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9645A - 스키 점프용 유희(遊戱) 설비 - Google Patents

스키 점프용 유희(遊戱)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9645A
KR20160009645A KR1020157035427A KR20157035427A KR20160009645A KR 20160009645 A KR20160009645 A KR 20160009645A KR 1020157035427 A KR1020157035427 A KR 1020157035427A KR 20157035427 A KR20157035427 A KR 20157035427A KR 20160009645 A KR20160009645 A KR 20160009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at
landing
air
partition wall
sk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5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히로 오시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레스폰스 엔지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레스폰스 엔지니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레스폰스 엔지니아
Publication of KR20160009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6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9/00Design or layout of playing courts, rinks, bowling greens or areas for water-skiing; Covers therefor
    • A63C19/10Ice-skating or roller-skating rinks; Slopes or trails for skiing, ski-jumping or tobogga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1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ski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1/00Use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1/04Ski ju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Abstract

유사하게 설면의 곡면에 가까운 랜딩부를 제공하고, 충분히 충격을 흡수하여 안전성을 확보한 스키 점프용 유희 설비를 제공한다.
도움닫기 면(116)과 칸테(117)를 구비하고, 도움닫기에서 도약까지 부드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유사 곡면을 갖춘 어프로치부(110)와 내부에 공기가 충전되어 있는 에어 매트와 상기 에어 매트 내에 공기를 불어넣는 송풍 장치를 구비하고, 에어 매트 중 적어도 일부의 표면을 랜딩과 감속 활주하는 경사면으로 마무리한 랜딩부(120, 130, 140, 150, 160)를 구비하고 있다. 랜딩부의 에어 매트 내에 내벽 상면과 내벽 하면을 잇는 복수의 격벽막(133)을 마련하여 에어 매트 내에 공기 압력이 공급된 상태에서도 경사면 형상을 유지케 할 수 있게 한다. 에어 매트 내의 공기는 충격을 완화하도록 내부에서 효율적으로 이동 확산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키 점프용 유희(遊戱) 설비{RECREATIONAL EQUIPMENT FOR SKI JUMPING}
본 발명은 스포츠 시설 등의 스키 점프 연습 설비에 관한 것이다. 특히, 스키, 스노우 보드 등의 스노우 스포츠에서의 점프를 경기자가 연습하거나, 일반 놀이자가 가볍게 체험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한, 스노우 스포츠용 점프의 놀이 시설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스노우 스포츠용 점프의 놀이 시설로는, 어프로치 부분과 랜딩 부분을 구비하고 있고, 어프로치 부분은 구릉이나 산의 경사면 등의 자연 지형을 이용하거나, 비계를 조립하여 형성한 인공 경사면 상에 스키 도움닫기용 매트 등을 설치하여 인공 슬로프를 제작했다. 또한, 랜딩 부분은 착지의 충격을 약화시키기 위해, 경기용 스키 점프대와 같이 랜딩 슬로프를 마련한 스키 점프 유희 설비(일본 특개평 11-29904호 공보 등) 및 설치 장소에 제한이 있는 경우는, 연못이나 수영장 등의 수면이나 스폰지 등의 충격 흡수물이 충전된 착지 구덩이를 마련한 사례가 알려져 있다(일본 특개 2001-70497호 공보).
특히, 후자는 놀이 시설의 면적을 크게 확보하기 힘든 장소에 도입되는 타입으로, 도 10과 같이, 어프로치 부분의 도움닫기용 매트 위를 질주하여 점프하고, 그대로 랜딩 부분에 배치된 수영장 등의 수중이나 스폰지 등에 뛰어드는 것으로 점프를 체험하거나, 스키 점프 경기나, 에어리얼(aerial) 경기를 위한 고도의 훈련을 하였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평 11-29904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 2001-70497호 공보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노우 스포츠용 점프의 놀이 시설에는 어프로치부, 랜딩부의 모두에 문제가 있었다.
우선, 어프로치부의 문제에 대해서 살펴본다.
어프로치부는 주로 경기자가 점프시의 돌진하는 속도를 얻기 위해서 가속하는 부분이지만, 충분한 돌진 속도를 얻기 위해서 긴 거리와 큰 각도의 어프로치부가 필요했다. 특히, 설면(雪面)이 아니라, 인조 잔디 등의 도움닫기 면을 갖춘 설비라면, 설면과 같은 가속을 얻기 위해서는 어프로치부의 길이를 길게 확보할 필요가 있어, 놀이 시설의 길이가 길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정식 경기의 스키 점프대에는, 어프로치부에서의 도움닫기 시작부터 점프대를 향하는 소위 J자 커브, 그리고 도약 부분까지 가속, 감속, 상승이라는 복잡한 가속·감속감을 얻을 수 있지만, 유희 설비의 어프로치부에서도 그와 같은 정도의 가속, 감속, 상승이라는 복잡한 가속·감속감을 얻지 못하면 훈련이 될 수 없다. 이러한 감각을 유지하면서, 어떻게 어프로치부의 길이를 짧게 억제하는가도 중요하다.
또한, 스키판이 고속으로 도움닫기 면을 도움 닫기하기 위해, 도움닫기 면에 마련된 인조 잔디가 상하기 쉽다는 문제도 있었다.
다음으로, 랜딩부에도 큰 문제가 있었다.
상기 전자의 경기용 스키 점프대와 같은 랜딩 슬로프를 마련한 스키 점프 유희 설비에서는, 랜딩부는 딱딱한 슬로프이어서, 경기자가 랜딩 후, 안전하게 감속하려면 상당한 거리의 슬로프가 필요하게 되어, 유희 설비 전체의 길이, 설치 면적이 커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산간부의 스키 게렌데(연습장)을 이용한 유희 설비라면 유희 설비 전체의 길이나, 설치 면적의 문제가 큰 문제가 아닌 것도 상정할 수 있지만, 소위 도시에서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은 한정되어 있는 경우나, 어프로치부에서 랜딩부까지 인공적으로 비계를 조립하여 설치하는 타입이므로, 유희 설비 전체의 길이나 설치 면적이 늘어나면, 비용 증가를 초래하게 된다.
한편, 후자의 워터 점프의 유희 설비라면, 전자에 비해서 랜딩부의 크기를 비교적 억제할 수 있으며, 유희 설비 전체의 길이나 설치 면적을 간결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워터 점프의 유희 설비에 따르면, 착지면으로 바다나 수영장 등의 수면이 이용되고 있으므로, 충돌시의 수압에 의한 충격이나 온도 급변으로 인한 육체적 충격 등이 있어서, 놀이자의 안전성이 반드시 높게 확보되어 있다고는 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다. 나아가, 착지에 수면을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 기간이 여름에 한정되어, 놀이자가 점프를 연습하고 싶은 가을부터 초겨울에 걸친 기간에는 놀이 시설을 사용할 수 없다.
또한, 놀이자는 구명 조끼나 웨츠 슈트(wet suit) 등의 내충격성의 장비나, 슈트를 입은 상태에서 체험과 연습을 해야 한다. 이런 장비는 착용감이 있어, 실제 정식인 스키 점프를 날아가는 경우와는 체감하는 감각이 다르다.
초심자로서 레저로 하루만을 체험하는 것이라면, 그런 장비를 장착하고 체험해도 좋은 경우도 있지만, 초심자이지만 앞으로도 취미로 자주 스키 점프를 하고 싶은 사람이나, 경기자로서 훈련을 계속해서 하고 싶은 사람에게는, 그런 장비를 장착한 상태의 훈련은 경기 중의 상태와 다르기 때문에 오히려 훈련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또한, 워터 점프의 유희 설비에서는, 착지 때는 그대로 착수(着水)하기 때문에, 점프의 성공 또는 실패가 확실히 알 수 없다. 즉, 본격적인 스키 점프대에서 뛴 경우, 설면 위에 제대로 랜딩하여 설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종래의 스키 점프대의 설면으로 만들어지는 랜딩부의 슬로프를, 에어 매트를 설치하여 만든 유사하게 설면에 가까운 랜딩부를 제공함과 함께, 충분히 충격을 흡수하여 안전성을 확보한 스키 점프용 유희 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스키 점프용 유희 설비는, 도움닫기 면과 칸테(도약판의 선단)를 구비하여, 도움닫기부터 도약까지 부드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유사 곡면을 갖춘 어프로치부와, 내부에 공기가 충전되어 있는 에어 매트와 상기 에어 매트 내에 공기를 불어넣는 송풍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에어 매트의 적어도 일부의 표면을 랜딩과 감속 활주하는 경사면으로 마무리한 랜딩부를 구비하고, 상기 랜딩부의 상기 에어 매트 내에 내벽 상면과 내벽 하면을 잇는 복수의 격벽막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상기 에어 매트 내에 공기압이 인가된 상태에서도 상기 경사면 형상을 유지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 점프용 유희 설비이다.
격벽막을 마련하는 방향은, 예를 들면, 상기 랜딩부의 전후 방향을 따라서 상기 에어 매트 내에 마련되고 있다.
격벽막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지만, 일 예로는, 격벽막의 적어도 일부에 구멍 또는 그물 구조를 마련한 구성으로 한다. 이러한 구멍이나, 그물 구조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에어 매트 내에서, 내부의 공기가 격벽막을 통과하여 확산할 수 있어, 랜딩에 따른 충격을 상기 에어 매트의 탄력성 및 에어 매트 내의 공기의 확산에 의해 완화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에어 매트의 수리를 쉽게 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에어 매트는 파손되는 경우가 있다. 이용자가 에어 매트에 랜딩했을 때는 에어 매트 내의 압력이 크게 변화하고, 또한, 진동도 전도하기 때문에 에어 매트의 시트나 격벽막에 큰 부하가 걸린다. 랜딩에 실패했을 때도 마찬가지다.
파손 부분이 에어 매트의 외표면 등에 있으면 외부로부터의 갈아 붙이는 등 비교적 수리 하기 쉽지만, 에어 매트의 내부, 특히 격벽막이 파손되면 수리가 매우 힘들다. 에어 매트는 긴 것으로, 그 속에 둘러처진 격벽막이 있으므로 그 어느 부분이 파단 되었는지를 찾는 것만으로도 힘든 작업이다.
따라서, 격벽막의 구멍 또는 그물 구조의 근방에, 다른 격벽막의 구조 부분보다도 절단 내력이 약한 절단부를 마련해 둔다. 만약, 이용자의 랜딩에 의해 격벽막에 절단 내력을 넘는 힘이 인가된 경우, 이 절단부에서 절단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일부러 절단하기 쉬운 부분을 만들어 둠으로써, 큰 에어 매트 속에서 기존의 위치에 있는 몇개의 절단부를 체크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파단 개소, 열화 개소의 발견과 관리를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에어 매트를 이용한 이용자의 활주(滑走)의 감속과 정지 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키 점프용 유희 설비의 설치 지역의 길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에어 매트에 감속·정지를 지원하는 구조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격벽막은 에어 매트의 내벽 상면과 내벽 하면을 잇도록 마련되었으며, 에어 매트의 표면에 요철이 나타나지만, 에어 매트의 선단 부근에서는 격벽막을 랜딩부의 좌우 방향을 따라서 만든다. 이렇게 함으로써, 감속하고 있는 이용자의 스키 판의 진행 방향에 대해서 요철이 반복되는 것에 의해 더욱 감속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선단에 어느 정도 높이가 있어 스토퍼가 되도록, 에어 매트의 단부를 상측으로 접어 두는 것도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에어 매트의 배수 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키 점프용 유희 설비는 옥외에 설치하는 것도 상정되는 바, 강우, 결로, 서리 등에 의해 수분이 에어 매트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에어 매트의 상부에는 경사가 있어, 수분이 경사에 따라 하향 낙하하지만, 에어 매트의 선단 부근은 감속대, 정지대이어서, 대략 수평이다. 즉, 에어 매트의 선단 부분에는 수분이 모이기 쉽다. 특히, 에어 매트에서 격벽막과 접합하고 있는 개소의 표면에는 홈이 생기기 때문에, 이 홈에 수분이 모이기 쉽다. 그래서, 본 발명은 에어 매트의 선단 부근의 격벽막과의 접합에 의해 에어 매트의 표면에 형성되는 홈에서 우측 방향 또는 좌측 방향으로 경사를 붙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사에 의해 에어 매트의 선단 부근의 표면에 떨어진 수분이 경사를 따라서 에어 매트의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배수된다.
다음으로, 에어 매트의 상부 부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에어 매트의 상부 부분은, 통상의 점프대라면, 에어 매트의 상단 부근에는 대략 수평 테이블부, 그리고, 경사가 시작되는 노루부가 있지만, 본 발명은 에어 매트의 상단 부근을 경사면으로 마무리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래, 테이블부는 스키 점프가 상정한 초기 속도로 디딜 경우, 물리적으로 떨어지지 않는 공간으로, 단순히 수평 테이블부로 간편하게 만들고, 노루부를 만들어 랜딩부의 경사를 만들고 있다. 그러나 소위 실패 점프의 경우, 예를 들면, 어프로치부에서 넘어져서, 그대로 도약대를 넘어 밑으로 떨어질 경우, 테이블부에 직접 떨어지는 사고가 있을 수 있다. 통상의 테이블부는 대략 수평이기 때문에, 도약대(디딤대)의 선단에서의 낙하 높이는 수 미터나 되는 경우가 있어, 다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스키 점프용 유희 설비에서는, 도약(디딤)대의 선단에서의 낙하 높이를 줄이기 위해, 또한, 떨어진 충격을 분산하기 위해, 에어 매트의 상단 부근까지 경사면을 만들어 둔다.
다음으로, 어프로치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어프로치부의 유사 곡면을 중앙대(帶)의 도움닫기 면과, 상기 도움닫기 면의 양단 외주에 마련한 사이드부로 나누고, 상기 도움닫기 면의 표면의 마찰 계수를 상기 사이드부 표면의 마찰 계수보다 작게하고, 상기 놀이자의 도움닫기가 상기 도움닫기 면에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활주하기 쉽고, 상기 사이드부에 코스 아웃한 경우에는 활주를 감속하도록 궁리할 수 있다.
이렇게, 어프로치부의 유사 곡면 중, 중앙대의 도움닫기 면과 그 양측의 사이드부로 나눔으로써, 놀이자가 중앙대를 질주하도록 유도할 수 있고, 또한 도움닫기 면을 정상적으로 활주하고 있을 때에는 가속할 수 있고, 코스 아웃되어 사이드부를 활주할 때는 감속할 수 있다.
또한, 어프로치부의 도움닫기 면의 표면은 인공 잔디로 덮여 있지만, 인공 잔디는 플라스틱 소재이다. 스키가 고속으로 통과하기 위해 마찰열이 발생하고, 반복 사용하면 마찰열에 의해 인공 잔디가 융용하는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서, 스키가 활주하는 지역에서, 하측으로부터 인공 잔디 표면을 향해서 물을 분출하는 스프링클러를 배치해 둔다. 스프링클러에서 물을 분출하면, 활주 중인 스키판 면을 물로 직접 냉각할 수 있고, 인공 잔디 자체도 냉각할 수 있어, 마찰열을 제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어프로치부의 유사 곡면에 대해서 설명한다.
원래, 어프로치부는 매끄러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긴 거리의 어프로치부의 전면을 매끄러운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은 어렵다. 그래서, 본 발명의 스키 점프용 유희 설비의 어프로치부는 평면상의 플레이트 부재를 잇대고, 그 플레이트 부재 간의 접합부에 각도의 변화를 두는 것으로 유사하게 어프로치부의 유사 곡면을 형성한다. 여기에서, 플레이트 부재의 세로 폭을 하강하는 경사각이 마련된 곳과, 상승하는 경사각이 마련된 곳으로 나누어 사용한다. 어프로치부에서 하강하는 경사각이 마련된 부분에 대해서는 5m 이상의 세로 폭 플레이트 부재를 상대 각도 5도 이내로 잇대고, 상승하는 경사각이 마련된 부분에 대해서는 1m 이하 세로 폭 플레이트 부재를 상대 각도 1도 이상 3도 이내로 잇대어서 점프대의 곡면에 근사하게 플레이트 부재 간의 접합 부분에서 경사각을 바꾸어 접합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놀이자가 사용하는 스키판은 1m 50cm ~ 2m 정도의 길이가 많은 바, 어프로치부에서 하강하는 경사각이 마련된 부분에는 5m 이상의 세로 폭이 있으므로, 스키판 전부가 한장의 플레이트 부재 위에 올려 있거나, 스키 판이 플레이트 부재의 접합 부분을 한군데만 걸쳐 있는 어느 것으로, 스키 판이 플레이트 부재의 접합 부분을 두군데 걸치는 일이 없다. 또한, 각도가 5m로, 5도 이내, 즉 1m로 1도 이내로 변화한다. 발명자의 오랜 연구에 의해, 1m로 1도 이내의 변화라면 경기자는 각도 변화를 그다지 느끼지 않고 활강의 가속감을 크게 느끼는 것임을 알아냈다. 한편, 어프로치부에서 상승하는 경사각이 마련된 곳에서는 1m이하의 세로폭이므로, 스키 판이 플레이트 부재의 접합 부분을 두군데 걸치게 된다. 또한, 각도가 1m 이하의 세로폭으로 1도 이상 3도 이내로 하면, 1m에서 1도 이상의 변화한다. 발명자의 오랜 연구에 의해, 1m에서 1도 이상의 변화라면 경기자는 각도 변화를 크게 느끼는 것임을 알아냈다. 또한, 변화 각도가 지나치게 크면 요철을 느끼게 되지만, 1m, 3도 이내 정도면 요철을 느끼는 것은 거의 없다.
이처럼, 스키판이 접합 부분을 걸치는 수와, 활주면의 각도 변화의 정도를 조정함으로써, 어프로치부에서의 하강 활주 지역에서는 직선적인 가속감을 느낄 수 있으며, 또한, 어프로치부에서 상승하는 경사각이 마련된 곳에서는 위쪽으로 향하는 곡선적인 각도 변화를 느낄 수 있다.
다음으로, 어프로치부에서는 어떻게 놀이자의 도움닫기 속도를 소정의 속도까지 가속하는 것이 중요하다. 어프로치부의 설치 길이를 길게 하면, 도움닫기 거리가 길어지게 되어 가속도 얻을 수 있지만, 어프로치부의 가속을 크게 할 수 있으면, 어프로치부의 설치 길이를 조금이라도 짧게 할 수 있다. 그래서, 어프로치부의 유사 곡면에서, 점프를 위한 상승세로 전환되는 곳의 직전의 플레이트 부재의 표면의 각도에 주목했다. 통상의 어프로치부의 유사 곡면에서는 점프를 위해 상승세로 전환되는 곳의 직전의 면의 경사도는 제로, 즉 거의 수평으로 되는 부분을 만들어, 가속대가 사라진 후, 상승하도록 만들지만, 발명자가 열심히 연구한 결과, 점프를 위해 상승세로 전환되는 곳의 직전의 경사 각도를 5도 ~ 10도로 설정하는 것으로, 놀이자는 마치 수평으로 전환된 가속대가 없어지는 것처럼 느끼는 것을 알아냈다. 즉, 실제로는 아직 경사 각도가 5도 ~ 10도이기 때문에 가속대의 일부이며, 약간의 가속이 이어지고 있지만, 놀이자에게는 마치 가속대가 없어진 것처럼 느끼는 것을 알아냈다. 이러한 연구에 의하여, 가속대의 길이가 조금 길어지고, 감속하는 길이가 조금 줄어들기 때문에, 도약대에서의 출발 초속을 조금이라도 크게 할 수 있다. 즉, 같은 출발 초속을 얻기 위한 랜딩부의 길이를 짧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키 점프용 유희 설비에 따르면, 랜딩부의 에어 매트 내에 내벽 상면과 내벽 하면을 잇는 복수의 격벽막을 마련하는 것에 의해 에어 매트 내에 공기압이 인가된 상태에서도 필요한 곡면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격벽막에 구멍이나 그물 구조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내부 공기가 격벽막을 통과하여 확산할 수 있게 되어, 에어 매트에 탄력성과 충격 흡수 능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격벽막을 조절하여, 에어 매트의 관리성을 향상시키거나, 감속·정지 성능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격벽막을 접합하는 부분에서 발생하는 홈의 경사를 조절하면 배수도 잘 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어프로치부에서, 하부로부터 인공 잔디 표면을 향해서 물을 분출하는 스프링클러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활주 중의 스키 판 면을 물로 직접 냉각할 수 있고, 인공 잔디 자체도 냉각할 수 있어, 마찰열을 제거할 수도 있다. 또한, 어프로치부의 곡면의 경사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놀이자에게 자연스러운 가속과 감속을 느끼게 하면서도, 어프로치부의 길이를 조금이라도 짧게 할 수 있다.
[도 1] 실시예 1에 따른 본 발명의 스키 점프용 유희 설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어프로치부(110)를 떼어내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스프링클러(118)에서 샘솟고 있는 모습을 간단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본 발명과 종래 기술의 어프로치부(110)와 도약용 칸테(117)와의 접속 부분을 간단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도약용 칸테의 유사 곡면을 간단히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스키 점프용 유희 설비(100) 중, 랜딩부에 해당하는 부분을 떼어내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랜딩 슬로프부(130)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 구조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랜딩 슬로프부(130) 내부에서의 랜딩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격벽막(133)의 그물 구조(134)의 일부에, 다른 그물 구조(134) 부분보다도 절단 내력이 약한 절단부(136)를 마련한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 종래 일본 특개 2001-70497호 공보에 공개된 스키 점프용 유희 설비의 구성예를 간단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스키 점프용 유희 설비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스키 점프용 유희 설비의 구성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 1의 본 발명의 스키 점프용 유희 설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사시도로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키 점프용 유희 설비(100)는 크게는, 도움닫기, 가속, 도약까지를 하는 어프로치부와, 착지, 감속, 정지까지 하는 랜딩부의 2개의 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에는 어프로치부는 어프로치부(110)로 표현되어 있으며, 랜딩부는 테이블부(120), 랜딩 슬로프부(130), 랜딩 하부(140), 감속부(150), 스톱퍼(160)를 구비한 구성으로 표현되고 있다. 또한, 계단, 조명, 송풍기 등의 여러 설비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먼저, 어프로치부(110)를 설명한다.
어프로치부(110)는, 도움닫기 면과 칸테(도약대)를 구비하고, 도움닫기부터 도약까지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유사 곡면을 구비한 것이다.
도 2는 어프로치부(110)를 뽑아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측면도, 도 2(b)는 평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어프로치부(110)는 크게 스타트용 스테이지부(111), 어프로치 슬로프부(112), 도약부(113)의 3 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스타트용 스테이지부(111)는, 대략 평면으로 되어 있으며, 놀이자가 스타트하기 위해 서있는 부분이다.
어프로치 슬로프부(112)는, 도움닫기, 가속을 하는 부분이며, 하강하는 유사 곡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예에서는, 어프로치 슬로프부(112)에는, 도움닫기 면(116)과 사이드부(115)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 표면의 마찰 계수가 다르다.
도움닫기 면(116)은, 놀이자가 활주하는 면으로, 통상의 어프로치를 하는 경우, 이 도움닫기 면(116)을 활주하여 도움닫기, 가속을 한다. 그러므로, 비교적 마찰 계수가 적은 표면으로 되어 있어, 어프로치부의 길이가 비교적 짧아도 가속이 붙도록 되어 있다.
한편, 사이드부(115)는, 놀이자가 곧게 활주하지 않고 코스 아웃하는 것과 같은 구부러진 코스를 진행하는 경우에, 놀이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놀이자의 활주를 멈추도록 하는 부분이다. 그래서, 사이드부(115)는, 마찰 계수가 비교적 큰 표면을 이루고 있고, 이 측면부(115)에 진입한 놀이자의 스키가 미끄러지기 어렵고 감속하기 쉽도록 고안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사이드부(115)의 더 바깥쪽은 절벽과 같은 위험한 상태 아니라, 초원이나 흙 등의 경사를 마련하여, 낙차를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사이드 스톱퍼와 같은 강제 정지시키는 객체를 배치해도 된다.
예를 들면, 어프로치부(110)의 도움닫기 면(116)의 표면은 미끄러지기 쉬운 인조 잔디로 하고, 사이드부(115)의 표면은 마찰 계수가 큰 미끄러지기 어려운 고무 시트와 같은 소재를 부설한다.
여기에서, 인공 잔디를 부설한 도움닫기 면(116) 아래에 스프링클러를 배치하는 수단에 대해서 설명한다. 어프로치부의 도움닫기 면(116)의 표면이 인공 잔디로 덮여있는 경우, 인공 잔디는 플라스틱 소재이다. 스키가 고속으로 도움닫기 면(116)을 통과하면 마찰열이 발생하고, 반복 사용하면 그 마찰열에 의해 인공 잔디가 서서히 융용한다는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키가 활주하는 도움닫기 면(116)에서, 하부로부터 인공 잔디 표면을 향해서 물을 분출하는 스프링클러(118)를 배치해 두고, 인조 잔디 표면에 물이 샘솟도록 고안할 수 있다. 도 2(b)의 예에서는, 6개의 스프링클러(118)가 배치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3(a)는 스프링클러(118)에서 샘솟고 있는 모습을 간단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클러(118)에서 샘솟도록 하면, 활주 중의 스키 판면을 물로 직접 냉각할 수 있으며, 인조 잔디 자체도 냉각할 수 있어, 마찰열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도 3(b)는 도움닫기 면의 아래에 스프링클러(118)를 배치하는 구성이 아니라, 어프로치부(110)의 외부에 스프링클러를 배치하고 옆에서 살수하는 소위, 수살(水撒式)의 외장형 스프링클러를 채용하는 경우의 예이다. 인공적인 사면을 미끄러지기 쉽게 하기 위하여 측면에서 물을 뿌리는 것을 상정한 예이지만,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살식의 외장형 스프링클러에 의해 살수할 수 있는 지역은 부채꼴 상으로 펼쳐지지만, 쉽게 도움닫기 면(116)에 집중하여 뿌릴 수 없다. 또한, 측면에서 살수하기 때문에 놀이자의 스키 바닥에 직접 살수 할 수 없다. 확실히, 도움닫기 면(116)의 적어도 일부 지역 표면에 물을 살수할 수 있어, 일정한 인조 잔디의 냉각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살수가 도달하기 어려운 도움닫기 면(116)의 인공 잔디는 용융할 가능성이 있다. 한편, 도 3(a)에 나타낸, 도움닫기면 아래에 스프링클러(118)를 배치하는 구성이면, 샘솟는 것에 의해 스키판의 하면에 직접 물을 맞힐수 있으므로, 스키 판의 하면 자체를 냉각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샘솟는 물이 도움닫기 면(116)을 집중적으로 흐르게 되어, 인공 잔디 전체의 냉각 효과도 높다.
다음으로, 어프로치부(110)의 유사 곡면의 형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어프로치부(110)의 유사 곡면은 복수의 플레이트 부재(114)를 연결하는 것으로 형성하고 있다. 경기용 점프대의 곡면과 유사하도록 어프로치부(110)의 유사 곡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레이트 부재(114)는 튼튼한 구조체이면 되고,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놀이자의 활주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 변화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구조적 강도를 구비한 것이다. 구조적 강도를 구비한 것이라면, 한장의 판재라도 되며, 프레임을 금속으로 형성하고 보드를 조합한 것이어도 된다. 이 플레이트 부재(114)의 표면에 시트나 인조 잔디를 부설한다.
플레이트 부재(114)의 세로 폭 사이즈이지만, 일예로서는 도움닫기 면(116)에 대해서는 5m 이상의 세로 폭을 가지는 것으로 한다. 스키판의 길이가 보통 1m 50cm에서 2m 정도이므로, 5m이면 스키판이 플레이트 부재(114) 끼리의 이음매를 2개 이상 동시에 걸치는 것이 없게 되기 때문이다. 스키판이 플레이트 부재(114) 끼리의 이음매를 걸치는 수가 0개 또는 1개의 상태이면, 스키판은 상하 방향의 벡터 변화를 발생하지 않고, 하부로의 가속에 집중할 수 있다. 한편, 스키판이 플레이트 부재(114) 끼리의 이음매를 걸친 수가 2개 이상의 상태이면, 하부로의 가속보다도 상하 방향의 벡터 변화의 비율이 증가하여, 가속 비율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도 2에 나타내듯이, 이 구성예에서는, 스타트용 스테이지부(111)로부터 순서대로 114-1, 114-2, 114-3, 114-4, 114-5의 5장이 연결되지만, 114-1, 114-2, 114-3, 114-4의 길이 L1, L2, L3, L4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각각 6m로 한다. 114-5의 길이 L5에 대해서는 길이 12m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플레이트 부재 끼리의 연결한 각도이지만, 플레이트 부재(114) 끼리의 이음매의 상대 각도 5도 이내의 각도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로 폭 5m 이상으로 이음매의 상대 각도 5도 이내의 각도로 연결하면, 1m에서 1도 이내의 변화가 된다. 발명자의 오랜 연구에 의해, 1m에서 1도 이내의 변화라면, 경기자는 각도 변화를 별로 느끼지 않고 활강의 가속감을 크게 느끼는 것임을 알아냈다. 그러므로, 놀이자는 완만하게 구부러지는 곡면을 도움닫기 하고 있는 감각을 얻을 수 있으며, 이음매의 큰 벡터 변화나 요철을 느끼기 어려워진다. 도 2의 예에서는, 플레이트 부재(114)는 각각 θ1, θ2, θ3, θ4, θ5이며, 예를 들면 순서대로 27도, 22도, 17도, 12도, 7도로 한다. 플레이트 부재(114) 끼리의 이음매의 상대 각도는 각각 θ1 - θ2, θ2 - θ3, θ3 - θ4, θ4 - θ5이며, 이 예에서는 각각 5도가 되고 있다.
또한, 이 플레이트 부재(114)의 각도는 높이를 변화시키면 가변이 된다. 이 각각의 높이 H1, H2, H3, H4, H5에 대해서는 잭 등으로 승강 가능하게 해 두면, 플레이트 부재(114)의 각도를 가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약용 칸테(117)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약부(113)의 중앙대에 도약용 칸테(117)가 마련되어 있다. 즉, 도움닫기 면(116)에서부터 도약용 칸테(117)에 매끄럽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도약용 칸테(117)의 양측은 코스 아웃용의 사이드부(115)가 연장되고 있으며, 여기서는 대략 수평을 이루고 있다.
도약용 칸테(117)의 플레이트 판(114)은, 세로 폭 사이즈가 가령 75cm 이상 1m 이내의 것으로 되어 있다. 스키판의 길이가 보통 1m 50cm에서 2m 정도이므로, 이 세로 폭이면 스키판이 플레이트 부재(114) 끼리의 이음매를 2개 이상 동시에 걸친 것이기 되기 때문이다. 스키판이 플레이트 부재(114) 끼리의 이음매를 걸치는 수가 2개 이상이면, 스키판은 상 방향의 벡터 변화의 비중이 커지게 되어 상 방향에의 도약에 집중할 수 있다.
도 5는 도약용 칸테의 유사 곡면을 간단히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내듯이, 이 구성예에서는 도약용 칸테(117)의 선단을 향해서부터 순서대로 114-6, 114-7, 114-8, 114-9, 114-10, 114-11의 6매가 연결되지만, 각각의 길이 L6, L7, L8, L9, L10, L11은 예컨대 각각 90cm로 한다.
다음으로, 도약부(113)에서의 플레이트 부재 끼리의 연결 각도이지만, 플레이트 부재(114) 끼리의 이음매의 상대 각도 3도 이내의 각도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로 폭 75cm 이상 1m 이내에서 이음매의 상대 각도 3도 이내의 각도로 이으면, 각도 변화는 1m에서 1도 이상 3도 이내, 예를 들면 2도로 하면, 1m에서 2도의 변화이다. 발명자의 오랜 연구에 의해, 1m에서 1도 이상의 변화라면 경기자는 각도 변화를 비교적 느끼는 것임을 알아냈다. 그래서, 각도 변화가 1m에서 1도 이상 3도 이내라면, 놀이자는 완만하게 굽으면서 상 방향의 도약을 하고 있는 감각이 얻어지며, 이음매의 큰 요철을 느끼기 어렵게 된다. 도 5의 예에서는, 플레이트 부재(114)는 각각 θ6, θ7, θ8, θ9, θ10, θ11이며, 예를 들면 순서대로 2도, 4도, 6도, 9도, 12도, 15도로 한다. 플레이트 부재(114) 끼리의 이음매의 상대 각도는 각각 θ7 - θ6, θ8 - θ7, θ9 - θ8, θ10 - θ9, θ11 - θ10이며, 이 예에서는 각각 2도에서 3도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이, 도약부(113)에서의 스키판이 접합 부분을 걸친 수와, 활주면의 각도 변화의 정도를 조정함으로써, 어프로치부에서의 하강 활주 지역에서는 직선적인 가속감을 느낄 수 있으며, 또한 어프로치부에서 상승하는 경사각이 마련된 곳에서는 상 방향으로 향하는 곡선적인 각도 변화를 느낄 수 있다.
또한, 디빔부(113)에서도 플레이트 부재(114)의 각도는 높이를 변화시키면 가변된다. 이 각각의 높이 H6, H7, H8, H9, H10, H11에 대해서는 잭 등으로 승강 가능하게 해 두면, 플레이트 부재(114)의 각도를 가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어프로치부(110)의 도움닫기 곡면(116)과 도약용 칸테(117)의 이음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a)는 어프로치부(110)의 유사 곡면에서, 점프를 위해 상승세로 전환되는 곳의 직전의 플레이트 부재(114-5)의 경사 각도(θ5)를 5도 ~ 10도로 설정하고, 그대로 도약용 칸테(117)의 유사 곡면에 직접 이어져 있다. 이 예에서는, 경사 각도(θ5)는 7도로 되어 있다. 한편, 도약용 칸테(117)의 유사 곡면의 최초의 플레이트 부재(114-6)의 경사 각도(θ6)는 2도이며, 양측의 이음매의 상대 각도는 9도로 되어 있다. 발명자의 예의 연구에 의한 도움 닫기의 하강 벡터 변화에서 도약으로의 상승 벡터 변화에의 이음매에 있어서 상대 각도가 10도 이하이면, 특히 걸리는 감각이 없이 부드럽게 도약부로의 상승 운동으로 부드럽게 이행한다는 감각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아냈다. 여기서, 도 4(a)에 나타낸 유사 곡면이라면, 도약부로의 상승 운동으로 옮기기 직전까지 플레이트 부재(114-5)의 θ5도의 경사면에 의한 가속을 얻을 수 있어, 감속되지 않고 그대로 플레이트 부재(114-6)의 상승 운동으로 이행할 수 있다.
한편, 도 4(b)는 종래 기술에서 볼 수 있는 타입으로, 어프로치부(110)의 도움닫기 면(116)의 유사 곡면의 하단의 플레이트 부재(114-5-1)와, 도약용 칸테(117)의 플레이트 부재(114-6)와의 이음매에 경사 제로의 수평대의 플레이트 부재(114-5-2)를 만들도록 한 것이다. 이 종래 기술에서 볼 수 있는 타입에서는 도움닫기 면(116)의 하강 운동에서 도약용 칸테(117)의 상승 운동 까지의 사이에 수평 운동이 들어가기 때문에 놀이자에게 있어서 양자를 명확히 알기 쉽다고 생각하지만, 수평대는 마찰이 발생하므로, 사실은 감속대가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어프로치부(110)의 설치 길이를 짧게 하는 것도 목적의 하나이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서 볼 수 있는 타입처럼 감속대가 존재하면, 도약용 칸테(117)의 도약 돌진 속도가 그만큼 작아진다. 한편,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평대가 존재하지 않도록 하면, 도약용 칸테(117)의 상승 운동으로 넘어가기 직전까지 가속대이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도약용 칸테(117)의 도약 돌진 속도를 소정의 속도로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랜딩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스키 점프용 유희 설비(100) 중, 랜딩부에 해당하는 부분을 꺼내어 나타낸 도면이다. 랜딩부는, 테이블부(120), 랜딩 슬로프부(130), 랜딩 하부(140), 감속부(150), 스톱퍼(160)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6에서는 표면을 덮고 있는 각각의 커버 시트(121, 131, 141, 151)를 제거한 도면이다.
우선, 테이블부(120)를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듯이, 랜딩부의 상단 측은, 종래 기술과 같이, 수평 테이블부는 없고 완만한 사면으로 되어 있다. 종래 기술의 테이블부는, 스키 점프가 상정한 초기 속도로 디딜 경우 물리적으로 떨어지지 않는 공간인, 단순한 수평 테이블부로 간편하게 만들고, 노루부를 만들어 랜딩부의 경사를 만들고 있지만, 소위 실패 점프의 경우, 예를 들면, 어프로치부(110)에서 넘어져서, 그대로 전방에 떨어질 경우, 테이블부에 직접 떨어지는 사고가 있을 수 있다. 그래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블부(120)를 어프로치부(110) 높이 근처까지 들어 올려 놓고, 단차를 줄여서 떨어지는 충격을 분산하도록 궁리한다.
다음으로, 랜딩 슬로프부(130)에 대해서 설명한다.
랜딩 슬로프부(130)는 놀이자의 랜딩과 그 이후의 감속을 하는 곳으로, 도약용 칸테(117)에서 디디고 점프한 놀이자의 비행 경로를 따라 랜딩의 충격을 줄이고, 안전하게 설 수 있도록 각도를 조정한 슬로프를 제공한다. 또한, 랜딩 슬로프부(130)는 착륙한 뒤, 안전하게 감속할 수 있도록 사면으로 되어 있어, 놀이자의 비행 각도에 따라 그대로 전방에 활주할 수 있는 각도가 붙어져 있다.
랜딩 슬로프부(130)는, 에어 매트로 만들어져 있으며, 또한 에어 매트의 표면을 보호하는 커버 시트(131), 에어 매트의 내부 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송풍기(도시하지 않음)와 에어 매트 내의 공기압을 조정하기 위한 벤틸레이션(132)이 마련되어 있다.
에어 매트의 재질은, 놀이자의 랜딩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여 받아들이는 탄력성, 나아가 놀이자의 랜딩에 따른 충격으로 발생하는 공기 압력 변화에 견딜 인장 강도나 파단 강도가 필요하다. 또한, 에어 매트나 커버 시트를 다층화하여 복수의 소재를 조합해도 된다. 이러한 인장 강도나 파단 강도가 있는 것이라면,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에어 매트 본체, 커버 시트 등의 소재로서 고강도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범포(帆布)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도 7은, 랜딩 슬로프부(130)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 구조의 일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8은 랜딩 슬로프부(130)의 내부에서의 랜딩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공기의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평면도로 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랜딩 슬로프부(130)의 내부에는 복수의 격벽막(133)이 설치되어 있다. 격벽막(133)은 랜딩 방향, 즉 전후 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있으며, 에어 매트의 내부를 받치며, 나아가 에어 매트가 상면 방향으로 팽창하는 것을 막는 일종의 벽 기둥과 같은 것으로 되어 있다.
격벽막(133)으로 나누어진 공간은 일종의 통체(137)로 되어 있으며, 에어 매트 내에 복수개의 통체(137)가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통체(137)의 단부는 개방단으로 되어 있으며, 도 7 및 도 8과 같이 통체(137) 내부의 공기가 출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구성예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격벽막(133)은 그물 구조(134)이며, 나아가, 구멍(135)이 열린 구조로 되어 있어, 격벽막(133)을 가로 방향으로 통과하는 형태에서도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른의 체중이 빠르게 랜딩할 때의 충격이 크고, 그 충격을 약하게 하기 위한 에어 매트 내의 대량의 공기가 효율 좋고, 또한 적당한 공기 저항을 수반하면서 크게 확산함으로써 에어 매트 전체의 탄력성과 충격 흡수 효과를 부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발명자의 예의 연구에 의한 결과, 격벽막(133)으로 나누어진 각각의 통체(137)의 개방단에서부터의 공기의 출입에 더하여, 도 7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격벽막(133) 자체를 그물 구조(134)로 하고, 나아가 구멍(135)을 만들어 공기가 통과하도록 하면, 에어 매트 내의 대량의 공기가 효율 좋고, 또한 적당한 공기 저항을 수반하면서 크게 확산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도 8에는, 놀이자의 랜딩에 따른 충격을 에어 매트 전체로 받아들이고, 그 충격을 내부의 공기가 대량으로 확산되는 것으로 흡수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도 8의 예에서는, 중앙 부근에 랜딩하여, 그 충격이 위쪽에서 가해지고 있다. 에어 매트 내에는 격벽막(133)에 의한 6개의 통체(137)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단부는 전후 모두 개방단이 되고 있어, 공기가 자유로이 드나들 수 있다. 랜딩의 충격이 더해지면, 에어 매트의 중앙 부근에 있던 공기가 한꺼번에 통체(137) 전후 방향으로 확산되면서, 전단, 후단에서 분출한다. 분출한 공기가 에어 매트의 단부의 공기압을 상승시켜, 에어 매트의 전단, 후단이 그 탄력성에 의해 팽창한다. 여기서, 에어 매트의 전단 및 후단에서는 그 이상 외측으로 갈 곳은 없지만, 벤틸레이션(132)이 있는 가로 방향(도면의 중간 우측 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가장 우측의 통체(137)에는 벤틸레이션(132)이 마련되어 있으며, 에어 매트의 공기압이 상승하면 에어 매트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방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가장 우측 통체(137)에는 다른 통체(137)에서 분출한 공기가 흘러들어, 벤틸레이션(132)을 통해서 외부로 공기를 방출할 수 있다. 이렇게, 랜딩에 따른 에어 매트 내의 공기 압력 변동을 조정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격벽막(133) 자체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랜딩의 충격이 더해지면, 에어 매트의 중앙 부근에 있던 공기가 격벽막(133)을 통과하는 형태로 가로 방향이나 경사 방향으로도 확산되면서, 다른 통체(137)로 빠져나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일부의 공기는 벤틸레이션(132)을 통해서 외부로 방출되는 구조로 상기와 같다.
이처럼, 격벽막(133) 전후 방향으로의 공기의 이동뿐만 아니라, 격벽막(133) 자체를 통과하는 가로 방향, 경사 방향으로의 공기의 이동도 가능하므로, 랜딩 충격의 흡수 능력이 향상되고 있다.
랜딩시의 큰 충격을 흡수한 후에는, 놀이자가 랜딩 슬로프부를 활주하면서, 안전하게 감속을 시작하지만, 랜딩시에 비해서 에어 매트에 인가되는 압력이 감소한다.
랜딩 슬로프부(133)에는 도시하지 않는 송풍기가 있어 에어 매트 내로 공기를 불어넣고 있으므로, 에어 매트 내의 공기 압력은 회복할 수 있다. 그래서, 오목해진 에어 매트가 팽창하여 원래의 형태로 돌아갈 수 있다.
다음으로, 랜딩의 충격에 따른 랜딩 슬로프부(133)의 관리성 향상에 관하여 설명한다.
랜딩의 충격 등으로 랜딩 슬로프부(130)가 파손되는는 경우가 있다. 표면의 커버 시트(131)가 파손된 경우는 표면에서 수선할 수 있어 비교적 쉽게 관리할 수 있다. 그러나 에어 매트 내부가 파손되었을 경우, 특히 내부의 격벽막(133)이 파손된 경우는 유지 보수가 너무 힘들다. 에어 매트는 긴 것으로, 그 속에 둘러쳐진 격벽 막(133)이 있으므로 어느 부분이 파열했는지를 찾는 것만으로도 대단한 작업이다.
도 9는, 격벽막(133)의 그물 구조(134)의 일부에, 다른 그물 구조(134) 부분보다도 절단 내력이 약한 절단부(136)를 마련한 구성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만일 이용자의 랜딩에 의해 격벽막(133)에 절단 내력을 초과하는는 힘이 인가된 경우, 이 절단부(136)에서 절단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도 9(a)에 나타내듯이 일부러 절단되기 쉬운 부분을 만들어 둠으로써 큰 에어 매트 속에서 기존의 위치에 있는 몇개의 절단부(136)를 체크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파단 부위, 열화 부분의 발견과 관리를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절단부(136) 이외의 장소에서 파손될 가능성도 있지만, 평소 진행하는 관리에서는 절단부(136)를 중심으로 점검하고, 정기적인 풀 관리 등으로 전체를 체크한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9(b)에 나타내듯이, 격벽막(133)에 그물 구조(134) 및 구멍(135)을 마련하고 있으나, 절단부(136)를 두지 않는 구조로 한 경우, 랜딩에 따른 충격이 가해지면 그물 구조(134) 전체에 충격이 가해져, 어느 곳에서 절단 등의 오류가 발생할지 예측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결국, 에어 매트에 둘러쳐진 격벽막(133) 전체를 체크하게 된다.
다음으로, 랜딩부에서의 이용자의 활주의 감속과 정지의 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랜딩 슬로프부(130)를 통과한 이용자는, 자신의 정지동작(edging)이나, 랜딩 슬로프부(130)의 커버 시트(131)와 스키판과의 마찰력에 의해, 어느 정도 감속하고 있지만, 도 1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랜딩 하부(140), 감속부(150), 스톱퍼(160)에 의해 안전하게 감속하면서 정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랜딩 하부(140)는 수평에 가까우며, 놀이자의 활주에 가속이 붙지 않도록 되어 있다. 자신의 정지동작이나, 커버 시트(141)와 스키판과의 마찰력에 의해, 감속하기 쉽게되어 있다. 이 랜딩 하부(140) 상에서 완전히 정지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감속부(150)는, 감속을 더 강하게 하기 위해, 랜딩 하부(140)의 전방에 마련된 것이며, 수평에 가깝게 또는 역으로 완만한 오르막 경사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감속을 촉진하기 위하여, 도 6에 나타내듯이, 에어 매트 내부의 격벽막(133)의 형성 방향을 가로 방향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격벽막(133)은 에어 매트의 내벽 상면과 내벽 하면을 잇도록 마련되어 있어, 에어 매트의 표면에 요철이 나타나지만, 에어 매트 내부의 격벽막(133)의 형성 방향이 가로 방향이면 통체(137)가 수평이 되어 약간의 요철이 감속부(150)의 표면에 생긴다. 커버 시트(151)에 요철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렇게 하면, 놀이자의 활주 방향에 소위 점차적인 요철이 가능하며, 특히 오목부의 홈이 스키판의 활주에 대한 큰 저항이 된다. 이렇게 감속하면서 이용자의 스키판의 진행 방향에 대해서 요철이 반복되는 것에 의하여 더욱 감속이 가능하게 된다.
스톱퍼(160)는, 감속부(150)의 더 앞에 마련되는 것으로, 여기까지 활주해 버린 놀이자의 전방 이동을 강제로 정지시키는 스톱퍼이다. 예를 들면 에어 매트의 단부를 위쪽으로 꺾어서 형성한다.
이것들 랜딩 하부(140), 감속부(150), 스톱퍼(160)에 의해 보다 안전하게 감속하면서, 정지가 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랜딩부의 배수 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스키 점프용 유희 설비는옥외에 설치하는 것도 상정되는 바, 강우, 결로, 서리 등에 의해 수분이 에어 매트 표면에 부착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랜딩 슬로프부(130)는, 경사가 있고 수분이 경사를 따라 아래로 낙하하지만, 랜딩 하부(140)나, 감속부(150) 부근은 대략 수평이 되어 있어, 수분이 쌓이기 쉽다. 특히, 에어 매트에서 내부에 격벽막(133)과 접합하고 있는 부분의 표면에는 홈이 생길 수 있으므로, 이 홈에 수분이 쌓이기 쉽다. 그래서 감속부(150)에 형성되는 홈에서 우측 방향 또는 좌측 방향으로 경사를 만들 필요가 있다. 이 경사에 의해 감속부(150)의 표면에 있는 수분은 홈의 경사를 따라 감속부(150)의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배수된다.
이상, 본 발명의 스키 점프용 유희 설비의 구성예에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도시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한 것은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스키 점프용 유희 설비는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하는 인공 스키 점프용 유희 설비 등에 널리 적용될 수 있다.
100 스키 점프용 유희 설비
110 어프로치부
111 스타트용 스테이지부
112 어프로치 슬로프부
113 도약부
114 플레이트 부재
115 사이드부
116 도움닫기 면
117 도약용 칸테
120 테이블부
121 커버 시트
130 랜딩 슬로프부
131 커버 시트
132 벤틸레이션
133 격벽막
134 그물 구조
135 구멍
136 절단부
137 통체
140 랜딩 하부
141 커버 시트
150 감속부
151 커버 시트
160 스토퍼

Claims (11)

  1. 도움닫기 면과 칸테(도약판의 선단)를 구비하고, 도움닫기부터 도약까지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유사 곡면을 구비한 어프로치부와,
    내부에 공기가 충전되어 있는 에어 매트와, 상기 에어 매트 내에 공기를 불어넣는 송풍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에어 매트의 적어도 일부의 표면을 랜딩과 감속 활주하는 경사면으로 마무리한 랜딩부를 구비하고,
    상기 랜딩부의 상기 에어 매트 내에 내벽 상면과 내벽 하면을 잇는 복수의 격벽막을 마련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에어 매트 내에 공기압이 인가된 상태에서도 상기 경사면 형상을 유지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 점프용 유희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막이 상기 랜딩부의 전후 방향을 따라 상기 에어 매트 내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격벽막으로 구획된 공간이 통체를 형성하고, 그 전단 및 후단은 상기 에어 매트 내부에서 개방단이 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 점프용 유희 설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막의 적어도 일부에 구멍 또는 그물 구조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에어 매트 내에서 내부의 공기가 상기 격벽막을 통과하여 확산할 수 있으며, 상기 랜딩에 따른 충격을 상기 에어 매트의 탄력성 및 상기 에어 매트 내의 공기의 확산에 의해 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 점프용 유희 설비.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막의 상기 구멍 또는 상기 그물 구조의 근방에, 다른 격벽막의 구조 부분보다도 절단 내력이 약한 절단부를 마련하고, 이용자의 랜딩에 의해 상기 격벽막에 절단 내력을 넘는 힘이 인가된 경우, 상기 절단부에서 절단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 점프용 유희 설비.
  5.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매트의 선단 부근에서 상기 랜딩부의 좌우 방향을 따라 상기 격벽막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 점프용 유희 설비.
  6. 제1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매트의 선단 부근의 상기 격벽막과의 접합에 의해 상기 에어 매트의 표면에 형성되는 홈의 적어도 일부에 우측 방향 또는 좌측 방향으로 경사를 붙이고, 상기 에어 매트의 선단 부근의 표면에 떨어진 수분이 상기 경사를 따라 상기 에어 매트의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배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 점프용 유희 설비.
  7. 제1항 내지 제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매트의 상단 부근의 테이블부 및 노루부를 마련하지 않고, 상단 부근을 경사면으로 마무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 점프용 유희 설비.
  8. 제1항 내지 제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프로치부의 유사 곡면을 중앙대의 도움닫기 면과, 상기 도움닫기 면의 양단 외주에에 마련된 측면부에 나누고, 상기 도움닫기 면의 표면 마찰 계수를 상기 사이드부의 표면 마찰 계수보다 작게 하고, 상기 놀이자의 도움닫기가 상기 도움닫기 면에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활주하기 쉽고, 상기 사이드부로 코스 아웃한 경우에는 활주를 감속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 점프용 유희 설비.
  9. 제1항 내지 제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프로치부의 도움닫기 면의 표면이 인조 잔디이며, 스키가 통과하는 영역에 하부로부터 상기 인공 잔디 표면을 향해서 물을 분출하는 스프링클러를 배치하여, 활주 중인 스키판 면을 직접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 점프용 유희 설비.
  10. 제1항 내지 제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프로치부의 유사 곡면을 형성하는 부재를, 하강하는 경사각이 마련된 부분에 대해서는 5m 이상의 세로 폭 플레이트 부재를 상대 각도 5도 이내의 각도로 잇고, 상승하는 경사각이 마련된 부분에 대해서는 1m 이하의 세로 폭 플레이트 부재를 상대 각도 3도 이내의 각도로 이어서, 점프대의 곡면에 근사하도록 상기 플레이트 부재 간 접합부에서 경사각을 바꾸어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 점프용 유희 설비.
  11. 제1항 내지 제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프로치부의 유사 곡면에서, 점프를 위하여 상승으로 전환하는 곳의 직전의 상기 플레이트 부재의 표면의 경사 각도를 5도 ~ 10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키 점프용 유희 설비.
KR1020157035427A 2013-06-03 2014-06-02 스키 점프용 유희(遊戱) 설비 KR201600096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16638 2013-06-03
JP2013116638 2013-06-03
PCT/JP2014/064584 WO2014196493A1 (ja) 2013-06-03 2014-06-02 スキージャンプ用遊戯設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645A true KR20160009645A (ko) 2016-01-26

Family

ID=52008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5427A KR20160009645A (ko) 2013-06-03 2014-06-02 스키 점프용 유희(遊戱) 설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000512A4 (ko)
JP (1) JP5943225B2 (ko)
KR (1) KR20160009645A (ko)
WO (1) WO20141964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22858B2 (ja) * 2013-03-29 2018-11-14 有限会社アプレスキー 滑降練習具および滑降練習台並びにゲレンデ
WO2016122097A1 (ko) * 2015-01-29 2016-08-04 전자부품연구원 스키 점프 시뮬레이터 및 제어 서버
KR200483069Y1 (ko) * 2015-10-23 2017-04-10 정창희 복합놀이매트
TWI643651B (zh) * 2017-10-20 2018-12-11 寬鑫有限公司 Wave jump board
CN108560360A (zh) * 2018-04-11 2018-09-21 西安健坤游乐设施有限公司 一种分体式旱地滑雪地面砖及旱地滑雪道
CN109865277A (zh) * 2019-03-14 2019-06-11 天津乡景建筑工程有限公司 模拟滑雪地面
CN110152269B (zh) * 2019-06-21 2024-04-16 泰山体育产业集团有限公司 一种模拟跳台滑雪运动的滑雪台组合体
JP7454889B1 (ja) 2023-05-23 2024-03-25 株式会社Re ジャンプ用遊戯設備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3585U (ko) * 1986-09-29 1988-04-11
JPH0310142U (ko) * 1989-06-14 1991-01-30
JPH03139375A (ja) * 1989-10-24 1991-06-13 Mataichi Chiba 急降下ダイビングジャンプ台
JPH0428380A (ja) * 1990-05-24 1992-01-30 Akira Oku エアーマツト
JPH0727973Y2 (ja) * 1990-09-14 1995-06-28 株式会社マルヨシビニール 滑り台
JP2788802B2 (ja) * 1991-07-26 1998-08-2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人工スキー場用滑走路の散水装置
JP3010142U (ja) * 1994-01-18 1995-04-25 充弘 藤原 落下緩衝装置
JPH09262303A (ja) * 1996-03-28 1997-10-07 Masao Kosaka 高い建物からの人の落下、物の落下を下で受け止める空気袋。
JPH1129904A (ja) 1997-07-11 1999-02-02 Toray Ind Inc 人工ゲレンデ、ジャンプ台およびスノーボード用競技場
JP2001070497A (ja) 1999-09-07 2001-03-21 Obe Kogyo Kk スノースポーツ用ジャンプの遊技施設
JP3933947B2 (ja) * 2002-01-30 2007-06-20 社団法人 全国避難設備工業会 避難装置
GB0301974D0 (en) * 2003-01-29 2003-02-26 Safety Arrest Solutions Ltd Safety cushion apparatus
WO2010009541A1 (en) * 2008-07-21 2010-01-28 Katal Innovations Inc. Sport landing p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96493A1 (ja) 2014-12-11
JP5943225B2 (ja) 2016-06-29
EP3000512A1 (en) 2016-03-30
JPWO2014196493A1 (ja) 2017-02-23
EP3000512A4 (en) 201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9645A (ko) 스키 점프용 유희(遊戱) 설비
US7614957B2 (en) Harness safety system
US3047291A (en) Ski practicing method and apparatus
US9586159B2 (en) Inflatable soap box derby
US20090181810A1 (en) Soccer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985292B1 (ko) 인공 눈 및 인공 스키장
US4258911A (en) Skateboard arena
CN113730897A (zh) 一种着陆坡
WO2010009541A1 (en) Sport landing pad
US6533671B2 (en) Composite landing surface for sports
JP7454889B1 (ja) ジャンプ用遊戯設備
KR101358383B1 (ko) 충격 흡수용 에어 매트
CA2476740C (en) Skating training system
JP5352553B2 (ja) 滑降練習用教材
RU2358784C2 (ru) Искусственное многослойное покрытие для трамплинов и горок
WO1999046017A1 (en) Roller-skate rink
JP2001070497A (ja) スノースポーツ用ジャンプの遊技施設
KR200455114Y1 (ko) 실내 스키장용 슬라이딩 매트
US8647213B2 (en) Apparatus for a playground bouldering slide
JP2010528688A (ja) 水上滑走スポーツ環境と装置およびその方法
CN115317886A (zh) 颗粒旱雪及颗粒旱雪着陆坡
KR102683431B1 (ko) 놀이 기구
CN221014436U (zh) 一种倾斜式滑雪u型池四季旱雪训练场
JP2756757B2 (ja) バンカー練習装置
CN207332375U (zh) 一种游乐用木质树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