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2175A - 부유 구조체 - Google Patents

부유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2175A
KR20160022175A KR1020140107984A KR20140107984A KR20160022175A KR 20160022175 A KR20160022175 A KR 20160022175A KR 1020140107984 A KR1020140107984 A KR 1020140107984A KR 20140107984 A KR20140107984 A KR 20140107984A KR 20160022175 A KR20160022175 A KR 201600221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floating body
floating structure
inser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7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봉혁
Original Assignee
(주)트윈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트윈테크 filed Critical (주)트윈테크
Priority to KR1020140107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22175A/ko
Publication of KR20160022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21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부유 구조체는 상자형으로 이루어지면서 물 위에 설치되는 플로팅 몸체(10), 상기 플로팅 몸체(10)의 볼록한 상면(11)에 형성된 인서트 홈(13) 상에 삽입 고정되는 인서트 부재(20), 상기 플로팅 몸체(10)의 상면(11)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기체(30), 상기 플로팅 몸체(10)의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연결 브라켓(40) 및 상기 플로팅 몸체(10)의 외벽을 따라 형성되는 고정홈(5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인 부유 구조체는 물보다 비중이 작은 플로팅 몸체 상에 마감재 등을 고정할 수 있는 인서트 부재를 삽입 고정하거나 상기 플로팅 몸체에 돌기체를 형성하는 과정을 통해서 상기 부유 구조체와의 결합성을 향상하거나 안정성을 증진하게 한다.

Description

부유 구조체{Floating Structure}
본 발명은 수상에 설치되는 부유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유 구조체를 이루는 단위 부유체의 조립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부유 구조체에 설치되는 각종 부대 시설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부유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유 구조체는 바다, 강 또는 호수와 같은 곳에서 물 위에 뜨게 해주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부력체로서, 통상 공기를 이용하거나 스티로폴과 같이 물 보다 가벼운 물체를 이용하여 제작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부유 구조체는 바다에 어장을 만들 때 또는 이와 유사한 목적의 구조물 등을 만들 때 사용되는 박스 형태의 부재로서 이러한 구조물은 모두 물 위에 뜨게 해주는 공통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해변이나 강가의 수면 위에 시공되어 보트 등이 접안되는 선착장으로 사용되거나 군사 훈련 중에 강 등에 임시적으로 설치되는 가설 교량 등으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부유 구조체는 물 보다 중량이 가벼운 스티로폴을 이용하여 제작하게 되는 데 이때 스티로폴의 경우 쉽게 파손되기 때문에 그 외측면을 합성수지로 감싼 후 사용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플로트는 어장이나 선착장 등과 같은 수상의 접안 구조물을 축조하는데 주로 사용한다. 그리고, 부유 구조체는 수상에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로프 또는 체인 등을 이용하여 하천 등의 바닥이나 근처 땅에 연결시켜 사용한다.
복수의 단위 부유체를 이용하여 해상에 부유하는 구조물을 개시하는 종래의 문헌으로는, 한국등록실용 제0391018호(2005.08.01)를 참조할 수 있는데, 상기 문헌에서는 부유 구조물을 구성하는 다수의 단위 부유체의 모서리부의 연결 강도를 향상시켜 외력으로 인하여 부유 구조물이 심하게 유동 되더라도 부유 구조물을 구성하는 각 단위 부유체가 해체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해상 부유 구조물에 관한 내용을 개시한다.
상기 문헌에서는 부유 구조물을 구성하는 다수의 단위 부유체의 모서리부 간의 연결강도를 향상시켜 시공된 부유 구조물이 심하게 유동 되더라도 부유 구조물을 구성하는 각 단위 부유체가 해체되는 것을 예방하여 동안 손상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해상 부유 구조물을 제공하지만, 부유 구조물의 상면 상에 장착될 수 있는 마감재 등을 고정할 수 있는 별도의 방안을 개시하고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문헌에서는 복수의 단위 부유체를 상호 결합하는 과정에서 모서리부 간의 여유 공간이 부족하게 되어 수상에서 결합하는 데에 애로사항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단위 부유 구조체들을 상호 결합하는 과정에서 모서리에 형성된 연결부 간의 결합성을 향상하게 하거나 부유 구조체들의 상면에 배치되는 마감재와의 결합성을 향상하기 위한 부유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유 구조체는 상자형으로 이루어지면서 물 위에 설치되는 플로팅 몸체(10); 상기 플로팅 몸체(10)의 볼록한 상면(11)에 형성된 인서트 홈(13) 상에 삽입 고정되는 인서트 부재(20); 상기 플로팅 몸체(10)의 상면(11)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기체(30); 상기 플로팅 몸체(10)의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연결 브라켓(40); 및 상기 플로팅 몸체(10)의 외벽을 따라 형성되는 고정홈(50);을 포함한다.
상기 인서트 부재(20)는 상부 인서트 파트(21), 상기 상부 인서트 파트(21)에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하부 인서트 파트(23) 및 상기 상하부 인서트 파트(21,23)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체(22)를 포함한다.
상기 상하부 인서트 파트(21,23)의 직경은 서로 동일하며, 상기 연결체(22)의 직경보다는 크다.
상기 부유 구조체는,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플로팅 몸체(10)들 간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결속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속 부재는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연결 브라켓(40)을 상하로 정렬된 상태로 고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인 부유 구조체는 물보다 비중이 작은 플로팅 몸체 상에 마감재 등을 고정할 수 있는 인서트 부재를 삽입 고정하거나 상기 플로팅 몸체에 돌기체를 형성하는 과정을 통해서 상기 부유 구조체와의 결합성을 향상하거나 안정성을 증진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단위 부유 구조체를 연결하는 과정에 있어서 그 결합되는 높이가 서로 다른 복수의 연결 브라켓 간을 체결하는 결속 부재를 구비하여 안정적으로 복수의 단위 부유 구조체를 연결하게 하는 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부유 구조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위 부유 구조체의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복수의 단위 부유 구조체를 연결배치한 상태를 보이는 조립도,
도 5는 한쌍의 단위 부유 구조체의 결합된 측면부위를 통해 전선 등이 배치되는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위 부유 구조체의 사시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부재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위 부유 구조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위 부유 구조체의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복수의 단위 부유 구조체를 연결배치한 상태를 보이는 조립도, 도 5는 한쌍의 단위 부유 구조체의 결합된 측면부위를 통해 전선 등이 배치되는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위 부유 구조체의 사시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 부재의 사시도이다.
상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부유 구조체는 상자형으로 이루어지면서 물 위에 설치되는 플로팅 몸체(10), 플로팅 몸체(10)의 볼록한 상면(11)에 형성된 인서트 홈(13) 상에 삽입 고정되는 인서트 부재(20), 플로팅 몸체(10)의 상면(11)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기체(30), 플로팅 몸체(10)의 네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연결 브라켓(40) 및 플로팅 몸체(10)의 외벽에 횡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고정홈(50)을 포함한다.
인서트 부재(20)는 플로팅 몸체(10)의 상면을 통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플로팅 몸체(10)의 상부로 놓여지는 마감재 등을 평탄하게 고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인서트 부재(20)는 상부 인서트 파트(21), 상부 인서트 파트(21)에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하부 인서트 파트(23) 및 상하부 인서트 파트(21,23)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체(2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하부 인서트 파트(21,23)의 직경은 동일한 크기를 갖게 되고, 연결체(22)의 외부 직경보다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상하부 인서트 파트(21,23) 및 연결체(22)는 상하로 연통된 상태로 배치되고 내부에는 스크류 체결을 위한 암나사산(24)이 형성된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는 경우에 인서트 부재의 다른 실시예(20')로서는 상부 인서트 파트(21') 및 상부 인서트 파트(21)와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하부 인서트 파트(23')를 이룬 구조일 수 있다.
플로팅 몸체(10)의 상면(11)에 돌출되는 돌기체(30)는 플로팅 몸체(10) 상에 별도의 마감재 등이 설치되어지지 않은 경우에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며, 이를 통해 보행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돌기체(30)는 일예로서 장애인용 보도블럭 상에 돌출된 돌기부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연결 브라켓(40)은 플로팅 몸체(10)의 네 모서리에서 그 위치에 따라 높이를 달리하면서 설치되고,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플로팅 몸체(10)들 간의 결합시에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연결 브라켓(40)이 상하로 정렬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한쌍의 플로팅 몸체(10)들 간의 조립성 및 결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서로 다른 복수의 플로팅 몸체(10)들의 연결 브라켓(40)을 고정하게 하는 별도의 결속 부재(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결속 부재의 일 실시예로서는 상하로 배치된 복수의 연결 브라켓(40)을 관통 체결하는 형태이거나, 다른 실시예로서는 상하로 배치되는 한쌍의 연결 브라켓(40)에 끼워지는 돌기가 상하면에 형성되는 형태일 수 있다.
플로팅 몸체(10)의 측면을 따라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고정홈(50)은 한쌍의 플로팅 몸체(10)가 밀착 결합되는 경우에 일정한 통로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의 형성된 통로 상에 전기선 내지 수도관(1) 등이 설치된다.
즉, 고정홈(50)은 플로팅 몸체(10)와 플로팅 몸체(10)가 결합되어 서로 접촉되는 경우 일측의 고정홈(50)과 타측의 고정홈(50)이 서로 결합되면서 하나의 긴 중공 형상의 터널을 이루고, 이러한 터널에 전기선 내지 수도관(1)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전기선 내지 수도관(1)이 외부에 들어나지 않게 수용된다.
한편, 플로팅 몸체(10)가 별도의 구조물에 접촉되어 고정되는 경우 플로팅 몸체(10)의 고정홈(50) 외측에 구조물의 일면이 접촉됨으로써 그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고, 고정홈(50)의 공간에 전기선 또는 수도관이 설치되어 이들 또한 외부에 나타나지 않고 고정됨으로써 그 파손을 막아줄 수 있다.
플로팅 몸체(10)의 모서리 부위에는 네 개의 경사홈(15)이 형성되는데 4개의 플로팅 몸체(10)가 상호 결합되는 경우에는 네 개의 경사홈(15)이 결합하여 반구 형상의 수용홈을 이루게 된다. 도 4를 참조로 설명하면, 반구형의 수용홈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수용홈에 부유 구조체(100)의 부대 시설을 위한 기둥(미도시) 등이 삽입고정될 수 있다.
즉, 수용홈 상에 전기선 내지 수도관(1) 등이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수용홈의 상부에 조명시설이 설치될 경우 조명시설의 기둥 내부로 전기선을 설치할 수 있고, 수용홈의 상부에 수도시설이 설치될 경우 수도시설의 관과 수도관(1)을 연결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각종 부대시설의 설치에도 전기선 내지 수도관(1)이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이들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것과 같이 플로팅 몸체(10)의 측면에 상하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쌍의 고정홈(50)이 형성되며, 각각의 고정홈(50)은 전기선과 수도관의 직경에 대응되는 사이즈로 플로팅 몸체(10)의 측외벽에 오목하게 구성되어, 각 고정홈(50) 내에 전기선 내지 수도관(1)을 각각 분리된 상태로 삽입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고정홈(50)을 통해 전기선 내지 수도관(1)을 수용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그 구조가 개선된 부유 구조체(100)를 통해 각 플로팅 몸체(1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안정된 플로트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고, 플팅 구조물에 설치되는 전기선 및 수도관을 효과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전기선 및 수도관의 노출로 인한 파손을 막아줄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부유 구조체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 구별되는 기술적 특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부유 구조체는 상자형으로 이루어지면서 물 위에 설치되는 플로팅 몸체(10), 플로팅 몸체(10)의 상면(11) 상에 삽입 고정되는 인서트 부재(20), 플로팅 몸체(10)의 상면(11)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기체(30), 플로팅 몸체(10)의 네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연결 브라켓(40), 플로팅 몸체(10)의 외벽에 횡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고정홈(50), 플로팅 몸체(10) 상에 상하로 배치되는 수위표시부(60) 및 플로팅 몸체(10)의 측면 상에 수위 조절을 위해 설치되는 물 주입구(70)를 포함한다.
수위표시부(60)는 부유 구조체가 수중에 설치된 상태에서 어느 정도 물 속에 잠긴 상태인지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물 주입구(70)는 부유 구조체의 수중에서의 잠김 정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물을 추가적으로 보충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플로팅 몸체
20 : 인서트 부재
30 : 돌기체
40 : 연결 브라켓
50 : 고정홈
100 : 부유 구조체

Claims (4)

  1. 상자형으로 이루어지면서 물 위에 설치되는 플로팅 몸체(10);
    상기 플로팅 몸체(10)의 볼록한 상면(11)에 형성된 인서트 홈(13) 상에 삽입 고정되는 인서트 부재(20);
    상기 플로팅 몸체(10)의 상면(11)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기체(30);
    상기 플로팅 몸체(10)의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연결 브라켓(40); 및
    상기 플로팅 몸체(10)의 외벽을 따라 형성되는 고정홈(50);을 포함하는,
    부유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부재(20)는 상부 인서트 파트(21), 상기 상부 인서트 파트(21)에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하부 인서트 파트(23) 및 상기 상하부 인서트 파트(21,23)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체(22)를 포함하는,
    부유 구조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인서트 파트(21,23)의 직경은 서로 동일하며, 상기 연결체(22)의 직경보다는 큰,
    부유 구조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 구조체는,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플로팅 몸체(10)들 간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결속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속 부재는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연결 브라켓(40)을 상하로 정렬된 상태로 고정하는,
    부유 구조체.
KR1020140107984A 2014-08-19 2014-08-19 부유 구조체 KR201600221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984A KR20160022175A (ko) 2014-08-19 2014-08-19 부유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984A KR20160022175A (ko) 2014-08-19 2014-08-19 부유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2175A true KR20160022175A (ko) 2016-02-29

Family

ID=55448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7984A KR20160022175A (ko) 2014-08-19 2014-08-19 부유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221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963B1 (ko) * 2016-03-14 2017-01-26 아진기공 주식회사 폰툰의 개량형 미끄럼 방지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963B1 (ko) * 2016-03-14 2017-01-26 아진기공 주식회사 폰툰의 개량형 미끄럼 방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7015B1 (ko) 콘크리트 부유체 및 이를 이용한 부유조립체
KR102292821B1 (ko) 부유 가능한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및 그 제작 방법
KR101448948B1 (ko) 부력체 연결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부잔교
RU2010150346A (ru) Плавучая платформ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ею
JP2017513774A (ja) 海上浮遊構造物用浮力パイプの連結ソケット
KR20120042141A (ko) 사장식 초장대 해중터널 및 그 시공방법
KR100270931B1 (ko) 침하식어류가두리양식장치
KR101143949B1 (ko) 금속제 프레임이 구비된 폰툰 및 이를 이용한 부유구조물
KR101926737B1 (ko) 해상 부유체 계류장치
KR20160022175A (ko) 부유 구조체
KR20100114357A (ko) 부유식 방파제 및 그 시공방법
RU2571681C2 (ru) Наливной рукав
KR102105709B1 (ko) 해상부유 구조물
KR101240871B1 (ko) 조립식 부잔교
KR200429685Y1 (ko) 조립식 부교
KR101656071B1 (ko) 어소하우징이 구비된 플로팅폰툰모듈
KR101119197B1 (ko) 다기능 콘크리트 부유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1000964B1 (ko) 폰툰형 구조물
KR102365694B1 (ko) 부잔교의 연결장치
KR100989113B1 (ko) 플로트
KR101957487B1 (ko) 스티로폼 내장형 부잔교
KR101919870B1 (ko) 커넥터 블록을 이용한 조립식 부유 해상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0434087Y1 (ko) 플로트
KR101193622B1 (ko) 롤링-피칭 감쇠수단을 가진 수상 부유체의 부력관 지지대
KR20140059396A (ko) 부양식 해저 배관 고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