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2218B1 - 반잠수식 소파장치 - Google Patents

반잠수식 소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2218B1
KR100922218B1 KR1020090051040A KR20090051040A KR100922218B1 KR 100922218 B1 KR100922218 B1 KR 100922218B1 KR 1020090051040 A KR1020090051040 A KR 1020090051040A KR 20090051040 A KR20090051040 A KR 20090051040A KR 100922218 B1 KR100922218 B1 KR 100922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ooring
sofa
connectio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1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만
안정길
김경진
정성재
박성욱
손병규
김남기
Original Assignee
(주)엠디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디,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filed Critical (주)엠디
Priority to KR1020090051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22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2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2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랑의 제어를 위하여 연안해역에 설치되는 소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파이프를 연결브라켓으로 연결시키되, 다수 개의 부력파이프가 연결브라켓을 따라 소파용 파이프번들을 이루도록 한 계류구조물을 소파장치로서 제공하며, 이 계류구조물이 계류로프에 의하여 해수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만큼 반잠수식으로 잠기도록 설치함으로서, 파랑의 영향이 가장 크게 작용하는 해수면측에 부유식 소파장치가 위치토록 하여, 파랑의 제어에 따른 우수한 소파기능을 달성토록 하면서도, 소파장치의 설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은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며, 부두나 항만 또는 마리나 등의 신축이나 증축 과정에서 선박의 운항경로 및 파랑의 제어위치가 변동될 경우, 이러한 변동사항에 맞추어 소파장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동 및 재설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필요시 소파장치의 철거 및 재활용 또한 가능토록 하며, 이로 인하여 기존의 소파장치에서는 구현할 수 없었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한 반잠수식 소파장치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90051040
반잠수식 소파장치, 계류구조물, 부력파이프, 연결브라켓, MDPE, HDPE

Description

반잠수식 소파장치{Apparatus for breakwater of half-submerged type}
본 발명은 소정의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파이프를 연결브라켓으로 연결시키되, 다수 개의 부력파이프가 연결브라켓을 따라 소파용 파이프번들을 이루도록 한 계류구조물을 소파장치로서 제공하며, 이 계류구조물이 계류로프에 의하여 해수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만큼 반잠수식으로 잠기도록 설치함으로서, 파랑의 제어에 따른 우수한 소파기능을 달성토록 하면서도, 소파장치의 설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은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소파장치의 이동과 재설치 및 철거와 재활용이 가능토록 함에 따라, 기존의 소파장치에서는 구현할 수 없었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한 반잠수식 소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파장치(消波裝置, 또는 방파제)라고 하는 것은, 파도의 힘을 줄이기 위하여 연안해역에 설치한 구조물을 말하는 것으로서, 부두나 항만 또는 마리나(Marina: 해안의 산책길, 선박의 계류장)를 포함하여, 도로 및 건물이 인접한 해안지역을 파랑(波浪)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해안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해저지반상에 구축된다.
오래전부터 소파장치는 주로 석재를 이용하여 구축하였으나, 그 이후로는 석 재와 콘크리트를 함께 사용하는 혼성방파제가 구축되었으며, 최근에 들어서는 테트라포드(TTP)와 같은 이형소파(異形消波)블록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바, 지구온난화와 환경오염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태풍이나 해일과 같은 자연재해가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소파장치의 시공방식 및 그 구조물에 대한 연구가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소파장치를 시공하기 위하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해저지반상에 자갈이나 세석(細石) 등을 사다리꼴 형태로 견고히 축조시켜 코어층을 형성시킨 다음, 상기 코어층의 외측면을 따라 테트라포드와 같은 이형소파블록을 피복용 구조물로 덮어 씌우도록 한 것이나, 해저지반상에 대형 콘크리트블록을 벽체의 형식으로 시공한 다음, 파랑의 영향이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외해측 또는 콘크리트블록의 주변부를 따라, 테트라포드와 같은 이형소파블록을 무작위로 적층시키도록 한 것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존의 소파장치는, 소파용 구조물을 시설하기 위한 기초작업으로서, 해저면에 대한 준설작업 및 물막이 작업 등을 수행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작업 이후에 코어층이나 콘크리트블록과 같은 대형의 기초구조물을 시공하는 작업을 거친 다음, 마감재로서 테트라포드와 같은 이형소파블록을 시공하는 작업을 거쳐야 함에 따라, 소파장치의 설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파랑의 영향이 가장 심하게 작용하는 위치는 해수면으로부터 약 10 ~ 20m 정도에 해당하는 수심이 되므로, 해당 수심만을 커버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소파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나, 기존의 소파장치는 해저면으로부터 해수면의 상부를 통하여 일정 높이만큼 소파용 구조물이 노출되도록 설치됨으로서, 소파장치의 설치에 따른 시간과 비용 측면 및 소파장치에 의한 소파기능의 측면을 동시에 고려할 경우 매우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소파장치는 해저지반을 기초로 하여 소파용 구조물이 시공되기 때문에, 연안해역에 소파장치를 일차적으로 설치한 다음에는 소파장치의 위치이동이 불가능하게 됨으로서, 부두나 항만 또는 마리나 등의 신축이나 증축 과정에서 선박의 운항경로 및 파랑의 제어위치가 변동될 경우, 이러한 변동사항에 전혀 대응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부두나 항만 등의 신축이나 증축 과정에서 선박의 운항경로가 변경될 경우, 기존에 설치된 소파장치를 피해갈 수 있도록 선박의 운항경로가 조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부두나 항만의 신축이나 증축작업이 기존에 설치된 소파장치에 의하여 차질을 빚게 되는 상황까지 발생한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부두나 항만 또는 마리나 등의 신축이나 증축 과정에서 파랑의 제어가 필요한 소파장치의 위치가 기존의 위치와 변동될 경우, 기존에 설치된 소파장치를 그대로 둔 상태에서 새로운 소파장치를 필요한 위치에 다시 설치하게 되는 바, 이로 인하여 불필요한 공사비용의 낭비 및 공사기간의 지연을 초래하게 된다는 것이다.
특히, 기존의 소파장치는 그 수리나 유지보수 또는 철거작업 자체가 매우 까다롭게 됨은 물론이고, 소파장치에 사용된 소파용 구조물의 재활용 또한 거의 불가 능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오랜 기간동안 사용되어 흉물로 남아 있는 소파장치를 연안해역에 그대로 방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연안해역의 자연적인 경관(景觀)을 해치는 요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반잠수식 소파장치는, 소정의 부력을 제공하는 부력파이프를 연결브라켓으로 연결시키되, 다수 개의 부력파이프가 연결브라켓을 따라 소파용 파이프번들을 이루도록 한 계류구조물을 소파장치로서 제공하며, 이 계류구조물이 계류로프에 의하여 해수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만큼 반잠수식으로 잠기도록 설치함으로서, 파랑의 영향이 가장 크게 작용하는 해수면측에 부유식 소파장치가 위치토록 하여, 파랑의 제어에 따른 우수한 소파기능을 달성토록 하면서도, 소파장치의 설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은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며, 부두나 항만 또는 마리나 등의 신축이나 증축 과정에서 선박의 운항경로 및 파랑의 제어위치가 변동될 경우, 이러한 변동사항에 맞추어 소파장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동 및 재설치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필요시 소파장치의 철거 및 재활용 또한 가능토록 하며, 이로 인하여 기존의 소파장치에서는 구현할 수 없었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 1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력파이프를 연결하여 소파용 파이프번들을 제공하는 연결브라켓이 사각틀 형상의 연결블록과 삼각틀 형상의 마감블록에 의한 블록조립체가 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연결블록에는 부력파이프의 삽입을 위한 파이프링이 지지살과 함께 설치되도록 하고, 필요시 부력파이프보다 적은 직경의 보조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는 보조파이프링을 연결블록과 마감블록에 각각 형성시킴으로서, 상기 연결브라켓과 이를 기초로 한 파이프번들을 매우 다양한 형태로 손쉽게 조립 및 제조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각종 요구에 부합되는 다양한 종류의 소파장치를 제공토록 함은 물론, 소파장치에 필요한 각각의 부품을 최대한으로 규격화시킴에 따라, 소파장치의 설치작업을 보다 능률적이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 2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은 소파장치를 이루는 계류구조물의 상부측에 발판이 제공되도록 함으로서, 소파장치의 이동 및 재설치나 소파장치의 수리 및 유지보수 작업 또한 발판을 기초로 하여 보다 손쉽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계류구조물의 양측 외부에 설치되어 각각의 부력파이프를 연결시키는 한편, 계류로프에 의하여 소파장치를 반잠수식으로 위치토록 하는 연결파이프 및 그 양측단의 계류파이프에 멀티링과 계류밴드를 각각 설치함으로서, 부력파이프와 연결파이프의 T자형 연결작업을 멀티링에 의하여 보다 손쉽고 견고하게 수행토록 하며, 이로 인하여 소파장치의 설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의 절감 및 소파장치의 구조적 강도 향상에 한층 더 기여하는 동시에, 파랑 등에 의한 소파장치의 위치변동 및 계류로프로부터 소파장치로 전달되는 충격을 방지하여, 소파장치의 안전성과 사용수명을 충분하게 확보하는 측면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 3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소파장치는, 수 개 내지 수십 개의 부력파이프가 연결브라켓으로 연결 설치되는 계류구조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브라켓은 계류구조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부력파이프는 계류구조물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의 연결브라켓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연결브라켓의 형상과 대응되는 소파용 파이프번들을 제공하며, 상기 계류구조물의 양측단에는 연결브라켓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각각의 부력파이프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파이프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파이프의 양측 단부는 계류로프의 연결을 위하여 굴곡 형성되는 계류파이프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브라켓은 사각틀 형상의 연결블록이 조립된 블록조립체가 되며, 상기 연결블록은, 사각프레임의 내부에 부력파이프의 삽입을 위한 파이프링이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링의 외측부와 사각프레임의 사이에는 방사상의 지지살이 형성되며, 상기 사각프레임의 외측면에는 조립핀과 조립공이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에 걸쳐 각각 대응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결브라켓의 가장자리측에는, 연결블록에 의하여 형성되는 90도 각도의 단턱진 부위마다 삼각틀 형상의 마감블록이 조립 설치되며, 상기 마감블록은, 연결블록의 사각프레임과 맞대어지는 삼각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삼각프레임의 내부에는 지지살이 형성되며, 상기 삼각프레임에는 빗변측 프레임을 제외한 나머지 프레임의 외측면에 연결블록과 대응되는 조립핀과 조립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연결블록에 형성된 파이프링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2개의 파이프링이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되어 지지살로 연결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블록의 사각프레임 내측 모서리부와 상기 마감블록의 삼각프레임 내부에는 보조파이프링이 지지살과 함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계류구조물의 상부면에는 각각의 연결브라켓을 따라 발판이 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계류구조물의 양측 단부에서 부력파이프와 연결파이프가 T자형으로 교차되는 부분에는 해당 파이프간의 연결을 위한 멀티링이 설치되고, 상기 계류파이프에는 계류로프의 연결을 위한 계류밴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링은, 연결판과, 상기 연결판의 전방측에 돌출 형성되어 연결파이프가 삽입 설치되는 연결링과, 상기 연결판의 후방측에 돌출 형성되어 부력파이프가 연결 설치되는 링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계류밴드는, 계류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조립되도록 반원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밴드링과, 상기 밴드링의 중앙부에 돌출 형성되어 계류파이프의 이탈방지턱이 삽입되는 유동플랜지와, 상기 밴드링의 양측단에 돌출 형성되는 조립단부와, 상기 일측 조립단부에 형성되어 계류로프가 연결되는 로프연결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파랑의 영향이 가장 심하게 작용하는 10 ~ 20m 정도의 수심측에 소파장치를 부유식으로 설치하여 파랑의 제어기능을 집중적으로 수행토록 하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이고, 계류구조물을 이루는 연결브라켓과 부력파이프가 규칙적인 소파용 공간을 형성토록 함으로서, 보다 더 우수한 소파기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부력파이프와 연결브라켓 및 연결파이프를 사용하여 육상에서 소파장치를 신속하고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조립된 소파장치를 선박을 이용하여 연안해역으로 운반한 다음, 해저면에 고정된 앵커와 소파장치를 계류로프로서 연결시키는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그 설치가 완료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소파장치의 설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기존의 경우와 비교하여 현저히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부두나 항만 또는 마리나 등의 신축이나 증축 과정에서, 선박의 운항경로 또는 파랑의 제어를 위하여 소파장치의 위치가 변동되어야 할 경우에도, 기존에 설치된 소파장치를 계류로프와 분리하여 선박의 운항경로에 지장을 미치지 아니하는 위치 또는 파랑의 제어가 필요한 위치로 소파장치를 용이하게 이동시켜 신속하게 재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소파장치의 철거작업 또한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철거된 소파장치의 파이프와 브라켓 등은 100% 재활용이 가능한 소재가 되므로, 보다 더 환경친화적인 소파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각종 장점들로 인하여 기존의 소파장치로서는 구현할 수 없었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연결브라켓을 연결블록과 마감블록에 의한 블록조립체로 형성시킨 경우에는, 규격화된 부품으로서의 블록수단을 사용하여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에 부합되는 소파장치를 신속하고 능률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소파장치의 설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의 절감 측면에 한층 더 기여토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파이프 및 계류파이프에 멀티링과 계류밴드를 각각 설치한 경우에는, 부력파이프와 연결파이프의 T자형 연결작업을 멀티링에 의하여 보다 손쉽고 견고하게 수행토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소파장치의 설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의 절감 및 소파장치의 구조적 강도 향상에 한층 더 기여할 수 있는 한편, 계류로프로부터 소파장치로 전달되는 충격과 소파장치의 위치변동을 방지하여, 소파장치의 기능성과 안전성 및 사용수명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의 소파장치를 이루는 각각의 부품은 해수에 대한 내부식성과 기계적 강도 및 재활용성이 매우 우수하며, 열융착 방식에 의하여 손쉽고 견고하게 접착 및 조립이 가능한 폴리에틸렌(PE), 바람직하게는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부품 자체의 재질에 대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위에서 설명되어진 폴리에틸렌(MDPE, HDPE)이 적용되는 것으로 보아도 무방하지만, 이 외에도 해수에 대한 내부식성과 기계적 강도 및 재활용성이 우수한 다른 종류의 플라스틱이나 합성수지 또는 기타 여러 가지 소재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반잠수식 소파장치(1)는 도 1 내지 도 4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 개 내지 수십 개의 부력파이프(5)가 연결브라켓(4)으로 연결 설치되는 계류구조물(2)을 주된 구성요소로서 포함하며, 상기 계류구조물(2)의 상부측에는 사용자의 이동을 위한 발판(3)이 연결브라켓(4)을 따라 조립 설치된다.
상기 연결브라켓(4)은 계류구조물(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편, 상기 각각의 부력파이프(5)는 계류구조물(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의 연결브라켓(4)을 관통하도록 설치됨으로서, 연결브라켓(4)의 형상과 대응되는 소파용(消波用) 파이프번들(Pipe bundle: 부력파이프의 다발)을 제공하게 된다.
도면상 상기 연결브라켓(4)이 개략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는 한편, 상기 부력파이프(5)는 연결브라켓(4)의 상단측으로부터 하단측에 이르기까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4개 열(列)과 3개 열 및 2개 열로 설치됨으로서, 총 9개의 부력파이프(5)가 연결브라켓(4)과 대응되는 사다리꼴 형상의 파이프번들을 이루는 동시에, 각각의 부력파이프(5)가 총 3개의 층을 이루도록 연결브라켓(4)을 따라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소파장치(1)에 적용될 수 있는 계류구조물(2)의 대표적인 예시에 불과하며, 연결브라켓(4)과 부력파이프(5)의 조합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는 계류구조물(2)의 외관 형상 자체는 매우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해수면에 반잠수식으로 설치되어 파랑의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소파장치(1)를 제공한다는 것이므로, 소파장치(1)가 설치 되는 연안해역의 조건 및 소파장치(1)가 해수면을 통하여 잠기는 깊이 등을 고려하여, 연결브라켓(4)의 형상과 이에 대응하는 부력파이프(5)의 배치구조 및 부력파이프(5)의 사용개수 등은 다양하게 조정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발판(3)은 파랑의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측면도 있으나, 소파장치(1)의 이동 및 재설치 또는 계류구조물(2)의 수리나 유지보수를 위하여 작업자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측면이 강하므로, 계류구조물(2)의 형상이나 소파장치(1)의 목적 등에 맞추어 필요시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발판(3)을 계류구조물(2)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발판(3)의 상부면에 고무패드나 미끄럼 방지용 도료(페인트) 또는 각종 요철면(凹凸面)과 같은 논슬립면(Non-slip surface)(3a)이 제공되도록 함으로서, 발판(3)을 따라 이동하는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연결브라켓(4)과 부력파이프(5)로 이루어지는 계류구조물(2)의 양측단에는, 각각의 부력파이프(5)를 추가적으로 연결하여 계류구조물(2)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한편, 상기 계류구조물(2)이 계류로프에 의하여 해수면을 따라 요구하는 깊이만큼 잠길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계류파이프(7)를 구비하는 연결파이프(6)가 추가로 설치되며, 이로 인하여 계류구조물(2)을 기초로 하는 소파장치(1)가 완성된다.
상기 연결파이프(6)는 계류구조물(2)의 양측단에서 연결브라켓(4)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각각의 부력파이프(5)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 설치하는 것이며, 상기 연결파이프(6)의 양측 단부는 계류로프의 연결을 위하여 개략 90도 각도로 굴곡 형 성되는 계류파이프(7)가 되며, 상기 계류파이프(7)에 의하여 계류구조물(2)의 외곽측 모서리 부분마다 계류로프가 연결될 수 있다.
도면상 상기 연결파이프(6)는 부력파이프(5)의 배치상태에 맞추어 상,하 방향으로 총 3개가 설치되는 한편, 부력파이프(5)의 열수(列數)에 맞추어 상단측 연결파이프(6)가 가장 길게 형성되고, 그 하부측으로 갈수록 연결파이프(6)의 길이가 점점 짧아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연결파이프(6)의 개수나 설치상태 역시 마찬가지로 부력파이프(5)의 배치상태에 맞추어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파이프(6)의 적용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은, 연결브라켓(4)을 관통하여 계류구조물(2)의 양측단부로 연장되는 각각의 부력파이프(5)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시킴으로서, 상기 연결파이프(6)가 계류구조물(2)의 측면부를 따라 다수 개의 층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상기 계류구조물(2)이 해수면을 통하여 잠기는 깊이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최상단측에 위치하는 연결파이프(6)의 계류파이프(7)를 계류로프와 연결시키게 되면, 계류구조물(2)의 대부분이 해수면을 통하여 잠기도록 소파장치(1)를 설치할 수 있고, 중앙부측에 위치하는 연결파이프(6)의 계류파이프(7)를 계류로프와 연결시키게 되면, 계류구조물(2)의 절반 정도가 해수면을 통하여 잠기도록 소파장치(1)를 설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하여, 본 발명의 소파장치(1)가 해수면을 통하여 잠기는 깊이를 필요시마다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소파장치(1)의 설치에 따른 안전성을 보다 더 충분하게 확보하는 것이 필요할 경우에는, 각각의 계류파이프(7)에 모두 계류로프를 연결시킨 다음, 각각의 계류로프가 해저면에 고정된 다수 개의 앵커와 연결되도록 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의 소파장치(1)를 해저면을 통하여 반잠수식으로 설치하되, 해수면으로부터 약 10 ~ 20m 정도의 수심에 소파장치(1)가 위치토록 하게 되면, 파랑의 영향이 가장 심하게 작용하는 부분에서 본 발명의 소파장치(1)가 파랑의 제어기능을 집중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계류구조물(2)을 이루는 연결브라켓(4)과 부력파이프(5)가 규칙적인 소파용 공간을 형성함에 따라 보다 우수한 소파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소파장치(1)는 부력파이프(5)와 연결브라켓(4) 및 연결파이프(6)를 사용하여 육상에서 신속하고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조립된 소파장치(1)를 선박을 이용하여 연안해역으로 운반한 다음, 해저면에 고정된 앵커와 소파장치(1)를 계류로프로서 연결시키는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그 설치가 완료되는 바, 이로 인하여 소파장치(1)의 설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기존의 경우와 비교하여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다.
특히, 부두나 항만 또는 마리나 등의 신축이나 증축 과정에서, 선박의 운항경로 또는 파랑의 제어를 위하여 소파장치(1)의 위치가 변동되어야 할 경우에도, 기존에 설치된 소파장치(1)를 계류로프와 분리하여 선박의 운항경로에 지장을 미치지 아니하는 위치 또는 파랑의 제어가 필요한 위치로 소파장치(1)를 용이하게 이동시켜 신속하게 재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소파장치(1)를 연안해역으로부터 철거하고자 할 경우, 소 파장치(1)의 철거작업 또한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철거된 소파장치(1)의 파이프와 브라켓 등은 100% 재활용이 가능한 소재가 되므로, 보다 더 환경친화적인 소파장치(1)를 제공할 수 있으며, 위와 같은 각종 장점들로 인하여 기존의 소파장치로서는 구현할 수 없었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소파장치(1)에 있어, 계류구조물(2)용 부력파이프(5)의 연결을 위한 연결브라켓(4)은 앞에서 설명되어진 바와 같이, 소파장치(1)가 설치되는 연안해역의 조건 및 소파장치(1)가 해수면을 통하여 잠기는 깊이 등을 고려하여 매우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소파장치(1)마다 서로 다른 형상의 연결브라켓(4)을 적용하게 되면, 소파장치(1)의 제조시 다품종 소량생산 체제가 적용되어야 하며, 이는 다양한 요구에 신속하게 부응하여 소파장치(1)를 능률적이고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측면에 부합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소파장치(1)의 설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의 절감측면에도 바람직하지 못한 상황을 유발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브라켓(4)은 도 4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각틀 형상을 가지는 다수 개의 연결블록(10)이 조립된 블록조립체가 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러한 연결블록(10)을 도면상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연결시키게 되면, 하나의 규격화 된 부품으로서의 연결블록(10)을 사용하여 매우 다양한 형상의 연결브라켓(4)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연결브라켓(4)의 가장자리측에는, 연결블록(10)에 의하여 형성되는 90도 각도의 단턱진 부위마다 삼각틀 형상의 마감블록(20)이 조립 설치되는 바, 이러한 마감블록(20)의 적용에 의하여 연결브라켓(4)을 기초로 하는 소파장치(1)의 구조적인 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한편, 소파장치(1)의 전체적인 외관 또한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소파장치(1)에 있어, 연결브라켓(4)에 적용되는 연결블록(10)은 도 5 및 도 6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열융착 방식에 의한 블록(10)(20)간의 연결을 위하여 소정의 접착폭을 가지면서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되는 사각프레임(11)과, 상기 사각프레임(11)의 내부에서 지지살(14)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부력파이프(5) 삽입용 파이프링(12)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사각프레임(11)의 외측면에는 상,하부측 프레임과 좌,우측 프레임상에 조립핀(11a)과 조립공(11b)이 각각 대응 형성되고, 조립핀(11a)과 조립공(11b)이 형성되지 아니한 사각프레임(11)의 외측면은 균일한 접착면을 제공할 수 있도록 평면부로 형성되며, 이로 인하여 상,하 방향이나 좌,우 방향에 관계없이 어느 방향으로도 연결블록(10)을 손쉽고 견고하게 연결시켜 요구하는 형상의 연결브라켓(4)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면상 상부측 프레임과 좌측 프레임상에 조립핀(11a)이 형성되고, 하부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상에 조립공(11b)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조립핀(11a)과 조립공(11b)의 위치는 이와 반대되는 위치에 대응 형성될 수도 있고, 조립핀(11a)과 조립공(11b)의 개수 또한 제조업자가 임의대로 변경할 수 있는 사항 이다.
그러나, 상기 연결블록(10)에 있어 사각프레임(11)은 정사각틀을 이루도록 하는 한편, 각각의 조립공(11a)과 조립핀(11b)은 사각프레임(11)의 한 변마다 2개를 형성시키되, 해당 변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나누어지는 양측부의 1/2에 해당하는 지점에 각각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사각프레임(11) 및 조립핀(11a)과 조립공(11b)을 형성시키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연결블록(10)을 일직선상으로 맞대어 연결(도면상 수평방향)하는 작업 뿐만 아니라, 하나의 연결블록(10) 측면에 2개의 연결블록(10)이 1/2씩 엇갈리면서 연결(도면상 수직방향)되도록 하는 작업 또한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이러한 연결블록(10)간의 연결작업이 조립핀(11a)과 조립공(11b)을 기준으로 하여 어떠한 방향으로든 정확하게 맞아 떨어짐으로서, 연결블록(10)과 부력파이프(5)의 지그재그식 배치에 의한 소파장치(1)의 강도 향상에 보다 더 유리한 잇점을 제공할 수 있고, 소파장치(1)의 설계에 있어서도 보다 더 다양한 형상의 연결브라켓(4) 및 이를 기초로 한 파이프번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면상 부력파이프(5)의 삽입을 위한 상기 파이프링(12)은, 사각프레임(11)의 내부 중앙측에서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파이프링(12)(12a)이 되고, 상기 파이프링(12)(12a)의 외측에는 사각프레임(11)의 모서리 부분마다 보조파이프링(13)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살(14)은 파이프링(12)(12a)을 중심으로 하여 각각의 보조파이프링(13)을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사각프레임(11)의 내주면까지 방사상으 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파이프링(12)(12a)(13)과 지지살(14)을 형성시키게 되면, 소파장치(1)의 베이스가 되는 부력파이프(5)의 외측에 부력파이프(5)보다 적은 직경을 가지는 보조파이프를 필요시 추가 설치하여 소파장치(1)의 강도보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파랑에 의하여 외부측에서 작용하는 다양한 방향의 충격력을 방사상의 지지살(14)이 보다 효과적으로 완충시킬 수 있다.
특히, 부력파이프(5)의 삽입을 위한 파이프링(12)(12a)이 지지살(14)에 의하여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됨에 따라, 소파장치(1)용 계류구조물(2)의 설계시 최초에 적용하고자 하였던 부력파이프(5)의 치수가 설계변경으로 인하여 다소 크게 될 경우에도 계류구조물(2)의 제조작업을 차질없이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내부측 파이프링(12)과 외부측 파이프링(12a)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됨은 물론, 각각의 파이프링(12)(12a) 사이에 방사상의 지지살(14)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측 파이프링(12)을 잘라내더라도 방사상의 지지살(14) 또는 외부측 파이프링(12a)을 기초로 하여 부력파이프(5)의 조립작업이 가능하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연결블록(10)과 조립될 수 있는 부력파이프(5)의 직경을 내부측 파이프링(12)으로부터 외부측 파이프링(12a)에 이르기까지 보다 폭넓게 확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소는 계류구조물(2)의 설계로부터 소파장치(1)의 실질적인 설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변동사항에 대한 능동적인 대처방안이 된다.
상기와 같은 연결블록(10)과 조합되어 보다 우수한 소파장치(1)를 제공토록 하는 마감블록(20)은 도 7 및 도 8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결블록(10)의 사각프레임(11)과 동일한 접착폭을 가지는 직삼각틀 형상의 삼각프레임(21) 내부에 보조파이프링(22)이 지지살(23)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마감블록(20)을 직삼각형으로 형성시키는 이유는, 도 4에서와 같이 연결브라켓(4)의 가장자리측에서 연결블록(10)간의 조립부 사이에 발생하는 90도 간격의 단턱진 부분을 메꾸어 소파장치(1)용 계류구조물(2)의 강도 및 외관 향상에 기여토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마감블록(20)의 삼각프레임(21)에는 빗변측 프레임을 제외한 나머지 프레임, 즉 가로변측 프레임과 세로변측 프레임의 외측면에 연결블록(10)과 대응되는 조립핀(21a)과 조립공(21b)이 형성된다.
상기 마감블록(20)은 가로변측 프레임과 세로변측 프레임의 길이가 연결블록(10)의 사각프레임(11)을 이루는 한 변의 길이와 동일하게 되는 것, 즉 연결블록(10)을 대각선 방향으로 분할시킨 형태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고, 빗변측 프레임을 제외한 나머지 프레임의 길이가 사각프레임(11) 한 변 길이의 1/2이 되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전자에 해당하는 마감블록(20)은 각각의 연결블록(10)을 서로 엇갈리지 않게 맞대어 조립하는 경우에 한하여 적용될 수 있지만, 후자에 해당하는 마감블록(20)은 각각의 연결블록(10)을 서로 엇갈리지 않게 맞대어 조립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연결블록(10)이 1/2씩 엇갈리도록 맞대어 조립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으므로, 후자에 해당하는 마감블록(20)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마감블록(20)의 내부에 보조파이프링(22)을 형성시키게 되면, 연결블록(10) 및 마감블록(20)에 의하여 조립되는 연결브라켓(4)의 외곽부를 따라 보조파이프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소파장치(1)의 강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마감블록(20)의 내부에 별도의 보조파이프링(22)을 형성시키지 않고 적당한 개수의 지지살(23)만을 형성시키더라도 무방함을 밝혀두는 바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상기 연결블록(10)과 마감블록(20)에 의하여 본 발명의 소파장치(1)에 적용이 가능한 연결브라켓(4)을 조립시킨 예시도로서, 도 9에 도시된 것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사다리꼴 형상의 연결브라켓(4)를 조립시킨 예이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것은 개략 눈목(目)자 형상으로 연결브라켓(4)을 조립시킨 예이고, 도 11에 도시된 것은 "∧" 형상의 상부구조물과 일자(ㅡ) 형상의 중앙구조물과 "ㅛ"자 형상의 하부구조물로 이루어지는 연결브라켓(4)를 조립시킨 예이며, 도 10 내지 도 11에 의한 연결브라켓(4)은 소파장치(1)의 내부에 빈 공간으로서의 소파공간(4a)을 추가로 제공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와 더불어, 도 9 및 도 10의 형태로 조립된 연결브라켓(4)을 사용하여 소파장치(1)를 설치할 경우, 상기 발판(3)은 연결브라켓(4)의 상단측이 제공하는 평면부를 따라 조립 설치될 수 있고, 도 11의 형태로 조립된 연결브라켓(4)을 사용하여 소파장치(1)를 설치할 경우, 상기 발판(3)은 연결브라켓(4)의 일자형 중앙구조 물 또는 최상단에 제공된 평면부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결브라켓(4)을 따라 발판(3)을 설치할 경우, 각각의 연결블록(10)에 형성된 조립핀(11a)과 조립공(11b)을 발판(3)의 조립에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연결브라켓(4)의 내부에 소파공간(4a)을 추가로 제공하게 되면, 연결브라켓(4)과 부력파이프(5)에 의한 파랑의 1차 제어 및 상기 소파공간(4a)에 의한 파랑의 2차 제어를 통하여 소파장치(1)의 소파성능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것은 상기 연결블록(10)과 마감블록(20)을 사용하여 조립할 수 있는 연결브라켓(4)의 대표적인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이 외에도 연결블록(10)과 마감블록(20)을 사용하여 다양한 형상의 연결브라켓(4)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브라켓(4)을 기초로 하여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소파장치(1)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규격부품인 연결블록(10)과 마감블록(20)에 의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조립된 연결브라켓(4)을 계류구조물(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개 내지 수십 개를 배치한 다음, 연결브라켓(4)을 이루는 각 연결블록(10)의 파이프링(12)을 따라 부력파이프(5)가 삽입되도록 하면, 소파장치(1)용 계류구조물(2)의 1차적인 조립이 완료되며, 필요시 연결블록(10)과 마감블록(20)에 형성된 보조파이프링(13)(22)을 통하여 보조파이프를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계류구조물(2)의 조립이 1차적으로 완료된 상태에서, 계류구조물(2)의 양측단에 위치하는 연결브라켓(4)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각각의 부 력파이프(5)를 연결파이프(6)에 의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결시키는 한편, 연결파이프(6)의 양측에 형성된 계류파이프(7) 또한 부력파이프(5)와 연결되도록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파장치(1)의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도 9에 도시된 연결브라켓(4)에 의하면, 계류구조물(2)의 양측단에 위치하는 연결파이프(6)는 총 3개의 층을 이루게 되고, 도 10에 도시된 연결브라켓(4)에 의하면, 계류구조물(2)의 양측단에 위치하는 연결파이프(6)는 총 5개의 층을 이루게 되며, 도 11에 도시된 연결브라켓(4)에 의하면, 계류구조물(2)의 양측단에 위치하는 연결파이프(6)는 총 8개의 층을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계류구조물(2)의 양측단에 위치하는 연결브라켓(4)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각각의 부력파이프(5)를 연결파이프(6)를 사용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결시키게 되면, 계류파이프(7)를 제외한 연결파이프(6) 부분이 부력파이프(5)와 T자형으로 교차되며, 이러한 파이프의 T자형 연결작업은 까다로운 작업이 될 뿐만 아니라, 소파장치(1)의 구조적인 강도 측면에서도 취약한 부분이 된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소파장치(1)에 있어 또 다른 요부를 이루는 구성요소로서는, 소파장치(1)의 양측단에서 부력파이프(5)와 연결파이프(6)가 T자형으로 교차되는 부분에 해당 파이프(5)(6)간의 연결을 위한 멀티링(8)이 설치된 것이며, 이와 더불어 연결파이프(6)의 양측에 위치하는 계류파이프(7)에는 계류로프의 연결을 위한 계류밴드(9)가 설치된 것이다.
상기 멀티링(8)은 도 12 및 도 13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각판 형상의 연결판(31)과, 상기 연결판(31)의 전방측에 돌출 형성되어 연결파이프(6)가 삽입 설치되는 연결링(32)과, 상기 연결판(31)의 후방측에 돌출 형성되어 부력파이프(5)가 연결 설치되는 링프레임(3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판(31)은 사각판 이외에도 원판과 같은 다른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멀티링(8)을 사용하게 되면, 도 13에서와 같이 연결파이프(6)와 부력파이프(5)간의 T자형 연결작업을 열융착 방식에 의하여 보다 손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됨으로서, 소파장치(1)의 설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한층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이프(5)(6)의 조립시 구조적으로 취약하게 되는 T자형 교차지점을 멀티링(8)이 보다 더 견고하게 조립 및 지지하게 됨으로서, 소파장치(1)의 구조적인 강도 또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계류밴드(9)는 도 14 및 도 15에 각각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계류파이프(7)의 외주면을 따라 조립되도록 반원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밴드링(41)과, 상기 밴드링(41)의 중앙부에 돌출 형성되어 계류파이프(7)의 이탈방지턱(7a)이 삽입되는 유동플랜지(42)와, 상기 밴드링(41)의 양측단에 돌출 형성되는 조립단부(43)와, 상기 일측 조립단부(43)에 형성되어 계류로프(40)가 연결되는 로프연결공(4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계류밴드(9)가 설치되는 계류파이프(7)는, 도 15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소파장치(1)의 모서리 형상에 맞추어 개략 90도 각도로 굴곡 형성되는 한편, 그 중앙부는 소정의 폭만큼 직선형의 파이프를 이루게 되며, 이러한 계류파이프(7)의 중앙부에는 그 외주면을 따라 플랜지 형상의 이탈방지턱(7a)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계류파이프(7)의 중앙부를 소정의 폭만큼 직선형 파이프로 형성시킴으로서, 계류밴드(9)의 설치에 따른 작업의 편의성 및 해당 굴곡부에서의 구조적 강도를 확보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계류파이프(7)의 굴곡각도는 소파장치(1)의 외관 형태에 맞추어 90도 이외의 각도가 될 수 있고, 계류로프(40)가 부력파이프(5)나 연결파이프(6)와 연결될 경우, 해당 파이프(5)(6)에 계류밴드(9)의 설치를 위한 이탈방지턱을 형성시키면 된다.
상기와 같은 계류파이프(7)에 설치되어 계류로프(40)의 연결에 사용되는 계류밴드(9)는, 반원 형상을 가지는 2개의 밴드링(41)이 이탈방지턱(7a)을 따라 계류파이프(7)의 외주면상에 조립 설치되며, 각각의 밴드링(41) 중앙부를 따라서는 상기 이탈방지턱(7a)이 삽입되는 유동플랜지(42)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유동플랜지(42)에 의하여 계류밴드(9)가 계류파이프(7)상에 위치 고정되는 한편, 계류파이프(7)를 중심으로 하는 계류밴드(9)의 허브(Hub)식 축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각각의 밴드링(41) 양측단에는 계류밴드(9)의 조립을 위한 조립단부(43)가 일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립단부(43)는 조립볼트(45)와 조립너트 또는 리벳 등을 사용하여 각각의 밴드링(41)을 연결 및 고정시키는 수단이 되며, 상기 조립단부(43) 중 하나의 조립단부(43)에는 계류로프(40)의 연결을 위한 로프연결공(44)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밴드링(41) 및 그 조립수단의 경우에도 폴리에틸렌 재질이 적용될 수 있으나, 내부식성이 우수한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재질을 적용시키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밴드링(41)으로서 금속 재질을 사 용할 경우, 각각의 밴드링(41)을 용접방식에 의하여 연결시킬 수도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상기 계류밴드(9)의 로프연결공(44)에 계류로프(40)를 직접 묶어서 결속시킬 수도 있고, 계류로프(40)에 구비된 금속제 걸고리 등을 계류밴드(9)에 걸어서 연결할 수도 있는 바, 이러한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면 상기 로프연결공(44) 대신에 로프용 연결링이나 로프결속용 브라켓과 같은 다른 형태의 로프연결수단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4에서는 소파장치(1)에 제공된 모든 계류파이프(7)마다 계류밴드(9)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계류로프(40)의 연결을 위하여 필요한 계류파이프(7)에만 계류밴드(9)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계류밴드(9)를 계류파이프(7)에 설치하여 계류로프(40)와 연결시키게 되면, 파랑의 제어 과정에서 소파장치(1)가 상,하 방향으로 요동함에 따라, 앵커와 연결된 계류로프(40)가 계류파이프(7)를 강한 힘으로 당기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계류파이프(7)의 이탈방지턱(7a) 및 계류밴드(9)가 이러한 힘을 보다 더 견고하게 지지하는 보강구조의 역할을 수행하여 계류파이프(7)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파랑의 제어 과정에서 소파장치(1)가 상,하 방향으로 요동할 경우, 계류로프(40)와 연결된 계류밴드(9)가 계류파이프(7)의 이탈방지턱(7a)에 걸린 상태로 계류파이프(7)를 중심으로 상대 회전할 수 있게 됨으로서, 소파장치(1)의 상,하 요동이 계류밴드(9)의 상대 회전작동으로 말미암아 어느 정도 수준까지는 완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계류파이프(7)를 포함하는 소파장치(1)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는 측면에 한층 더 기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계류로프(40)와 연결된 계류밴드(9)의 유동플랜지(42) 내부로 계류파이프(7)의 이탈방지턱(7a)이 삽입되어 있으므로, 소파장치(1)가 파랑의 제어 과정에서 전,후 방향이나 좌,우 방향으로 요동할 경우에도, 계류밴드(9)가 이탈방지턱(7a)에 걸린 상태로 계류파이프(7)를 따라 이동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소파장치(1)의 위치가 계류로프(40)에 의하여 최초로 세팅된 위치, 즉 파랑의 제어 측면에 가장 바람직한 위치를 유지하게 됨으로서, 소파장치(1)에 의한 파랑의 제어기능을 보다 더 확실하게 보장토록 함은 물론, 각각의 계류로프(40)에 의하여 소파장치(1)를 지지하는 힘의 균형이 무너지지 않게 됨으로서, 소파장치(1)의 안정성 또한 보장할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위에서 설명되어진 내용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의 편의를 돕기 위하여 최적 실시예만이 상세하게 설명되어진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추구하고자 하는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예시된 구조를 기초로 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사항이며,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에 기재된 기술적 내용을 기초로 평가되어져야 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잠수식 소파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측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반잠수식 소파장치의 연결브라켓에 사용되는 연결블록의 사시도 및 정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반잠수식 소파장치의 연결브라켓에 사용되는 마감블록의 사시도 및 정단면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연결브라켓을 종류별로 나타내는 블록조립상태의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멀티링의 배면측 사시도.
도 13은 멀티링을 이용한 부력파이프와 연결파이프의 T자형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계류파이프의 요부 발췌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소파장치 2 : 계류구조물 3 : 발판
3a : 논슬립면 4 : 연결브라켓 4a : 소파공간
5 : 부력파이프 6 : 연결파이프 7 : 계류파이프
7a : 이탈방지턱 8 : 멀티링 9 : 계류밴드
10 : 연결블록 11 : 사각프레임 11a : 조립핀
11b : 조립공 12,12a : 파이프링 13 : 보조파이프링
14 : 지지살 20 : 마감블록 21 : 삼각프레임
21a : 조립핀 21b : 조립공 22 : 보조파이프링
23 : 지지살 31 : 연결판 32 : 연결링
33 : 링프레임 40 : 계류로프 41 : 밴드링
42 : 유동플랜지 43 : 조립단부 44 : 로프연결공
45 : 조립볼트

Claims (7)

  1. 파랑의 제어를 위하여 연안해역에 설치되는 소파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파장치(1)는, 수 개 내지 수십 개의 부력파이프(5)가 연결브라켓(4)으로 연결 설치되는 계류구조물(2)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브라켓(4)은 계류구조물(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부력파이프(5)는 계류구조물(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각의 연결브라켓(4)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연결브라켓(4)의 형상과 대응되는 소파용 파이프번들(Pipe bundle)을 제공하며,
    상기 계류구조물(2)의 양측단에는 연결브라켓(4)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각각의 부력파이프(5)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파이프(6)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파이프(6)의 양측 단부는 계류로프의 연결을 위하여 굴곡 형성되는 계류파이프(7)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소파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4)은 사각틀 형상의 연결블록(10)이 조립된 블록조립체가 되며,
    상기 연결블록(10)은, 사각프레임(11)의 내부에 부력파이프(5)의 삽입을 위한 파이프링(12)이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링(12)의 외측부와 사각프레임(11)의 사이에는 방사상의 지지살(14)이 형성되며,
    상기 사각프레임(11)의 외측면에는 조립핀(11a)과 조립공(11b)이 상,하 방향 과 좌,우 방향에 걸쳐 각각 대응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소파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블록(10)의 조립체가 되는 연결브라켓(4)의 가장자리측에는, 연결블록(10)에 의하여 형성되는 90도 각도의 단턱진 부위마다 삼각틀 형상의 마감블록(20)이 조립 설치되며,
    상기 마감블록(20)은, 연결블록(10)의 사각프레임(11)과 맞대어지는 삼각프레임(21)으로 형성되고, 상기 삼각프레임(21)의 내부에는 지지살(23)이 형성되며,
    상기 삼각프레임(21)에는 빗변측 프레임을 제외한 나머지 프레임의 외측면에 연결블록(10)과 대응되는 조립핀(21a)과 조립공(21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소파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블록(10)에 형성된 파이프링(12)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2개의 파이프링(12)(12a)이 동심원 형상으로 배치되어 지지살(14)로 연결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블록(10)의 사각프레임(11) 내측 모서리부와 상기 마감블록(20)의 삼각프레임(21) 내부에는 보조파이프링(13)(22)이 지지살(14)(23)과 함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소파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구조물(2)의 상부면에는 각각의 연결브라켓(4)을 따라 발판(3)이 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소파장치.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구조물(2)의 양측 단부에서 부력파이프(5)와 연결파이프(6)가 T자형으로 교차되는 부분에는 해당 파이프(5)(6)간의 연결을 위한 멀티링(8)이 설치되고, 상기 계류파이프(7)에는 계류로프의 연결을 위한 계류밴드(9)가 설치되며,
    상기 멀티링(8)은, 연결판(31)과, 상기 연결판(31)의 전방측에 돌출 형성되어 연결파이프(6)가 삽입 설치되는 연결링(32)과, 상기 연결판(31)의 후방측에 돌출 형성되어 부력파이프(5)가 연결 설치되는 링프레임(3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계류밴드(9)는, 계류파이프(7)의 외주면을 따라 조립되도록 반원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밴드링(41)과, 상기 밴드링(41)의 중앙부에 돌출 형성되어 계류파이프(7)의 이탈방지턱(7a)이 삽입되는 유동플랜지(42)와, 상기 밴드링(41)의 양측단에 돌출 형성되는 조립단부(43)와, 상기 일측 조립단부(43)에 형성되어 계류로프가 연결되는 로프연결공(4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소파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구조물(2)의 양측 단부에서 부력파이프(5)와 연결파이프(6)가 T자형으로 교차되는 부분에는 해당 파이프(5)(6)간의 연결을 위한 멀티링(8)이 설치되고, 상기 계류파이프(7)에는 계류로프의 연결을 위한 계류밴드(9)가 설치되며,
    상기 멀티링(8)은, 연결판(31)과, 상기 연결판(31)의 전방측에 돌출 형성되어 연결파이프(6)가 삽입 설치되는 연결링(32)과, 상기 연결판(31)의 후방측에 돌출 형성되어 부력파이프(5)가 연결 설치되는 링프레임(3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계류밴드(9)는, 계류파이프(7)의 외주면을 따라 조립되도록 반원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밴드링(41)과, 상기 밴드링(41)의 중앙부에 돌출 형성되어 계류파이프(7)의 이탈방지턱(7a)이 삽입되는 유동플랜지(42)와, 상기 밴드링(41)의 양측단에 돌출 형성되는 조립단부(43)와, 상기 일측 조립단부(43)에 형성되어 계류로프가 연결되는 로프연결공(4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잠수식 소파장치.
KR1020090051040A 2009-06-09 2009-06-09 반잠수식 소파장치 KR100922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040A KR100922218B1 (ko) 2009-06-09 2009-06-09 반잠수식 소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040A KR100922218B1 (ko) 2009-06-09 2009-06-09 반잠수식 소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2218B1 true KR100922218B1 (ko) 2009-10-20

Family

ID=41562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1040A KR100922218B1 (ko) 2009-06-09 2009-06-09 반잠수식 소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221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992B1 (ko) * 2010-12-24 2011-07-29 이근호 부유식 소파제 및 그 조립체
KR101359523B1 (ko) 2013-08-20 2014-02-11 (주)엠디 신축이음식 계류장치
KR20150001094U (ko) 2013-09-03 2015-03-12 (주)엠디 계류장치용 발판의 신축이음유닛
KR101737278B1 (ko) * 2016-11-09 2017-05-22 주식회사 대성에프앤비 부유식 소파제 및 그 조립
KR101806071B1 (ko) 2017-05-02 2017-12-07 주식회사 대성에프앤비 부유식 소파제 및 그 조립방법
KR101831106B1 (ko) * 2017-05-02 2018-02-21 김상빈 부유체 선형 흐트러짐 방지 브라켓을 이용한 수중막체 수직유지 장치
KR101924779B1 (ko) * 2018-07-16 2019-02-27 (주)세경에스엔티 다기능 해상부유구조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18055A1 (en) 2002-04-06 2004-01-29 Wave Control Systems, Inc. Wave attenuator
KR200438582Y1 (ko) 2007-02-14 2008-02-21 인재훈 해상 구조물용 파이프 커플링
KR100873721B1 (ko) 2008-05-07 2008-12-12 아쿠아이엔지(주) 탄력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소파제구조물 연결용 파이프커플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18055A1 (en) 2002-04-06 2004-01-29 Wave Control Systems, Inc. Wave attenuator
KR200438582Y1 (ko) 2007-02-14 2008-02-21 인재훈 해상 구조물용 파이프 커플링
KR100873721B1 (ko) 2008-05-07 2008-12-12 아쿠아이엔지(주) 탄력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소파제구조물 연결용 파이프커플링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992B1 (ko) * 2010-12-24 2011-07-29 이근호 부유식 소파제 및 그 조립체
KR101359523B1 (ko) 2013-08-20 2014-02-11 (주)엠디 신축이음식 계류장치
KR20150001094U (ko) 2013-09-03 2015-03-12 (주)엠디 계류장치용 발판의 신축이음유닛
KR101737278B1 (ko) * 2016-11-09 2017-05-22 주식회사 대성에프앤비 부유식 소파제 및 그 조립
KR101806071B1 (ko) 2017-05-02 2017-12-07 주식회사 대성에프앤비 부유식 소파제 및 그 조립방법
KR101831106B1 (ko) * 2017-05-02 2018-02-21 김상빈 부유체 선형 흐트러짐 방지 브라켓을 이용한 수중막체 수직유지 장치
KR101924779B1 (ko) * 2018-07-16 2019-02-27 (주)세경에스엔티 다기능 해상부유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2218B1 (ko) 반잠수식 소파장치
JP6279147B2 (ja) 海上浮遊構造物用浮力パイプの連結ソケット
KR100935240B1 (ko) 다목적 계류장치
JP5798227B2 (ja) 浮体の設置方法
JP2016520167A (ja) オフショア設備における、タービンタワーおよびサブステーションまたは類似の要素のための潜水可能なアクティブ支持構造
KR100944183B1 (ko) 계류구조물용 부력튜브 연결블록
KR101485362B1 (ko) 철재 테트라포드를 이용한 방파구조물
JP2016148324A (ja) 洋上風力発電設備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145730B1 (ko) 수상 태양광 발전설비용 부유 장치
US20220063774A1 (en) Offshore semi-submersible platform for supporting a wind turbine and offshore electrical energy production facility
TWI780059B (zh) 包含浮子之浮動支撐結構及具有一排孔之起伏板
US11920559B2 (en) Floating platform for high-power wind turbines
KR101220537B1 (ko) 방파제 케이슨 결합방법
KR101634698B1 (ko) 세굴방지와 생태보호 호안 블록 및 이를 이용한 호안 구조물 시공 방법
JP2016084660A (ja) 洋上風力発電装置の基礎構造
US20220332395A1 (en) A floating metal platform
KR102128795B1 (ko) 부유식 구조물 및 선체 계류용 조립체
KR102145727B1 (ko) 수상 태양광 발전설비용 부유 장치
KR101057665B1 (ko) 플로터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장치
KR20160108257A (ko) 방파제 단위모듈, 이를 포함하는 방파제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NO20200755A1 (en) Fish farming system
JP2019210664A (ja) 止水プレートおよび止水壁構造体
KR102668001B1 (ko) 해상 발전용 콘크리트 부유 구조물
KR100188519B1 (ko) 오탁방지막 설치용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오탁방지막의 설치방법
CN106759342B (zh) 一种高效的冲桩保护套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