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7665B1 - 플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장치 - Google Patents

플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7665B1
KR101057665B1 KR1020110005844A KR20110005844A KR101057665B1 KR 101057665 B1 KR101057665 B1 KR 101057665B1 KR 1020110005844 A KR1020110005844 A KR 1020110005844A KR 20110005844 A KR20110005844 A KR 20110005844A KR 101057665 B1 KR101057665 B1 KR 101057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otter
groove
connecting ring
shape
flo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5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홍
전화봉
Original Assignee
김성홍
유한회사 용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홍, 유한회사 용산건설 filed Critical 김성홍
Priority to KR1020110005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76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inboard air containers or inboard float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유장치의 하중이 플로터 전체에 고르게 분산되어 플로터의 파손이 최소화되고, 특히 수직 방향으로 플로터로 전달되는 편하중이 인접한 플로터로 분산되므로 플로터 연결수단의 열화가 최소화되고 플로터의 수명이 증가하는 플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플로터는, 육면체 형상의 플로터로서, 상기 플로터의 측면 상부에 구비되는 연결고리 홈; 상기 플로터의 타측면 상부에 구비되는 연결고리; 상기 플로터의 일측면 하부에 구비되는 연결돌기 홈; 및 상기 플로터의 타측면 하부에 구비되는 연결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장치{FLOATER AND FLOA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플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상 구조물로 활용될 수 있는 플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바다나 호수, 하천에서 부유장치를 이용하여 인공구조물을 설치하고 활용하는 사례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부유장치는 해상플랜트, 수상낚시터 또는 해상공원 등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그 규모 역시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부유장치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로 제작하며, 내부가 비어 있는 육면체 형체의 구조물로서, 부유장치의 구조적 효율성을 위하여 내부 공간에는 중공부를 형성함으로써 부력에 의해 물에 뜨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부유장치의 주요 구성인 기존의 플로터(Floater)는 대략 육면체로서 측면의 네 모서리에서 설치된 연결고리를 연결핀으로 결합하는 형태로서, 상하 방향의 하중과 수평 방향의 압축하중 및 인장하중이 모두 이 연결고리 및 연결핀에 집중됨으로써, 플로터가 파손되는 등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직면으로 보면 플로터의 가운데 부위에 연결고리가 위치하므로 플로터가 파도에 의해 흔들릴 때 혹은 자동차 등과 같이 비교적 무거운 하중이 일부 플로터에 가해졌을 때, 상부가 벌어지거나 혹은 하부가 벌어지는 집중하중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연결고리가 점차 약해지는 열화(劣化)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플로터를 수상에 설치할 때는 플로터를 물 위에 띄워가며 하나씩 연결해 가는 방법을 사용하므로 설치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유장치의 하중이 플로터 전체에 고르게 분산되어 플로터의 파손이 최소화되고, 특히 수직 방향으로 플로터로 전달되는 편하중이 인접한 플로터로 분산되므로 플로터 연결수단의 열화가 최소화되고 플로터의 수명이 증가하는 플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육면체 형상의 플로터로서, 상기 플로터의 측면 상부에 구비되는 제 1 연결수단; 및 상기 플로터의 측면 하부에 구비되는 제 2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 1 연결수단은, 상기 플로터의 측면 상부에 구비되는 연결고리 홈; 및 상기 플로터의 타측면 상부에 구비되는 연결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연결수단은, 상기 플로터의 측면 하부에 구비되는 연결돌기 홈; 및 상기 플로터의 타측면 하부에 구비되는 연결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고리는 육면체 혹은 반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된 형상이고, 상기 연결고리 홈은 상기 연결고리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연결고리가 삽입되도록 소정 폭과 깊이를 가지고 함몰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결고리 및 상기 연결고리 홈은, 상하를 따라 관통된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연결돌기는, 단면이 'ㄴ'자 형상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고, 상기 연결돌기 홈은 상기 연결돌기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연결돌기가 삽입되도록 소정 폭과 깊이를 가지고 함몰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로터의 중심부는 중공 형상이며, 상기 중심부에 구비되는 부력부재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플로터의 중심부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설치된 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격벽은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결수단 및 제 2 연결수단은 상기 플로터의 측면에 두 개 이상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플로터의 중심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관통공의 하부에 형성되는 나사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부유장치는, 상기 제1항에 기재된 플로터가 상기 제 1 연결수단 및 제 2 연결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 1 연결수단 및 제 2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플로터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반원형, 원호형, 삼각형 또는 사각형인 방충재(防衝材)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로터는 중심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더 포함하고,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원기둥 형상의 돌기가 하부에 다수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플로터 상부에 결합되는 상판(床板)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플로터는 중심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통공에 삽입 결합되며 소정 높이를 갖는 가드레일 파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결수단에 결합되는 연결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가드레일 파일을 서로 연결하는 안전로프 혹은 안전체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드레일 파일을 육지와 연결하는 고정로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고리 홈은 상기 플로터의 네 측면 중 서로 인접한 두 면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고리도 상기 플로터의 네 측면 중 서로 인접한 두 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고리 홈 및 연결고리는, 상기 플로터의 측면에서 시계 방향을 따라, 연결고리, 연결고리, 연결고리 홈 및 연결고리 홈의 순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플로터의 측면에서 시계 방향을 따라, 연결고리, 연결고리 홈, 연결고리 및 연결고리 홈의 순서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플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장치는 부유장치의 하중이 플로터 전체에 고르게 분산되어 플로터의 파손이 최소화되고, 특히 수직 방향으로 플로터로 전달되는 편하중이 인접한 플로터로 분산되므로 플로터 연결수단의 열화가 최소화되고 플로터의 수명이 증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플로터의 연결 절차가 단순하게 되며 다수의 플로터를 동시에 체결 또는 해체할 수 있어서 해체 및 분리절차가 모두 단순하게 되는 플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플로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로터의 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플로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및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플로터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부유장치의 방충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부유장치의 상판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르는 플로터를 결합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부유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부유장치에서 다수의 플로터를 결합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먼저 i) 부유장치의 기본 구성인 '플로터'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고, ii) 이 '플로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 뒤, iii) 부유장치를 구성하는 플로터 외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설명한 후, iv) 마지막으로 부유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플로터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플로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플로터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플로터(10)는 대략 육면체 형상이며 정육면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플로터(10)에는 네 개의 측면이 형성되는데, 이 측면의 상부에는 연결고리 홈(11)과 연결고리(12)가, 그리고 이 측면의 하부에는 연결돌기 홈(15)과 연결돌기(16)가 구비된다. 즉 플로터(10) 측면의 상부 및 하부에 연결수단이 구비된다. 여기서 연결'돌기'나 연결'고리'와 같은 용어 중 '돌기'나 '고리'는 특별한 형상이나 기능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이하에서의 설명이나 도면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서로 치환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연결'과 '접속'이라는 용어 또한 이와 마찬가지이다. 이 각 연결수단(11~16)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결고리(12)는 플로터(10)의 측면 상부에 구비되며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돌출된 형상이며 중심에는 상하를 따라 관통된 관통공이 구비된다. 연결고리 홈(11)은 이 연결고리(1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플로터(10)의 측면 상부에 구비되며, 연결고리(12)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소정 폭과 깊이를 가지고 함몰된 형상이며, 역시 상하를 따라 관통된 관통공을 포함한다. 이 결과 연결고리(12)는 인접한 플로터(10)의 연결고리 홈(11)에 삽입된 후 별도로 결합되는 연결볼트(50; 도 2 참조)에 의해 서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연결돌기(16)는 플로터(10)의 측면 하부에 구비되며 대략 단면이 'ㄴ'자인 형상으로 돌출된 형상이며, 일정한 폭을 가지는 구성이다. 연결돌기 홈(15)은 이 연결돌기(16)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플로터(10)의 측면 하부에 구비되며, 연결돌기(16)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소정 폭과 깊이를 가지고 함몰된 형상의 구성이다. 이 결과 연결돌기(16)은 인접한 플로터(10)의 연결돌기 홈(15)에 삽입되어 서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이 다양한 연결수단(11~16)은 플로터(10)의 네 측면에 모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하부의 연결돌기(16)와 상부의 연결고리 홈(11)은 하나의 플로터(10)에서 동일한 면에 형성되고, 하부의 연결돌기 홈(15)과 상부의 연결고리(12) 역시 하나의 플로터(10)에서 동일한 면에 형성되는 것이 결합 작업을 더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로터(10)의 한 측면에 함몰된 구성(11, 15)과 돌출된 구성(12, 16)이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것도 포함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연결볼트(50; 도 2 및 도 9 참조)가 필요한 연결고리(12) 및 연결고리 홈(11)이 플로터(10)의 측면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플로터(10)의 결합작업을 위해서 더 바람직하다. 연결돌기(16) 및 연결돌기 홈(15)은 별도의 고정수단이 필요 없는 구성으로, 플로터(10)의 측면 하부에 형성되는 경우 수중에 위치하더라도 별도의 고정수단을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연결볼트(50)를 연결고리 홈(12)에 삽입시킨 후 연결볼트(50)의 상부 및 연결고리 홈(12)의 상부를 덮어 밀폐시키는 뚜껑(52)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 뚜껑(52)은 연결볼트(50)의 산화 및 부식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는 플로터는, 플로터(10)의 상하부에 연결수단을 형성하기 때문에, 종래의 플로터 및 부유수단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상하좌우 방향으로 발생하는 하중은 플로터(10)의 측면에 있는 연결고리(12)와 연결돌기(16)에 의해 인접한 플로터로 전달되므로 근본적으로 연결고리(12)나 연결볼트(50)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플로터(10)의 상부에는 연결고리(12)와 연결고리 홈(11)이 형성되어 있어 이 연결고리 홈(11)에 연결고리(12)를 삽입하고 연결볼트(50)로 고정함으로써 플로터(10) 상부를 견고하게 결합하여 플로터(10) 상부가 벌어지는 현상을 차단한다. 플로터의 상부가 벌어지는 인장하중은 연결고리(12)와 연결고리 홈(11)의 결합에 의해 단단히 지지되며, 연결볼트(50)는 단순히 플로터가 상하로 움직이지 않도록 구속하는 역할만 하므로 연결볼트(50)에 큰 하중이 걸리지는 않는다.
플로터(10)의 하부 즉, 물속에 위치하는 면은 물속에서 볼트 연결 작업이 불가능하므로 연결돌기(16)를 만들어 인접하는 플로터(10)의 연결돌기 홈(15)에 삽입하기만 하면 결합되는 간단한 구조로 하여 플로터(10) 하부가 벌어지는 현상을 차단한다.
(플로터의 다른 실시예)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플로터(1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이하 차례대로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플로터(10)의 중심부는 비어 있는 중공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에 스티로폼과 같이 일정한 부피를 가지면서 비중이 작은 부력부재(17b)가 채워지는 것도 가능하고,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에 상하 방향을 따라 기둥과 같이 설치된 격벽(17a)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플로터(10)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3의 (a)와 같이 부력부재(17b)가 채워지거나 (b)와 같이 격벽(17a)이 형성된 경우 자동차와 같이 무거운 물체가 플로터(10) 상부에 위치할 때 플로터(10)가 변형될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의 (b)에 도시된 격벽(17a)은 다수 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부에서 보았을 때 우물 정(井)자와 같이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두 개의 격벽(17a)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플로터(10)의 각 연결수단(11~16)은 플로터(10)의 한 측면에 두 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즉 플로터(10)의 측면 상부에 두 개 이상의 연결고리(12) 및 연결고리 홈(11), 플로터(10)의 측면 하부에 두 개 이상의 연결돌기(16) 및 연결돌기 홈(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인접한 플로터(10) 간의 연결점(point)이 두 배로 증가되므로 플로터(10)에 작용하는 하중 더욱 고르게 분산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플로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플로터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플로터(10)는 중심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18)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통공(18)이 형성된 플로터(10)는 '가드레일용 플로터'가 되는데, 이는 일반 플로터와 같이 연결고리(12) 및 연결돌기(16) 등을 가진 플로터(10)의 중앙에 가드레일 파일을 삽입할 수 있도록 구조를 변경한 것으로, 특히 바닥면까지 관통하여 관통공(18)이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이 가드레일용 플로터는 크게 세 가지의 용도로 쓰인다. 첫째, 이 가드레일용 플로터는 가드레일 파일(40; 도 10 참조)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플로터(10)의 중앙에 위치하는 관통공(18)은 일정 높이를 갖는 가드레일 파일(40)을 쉽게 결합할 수 있는 형태이다. 둘째는 플로터(10)에 로프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관통공(18)에 줄을 묶어 플로터(10)로 만들어진 수상 구조물을 육지에 고정할 때 육지의 말뚝이나 계선주(繫船柱, bollard, mooring post, bitt)에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셋째는, 플로터(10)와 육지를 연결하는 잔교(棧橋; pier, landing stage)를 설치할 때 잔교의 상판(30; 도 10 참조)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 관통공(18)의 하부에는 가드레일 파일(40)과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18a)이 형성될 수도 있다.
(플로터 외 부유장치의 다른 구성요소)
이상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의 플로터(10)를 포함하여 부유장치를 구성하게 되는데, 이 부유장치를 구성하는 다른 구성요소로서 방충재(20) 및 상판(30)의 구성을 차례로 설명한다. 참고로 가드레일 파일(40)에 대해서는 위 도 5 부분에서 이미 설명한 바 있고, 연결볼트(50)에 대해서는 추후 도 9 부분에서 다시 설명하겠다.
먼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부유장치의 방충재(2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방충재(20)는 플로터(10)가 연결되어 제작된 수상구조물이 물양장으로 사용될 때 선박과 충돌하며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여 플로터(10)와 선박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부유장치의 가장 바깥쪽에 설치된다. 방충재(20)의 형상은 반원형, 원호형, 삼각형, 사각형 등 여러 형태가 가능하며, 한 면이 플로터(10)와 결속이 가능한 형태로 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서 플로터(10)의 측면이 돌기(12, 16)가 형성된 면과 돌기홈(11, 15)이 형성된 면의 두 가지이므로, 방충재(20) 역시 측면이 돌기(22, 26)를 갖는 면 또는 돌기홈(21, 25)을 갖는 면의 두 가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충재(20)의 측면에 구비되는 연결고리 홈(21), 연결고리(22), 연결돌기 홈(25) 및 연결돌기(26)의 구성은 플로터(10)의 각 구성들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 방충재(20)와 플로터(10)를 연결방법은, 플로터(10)와 플로터(10)를 연결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하부에 있는 연결돌기(26)를 연결돌기 홈(25)에 먼저 삽입하고, 상부에 있는 연결고리(22)와 연결고리 홈(21)을 끼운 다음 전용볼트(50; 도 9 참조)로 조여 접속하면 된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르는 부유장치의 상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판(30)은 대략 사각형의 납작한 판 형상으로, 하부에는 원기둥 형상의 돌기(32)가 다수 예컨대 네 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네 개의 돌기(32)가 형성될 경우 상판(30)은 네 개의 플로터(10) 상부에 결합되어 네 개의 플로터(10)를 상부를 더욱 고정시키고 플로터(10)의 상부 면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다수의 플로터(10)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부유장치(수상 구조물)는 육지와 잔교(미도시; 棧橋)를 통해 연결되는데 잔교의 한 쪽 끝은 힌지(미도시)를, 다른 한쪽 끝은 로울러(미도시)를 붙여 조석(潮汐)에 따라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보통이다. 보통 로울러 쪽이 수상구조물 위에 위치하는데, 로울러의 움직임에 따라 플로터(10)의 상부가 마찰에 의해 닳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판(30)이 사용된다.
상판(30)은 보통 철제로 만들어지지만 부식에 강한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재질로 만들기도 한다. 상판(30) 하부에 형성된 원통형 돌기(32)의 크기와 간격은 가드레일용 플로터(10; 도 5 참조)의 관통공(18)과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유장치의 구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플로터(10)와 방충재(20), 상판(30) 및 가드레일 파일(40)과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부유장치의 구성 및 이 부유장치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다수의 플로터(10)를 결합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플로터(10) 중 한 플로터(10) 하부의 연결돌기(16)를 다른 플로터(10) 하부의 연결돌기 홈(15)에 삽입시켜 결합한다. 그리고 한 플로터(10) 상부의 연결고리(12)를 다른 플로터(10) 상부의 연결고리 홈(11)에 삽입시키고 연결볼트(50)로 고정시킨다. 이 때 연결볼트(50)는 나사산을 포함하여 연결고리(12) 및 연결고리 홈(11)의 관통공(도 1 참조)에 나사결합될 수도 있으나, 단순히 직선 형상으로 관통공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더라도 족하다. 그리고 연결볼트(50)를 연결고리 홈(12)에 삽입시킨 후 연결볼트(50)의 상부 및 연결고리 홈(12)의 상부를 덮어 밀폐시키는 뚜껑(5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뚜껑은 도 2와 같이 연결고리 홈(11)에 맞게 구비될 수도 있고, 도 4와 같이 연결고리(12) 상부에 별도의 뚜껑 홈을 파서 만들 수도 있다. 이 뚜껑(52)을 통해 이물질이 볼트 홈에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고, 연결볼트(50)의 마모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수의 플로터(10)들을 차례로 결합하여 부유장치를 제조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르는 부유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다수의 플로터(10; 청색)와 가드레일용 플로터(10; 적색)가 적절히 결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에서 하부에 다수의 가드레일용 플로터(10) 상부에는 상판(30)이 결합되어 있고(육지에 인접한 부근임), 일부의 가드레일용 플로터(10)에는 가드레일 파일(40)이 결합되어 설치되며, 각 가드레일 파일(40)과 가드레일 파일(40) 사이에는 안전로프(64; 혹은 안전체인)이 설치되어 사람의 출입을 제한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판(30)에 인접한 가드레일용 플로터(10)에는 고정로프(62)가 육지와 연결되어 구비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부유장치에서 다수의 플로터(10)를 효율적으로 결합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플로터(10)는 다수의 연결수단을 구비하지만, 이 중 연결고리(12)는 플로터(10)의 네 측면 중 서로 인접한 두 면에, 그리고 연결고리 홈(11) 역시 플로터(10)의 네 측면 중 서로 인접한 두 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1 참조). 즉 하나의 플로터(10)를 상부에서 보았을 때 시계 방향을 따라 연결고리(12), 연결고리(12), 연결고리 홈(11) 및 연결고리 홈(11)이 순서대로 배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물론 이와는 달리 시계 방향을 따라 연결고리(12), 연결고리 홈(11), 연결고리(12) 및 연결고리 홈(11)이 배치되는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할 것이나,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다수의 플로터(10)를 결합하는 공정이 훨씬 단순하게 된다. 그리고 나머지 연결수단인 연결돌기 홈(15) 및 연결돌기(16) 또한 이와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플로터를 하나씩 하나씩 늘려가면서 결합할 수도 있으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플로터(10)를 미리 결합한 후 이 플로터 패키지(floater package)들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더 효율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도 11에서 각 플로터(10)들 사이에 표시된 숫자는 다수의 플로터(10)들을 결합하는 순서를 나타낸다. 즉, 하부에 구비된 네 개의 플로터(10)를 차례대로 하나씩 연결한다(부호 1, 2, 3). 그리고 중앙에 구비된 네 개의 플로터(10)를 차례대로 하나씩 연결한다(부호 4, 5, 6). 이후 하부에 구비되며 서로 연결된 네 개의 플로터(10)를 중앙에 구비되며 서로 연결된 네 개의 플로터(10)와 연결하며(부호 7), 이 때에는 양측 각 네 개씩의 플로터(10)에 구비된 연결수단(11~16)을 서로 결합시킬 필요가 있다. 이후 상부에 구비된 네 개의 플로터(10)를 차례대로 하나씩 연결하고(부호 8, 9, 10) 이를 중앙에 구비된 내 개의 플로터(10)와 연결한다(부호 11). 이 때에도 마찬가지로 양측 각 내 개씩의 플로터(10)에 구비된 연결수단(11~16)을 서로 결합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과정은 종래 다수의 플로터들을 하나씩 연결하던 과정에 비하여, 다수의(예컨대 네 개의) 플로터(10)들을 한 번에 연결하는 과정이 포함되므로, 플로터 조립 과정을 단순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플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장치는, 부유장치의 하중이 플로터 전체에 고르게 분산되어 플로터의 파손이 최소화되고, 특히 수직 방향으로 플로터로 전달되는 편하중이 인접한 플로터로 분산되므로 플로터 연결수단의 열화가 최소화되고 플로터의 수명이 증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플로터의 연결 절차가 단순하게 되며 다수의 플로터를 동시에 체결 또는 해체할 수 있어서 해체 및 분리절차가 모두 단순하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수 있는 바,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플로터 11 : 연결고리 홈
12 : 연결고리 15 : 연결돌기 홈
16 : 연결돌기 17a : 격벽
17b : 부력부재 18 : 관통공
20 : 방충재(fender) 30 : 상판
40 : 가드레일 파일 50 : 연결볼트
52 : 뚜껑 62 : 고정로프
64 : 안전로프

Claims (13)

  1. 육면체 형상의 플로터(10)로서
    상기 플로터(10)의 상면에 형성되는 두 개 이상의 제 1 연결수단과;
    상기 플로터(10)의 하면에 형성되는 두 개 이상의 제 2 연결수단; 및
    상기 플로터(10)의 일 측면에 설치되는 방충재(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수단은,
    상기 플로터(10)의 상면에 형성되며 일 측면으로 개방된 연결고리 홈(11)과, 상기 플로터(10)의 상면에서 상기 플로터(10)의 타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연결고리 홈(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고리 홈(11)에 삽입되는 연결고리(12)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연결수단은,
    상기 플로터(10)의 하면에 형성되며 일 측면으로 개방된 연결돌기 홈(15)과, 상기 플로터(10)의 하면에서 상기 플로터(10)의 타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연결돌기 홈(15)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돌기 홈(15)에 삽입되는 연결돌기(16)를 포함하며,
    상기 방충재(20)는 상기 플로터(10)의 상기 제1연결수단과 제2연결수단에 연결되는 제1연결수단과 제2연결수단을 포함하며, 반원형, 원호형, 삼각형 또는 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12)는, 육면체 혹은 반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된 형상이고,
    상기 연결고리 홈(11)은,
    상기 연결고리(12)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연결고리(12)가 삽입되도록 소정 폭과 깊이를 가지고 함몰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12) 및 상기 연결고리 홈(11)은, 상기 플로터(10)의 상면에서 하면을 향해 관통된 관통공(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돌기(16)는, 단면이 'ㄴ'자 혹은 'ㄱ'자 형상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며,
    상기 연결돌기 홈(15)은, 상기 연결돌기(16)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연결돌기(16)가 삽입되도록 소정 폭과 깊이를 가지고 함몰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터(10)의 중심부는 중공으로 형상되며,
    상기 중심부에 구비되는 부력부재(17b)를 더 포함하거나, 혹은
    상기 플로터(10)의 중심부에서 상하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격벽(17a)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터(10)의 중심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18); 및
    상기 관통공(18)의 하부에 형성되는 나사산(18a)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터.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터(10)는 중심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18)과 상기 관통공(18)에 결합되는 상판(3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판(30)은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판(30)의 하면에는 원기둥 형상의 돌기(32)가 다수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돌기(32)는 다수의 플로터(10)에 인접하는 다른 플로터(10)의 관통공(18)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터(10)는 중심부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18)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관통공(18)에 삽입 결합되며 소정 높이를 갖는 가드레일 파일(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 홈(11)은 상기 플로터(10)의 네 측면 중 서로 인접한 두 면으로 개방되고,
    상기 연결고리(12)도 상기 플로터(10)의 네 측면 중 서로 인접한 두 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고리 홈(11) 및 연결고리(12)는,
    상기 플로터(10)의 측면에서 시계 방향을 따라, 연결고리(12), 연결고리(12), 연결고리 홈(11) 및 연결고리 홈(11)의 순서로 배치되거나, 혹은 상기 플로터(10)의 측면에서 시계 방향을 따라, 연결고리(12), 연결고리 홈(11), 연결고리(12) 및 연결고리 홈(11)의 순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터.
KR1020110005844A 2011-01-20 2011-01-20 플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장치 KR101057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844A KR101057665B1 (ko) 2011-01-20 2011-01-20 플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5844A KR101057665B1 (ko) 2011-01-20 2011-01-20 플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7665B1 true KR101057665B1 (ko) 2011-08-22

Family

ID=44933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5844A KR101057665B1 (ko) 2011-01-20 2011-01-20 플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76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280B1 (ko) * 2012-12-07 2014-02-13 강흥묵 용기를 이용한 부상 조립체
KR20160013742A (ko) * 2014-07-28 2016-02-05 (주)디자인파크개발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9263A (ja) * 2008-06-10 2009-12-24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浮体構造物及び浮体構造物の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9263A (ja) * 2008-06-10 2009-12-24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浮体構造物及び浮体構造物の施工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1280B1 (ko) * 2012-12-07 2014-02-13 강흥묵 용기를 이용한 부상 조립체
WO2014088344A1 (ko) * 2012-12-07 2014-06-12 Kang Heung Mook 용기를 이용한 부상 조립체
CN104883880A (zh) * 2012-12-07 2015-09-02 姜兴默 利用容器的漂浮组装体
JP2015536679A (ja) * 2012-12-07 2015-12-24 カン,フンムク 容器を用いた浮上組立体
KR20160013742A (ko) * 2014-07-28 2016-02-05 (주)디자인파크개발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
KR101656071B1 (ko) 2014-07-28 2016-09-08 (주)디자인파크개발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609B1 (ko) 부유식 방파제
KR100692296B1 (ko) 고강도 경량 부잔교
JP2013521170A (ja) 改良型流体力学的性能を有する緊張係留式プラットフォーム
KR102159559B1 (ko) 풍력 에너지를 활용하는 부유식 플랫폼
KR101291326B1 (ko) 쇄파능력이 향상된 콘크리트 부유식 방파제
CA2980959C (en) Gravity-based foundation for the installation of offshore wind turbines
CN210766610U (zh) 一种新型格栅式浮动防波堤
KR101213232B1 (ko) 블럭식 부유체를 가진 심해용 부유식 풍력 발전기
CN107351985A (zh) 一种漂浮式水上光伏阵列的锚固系统
KR101006982B1 (ko) 진자형 가두리 양식 시설물
KR100922218B1 (ko) 반잠수식 소파장치
KR101057665B1 (ko) 플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장치
US8790039B2 (en) Modular floating structures with anti pollution barrier
KR102310131B1 (ko) 부유 가능한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및 그 제작 방법
KR200450300Y1 (ko) 푼툰 연결장치
CN206327531U (zh) 一种水上系泊系统
KR101231134B1 (ko) 부유식 구조물의 해상 근접계류를 위한 와이어 시스템
US6827618B1 (en) Safety boom
BRPI0705792A2 (pt) método de instalação de cerco para barreira de contenção de óleo apresentando uma configuração em espiral
US20090304448A1 (en) A floating pontoon body to be tied together with at least another pontoon body
KR20090017001A (ko) 조립식 도크의 연결장치
KR101016382B1 (ko) 작업선의 조립식 선체구조
KR100979256B1 (ko) 부유식 구조물의 횡 지지력 보강 계류방법
JP2022178448A (ja) 浮体構造物支持構造、浮体構造物の設置方法
RU197845U1 (ru) Плавучий волнол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