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0598A - 광학 필름,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및 면발광체 - Google Patents

광학 필름,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및 면발광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0598A
KR20160010598A KR1020157035884A KR20157035884A KR20160010598A KR 20160010598 A KR20160010598 A KR 20160010598A KR 1020157035884 A KR1020157035884 A KR 1020157035884A KR 20157035884 A KR20157035884 A KR 20157035884A KR 20160010598 A KR20160010598 A KR 20160010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optical film
active energy
energy ray
curabl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5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7260B1 (ko
Inventor
다이치 오쿠노
마사토시 도다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10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0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278Lenticular sheets
    • B29D11/00288Lenticular sheets made by a rotating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365Production of micro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e.g. denser near its faces
    • B32B5/145Variation across the thickness of the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067Polyurethanes; 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Unsaturated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71Unsaturated 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2Esters of acrylic or alkyl acrylic acid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Unsaturated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671Unsaturated 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2Esters of acrylic or alkyl acrylic acid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3Esters of acrylic or alkyl acrylic acid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containing two or more acrylate or alkylacrylate ester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21Two or more polyisocyanate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08G18/73 - C08G18/80
    • C08G18/725Combination of polyisocyanates of C08G18/78 with other polyis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a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 C08G18/78Nitrogen
    • C08G18/79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791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s
    • C08G18/792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aliphatic and/or cycloaliphatic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81Unsaturated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8141Unsaturated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masked
    • C08G18/81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masked with unsaturated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8158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masked with unsaturated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unsaturated 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81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masked with unsaturated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unsaturated 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with esters of acrylic or alkylacrylic acid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D175/16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having terminal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2Emulsion paints including aeros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6Artists' pa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02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 F21V5/0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microoptical elements for redirecting or diffusing light using micro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12Array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12Array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 G02B3/0031Replication or moulding, e.g. hot embossing, UV-casting, injection mould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43Inhomogeneous or irregular arrays, e.g. varying shape, size, he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a single direction only, e.g. lenticula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6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two different directions in a plane, e.g. honeycomb arrangement of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1Anti-st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32B2307/3065Flame resistant or retardant, fire resistant or retard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4Wear res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58Impact strength, tough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2Weather resist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1/00Optical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34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 C08F220/343Esters containing nitrogen, e.g.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in the form of urethane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08F222/102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of dialcohols, e.g.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or 1,4-butanediol di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08F222/105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of penta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08F222/106Esters of polycondensation macromers
    • C08F222/1065Esters of polycondensation macromers of alcohol terminated (poly)urethanes, e.g. urethane(meth)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08F222/106Esters of polycondensation macromers
    • C08F222/1067Esters of polycondensation macromers of alcohol terminated epoxy functional polymers, e.g. epoxy(meth)acryl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Abstract

이 광학 필름은 기재와, 상기 기재 위에 복수 배열된 볼록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렌즈는 영역 α 및 영역 β를 갖고, 상기 영역 β는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볼록 형상의 외측 부분을 차지하며, 상기 영역 α를 덮도록 위치하고 있고, 상기 기재와 상기 광학 필름의 밀착성을 측정하기 위한 ISO 2409에 준거하는 부착성 시험에 있어서, 시험 결과가 분류 0 또는 분류 1이다.

Description

광학 필름,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및 면발광체{OPTICAL FILM,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FILM, AND SURFACE LIGHT-EMITTING BODY}
본 발명은 광학 필름,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및 면발광체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3년 5월 23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3-108607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면발광체 중에서도 유기 EL(전계발광) 소자는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것이 기대되거나, 혹은 형광등 등을 대체하는 차세대 조명에 사용되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
유기 EL 소자의 구조로서는, 발광층이 되는 유기 박막을 2개의 전극으로 끼운 것뿐인 단순한 구조의 것부터, 발광층을 포함하여, 유기 박막을 다층화한 구조의 것까지 다양화되어 있다. 후자의 다층화된 구조로서는, 예를 들어 유리 기판 위에 설치된 양극에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음극이 적층된 것을 들 수 있다. 양극과 음극에 의해 끼워진 층은 모두 유기 박막으로 구성되고, 각 유기 박막의 두께는 매우 얇다.
유기 EL 소자는 박막의 적층체이며, 각 박막의 재료의 굴절률의 차에 의해, 박막 사이에서의 광의 전반사각이 결정된다. 현 상황에서는, 발광층에서 발생한 광의 약 80%가 유기 EL 소자 내부에 갇혀 외부로 취출되고 있지 않다. 구체적으로는 유리 기판의 굴절률을 1.5로 하고, 공기층의 굴절률을 1.0으로 하면, 임계각 θc는 41.8°이며, 이 임계각 θc보다 작은 입사각의 광은 유리 기판으로부터 공기층으로 출사하지만, 이 임계각 θc보다 큰 입사각의 광은 전반사되어 유리 기판 내부에 갇힌다. 그로 인해, 유기 EL 소자 표면의 유리 기판 내부에 갇힌 광을 유리 기판 외부로 취출하는, 즉 광 취출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요청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면발광체의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저굴절률의 증착 물질을 포함하는 외층으로 덮은 마이크로 렌즈를 갖는 광학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는 면발광체의 휘도의 균일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미세 입자를 포함하는 렌즈부를 갖는 광학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23204호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5774호
그러나,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 제안되어 있는 광학 필름은 휘도의 향상이나 휘도의 균일성 등의 광학 특성은 개선되지만, 다른 물리 특성의 개선이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이러한 광학 필름은 외부를 덮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내충격성, 저(底)컬성, 내찰상성, 방오성, 난연성, 대전 방지성, 내후성 등의 외적 부하를 견딜 수 있는 물리 특성이 필요해진다. 또한, 이러한 광학 필름은 기재 등에 부착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기재 등과의 밀착성이 필요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면발광체의 광학 특성, 특히 광 취출 효율이 우수하고, 또한 각종 물리 특성, 특히 밀착성, 내충격성, 저컬성, 내찰상성, 방오성, 난연성, 대전 방지성, 내후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광학 필름의 제조에 적합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광학 특성, 특히 광 취출 효율이 우수한 면발광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1) 기재와, 상기 기재 위에 복수 배열된 볼록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렌즈는 영역 α 및 영역 β를 갖고, 상기 영역 β는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볼록 형상의 외측 부분을 차지하며, 상기 영역 α를 덮도록 위치하고 있고,
상기 영역 α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은, 상기 기재와, 상기 영역 α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과의 밀착성을 측정하기 위한 ISO 2409에 준거하는 부착성 시험에 있어서, 시험 결과가 분류 0 또는 분류 1인, 광학 필름.
(2) 상기 영역 α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이 비스페놀 골격을 갖는 단량체 단위 및 다관능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단위를 포함하는, (1)에 기재된 광학 필름.
(3) 상기 기재와 상기 마이크로 렌즈 사이에, 우레탄계 프라이머층을 더 갖는, (1) 또는 (2)에 기재된 광학 필름.
(4) 볼록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가 복수 배열되고, 상기 마이크로 렌즈는 영역 α 및 영역 β를 갖고, 상기 영역 β는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볼록 형상의 외측 부분을 차지하며, 상기 영역 α를 덮도록 위치하고 있는 광학 필름이며, 한변이 50㎜인 사각형의 상기 광학 필름을 60℃에서 4시간 건조했을 때의 4코너의 컬의 평균값이 1.0㎜ 이하인, 광학 필름.
(5) 상기 영역 α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이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 폴리에스테르폴리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 및 방향족 에스테르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단위를 포함하는, (4)에 기재된 광학 필름.
(6) 상기 영역 α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한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 폴리에스테르폴리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 및 방향족 에스테르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의 함유율의 합계가 10질량% 이상인, (5)에 기재된 광학 필름.
(7) 볼록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가 복수 배열되고, 상기 마이크로 렌즈는 영역 α 및 영역 β를 갖고, 상기 영역 β는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볼록 형상의 외측 부분을 차지하며, 상기 영역 α를 덮도록 위치하고 있는 광학 필름이며,
상기 광학 필름의 상기 영역 β 위에 추 200g으로 웨이스트 클로스를 1000회 왕복시키는 마찰 시험 전후로 면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의 차가 -0.01% 내지 0.01%인, 광학 필름.
(8) 상기 영역 β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이, 3관능 이상의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를 갖는, 청구항 7에 기재된 광학 필름.
(9) 상기 3관능 이상의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가,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트리스(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3관능 이상의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인, (8)에 기재된 광학 필름.
(10) 상기 영역 β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한 3관능 이상의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의 함유율이 30질량% 이상인, (8) 또는 (9)에 기재된 광학 필름.
(11) 볼록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가 복수 배열되고, 상기 마이크로 렌즈는 영역 α 및 영역 β를 갖고, 상기 영역 β는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볼록 형상의 외측 부분을 차지하며, 상기 영역 α를 덮도록 위치하고 있는 광학 필름이며, IEC 60093에 준거하는 저항률 시험에 있어서의 상기 영역 β의 표면 저항값이 1013Ω/㎠ 이하인, 광학 필름.
(12) 상기 영역 β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이 이온성 액체, 4급 암모늄 화합물, 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 도전성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재료를 포함하는, (11)에 기재된 광학 필름.
(13) 상기 영역 β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이 상기 이온성 액체를 포함하는, (12)에 기재된 광학 필름.
(14) 오목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 전사부가 복수 배열된 외주면을 갖는 롤형(型)을 회전시키고, 상기 롤형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상기 롤형의 회전 방향으로 기재를 주행시키면서, 상기 롤형의 상기 외주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도포하고, 상기 마이크로 렌즈 전사부의 오목 형상의 일부를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로 충전하는 것과, 상기 롤형의 상기 외주면과 상기 기재 사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공급하는 것과, 상기 롤형의 상기 외주면과 상기 기재 사이에 적어도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협지한 상태에서, 상기 롤형의 상기 외주면과 상기 기재 사이의 영역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와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의 경화물을 얻는 것과, 상기 경화물을 상기 롤형으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15)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로 충전하는 것에 있어서의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의 도포가,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상기 롤형의 상기 외주면의 상기 오목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 전사부의 표면에 추종시키는 도포인, (14)에 기재된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16)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로 충전하는 것과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공급하는 것 사이에,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경화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14) 또는 (15)에 기재된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17)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의 점도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의 점도보다 낮은, (14)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18) (1)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면발광체.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각종 물리 특성, 특히, 밀착성, 내충격성, 저컬성, 내찰상성, 방오성, 난연성, 대전 방지성, 내후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은 상기 광학 필름의 제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면발광체는 광학 특성, 특히 광 취출 효율이 우수하다.
도 1a는 본 발명의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볼록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볼록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일례를 광학 필름의 상방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마이크로 렌즈의 배치예를 광학 필름의 상방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마이크로 렌즈의 배치예를 광학 필름의 상방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마이크로 렌즈의 배치예를 광학 필름의 상방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마이크로 렌즈의 배치예를 광학 필름의 상방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도 3e는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마이크로 렌즈의 배치예를 광학 필름의 상방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도 3f는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마이크로 렌즈의 배치예를 광학 필름의 상방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면발광체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도면 및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이크로 렌즈의 볼록 형상)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볼록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10)가 복수 배치되어 있다.
볼록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10)의 일례를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한다. 도 1a는 모식적 단면도이며, 도 1b는 모식적 사시도이다. 마이크로 렌즈(10)는 영역 α(11) 및 영역 β(12)를 갖는다. 영역 β(12)는 마이크로 렌즈(10)의 볼록 형상의 외측 부분을 차지한다. 영역 β(12)는 영역 α(11)를 덮도록 위치하고 있다.
마이크로 렌즈(10)의 볼록 형상은 영역 β(12)의 외면, 즉 도 1a에 있어서의 상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영역 α(11)가 영역 β(12)에 의해 완전히 덮이는 것이 아니고, 영역 α(11)의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어 마이크로 렌즈(10)의 표면의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마이크로 렌즈(10)의 볼록 형상은 영역 β(12)의 외면 및 영역 α(11)의 외면에 의해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마이크로 렌즈(10)의 저면부(13)란, 마이크로 렌즈(10)의 저부의 외주연에 의해 둘러싸이는 가상적인 면 형상 부분을 의미한다. 광학 필름이 후술하는 베이스층(21)을 갖는 경우, 마이크로 렌즈(10)의 저면부(13)는 마이크로 렌즈(10)와 베이스층(21)과의 계면에 대응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마이크로 렌즈(10)의 저면부(13)의 최장 직경 L이란, 마이크로 렌즈(10)의 저면부(13)에 있어서의 가장 긴 부분의 길이를 의미하고, 마이크로 렌즈(10)의 저면부(13)의 평균 최장 직경 Lave는 광학 필름의 마이크로 렌즈(10)를 갖는 표면을 주사형 현미경으로 촬영하고, 마이크로 렌즈(10)의 저면부(13)의 최장 직경 L을 5개소 측정하고, 그의 평균값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마이크로 렌즈(10)의 높이 H란, 마이크로 렌즈(10)의 저면부(13)부터 마이크로 렌즈(10)의 가장 높은 부위까지의 높이를 의미하고, 마이크로 렌즈(10)의 평균 높이 Have는 광학 필름의 단면을 주사형 현미경으로 촬영하고, 마이크로 렌즈(10)의 높이 H를 5개소 측정하여, 그의 평균값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영역 α(11)의 높이 h란, 마이크로 렌즈(10)의 저면부(13)부터 영역 α(11)의 가장 높은 부위까지의 높이를 의미하고, 영역 α(11)의 평균 높이 have는 광학 필름의 단면을 주사형 현미경으로 촬영하고, 영역 α(11)의 높이 h를 5개소 측정하여, 그의 평균값으로 한다.
마이크로 렌즈(10)의 볼록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어 구결(球缺) 형상, 구결 사다리꼴 형상, 타원체 구결 형상(회전 타원체를 1개의 평면으로 잘라낸 형상), 타원체 구결 사다리꼴 형상(회전 타원체를 서로 평행한 2개의 평면으로 잘라낸 형상), 각뿔 형상, 각뿔대 형상, 원뿔 형상, 원뿔대 형상, 이들에 관련된 지붕형 형상(구결 형상, 구결 사다리꼴 형상, 타원체 구결 형상, 타원체 구결 사다리꼴 형상, 각뿔 형상, 각뿔대 형상, 원뿔 형상 또는 원뿔대 형상이 저면부를 따라 신장된 듯한 형상)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마이크로 렌즈(10)의 볼록 형상은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10)에 대하여,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이들 마이크로 렌즈(10)의 볼록 형상 중에서도, 면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 우수한 점에서, 구결 형상, 구결 사다리꼴 형상, 타원체 구결 형상, 타원체 구결 사다리꼴 형상이 바람직하고, 구결 형상, 타원체 구결 형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 형상은 진구 형상이 아닐 수도 있고, 대략 구 형상이면 된다. 대략 구 형상이란, 구 형상의 표면이 당해 구 형상에 외접하는 가상 진구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가상 진구의 중심으로부터 법선 방향에 대하여 어긋난 형상이며, 그 어긋남량은 상기 가상 진구의의 반경에 대하여 0 내지 20%여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형상을 「타원」이라고 표현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진원을 일방향 또는 다방향으로 신장시킨 원형도 포함한다.
마이크로 렌즈(10)의 저면부(13)의 평균 최장 직경 Lave는 2㎛ 내지 400㎛가 바람직하고, 10㎛ 내지 200㎛가 보다 바람직하고, 20㎛ 내지 100㎛가 더욱 바람직하다. 마이크로 렌즈(10)의 저면부(13)의 평균 최장 직경 Lave가 2㎛ 이상이면 면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 우수하다. 또한, 마이크로 렌즈(10)의 저면부(13)의 평균 최장 직경 Lave가 400㎛ 이하이면, 마이크로 렌즈(10)가 시인되지 않고, 광학 필름의 외관이 우수하다.
마이크로 렌즈(10)의 평균 높이 Have는 1㎛ 내지 200㎛가 바람직하고, 5㎛ 내지 100㎛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내지 50㎛가 더욱 바람직하다. 마이크로 렌즈(10)의 평균 높이 Have가 1㎛ 이상이면 면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 우수하다. 또한, 마이크로 렌즈(10)의 평균 높이 Have가 200㎛ 이하이면, 광학 필름의 유연성이 우수하다.
마이크로 렌즈(10)의 종횡비는 0.3 내지 1.4가 바람직하고, 0.35 내지 1.3이 보다 바람직하고, 0.4 내지 1.0이 더욱 바람직하다. 마이크로 렌즈(10)의 종횡비가 0.3 이상이면 면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 우수하다. 또한, 마이크로 렌즈(10)의 종횡비가 1.4 이하이면, 롤형의 전사부가 형성되기 쉽고, 광학 필름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또한, 마이크로 렌즈(10)의 종횡비는 「마이크로 렌즈(10)의 평균 높이 Have/마이크로 렌즈(10)의 저면부의 평균 최장 직경 Lave」로 산출한다.
(마이크로 렌즈의 저면부)
마이크로 렌즈(10)의 저면부(13)의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볼록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10)의 저면부(13)의 형상은 복수의 마이크로 렌즈(10)에 대하여,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이들 마이크로 렌즈(10)의 저면부(13)의 형상 중에서도 면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 우수한 점에서, 원형, 타원형이 바람직하고, 원형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원형은 진원이 아닐 수도 있고, 대략 원형이면 된다. 대략 원형이란, 원형의 표면이 당해 원형에 외접하는 가상 진원의 원주로부터, 상기 가상 진원의 법선 방향에 대하여 어긋난 형상이며, 그 어긋남량은 상기 가상 진원의 반경에 대하여, 0 내지 20%여도 된다.
상방으로부터 본 광학 필름의 일례를 도 2에 도시한다.
광학 필름(20)의 면적(도 2의 실선으로 둘러싸인 면적)에 대한 마이크로 렌즈(10)의 저면부(13)의 면적(도 2의 점선으로 둘러싸인 면적)의 합계의 비율은 20 내지 99%가 바람직하고, 30 내지 95%가 보다 바람직하고, 50 내지 93%가 더욱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20)의 면적에 대한 마이크로 렌즈(10)의 저면부(13)의 면적의 합계의 비율이 20% 이상이면 면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 우수하다. 또한, 광학 필름(20)의 면적에 대한 마이크로 렌즈(10)의 저면부(13)의 면적의 합계의 비율이 99% 이하이면, 롤형의 전사부를 형성하기 쉽고, 광학 필름(20)의 제조가 용이해진다.
또한, 마이크로 렌즈(10)의 저면부(13)가 모두 동일한 크기의 원형인 경우, 광학 필름(20)의 면적에 대한 마이크로 렌즈(10)의 저면부의 합계의 면적의 비율의 최댓값은 91% 정도가 된다.
(마이크로 렌즈의 배치)
마이크로 렌즈(10)의 배치예를 도 3a 내지 도 3f에 도시한다.
마이크로 렌즈(10)의 배치로서는, 예를 들어 육방 배열(도 3a), 직사각형 배열(도 3b), 마름모형 배열(도 3c), 직선 형상 배열(도 3d), 원 형상 배열(도 3e), 랜덤 배열(도 3f) 등을 들 수 있다. 육방 배열이란, 육각형의 각 정점 및 중점에 요철 구조(13)가 배치되고, 해당 육각형의 배치가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나타낸다. 직사각형 배열이란, 직사각형의 각 정점에 요철 구조(13)가 배치되고, 해당 직사각형의 배치가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나타낸다. 마름모형 배열이란, 마름모형의 각 정점에 요철 구조(13)가 배치되고, 해당 마름모형의 배치가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나타낸다. 직선 형상 배열이란, 직선 형상으로 요철 구조(13)가 배치되는 것을 나타낸다. 원 형상 배열이란, 원을 따라 요철 구조(13)가 배치되는 것을 나타낸다.
이들 마이크로 렌즈(10)의 배치 중에서도 면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 우수한 점에서, 육방 배열, 직사각형 배열, 마름모형 배열이 바람직하고, 육방 배열, 직사각형 배열이 보다 바람직하다.
(영역 α 및 영역 β)
영역 α(11)의 평균 높이 have는 0.8㎛ 내지 160㎛가 바람직하고, 4㎛ 내지 80㎛가 보다 바람직하고, 8㎛ 내지 40㎛가 더욱 바람직하다. 영역 α(11)의 평균 높이 have가 0.8㎛ 이상이면 광학 필름의 영역 α에 부여한 성능(밀착성, 내충격성)이 우수하다. 또한, 영역 α의 평균 높이 have가 160㎛ 이하이면, 광학 필름의 영역 β에 부여한 성능(내찰상성, 방오성, 난연성, 대전 방지성, 내후성)이 우수하다.
마이크로 렌즈(10)의 평균 높이 Have에 대한 영역 α(11)의 평균 높이 have의 비율(have/Have)은 0.04 내지 0.96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0.92가 보다 바람직하고, 0.2 내지 0.88이 더욱 바람직하다. 마이크로 렌즈(10)의 평균 높이 Have에 대한 영역 α(11)의 평균 높이 have의 비율이 0.04 이상이면 광학 필름의 영역 α에 부여한 성능이 우수하다. 또한, 마이크로 렌즈(10)의 평균 높이 Have에 대한 영역 α(11)의 평균 높이 have의 비율이 0.96 이하이면, 광학 필름의 영역 β에 부여한 성능이 우수하다.
마이크로 렌즈(10)의 부피에 대한 영역 α(11)의 부피의 비율은 0.01 내지 0.90이 바람직하고, 0.02 내지 0.80이 보다 바람직하고, 0.03 내지 0.70이 더욱 바람직하다. 마이크로 렌즈(10)의 부피에 대한 영역 α(11)의 부피의 비율이 0.01 이상이면 광학 필름의 영역 α에 부여한 성능이 우수하다. 또한, 마이크로 렌즈(10)의 부피에 대한 영역 α(11)의 부피의 비율이 0.90 이하이면, 광학 필름의 영역 β에 부여한 성능이 우수하다.
마이크로 렌즈(10)에는 영역 α(11)와 영역 β(12) 사이에, 다른 영역이 존재할 수도 있다. 다른 영역은 1층일 수도 있고, 복수의 층일 수도 있다. 다른 영역으로서는, 예를 들어 영역 α와 영역 β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중간 영역 등을 들 수 있다.
(영역 α)
영역 α는 밀착성, 내충격성 및 저컬성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성능을 갖는 수지 조성물로 구성된다.
영역 α가 밀착성의 성능을 가짐으로써, 마이크로 렌즈(10)(베이스층(21))와 기재(22)를, 또는 마이크로 렌즈(10)(베이스층(21))와 유리 기판(41)을 밀착시킬 수 있어, 면발광체의 구조 안정성이 우수하고, 점착층(23) 등을 불필요하게 할 수 있고, 면발광체의 생산성, 굴곡성이 우수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밀착성」은 ISO 2409에 준거하는 부착성 시험에 의해 평가된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평가된다.
기재(22) 위에 영역 α 및 영역 β를 형성한 샘플에, 커터 나이프를 사용하여, 기재(22)에 달하는 11개의 베인 흠집을 내어, 100칸의 격자상 패턴(크로스컷)을 만든다. 베인 흠집의 간격은 본 평가에서는 2㎜로 한다. 격자상 패턴 부분에 셀로판테이프를 강하게 압착시켜, 셀로판테이프의 끝을 45°의 각도로 단숨에 박리한다. 그 후, 격자상 패턴의 상태를 ISO 2409에 기재된 표준도와 비교하여, 분류 0 내지 분류 5의 6단계로 밀착성을 평가한다. 시험 결과가 분류 0인 경우가 가장 밀착성이 높고, 시험 결과가 분류 5인 경우가 가장 밀착성이 낮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광학 필름(20)의 밀착성은 ISO 2409에 준거하는 부착성 시험 결과가 분류 0 또는 분류 1이며, 분류 0이 바람직하다. 분류 0은 「커트의 테두리가 완전히 매끄럽고, 어느 격자의 눈에도 박리가 없음」을 나타낸다. 분류 1은 「커트의 교차점에 있어서의 도막의 작은 박리. 크로스컷 부분에서 영향을 받는 것은, 명확하게 5%를 상회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크로스컷 부분에서 받는 영향」이란, 시험에 있어서 셀로판테이프로 박리한 후의 격자상 패턴의 결락된 정도를 의미한다.
영역 α가 밀착성의 성능을 갖기 위해서는, 영역 α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에, 예를 들어 비스페놀 골격을 갖는 단량체 단위, 방향족 (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 등의 밀착성을 갖는 골격을 갖는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면 된다.
비스페놀 골격을 갖는 단량체 단위를 구성하기 위한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옥시드 변성 비스페놀 A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옥시드 변성 비스페놀 A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방향족 (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를 구성하기 위한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에톡시화플루오렌(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페닐글리시딜에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페닐페놀(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페닐페놀(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영역 α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한 밀착성을 갖는 골격을 갖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율은 마이크로 렌즈(10)(베이스층(21))의 밀착성이 우수한 점에서, 1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10질량% 내지 9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20질량% 내지 80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영역 α가 내충격성의 성능을 가짐으로써, 광학 필름(20)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내충격성」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평가된다.
ISO 6272에 준거하는 낙하식 충격 변형 시험에 있어서, 500g의 구를 50㎝의 높이에서 낙하시키고, 깨짐 또는 박리 발생의 유무를 확인하여, 깨짐 또는 박리가 없는 것을 내충격성이 우수한 것으로 한다.
영역 α가 내충격성의 성능을 갖기 위해서는, 영역 α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에, 예를 들어 다관능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 등의 유연성을 갖는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면 된다.
다관능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를 구성하기 위한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과,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반응시킨 화합물, 알코올류(알칸디올, 폴리에테르디올, 폴리에스테르디올, 스피로글리콜 화합물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산기에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부가하고, 남은 이소시아네이트기에,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반응시킨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영역 α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한 유연성을 갖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율은 광학 필름(20)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1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10질량% 내지 6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20질량% 내지 50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영역 α가 저컬성의 성능을 가짐으로써, 광학 필름(20)의 컬을 억제할 수 있고, 면발광체의 생산성이 우수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저컬성」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평가된다.
광학 필름(20)을 한변이 50㎜인 사각형의 크기로 자르고, 60℃에서 4시간 건조하고, 제전 블로어에 의해 제전하고, 평평한 면 위에 마이크로 렌즈(10)를 갖는 면이 위가 되도록 정치한다. 이 상태에서, 광학 필름(20)의 4코너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평평한 면으로부터의 거리(컬)를 하이트 게이지로 측정한다. 컬성 평가는상기 4코너 각각에 있어서의 거리의 평균값(㎜)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광학 필름(20)의 컬성은 1.0㎜ 이하이고, 0.01㎜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고, 0.03㎜ 내지 0.9㎜가 보다 바람직하고, 0.05㎜ 내지 0.8㎜가 더욱 바람직하다.
영역 α가 저컬성의 성능을 갖기 위해서는, 영역 α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에, 예를 들어 폴리알킬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 폴리에스테르폴리올디메타크릴레이트 단위, 방향족 에스테르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 등의 저탄성이 되는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면 된다. 이들 저탄성이 되는 단량체 단위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폴리알킬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를 구성하기 위한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부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저탄성이 되는 단량체 단위 중에서도 광학 필름(20)의 컬을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폴리알킬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 폴리에스테르폴리올디메타크릴레이트 단위, 방향족 에스테르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가 바람직하고, 폴리알킬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영역 α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한 저탄성이 되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율은 광학 필름(20)의 컬을 억제할 수 있고, 면발광체의 생산성이 우수한 점에서, 1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10질량% 내지 5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15질량% 내지 40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영역 α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한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 폴리에스테르폴리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 및 방향족 에스테르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의 함유율의 합계는, 광학 필름(20)의 컬을 억제할 수 있고, 면발광체의 생산성이 우수한 점에서, 1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10질량% 내지 5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15질량% 내지 40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저컬성의 성능을 갖기 위한 기재(22)의 재료는 영역 α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과의 조합을 고려하여, 아크릴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스티렌 수지, 염화비닐 수지, 셀룰로오스 수지, 이미드 수지가 바람직하고, 아크릴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이미드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고,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영역 α는 제1 미립자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영역 α에 포함되는 제1 미립자는 가시광 파장 영역(대략 400㎚ 내지 700㎚)의 광 확산 효과를 갖는 미립자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미립자를 사용할 수 있다. 영역 α에 포함되는 제1 미립자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제1 미립자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금, 은, 규소, 알루미늄, 마그네슘, 지르코늄, 티타늄, 아연, 게르마늄, 인듐, 주석, 안티몬, 세륨 등의 금속; 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지르코늄,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산화게르마늄, 산화인듐, 산화주석, 인듐주석 산화물, 산화안티몬, 산화세륨 등의 금속 산화물; 수산화알루미늄 등의 금속 수산화물; 탄산마그네슘 등의 금속 탄산화물; 질화규소 등의 금속 질화물; 아크릴 수지, 스티렌 수지, 실리콘 수지, 우레탄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미립자의 재료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이들 미립자의 재료 중에서도 광학 필름(20)의 제조 시의 취급성이 우수한 점에서, 규소, 알루미늄, 마그네슘, 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탄산마그네슘, 아크릴 수지, 스티렌 수지, 실리콘 수지, 우레탄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가 바람직하고, 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 탄산마그네슘, 아크릴 수지, 스티렌 수지, 실리콘 수지, 우레탄 수지, 멜라민 수지, 에폭시 수지의 입자가 바람직하다.
영역 α에 포함되는 제1 미립자의 굴절률은 광학 필름(20)의 광투과성이 우수한 점에서, 1.30 내지 2.00이 바람직하고, 1.35 내지 1.95가 보다 바람직하고, 1.40 내지 1.90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1 미립자의 굴절률은, 20℃에서 나트륨 D선을 사용하여 측정한 값이다.
영역 α에 포함되는 제1 미립자의 부피 평균 입자 직경은 0.5㎛ 내지 20㎛가 바람직하고, 1㎛ 내지 15㎛가 보다 바람직하고, 1.5㎛ 내지 10㎛가 더욱 바람직하다. 영역 α에 포함되는 제1 미립자의 부피 평균 입자 직경이 0.5㎛ 이상이면 가시 파장 영역의 광을 효과적으로 산란시킬 수 있다. 또한, 영역 α에 포함되는 제1 미립자의 부피 평균 입자 직경이 20㎛ 이하이면, 면발광체의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피 평균 입자 직경은 코울터 카운터에 의해 측정한 것을 사용한다.
영역 α에 포함되는 제1 미립자의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어 구 형상, 원주 형상, 입방체 형상, 직방체 형상, 각뿔 형상, 원뿔 형상, 별형상, 부정형상을 들 수 있다. 이들 영역 α에 포함되는 제1 미립자의 형상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이들 영역 α에 포함되는 제1 미립자의 형상 중에서도 가시광 파장 영역의 광을 효과적으로 산란시킬 수 있는 점에서, 구 형상, 입방체 형상, 직방체 형상, 각뿔 형상, 별형상이 바람직하고, 구 형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영역 α 전체 질량에 대한 영역 α에 포함되는 제1 미립자의 함유율은 1질량% 내지 50질량%가 바람직하고, 3질량% 내지 4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5질량% 내지 40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영역 α 전체 질량에 대한 영역 α에 포함되는 제1 미립자의 함유율이 1질량% 이상이면 광학 필름(20)의 광 확산성이 우수하고, 면발광체의 출사광 파장의 출사 각도 의존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영역 α 전체 질량에 대한 영역 α에 포함되는 제1 미립자의 함유율이 50질량% 이하이면, 광학 필름(20)의 컬을 억제하여, 면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나 법선 휘도가 우수하다.
또한, 영역 α 전체 질량에 대한 영역 α에 포함되는 제1 미립자의 함유율은, 중간층(25) 전체 질량에 대한 중간층(25)에 포함되는 제1 미립자의 함유율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영역 α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00 이상이 바람직하고, 1000 내지 10000000이 보다 바람직하고, 2000 내지 5000000이 더욱 바람직하다.
(영역 β)
영역 β는 내찰상성, 방오성, 난연성, 대전 방지성 및 내후성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성능을 갖는 수지 조성물로 구성된다.
영역 β가 내찰상성을 가짐으로써, 광학 필름(20)의 흠집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광학 필름(20)이나 면발광체의 광학 성능이 지속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내찰상성」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평가된다. 광학 필름(20)에, 마찰 시험기(기종명 「RT-200」, (주) 다이에 가가쿠 세이키 세이사쿠쇼제)를 사용하여, 추 200g, 300㎜의 거리를 1왕복/분의 속도로, 합계 1000회 웨이스트 클로스를 왕복시켜, 찰상을 부여한다.
찰상성 평가는, 마찰 시험 후의 광학 필름(20)을 적층한 면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로부터 마찰 시험 전의 광학 필름(20)을 적층한 면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을 뺀 값(%)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내찰상성은 -0.01% 내지 0.01%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8% 내지 0.008%가 보다 바람직하고, -0.006% 내지 0.006%가 더욱 바람직하다.
영역 β가 내찰상성의 성능을 갖기 위해서는, 영역 β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에, 예를 들어 3관능 이상의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 등의 내찰상성을 부여할 수 있는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면 된다.
3관능 이상의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를 구성하기 위한 단량체로서는, 예를 들어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류;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히드록시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디펜타에리트리톨히드록시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류;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에톡시 변성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류;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에톡실레이티드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실레이티드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탄소수 2 내지 5의 지방족 탄화수소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시아누르산에틸렌옥시드 변성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류 등을 들 수 있다.
영역 β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한 내찰상성을 부여할 수 있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율은, 광학 필름(20)의 흠집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광학 필름(20)이나 면발광체의 광학 성능이 지속되는 점에서, 3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30질량% 내지 8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40질량% 내지 70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영역 β가 방오성을 가짐으로써, 광학 필름(20)의 오염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어, 광학 필름(20)이나 면발광체의 광학 성능이 지속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방오성」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평가된다.
광학 필름(20)의 표면과 순수의 정적 접촉각을 접촉각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여, 정적 접촉각이 90° 이상인 것을 방오성이 우수한 것으로 한다.
영역 β가 방오성의 성능을 갖기 위해서는, 영역 β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에, 예를 들어 불소 화합물, 실리콘 화합물, 장쇄 지방족 화합물 등의 발수 발유성을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면 된다.
불소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불화비닐, 퍼플루오로알콕시불소 수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테트라메틸오르토규산, 아지드화 트리메틸시올N-(2-아미노메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이소부틸이소프로필디메톡시실란, 에톡시트리메틸실란, [3-(2,3-에폭시프로폭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트리클로로실란, 테트라클로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장쇄 지방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에이코사펜타엔산, 리놀산, 올레산 등을 들 수 있다.
영역 β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한 발수 발유성을 갖는 화합물의 함유율은 광학 필름(20)의 오염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어, 광학 필름(20)이나 면발광체의 광학 성능이 지속되는 점에서, 0.1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0.1질량% 내지 1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0.5질량% 내지 5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영역 β가 난연성을 가짐으로써, 광학 필름(20)의 화재 번짐의 억제 또는 광학 필름(20)의 자기 소화를 가능하게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난연성」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평가된다.
UL94 규격(Underwriters Laboratories Inc.가 책정하는 제품 안전 규격)에 준거하는 연소성 시험에 있어서, UL94HB 또는 UL94V2를 만족하는 것을 난연성이 우수한 것으로 한다.
영역 β가 난연성의 성능을 갖기 위해서는, 영역 β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에, 예를 들어 인산에스테르 화합물, 할로겐 함유 화합물 등의 난연성을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면 된다.
인산에스테르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메틸포스페이트, 트리에틸포스페이트, 트리부틸포스페이트, 트리옥틸포스페이트, 트리부톡시에틸포스페이트, 트리페닐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포스페이트, 크레실디페닐포스페이트, 옥틸디페닐포스페이트, 디이소프로필페닐포스페이트, 2-나프틸디페닐포스페이트, 크레실디2,6-크실레닐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할로겐 함유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테트라브로모 비스페놀 A, 데카브로모디페닐옥시드, 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 옥타브로모디페닐에테르, 비스트리브로모페녹시에탄, 에틸렌비스테트라브로모프탈이미드, 트리브로모페놀, 할로겐화 폴리스티렌, 염소화 폴리올레핀, 폴리염화비닐 등을 들 수 있다.
영역 β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한 난연성을 갖는 화합물의 함유율은 광학 필름(20)의 화재 번짐의 억제 또는 광학 필름(20)의 자기 소화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1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1질량% 내지 2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3질량% 내지 15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영역 β가 대전 방지성을 가짐으로써, 정전기 등에 의한 광학 필름(20)에의 티끌이나 먼지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어, 광학 필름(20)이나 면발광체의 광학 성능이 지속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대전 방지성」은 IEC 60093에 준거하는 저항률 시험에 의해 평가된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평가된다.
저항률계를 사용하여, 광학 필름(20)의 표면에, 링 프로브를 사용하여 500V의 전압을 인가하여, 60초 유지했을 때의 표면 저항률을 측정한다.
광학 필름(20)의 표면 저항률은 정전기 등에 의한 광학 필름(20)에의 티끌이나 먼지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어, 광학 필름(20)이나 면발광체의 광학 성능이 지속되는 점에서, 1013Ω/㎠ 이하가 바람직하고, 108Ω/㎠ 내지 1013Ω/㎠가 보다 바람직하고, 109Ω/㎠ 내지 1012Ω/㎠가 더욱 바람직하다.
영역 β가 대전 방지성의 성능을 갖기 위해서는, 영역 β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에, 예를 들어 이온성 액체, 4급 암모늄 화합물, 이온성 계면 활성제, 도전성 고분자 등의 도전성을 갖는 화합물의 적어도 1종을 포함하면 된다. 이들 화합물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이들 화합물 중에서도 수지에의 분산성이 우수한 점에서, 이온성 액체가 바람직하다.
이온성 액체는 액체에서 존재하는 염을 의미하며, 음이온과 양이온을 포함한다.
이온성 액체의 음이온으로서는, 예를 들어 할로겐, 이미드, 아미드, 술페이트, 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온성 액체의 음이온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이들 이온성 액체의 음이온 중에서도 대전 방지성이 우수한 점에서, 이미드, 아미드, 술페이트가 바람직하고, 이미드, 술페이트가 보다 바람직하다.
할로겐으로서는, 예를 들어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클로라이드, 테트라클로로알루미네이트, 브로마이드, 요오다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할로겐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이미드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미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아미드로서는, 예를 들어 시아나미드, 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아미드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술페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부틸술포네이트, 메틸술페이트, 에틸술페이트, 히드로겐술페이트, 옥틸술페이트, 알킬술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술페이트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포스페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부틸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포스페이트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그 외, 나이트레이트, 티오시아네이트, 아세테이트, 아미노아세테이트, 락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온성 액체의 양이온으로서는, 예를 들어 암모늄염, 이미다졸륨염, 포스포늄염, 피리디늄염, 피롤리디늄염, 피롤리늄염, 트리아조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온성 액체의 양이온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이들 이온성 액체의 양이온 중에서도 대전 방지성이 우수한 점에서, 암모늄염, 이미다졸륨염이 바람직하고, 암모늄염이 보다 바람직하다.
암모늄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부틸트리메틸암모늄, 에틸디에틸프로필암모늄, 2-히드록시에틸-트리에틸암모늄, 메틸-트리옥틸암모늄, 메틸트리옥틸암모늄, 테트라부틸암모늄, 테트라에틸암모늄, 테트라헵틸암모늄, 트리부틸메틸암모늄, 트리에틸메틸암모늄, 트리스(2-히드록시)메틸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암모늄염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이미다졸륨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1-알릴-3-메틸이미다졸륨, 1-벤질-3-메틸이미다졸륨, 1,3-비스(시아노메틸)이미다졸륨, 1,3-비스(시아노프로필)이미다졸륨, 1-부틸-2,3-디메틸이미다졸륨, 4-(3-부틸)-1-이미다졸륨, 1-(3-시아노프로필)-3-메틸이미다졸륨,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 1-부틸-3-메틸이미다졸륨, 1-데실-3-메틸이미다졸륨, 1,3-디에톡시이미다졸륨, 1,3-디메톡시-2-메틸이미다졸륨, 1-헥실-3-메틸이미다졸륨, 1-메틸-3-옥틸이미다졸륨, 1-메틸-3-프로필이미다졸륨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미다졸륨염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포스포늄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테트라부틸포스포늄, 트리부틸메틸포스포늄, 트리헥실테트라데실포스포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포스포늄염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피리듐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1-부틸-3-메틸피리듐, 1-부틸-4-메틸피리듐, 1-부틸피리듐, 1-에틸피리듐, 1-(3-시아노프로필)피리듐, 3-메틸-4-프로필피리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피리디늄염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피롤리디늄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1-부틸-1-메틸피롤리디늄, 2-메틸피롤리디늄, 3-페닐피롤리디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피롤리디늄염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피롤리늄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2-아세틸피롤리늄, 3-아세틸피롤리늄, 1-(2-니트로페닐)피롤리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피롤리늄염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이온성 액체는 시판되고 있는 이온 액체일 수도 있고, 예를 들어 「FC-4400」 등의 스미토모 쓰리엠(주)제의 FC 시리즈; 「아미노 이온 AS100」, 「아미노 이온 AS300」, 「아미노 이온 AS400」 등의 닛본 뉴카자이(주)제의 아미노 이온 AS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4급 암모늄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불화암모늄, 염화암모늄, 브롬화암모늄, 요오드화암모늄, 수산화암모늄, 암모늄폴리할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도전성 고분자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티오펜, 폴리티오펜비닐렌, 폴리(3-알킬티오펜), 폴리파라페닐렌, 폴리파라페닐렌비닐렌, 폴리아닐린, 폴리피롤, 폴리3, 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폰산(PEDOT-PSS) 등을 들 수 있다.
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콜산나트륨, 데옥시콜산나트륨, 글리콜산나트륨, 타우로콜산나트륨, 타우로데옥시콜산나트륨, N-라우로일사르코신나트륨, 헥사데실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미리스틸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영역 β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한 도전성을 갖는 화합물의 함유율은 정전기 등에 의한 광학 필름(20)에의 티끌이나 먼지의 부착을 억제할 수 있어, 광학 필름(20)이나 면발광체의 광학 성능이 지속되는 점에서, 1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1질량% 내지 1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3질량% 내지 10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영역 β가 내후성을 가짐으로써, 날씨에 의한 광학 필름(20)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어, 광학 필름(20)이나 면발광체의 광학 성능이 지속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내후성」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평가된다.
광학 필름(20)에 자외광 파장(295㎚ 내지 450㎚)의 광을 800W/㎠로 350시간 폭로 후, 폭로 전의 광학 필름(20)의 전체 광선 투과율에 대하여, 폭로 후의 광학 필름(20)의 전체 광선 투과율이 0.7배 내지 1.05배일 때에 내후성이 우수한 것으로 한다.
영역 β가 내후성의 성능을 갖기 위해서는, 영역 β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에, 예를 들어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산란제, 광안정제, 산화 방지제 등의 날씨에 의한 열화를 억제하는 화합물을 포함하면 된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트리아진 화합물, 벤조페논 화합물, 벤조에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산란제로서는,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등을 들 수 있다.
광안정제로서는, 예를 들어 힌더드아민 화합물, 페놀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인산 화합물, 황 화합물, 아민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는 열 안정성이나 산소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갖는다.
영역 β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한 날씨에 의한 열화를 억제하는 화합물의 함유율은 날씨에 의한 광학 필름(20)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어, 광학 필름(20)이나 면발광체의 광학 성능이 지속되는 점에서, 1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1질량% 내지 1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고, 3질량% 내지 10질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영역 β에는 제2 미립자가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영역 β에 포함되는 제2 미립자의 재료, 부피 평균 입자 직경, 형상은 상술한 영역 α에 포함되는 제1 미립자와 마찬가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마찬가지의 이유로 마찬가지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제1 미립자와 제2 미립자의 재료의 부피 평균 입자 직경, 형상은 각각 동일할 수도 있고, 각각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영역 β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500 이상이 바람직하고, 1000 내지 10000000이 보다 바람직하고, 2000 내지 5000000이 더욱 바람직하다.
영역 α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과 영역 β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은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은 전술한 형태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범위에서, 임의의 수지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원하는 화합물을 혼합하는 방법, 원하는 단량체를 중합하는 방법, 원하는 화합물을 원하는 단량체에 분산시켜 중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단량체를 중합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단량체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조성물을 가열하여 경화하는 방법, 단량체를 포함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을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경화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의 제조 방법 중에서도 공정이 간편하고 경화 속도가 빠른 점에서, 단량체를 포함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을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경화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으로서는, 예를 들어 자외선, 전자선, X선, 적외선, 가시광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활성 에너지선 중에서도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성이 우수하고, 광학 필름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점에서, 자외선, 전자선이 바람직하고, 자외선이 보다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의 구성)
도 4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있어서의 광학 필름(20)은 기재(22)와, 볼록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10)와, 점착층(23)과, 보호 필름(24)을 포함한다. 볼록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10)는 기재(22) 위에 배치되어 있다. 기재(22)의 볼록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가 배치되어 있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점착층(23) 및 보호 필름(24)이 설치되어 있다. 점착층(23)은 기재(22)와 보호 필름(24) 사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볼록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10)의 형상의 유지가 우수한 점에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10)의 저면부와 기재(22) 사이에 베이스층(21)이 형성된 광학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층)
베이스층(21)은 주로 경화 시의 중합 수축 등에 수반하는 응력을 완화하여 마이크로 렌즈(10)의 볼록 형상을 유지하는 역할을 갖는다.
베이스층(21)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공지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베이스층(21) 중에서도 공정이 간편하고, 베이스층(21)과 볼록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10)를 1개의 연속막상체로 함으로써 기재(22)와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는 점에서, 베이스층(21)의 재료는 영역 α(11)의 재료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베이스층(21)과 영역 α(11)를 합하여 중간층(25)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베이스층(21)의 두께는 1㎛ 내지 60㎛가 바람직하고, 3㎛ 내지 40㎛가 보다 바람직하고, 5㎛ 내지 30㎛가 더욱 바람직하다. 베이스층(21)의 두께가 1㎛ 이상이면 광학 필름의 취급성이 우수하다. 또한, 베이스층(21)의 두께가 60㎛ 이하이면, 면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 우수하다.
(기재)
기재(22)를 포함하여 광학 필름을 유기 EL 소자(40) 위에 적층하는 경우, 기재(22)는 가시광 파장 영역의 광을 투과하기 쉬운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기재(18)의 가시광 투과율은 JIS K7361에 준거하여 측정한 값이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광학 필름의 제조 시에 롤형과 기재(22) 사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을 협지하여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경우에는, 기재(22)는 활성 에너지선을 투과하기 쉬운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재(22)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스티렌, ABS 수지 등의 스티렌 수지; 염화비닐 수지;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수지; 폴리이미드, 폴리이미드아미드 등의 이미드 수지; 유리; 금속을 들 수 있다. 이들 기재의 재료 중에서도 유연성이 우수하고, 활성 에너지선의 투과성이 우수한 점에서, 아크릴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스티렌 수지, 염화비닐 수지, 셀룰로오스 수지, 이미드 수지가 바람직하고, 아크릴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이미드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고,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더욱 바람직하다.
기재(22)의 두께는 10㎛ 내지 500㎛가 바람직하고, 20㎛ 내지 400㎛가 보다 바람직하고, 50㎛ 내지 300㎛가 더욱 바람직하다. 기재의 두께가 10㎛ 이상이면, 광학 필름의 취급성이 우수하다. 또한, 기재의 두께가 500㎛ 이하이면, 면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이 우수하다.
(점착층(23))
본 발명의 광학 필름(20)은 마이크로 렌즈(10)를 갖지 않는 표면에, 유기 EL 발광 소자(30)에 접착하기 위하여, 점착층(23)을 형성할 수도 있다. 광학 필름(10)에 기재(22)를 갖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재(22)의 표면에 점착층(23)을 형성하면 된다.
점착층(23)으로서는, 예를 들어 공지의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층(23)의 표면에는 광학 필름(10)의 취급성을 높이기 위하여, 보호 필름(24)을 설치할 수도 있다. 보호 필름(24)은 유기 EL 발광 소자(30)의 표면에 광학 필름(10) 등을 붙일 때 광학 필름(10) 등으로부터 박리하면 된다.
보호 필름(24)으로서는, 예를 들어 공지의 보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기재(22)의 마이크로 렌즈(10)를 설치하는 측의 표면에 프라이머층을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즉, 기재(22)와 영역 α 사이에 프라이머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기재(22)의 표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함으로써, 기재(22)와 영역 α의 밀착성을 보다 견고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영역 α의 성막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프라이머층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수계 우레탄 수지, 아크릴계 우레탄 수지, 에테르계 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우레탄 수지 등 우레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프라이머층의 재료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다. 이들 프라이머층의 재료 중에서도 기재(22)와 영역 α의 밀착성이 우수한 점에서, 우레탄 수지가 바람직하고, 아크릴계 우레탄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공정이 간편하고, 광학 필름의 성형성이 우수한 점에서, 순차 실행되는 하기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이 바람직하다.
공정 A: 오목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 전사부가 복수 배열된 외주면을 갖는 롤형을 회전시키고, 상기 롤형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롤형의 회전 방향으로 기재를 주행시키면서, 상기 롤형의 외주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도포하고, 상기 마이크로 렌즈 전사부의 오목 형상의 일부를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로 충전하는 공정.
공정 B: 상기 롤형의 외주면과 상기 기재 사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공급하는 공정.
공정 C: 상기 롤형의 외주면과 상기 기재 사이에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협지한 상태에서, 상기 롤형의 외주면과 상기 기재 사이의 영역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공정.
공정 D: 상기 공정 C에서 얻어진 경화물을 상기 롤형으로부터 박리하는 공정.
환언하면, 오목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 전사부가 복수 배열된 외주면을 갖는 롤형을 회전시키고, 상기 롤형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상기 롤형의 회전 방향으로 기재를 주행시키면서, 상기 롤형의 상기 외주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도포하고, 상기 마이크로 렌즈 전사부의 오목 형상의 일부를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로 충전하는 것과, 상기 롤형의 상기 외주면과 상기 기재 사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공급하는 것과, 상기 롤형의 상기 외주면과 상기 기재 사이에 적어도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협지한 상태에서, 상기 롤형의 상기 외주면과 상기 기재 사이의 영역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와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의 경화물을 얻는 것과, 상기 경화물을 상기 롤형으로부터 박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이다.
순차 실행되는 공정 A 내지 공정 D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은,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한 제조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이하, 도 6에 도시한 제조 장치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은 도 6에 도시한 제조 장치를 사용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공정 A)
공정 A는 오목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 전사부가 복수 배열된 외주면을 갖는 롤형(51)을 회전시키고, 롤형(51)의 외주면을 따라 롤형(51)의 회전 방향(도 6의 화살표 방향)으로 기재(22)를 주행시키면서, 롤형(51)의 외주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도포하고, 마이크로 렌즈 전사부의 오목 형상의 일부를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로 충전하는 공정이다.
롤형(51)으로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황동, 강 등의 금형; 실리콘 수지,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ABS 수지, 불소 수지, 폴리메틸펜텐 수지 등의 수지형; 수지에 도금을 실시한 형; 수지에 각종 금속분을 혼합한 재료로 제작한 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롤형(51) 중에서도 내열성 및 기계 강도가 우수하고, 연속 생산에 적합한 점에서, 금형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금형은 중합 발열에 대한 내구성이 높고, 변형되기 어렵고, 흠집이 나기 어렵고, 온도 제어가 가능하고, 정밀 성형에 적합한 등의 많은 점에서 바람직하다.
롤형(51)은 광학 필름(20)의 볼록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볼록 형상에 대응하는 오목 형상의 전사부를 갖는다.
전사부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다이아몬드 바이트에 의한 절삭, 국제 공개 2008/069324호 팸플릿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에칭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전사부의 제조 방법 중에서도 구결 형상 등의 곡면을 갖는 오목 형상을 형성하는 경우, 롤형(51)의 생산성이 우수한 점에서, 국제 공개 제2008/069324호 팸플릿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에칭이 바람직하고, 각뿔 형상 등의 곡면을 갖지 않는 오목 형상을 형성하는 경우, 롤형(51)의 생산성이 우수한 점에서, 다이아몬드 바이트에 의한 절삭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사부의 제조 방법으로서 전사부의 오목 형상을 반전시킨 볼록 형상을 갖는 마스터형으로부터, 전주법을 사용하여 금속 박막을 제작하고, 이 금속 박막을 롤 코어 부재에 감아 원통형의 롤형을 제조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롤형(51)의 회전 속도는 광학 필름의 성형성 및 생산성이 우수한 점에서, 0.1m/분 내지 50m/분이 바람직하고, 0.3m/분 내지 40m/분이 보다 바람직하고, 0.5m/분 내지 30m/분이 더욱 바람직하다.
기재(22)의 주행 속도는 광학 필름의 성형성 및 생산성이 우수한 점에서, 0.1m/분 내지 50m/분이 바람직하고, 0.3m/분 내지 40m/분이 보다 바람직하고, 0.5m/분 내지 30m/분이 더욱 바람직하다.
롤형(51)의 회전 속도와 기재(22)의 주행 속도는 광학 필름의 성형성이 우수한 점에서, 동일 정도의 속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롤형(51)의 외주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도포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노즐(52)을 사용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롤형(51)에 적하한 후에 닥터 블레이드(54)에 접촉시켜 뱅크(53)를 형성하고, 롤형(51)의 폭 방향으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펴서 도포하는 방법; 노즐(52)을 사용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롤형(51)에 적하하고, 닙 롤 또는 에어 커튼의 압력에 의해, 롤형(51)의 폭 방향으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펴서 도포하는 방법; 닥터 블레이드(54)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적하하고, 닥터 블레이드(54)를 타고 롤형(51)의 외주면에 도달시켜 뱅크(53)를 형성하고, 롤형(51)의 폭 방향으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펴서 도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도포하는 방법 중에서도 마이크로 렌즈 내의 기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광학 필름의 생산성이 우수한 점에서, 닥터 블레이드(54)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적하하고, 닥터 블레이드(54)를 타고 롤형(51)의 외주면에 도달시켜 뱅크(53)를 형성하고, 롤형(51)의 폭 방향으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펴서 도포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노즐(52)은 단수(1점)일 수도 복수일 수도 있지만,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는 점에서, 단수(1점)인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도포할 때,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는 점에서, 롤형(51)의 외주면 위에 뱅크(53)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닥터 블레이드(54)는 뱅크(53)의 형성에 유효하다.
닥터 블레이드(54)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의 수지;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닥터 블레이드(54)의 재료 중에서도 유연성이 우수하고, 롤형(51)에의 흠집 발생을 억제하는 점에서, 수지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바람직하다.
닥터 블레이드(54) 대신으로서, 롤 코터, 바 코터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유기 EL 소자로부터 발광한 광을, 보다 많이 영역 β를 통과하여 외부로 취출하기 위해서는, 영역 α의 표면을 가능한 한 많이 영역 β로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공정 A에 있어서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의 도포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롤형(51)의 외주면의 오목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 전사부의 표면에 추종시키는 도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 시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마이크로 렌즈 전사부의 표면에 추종시키는 것은, 바꾸어 말하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가 마이크로 렌즈 전사부의 표면에 가압되면서 유동하고, 이에 의해 마이크로 렌즈 전사부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모방한 볼록 형상의 표면을 갖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마이크로 렌즈 전사부의 표면에 추종시키는 도포의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테이퍼상의 예리한 선단을 갖는 닥터 블레이드(54), 롤 코터 또는 바 코터를 회전하는 롤형(51)의 표면에 가압하면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의 뱅크(53)를 형성하고, 오목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 전사부의 주연 에지부와 닥터 블레이드(54) 혹은 롤 코터 또는 바 코터에 의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에 전단력을 작용하여, 그 결과, 오목 형상을 모방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의 표면에 표면 장력이 작용하도록 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에 의해, 광학 필름 내의 기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면서, 또한 영역 α를 가능한 한 많이 영역 β로 덮을 수 있고, 광학 필름에 있어서의 영역 β의 역할을 충분히 다할 수 있다.
기재(22)는 베이스층의 두께를 제어할 수 있는 점에서, 닙 롤(56), 가압 롤(56')에 의해 롤형(51)을 향하여 가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닙 롤(56), 가압 롤(56')의 재료로서는,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놋쇠 등의 금속; 상기 금속의 표면에 고무층을 갖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닙 롤(56), 가압 롤(56')의 재료 중에서도 금속의 표면에 고무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무층의 고무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부타디엔 고무, 우레탄 고무, 니트릴 고무, 실리콘 고무를 들 수 있다. 이들 고무층의 고무의 재료 중에서도 활성 에너지선에의 내성이 우수한 점에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실리콘 고무가 바람직하다.
닙 롤(56), 가압 롤(56')의 표면의 고무층은 JIS-K-6253에서 규정하는 고무 경도가 20 내지 90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내지 85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 내지 80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고무층의 고무 경도가 20도 이상이면, 광학 필름 내의 기포 발생의 억제 작용이 우수하다. 또한, 고무층의 고무 경도가 90도 이하이면, 기재(22)에 가해지는 왜곡이 작아져, 기재(22)의 파손 억제 작용이 우수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롤형(51)의 외주면의 오목 형상의 표면에 추종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방법 외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의 점도 또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의 도포 시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점도 또는 상기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롤형(51)의 외주면의 오목 형상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가 접촉했을 때의 접촉각(습윤성)이 결정되고, 오목 형상의 표면에 추종하여 피복할 수 있을지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의 점도가 지나치게 작으면 오목 형상의 속에만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가 존재하여, 오목 형상의 표면에 충분히 추종시키는 것이 곤란해지고,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의 점도가 지나치게 크면 오목 형상의 속까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가 유동하지 않아, 오목 형상의 표면에 충분히 추종시키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의 점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의 도포 시의 온도는 롤형(51)의 외주면의 오목 형상의 표면에 추종하여 피복할 수 있는 점에서, 10 내지 90℃가 바람직하고, 20 내지 80℃가 보다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의 도포 시의 온도는 롤형(51)의 내부 또는 외부에 필요에 따라 시즈 히터 및 온수 재킷 등의 열원 설비를 설치하여 제어하면 된다.
(공정 X)
광학 필름(20)의 마이크로 렌즈의 영역 α와 영역 β의 계면을 명료하게 하고자 하는 경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경화하는 공정(공정 X)을 공정 B 직전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정 X가 없는 경우에는 마이크로 렌즈 중의 영역 α와 영역 β의 계면 부근이 그라데이션화되고, 영역 α와 영역 β의 계면 부근이 영역 α의 성분 및 영역 β의 성분의 양쪽을 포함하는 영역으로 된다.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55)를 사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55)에 의한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는, 롤형의 폭 방향에 관하여 균일하게 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자외선 램프에 광 파이버를 포함하는 라인 라이트의 광 입사단을 접속하고, 상기 라인 라이트의 라인상의 광 출사단을 롤형 근방에서 라인 방향과 롤형의 폭 방향이 합치하도록 배치함으로써, 롤형의 폭 방향에 관하여 균일하게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55)에 의한 조사 활성 에너지선의 적산 광량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의 경화성이 우수하고,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의 도포의 방해가 되지 않는 점에서, 0.01J/㎠ 내지 5J/㎠가 바람직하고, 0.1J/㎠ 내지 3J/㎠가 보다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55)의 활성 에너지선이 확산되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도포 전에 경화시키는 일이 없도록, 필요에 따라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55)의 주변에 차광판을 설치할 수도 있다.
(공정 B)
공정 B는 롤형(51)의 외주면과 기재(22) 사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공급하는 공정이다.
롤형(51)의 외주면과 기재(22) 사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공급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도포한 롤형(51)에 노즐(52')을 사용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적하한 후에, 기재(22)를 개재하여 닙 롤(56)에 접촉시켜 뱅크(53')를 형성하고, 롤형(51)의 폭 방향으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펴서 도포하는 방법; 기재(22)의 표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미리 도포하고,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도포한 롤형(51)과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도포한 기재(22)를 회합시켜 도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도포하는 방법 중에서도, 마이크로 렌즈 내의 기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베이스층의 두께를 제어하기 쉬운 점에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도포한 롤형(51)에 노즐(52')을 사용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적하한 후에, 기재(22)를 개재하여 닙 롤(56)에 접촉시켜 뱅크(53')를 형성하고, 롤형(51)의 폭 방향으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펴서 도포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공정 C)
공정 C는 롤형(51)의 외주면과 기재(22) 사이에 적어도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협지한 상태에서, 롤형(51)의 외주면과 기재(22) 사이의 영역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공정이다.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55')를 사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55')의 활성 에너지선의 발광 광원으로서는, 예를 들어 케미컬 램프, 저압 수은 램프, 고압 수은 램프, 메탈 할라이드 램프, 무전극 자외선 램프, 가시광 할로겐 램프, 크세논 램프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55')에 의한 조사 활성 에너지선의 적산 광량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성이 우수하고, 광학 필름의 열화를 억제하는 점에서, 0.1J/㎠ 내지 10J/㎠가 바람직하고, 0.5J/㎠ 내지 8J/㎠가 보다 바람직하다.
공정 C 종료 후,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와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의 경화물이 얻어진다.
(공정 D)
공정 D는 공정 C에서 얻어진 경화물을 롤형(51)로부터 박리하는 공정이다.
롤형(51)으로부터의 경화물의 박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미리 롤형(51)의 외주면에 표면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롤형(51)의 표면 처리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니켈 도금, 크롬 도금, 다이아몬드 라이크 카본 코팅 등의 도금 처리; 불소계 이형제, 실리콘계 이형제, 식물 유지 등의 이형제를 도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 및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는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해 경화함으로써 광학 필름의 영역 α를 구성한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는 원하는 영역 α가 구성되도록 상술한 영역 α로서 기재한 성분을 적절히 배합하면 된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는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해 경화함으로써 광학 필름의 영역 β를 구성한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는 원하는 영역 β가 구성되도록 상술한 영역 β로서 기재한 성분을 적절히 배합하면 된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 또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에는 필요에 따라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성분으로서는, 이형제, 레벨링제, 분산 안정제, 점도 조정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의 점도는 광학 필름의 제조 시의 취급성이 우수한 점에서, 10mPa·s 내지 3000mPa·s가 바람직하고, 20mPa·s 내지 2500mPa·s가 보다 바람직하고, 30mPa·s 내지 2000mPa·s가 더욱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의 점도는 롤형(51)의 외주면의 오목 형상의 표면에 추종할 수 있고, 광학 필름의 제조 시의 취급성이 우수한 점에서, 10mPa·s 내지 3000mPa·s가 바람직하고, 20mPa·s 내지 2500mPa·s가 보다 바람직하고, 30mPa·s 내지 2000mPa·s가 더욱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의 점도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가 충전하기 쉽고, 영역 α와 영역 β의 비율을 제어하기 쉬운 점에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의 점도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활성 에너지선에 의해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켜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활성 에너지선을 열로 치환하면서, 또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을 열경화성 조성물로 치환하여, 열에 의해 열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킴으로써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광학 필름(20)은, 후술하는 면발광체의 광 사출측에 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기 EL 발광 소자의 광 사출측에 설치하고,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로서 이용하거나, 조명 기구로서 사용하거나 할 수 있다.
(면발광체)
본 발명의 면발광체는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면발광체로서는,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면발광체를 들 수 있다.
이하, 도 5에 도시하는 면발광체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면발광체는 도 5에 도시하는 면발광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에 도시하는 면발광체는 유리 기판(41), 양극(42), 발광층(43), 음극(44)을 순차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유기 EL 소자(40)와, 광학 필름(20)을 포함한다. 유리 기판(41)의 유기 EL 소자(40)가 형성되어 있는 면과 반대측의 표면에 광학 필름(20)이 설치되어 있다.
유기 EL 소자(40)에 본 발명의 광학 필름(20)을 설치한 면발광체는, 광학 특성, 특히 광 취출 효율이 우수하다. 또한, 유기 EL 소자(40)에 본 발명의 광학 필름(20)을 설치한 면발광체는, 광학 필름(20)의 물리 특성, 특히 내충격성, 내찰상성, 방오성, 대전 방지성, 내후성이 우수한 점에서, 광학 성능이 충분히 지속된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다른 측면은, 기재와, 상기 기재 위에 복수 배열된 볼록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렌즈는 영역 α 및 영역 β를 갖고, 상기 영역 β는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볼록 형상의 외측 부분을 차지하며, 상기 영역 α를 덮도록 위치하고 있고, 상기 영역 α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은, 상기 기재와 상기 영역 α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밀착성을 측정하기 위한 ISO 2409에 준거하는 부착성 시험에 있어서, 시험 결과가 분류 0 또는 분류 1이며, 상기 광학 필름의 상기 영역 β 위에 추 200g으로 웨이스트 클로스를 1000회 왕복시키는 마찰 시험 전후로 면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의 차가 -0.01% 내지 0.01%인 광학 필름이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다른 측면은, 기재와, 상기 기재 위에 복수 배열된 볼록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렌즈는 영역 α 및 영역 β를 갖고, 상기 영역 β는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볼록 형상의 외측 부분을 차지하며, 상기 영역 α를 덮도록 위치하고 있고, 한변이 50㎜인 사각형의 상기 광학 필름을 60℃에서 4시간 건조했을 때의 4코너의 컬의 평균값이 1.0㎜ 이하이고, 상기 광학 필름의 상기 영역 β 위에 추 200g으로 웨이스트 클로스를 1000회 왕복시키는 마찰 시험 전후로 면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의 차가 -0.01% 내지 0.01%인 광학 필름이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다른 측면은, 기재와, 상기 기재 위에 복수 배열된 볼록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렌즈는 영역 α 및 영역 β를 갖고, 상기 영역 β는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볼록 형상의 외측 부분을 차지하며, 상기 영역 α를 덮도록 위치하고 있고, 상기 영역 α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은, 상기 기재와 상기 영역 α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밀착성을 측정하기 위한 ISO 2409에 준거하는 부착성 시험에 있어서, 시험 결과가 분류 0 또는 분류 1이며, 한변이 50㎜인 사각형의 상기 광학 필름을 60℃에서 4시간 건조했을 때의 4코너의 컬의 평균값이 1.0㎜ 이하이고, 상기 광학 필름의 상기 영역 β 위에 추 200g으로 웨이스트 클로스를 1000회 왕복시키는 마찰 시험 전후로 면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의 차가 -0.01% 내지 0.01%인 광학 필름이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다른 측면은, 기재와, 상기 기재 위에 복수 배열된 볼록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렌즈는 영역 α 및 영역 β를 갖고, 상기 영역 β는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볼록 형상의 외측 부분을 차지하며, 상기 영역 α를 덮도록 위치하고 있고, 상기 영역 α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은, 상기 기재와 상기 영역 α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밀착성을 측정하기 위한 ISO 2409에 준거하는 부착성 시험에 있어서, 크로스컷 부분에서 받는 영향이 5% 이하이고, IEC 60093에 준거하는 저항률 시험에 있어서의 상기 영역 β의 표면 저항값이 1013Ω/㎠ 이하인 광학 필름이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다른 측면은, 기재와, 상기 기재 위에 복수 배열된 볼록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렌즈는 영역 α 및 영역 β를 갖고, 상기 영역 β는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볼록 형상의 외측 부분을 차지하며, 상기 영역 α를 덮도록 위치하고 있고, 상기 영역 α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은, 상기 기재와 상기 영역 α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밀착성을 측정하기 위한 ISO 2409에 준거하는 부착성 시험에 있어서, 시험 결과가 분류 0 또는 분류 1이며, 한변이 50㎜인 사각형의 상기 광학 필름을 60℃에서 4시간 건조했을 때의 4코너의 컬의 평균값이 1.0㎜ 이하이고, IEC 60093에 준거하는 저항률 시험에 있어서의 상기 영역 β의 표면 저항값이 1013Ω/㎠ 이하인 광학 필름이다.
본 발명의 광학 필름의 다른 측면은, 기재와, 상기 기재 위에 복수 배열된 볼록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렌즈는 영역 α 및 영역 β를 갖고, 상기 영역 β는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볼록 형상의 외측 부분을 차지하며, 상기 영역 α를 덮도록 위치하고 있고, 상기 영역 α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은 비스페놀 골격을 갖는 단량체 단위와, 다관능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와, 폴리알킬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이다.
상기 광학 필름에 있어서, 영역 α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한 비스페놀 골격을 갖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율은 10 내지 80질량%이며, 영역 α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한 다관능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의 함유율은 10 내지 60질량%이며, 영역 α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한 폴리알킬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의 함유율은 10 내지 50질량%이다.
상기 광학 필름에 있어서, 영역 α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한 비스페놀 골격을 갖는 단량체 단위의 함유율은 20 내지 65질량%이며, 영역 α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한 다관능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의 함유율은 20 내지 50질량%이며, 영역 α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한 폴리알킬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의 함유율은 15 내지 40질량%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볼록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가 복수 배열되고, 상기 마이크로 렌즈는 영역 α 및 영역 β를 갖고, 상기 영역 β는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볼록 형상의 외측 부분을 차지하며, 상기 영역 α를 덮도록 위치하고 있는 광학 필름이며, 상기 영역 α가, 밀착성, 내충격성 및 저컬성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성능을 갖는 수지 조성물로 구성되고, 상기 영역 β가, 내찰상성, 방오성, 난연성, 대전 방지성 및 내후성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성능을 갖는 수지 조성물로 구성되는 광학 필름일 수도 있다.
상기 영역 α가 밀착성의 성능을 갖는 수지 조성물로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영역 α가 저컬성의 성능을 갖는 수지 조성물로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영역 β가 내찰상성의 성능을 갖는 수지 조성물로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볼록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가 복수 배열되고, 상기 마이크로 렌즈는 영역 α 및 영역 β를 갖고, 상기 영역 β는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볼록 형상의 외측 부분을 차지하며, 상기 영역 α를 덮도록 위치하고 있는 광학 필름이며, 상기 영역 α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이 폴리알킬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를 갖는 수지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볼록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가 복수 배열되고, 상기 마이크로 렌즈는 영역 α 및 영역 β를 갖고, 상기 영역 β는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볼록 형상의 외측 부분을 차지하며, 상기 영역 α를 덮도록 위치하고 있는 광학 필름이며, 상기 영역 β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이 3관능 이상의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를 갖는 수지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볼록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가 복수 배열되고, 상기 마이크로 렌즈는 영역 α 및 영역 β를 갖고, 상기 영역 β는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볼록 형상의 외측 부분을 차지하며, 상기 영역 α를 덮도록 위치하고 있는 광학 필름이며, 상기 영역 α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이 폴리알킬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를 갖는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영역 β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이 3관능 이상의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를 갖는 수지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일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착성 시험(밀착성 평가))
ISO 2409에 준거하는 부착성 시험이며,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평가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에, 커터 나이프를 사용하여, 기재(22)에 도달하는 11개의 베인 흠집을 내어, 100칸의 격자상 패턴(크로스컷)을 만들었다. 이때, 전용 커터 가이드(상품명 「No.315 수퍼 커터 가이드」, 타이유 기자이(주)제)를 사용했다. 베인 흠집의 간격은 본 평가에서는 2㎜로 했다. 격자상 패턴 부분에 셀로판테이프를 강하게 압착시켜, 셀로판테이프의 끝을 45°의 각도로 단숨에 박리했다. 그 후, 격자상 패턴의 상태를 ISO 2409에 기재된 표준도와 비교하여, 분류 0 내지 분류 5의 6단계로 밀착성을 평가했다. 시험 결과가 분류 0인 경우가 가장 밀착성이 높고, 시험 결과가 분류 5인 경우가 가장 밀착성이 낮다.
(컬성 시험(컬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을 한변이 50㎜인 사각형의 크기로 자르고, 60℃에서 4시간 건조하고, 제전 블로어(기종명 「SJ-F020」, (주) 키엔스제)에 의해 제전하고, 평평한 면 위에 마이크로 렌즈를 갖는 면이 위가 되도록 정치했다. 이 상태에서, 광학 필름의 4코너 각각에 있어서의 평평한 면으로부터의 거리를 하이트 게이지(기종명 「HDS-H30C」, (주) 미츠토요제)로 측정했다.
컬성 평가는 상기 4코너 각각에 있어서의 거리의 평균값(㎜)으로 했다.
(마찰 시험(찰상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에, 마찰 시험기(기종명 「RT-200」, (주) 다이에 가가쿠 세이키 세이사쿠쇼제)를 사용하여, 추 200g, 300㎜의 거리를 1왕복/분의 속도로, 합계 1000회 웨이스트 클로스를 왕복시켜, 찰상을 부여했다.
찰상성 평가는 마찰 시험 후의 광학 필름을 적층한 면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로부터 마찰 시험 전의 광학 필름을 적층한 면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을 뺀 값(%)으로 했다.
(저항률 시험(대전 방지성 평가))
저항률계(기종명 「하이 레스타 UP MCP-HT450형」, (주) 미츠비시 가가쿠 어널리테크제)를 사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광학 필름의 표면에 링 프로브(URS)를 사용하여, 500V의 전압을 인가하여, 60초 유지했을 때의 표면 저항률을 측정했다.
(광 취출 효율의 측정)
상기 면발광체 위에 직경 10㎜의 구멍이 뚫린 두께 0.1㎜의 차광 시트를 배치하고, 이것을 적분구(랩스피어사제, 크기 6인치)의 샘플 개구부에 배치했다. 이 상태에서, 유기 EL 소자에 10mA의 전류를 통전하여 점등했을 때의 차광 시트의 직경 10㎜의 구멍으로부터 출사하는 광을 분광 계측기(분광기: 기종명 「PMA-12」(하마마츠호토닉스(주)제), 소프트웨어: 소프트명 「PMA용 기본 소프트웨어 U6039-01ver.3.3.1」)로 측정하고, 표준 시감도 곡선에 의한 보정을 행하여 상기 면발광체의 광자수를 산출했다.
유기 EL 발광 소자 A의 광자수를 기준으로 했을 때의 상기 면발광체의 광자수의 비율(백분율)을 광 취출 효율(%)로 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재료)
수지 조성물 A: 후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1)을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해 경화한 것(굴절률 1.52)
수지 조성물 B: 후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2)를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해 경화한 것(굴절률 1.52)
수지 조성물 C: 수지 조성물 C 전체 질량에 대하여, 후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1) 70질량% 및 후술하는 미립자 A 30질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해 경화한 것
수지 조성물 D: 수지 조성물 D 전체 질량에 대하여, 후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2) 70질량% 및 후술하는 미립자 A 30질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해 경화한 것
수지 조성물 E: 수지 조성물 E 전체 질량에 대하여, 후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1) 97질량% 및 이온성 액체 A를 3질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해 경화한 것
수지 조성물 F: 수지 조성물 F 전체 질량에 대하여, 후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1) 94질량% 및 이온성 액체 A를 6질량%를 혼합한 혼합물을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해 경화한 것
수지 조성물 G: 수지 조성물 G 전체 질량에 대하여, 후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3)을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해 경화한 것
미립자 A: 실리콘 수지 구 형상 미립자(상품명 「TSR9000」, 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즈사제, 굴절률 1.42, 부피 평균 입자 직경 2㎛)
이온성 액체 A: 「아미노 이온 AS100」(상품명, 닛본 뉴카자이(주)제, 알칸올아민과 글리콜황산에스테르의 반응물)
유기 EL 소자 A: 유기 EL 조명 패널 키트 「Symfos OLED-010K」(코니카 미놀타사제)의 광 출사면측의 표면의 광학 필름을 박리한 유기 EL 소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1)의 제조)
유리제의 플라스크에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17.6g(0.7몰) 및 이소시아누레이트형의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삼량체 151.2g(0.3몰),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128.7g(0.99몰) 및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693g(1.54몰), 촉매로서 디라우릴산디-n-부틸주석 22.1g 및 중합 금지제로서 히드로퀴논모노메틸에테르 0.55g을 투입하고, 75℃로 승온하고, 75℃로 유지한 채 교반을 계속하고, 플라스크 내의 잔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농도가 0.1몰/L 이하로 될 때까지 반응시키고, 실온으로 냉각하여, 우레탄 다관능 아크릴레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우레탄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34.6질량부, 폴리부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상품명 「아크리에스테르 PBOM」, 미츠비시 레이온(주)제) 24.7질량부, 에틸렌옥시드 변성 비스페놀 A 디메타크릴레이트(상품명 「뉴 프런티어 BPEM-10」, 다이이치 고교 세야쿠(주)제) 39.5질량부 및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상품명 「이르가큐어 184」, 바스프(BASF) 재팬(주)제) 1.2질량부를 혼합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1)을 얻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2)의 제조)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상품명 「비스코트 300」, 오사카 유키 가가쿠 고교(주)제) 27.8질량부,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상품명 「M400」, 도아 고세(주)제) 27.8질량부,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상품명 「비스코트 230」, 오사카 유키 가가쿠 고교(주)제) 27.8질량부, 우레탄아크릴레이트(상품명 「UTP-601」, 오사카 유키 가가쿠 고교(주)제) 9.3질량부, (2,4,6-트리메틸페닐)(디페닐포스피닐)케톤 1.9질량부 및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상품명 「이르가큐어 184」, 바스프 재팬(주)제) 5.4질량부를 혼합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2)를 얻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3)의 제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1)의 제조와 동일한 방법으로 얻어진 우레탄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30.0질량부, 폴리부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상품명 「아크리에스테르 PBOM」, 미츠비시 레이온(주)제) 34.4질량부, 에틸렌옥시드 변성 비스페놀 A 디메타크릴레이트(상품명 「뉴 프런티어 BPEM-10」, 다이이치 고교 세야쿠(주)제) 34.6질량부 및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상품명 「이르가큐어 184」, 바스프 재팬(주)제) 1.0질량부를 혼합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3)을 얻었다.
(롤형의 제조)
외경 200㎜, 축방향의 길이 320㎜의 강제 롤의 외주면에, 두께 200㎛, 비커스 경도(시험기) 230Hv의 구리 도금을 실시했다. 구리 도금층의 표면에 감광제를 도포하고, 레이저 노광, 현상 및 에칭을 행하여, 구리 도금층에 직경 50㎛, 깊이 25㎛의 반구의 오목 형상이 최소 간격 3㎛로 육방 배열로 나열되어 있는 전사부가 형성된 형을 얻었다. 얻어진 형의 표면에 방청성 및 내구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크롬 도금을 실시하여 롤형을 얻었다.
또한, 롤형에 있어서의 오목 형상의 전사부가 존재하는 영역의 폭은 280㎜이며, 이 영역은 롤형의 축방향의 길이 320㎜의 중앙에 배치되고, 롤형의 축방향의 양단은 경면 영역으로 했다.
(면발광체의 제조)
유기 EL 소자의 광 출사면측에, 점착층(23)으로서 카길 표준 굴절액(굴절률 1.52, (주) 모리테크스제)을 도포하고, 얻어진 기재를 갖는 광학 필름의 기재의 면을 광학 밀착시켜, 면발광체를 얻었다.
[실시예 1]
(광학 필름의 제조)
영역 α를 구성하기 위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로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1)을 사용하고, 영역 β를 구성하기 위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로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2)를 사용하고, 도 6에 도시한 장치에 의해 공정 A(도포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오목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 전사부의 표면에 추종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임), 공정 X, 공정 B, 공정 C 및 공정 D를 이 순서대로 실행하여, 광학 필름을 제조했다. 얻어진 광학 필름의 마이크로 렌즈는 영역 α가 수지 조성물 A를 포함하고, 영역 β가 수지 조성물 B를 포함하고, 마이크로 렌즈의 저면부의 평균 최장 직경 Lave가 50㎛, 마이크로 렌즈의 평균 높이 Have가 25㎛, 영역 α의 평균 높이 have가 18㎛이며, 거의 롤형의 오목 형상의 크기에 대응한 구결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이었다. 또한, 얻어진 광학 필름의 베이스층은 영역 α와 동일한 성분으로 구성되고, 두께가 20㎛이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의 부착성 시험, 마찰 시험 및 컬성 시험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또한, 기재(22)로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상품명 「다이아호일 T910E125」, 미츠비시 주시(주)제, 폭 340㎜, 두께 125㎛)을 사용하고, 롤형(51)으로서 전술한 롤형을 사용하고, 닥터 블레이드(54)로서 플라스틱 닥터 블레이드(상품명 「마니벨」, (주) 에코 블레이드제, 두께 0.35㎜, 날끝 형상 테이퍼상)를 사용하고,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55)로서 자외선 조사 장치(기종명 「SP-7」, 우시오 덴키(주)제)를 사용하고,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55')로서 자외선 조사 장치(기종명 「라이트 해머(Light Hammer) 6」, 퓨전 UV 시스템즈사제)를 사용하고, 닙 롤(56) 및 가압 롤(56')로서 고무 롤러(상품명 「그랑포르 UV」, 미야카와 롤러(주)제, 표면의 고무 경도 60도)를 사용했다.
또한, 제조 조건은, 다음과 같이 했다.
기재(22)의 주행 속도를 3m/분으로 하고, 롤형(51)의 회전 속도를 3m/분으로 하고, 롤형(51)의 표면 온도를 40℃로 하고,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 및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의 온도를 25℃로 하고,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 및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의 점도를 700mPa·s로 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의 도포 방법으로서, 노즐(52)을 사용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롤형(51)에 적하한 후에 닥터 블레이드(54)에 접촉시켜 뱅크(53)를 형성하고, 롤형(51)의 폭 방향으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펴서 도포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이 도포 방법에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가 롤형(51)의 외주면의 오목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 전사부의 표면에 추종되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도포한 롤형(51)에 노즐(52')을 사용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적하한 후에 기재(22)를 개재하여 닙 롤(56)에 접촉시켜 뱅크(53')를 형성하고, 롤형(51)의 폭 방향으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펴서 도포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55)로부터 0.2J/㎠의 적산 광량의 자외선을 조사,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55')로부터 0.76J/㎠의 적산 광량의 자외선을 조사했다.
[비교예 1 내지 2]
광학 필름의 영역 α 및 영역 β가 표 1의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도록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을 행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의 부착성 시험, 컬성 시험 및 마찰 시험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비교예 3 내지 4]
광학 필름의 영역 α 및 영역 β가 표 2의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도록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을 행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의 부착성 시험, 컬성 시험 및 마찰 시험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실시예 3, 비교예 1, 5]
광학 필름의 영역 α 및 영역 β가 표 3의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도록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을 행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의 부착성 시험, 컬성 시험 및 저항률 시험의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3
[실시예 4, 비교예 6]
광학 필름의 영역 α 및 영역 β가 표 4의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도록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을 행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의 부착성 시험, 컬성 시험 및 저항률 시험의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실시예 5, 비교예 7]
광학 필름의 영역 α 및 영역 β가 표 5의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도록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을 행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의 부착성 시험, 컬성 시험 및 저항률 시험의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5
[실시예 6]
광학 필름의 영역 α 및 영역 β가 표 6의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도록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조작을 행하여, 광학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의 부착성 시험, 컬성 시험 및 마찰 시험의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6
표 1 및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광학 필름은 영역 α가 저컬성 및 밀착성, 영역 β가 내찰상성을 갖기 때문에, 저컬성 밀착성 및 내찰상성 모두 우수했다. 한편, 영역 α 및 영역 β가 저컬성 밀착성 및 내찰상성의 어느 한 성능밖에 갖지 않는 비교예 1 내지 4의 광학 필름은 저컬성 밀착성 및 내찰상성 모두 좋지는 않았다.
표 3 내지 표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5의 광학 필름은 영역 α가 저컬성, 영역 β가 내찰상성 및 대전 방지성을 갖기 때문에, 저컬성, 내찰상성 및 대전 방지성 모두 우수했다. 한편, 영역 α 및 영역 β가 저컬성, 내찰상성 및 대전 방지성의 어느 한 성능밖에 갖지 않는 비교예 1, 5, 6, 7의 광학 필름은 저컬성, 내찰상성 및 대전 방지성 모두 좋지는 않았다.
표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실시예 6의 광학 필름은 영역 α가 저컬성 및 밀착성, 영역 β가 내찰상성 및 대전 방지성을 갖기 때문에, 저컬성 밀착성 및 내찰상성 모두 우수했다. 한편, 영역 α 및 영역 β가 저컬성 밀착성 및 내찰상성의 어느 한 성능밖에 갖지 않는 비교예 2, 7의 광학 필름은 저컬성 밀착성 및 내찰상성 모두 좋지는 않았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광학 필름에 의해, 광학 특성, 특히 광 취출 효율이 우수한 면발광체를 얻을 수 있고, 이 면발광체는, 예를 들어 조명, 디스플레이, 스크린 등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10 마이크로 렌즈
11 영역 α
12 영역 β
13 저면부
20 광학 필름
21 베이스층
22 기재
23 점착층
24 보호 필름
25 중간층
40 유기 EL 소자
41 유리 기판
42 양극
43 발광층
44 음극
50 광학 필름의 제조 장치
51 롤형
52 노즐
52' 노즐
53 뱅크
53' 뱅크
54 닥터 블레이드
55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
55' 활성 에너지선 조사 장치
56 닙 롤
56' 닙 롤

Claims (18)

  1. 기재와, 상기 기재 위에 복수 배열된 볼록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 렌즈는 영역 α 및 영역 β를 갖고, 상기 영역 β는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볼록 형상의 외측 부분을 차지하며, 상기 영역 α를 덮도록 위치하고 있고,
    상기 영역 α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은, 상기 기재와, 상기 영역 α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과의 밀착성을 측정하기 위한 ISO 2409에 준거하는 부착성 시험에 있어서, 시험 결과가 분류 0 또는 분류 1인, 광학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α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이 비스페놀 골격을 갖는 단량체 단위 및 다관능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단위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와 상기 마이크로 렌즈 사이에,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층을 더 갖는 광학 필름.
  4. 볼록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가 복수 배열되고, 상기 마이크로 렌즈는 영역 α 및 영역 β를 갖고, 상기 영역 β는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볼록 형상의 외측 부분을 차지하며, 상기 영역 α를 덮도록 위치하고 있는 광학 필름이며,
    한변이 50㎜인 사각형의 상기 광학 필름을 60℃에서 4시간 건조했을 때의 4코너의 컬의 평균값이 1.0㎜ 이하인, 광학 필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α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이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 폴리에스테르폴리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 및 방향족 에스테르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단위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α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전체 질량에 대한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 폴리에스테르폴리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 및 방향족 에스테르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의 함유율의 합계가 10질량% 이상인, 광학 필름.
  7. 볼록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가 복수 배열되고, 상기 마이크로 렌즈는 영역 α 및 영역 β를 갖고, 상기 영역 β는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볼록 형상의 외측 부분을 차지하며, 상기 영역 α를 덮도록 위치하고 있는 광학 필름이며,
    상기 광학 필름의 상기 영역 β 위에 추 200g으로 웨이스트 클로스를 1000회 왕복시키는 마찰 시험 전후로 면발광체의 광 취출 효율의 차가 -0.01% 내지 0.01%인, 광학 필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β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이 3관능 이상의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를 갖는, 광학 필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3관능 이상의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가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트리스(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3관능 이상의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인, 광학 필름.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β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전체 질량에 대한 3관능 이상의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단위의 함유율이 30질량% 이상인, 광학 필름.
  11. 볼록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가 복수 배열되고, 상기 마이크로 렌즈는 영역 α 및 영역 β를 갖고, 상기 영역 β는 상기 마이크로 렌즈의 볼록 형상의 외측 부분을 차지하며, 상기 영역 α를 덮도록 위치하고 있는 광학 필름이며,
    IEC 60093에 준거하는 저항률 시험에 있어서의 상기 영역 β의 표면 저항값이 1013Ω/㎠ 이하인, 광학 필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β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이 이온성 액체, 4급 암모늄 화합물, 이온성 계면 활성제 및 도전성 고분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재료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 β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이 이온성 액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14. 오목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 전사부가 복수 배열된 외주면을 갖는 롤형(型)을 회전시키고, 상기 롤형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상기 롤형의 회전 방향으로 기재를 주행시키면서, 상기 롤형의 상기 외주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도포하고, 상기 마이크로 렌즈 전사부의 오목 형상의 일부를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로 충전하는 것과,
    상기 롤형의 상기 외주면과 상기 기재 사이에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공급하는 것과,
    상기 롤형의 상기 외주면과 상기 기재 사이에 적어도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협지한 상태에서, 상기 롤형의 상기 외주면과 상기 기재 사이의 영역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와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의 경화물을 얻는 것과,
    상기 경화물을 상기 롤형으로부터 박리하는 것
    을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로 충전하는 것에 있어서의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의 도포가,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상기 롤형의 상기 외주면의 상기 오목 형상의 마이크로 렌즈 전사부의 표면에 추종시키는 도포인,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로 충전하는 것과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를 공급하는 것 사이에,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를 경화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B의 점도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조성물 A의 점도보다 낮은,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18.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면발광체.
KR1020157035884A 2013-05-23 2014-05-20 광학 필름,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및 면발광체 KR1018372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08607 2013-05-23
JPJP-P-2013-108607 2013-05-23
PCT/JP2014/063310 WO2014189035A1 (ja) 2013-05-23 2014-05-20 光学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面発光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598A true KR20160010598A (ko) 2016-01-27
KR101837260B1 KR101837260B1 (ko) 2018-04-19

Family

ID=51933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5884A KR101837260B1 (ko) 2013-05-23 2014-05-20 광학 필름,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및 면발광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60123552A1 (ko)
EP (1) EP3001227B1 (ko)
JP (2) JPWO2014189035A1 (ko)
KR (1) KR101837260B1 (ko)
CN (1) CN105408775B (ko)
WO (1) WO201418903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222B1 (ko) * 2019-12-19 2020-07-16 (주)아린산업 입체화상용 광학필름, 광학필름의 제조장치,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및 광학필름으로 제작된 광고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81310B2 (en) * 2016-02-08 2019-11-19 Jasmine Soria Sears Hard candy optics
US11927884B2 (en) * 2017-03-27 2024-03-12 Daicel Corporation Resin molded article production method and optical component production method
EP3783421A4 (en) 2018-06-29 2022-01-12 Hoya Lens Thailand Ltd. GLASSES
CN110112322B (zh) * 2019-06-11 2021-08-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JP2022025618A (ja) * 2020-07-29 2022-02-10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硬化膜及び積層体、並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KR102485162B1 (ko) * 2020-09-08 2023-01-06 (주)세경하이테크 Pc층에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가 직접 적용되는 휴대폰 데코레이션 필름 제조방법
KR102521202B1 (ko) * 2020-09-08 2023-04-25 (주)세경하이테크 Pc층에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가 적용된 휴대폰 백커버 필름구조
CN112186122B (zh) * 2020-10-06 2022-07-15 深圳汇彩实业有限公司 一种复合光学膜的制备方法及其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5774A (ja) 2007-07-24 2009-02-05 Toppan Printing Co Ltd レンズシート、ディスプレイ用光学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1123204A (ja) 2009-12-09 2011-06-23 Samsung Yokohama Research Institute Co Ltd 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02201A (ja) * 1988-05-30 1989-12-06 Dainippon Printing Co Ltd レンズシート成形用樹脂組成物
JPH0772808A (ja) * 1993-09-02 1995-03-17 Toray Ind Inc 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ディスプレイ
JPH11156869A (ja) * 1997-12-01 1999-06-15 Kuraray Co Ltd 表面凹凸部品の製造方法
JP2000156486A (ja) * 1998-11-20 2000-06-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固体撮像装置の製造方法
JP4276724B2 (ja) * 1999-02-08 2009-06-1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素子およびその製法
US6894840B2 (en) * 2002-05-13 2005-05-17 Sony Corporation Production method of microlens array,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projector
US7084472B2 (en) * 2002-07-09 2006-08-01 Toppan Printing Co., Ltd. Solid-state imag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06145714A (ja) * 2004-11-18 2006-06-08 Sharp Corp 光屈折素子アレイ基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素子
US7113342B2 (en) * 2005-02-24 2006-09-26 Pong & Huang International Co., Ltd. Composite structure for light diffusion
JP2008058494A (ja) * 2006-08-30 2008-03-13 Hitachi Maxell Ltd 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シートの製造方法
JPWO2008069324A1 (ja) 2006-12-08 2010-03-25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光拡散性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プリズムシート、並びに面光源装置
MX2009007055A (es) * 2007-01-16 2009-09-24 Mitsui Chemicals Inc Composicion de recubrimiento duro.
WO2008093819A1 (ja) * 2007-02-02 2008-08-07 Dai Nippon Printing Co., Ltd. 光学シート、面光源装置、透過型表示装置
JP2010138393A (ja) * 2008-11-13 2010-06-24 Nippon Kayaku Co Ltd 光学レンズシート用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JP2012226290A (ja) * 2011-04-08 2012-11-15 Asahi Kasei Corp 拡散シー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692804B2 (ja) * 2011-05-17 2015-04-01 日本化薬株式会社 光学レンズシート用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JP2013003300A (ja) * 2011-06-15 2013-01-07 Mitsubishi Rayon Co Ltd マイクロレンズシートの製造方法
JPWO2013005769A1 (ja) * 2011-07-05 2015-02-23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微細凹凸構造を表面に有する物品、およびこれを備えた映像表示装置
EP2787374A4 (en) * 2011-11-29 2016-04-27 Mitsubishi Rayon Co OPTICAL FILM, SURFACE LIGHT EMITTING BODY,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FIL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5774A (ja) 2007-07-24 2009-02-05 Toppan Printing Co Ltd レンズシート、ディスプレイ用光学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1123204A (ja) 2009-12-09 2011-06-23 Samsung Yokohama Research Institute Co Ltd 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222B1 (ko) * 2019-12-19 2020-07-16 (주)아린산업 입체화상용 광학필름, 광학필름의 제조장치, 광학필름의 제조방법 및 광학필름으로 제작된 광고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088017A (ja) 2018-06-07
CN105408775A (zh) 2016-03-16
EP3001227A4 (en) 2016-05-11
US20160123552A1 (en) 2016-05-05
CN105408775B (zh) 2018-01-19
EP3001227B1 (en) 2018-11-28
EP3001227A1 (en) 2016-03-30
JPWO2014189035A1 (ja) 2017-02-23
WO2014189035A1 (ja) 2014-11-27
KR101837260B1 (ko) 2018-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7260B1 (ko) 광학 필름,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및 면발광체
KR101479456B1 (ko) El 소자용 광 취출 필름, 면 발광체 및 el 소자용 광 취출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594424B1 (ko) 광학 시트, 편광판, 광학 시트의 선별 방법 및 광학 시트의 제조 방법, 그리고 표시 장치
KR20140097125A (ko) 광학 필름, 면발광체 및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TWI602699B (zh) Optical laminate,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 polarizing plate using the same,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9891354B2 (en) Light-extraction film for EL,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extraction film for EL, and planar light-emitting body
KR20160011206A (ko) 광 취출 필름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면 발광체
TW200804079A (en) Optical laminate,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TW201222018A (en) Light-diffusing element, polarizing plate having light-diffusing element attached thereto, polarizing elemen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those components
TW201022031A (en) Optical laminate and hardcoat film
US20160054489A1 (en) Optical film, optical film manufacturing method and surface light-emitting body
KR20150140696A (ko) 광학 필름 및 면발광체
KR20210089726A (ko) 광학 필름,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용 표면판 및 화상 표시 장치
JP2011023515A (ja) 光起電力装置用保護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50100663A (ko) 광학 적층체, 이것을 사용한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TWI635309B (zh) Display device with touch panel
KR20090020494A (ko) 광학 적층체
TWI574033B (zh) 光提取膜、面發光體及光提取膜的製造方法
KR20150112764A (ko) 광학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2156013B1 (ko)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광학 필름, 면발광체 및 광학 필름의 제조 장치
JP2009198749A (ja) 光線制御部材
JP2014141074A (ja) 光学積層体、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2015159033A (ja) 光取り出しフィルム、面発光体及び光取り出し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3206794A (ja) 照明装置、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