홈(124)은 폰툰부(110)의 둘레를 따라서 사방측으로 상면에 형성되며, 내측에 인서트너트(130)가 설치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기 설치된다. 상기 인서트너트(130)는 상기 폰툰부(110)에 암나사형태로 이루어지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삽입홈(122) 또한 상기 상부삽입홈(124)에 대응되어 상기 폰툰부(110)의 둘레를 따라서 사방측으로 하면에 형성되되, 내측 단부가 상기 폰툰부(110) 내측으로 절곡된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수직삽입홈(126)은 상기 하부삽입홈(122)과 상부삽입홈(124)을 상하로 연결하는 형태로 상기 폰툰부(110)의 사방 측면에 구비된다.
또한, 후술하는 결합부재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상기 어소하우징(140)은 사면에 상기 하부삽입홈(122)에 연통되는 위치로 보조홈(143)이 구비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의 결합부재(2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100)은 상기 폰툰부(110) 두 개가 서로 인접된 경우 양측 폰툰부(110)를 결합하는 결합부재(2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재(200)는 복수 개의 폰툰부(110)가 서로 연결되어 결합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결합부(210)와 하부결합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결합부(210)는 수평방향으로 일자형으로 형성되되 양측 끝단이 상호 인접한 폰툰부(110)의 상부삽입홈(124)에 각각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결합부(210)의 양측 형상은 상기 상부삽입홈(124)에 대응되는 구성을 이룸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상부결합부(210)와 폰툰부(110)의 체결을 위하여 상기 폰툰부(110)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300: 도 4 참조)가 삽입되어 상기 인서트너트(130)와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결합부(210)에는 상기 인서트너트(130)와 대응되는 위치로 체결홀(212)이 구비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하부결합부(220)는 양측 끝단이 각각 상기 폰툰부(110)의 하부삽입홈(220)에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되, 상기 폰툰부(110)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부(222) 및 상기 받침부(222)의 양 측에 형성되어 하부삽입홈(122) 상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돌기(22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결합부(220)의 양측 형상은 상기 하부삽입홈(122)에 대응되어 양단이 상향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200)는 상기 상부결합부(210)와 하부결합부(220) 각각의 중앙을 상하로 연결하는 형태로 연결부(230)가 더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재(200)로는 약간의 탄성을 가지는 수지 계열 또는 금속의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양측으로 폰툰부(110)가 설치된 경우에 상기 연결부(230)가 외부에서 은폐될 수 있도록 그 굵기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플로팅폰툰모듈과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플로팅폰툰모듈 두 개를 조립하는 모습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100) 중 상호 인접한 두 개의 폰툰부(110)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상기 결합부재(200)의 양측으로 즉, 상기 상부결합부(210)와 하부결합부(220)의 양측이 각각 상기 폰툰부(110)의 상부삽입홈(124)과 하부삽입홈(122)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하부삽입홈(122)과 연통되어 형성된 어소하우징(140)의 보조홈(143)을 통하여 상기 하부결합부(220)가 용이하게 삽입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230)는 서로 대면되게 접촉된 상기 폰툰부(110)의 수직삽입홈(126)에 내설된 상태를 이루어 외부에 시각적으로 은폐된다.
다음으로, 볼트 등의 체결부재(300)를 상기 체결홀(212) 및 인서트너트(130)에 삽입하여 상부결합부(210)와 폰툰(100)이 완전히 고정되게 체결함으로써 두 개의 플로팅폰툰모듈(100)이 조립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되면, 플로팅폰툰모듈이 복수 개 연결되어 전체 크기가 확장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론팅폰툰모듈(100)을 이용하여 다른 형태로 적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면서, 둘레부에만 플로팅폰툰모듈(100)이 결합된 상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일 열 형태로 둘레부를 따라서 플로팅폰툰모듈(100)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나, 필요한 부력에 따라서 다수 열로 플로팅폰툰모듈(100)이 조립될 수도 있다.
그리고, 내부 공간부에는 별도의 식생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진 식생모듈(300)이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식생모듈 적용이 가능한데, 도 6에서는 내부에 줄기나 직포 재질 등이 적용된 식생흡착물질을 내외부가 관통된 망으로 둘러 쌓여진 식생모듈을 일 예로 나타낸 것이다.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식생모듈(400)과 외부 플로팅폰툰모듈(100)조립체는 나사나 노끈 등의 체결부재 또는 식생부재의 형상 변경 등을 통하여 양 부재가 서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102)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상기 폰툰부(110) 하부로 구비되는 상기 어소하우징(142)은 하나의 폰툰부(110)에 복수 개가 정렬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어소하우징(142)은 역피라미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어소하우징(142) 사이로 물고기의 이동통로가 되는 어도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내외부가 관통된 형태로 개구부(148)가 구비됨은 상술한 일 실시예와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에 의하면 상호 인접한 두 개의 폰툰부를 연결부재에 의해 끼움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의 용이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폰툰부 하부로 역피라미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단위어소하우징이 구비되어 어도 및 어소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어소하우징을 이용 물의 유동 흐름이 저하되어 수중생물의 이동통로인 어도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어소하우징 자체에 외부와 연통된 내부공간부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어류 등이 휴식 및 은폐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플로팅폰툰모듈 110: 폰툰부
120: 삽입부 122: 하부삽입홈
124: 상부삽입홈 126: 수직삽입홈
130: 인서트너트 140: 어소하우징
143: 보조홈 145: 개구부
200: 결합부재 210: 상부결합부
212: 체결홀 220: 하부결합부
222: 받침부 224: 삽입돌기
230: 연결부 300: 체결부재
400: 식생모듈

Claims (8)

  1.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폰툰부; 및
    상기 폰툰부 하부에 구비되며 내부공간부가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내부공간부와 외부가 연결되는 개구부가 구비되는 어소하우징;
    을 포함하는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소하우징은 역피라미드 형상으로 이루어져,
    복수 개의 폰툰부가 결합 시 상기 어소하우징 사이로 어도가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가 구비된 어소하우징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폰툰부 하부로 상기 어소하우징은 복수 개가 정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소하우징은 역피라미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어소하우징 사이로 어도가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도가 구비된 어소하우징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폰툰부 두 개를 서로 연결 결합시키는 결합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하 수직으로 구비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상부로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양측 대칭으로 구비되는 상부결합부; 및
    상기 연결부의 하부로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양측 대칭으로 구비되는 하부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폰툰부는 하부면 둘레를 따라서 사방측으로 각각 내측이 폰툰부로 삽입된 "ㄴ" 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하부삽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결합부는 상기 하부삽입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어소하우징은,
    상기 하부삽입홈에 대응되는 위치로 보조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
KR1020140095973A 2014-07-28 2014-07-28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 KR101656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973A KR101656071B1 (ko) 2014-07-28 2014-07-28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5973A KR101656071B1 (ko) 2014-07-28 2014-07-28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742A true KR20160013742A (ko) 2016-02-05
KR101656071B1 KR101656071B1 (ko) 2016-09-08

Family

ID=55353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5973A KR101656071B1 (ko) 2014-07-28 2014-07-28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0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2813A (ko) * 2018-02-27 2019-09-04 주식회사 세기종합환경 앵커 파일을 구비한 조립용 단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체
KR102324145B1 (ko) * 2021-01-15 2021-11-10 (주)씨웨이테크 부유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0048A (en) * 1975-12-19 1977-11-29 Ateliers Breheret S.A.R.L. Mechanical couplings for pontoons and similar floatable units
JPS5725566U (ko) * 1980-07-22 1982-02-09
KR100705230B1 (ko) * 2006-05-23 2007-04-09 한국수자원공사 어족보호용 부유식 어류산란서식 장치
KR101057665B1 (ko) * 2011-01-20 2011-08-22 김성홍 플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0048A (en) * 1975-12-19 1977-11-29 Ateliers Breheret S.A.R.L. Mechanical couplings for pontoons and similar floatable units
JPS5725566U (ko) * 1980-07-22 1982-02-09
KR100705230B1 (ko) * 2006-05-23 2007-04-09 한국수자원공사 어족보호용 부유식 어류산란서식 장치
KR101057665B1 (ko) * 2011-01-20 2011-08-22 김성홍 플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6071B1 (ko) 2016-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2821B1 (ko) 부유 가능한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및 그 제작 방법
KR20110090528A (ko) 플로트 및 부속물 조립구조
KR101813573B1 (ko) 수상 부유 안정성을 갖는 플로트
KR100270931B1 (ko) 침하식어류가두리양식장치
KR20130086712A (ko) 부유식 인공어초 및 그 설치방법
GB2596633A (en) Easily-expandable wave-dissipating block having artificial fish reef function
KR101656071B1 (ko)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
WO2011014052A1 (en) Floating frame and its components for aquaculture
KR101651819B1 (ko) 다수의 유닛을 연결한 조립식 폰툰
KR102310131B1 (ko) 부유 가능한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및 그 제작 방법
KR20170107863A (ko) 육각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피복공법
KR101028711B1 (ko) 부유식 방파제 및 그 시공방법
KR20190069144A (ko) 조립형 플로트
KR101240871B1 (ko) 조립식 부잔교
KR20120007987U (ko) 양식장용 플로트
KR20060027302A (ko) 상수원 수질 정화용 부유구조물
CN105104248A (zh) 一种用于制作网箱的浮管
KR102322875B1 (ko) 해조류 양식용 부력체 결합구조
KR20180025369A (ko) 부구 연결용 브라켓을 이용한 친환경 수상 구조물
KR101950788B1 (ko) 블록조합형 수상구조물
KR20090016802A (ko) 조립식 접안시설용 중공블럭
KR101571422B1 (ko) 부유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부유구조물
KR200403600Y1 (ko) 부력의 조절이 가능한 해상구조물 조립체
KR20160022175A (ko) 부유 구조체
EP4299899A1 (en) Floatable concrete block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