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1632A - 자동차 내의 내연기관의 스로틀 밸브의 구동 장치를 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제어 유닛 - Google Patents

자동차 내의 내연기관의 스로틀 밸브의 구동 장치를 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제어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1632A
KR20160011632A KR1020157033295A KR20157033295A KR20160011632A KR 20160011632 A KR20160011632 A KR 20160011632A KR 1020157033295 A KR1020157033295 A KR 1020157033295A KR 20157033295 A KR20157033295 A KR 20157033295A KR 20160011632 A KR20160011632 A KR 20160011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ottle valve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characteristic curv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3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이너 슈바인푸르트
시몬 디롤프
우도 지버
디터 슈바르츠만
토비아스 마우크
안드레아스 오르트자이펜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011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6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4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 F02D41/2406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essentially read only memories
    • F02D41/2425Particular ways of programming the data
    • F02D41/2429Methods of calibrating or learning
    • F02D41/2432Methods of calib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4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 F02D41/2406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essentially read only memories
    • F02D41/2425Particular ways of programming the data
    • F02D41/2429Methods of calibrating or learning
    • F02D41/2451Methods of calibrating or learning characterised by what is learned or calibrated
    • F02D41/2464Characteristics of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6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 F02D11/1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 F02D11/105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converting demand to actuation, e.g. a map indicating relations between an accelerator pedal position and throttle valve opening or target engine torq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6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 F02D11/1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 F02D11/106Detection of demand or actu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45Detection of accelerating or decelerating st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4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 F02D41/2406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essentially read only memories
    • F02D41/2425Particular ways of programming the data
    • F02D41/2429Methods of calibrating or learning
    • F02D41/2438Active learning meth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4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 F02D41/2406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essentially read only memories
    • F02D41/2425Particular ways of programming the data
    • F02D41/2429Methods of calibrating or learning
    • F02D41/2451Methods of calibrating or learning characterised by what is learned or calibrated
    • F02D41/2474Characteristics of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4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 F02D41/26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computer, e.g. microprocess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8Throttle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rrangements of such valves in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6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 F02D11/1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 F02D2011/101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actuating the throttles
    • F02D2011/102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actuating the throttles at least one throttle being moved only by an electric actu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04Engine intake system parameters
    • F02D2200/0404Throttle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50/00Engine control related to specific problems or objectives
    • F02D2250/16End position calibration, i.e. calculation or measurement of actuator end positions, e.g. for throttle or its driving actu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내의 내연기관(9)의 스로틀 밸브(1)의 구동 장치(3)를 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제어 유닛에 관한 것이다. 구동 장치(3)는 스로틀 밸브(1)의 변위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브러시리스 직류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류 모터의 제어를 위해 상기 직류 모터의 회전자 위치를 충분히 정확히 알아야 하지만, 비용상의 이유로 추가의 회전자 위치 센서들이 피해 져야 하기 때문에, 예컨대 온도에 따른 또는 마모에 따른 변화를 트래킹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동 장치(3)의 회전자 위치와 스로틀 밸브(1)에 제공된 스로틀 밸브 각 센서(7)의 출력 전압 사이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 곡선을 정확히 알아내어 교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라, 특성 곡선은 내연기관(9)의 작동 시에 교정될 수 없고 내연기관(9)의 정지 시에는 교정되거나, 또는 내연기관(9)의 작동 시에 뿐만 아니라 특히 내연기관(9)의 정지 시에도 교정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스로틀 밸브(1)가 구동 장치(3)에 의해 모든 소정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거기서 특성 곡선이 교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내의 내연기관의 스로틀 밸브의 구동 장치를 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제어 유닛{METHOD AND CONTROL UNIT FOR CALIBRATING A DRIVE OF A THROTTLE VALV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내의 내연기관의 스로틀 밸브의 구동 장치를 교정하기 위한 방법, 상기 방법을 실시하도록 설계된 제어 유닛, 및 상기 제어 유닛을 구비한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을 구비한 자동차에서, 스로틀 밸브는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스로틀 밸브를 예컨대 내연기관의 흡입관 내에 적합하게 위치 설정하기 위해, 스로틀 밸브의 위치가 적합한 구동 장치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가능한 구동 장치로서 지금까지는 대부분 예컨대 브러시 직류모터 형태의 전기 모터들이 사용되었다.
소위 브러시리스 직류 모터(BrushLess Direct Current Motor, BLDC 모터라고 함)가 예컨대 더 나은 효율 또는 더 낮은 높이로 인해 앞으로 전기 스로틀 밸브 조절 유닛 내에 사용될 것이다. 이러한 모터들은 부분적으로 전기 정류식 전기 기계라고도 한다. 이러한 BLDC 모터의 제어는 일반적으로 모터가 가급적 항상 최적의 효율로 작동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제어는 예컨대 파라미터 변동 및 모터의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의 각 에러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각 에러는 이 경우 실제 회전자 위치와 제어 소프트웨어에 의해 추정된 회전자 위치 사이의 편차이다.
BLDC 모터의 정확한 제어를 위해, 지금까지는 회전자의 현재 위치가 예컨대 각 센서에 의해 매우 정확하게 측정되어야 했다. 대안으로서, 회전자 위치가 전류 기반 각 검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전류 기반 각 검출 시에, 모터 모델에 기초한 알고리즘에 의해, 측정된 전류로부터 회전자의 위치가 계산되거나 또는 추정된다. BLDC 모터의 회전 속도 조절 또는 토크 조절을 위해 종종 전류 조절부가 기초가 되는 조절 회로로서 존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전류 기반 각 검출이 경우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전류 조절부는 전류 실제값을 검출하기 위한 전류 센서를 필요로 한다.
비용 절감을 위해, 미래의 스로틀 밸브 조절 유닛 내에는 전류 센서 및 그에 따라 전류 조절부가 제공되지 않고, 추가의 각 센서도 모터 샤프트에 배치되지 않아야 한다. 그 대신에, 회전자의 현재 위치가 기존의 스로틀 밸브 각 센서에 의해 간접적으로 검출되어야하며, 상기 스로틀 밸브 각 센서는 스로틀 밸브의 현재 각 위치를 측정해야 하고 예컨대 기어를 통해 BLDC-모터의 샤프트에 연결된다.
회전자 위치와 스로틀 밸브 각 센서의 출력 전압 사이의 일반적으로 비선형인 관계는 예컨대 특성 곡선으로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특성 곡선은 처음에는 알려져 있지 않고 예컨대 전기 스로틀 밸브 조절 유닛의 실제 초기 작동 전에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특성 곡선은 소프트웨어 제어식 프로세스에 의해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이는 기본 적응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DE 10 2009 063 326 A1에 개시되어 있다. 기본 적응의 결과, 즉 특성 곡선은 제어 유닛(ECU) 내에 저장될 수 있고, 후속해서 BLDC 모터의 제어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최초에 검출되어 특성 곡선으로서 저장된, 회전자 위치와 스로틀 밸브 각 센서의 출력 전압 사이의 관계는 후속 작동 동안 예컨대 외부 영향, 특히 온도 변동에 의해 그리고 수명에 걸쳐, 즉 마모 현상에 의해 변할 수 있다. 원래 기록된 특성 곡선은 회전자 위치와 스로틀 밸브 각 센서의 출력 전압 사이의 실제 관계와 편차를 가질 수 있으므로, BLDC 모터의 제어가 에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특성 곡선을 자동차의 작동 동안 정정함으로써 스로틀 밸브의 구동 장치를 교정할 수 있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실시하는 자동차용 제어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상기 특성 곡선을 자동차의 작동 동안 정정함으로써 스로틀 밸브의 구동 장치를 교정할 수 있는 방법, 및 이 방법을 실시하는 자동차용 제어 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자동차 내의 내연기관의 스로틀 밸브의 구동 장치를 교정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구동 장치의 회전자 위치와 스로틀 밸브 각 센서의 출력 전압 사이의 상관 관계는 특성 곡선을 따른다. 상기 방법은 하기 단계: 먼저, 내연기관이 현재 작동 중인지 또는 정지 중인지의 여부의 검출 단계를 특징으로 한다. 내연기관이 현재 정지 중인 것이 검출되면, 스로틀 밸브의 구동 장치는 스로틀 밸브를 설정 위치로 변위시키도록 제어된다. 달리 표현하면, 스로틀 밸브를 구동하는 전기 모터는 내연기관의 정지 동안 의도적으로, 스로틀 밸브를 설정 위치로 변위시키도록 전류를 공급받는다. 이 경우 설정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스로틀 밸브의 휴지 위치, 즉 스로틀 밸브의 예컨대 완전히 폐쇄된 위치와 다르다. 예컨대, 스로틀 밸브는 크게 또는 완전히 개방된 위치로 변위될 수 있다. 상기 설정 위치에서 특성 곡선이 교정될 수 있다.
여기서의 사상은 특성 곡선의 정정 또는 교정이 지금까지는 내연기관의 작동 시에만 실시되었다는 것이다. 예컨대, 구동 장치의 회전자 위치와 스로틀 밸브 각 센서의 출력 전압 사이의 실제 관계와 원래 기록된 특성 곡선 사이의 편차를 검출하여 보상하기 위해, 스로틀 밸브가 자동차의 작동 동안 현재 운전자 요구에 따라 변위되는 위치에서, 특성 곡선을 적어도 상기 스로틀 밸브 위치에서 교정하기에 적합한 적응 방법이 실시될 수 있다. 가능한 상기 방법은 DE 10 2011 005 774 A1에 개시되어 있고, 부분적으로 "진자 방법"이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조치에서는 자동차의 작동 동안 특정 스로틀 밸브 위치들이 다른 스로틀 밸브 위치들보다 더 빈번히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스로틀 밸브 위치의 빈도는 예컨대 현재 교통 상황 및/또는 주행 프로파일에 의존할 수 있다. 특정 영역에서, 예컨대 완전히 개방된 위치 가까이에서, 스로틀 밸브는 통상 매우 드물게만 그리고 짧은 시간 간격 동안만 머문다. 상기 시간 간격은 일반적으로 정정 방법을 실시하기에 충분치 않다. 따라서, 상기 영역을 특징짓는, 특성 곡선의 섹션이 편차에 대해 조사될 수 없고, 그럼으로써 전체 특성 곡선을 완전히 교정하도록 현재 상황에 부합될 수 없다.
특성 곡선이 일반적으로 교정을 위한 모든 그 영역에서 정정될 수 없다는 단점은 여기에 제안된 교정 방법에 의해, 특성 곡선의 교정이 자동차의 내연기관이 작동하는 경우 실시되지 않거나, 또는 자동차의 내연기관이 작동하는 경우에도 실시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그 대신에, 내연기관이 현재 작동 중인지 또는 정지 중인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해, 내연기관의 작동 상태가 계속 모니터링된다. 내연기관의 작동시, 내연기관에 공급되는 연료-공기 혼합물에 부정적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임의로 스로틀 밸브의 위치 설정으로 개입이 이루어질 수 없는 한편, 내연기관의 정지시, 스로틀 밸브는 내연기관의 작동을 위태롭게 하지 않으면서 임의의 위치로 변위될 수 있다. 특히, 내연기관의 정지시, 스로틀 밸브는 자동차의 작동 동안 통상 드물게 그리고 짧은 시간 동안만 도달되는 위치로도 변위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특성 곡선의 교정은 내연기관이 정지된 시간 동안에만 실시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스로틀 밸브가 그러한 정지 시간 동안 모든 임의의 설정 위치로 변위될 수 있고 거기서 원래 기록된 특성 곡선과의 편차가 검출됨으로써 특성 곡선이 교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특성 곡선들이 부분적으로 내연기관의 작동 시에 그리고 부분적으로 내연기관의 정지 시에 교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내연기관이 현재 정지 중인 것이 검출되면, 특성 곡선은 예컨대 제 1 교정 방법에 의해 교정될 수 있는 반면, 작동 중인 내연기관의 검출시 특성 곡선은 제 2 교정 방법에 의해 교정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교정 방법은 특히 스로틀 밸브의 현재 위치와 관련해서 구별될 수 있다. 그러나 2개의 교정 방법은 예컨대 원래 특성 곡선과의 편차가 검출되어 교정되는 방식과 관련해서도 구별될 수 있다.
예컨대, 내연기관이 작동 중인지가 검출되는 시간 동안, 스로틀 밸브가 현재 운전자 요구에 따라 변위되는 위치에서 특성 곡선이 교정될 수 있다. 내연기관의 작동 동안 스로틀 밸브가 현재 운전자 요구에 따라 주로 어떤 범위로 변위 되는지가 검출될 수 있다. 예컨대, 시내 주행 시에 스로틀 밸브는 거의 폐쇄된 위치와 부분적으로만 개방된 위치 사이로 주로 변위되는 것이 검출될 수 있다. 이에 비해, 고속도로 주행 시에는 스로틀 밸브가 부분적으로 개방된 위치와 넓게 개방된 위치 사이로 주로 변위되는 것이 검출될 수 있다.
스로틀 밸브의 어떤 변위 범위가 내연기관의 작동 중에 우세하게 주어지는 범위로서 검출되는지에 따라, 내연기관이 현재 정지 중인 것이 검출되는 나중 시점에, 스로틀 밸브의 구동 장치는 상기 스로틀 밸브를 상기 범위의 밖에 놓인 설정 위치로 변위시키도록 제어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내연기관이 정지 중인 시간 동안 스로틀 밸브를 의도적으로 내연기관의 선행 작동 동안 도달하기 어려웠던 또는 도달하지 못했던 위치들로 변위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모든 스로틀 밸브 위치에서 특성 곡선의 교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내연기관의 정지 시에 교정을 실시하기 위한 전제 조건은 스로틀 밸브가 조절 장치로서 작용하는 제공된 구동 장치에 의해 변위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교정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제공되는 제어 유닛은 내연기관이 현재 정지 중인 시간 동안에도 작동될 수 있고, 스로틀 밸브의 구동 장치의 제어 및 교정 방법 자체도 실시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신호등 앞에서 차량의 일시적인 정지 시에 연료 소비를 줄이기 위해 내연기관이 단시간 차단되지만 제어 유닛은 계속 활성화 상태이고 에너지를 공급받는, 소위 스타트-스톱 시스템을 구비한 자동차에 간단히 실시될 수 있다.
유사하게, 하이브리드 차로서 내연기관의 정지 시에 추가 모터, 예컨대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설계된 자동차에서, 내연기관의 정지 동안에도 제어 유닛이 계속 작동되므로, 전술한 교정 방법을 실시할 수 있다.
전술한 교정 방법은 예컨대 자동차용 제어 유닛에서 실시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그래밍 가능한 제어 유닛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의해 전술한 방법을 실시할 것을 명령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을 받을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예컨대 비휘발성 메모리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특징들 및 장점들은 여기서 부분적으로는 내연기관의 스로틀 밸브의 구동 장치를 교정하기 위한 방법과 관련해서 그리고 부분적으로는 상기 방법을 실시하는 제어 유닛 또는 상기 제어 유닛을 구비하는 자동차와 관련해서 설명된다. 당업자는 다른 실시예들에 도달하기 위해 특징들이 적합한 방식으로 교환 또는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로 하기에서 설명된다. 도면들 및 실시예 설명이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서는 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실시될 수 있으며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는 스로틀 밸브를 구비한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들은 개략적이며 축척에 맞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교정 방법 또는 상기 방법을 실시하는 제어 유닛의 실시예들이 도 1에 도시된 구조를 참고로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고로 설명된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자동차는 통상 내연기관(9)을 포함하고, 공기가 흡입관(13)을 통해 상기 내연기관(9)에 공급된다. 흡입관(13) 내에 하나 또는 다수의 스로틀 밸브(1)가 배치된다. 스로틀 밸브(1)는 상이한 위치들로 선회할 수 있으므로, 흡입관(13)을 통한 공기 흐름을 다소간 개방할 수 있다. 스로틀 밸브(1)의 선회를 위해 스로틀 밸브 조절 유닛(4)이 제공되고, 상기 스로틀 밸브 조절 유닛(4)은 구동 장치(3)로서 사용되는 브러시리스 직류모터 및 기어(5)를 포함한다.
비용을 적게 유지하기 위해, 전기 모터는 고유의 회전자 위치 각 센서 또는 전류 기반 각 검출기 형태의 회전자 위치 검출 장치를 포함하지 않는다. 기초가 되는 전류 조절부도 제공되지 않는다.
그러나 스로틀 밸브(1)의 위치 또는 배치 각을 측정할 수 있는 스로틀 밸브 각 센서(7)가 제공된다. 스로틀 밸브(1)가 기어(5)를 통해, 구동 장치(3)로서 사용되는 전기 모터에 접속되기 때문에, 스로틀 밸브 각 센서(7)에 의해 제공된 각 정보는 전기 모터 내의 회전자의 현재 위치에 대한 간접적인 추정을 가능하게 하므로, 상기 정보는 적합한 처리 후에 구동 장치(3)의 조절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처음에는 기본 적응의 범위에서, 전기 모터의 회전자 위치와 스로틀 밸브 각 센서(7)의 출력 전압 사이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특성 곡선이 기록된다. 상기 특성 곡선을 참고로 제어 유닛(11)이 스로틀 밸브 조절 유닛의 구동 장치(3)를 적합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특성 곡선은 예컨대 온도 영향 또는 마모 현상으로 인해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일정한 시간 간격 내에 교정되어야 한다.
이제, 도 2를 참고로, 예컨대 제어 유닛(11)에서 실시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교정 방법이 설명된다.
제 1 단계(S1)에서 먼저 자동차의 내연기관(9)이 현재 작동 중인지 또는 정지 중인지의 여부가 검출된다. 여기서 얻어진 정보를 기초로, 단계(S2)에서 제 1 또는 제 2 교정 전략이 실시되어야 하는지의 여부가 결정된다.
내연기관(9)이 현재 작동 중인 것이 검출되면, 특성 곡선이 종래 방식으로 교정된다(단계 S5). 이 경우, 교정 과정의 범위에서 스로틀 밸브(1)의 전반적인 위치 설정 내로 액티브한 개입이 이루어질 수 없는데, 그 이유는 이것이 내연기관(9)의 작동에 의도치 않게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대신, 스로틀 밸브(1)가 제어 유닛(11)에 의해 현재 운전자 요구에 따라 위치 설정된다. 즉, 스로틀 밸브(1)가 스로틀 밸브 조절 유닛(4)에 의해, 가속 페달을 밟는 것으로 나타나는 엔진 출력의 제공에 대한 운전자의 요구에 부합할 수 있도록 위치 설정된다. 이에 따라 취해진 스로틀 밸브 위치에서, 특성 곡선이 종래의 방법, 예컨대 상기에 인용된 진자 방법으로 교정될 수 있다. 이는 경우에 따라 설정 위치 주변에서 스로틀 밸브의 일정한 한계 내에서 무시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그리고 시간상으로 제한된 국부적 운동을 요구한다.
그러나 내연기관(9)이 예컨대 스타트-스톱 시스템에 의해 일시적으로 차단되었거나 또는 하이브리드 차에서 추가 모터에 의해 일시적으로 구동 장치로의 전환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내연기관(9)이 현재 작동중이 아니고 정지 중인 것이 검출되면, 다른 교정 전략이 실시될 수 있다. 내연기관(9)의 정지시 스로틀 밸브(1)의 현재 위치 설정이 관련되지 않기 때문에, 스로틀 밸브(1)는 모든 임의의 설정 위치로 변위될 수 있다. 특히 스로틀 밸브(1)의 현재 위치 설정은 현재 운전자 요구와 무관하게 선택될 수 있다. 제 2 교정 전략의 범위에서, 단계(S3)에서 구동 장치(3)는 바람직하게 제어부(11)에 의해, 스로틀 밸브(1)가 미리 정해질 수 있는 설정 위치로 변위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단계(S4)에서는 상기 설정 위치에서 특성 곡선이 교정된다. 내연기관(9)의 정지시 스로틀 밸브(1)가 모든 임의의 설정 위치로 변위될 수 있기 때문에, 특성 곡선은 모든 임의의 부분 영역에 걸쳐 교정될 수 있다.
예컨대, 자동차의 선행 작동 동안 덜 자주 정정되었거나 또는 전혀 정정되지 않았던 특성 곡선의 섹션을 의도적으로 정정하는 특별한 정정 알고리즘이 실시될 수 있다. 예컨대, 스로틀 밸브(1)는 도시 교통에서 통상 대부분의 시간 동안 거의 개방되지 않는다. 이에 상응하게, 내연기관(9)의 작동 중에 작은 스로틀 밸브 각에 할당된 특성 곡선의 섹션만이 전술한 제 1 교정 전략에 따라 정정된다. 더 오랜 스탠딩 단계에서, 예컨대 적색 신호등 앞에서, 내연기관(9)의 차단시, 더 큰 스로틀 밸브 각에 상응하는 특성 곡선의 섹션이 정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교정 전략의 범위에서 스로틀 밸브(1)가 상응하게 넓게 개방되고, 특성 곡선은 스로틀 밸브 각 센서(7)로부터 및 경우에 따라 구동 장치(3)의 전기 모터로부터 현재 측정값의 판독 출력에 의해 교정된다. 스로틀 밸브(1)가 통상 넓게 개방되는, 후속하는 도시 간 교통에서, 특성 곡선은 이미 정정된다.
1 스로틀 밸브
3 구동 장치
7 스로틀 밸브 각 센서
9 내연기관
11 제어 유닛

Claims (11)

  1. 자동차의 내연기관(9)의 스로틀 밸브(1)의 구동 장치(3)를 교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구동 장치(3)의 회전자 위치와 스로틀 밸브 각 센서(7)의 출력 전압 사이의 상관 관계는 특성 곡선을 따르는, 교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9)이 현재 작동 중인지 또는 정지 중인지의 여부의 검출 단계(S1);
    상기 내연기관(9)이 현재 정지 중인 것이 검출되면, 상기 스로틀 밸브(1)를 설정 위치로 변위시키도록 상기 구동 장치의 제어 단계(S3); 및
    상기 설정 위치에서 상기 특성 곡선의 교정 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9)이 현재 정지 중인 것이 검출되면, 상기 특성 곡선의 교정 단계(S4)가 제 1 교정 방법에 의해 실시되고, 상기 내연기관(9)이 현재 작동 중인 것이 검출되면, 상기 특성 곡선의 교정 단계(S5)가 제 2 교정 방법에 의해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9)이 현재 작동 중인 것이 검출되면, 상기 스로틀 밸브(1)가 현재 운전자 요구에 따라 주로 어떤 범위로 변위되는지가 검출되고, 상기 내연기관(9)이 현재 정지 중인 것이 검출되면, 상기 구동 장치(3)는 상기 스로틀 밸브(1)를 상기 영역의 외부에 놓인 설정 위치로 변위시키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9)이 현재 작동 중인 것이 검출되면, 상기 스로틀 밸브(1)가 현재 운전자 요구에 따라 변위되는 위치에서 상기 특성 곡선이 교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 밸브(1)의 상기 구동 장치(3)는 브러시리스 직류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 방법.
  6. 자동차용 제어 유닛(11)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11)은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유닛.
  7. 제 6 항에 따른 제어 유닛(11)을 구비한 자동차.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가 스타트-스톱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는 하이브리드 차로서, 내연기관(9)의 정지시 추가 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0. 프로그래밍 가능한 제어 유닛에서 실행시,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도록 명령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11. 제 10 항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KR1020157033295A 2013-05-23 2014-03-26 자동차 내의 내연기관의 스로틀 밸브의 구동 장치를 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제어 유닛 KR201600116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209624.0 2013-05-23
DE102013209624.0A DE102013209624A1 (de) 2013-05-23 2013-05-23 Verfahren und Steuergerät zum Kalibrieren eines Antriebs einer Drosselklappe eines Verbrennungsmotors in einem Kraftfahrzeug
PCT/EP2014/056054 WO2014187593A1 (de) 2013-05-23 2014-03-26 Verfahren und steuergerät zum kalibrieren eines antriebs einer drosselklappe eines verbrennungsmotors in einem kraftfahrzeu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632A true KR20160011632A (ko) 2016-02-01

Family

ID=50439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3295A KR20160011632A (ko) 2013-05-23 2014-03-26 자동차 내의 내연기관의 스로틀 밸브의 구동 장치를 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제어 유닛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822724B2 (ko)
EP (1) EP2999870B1 (ko)
JP (1) JP6143948B2 (ko)
KR (1) KR20160011632A (ko)
CN (1) CN105247196B (ko)
DE (1) DE102013209624A1 (ko)
WO (1) WO20141875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09366A1 (de) * 2016-05-31 2017-11-30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alibrierung eines Stellgebersystems
CN109083750B (zh) * 2018-06-29 2020-11-06 北京长城华冠汽车技术开发有限公司 节气门开度自动控制系统及自动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5169A (en) * 1975-09-25 1985-03-19 Ganoung David P Apparatus using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to improve fuel economy
US4197822A (en) * 1977-02-14 1980-04-15 Colt Industries Operating Corp. Circuit mean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air-fuel ratio supplied to a combustion engine
US4224908A (en) * 1978-07-13 1980-09-30 Colt Industries Operating Corp.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air-fuel ratio supplied to a combustion engine
JPS618433A (ja) * 1984-06-20 1986-01-16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アクセル制御装置
JPH0635846B2 (ja) * 1984-06-20 1994-05-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スロツトル弁遠隔制御装置
US4656407A (en) * 1985-06-14 1987-04-07 A.R.A. Manufacturing Company Of Delware, Inc. Electric motor servo control system and method
JP2001329867A (ja) * 2000-05-23 2001-11-30 Mitsubishi Electric Corp 吸入空気量制御装置
CN100371579C (zh) * 2004-06-07 2008-02-27 株式会社电装 传感器输出调节方法
DE102004030326B4 (de) 2004-06-23 2007-04-26 Festo Ag & Co. Elektronisch kommutierter Motor
JP4450228B2 (ja) * 2005-10-28 2010-04-14 株式会社デンソー エンジン制御装置
DE102007003151A1 (de) * 2007-01-22 2008-07-31 Siemens Ag Verfahren zur Einstellung eines Stellwinkels einer Klappvorrichtung einer Ansaugvorrichtung
US8347859B2 (en) * 2009-04-29 2013-01-08 Marine Canada Acquisition Inc. Automatic throttle calibration in a marine vessel
CN101761401A (zh) * 2010-03-04 2010-06-30 霸州市华威发动机技术有限公司 一种发动机电子节气门控制的方法和装置
DE102010063326A1 (de) 2010-05-25 2011-12-0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s Stellgebers mit einem bürstenlosen Elektromotor
CN102121834B (zh) * 2010-11-30 2012-07-04 力帆实业(集团)股份有限公司 节气门位置传感器检测装置的检测方法
DE102011005774A1 (de) 2011-03-18 2012-09-20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daption einer Kommutierung für eine elektronisch kommutierte elektrische 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3209624A1 (de) 2014-11-27
WO2014187593A1 (de) 2014-11-27
JP6143948B2 (ja) 2017-06-07
EP2999870B1 (de) 2024-02-21
US9822724B2 (en) 2017-11-21
CN105247196B (zh) 2018-10-16
JP2016524067A (ja) 2016-08-12
EP2999870A1 (de) 2016-03-30
US20160102627A1 (en) 2016-04-14
CN105247196A (zh) 2016-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159203A (ja) センサの機能監視方法及び装置
US20200021217A1 (en) Motor drive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motor drive device
JP2006258070A (ja) 内燃機関のアイドル運転停止制御方法
US7413043B2 (en) 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barometric pressure in a hybrid vehicle
RU2503841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ом управления текучей средой на основе изучения датчика положения
JP4873378B2 (ja) 吸入空気量センサの異常診断装置
WO2016051755A1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2002349215A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装置における制御軸回転角位置センサ出力基準位置学習装置
KR20130133947A (ko) 밸브리프트 가변 제어 시스템에서의 밸브 리프트 진단 방법 및 장치
US9212602B2 (en) Electric motor control apparatus and electric supercharging apparatus using electric motor control apparatus
US8739614B2 (en) Deterioration determination apparatus for airflow meter and deterioration determination method
KR101803385B1 (ko) 제어 장치의 체크 방법 및 장치
KR20160011632A (ko) 자동차 내의 내연기관의 스로틀 밸브의 구동 장치를 교정하기 위한 방법 및 제어 유닛
JP2006342807A (ja) 自動車の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燃料噴射を制御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JP4045435B2 (ja) 自動車エンジン用cvvtの制御方法及び装置
RU2012148037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обнаружения неисправности спускного канала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 силовой установкой смешанного типа
KR20130140575A (ko) 내연기관의 토크 적응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68061A (ko) 가상크랭크신호를 이용한 엔진 시동 꺼짐 방지 방법
JP4460077B2 (ja) 内燃機関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KR20190070509A (ko)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 토크 추정 방법
CN113685282A (zh) 连续可变升程机构的升程自适应控制方法、装置及车辆
JP2009097347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101013665B1 (ko) 자동차의 엔진 구동 방법 및 장치
JP4436997B2 (ja) 車両及び/又は該車両に配属された各コンポーネントの駆動ユニットの監視方法及び装置
KR101376779B1 (ko) Cda기능을 갖는 차량의 엔진 제어 장치 및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