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2090A - 안경 케이스 - Google Patents

안경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2090A
KR20160012090A KR1020150103854A KR20150103854A KR20160012090A KR 20160012090 A KR20160012090 A KR 20160012090A KR 1020150103854 A KR1020150103854 A KR 1020150103854A KR 20150103854 A KR20150103854 A KR 20150103854A KR 20160012090 A KR20160012090 A KR 20160012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case
glasses
lenses
spectacl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3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시치로 하라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카이샤 지도리야 쇼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카이샤 지도리야 쇼케 filed Critical 가부시키카이샤 지도리야 쇼케
Publication of KR20160012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0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4Spectacle cases; Pince-nez ca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4Spectacle cases; Pince-nez cases
    • A45C11/043Spectacle cases; Pince-nez cases with cleaning mean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안경의 렌즈부를 확실하게 확보하고, 안경의 수납 및 빼냄이 용이하고, 케이스 본체를 다른 백 등에 수납한 경우라도 파손되기 어려우며, 케이스 본체의 수납 성능을 향상시킨다.
안경 케이스는, 안경의 양 렌즈의 상연부를 따라 이절됨으로써, 양 렌즈 및 코 패드를 전후에서 덮는 시트 형상 부재와, 상기 양 렌즈 및 코 패드의 대략 중간 위치로서, 시트 형상 부재 본체의 대향면에 각각 마련된 면 파스너나 마그넷 후크로 이루어진다. 안경을 수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이절된 시트 형상 부재는, 서로 겹쳐진 밀착된 얇은 케이스로 된다. 안경을 수납하는 경우는, 면 파스너 또는 마그넷 후크를 빼내, 시트 형상 부재의 하변부로부터 안경을 양 렌즈 상부를 안경 케이스의 위쪽을 향하여 삽통시키고, 양 렌즈의 전후를 끼워 넣도록 수납한다. 안경이 수납된 상태로, 양 파스너 또는 마그넷 후크를 전후에서 눌러 붙여 고착시킨다.

Description

안경 케이스{GLASSES HOLDER CASE}
본 발명은, 안경을 수납하는 안경 케이스에 관한 것이고, 특히 소형 경량이며 또한 착탈이 용이하고, 렌즈부를 유효하게 확보할 수 있는 안경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안경 케이스는, 힌지 등으로 연결된 합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하부 덮개와 상부 덮개로 이루어지는 하드 케이스나 피혁, 비닐, 천 등의 소재를 주머니 형상 또는 링 형상으로 한 소프트 케이스 등이 있고, 안경 전체를 덮도록 한 것이 주류이다.
안경 전체를 덮는 구성의 안경 케이스는, 안경의 크기보다도 크고, 휴대용으로서는 부적합하고, 백 등에 수납하여도 부피가 커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안경 전체를 덮는 것은 아니고, 렌즈부만을 덮도록 구성한 안경 케이스로서 특허문헌 1 내지 3과 같은 것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안경 케이스는, 하부 덮개와 상부 덮개로 이루어지는 하드 케이스 전체를 얇게 하여 렌즈부만을 수납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안경 케이스는, 사각형상의 천 소재(cloth material) 등의 본체의 표리 양면에 각각 이간된 위치에 세로로 긴 형상의 자기판 또는 면 파스너(벨크로나(®) 매직 테이프(®)와 같은 후크-앤드-루프형, 이하 "면 파스너"라 칭함)를 붙이고, 이 천 소재 본체로 렌즈부를 덮도록 하여 자기판 또는 면 파스너를 접착함으로써 덮개를 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안경 케이스는, 안경의 좌우 양쪽 렌즈의 표리 양면에 닿는 좌우 양쪽 렌즈 커버가 일체로 되어 있고, 덩굴 부분은 노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렌즈부만 커버하고, 덩굴 부분은 커버 밖으로 노출시켜 좌우 양쪽 렌즈의 표리 양면이 닿는 부분을 렌즈 닦는 소재로 구성한 것이다.
일본국 실개 평 05-055917호 공보 일본국 특개 2003-000327호 공보 일본국 특개 2005-278802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안경 케이스는, 전체적인 크기는, 종래의 안경 전체를 덮는 구성으로 한 것에 비해 절반 정도로 작게 하는 것은 가능한데, 휴대용으로서 부적합하고, 또한, 렌즈마다 케이스 전체의 형상을 변경해야 하며, 다양한 크기의 렌즈의 안경에 대응할 수가 없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안경 케이스는, 천 소재 등의 본체를 안경 렌즈부를 덮도록 감아 붙여 자기판 또는 면 파스너로 접착되어 있으므로, 본체가 렌즈부 주변을 회전 이동할 가능성이 있고, 그로 인해 자기판 또는 면 파스너의 접착 개소도 회전 이동하여 1 개소에 머무르지 않아 접착 개소를 찾기가 곤란하다. 또한, 안경을 수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천 소재 등의 본체를 그대로 휴대하면 되는 것인지, 자기판 또는 면 파스너로 접착한 상태로 휴대하면 되는 것인지, 또는 본체를 감아 돌려서 휴대하면 되는 것인지 불명확하고, 백 등에 수납한 경우, 천 소재 등의 본체가 오염되거나, 손상되거나, 비틀리거나, 자기판 또는 면 파스너가 벗겨지거나 할 가능성이 있고, 안경 케이스 본체의 수납 성능에 문제가 있어 실용적이지는 않다.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안경 케이스는, 렌즈 닦는 소재 등의 커버를 좌우 양쪽 렌즈의 표리 양면에 닿도록 구성하고, 각각의 커버 하단부의 내면에 영구 자석과 자성판을 각각 부착해야 하고, 각각의 커버가 렌즈를 전체적으로 덮게 되는 크기를 구비하고 있어야 하며, 나아가 영구 자석과 자성판을 부착하기 위한 여유도 필요하여, 커버 자체가 비교적 커진다. 또한, 렌즈의 크기가 여러 가지로 다를 경우에 있어서의 대응이 곤란하여 실용적이지 않았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안경의 렌즈부를 확실하게 보호하고, 안경의 수납 및 빼냄이 용이하고, 케이스 본체를 다른 백 등에 수납한 경우에도 파손되기 어려우며, 케이스 본체의 수납 성능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안경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 케이스의 제1의 특징은, 안경의 양 렌즈의 상연부를 따라 이절(二折)됨으로써, 상기 양 렌즈 및 코 패드를 전후에서 덮는 시트 형상 부재와, 상기 양 렌즈 및 상기 코 패드의 대략 중간 위치로서, 상기 시트 형상 부재 본체의 대향면에 각각 마련된 탈착 부재로 구성되는 점에 있다.
시트 형상 부재는, 안경의 양 렌즈의 상연부를 따라 이절됨으로써, 안경의 양 렌즈 및 코 패드를 전후에서 덮게 되는 형상이다. 즉, 이절됨으로써, 시트 형상 부재는, 경첩처럼 개폐하도록 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안경의 양 렌즈 및 코 패드만을 전후에서 덮도록 된 형상을 하고 있다. 시트 형상 부재의 양단부에 있어서의 양 렌즈 및 코 패드의 대략 중간 위치로서, 상기 시트 형상 부재 본체의 대향면에, 각각 탈착 가능한 탈착 부재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안경 케이스는 안경을 수납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이절된 시트 형상 부재가 서로 겹쳐진 밀착된 얇은 케이스로 된다. 이 안경 케이스에 안경을 수납하는 경우는, 탈착 부재를 빼내 이절된 시트 형상 부재의 하변부를 열고, 양 시트를 이반시킨다. 이반에 의해 형성된 시트 형상 부재의 하변부에 형성된 공간부로부터 안경의 양 렌즈 상부를 안경 케이스의 위쪽으로 향하여 삽통시킨다. 이 삽통에 의해, 이절된 시트 형상 부재는 안경의 양 렌즈 및 코 패드를 전후에서 끼워 넣도록 수납한다. 안경이 수납된 상태로, 탈착 부재를 전후에서 눌러 붙여 고착함으로써, 안경 케이스는, 안경을 확실하게 수납할 수가 있게 된다. 시트 형상 부재는, 2 장의 시트 형상 부재로 구성하고, 그 상변부를 따른 대향면을 각각 고착함으로써, 2 장의 시트 형상 부재를 경첩과 같이 개폐 가능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2 장의 시트 형상 부재의 상변부를 따른 대향면을 각각 고착함으로써, 2 장의 시트 형상 부재에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부세력(付勢力)이 각각 걸리게 되기 때문에, 안경이 수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2 장의 시트 형상 부재는 밀착되어 서로 겹쳐진 얇은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 케이스의 제2의 특징은, 상기 제1의 특징으로 기재된 안경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시트 형상 부재는 상기 양 렌즈 및 상기 코 패드를 그 전후에서 덮도록 된 대략 장방 형상인 점에 있다.
이것은, 안경 케이스를 구성하는 시트 형상 부재의 형상을 대략 장방 형상으로 한 것이다. 시트 형상 부재의 형상은, 양 렌즈 및 코 패드를 전후에서 덮을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는데, 대략 장방형(모서리가 둥글게 된)인 것이 제조하기 쉬우며, 케이스 본체를 백 등에 수납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 케이스의 제3의 특징은, 상기 제1의 특징으로 기재된 안경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시트 형상 부재의 어느 한쪽에, 상기 코 패드가 접촉되었을 때에 상기 코 패드가 밖으로 돌출 가능하게 하는 절개를 마련한 점에 있다.
이것은 안경의 패드가 시트 형상 부재의 어느 한쪽에 접촉함으로써 시트 형상 부재가 변형되므로, 그 변형을 극력 적게 하기 위해 절개를 마련한 것이다. 그리고 절개 대신, 개구를 마련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 케이스의 제4의 특징은, 상기 제1의 특징으로 기재된 안경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탈착 부재는, 면 파스너, 자기판 또는 자기 후크로 구성되는 점에 있다.
면 파스너, 자기판 또는 자기 후크는 얇기 때문에, 안경 케이스가 닫힌 상태를 얇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얇은 안경 케이스는, 지갑 등에도 수납할 수 있어, 케이스 본체 자체의 수납 성능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 케이스의 제5의 특징은, 상기 제1의 특징으로 기재된 안경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이절된 상기 시트 형상 부재의 한쪽에 확대경으로서 기능하는 프레넬 렌즈를 더 마련한 점에 있다.
이절된 시트 형상 부재의 한쪽에 프레넬 렌즈를 마련함으로써, 확대경을 사용하고 싶을 때의 안경 케이스를 꺼냄으로써 바로 이용할 수 있게 되고, 확대경 이용 시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프레넬 렌즈의 두께가 0.5 ~ 2.0 [mm]로 비교적 얇기 때문에, 이절된 안경 케이스에 마련하여도, 그 전체적인 두께를 확대하는 일도 없다. 시트 형상 부재에 비교적 연질의 재료를 사용한 경우에, 연질의 프레넬 렌즈의 존재에 의해, 이절된 안경 케이스의 외관 형상을 대략 장방 형상으로 유지할 수가 있다. 프레넬 렌즈는, 이절된 시트 형상 부재의 한쪽의 양측 단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이외의 장소에 마련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 케이스의 제6의 특징은, 상기 제5의 특징으로 기재된 안경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시트 형상 부재의 다른 쪽과 상기 프레넬 렌즈와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천 부재를 마련한 것에 있다.
프레넬 렌즈를 이절된 시트 형상 부재의 한쪽에 마련한 경우, 안경 케이스에 안경을 수납할 때에, 안경의 렌즈와 프레넬 렌즈가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시트 형상 부재의 다른 쪽과 프레넬 렌즈와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천 부재를 마련한 것이다. 프레넬 렌즈가 이절된 시트 형상 부재의 한쪽의 양측 단부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천 부재는, 시트 형상 부재의 한쪽의 양측 단부의 프레넬 렌즈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쪽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프레넬 렌즈가 마련되어 있는 같은 쪽에 마련하여도 됨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의 안경 케이스에 따르면, 안경의 렌즈부를 확실하게 보호하고, 안경의 수납 및 빼냄이 용이하며, 케이스 본체를 다른 백 등에 수납한 경우에도 파손되기 어려우며, 케이스 본체의 수납 성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경 케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안경 케이스에 안경을 수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안경 케이스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안경 케이스에 안경을 수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안경 케이스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안경 케이스의 사용 양태를 나타내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안경 케이스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안경 케이스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경 케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A)는, 안경 케이스의 정면도, 도 1(B), (C)는, 도 1(A)를 오른쪽에서 본 측면도, 도 1(D)는, 도 1(A)를 뒤쪽에서 본 이면도(裏面圖)이다. 도 2는, 도 1의 안경 케이스에 안경을 수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안경 케이스(1)는, 도시하고 있지 않은 안경의 양 렌즈 및 코 패드를 덮는 정도의 크기로 된 대략 장방 형상의 2 장의 시트 형상 부재(11, 12)로 구성된다. 시트 형상 부재(11, 12)는, 피혁, 비닐, 천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고, 2 장 모두 같은 형상을 하고 있다. 시트 형상 부재(11, 12)의 상변부는, 목면사, 견사, 폴리에스테르사, 폴리아미드계 섬유사 등으로 봉합되어 있다. 실의 봉합은, 재봉틀 등의 기계 봉재이어도 손봉재여도 좋다. 도 1에서는, 실에 의한 봉합 개소(13)를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렌즈에 접촉하는 부분, 즉, 시트 형상 부재(11) 측에 보호막 등을 가지면, 시트 형상 부재(11, 12)는, 플라스틱 등의 유연성이 높은 재질로 구성하여도 좋다.
안경 케이스(1)는, 시트 형상 부재(11, 12)의 상변부를 따른 대향면을 봉합시켜 고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2 장의 시트 형상 부재(11, 12)의 상변부를 따른 대향면을 고착시킴으로써, 도 1(B)의 측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첩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부세력이 2 장의 시트 형상 부재(11, 12)에는 각각 걸리고, 2 장의 시트는 닫히는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되어 있다. 2 장의 시트 형상 부재(11, 12)의 하변부의 대략 중앙 부근에는, 면 파스너(14, 15)로 이루어지는 탈착 부재가 부착되어 있다. 면 파스너(14)는 시트 형상 부재(11) 측에, 면 파스너(15)는 시트 형상 부재(12) 측에, 2 장의 시트 형상 부재(11, 12)의 대향면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즉, 면 파스너(14, 15)는, 안경의 코 패드의 거의 중간 부분 및 안경의 양 렌즈의 대략 중간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위치에 면 패스너(15, 15)를 배치함으로써, 시트 형상 부재(11, 12)의 종방향의 길이를 렌즈의 길이와 거의 같게 할 수가 있어, 안경 케이스(1) 본체의 소형화를 달성할 수 있다.
면 파스너(14, 15)는, 어느 한쪽이 후크 형상으로 기모된 후크면이고, 다른 쪽이 루프형상으로 밀집되어 기모된 루프면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 이외에도, 후크형상 기모와 루프형상 기모의 양쪽이 심어 넣어져, 후크면과 루프면과의 구별이 없는 타입의 면 파스너를 사용하여도 된다. 나아가서는, 머쉬룸 형상으로 기모되어 있어 결합력이 강한 클릭 타입, 톱니 형상의 샤크 바이트(상어 이빨) 타입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면 파스너 대신 탈착 부재로서, 자기판 또는 자기 후크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자기판은, 면 파스너와 마찬가지로 얇은 판재이므로 바람직하다. 자기 후크 등은 약간의 요철이 발생하는데, 극력 얇은 것을 사용함으로써 충분히 대응 가능하다.
시트 형상 부재(12)의 거의 중앙 부근에는, 크로스형상(X 자형)의 절개(슬릿)(16)가 개설되어 있다. 절개(16)는, 코를 양 옆에서 끼우도록 안경을 고정시키는 부위의 패드(코 패드)가 시트 형상 부재(12)에 접촉하였을 때에, 이 절개(16)를 개재시켜 돌출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 절개(16)에 의해, 시트 형상 부재(12)가 패드에 접촉하였을 때의 변형을 적게 할 수가 있다. 절개(16) 대신 개구를 마련하여도 된다. 이 개구를 코 패드의 형상에 맞춰도 되며, 이것보다도 충분하게 큰 것이어도 된다.
안경 케이스(1)에 안경을 수납하는 경우에는, 시트 형상 부재(11, 12)의 하변부를 열어 면 파스너(14, 15)를 이반시킨다. 면 파스너(14, 15)의 이반에 의해 형성된 시트 형상 부재(11, 12)의 하변부의 공간부로부터 안경의 양 렌즈 상부를 화살표(17)의 방향을 따라 삽통시킨다. 이 삽통에 의해, 시트 형상 부재(11, 12)는 안경의 양 렌즈의 전후를 끼워 넣게 된다. 안경 전체가 시트 형상 부재(11, 12)에 끼워 넣어져 수납된 상태로, 면 파스너(14, 15)를 전후에서 눌러 붙임으로써, 안경 케이스(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경을 확실하게 수납할 수 있다. 이 면 파스너(14, 15)의 크기는, 안경 케이스(1)의 시트 형상 부재(14, 15)를 고착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이면 좋다.
도 3은, 도 1의 안경 케이스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3(A)는, 안경 케이스의 정면도, 도 3(B)는, 도 3(A)의 안경 케이스를 오른쪽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안경 케이스에 안경을 수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4(A)는, 안경을 수납한 안경 케이스의 정면도, 도 4(B)는, 도 4(A)를 오른쪽에서 본 측면도, 도 4(C)는, 도 4(A)를 위에서 본 상면도이다. 도 4에서는, 안경은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와 같은 구성의 것에는 동일한 부호가 붙여져 있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및 도 4의 안경 케이스가 도 1 및 도 2의 것과 다른 점은, 도 1 및 도 2의 안경 케이스로부터 절개(16)를 생략하고, 시트 형상 부재(21, 22)의 길이를 다르게 한 점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개(16)가 존재함으로써, 절개(16)로부터 안경의 패드가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변형되므로, 안경 케이스(1)의 시트 형상 부재(11, 12)의 종방향의 길이를 거의 같게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절개(16)를 생략함으로써, 안경 패드의 돌출 부분만큼 시트 형상 부재(22)의 종방향의 길이를 길게 설정함으로써, 안경 패드의 돌출량을 흡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2(B)와 도 4(B)를 비교해 보면, 시트 형상 부재(22)가 안경의 패드에 대응하여 크게 변형되어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안경의 패드가 그렇게 크게 돌출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시트 형상 부재(21, 22)의 종방향의 길이를 같게 하여도 됨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안경 케이스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의 안경 케이스(3)에서는, 2 장의 시트 형상 부재의 상변부를 따른 대향면을 고착시킴으로써 개폐 가능하게 안경 케이스(3) 본체를 형성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1 장의 시트 형상 부재(31)를 안경의 양 렌즈의 상연부를 따라 이절시킴으로써, 양 렌즈 및 코 패드를 전후에서 덮도록 한 것이다. 시트 형상 부재(31)의 거의 중앙에 나타내는 점선은, 양 렌즈의 상연부를 따라 이절된 개소의 절첩선(折疊線, 32)이다. 이 절첩선(32)의 하측이 안경의 양 렌즈의 앞면측에 대향하는 하부 시트 형상 부재(31a)이고, 상측이 양 렌즈의 뒷면측 및 코 패드 측에 대향하는 상부 시트 형상 부재(31b)이다. 하부 시트 형상 부재(31a)에는 면 파스너(34)가, 상부 시트 형상 부재(31b)에는 면 파스너(35)가 각각 이절된 경우에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도 5는, 시트 형상 부재(31)를 열은 상태의 안경 케이스(3)의 내측을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경 케이스(3)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안경 케이스(1, 2)와는 달리, 하부 시트 형상 부재(31a)의 양측 단부의 한쪽(도면에서는 우측 단부)에 안경 닦개가 되는 대략 장방 형상의 천 부재(36)가 절첩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다른 쪽(도면에서는 좌측 단부)에 대략 장방 형상의 프레넬 렌즈(37)가 절첩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 프레넬 렌즈(37)는, 사전, 신문, 책, 잡지, 시각표, 전화수첩, 지도 등의 작은 문자나 세밀한 도면 등을 선명하게 확대하기 위한 확대경으로서 기능한다. 프레넬 렌즈(37)는, 두께가 0.5 ~ 2.0 [mm]의 시트 형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서는, 프레넬 렌즈(37)의 중심이 안경의 양 렌즈의 거의 중앙 부근의 1 개소 또는 코 패드 부근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있는데, 안경의 양 렌즈 각각의 중심에 대응시켜 2 개소에 프레넬 렌즈의 중심이 위치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도 6은, 도 5의 안경 케이스의 사용 양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도 5에 나타낸 1 장의 시트 형상 부재(31)를 이절로 하여, 그 내측에 천 부재(36)를 절첩하여 수납하고, 그 좌외측에 프레넬 렌즈(37)를 돌출시켜서 확대경으로서 사용 가능하게 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절로 된 시트 형상 부재(31)로 이루어지는 안경 케이스(3)의 본체를 손으로 유지함으로써, 프레넬 렌즈(37)에 직접 손가락이 닿는 일 없이, 소망하는 개소에 배치할 수가 있다. 도 6(B)는, 도 5에 나타낸 1 장의 시트 형상 부재(31)를 이절하여, 그 내측에 프레넬 렌즈(37)를 절첩하여 수납하고, 그 우외측에 천 부재(36)를 돌출시켜서 안경 닦개로서 사용 가능하게 한 상태를 나타낸다. 안경 케이스(3)의 본체로부터 돌출한 천 부재(36)를 사용하여 안경의 렌즈 세척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도 6(C)는, 도 5에 나타낸 1 장의 시트 형상 부재(31)를 이절하여, 그 내측에 프레넬 렌즈(37) 및 천 부재(36)를 절첩하여 수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D)는, 도 6(C)의 수납한 상태를 우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6(C),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경 케이스(3)는, 천 부재(36) 및 프레넬 렌즈(37)를 갖고 있는데, 그 이외의 구성은, 도 3 및 도 4의 안경 케이스(2)와 같은 구성을 하고 있다. 그리고 도 6(C), (D)에서는, 프레넬 렌즈(37)가 하부 시트 형상 부재(31a)에 접촉하도록 대향되고, 천 부재(36)가 상부 시트 형상 부재(31b)에 접촉하도록 대향되어 있다. 즉, 이절된 시트 형상 부재(31)의 내측에 프레넬 렌즈(37)를 먼저 수납하고, 그 다음에 프레넬 렌즈(37)를 덮도록 천 부재(36)를 수납하고 있다.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안경 케이스(3)의 하부 시트 형상 부재(31a)와 천 부재(36)와의 사이에 안경을 수납한 경우, 프레넬 렌즈(37)와 안경의 양 렌즈의 앞면측과의 사이에는 천 부재(36)가 개재되도록 되기 때문에, 양자의 렌즈가 접촉하는 일은 없다. 또한,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시트 형상 부재(31)보다도 비교적 경질의 프레넬 렌즈(37)를 마련한 것에 의해, 이절로 된 시트 형상 부재(31)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본체(안경 케이스(3))의 외관 형상(외형)을 대략 장방형상으로 하여 고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시트 형상 부재(3), 프레넬 렌즈(37) 및 천 부재(36)의 두께가 각각 약 0.5 [mm]로 한 경우, 도 6(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경 케이스(3) 전체의 두께는 약 2.0 [mm] 정도로 얇게 할 수가 있기 때문에, 지갑 등에도 충분히 수납할 수가 있다.
도 7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안경 케이스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시트 형상 부재(41)로 이루어지는 안경 케이스(4)의 열린 상태를 나타내고, 도 7(B)는 그 안경 케이스(4)를 닫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5, 도 6의 안경 케이스(3)에서는, 하부 시트 형상 부재(31b)의 양측 단부에 천 부재(36)와 프레넬 렌즈(37)를 마련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도 7의 안경 케이스(4)에서는, 천 부재(36)와 프레넬 렌즈(37)를 생략하고, 1 장의 시트 형상 부재(41)를 안경의 양 렌즈의 상연부를 따라 이절로 하고, 면 파스너(34, 35) 대신, 마스넷 후크(44, 45)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시트 형상 부재(41)의 거의 중앙에 나타내는 점선이, 양 렌즈의 상연부를 따라 이절된 절첩선(42)이고, 이 절첩선(42)의 하측이 안경의 렌즈에 대향되는 하부 시트 형상 부재(41a)이고, 상측이 코 패드에 대향되는 상부 시트 형상 부재(41b)이다. 상부 시트 형상 부재(41b)의 양단부로서 절첩선(42)에 접하도록 반원형상의 절결부(42a, 42b)가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42a, 42b)는, 이절로 하였을 때에, 안경 프레임의 경첩(힌지)이 안경 케이스(4)의 본체측에 접촉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의 안경 케이스(4)의 하부 시트 형상 부재(41a)의 양단부에, 도 5 및 도 6과 같은 천 부재 및/또는 프레넬 렌즈를 마련하여도 좋다. 이 경우, 천 부재 및 프레넬 렌즈와 마그넷 후크(44, 45)가 상호 겹치게 되는 경우에는, 천 부재 및 프레넬 렌즈에 각각 절결부를 마련하여, 양자가 겹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안경의 양 렌즈에 접촉하는 부분, 즉, 하부 시트 형상 부재(41a)의 내측면에만 보호막 등을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위에서 설명한 안경 케이스(1, 2)를 제조하는 경우, 우선 면 파스너(14, 15)가 부착된 시트 형상 부재(11, 12, 21, 22)를 작성하고, 수납하는 안경의 사이즈(종방향의 길이)에 따라, 실에 의한 봉합 개소(13)를 결정하고, 그 다음에 시트 형상 부재(11, 12, 21, 22)를 봉합하여 고착하면, 안경의 사이즈에 합치된 안경 케이스(1, 2)를 작성할 수가 있다. 또한, 절개(16)에 대해서는, 수납하는 안경의 패드 크기에 따라, 절개(16)를 마련할 지의 여부를 결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시트 형상 부재(11, 12, 21, 22)를 실 등으로 봉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는데, 접착제 등으로 고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안경 케이스(1, 2)의 소재로서 유연성이 있는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한 경우, 플라스틱끼리를 녹여서 접착하여도 좋다.
위에서 설명한 안경 케이스(3, 4)의 시트 형상 부재(31, 41)로서, 피혁, 합성 피혁, 인공 피혁, 비닐, 천 등의 소재나 플라스틱 등의 유연성이 높은 재질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안경 케이스(4)의 경우, 안경의 렌즈와 접촉하는 개소의 하부 시트 형상 부재(41a)의 내측 전면(全面), 또는 시트 형상 부재(41)의 내측 전면에 마이크로 파이버 크로스나 실크(견) 등의 안경 닦개용 천 소재를 봉합하거나, 붙이거나 하여도 좋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안경 케이스(1) 내지 (4)의 외형의 형상은 일예이고, 모서리를 둥글게 하거나, 직각 형상 그대로 하거나, 또는 특수한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1, 2, 3, 4: 안경 케이스
11, 12, 21, 22, 31, 41: 시트형상 부재
31a, 41a: 하부 시트형상 부재
31b, 41b: 상부 시트형상 부재
13, 23: 봉합 개소
14, 15, 24, 25, 34, 35: 면 파스너
16: 절개
42a, 42b: 절결부
44, 45: 마그넷 후크

Claims (6)

  1. 안경의 양 렌즈의 상연부를 따라 이절(二折)됨으로써, 상기 양 렌즈 및 코 패드를 전후에서 덮는 시트 형상 부재와,
    상기 양 렌즈 및 상기 코 패드의 대략 중간 위치로서, 상기 시트 형상 부재 본체의 대향면에 각각 마련된 탈착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형상 부재는 상기 양 렌즈 및 상기 코 패드를 그 전후에서 덮도록 된 대략 장방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케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형상 부재의 어느 한쪽에, 상기 코 패드가 접촉하였을 때에 상기 코 패드가 밖으로 돌출 가능하게 하는 절개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케이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부재는, 면 파스너, 자기판 또는 자기 후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케이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절된 상기 시트 형상 부재의 한쪽에 확대경으로서 기능하는 프레넬 렌즈(Fresnel lens)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케이스.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형상 부재의 다른 쪽과 상기 프레넬 렌즈와의 사이에 개재되도록 천 부재를 더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케이스.
KR1020150103854A 2014-07-23 2015-07-22 안경 케이스 KR201600120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50018 2014-07-23
JP2014150018 2014-07-23
JPJP-P-2015-124922 2015-06-17
JP2015124922A JP2016028680A (ja) 2014-07-23 2015-06-22 眼鏡ケー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090A true KR20160012090A (ko) 2016-02-02

Family

ID=53539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3854A KR20160012090A (ko) 2014-07-23 2015-07-22 안경 케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60021999A1 (ko)
EP (1) EP2976961A1 (ko)
JP (1) JP2016028680A (ko)
KR (1) KR20160012090A (ko)
CN (1) CN105310229A (ko)
TW (1) TW20160374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64468B2 (en) * 2015-11-30 2018-09-04 Arthur Wu Eyeglass protectors
RO131607B1 (ro) 2016-09-02 2024-01-30 Răzvan Sabie Toc pentru ochelari
USD821865S1 (en) * 2017-03-29 2018-07-03 Curt A. Shaffer Packaging for eyewear
RO132229B1 (ro) * 2017-06-23 2024-03-29 Răzvan Sabie Toc pentru ochelari
CN107928060A (zh) * 2017-12-29 2018-04-20 广州视域光学科技有限公司 一种多功能眼镜盒
US20220248821A1 (en) * 2019-03-22 2022-08-11 Binoptics Sprl Assembly comprising spectacles and a case for storing said the spectacles
USD927180S1 (en) * 2019-08-01 2021-08-10 Oscar Lopez Glasses case with a clip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50701A (en) * 1951-12-18 1953-09-01 Kendrick T Parsell Spectacle case
JPS5545877U (ko) * 1978-09-20 1980-03-25
US4823943A (en) * 1987-11-09 1989-04-25 Non Nu, Inc. Eyeglasses case or contact lens case cover
JPH0555917U (ja) 1992-01-10 1993-07-27 洋子 向日 携帯用眼鏡ケース
US5471347A (en) * 1993-09-22 1995-11-28 Galiani; Alfred J. Magnifying container for printed matter
DE29818745U1 (de) * 1998-10-21 1999-04-08 Spies Lutz Volker Brillen-Etui mit integrierter Lupenfläche
JP2003000327A (ja) 2001-06-26 2003-01-07 Masumi Yamamoto レンズ用メガネケース
JP4914099B2 (ja) 2006-04-05 2012-04-1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排気ガスセンサのヒータ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603748A (zh) 2016-02-01
CN105310229A (zh) 2016-02-10
EP2976961A1 (en) 2016-01-27
US20160021999A1 (en) 2016-01-28
JP2016028680A (ja) 201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12090A (ko) 안경 케이스
US7201479B2 (en) Protective sleeve for eyeglasses
US710104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taining and accessing clip-on sunglasses
JP6121786B2 (ja) 携帯用電子機器類における着脱式覗き見防止装置
EP3506785B1 (en) Spectacle case
US10254569B2 (en) Eyewear lens shield for lens protection during repair
US20130242388A1 (en) Stereoscopic glasses
US7021759B2 (en) Protective sleeve for eyeglasses
WO2016139497A1 (en) Optical attachment for mobile display devices
US8382279B2 (en) Eye patch for glasses
JP2016093429A (ja) 眼鏡ケース
JP2004054212A (ja) レンズ
US9389437B1 (en) Removable clip-on lens
US5524291A (en) Sun visor for eye glasses
US10441043B2 (en) Contact lens travel kit
JP3177367U (ja) 眼鏡プロテクター
US9625741B1 (en) Removable clip-on lenses
JP3213731U (ja) 眼鏡拭きクロス付きしおり
JP3163842U (ja) カメラにおける液晶画面の視認補助装置
US20210106109A1 (en) Glasses protector
JP2001033707A (ja) 光学機器用眼鏡保護装置及び眼鏡保護体
JP2004297489A (ja) 携帯電話機取付用収容具
JP2003330380A (ja) 遮光具
JP2020160193A (ja) 携帯機器用ビューワー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機器
JP2022169035A (ja) マスクホル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