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8711B1 - 부유식 방파제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부유식 방파제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8711B1
KR101028711B1 KR1020090032850A KR20090032850A KR101028711B1 KR 101028711 B1 KR101028711 B1 KR 101028711B1 KR 1020090032850 A KR1020090032850 A KR 1020090032850A KR 20090032850 A KR20090032850 A KR 20090032850A KR 101028711 B1 KR101028711 B1 KR 101028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floating block
block
water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4357A (ko
Inventor
김용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랜드
Priority to KR1020090032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8711B1/ko
Publication of KR20100114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4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2Constructions floating in operational condition, e.g. breakwaters or wave dissipating wa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내에 계류된 선박이나 시설물을 보호하기 위한 방파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약지반이거나 수심편차가 심하더라도 시공이 간편하고 용이하면서 공사비용의 절감 및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부유식 방파제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부력을 갖는 충전재에 의해 수면에서 부유 가능하며 상하로 다수의 고정구멍이 관통 형성된 부유블록과; 상기 부유블록의 하부 양측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중 바닥에 꽂히는 다수의 지지대와; 상기 부유블록의 고정구멍을 통해 수중 바닥에 박혀서 부유블록의 부유위치를 고정하는 다수의 말뚝과; 상기 부유블록의 상면으로 돌출된 상기 말뚝들의 상단과 일체로 고정된 다수의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와 말뚝들이 안정을 유지하도록 그 양측의 수중 바닥에 박힌 페그와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로 연결하는 와이어와; 상기 수평바의 양단이 노출되도록 상기 부유블록의 상부에 고정되고, 내부에 부력을 갖는 충전재가 조밀하게 충전되고 양측면이 서로 대칭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소파블록을 포함하는 부유식 방파제가 개시된다.
방파제, 부유블록, 소파블록, 말뚝, 와이어

Description

부유식 방파제 및 그 시공방법{Floating type breakwat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항내에 계류된 선박이나 시설물을 보호하기 위한 방파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약지반이거나 수심편차가 심하더라도 시공이 간편하고 용이하면서 공사비용의 절감 및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부유식 방파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파제는 외해(外海)로부터의 파랑(波浪)을 막아서 내항(內港)을 보호 및 항내 해수면의 정온(靜穩)을 유지하여 선박이 안전하게 정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로써, 콘크리트나 암석 등의 구조체를 해양에 투석하여 해저로부터 제방을 쌓아 올리는 형태의 이른바 고정식 방파제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고정식 방파제는 파랑을 효과적으로 막아주는 장점은 있으나 연약지반 및 수심이 깊고 편차가 심한 경우 시공이 상당히 곤란할 뿐만 아니라 지반개량 등에 따른 공사비 증가 및 공기(工期) 지연으로 인해 비경제적이며, 또 해수의 흐름을 방해하여 자칫 내항의 수질 악화에 따른 해양오염을 유발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사항을 감안하여 시공이 간편하고 경제적이며, 해수의 흐름이 원활하도록 하면서 파랑 효과적으로 소멸시킬 수 있는 부유식 방파제를 개발하고자 다년간 예의 연구하여 왔으며,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여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부유식 방파제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공사비 절감 및 공기를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부유식 방파제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부력을 갖는 충전재에 의해 수면에서 부유 가능하며 상하로 다수의 고정구멍이 관통 형성된 부유블록과; 상기 부유블록의 하부 양측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중 바닥에 꽂히는 다수의 지지대와; 상기 부유블록의 고정구멍을 통해 수중 바닥에 박혀서 부유블록의 부유위치를 고정하는 다수의 말뚝과; 상기 부유블록의 상면으로 돌출된 상기 말뚝들의 상단과 일체로 고정된 다수의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와 말뚝들이 안정을 유지하도록 그 양측의 수중 바닥에 박힌 페그와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로 연결하는 와이어와; 상기 수평바의 양단이 노출되도록 상기 부유블록의 상부에 고정되고, 내부에 부력을 갖는 충전재가 조밀하게 충전되고 양측면이 서로 대칭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소파블록을 포함하는 부유식 방파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부유블록의 양측에 인접하는 다른 부유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이 구비된 부유식 방파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부유블록의 상면에 형성된 조립홈과; 상기 부유블록의 측면에 형성된 밀착홈과; 상기 조립홈과 밀착홈을 관통하여 형성된 연결구멍과; 상기 밀착홈과 인접하는 다른 부유블록의 대향하는 밀착홈에 밀착 삽입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연결구멍을 통해 상기 조립홈으로 돌출되는 나사봉과, 상기 나사봉과 상기 조립홈을 통해 결합되면서 상기 몸체와 고정시키는 암나사로 이루어진 커넥터를 포함하는 부유식 방파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와이어는 그 길이 및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턴버클이 구비된 부유식 방파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준비공정에 의해 부력을 갖도록 형성되고 양측면에 지지대가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다수 설치된 부유블록을 수면에 띄우는 제1단계; 상기 부유블록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다수의 고정구멍을 통해 말뚝을 수중 바닥에 박아 넣어 부유블록의 부유위치를 고정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 의해 부유블록의 상면에 동일한 높이로 돌출된 말뚝들의 상단에 수평바를 고정하는 제3단계; 상기 부유블록의 상면에 상기 수평바의 양단이 노출되고, 상부로 갈수록 폭이 협소하면서 내부에 다수로 분할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거푸집을 설치하는 제4단계;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상부가 개구된 구조물을 형성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에 의해 형성된 구조물의 내부공간에 부력을 갖는 충전재를 조밀하게 충전하는 제6단계; 상기 제6단계를 거친 구조물의 개구부를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으로 폐쇄시켜 소파블록을 형성하는 제7단계; 상기 수평바들과 일직선상으로 부유블록 양측의 수중 바닥에 페그를 박고, 수평바 각각의 양단을 와이어로 팽팽하게 페그에 연결 고정하는 제8단계로 이루어지는 부유식 방파제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을 갖는 본 발명은 기존과 달리 연약지반의 개량이나 준설치환 등이 필요하지 않고 수심의 깊이나 편차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하여 현장적용성 및 설치편의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시공이 간편하고 용이하여 공사비용을 크게 절감함은 물론 공기를 대폭적으로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경제성 및 생산성이 월등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와 지지대 등의 지지수단에 의해 수평적 지지력이 보강되므로 너울, 파랑 등의 횡방향 외력에 대한 대항력을 확보하여 흔들림이나 유동없이 안정적인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여러 개의 부유블록을 연결하더라도 조립상태가 견고하고 구조적 강성이 우수하여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그로 인해 설치수명이 대폭 연장될 수 있는 매우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수의 흐름이 양호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내항의 수질 악화에 따른 해양오염의 우려도 매우 적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기술분야에서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방파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방파제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횡방향 단면도 및 종방향 요부 확대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방파제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모식도로써,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방파제는 부유블록(10), 지지대(20), 말뚝(30), 수평바(40), 와이어(50), 소파블록(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부유블록(10)은 방파제의 기초를 이루는 것으로, 수면에서 부유 가능하도록 부력을 갖는 충전재(19)가 조밀하게 충전된 상태로 내장되어 있고, 좌우 양측으로 가로지르는 보강바(12)가 다수 설치되어 있으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패턴의 배열을 가지면서 상하로 관통된 고정고멍(11)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부유블록(10)의 양측에는 인접하는 다른 부유블록(10-1)을 연결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개구된 조립홈(13)과, 측방으로 개구된 밀착홈(14)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조립홈(13)과 밀착홈(14) 사이를 관통 연결하는 연결구멍(15)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부유블록(10)은 내부 공간이 밀폐되고 육면체 형태로 형성된 경량의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울러 충전재(19)는 물을 흡수하지 아니하면서 물보다 비중이 낮아 수중에서 부상하는 것으로 부유블록(10)의 상부하중 및 소파블록(60)의 연직하중을 지지하는 부력을 가지는 통상의 모든 소재가 가능하며, 예를 들어 발포성 폴리스틸렌(Expandable Polystyrene.EPS) 수지를 포함한 각종 합성수지, 천연 또는 합성 고무, 실리콘, 방수 처리된 목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부유블록(10)과 인접하는 다른 부유블록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별도의 커넥터(70)를 포함하여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커넥터(70)의 바람직한 예는 밀착홈(14)과 인접하는 다른 부유블록(10-1)의 대향하는 밀착홈(14-1)에 밀착 삽입되는 몸체(71)가 구비되어 있고, 연결구멍(15)을 통해 조립홈(13)으로 돌출되는 나사봉(72)이 몸체(71)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나사봉(72)과 조립홈(13)을 통해 결합되면서 몸체(71)와 고정시키는 암나사(73)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커넥터(70)는 부유블록(10)들의 조립상태가 한층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너울과 같은 외력을 받더라도 부유블록(10,10-1)들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대(20)는 부유블록(10)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부유블록(10)의 하부 양측으로 양단이 노출된 보강바(12)와 힌지결합 방식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대(20)는 부유블록(10)을 수면에 띄울 시 아래쪽 단부가 수중 바닥에 꽂히면서 파랑에 대하여 안정적인 횡방향 지지력을 확보하면서 부유블록(10)의 자유로운 이동이나 흔들림을 방지게 되고, 이를 통해 부유블록(10)의 부유위치의 설정 및 그 설치과정이 훨씬 수월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말뚝(30)은 부유블록(10)의 부유위치를 고정하는 것으로, 하단부가 부유블록(10)의 고정구멍(11)을 통해 수중 바닥에 깊숙히 박히게 되는데, 이때 그 상단은 일정한 높이로 부유블록(10)의 상면으로 돌출되게 된다.
이러한 말뚝(30)은 해머 등의 도구에 의해 부유블록(10)에 일정 패턴으로 형성된 다수의 고정구멍(11)을 통해 수중 바닥에 일일이 박힘으로써 부유블록(10)이 유동없이 견고한 설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수평바(40)는 말뚝(30)들의 상단과 일체로 고정되는 것으로, 양단이 소파블록(60)의 양측면으로 가로질러 노출되어 있고, 그 양단에는 와이어(50)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고리(4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수평바(40)는 부유블록(10)의 상면으로 돌출된 말뚝(30)들과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말뚝(30)의 지지력을 보강하여 하나의 말뚝이 개별적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와이어(50)의 팽팽한 긴장력을 개개의 말뚝(30)에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와이어(50)는 수평바(40)의 양단과 수중 바닥에 박힌 페그(80) 사이에 팽팽한 긴장 상태를 유지하면서 연결되는 것으로, 부유블록(10) 및 소파블록(60)의 설치상태를 더욱 안정되고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와이어(50)의 중간에는 그 길이 및 장력을 자유로이 조절하기 위한 턴버클(55)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턴버클(55)은 그 너트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와이어(50)를 팽팽하게 당길 수가 있고, 그로 인해 부유블록(10) 및 와이어(50)를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소파블록(60)은 부유블록(10)의 상부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로 갈수록 협소한 폭을 가지도록 양측면이 서로 대칭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고, 부유블록(10)과 마찬가지로 수면에서 부유 가능하도록 부력을 갖는 충전재(69)가 다수로 분할된 내부 공간에 조밀하게 충전되어 있다.
여기서, 소파블록(60) 양측 경사면의 경사각은 설치장소의 파랑 성향, 중량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소파블록(60)은 입사되는 파랑을 막아 일부는 흡수시키고 일부는 경사면에 부딪혀 소거되도록 하면서 자연스럽게 물결파와의 충돌간섭을 약화시키므로 너울이나 파도로 인한 부유블록(10)의 흔들림을 최소화하게 된다. 따라서 방파제 자체의 흔들림으로 인한 2차적인 파도 발생이 억제되어 방파제 안쪽의 물결을 잔잔하게 유지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방파제의 시공과정을 도 5a 내지 5f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방파제의 시공방법 중 상술한 부유식 방파제의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그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배열로 고정구멍(11)이 다수 형성되고 부력을 갖도록 충전재(19)가 내장된 부유블록(10)을 준비공정에서 미리 제작한 후, 바지선 등의 운반수단을 이용하여 설치현장으로 이동시켜 수면에 살짝 띄운다. 이때, 부유블록(10)의 양측면에 구비된 지지대(20)를 회전시켜 하단부가 수중 바닥에 꽂히도록 함으로써 부유블록(10)이 부유위치에 임시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블록(10)의 고정구멍(11)에 말뚝(30)을 각각 꽂은 후 해머 등의 도구로 말뚝(30)의 하부를 수중 바닥에 박아 넣어 부유블록(10)의 부유위치를 고정시킨다. 이때, 말뚝(30)들은 부유블록(10)의 상면에 동일한 높이로 약간 돌출되도록 동시에 박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뚝(30)들의 상단에 수평바(40)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고정한다. 이때, 수평바(40)는 그 양단에는 와이어(5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고리(41)가 구비된 것을 사용한다.
여기서, 제조공장 등에서 여러 개의 말뚝(10)에 수평바(40)를 미리 고정한 상태로 제공함으로써 말뚝(30)을 수중 바닥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박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평바(40)의 고정작업을 생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블록(10)의 상면에 상부로 갈수록 폭이 협소하면서 내부에 다수로 분할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일정시간 동안 양생하여 상부가 개구된 소파블록(60)의 가구조물을 형성한다. 이때, 수평바(40)의 양단이 거푸집의 양측면으로 노출되도록 설치한다.
계속해서,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파블록(60) 가구조물의 내부공간에 부력을 갖는 충전재(69)를 조밀하게 충전한 후, 그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 및 일정시간 동안 양생함으로써 양측면이 부유블록(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비스듬하게 경사진 소파블록(60)을 완성한다.
다음으로,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블록(10) 양측의 수중 바닥에 수평바(40)들과 일직선상으로 페그(80)를 각각 박고, 수평바(40) 각각의 양단을 와이어(50)로 팽팽하게 페그(80)에 연결 고정한다. 이때, 턴버클(55)을 이용함으로써 그 설치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준비공정에 의해 마련된 하나의 부유블록(10)에 다른 부유블록(10-1)을 연결 설치할 경우에는 말뚝(30)을 설치하기 이전에 하나의 부유블록(10)과 인접하는 다른 부유블록(10-1)을 커넥터(70)로 연결하여 여러 부유블록들이 조립된 상태로 수면에 띄운 후 상술한 순서에 따라 설치하면 된다.
즉, 커넥터 몸체(71)의 한쪽면을 부유블록(10)의 측면에 형성된 밀착홈(14) 에 밀착시킴과 동시에 나사봉(72)을 연결구멍(15)을 통해 조립홈(13) 방향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암나사(73)를 채워 하나의 부유블록(10)과 고정시키고,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접하는 다른 부유블록(10-1)의 대향하는 밀착홈(14-1)에 커넥터 몸체(71)의 다른쪽면을 밀착시키고 나사봉(72)에 암나사(73)를 채워 부유블록(10,10-1)들이 서로 견고하게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최외측에 위치되는 부유블록(10)의 측면에 형성된 밀착홈(14)은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하여 폐쇄함으로써 연결구멍(15)을 통해 조립홈(13)으로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따라 설치되는 본 발명의 부유식 방파제는 연약지반의 개량이나 준설치환 등이 불필요하고 수심의 깊이나 편차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하여 해양 오염원이 원천적으로 배제되고 준비공정에 의해 공장 등에서 일부 완성 및 조립된 상태로 운반하여 공사현장에서 바로 설치가 가능하므로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시공공정을 최소화 및 작업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그에 따른 공사기간의 단축 및 인건비 등의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방파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방파제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횡방향 및 종방향 요부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방파제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모식도,
도 5a 내지 5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방파제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부유블록 11: 고정구멍
12: 보강바 13: 조립홈
14: 밀착홈 15: 연결구멍
19: 충전재 20: 지지대
30: 말뚝 40: 수평바
41: 연결고리 50: 와이어
55: 턴버클(Turnbuckle) 60: 소파블록
69: 충전재 70: 커넥터
71: 몸체 72: 나사봉
73: 암나사 80: 페그(Peg)

Claims (5)

  1. 부력을 갖는 충전재에 의해 수면에서 부유 가능하며 상하로 다수의 고정구멍이 관통 형성된 부유블록과;
    상기 부유블록의 하부 양측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중 바닥에 꽂히는 다수의 지지대와;
    상기 부유블록의 고정구멍을 통해 수중 바닥에 박혀서 부유블록의 부유위치를 고정하는 다수의 말뚝과;
    상기 부유블록의 상면으로 돌출된 상기 말뚝들의 상단과 일체로 고정된 다수의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와 말뚝들이 안정을 유지하도록 그 양측의 수중 바닥에 박힌 페그와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로 연결하는 와이어와;
    상기 수평바의 양단이 노출되도록 상기 부유블록의 상부에 고정되고, 내부에 부력을 갖는 충전재가 조밀하게 충전되고 양측면이 서로 대칭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소파블록;
    을 포함하는 부유식 방파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블록의 양측에 인접하는 다른 부유블록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 이 구비된 부유식 방파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상기 부유블록의 상면에 형성된 조립홈과;
    상기 부유블록의 측면에 형성된 밀착홈과;
    상기 조립홈과 밀착홈을 관통하여 형성된 연결구멍과;
    상기 밀착홈과 인접하는 다른 부유블록의 대향하는 밀착홈에 밀착 삽입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연결구멍을 통해 상기 조립홈으로 돌출되는 나사봉과, 상기 나사봉과 상기 조립홈을 통해 결합되면서 상기 몸체와 고정시키는 암나사로 이루어진 커넥터;
    를 포함하는 부유식 방파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그 길이 및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턴버클이 구비된 부유식 방파제.
  5. 준비공정에 의해 부력을 갖도록 형성되고 양측면에 지지대가 상하로 회전 가 능하게 다수 설치된 부유블록을 수면에 띄우는 제1단계;
    상기 부유블록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다수의 고정구멍을 통해 말뚝을 수중 바닥에 박아 넣어 부유블록의 부유위치를 고정하는 제2단계;
    상기 제2단계에 의해 부유블록의 상면에 동일한 높이로 돌출된 말뚝들의 상단에 수평바를 고정하는 제3단계;
    상기 부유블록의 상면에 상기 수평바의 양단이 노출되고, 상부로 갈수록 폭이 협소하면서 내부에 다수로 분할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거푸집을 설치하는 제4단계;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상부가 개구된 구조물을 형성하는 제5단계;
    상기 제5단계에 의해 형성된 구조물의 내부공간에 부력을 갖는 충전재를 조밀하게 충전하는 제6단계;
    상기 제6단계를 거친 구조물의 개구부를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으로 폐쇄시켜 소파블록을 형성하는 제7단계;
    상기 수평바들과 일직선상으로 부유블록 양측의 수중 바닥에 페그를 박고, 수평바 각각의 양단을 와이어로 팽팽하게 페그에 연결 고정하는 제8단계;
    로 이루어지는 부유식 방파제 시공방법.
KR1020090032850A 2009-04-15 2009-04-15 부유식 방파제 및 그 시공방법 KR101028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850A KR101028711B1 (ko) 2009-04-15 2009-04-15 부유식 방파제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850A KR101028711B1 (ko) 2009-04-15 2009-04-15 부유식 방파제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357A KR20100114357A (ko) 2010-10-25
KR101028711B1 true KR101028711B1 (ko) 2011-04-14

Family

ID=43133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850A KR101028711B1 (ko) 2009-04-15 2009-04-15 부유식 방파제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87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443B1 (ko) 2012-01-13 2012-06-01 주식회사 삼안 해안 및 항만 시설물 보호용 부양식 파도막이
KR20200064305A (ko) * 2018-11-29 2020-06-0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부유식 거품 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4225A (ko) * 2014-02-11 2015-08-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발전 구조물 지지장치
KR102165725B1 (ko) * 2019-12-11 2020-10-14 주식회사 한스마린 부잔교 시공용 콘크리트 부유 구조체
KR102242663B1 (ko) * 2020-09-15 2021-04-21 주식회사 한스마린 부잔교 시공용 콘크리트 부유 구조체의 제조 방법
CN115369812B (zh) * 2022-08-22 2023-12-15 交通运输部天津水运工程科学研究所 一种可提高稳定性的漂浮式防波堤及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6409U (ja) * 1993-04-07 1994-10-28 テイヒュー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製浮遊構造体
JP2004238814A (ja) 2003-02-03 2004-08-26 Jfe Engineering Kk 着底式防波堤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50045575A (ko) * 2003-11-12 2005-05-17 기성태 부유식 방파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6409U (ja) * 1993-04-07 1994-10-28 テイヒュー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製浮遊構造体
JP2004238814A (ja) 2003-02-03 2004-08-26 Jfe Engineering Kk 着底式防波堤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050045575A (ko) * 2003-11-12 2005-05-17 기성태 부유식 방파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443B1 (ko) 2012-01-13 2012-06-01 주식회사 삼안 해안 및 항만 시설물 보호용 부양식 파도막이
KR20200064305A (ko) * 2018-11-29 2020-06-08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부유식 거품 제거장치
KR102320137B1 (ko) * 2018-11-29 2021-10-2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부유식 거품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4357A (ko) 2010-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8711B1 (ko) 부유식 방파제 및 그 시공방법
ES2728170T3 (es) Plataforma de turbina eólica flotante y método de montaje
JP6835594B2 (ja) 浮体式構造物及び浮体式構造物の設置方法
US7942607B2 (en) Underwater tunnel
KR101411348B1 (ko) 콘크리트 부잔교
KR101500283B1 (ko) 다목적 수상구조물용 폰툰
KR101291326B1 (ko) 쇄파능력이 향상된 콘크리트 부유식 방파제
CA2980959C (en) Gravity-based foundation for the installation of offshore wind turbines
RU2603172C2 (ru) Плавучая морская платформа и центральная открытая килевая пластина
KR20110118669A (ko) 콘크리트-스틸 하이브리드 방식의 해상 풍력발전소용 잠수식 플랫폼
KR20170088856A (ko) 풍력 에너지를 활용하는 부유식 플랫폼
WO2013081475A1 (en) Modular hollow block structure
LT6027B (lt) Gravitacinio-estakadinio tipo hidrotechninis statinys
KR101227185B1 (ko) 안정성이 높은 콘크리트 부체
KR101642489B1 (ko) 반잠수식 해상 구조물
KR20090017001A (ko) 조립식 도크의 연결장치
US20090304448A1 (en) A floating pontoon body to be tied together with at least another pontoon body
KR100619738B1 (ko) 수상 정박장치
KR101000965B1 (ko) 폰툰형 구조물
KR101312920B1 (ko) 보강부재가 형성된 폰툰, 폰툰조립체 및 폰툰조립체 제조방법
KR102200448B1 (ko) 부력 보강용 에어파이프를 갖는 양식장용 부유식 구조물
KR102253127B1 (ko) 다기능 부유체
KR101000964B1 (ko) 폰툰형 구조물
KR100979256B1 (ko) 부유식 구조물의 횡 지지력 보강 계류방법
CN209194450U (zh) 一种防浪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