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8634A - 합성 수지제 창 부착 용기, 프리폼 및 프리폼의 사출 성형 방법 - Google Patents

합성 수지제 창 부착 용기, 프리폼 및 프리폼의 사출 성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8634A
KR20160008634A KR1020157035531A KR20157035531A KR20160008634A KR 20160008634 A KR20160008634 A KR 20160008634A KR 1020157035531 A KR1020157035531 A KR 1020157035531A KR 20157035531 A KR20157035531 A KR 20157035531A KR 20160008634 A KR20160008634 A KR 20160008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mediate layer
laminated
resin
preform
periphera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5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시 호소코시야마
쥰이치 치바
세이지 이소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Publication of KR20160008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6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6Inject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29B11/08Inject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14Making preform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46Details relating to the filling pattern or flow paths or flow characteristics of moulding material in the mould c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03Multi-way nozzl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03Multi-way nozzl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9C45/1607Multi-way nozzl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having at least three different 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4The moulding materials being injected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42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having a "sandwich" structure
    • B29C45/1646Injecting parison-lik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71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e.g. geometry, dimensions or phys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2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pari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65D1/0215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03Multi-way nozzl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9C2045/1614Multi-way nozzl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ide-by-side flow of materials in the same chan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15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the preform having one end cl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06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tangentially different components within one layer, e.g. longitudinal str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08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at neck portion
    • B29C2949/3009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at neck portion part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12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at flange portion
    • B29C2949/3014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at flange portion part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16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at body portion
    • B29C2949/3018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at body portion part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2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at bottom portion
    • B29C2949/3022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at bottom portion part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32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inj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30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 B29C2949/3032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injected
    • B29C2949/3034Preforms or parisons made of several components having components being injected having two or more components being inj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8Closure devices therefor
    • B29C45/2806Closure devices therefor consisting of needle valv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67/003PET, i.e. poyl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5Solid
    • B29K2105/253Pre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5Solid
    • B29K2105/253Preform
    • B29K2105/258Tub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8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e.g. fluorescent or phosphorescent
    • B29K2995/0026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58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32B2439/60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04Level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합성 수지제 창 부착 용기는, 사출 성형에 의한 시험관 형상의 프리폼을 2 축 연신 블로 성형한 용기 형상의 합성 수지제 창 부착 용기에 있어서, 투명한 기체층(211)에 의해서 외주벽을 형성하고, 이 외주벽의 소정의 높이 영역에 걸쳐서 기체층(211) 중에 차광성을 갖는, 또는 불투명한 중간층(212)을 적층하고, 중간층(212)은, 용기의 외주벽에 이 용기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서 세로 띠 형상으로 연장 설치되는 중간층(212)이 적층되지 않은 비적층부(213)를 제외하고, 외주벽의 전체 외주에 걸친 영역에 적층되는 구성으로 하고, 이 비적층부(213)를 창부(213w)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합성 수지제 창 부착 용기, 프리폼 및 프리폼의 사출 성형 방법{CONTAINER WITH SYNTHETIC RESIN WINDOW, PREFORM AND PREFORM INJECTION MOLDING METHOD}
본 발명은 외측으로부터 내용물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는 투명 내지 반투명한 창부를 갖는 2 축 연신 블로 성형에 의한 합성 수지제 창 부착 용기, 이 용기의 전구체인 시험관 형상의 프리폼 및 이 프리폼의 사출 성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합성 수지제의 블로 성형 용기는, 음료, 식료, 세제, 화장품, 약품 등의 용도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내용물을 자외선 등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차광성을 부여하거나, 외관 디자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에 의해서 내용물이 보이지 않는 상태로 하고 있는 경우를 많이 볼 수 있다.
차광성을 부여하거나, 내용물을 바깥으로부터 보이지 않도록 하는 수단으로서는, 용기 자체를 착색한 수지에 의해서 불투명하게 하거나, 용기의 외표면을 불투명하게 도포하거나, 용기의 외표면을 불투명한, 혹은 표면을 불투명하게 인쇄한 수축성 필름으로 오버 코팅하는 등의 수단이 이용되고 있다.
단, 이와 같이 내용물을 바깥으로부터 볼 수 없도록 하게 되면, 내용물의 잔량을 외측으로부터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사용 시에 불편하게 되고, 안심하여 사용할 수가 없게 된다. 또한, 내용물을 재충전하여 사용할 때에는 충전 상태를 볼 수 없기 때문에 과도하게 넣어 내용물이 넘치는 것과 같은 문제도 발생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개량하는 수단으로서는, 투명 내지 반투명한 용기를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마스킹하여 도장 후 마스크를 떼어 내어 창부를 형성하는 수단, 수축성 필름의 경우에는 일부를 인쇄하지 않고 투명한 채로 남겨서 창부를 형성하고, 내용물의 잔량을 바깥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있었다.
특허문헌 1에는 착색 수지로 이루어지는 외주벽에, 이 외주벽을 완전히 분단하도록 세로 띠 형상으로 투명한 수지에 의한 창부를 형성한 다이렉트 블로 성형에 의한 블로 성형 용기에 관한 발명이 기재되어 있다.
이 용기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구체가 되는 원통 형상의 패리슨(131)을 압출 성형할 때, 압출 성형에 사용되는 다이스의, 착색 수지(Rcol)가 유동하는 원통 형상의 유로의 일부에 미착색 투명 수지(Rtr)를 압출 방향으로 유입시키고, 세로 띠 형상으로 압출되는 투명 수지(Rtr)에 의해서 착색 수지(Rcol)로 이루어지는 외주벽을 둘레 방향으로 완전하게 분단하도록 한 패리슨(131)을 블로 성형에 의해서 성형한 것이며, 세로 띠 형상으로 투명한 창부를 비교적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153901호
다이렉트 블로 성형에 의한 용기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비교적 용이하게 세로 띠 형상으로 투명한 창부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사출 성형한 시험관 형상의 프리폼을 2 축 연신 블로 성형한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이하, PET라고 약기함) 수지제 등의, 2 축 연신 블로 성형 보틀(bottle) 등의 용기에서는, 다이렉트 블로 성형에 의한 용기와 같이 세로 띠 형상의 투명한 창부를 형성하면, 투명한 창부의 일부에 착색한 수지가 혼입하여 창부의 외관이 손상되고, 또한 창부의 일부가 불투명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시험관 형상의 프리폼을 사출 성형하는 경우에는, 사출 성형 장치에 배치된 노즐부 내에, 전술한 다이렉트 블로 성형에 의한 패리슨의 성형과 마찬가지로, 착색 수지(Rcol)가 유동하는 원통 형상 유로의 일부에 미착색의 투명 수지(Rtr)를 압출 방향으로 유입하고, 도 13(a)에 나타낸 것과 같은 투명 수지(Rtr)에 의해서 착색 수지(Rcol)로 이루어지는 외주벽을 둘레 방향으로 완전하게 분단하도록 하는 적층 구조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한 적층 용융 수지체를, 노즐부의 선단부에서 도 13(b)에 나타낸 것과 같은 적층 구조를 갖는 원주 형상으로 하고, 도 13(c)에 나타낸 것과 같이, 게이트(5)를 통해서 시험관 형상으로 형성된 캐비티(4) 내로 사출, 유동시켜서 충전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 1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색 수지(Rcol)의 일부가 투명 수지(Rtr)의 내주면측에 말려 들어가는 경우가 있고, 상기한 바와 같은 창부의 내주면측에 착색 수지(Rcol)의 일부가 혼입하고, 창부의 외관이 손상되며, 또한 창부의 일부가 불투명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한 다이렉트 블로 성형에 의한 창 부착 용기나, 2 축 연신 블로 성형에 의한 창 부착 용기는, 착색한 수지에 의해서 형성한 외주벽에, 이 외주벽을 관통하는 투명 수지로 이루어지는 세로 띠 형상부를 형성하고, 이 투명한 세로 띠 형상부에 의해서 용기에 세로 띠 형상의 창부를 형성하는 것이며, 착색한 수지에 의해서 외주벽의 내면의 대부분이 형성되어, 수납되는 내용물은 이 착색한 수지에 직접, 접촉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내용물의 종류, 그리고 착색이나 차광성을 위해서 분산되는 안료나 필러(filler)의 종류에 따라서는, 내용물의 품질 변화 등의 문제가 우려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2 축 연신 블로 성형에 의한 합성 수지제 창 부착 용기에 있어서의, 상기한 창부의 외관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 내용물의 품질 변화 등의 문제를 해소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세로 띠 형상의 투명한 창부를 클리어하게 형성한 2 축 연신 블로 성형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2 축 연신 블로 성형에 의한 합성 수지제 창 부착 용기, 이 용기의 전구체인 시험관 형상의 프리폼, 그리고 이 프리폼의 사출 성형 방법에 관한 것이지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프리폼, 창 부착 용기, 사출 성형 방법의 순서대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프리폼에 따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겠지만, 이들 구성을 갖는 프리폼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사출 성형 방법에 의해서 성형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프리폼에 따른 주 구성은, 사출 성형에 의한 2 축 연신 블로 성형용의 시험관 형상의 프리폼에 있어서, 투명한 기체층에 의해서 외주벽을 형성하고, 외주벽의 소정의 높이 영역에 있어서 기체층 중에 차광성을 갖는, 또는 불투명한 중간층을 적층하고, 이 중간층은, 프리폼의 외주벽에 중심축 방향을 따라서 세로 띠 형상으로 연장 설치되는 중간층이 적층되지 않은 비적층부를 제외하고, 외주벽의 전체 외주에 걸친 영역에 적층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전술한, 도 13을 참고하여 설명한 2 축 연신 블로 성형에 의한 창 부착 용기는, 착색한 수지에 의해서 형성된 외주벽에, 이 외주벽을 관통하는 투명 수지로 이루어지는 세로 띠 형상부를 형성하고, 이 투명한 세로 띠 형상부에 의해서 용기에 세로 띠 형상의 창부를 형성한 것이다. 이에 대해서, 상기 구성은, 시험관 형상의 프리폼의 외주벽을, 투명한 기체층 중에 불투명한 중간층을 적층한, 즉,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해서, 기체층/중간층/기체층인 적층 구조로 함과 동시에, 세로 띠 형상으로 연장 설치되는 중간층이 적층되지 않은 비적층부를 설치하고, 이 투명한 비적층부에 의해서 2 축 연신 블로 성형한 용기에 세로 띠 형상의 창부를 형성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투명한 기체층에 대해서는, 무색 투명한 것 이외에도, 착색 투명한 것도 가능하며, 더욱이 반투명한 것도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적층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의 성형 방법에 관련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출 성형 장치에 배치되는 노즐부의 선단부에서 성형되는 원주 형상의 적층 용융 수지체는, 기체층/중간층/기체층이라고 하는 적층 구조가 유지된 상태에서, 게이트를 통해서 시험관 형상으로 형성된 캐비티 중으로 사출, 유동한다. 따라서, 전술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사출 성형 방법에서의 투명한 창부의 일부에 착색한 수지가 혼입하여 창부의 외관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투명하고 클리어한 창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프리폼에 따른 다른 구성은, 상기 주 구성에 있어서 대략 전체 높이 범위에 걸쳐서 중간층을 적층한 것이다.
또한, 성형성 등의 관점으로부터, 통형 입구부의 상단면 근방이나 저부의 저면벽 부분에 중간층을 적층하지 않는 경우도 있어, 이 점을 고려하여 상기 구성에서는 "대략 전체 높이 범위"라고 하고 있다.
본 발명의 프리폼에 따른 또 다른 구성은, 상기 주 구성에 있어서, 적어도 저면벽을 포함하는 저부 근방의 전체 영역에, 중간층을 적층한 구성이다.
중간층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전체 높이 범위에 적층할 수 있고, 예컨대, 통형 입구부를 제외한 높이 범위, 저부를 제외한 높이 범위 등, 용기의 사용 목적에 따른 프리폼에서의 중간층의 적층 범위를 선택할 수가 있어, 후술하는 성형 방법에 의하면 상기 구성과 같이, 저면벽을 포함하는 저부 근방의 전체 영역에, 중간층을 적층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중간층이 적층된 높이 범위 중에, 비적층부를 어느 정도의 범위에 배치할 지에 대해서도, 차광성 등, 용기의 사용 목적에 따라서 프리폼에서의 중간층의 적층 범위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창 부착 용기에 따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이들 구성을 갖는 용기는 전술한 본 발명의 프리폼을 2 축 연신 블로 성형하는 것에 의해서 성형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창 부착 용기에 따른 주 구성은, 전구체로서의 사출 성형에 의한 시험관 형상의 프리폼을 2 축 연신 블로 성형한 용기 형상의 합성 수지제 창 부착 용기로서, 투명한 기체층에 의해서 외주벽을 형성하고,
이 외주벽의 소정의 높이 영역에 걸쳐서 상기 기체층 중에 차광성을 갖고, 또는 불투명한 중간층을 적층하고,
중간층은, 용기의 외주벽에 이 용기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서 세로 띠 형상으로 연장 설치되는 중간층이 적층되지 않는 비적층부를 제외하고, 외주벽의 전체 외주에 걸친 영역에 적층하는 구성으로 하고, 이 비적층부를 창부로 한 것이다.
상기 구성의 창 부착 용기는, 본 발명의 프리폼에 대해서, 먼저 설명한 바와 같이, 2 축 연신 블로 성형에 의해서 세로 띠 형상의 투명한 창부를 클리어하게 형성한 것이다.
또한, 중간층은 용기의 외주벽의, 창부를 제외한 대략 전체 영역에 적층하는 것이 가능하며, 예컨대, 주재료 수지에 PET 수지를 사용하고, 중간층 수지에는 가스 차단성이 높은 에틸렌 비닐 알콜 공중합체(EVOH) 수지나 MX 나일론 수지 등을 착색하여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중간층에서 창부를 제외한 외주벽의 거의 전체 영역을 적층할 수 있고, 차광성과, 창부의 기능과, 고도의 가스 차단 기능을 함께 갖는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한 EVOH 수지나 MX 나일론 수지 등은 물을 주성분으로서 한 내용물에 의해서 성능 저하를 나타내는 수지이지만, 기재 수지에 PET 수지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내용물에 대한 적성 내성이 나쁜 이와 같은 종류의 수지를 중간층으로서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이들 수지를 착색한 중간층에 의해서 차광성과 함께 가스 차단성 등의 기능을 함께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중간층이 기체층 중에 샌드위치 형상으로 적층되는 적층 구조를 갖는 것이기 때문에, 내용물이 안료나 필러를 분산시킨 중간층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내용물의 품질 변화 등의 문제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창 부착 용기에 따른 다른 구성은, 상기 주 구성에 있어서, 대략 전체 높이 범위에 걸쳐서 중간층을 적층한 것이고, 차광성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외주벽을 전체적으로 통일적으로 착색 상태로 하여 양호한 외관을 표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창 부착 용기에 따른 또 다른 구성은, 상기 주 구성에 있어서, 적어도 저면벽을 포함하는 저부 근방의 전체 영역에 중간층을 적층한 구성이다.
본 발명의 창 부착 용기에 따른 또 다른 구성은, 상기 주 구성에 있어서, 기체층은 미착색의 PET 수지제로 하고, 중간층은 착색하여 불투명한 PET 수지제로 한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프리폼의 사출 성형 방법의 주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의 기체층 중에 중간층을 적층한 2 축 연신 블로 성형용의 시험관 형상의 프리폼의 사출 성형 방법에 있어서,
주재료 수지에 의한 기체층을 형성하는 내유로 및 외유로와, 내유로 및 외유로 사이에 위치하고, 중간층 수지에 의한 중간층을 형성하는 중유로의 3 개의 원통 형상의 층 형성 유로를 동축심 형상으로 배치하고,
이들 3 개의 원통 형상의 층 형성 유로의 하류측에, 이들 3 개의 유로가 합류하는 원주 형상의 합류로를 배치하고,
중유로의 하류측의 단부에 둘레 방향으로 중유로를 횡단하는 세로 차단 리브 편을 배치하고, 이 세로 차단 리브 편에 의해서 중유로를 둘레 방향으로 분단하는 구성으로 한 노즐부를 배치한 사출 성형 장치를 사용하고,
주재료 수지를 외유로와 내유로로부터 합류로로 소정의 공급 속도로 소정 시간 공급하고,
주재료 수지가 공급되는 소정 시간 범위 내의 일정 시간, 동시에 중간층 수지를 중유로로부터 합류로로 소정의 공급 속도로 공급하고,
합류로로 원주 형상으로 합류한, 주재료 수지 중에 중간층 수지가 적층한 원주 형상의 적층 용융 수지체를, 노즐부의 선단에 연결하여 배치되는 금형의 캐비티의, 프리폼의 저부 저벽의 중앙에 상당하는 위치에 배치된 게이트를 통하여 캐비티 내로 사출, 충전하고,
세로 차단 리브 편에 의한 중유로 중에서의 중간층 수지의 둘레 방향으로의 분단에 의해서, 프리폼의 외주벽에 프리폼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서 세로 띠 형상으로 연장 설치되는 중간층이 적층되지 않은 비적층부를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프리폼의 사출 성형 방법의 다른 구성은, 상기 주 구성에 있어서, 사용하는 사출 성형 장치를, 내유로의 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 배치되는 원주 형상의 셧 오프 핀의 선단의 배치 위치의 제어에 의해서, 내유로의 합류로로의 개구 선단의 차단 혹은 개방, 또한 개도의 조정이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중간층 수지의 공급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 후로부터 적어도 이 중간층 수지의 공급이 종료할 때까지, 셧 오프 핀의 선단의 배치 위치에 의해서 개구 단부를 차단하고, 프리폼의 적어도 저면벽을 포함하는 저부 근방의 전체 영역에서, 중간층을 적층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으로 이하에 나타낸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프리폼은 외주벽을, 투명한 기체층 중에 불투명한 중간층을 적층한, 즉,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해서, 기체층/중간층/기체층인 적층 구조로 함과 동시에, 세로 띠 형상으로 연장 설치되는 중간층이 적층되지 않은 비적층부를 설치하고, 이 투명한 비적층부에 의해서 2 축 연신 블로 성형한 용기에 세로 띠 형상의 창부를 형성하도록 한 것이며, 투명한 창부의 일부에 착색한 수지가 혼입하여 창부의 외관이 손상되는, 또한 창부의 일부가 불투명하게 된다고 하는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투명하고 클리어한 창부를 형성한 2 축 연신 블로 성형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간층이 기체층 중에 샌드위치 형상으로 적층되는 적층 구조를 갖는 것이며, 내용물이 안료나 필러를 분산시킨 중간층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내용물의 품질 변화 등의 문제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창 부착 용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용기 중의 A-A선을 따라서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프리폼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프리폼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4(a)는 일부 종단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4(b)는 도 4(a) 중의 B-B 선을 따라서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4(c)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프리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5(a)는 일부 종단으로서 나타내는 측면도, 도 5(b)는 도 5(a) 중의 C-C 선을 따라서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5(c)는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사출 성형에 사용되는 사출 성형 장치의 일례의 요부를 종단으로서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6의 장치에서의 셧 오프 핀의 이동 위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6 중의 노즐부의 중유로를 형성하는 제 1 맨드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8(a)는 측면도, 도 8(b)는 저면도, 도 8(c)는 경사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사출 성형 방법에서의 사출 패턴의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9 중의 사출 패턴에 의한 금형 캐비티로의 용융 수지의 충전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9 중의 다른 사출 패턴에 의한 금형 캐비티로의 용융 수지의 충전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12는, 다이렉트 블로 성형에서의 패리슨의 압출 공정의 개략 설명도이다.
도 13은, 금형 캐비티로의 적층 용융 수지체의 충전 과정의 종래 기술의 예를 나타낸 개략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2 축 연신 블로 성형에 의한 합성 수지제 창 부착 용기, 프리폼, 그리고 사출 성형 방법에 대해서, 실시예에 따라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창 부착 용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1은 전체 사시도, 도 2는 도 1 중의 A-A 선을 따라서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이 용기(201)는 후술하는 시험관 형상의 프리폼(101)을 2 축 연신 블로 성형한 PET 수지제의 용기로, 통형 입구부(202), 테이퍼진 통형상의 어깨부(204), 원통 형상의 몸통부(205), 그리고 저부(206)를 갖고, 통형 입구부(202)에는 네크 링(203)이 둘러싸고 있으며, 몸통부(205)의 직경은 55 mm, 전체 높이는 190 mm이다.
이 용기(201)의 외주벽은, 외주벽의 전체를 형성하는 미착색 PET 수지인 주재료 수지(Ra)로 이루어지는 기체층(211) 중에 통형 입구부(202)의 상단부와 저부(206)의 저면벽(206w)을 제외하고, 대략 전체 높이 범위에 걸쳐서, 백색으로 착색한 PET 수지인 중간층 수지(Rb)로 이루어지는 중간층(212)이 적층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면으로부터 내면에 걸쳐서, 기체층(211a)/중간층(212)/기체층(211b)이라고 하는 3 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기체층(211)을 외면측에 위치하는 기체층(211a)과 내면측에 위치하는 기체층(211b)으로 나누어서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외주벽의 측면측에 세로 방향으로 중간층(212)을 적층하지 않고, 즉 외주벽이 기체층(211)만으로 형성되는 세로 띠 형상의 비적층부(213)가 형성되어 있고, 이 세로 띠 형상의 비적층부(213)를 도 1의 사시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용기(101)의 내부가 투시될 수 있는 창부(213w)로 하고, 내용액의 잔량이 확인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중간층(212)은 차광층으로서 기능을 발휘한다.
여기에서, 도 2의 평면도에 기체층(211) 중에서의 중간층(212)의 적층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비적층부(213)에서의 중간층(212)과 기체층(211)의 경계 부분에서는, 양 수지(Ra, Rb)는 외관상, 서로 혼입하지 않고, 창부(213w)의 경계가 클리어한 양호한 외관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도 1, 또한 후술하는 도면에서는, 용기(201)나 프리폼의 외주벽에 있어서, 중간층에 의해서 하얗게 착색한 외관이 보여지는 부분을 필요에 따라서 연한 검정색으로 칠하여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도 3, 도 4는 본 발명의 프리폼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프리폼(101)은 도 1, 도 2에 나타낸 용기(201)의 전구체이며, 도 3은 전체 사시도, 도 4(a)는 일부 종단하여 나타낸 측면도, 도 4(b)는 도 4(a) 중의 B-B 선을 따라서 나타낸 평단면도, 도 4(c)는 저면도이다.
이 프리폼(101)은 사출 성형한 PET 수지제의 시험관 형상의 형상을 한 것으로, 통형 입구부(102), 원통 형상의 몸통부(105), 저부(106)를 가지고, 통형 입구부(102)에는 네크 링(103)이 둘러싸고 있다.
이 프리폼(101)의 외주벽은, 외주벽의 전체를 형성하는 미착색 PET 수지인 주재료 수지(Ra)로 이루어지는 기체층(111) 중에 통형 입구부(102)의 상단부와 저부(106)의 저면벽(206w)을 제외하고, 대략 전체 높이 범위에 걸쳐서, 백색으로 착색한 PET 수지인 중간층 수지(Rb)로 이루어지는 중간층(112)이 적층된,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면으로부터 내주에 걸쳐서, 기체층(111a)/중간층(112)/기체층(111b)이라고 하는 3 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외주벽의 측면측에 세로 방향으로 중간층(112)이 적층되지 않은, 즉 외주벽이 기체층(111)만으로 형성되는 세로 띠 형상의 비적층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부(106)의 저면벽(106w)에는 중간층(112)이 적층되지 않아, 저면벽(106w)은 투명하다.
여기에서, 도 4(b)의 평면도에 기체층(111) 중에서의 중간층(112)의 적층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비적층부(113)에서의 중간층(112)과 기체층(111)의 경계에서는 양 수지(Ra, Rb)는 외관상, 서로 혼입하지 않고, 경계가 클리어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프리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5(a)는 일부 종단으로서 나타내는 측면도, 도 5(b)는 도 5(a) 중의 C-C 선을 따라서 나타내는 평단면도, 도 5(c)는 저면도이다.
이 프리폼(101)은 전체적으로 도 4의 프리폼(101)과 유사하지만, 저부(106)의 저면벽(106w)의 전체 영역에 중간층(112)을 적층하고, 또한 비적층 영역(113)은 몸통부(105)의 하단부까지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프리폼(101)을 2 축 연신 블로 성형한 용기 형상의 용기(201)에서는, 저면벽(206w)에 대해서도 중간층(212)이 적층되어, 흰색, 불투명하게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도 8, 및 도 8은 본 발명의 사출 성형 방법에 사용되는 사출 성형 장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 6은 노즐부(11) 근방의 종단면도로, 하류측에 금형(1)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7은 도 6의 장치에서의 셧 오프 핀(20)의 선단(20p)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그리고 도 8은 노즐부(11)의 중유로(15b)를 형성하는 제 1 맨드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8(a)는 측면도, 도 8(b)는 저면도, 도 8(c)는 경사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이 노즐부(11)는, 내측으로부터 순서대로 동중심축 형상으로 배치된 원통 형상의 제 1 맨드릴(21), 제 2 맨드릴(22), 제 3 맨드릴(23)을 가지고, 제 1 맨드릴(21)의 내측에 원주 형상의 셧 오프 핀(20)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각 맨드릴의 선단부는 하류측으로 향해서 축경(직경이 감소)된 테이퍼진 통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 3 맨드릴(23)과 제 2 맨드릴(22) 사이에 주재료 수지(Ra)가 유동하는 원통 형상의 외유로(15a)가 형성되고, 제 2 맨드릴(22)과 제 1 맨드릴(21) 사이에 제 2 수지(Rb)가 유동하는 원통 형상의 중유로(15b)가 형성되며, 또한 제 1 맨드릴(21)과 셧 오프 핀(20) 사이에 외유로(15a)와 마찬가지로 주재료 수지(Ra)가 유동하는 원통 형상의 내유로(15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유로(15b)의 원통 형상 유로의 하류측의 단부에서 테이퍼진 통 형상으로 된 부분에는, 이 중유로(15b)를 둘레 방향으로 분단하도록, 이 중유로(15b)를 횡단하는 차단 리브 편(16R)을 배치하고 있다.
도 8은, 중유로(15c)의 내주벽을 형성하는 제 1 맨드릴(21)의 형상을 나타내는 것이지만, 도 8(a)의 측면도에서 보면 용융된 중간층 수지(Rb)의 유입구(13b)로부터 원통 형상의 유로에 용융 수지를 분배하고, 홈 형상의 유로인 매니폴드(14b)를 좌우 대칭 형상으로 배치하고, 하류측의 단부인 테이퍼 형상의 부분에, 세로 차단 리브 편(16R)이 유입구(13b)의 반대측이 되는 둘레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유로를 배치한 노즐부(11)에서는, 주재료 수지(Ra)는, 스크류식의 압출기, 또는 압출기의 선단에 부착 설치된 플런저를 갖는 어큐뮬레이터 등의 제 1 공급부(Sa)로부터 공급되며, 도입로(12a)를 거쳐서 매니폴드(14a1과 14a2)를 통하여 외유로(15a)와 내유로(15c)로 도입된다.
또한, 중간층 수지(Rb)는 제 2 공급부(Sb)로부터 공급되며, 도입로(12b)를 거쳐서 매니폴드(14b)를 통하여 중유로(15b)로 도입된다.
그리고, 주재료 수지(Ra)는 외유로(15a)의 선단부에 배치되는 축경 유로(15as) 및 내유로(15c)의 선단부에 배치되는 축경 유로(15cs)로부터,
또한, 제 2 수지(Rb)는 중유로(15b)의 선단부에 배치되는 축경 유로(15bs)로부터 원주 형상의 합류로(19)로 공급된다. 이 합류로(19)에서 주재료 수지(Ra)와 제 2 수지(Rb)가 합류하여, 원주 형상의 적층 용융 수지체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적층 용융 수지체를, 금형(1)의 코어 금형과 캐비티 금형으로 형성되는 캐비티(4)의, 프리폼(101) 저부(106)의 저면벽(106w)의 중앙에 상당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게이트(5)를 통하여 캐비티(4) 내로 사출, 충전한다.
여기에서, 중유로(15b) 내에서 원통 형상으로 층 형성된 중간층 수지(Rb)는, 하류측의 단부에 배치되는 세로 차단 리브 편(16R)에 의해서 둘레 방향으로 분단되고, 합류로(19)에서, 이 분단에 의한 세로 띠 형상의 슬릿이 형성된 상태로 주재료 수지(Ra) 중에 적층되지만, 이 슬릿 부분에는 주재료 수지(Ra)가 유입되어, 전술한 프리폼(101)의 외주벽에 세로 띠 형상의 중간층이 없는 비적층부(113)가 형성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장치에서는, 셧 오프 핀(20)이, 이 셧 오프 핀(20)과 함께 내유로(15c)를 형성하는 제 1 맨드릴(21)의 축경된(직경이 감소된) 선단부의 내주면에 슬라이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셧 오프 핀(20)은, 노즐부(11)의 선단부를 차단 혹은 개방하는 것으로 통상의 기능 이외에도, 그 선단(20p)의 위치를 내유로(15c)의 합류로(19)로의 개구 단부(17c) 근방의 소정 위치로 제어,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서, 이 개구 단부(17c)의 개도를 완전 개방 상태와 차단 상태 사이에서 조정하고, 내유로(15c)로부터 합류로(19)로의 주재료 수지(Ra)의 공급량을 조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 도 7은 도 6의 장치에서의 셧 오프 핀(20)의 선단(20p)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위치(P0)는 노즐(11)의 선단, 위치(P3)는 축경 유로(15cs)의 상류단, 위치(P2)는 축경 유로(15cs)의 하류 근방, 그리고 위치(P1)는 내유로(15c)의 하단에 상응한다.
그리고, 셧 오프 핀(20)의 선단(20p)이 위치(P3)에 있을 때에는 개구 단부(17c)의 개도를 완전 개방한 상태로 하고, 상기 선단(20p)이 위치(P2)에 있을 때에는 개도를 좁힌 상태로 하고, 상기 선단(20p)이 위치(P1)에 있을 때에는 차단한 상태로 한다.
따라서, 셧 오프 핀(20)의 선단(20p)의 위치를 위치(P1)와 위치(P3) 사이에서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 개구 단부(17c)의 개도를 완전 개방 상태와 차단 상태 사이에서 조정하고, 내유로(15c)로부터 합류로(19)로의 주재료 수지(Ra)의 공급량을 조정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사출 성형 방법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사출 성형 장치에서 도 3, 도 4 또는 도 5에 나타낸 프리폼(101)을 사출 성형할 때의 사출 패턴을, 가로축을 시간축, 세로축을 용융 수지의 공급 속도로서 개략적으로 나타낸 설명도로, 실선으로 주재료 수지(Ra)의 사출 패턴을, 파선으로 중간층 수지(Rb)의 사출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이 사출 패턴은 기본적으로는, 주재료 수지(Ra)를 외유로(15a)와 내유로(15c)로부터 합류로(19)에 소정의 공급 속도(Va)로 소정 시간 공급하고, 이 주재료 수지(Ra)가 공급되는 소정 시간 범위 내의 일정 시간, 동시에 중간층 수지(Rb)를 중유로(15b)로부터 합류로(19)에 소정의 공급 속도로 공급하는, 소위, 동시 사출 성형에 상당하는 것이다.
또한, 도 9에는 상기 용융 수지의 사출 패턴과 함께, 2 종류의 셧 오프 핀(20)의 선단(20p)의 위치의 제어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도 3 및 도 4의 프리폼(101)은 상기한 주재료 수지(Ra)와 중간층 수지(Rb)의 사출 패턴과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제어 패턴(Sp1)을 조합하여 성형한 것이며, 도 5의 프리폼(101)은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 제어 패턴(Sp2)을 조합하여 성형한 것이다.
도 9 중의 셧 오프 핀(20)의 제어 패턴(Sp1)은 전체 시간에 걸쳐서 선단(20p)을 도 7에서 나타낸 위치(P3)에 고정하고, 내유로(15c)의 개구 단부(17c)를 완전 개방 상태로 하는 패턴이지만, 이 패턴에 의한 시간 경과에 따른 사출 성형 공정은 다음과 같다.
(1) 셧 오프 핀(20)의 선단(20p)의 위치를 P3로 하고, 내유로(15c)의 개구 단부(17c)를 완전하게 개방한 상태로 하고, 시간(ta1)에 제 1 공급부(Sa)로부터 주재료 수지(Ra)의 공급을 사출 속도(Va)로 개시하고, 외유로(15a)와 내유로(15c)를 거쳐서 합류로(19)로 공급한다.
(2) 시간(ta1)과 거의 동시의 시간(tb1)에 중간층 수지(Rb)를 제 2 공급부(Sb)로부터 공급 속도(Vb)로 개시하고, 중유로(15b)를 통하여 합류로(19)에 공급하고, 외유로(15a)와 내유로(15c)로부터의 주재료 수지(Ra) 사이에 유동시킨다.
(3) 시간(tb2)에 제 2 공급부(Sb)로부터의 중간층 수지(Rb)의 공급을 정지한다.
(4) 시간(ta2)에 금형 압력을 소정 압력까지 저하시켜(그 결과로서 제 1 공급부(Sa)로부터의 공급 속도(V)가 저하함), 시간(ta3)까지를 보압 공정으로 한다.
도 10은, 상기한 공정에서의, 금형(1)의 캐비티(4)로의, 주재료 수지(Ra)와 중간층 수지(Rb)의 충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설명도로, 도 10(a)는 도 9 중의 시간(tb1과 tb2) 사이에서의 상태, 도 10(b)는 시간(ta3)에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0(a) 및 도 10(b)의 우측에는 각각 K1-K1, K2-K2 선을 따른 게이트(5)에서의 원주 형상의 적층 용융 수지체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외유로(15a)로부터 공급되는 주재료 수지를 Ra1으로 하고, 내유로(15c)로부터 공급되는 주재료 수지를 Ra2로 하여, 주재료 수지(Ra)를 구별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한, 참고를 위해서 캐비티(4)에 상당하는 영역에, 일점 쇄선으로 세로 띠 형상의 비적층부(113)의 형성 위치를 나타내고, 중간층(112)이 적층되어 있는 영역을 연한 검정색으로 칠하여 나타내고 있다.
주재료 수지(Ra)도 10(a)의 상태에서는, 우측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게이트(5)에 있어서, 중간층 수지(Rb)는 중유로(15b)에 배치된 세로 차단 리브 편(16R)에 의해서 그 유로가 분단되고, 슬릿(S)이 형성되어, 주재료 수지(Ra1, Ra2) 중에서, C 자 형상으로 적층되어 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도 10(b)에서와 같이, 적층 형태로 되고, 프리폼(101)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릿(S)에 의해서 세로 띠 형상의 비적층부(113)가 형성되고, 저부(16)의 저면벽(106w)에는 중간층(112)이 적층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도 9 중의 셧 오프 핀(20)의 제어 패턴(Sp2)은, 시간(ts1과 ts2) 사이에 선단(Sp)을 위치(P3)로부터 위치(P1)로 되는 사이, 개구 단부(17c)를 차단하는 패턴이다.
도 11은, 이 제어 패턴(Sp2)을 채용한 사출 형성 공정에서의, 금형(1)의 캐비티(4)로의, 주재료 수지(Ra)와 중간층 수지(Rb)의 충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설명도이다.
도 11(a)는 도 9 중의 시간(tb1과 ts1) 사이에서의 상태, 도 11(b)는 시간(ts2와 ta2) 사이의 상태, 도 11(c)는 시간(ta3)에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1(a)와 도 11(c)의 우측에는, 각각 J1-J1, J3-J3 선을 따른, 도 11(b)에는 J2a-J2a, J2b-J2b 선을 따른, 게이트(5)에서의 원주 형상의 적층 용융 수지체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a)의 상태는, 도 10(a)와 동일한 상태로, 우측에 나타낸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게이트(5)에 있어서, 중간층 수지(Rb)는 중유로(15b)에 배치된 세로 차단 리브 편(16R)에 의해서, 그 유로가 분단되고, 슬릿(S)이 형성되어, 주재료 수지(Ra1, Ra2) 중에, C 자 형상으로 적층되어 있다.
또한, 시간(ts1과 ts2) 사이에서는 셧 오프 핀(20)의 선단(20p) 위치를 P1으로 하여 내유로(15c)로부터의 주재료 수지(Ra2)의 공급을 차단하기 때문에, 도 11(b)의 상태에서는, 도 11(a) 중에서 C 자 형상으로 적층되어 있는 중간층 수지(Rb)가, J2b-J2b 단면으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게이트(5)의 중앙부에 모여서, 슬릿(S)도 소실되어, 가늘고 긴 원주형의 꼬리 형상으로 적층된다.
그리고, 그 후 시간(ts2)에서 선단(20p)의 위치를 P3으로 되돌리고, 내유로(15c)로부터의 주재료 수지(Ra2)의 공급을 재개하고, 시간(ta2~ta3)의 보압 공정에서, 게이트(5)로부터 캐비티(4)로 향해서, 주재료 수지(Ra)의 유동과 주재료 수지(Ra)로의 가압에 의해서, 중간층 수지(Rb)에 의한 중간층(112)이 도 11(c)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적층 상태로 된다.
따라서, 프리폼(101)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릿(S)에 의해서, 세로 띠 형상의 비적층부(113)가 형성되고, 저부(16)의 저면벽(106w)에도 중간층(112)이 적층한 상태로 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합성 수지제 창 부착 용기, 프리폼, 및 프리폼의 사출 성형 장치에 대해서, 그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서는, 용기를 PET 수지제의 구형 용기로 하였지만, 폴리프로필렌(PP) 수지 등의 2 축 연신 블로 성형 가능한 다른 합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용기의 형상도 각형 용기 등, 다른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주재료 수지와 중간층 수지에 각각 PET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양 수지의 유동 거동을 감안하여 양 수지의 분자량 등을 변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반드시 주재료와 중간층 수지를 동일한 수지로 할 필요는 없고, 예컨대, 주재료 수지에 PET 수지를 사용하고, 중간층 수지에는 가스 차단성이 높은 EVOH 수지나 MX 나일론 수지 등을 착색하여 사용하는 것에 의해서, 중간층에서 창부를 제외한 외주벽의 거의 전체 영역을 적층할 수 있고, 창부의 기능과, 고도의 가스 차단 기능을 함께 갖는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창부(213w)의 배치 범위는 도 1의 용기(201)와 같이 대략 전체 높이 범위가 되도록 하는 것 이외에도, 차광성 등을 고려하여, 예컨대, 도 9 중의 사출 패턴으로 중간층 수지(Rb)를 공급하는 시간대를 조정하여 몸통부(205)의 극히, 제한된 범위로 하는 등, 용기의 사용 목적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기체층(211)은 착색 투명이나 반투명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합성 수지제 창 부착 용기는, 2 축 연신 블로 성형에 의한 세로 띠 형상의 투명한 창부를 클리어하게 형성한 것이며, 차광성 용기 등의 분야에서의 폭 넓은 사용 전개가 기대된다.
1 : 금형
4 : 캐비티
5 : 게이트
11 : 노즐부
12a, 12b : 도입로
13b : 유입구
14a1, 14a2, 14b : 매니폴드
15a : 외유로
15b : 중유로
15c : 내유로
15as, 15bs, 15cs : 축경 유로
16R : 세로 차단 리브 편
17c : 개구 단부
19 : 합류로
20 : 셧 오프 핀
20p : 선단
21 : 제 1 맨드릴
22 : 제 2 맨드릴
23 : 제 3 맨드릴
P0, P1, P2, P3 : (셧 오프 핀 선단의) 위치
Ra : 주재료 수지
Rb : 중간층 수지
Sa : 제 1 공급부
Sb : 제 2 공급부
101 : 프리폼
102 : 통형 입구부
103 : 네크 링
105 : 몸통부
106 : 저부
106w : 저면벽
111, 111a, 111b : 기체층
112 : 중간층
113 : 비적층부
201 : 용기
202 : 통형 입구부
203 : 네크 링
204 : 어깨부
205 : 몸통부
206 : 저부
206w : 저면벽
211, 211a, 211b : 기체층
212 : 중간층
213 : 비적층부
213w : 창부
131 : 패리슨
Rcol : 착색 수지
Rtr : 투명 수지

Claims (9)

  1. 사출 성형에 의한 2 축 연신 블로 성형용의 시험관 형상의 프리폼에 있어서, 투명한 기체층(111)에 의해서 외주벽을 형성하고, 상기 외주벽의 소정의 높이 영역에 있어서 상기 기체층(111) 중에, 차광성을 갖는, 또는 불투명한 중간층(112)을 적층하고, 상기 중간층(112)은, 상기 프리폼의 외주벽에 중심축 방향을 따라서 세로 띠 형상으로 연장 설치되는 상기 중간층(112)이 적층되지 않은 비적층부(113)를 제외하고, 외주벽의 전체 외주에 걸친 영역에 적층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폼.
  2. 청구항 1에 있어서,
    대략 전체 높이 범위에 걸쳐서 중간층(112)을 적층한, 프리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적어도 저면벽(106w)을 포함하는 저부(106) 근방의 전체 영역에, 중간층(112)을 적층하는 구성으로 한, 프리폼.
  4. 전구체로서의 사출 성형에 의한 시험관 형상의 프리폼을 2 축 연신 블로 성형한 용기 형상의 합성 수지제 창 부착 용기에 있어서, 투명한 기체층(211)에 의해서 외주벽을 형성하고, 상기 외주벽의 소정의 높이 영역에 걸쳐서 상기 기체층(211) 중에 차광성을 갖는, 또는 불투명한 중간층(212)을 적층하고, 상기 중간층(212)은, 상기 용기의 외주벽에 상기 용기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서 세로 띠 형상으로 연장 설치되는 상기 중간층(212)이 적층되지 않은 비적층부(213)를 제외하고, 외주벽의 전체 외주에 걸친 영역에 적층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비적층부(213)를 창부(213w)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수지제 창 부착 용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대략 전체 높이 범위에 걸쳐서 중간층(212)을 적층한, 합성 수지제 창 부착 용기.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적어도 저면벽(206w)을 포함하는 저부(206) 근방의 전체 영역에, 중간층(212)을 적층하는 구성으로 한, 합성 수지제 창 부착 용기.
  7.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6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체층(211)은 미착색의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수지제로 하고, 중간층(212)은 착색한 불투명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수지제로 한, 합성 수지제 창 부착 용기.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체층(111) 중에 중간층(112)을 적층한 2 축 연신 블로 성형용의 시험관 형상의 프리폼(101)의 사출 성형 방법에 있어서,
    주재료 수지(Ra)에 의한 기체층(111)을 형성하는 내유로(15c) 및 외유로(15a)와, 상기 내유로(15c) 및 외유로(15a) 사이에 위치하고, 중간층 수지(Rb)에 의한 중간층(112)을 형성하는 중유로(15b)의 3 개의 원통 형상의 층 형성 유로를 동축심 형상으로 배치하고,
    상기 3 개의 원통 형상의 층 형성 유로의 하류측에, 상기 3 개의 유로가 합류하는 원주 형상의 합류로(19)를 배치하고,
    상기 중유로(15b)의 하류측의 단부에 둘레 방향으로 상기 중유로(15b)를 횡단하는 세로 차단 리브 편(16R)을 배치하고, 상기 세로 차단 리브 편(16R)에 의해서 중유로(15c)를 둘레 방향으로 분단하는 구성으로 한 노즐부(11)를 배치한 사출 성형 장치를 사용하고,
    주재료 수지(Ra)를 외유로(15a)와 내유로(15c)로부터 합류로(19)로 소정의 공급 속도로 소정 시간 공급하고,
    주재료 수지(Ra)가 공급되는 상기 소정 시간 범위 내의 일정 시간, 동시에 중간층 수지(Rb)를 중유로(15b)로부터 합류로(19)로 소정의 공급 속도로 공급하고,
    상기 합류로(19)로 원주 형상으로 합류한, 주재료 수지(Ra) 중에 중간층 수지(Rb)가 적층한 원주 형상의 적층 용융 수지체를, 상기 노즐부(11)의 선단에 연결하여 배치되는 금형(1)의 캐비티(4)의, 프리폼(101)의 저부 저벽의 중앙에 상당하는 위치에 배치된 게이트(5)를 통하여 상기 캐비티(4) 내로 사출, 충전하고,
    상기 세로 차단 리브 편(16R)에 의한 중유로(15c) 중에서의 중간층 수지(Rb)의 둘레 방향으로의 분단에 의해서, 프리폼의 외주벽에 상기 프리폼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서 세로 띠 형상으로 연장 설치되는 중간층(112)이 적층되지 않은 비적층부(113)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폼의 사출 성형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사용하는 사출 성형 장치를, 내유로(15c)의 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 배치되는 원주 형상의 셧 오프 핀(20)의 선단(20p)의 배치 위치의 제어에 의해서, 내유로(15c)의 합류로(19)로의 개구 단부(17c)의 차단 혹은 개방, 또한 개도를 조정이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중간층 수지(Rb)의 공급 개시로부터 소정 시간 후로부터 적어도 상기 중간층 수지(Rb)의 공급이 종료할 때까지, 상기 셧 오프 핀(20)의 선단(20p)의 배치 위치에 의해서 상기 개구 단부(17c)를 차단하고,
    프리폼의 적어도 저면벽(106w)을 포함하는 저부(106) 근방의 전체 영역에, 중간층(112)을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 성형 방법.
KR1020157035531A 2013-06-28 2014-05-27 합성 수지제 창 부착 용기, 프리폼 및 프리폼의 사출 성형 방법 KR201600086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36737A JP6061250B2 (ja) 2013-06-28 2013-06-28 合成樹脂製窓付き容器、プリフォーム及びプリフォームの射出成形方法
JPJP-P-2013-136737 2013-06-28
PCT/JP2014/064566 WO2014208281A1 (ja) 2013-06-28 2014-05-27 合成樹脂製窓付き容器、プリフォーム及びプリフォームの射出成形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634A true KR20160008634A (ko) 2016-01-22

Family

ID=52141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5531A KR20160008634A (ko) 2013-06-28 2014-05-27 합성 수지제 창 부착 용기, 프리폼 및 프리폼의 사출 성형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3) US20160185488A1 (ko)
EP (1) EP3015244B1 (ko)
JP (1) JP6061250B2 (ko)
KR (1) KR20160008634A (ko)
CN (3) CN106863756A (ko)
AU (3) AU2014300155B2 (ko)
CA (1) CA2916046C (ko)
TW (2) TWI598210B (ko)
WO (1) WO201420828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7693A (ko) 2017-12-26 2019-07-0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분산 클라우드 환경에서 실시간 데이터 처리의 지연 시간 최소화를 위한 지능적 데이터 전처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21479B2 (ja) * 2016-02-15 2021-08-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複合容器、複合プリフォームおよびプラスチック製部材
AU2017298263A1 (en) * 2016-07-19 2019-02-07 Mylan Inc. View window medication packaging
EP3641998A4 (en) * 2017-06-23 2021-07-28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uxembourg IP Development S.à.r.l MOLDED BODY WITH SELECTIVELY DIFFERENT CORE LAYER GEOMETRY AND HOT RUNNER NOZZLES FOR THE MANUFACTURING OF THIS
JP7159514B2 (ja) * 2017-07-31 2022-10-2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剥離容器及びプリフォームの製造装置並びにプリ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6925740B2 (ja) * 2017-10-27 2021-08-25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容器
US11046473B2 (en) 2018-07-17 2021-06-29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Blow molded article with visual effects
US11724847B2 (en) 2018-10-19 2023-08-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low molded article with debossing
MX2021012431A (es) 2019-04-11 2021-11-12 Procter & Gamble Articulo moldeado por soplado con efectos visuales.
CN114929467A (zh) * 2020-01-08 2022-08-19 宝洁公司 具有颜色梯度的吹塑多层制品
JPWO2022014540A1 (ko) * 2020-07-17 2022-01-20
EP4370298A1 (en) * 2021-07-16 2024-05-22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Bottle-forming preform with a multilayered wall, and gaseous beverage bottle obtained with such a preform
WO2023008046A1 (ja) * 2021-07-30 2023-02-0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容器及び内容液入り液体容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3901A (ja) 2003-11-21 2005-06-16 Yoshino Kogyosho Co Ltd 注出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49286B2 (en) * 1981-01-22 1986-01-23 Toyo Boseki K.K. Blow moulded multiply vessel
JPS58167504A (ja) * 1982-03-26 1983-10-03 Shinsei Dentaru Lab:Kk 樹脂製歯科補綴物
JPS6075009A (ja) * 1983-09-30 1985-04-27 株式会社ファニーパーツカシワギ ズボン吊りを備えた衣類収納ダンス
JPS6075009U (ja) * 1983-10-31 1985-05-25 三井化学株式会社 二軸延伸中空成形用プリフオ−ム
JPH01254539A (ja) * 1988-03-30 1989-10-11 Toyo Seikan Kaisha Ltd 耐熱圧性多層容器及びその製法
DE19635334A1 (de) * 1996-08-31 1998-03-05 Guenter Dipl Ing Richter Faßartiger Behälter aus Kunststoff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 seiner Herstellung
US5927525A (en) * 1997-04-28 1999-07-27 Plastipak Packaging, Inc. Multi-layer containers and preforms
US6123211A (en) * 1997-10-14 2000-09-26 American National Can Company Multilayer plastic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6352426B1 (en) * 1998-03-19 2002-03-05 Advanced Plastics Technologies, Ltd. Mold for injection molding multilayer preforms
US6596213B2 (en) * 2001-04-06 2003-07-22 Kortec, Inc. Method of molding multi-layer polymer plastic articles with control of relative shifting of the core layer
JP3978012B2 (ja) * 2001-11-01 2007-09-19 株式会社クレハ 多層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4771315B2 (ja) * 2006-08-31 2011-09-1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多層ブロー容器
CA2729527C (en) * 2008-06-30 2013-10-08 Yoshino Kogyosho Co., Ltd. Laminated synthetic resin bottle, injection molding device, and process for molding a laminated preform
JP4953178B2 (ja) * 2008-06-30 2012-06-1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積層壜体、射出成形装置及び積層プリフォームの成形方法
JP5765656B2 (ja) * 2011-10-31 2015-08-1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プリフォームの射出成形装置
JP5817077B2 (ja) * 2011-11-17 2015-11-1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射出成形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3901A (ja) 2003-11-21 2005-06-16 Yoshino Kogyosho Co Ltd 注出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7693A (ko) 2017-12-26 2019-07-0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분산 클라우드 환경에서 실시간 데이터 처리의 지연 시간 최소화를 위한 지능적 데이터 전처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65028B2 (en) 2022-06-21
US20180002071A1 (en) 2018-01-04
TWI673151B (zh) 2019-10-01
AU2017203133A1 (en) 2017-06-01
AU2014300155B2 (en) 2017-03-09
TWI598210B (zh) 2017-09-11
JP6061250B2 (ja) 2017-01-18
EP3015244B1 (en) 2020-05-06
CN106863756A (zh) 2017-06-20
TW201509629A (zh) 2015-03-16
TW201710049A (zh) 2017-03-16
US20160185488A1 (en) 2016-06-30
CN109940857A (zh) 2019-06-28
AU2017200637A1 (en) 2017-03-02
JP2015009451A (ja) 2015-01-19
AU2014300155A1 (en) 2016-01-21
AU2017203133B2 (en) 2018-10-25
CA2916046A1 (en) 2014-12-31
US20230211925A1 (en) 2023-07-06
EP3015244A1 (en) 2016-05-04
EP3015244A4 (en) 2017-03-01
AU2017200637B2 (en) 2019-06-06
CN105324228A (zh) 2016-02-10
CA2916046C (en) 2018-11-20
WO2014208281A1 (ja) 2014-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8634A (ko) 합성 수지제 창 부착 용기, 프리폼 및 프리폼의 사출 성형 방법
KR102088729B1 (ko) 프리폼의 사출 성형 장치 및 프리폼
JP4953178B2 (ja) 合成樹脂製積層壜体、射出成形装置及び積層プリフォームの成形方法
WO2012147501A1 (ja) プリフォームの射出成形装置、射出成形方法及び合成樹脂製壜体
KR101728653B1 (ko) 프리폼의 사출 성형 장치
KR101673832B1 (ko) 합성 수지제 창 부착 용기, 프리폼 및 프리폼의 사출 성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3937;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818

Effective date: 2019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