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7724A - 피퍼롱구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예방용 식품 조성물, 지방간 치료용 약학 조성물, 지방간 치료용 동물 의약품 및 사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퍼롱구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예방용 식품 조성물, 지방간 치료용 약학 조성물, 지방간 치료용 동물 의약품 및 사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7724A
KR20160007724A KR1020140078323A KR20140078323A KR20160007724A KR 20160007724 A KR20160007724 A KR 20160007724A KR 1020140078323 A KR1020140078323 A KR 1020140078323A KR 20140078323 A KR20140078323 A KR 20140078323A KR 20160007724 A KR20160007724 A KR 20160007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tty liver
composition
weight
piperlongumine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8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9642B1 (ko
Inventor
이기원
석수진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78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9642B1/ko
Publication of KR20160007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61K31/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e.g. cyclohexim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퍼롱구민(piperlongumin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예방용 식품 조성물, 지방간 치료용 약학 조성물, 지방간 치료용 동물용 의약품 및 지방간 예방용 동물 사료 첨가제 또는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지방 축적 억제 효과, 지방축적 시 발현되는 중요한 전사인자인 SREBP-1 의 단백질 발현 저해 효과 및 중성지방의 합성을 조절하는 FAS 단백질의 발현 저해 효과를 나타내는 피퍼롱구민(piperlongumin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기 때문에 지방간 예방 또는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피퍼롱구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예방용 식품 조성물, 지방간 치료용 약학 조성물, 지방간 치료용 동물 의약품 및 사료 조성물{Food composi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imal medicine and feed composition against fatty liver with piperlongumine}
본 발명은 피퍼롱구민(piperlongumin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예방용 식품 조성물, 지방간 치료용 약학 조성물, 지방간 치료용 동물용 의약품 및 지방간 예방용 동물 사료 첨가제 또는 사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식생활의 변화, 잦은 스트레스, 서구적인 식습관 및 복잡한 사회적 요인에 의해 지방간 환자가 급증하는 추세이며, 발병되는 연령층은 중년 및 노년층 뿐만 아니라 청소년층까지 확대된 실정이다.
지방간(fatty liver)이란, 일반적으로 지방이 전체 간의 5% 이상을 차지하는 상태로서 정상 간보다 더 많은 지방이 축적된 상태를 말하는데, 국내성인 10명 중 3명은 지방간 증상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2010년 삼성서울병원 소화기 내과에서 지방간 내원 환자 비율을 조사한 결과, 전체 연령대 중 30대가 35.8%, 40대가 34.3%, 50대가 30.6%, 60대가 24.6%, 20대가 24.1% 순으로 나타나 30대 연령의 지방간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한 간학회가 1988년부터 2007년까지 건강검진을 받은 성인 75만 명의 정보를 분석한 결과, 당뇨병 환자의 65%, 고혈압 환자의 48%, 대사증후군 환자의 36%가 지방간을 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지방간은 크게 과음으로 인한 알코올성 지방간과 비만, 당뇨병, 고지혈증 및 약물 등으로 인한 비알코올성 지방간으로 나눌 수 있다. 알코올성 지방간은 알코올을 과다하게 섭취하여 간에서 지방 합성이 촉진되고 정상적인 에너지 대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게 된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지방 대사의 이상을 초래하는 전신 질환, 즉 성인병과 동반되는 경우가 많아 임상적인 중요성이 최근에 많이 부각된 질환이다.
비알콜성 지방간은 원인이 되는 비만, 고지혈증, 당뇨병 등의 요인을 교정 및 제거하는 것이 치료 방법이 될 수 있다.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에 대한 치료 원칙은 식사 요법이나 운동요법 등의 생활 습관의 개선이지만, 현실적으로 규칙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약물 보조 요법으로 메타독신(metadoxine), 베타인 글루쿠론산(betaine glucuronate), 메티오닌(methionine), 콜린(choline), 리포트로픽(lipotropic) 제제가 보조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제제의 효과는 의학적으로 명확히 증명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지방간질환에 대해 유효성이 높고 안전성이 확보되는 소재를 접목한 지방간 예방용 식품 조성물, 지방간 치료용 약학 조성물, 지방간 치료용 동물 의약품 및 사료 조성물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피퍼롱구민(piperlongumine)은 천연 인도산 후추 식물(Piper longum)에서 발견된 성분으로, 항암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2011년 Nature 에 실린 연구 결과(Nature. 2011 Jul 13;475(7355):231-4)에 따르면, 기존의 항암제는 독성이 강해 정상 세포까지 죽이는 부작용이 있었으나 피퍼롱구민은 암세포만을 골라서 사멸시키며, 정상 세포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밝혀져 암 치료에 효과적으로 쓰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피퍼롱구민의 지방간 예방 또는 치료 효능에 대한 연구결과는 알려진 바가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04165호(발명의 명칭: 암 치료용 화합물 및 조성물)에는 암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해 피퍼롱구민을 원료로 사용하여 제조된 조성물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07287호(발명의 명칭:시타글립틴, 빌다글립틴, 리나글립틴 또는 이들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천연물 유래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예방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물 유래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물 유래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치료용 동물용 의약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물 유래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예방용 동물 사료 첨가제 또는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형태로 다음의 화학식 1로 표기되는 피퍼롱구민(piperlongumin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예방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한편,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피퍼롱구민은 바람직하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50 중량% 함유되는 것이 좋다. 상기 피퍼롱구민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지방간 예방효과가 미미하며, 5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량 대비 예방효과 증가가 미미하여 비경제적이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피퍼롱구민의 농도는 바람직하게 10 μM~1 mM인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일 예로, 육류, 곡류, 카페인 음료, 일반음료, 초콜렛, 빵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젤리,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성 음료, 술, 비타민 복합제 및 그 밖의 건강보조식품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은 제2형태로 상기 화학식 1로 표기되는 피퍼롱구민(piperlongumin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피퍼롱구민은 바람직하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50 중량% 함유되는 것이 좋은데, 예방 및 치료제의 사용방법, 복용자의 상태, 질환의 종류 및 질환의 중증 정도에 따라 조절하는 것이 좋다. 상기 피퍼롱구민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지방간 치료효과가 미미하며, 5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량 대비 치료효과 증가가 미미하여 비경제적이다.
한편,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피퍼롱구민의 농도는 바람직하게 10 μM~1 mM인 것이 좋은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일 예로,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이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가 있으며, 이중 1종 이상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예방 및 치료제가 약제인 경우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제3형태로 상기 화학식 1로 표기되는 피퍼롱구민(piperlongumin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치료용 동물 의약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동물 의약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피퍼롱구민은 바람직하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50 중량% 함유되는 것이 좋다. 상기 피퍼롱구민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지방간 치료효과가 미미하며, 5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량 대비 치료효과 증가가 미미하여 비경제적이다.
한편, 본 발명의 동물 의약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피퍼롱구민의 농도는 바람직하게 10 μM~1 mM인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 및 동물 의약품 조성물의 제형은 사용방법에 따라 바람직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특히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채택하여 제형화 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인 제형의 예로는 경고제(PLASTERS), 과립제(GRANULES), 로션제(LPTIONS), 리니멘트제(LINIMENTS), 리모나데제(LEMONADES), 방향수제(AROMATIC WATERS), 산제(POWDERS), 시럽제(SYRUPS), 안연고제(OPHTALMIC OINTMENTS), 액제(LIQUIDS AND SOLUTIONS), 에어로솔제(AEROSOLS), 엑스제(EXTRACTS), 엘릭실제(ELIXIRS), 연고제(OINTMENTS), 유동엑스제(FLUIDEXTRACTS), 유제(EMULSIONS), 현탁제(SUSPESIONS), 전제(DECOCTIONS), 침제(INFUSIONS), 점안제(OPHTHALMIC SOLUTIONS), 정제(TABLETS), 좌제(SUPPOSITIORIES), 주사제(INJECTIONS), 주정제(SPIRITS), 카타플라스마제(CATAPLSMA), 캅셀제(CAPSULES), 크림제(CREAMS), 트로키제(TROCHES), 틴크제(TINCTURES), 파스타제(PASTES), 환제(PILLS),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 및 동물 의약품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방법, 복용자(또는 복용 동물)의 연령, 성별 및 체중, 및 질환의 중증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다. 일 예로, 유효성분인 피퍼롱구민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1일 0.1 내지 100 ㎎/㎏(체중)으로 1회 이상 투여 가능하다. 다만, 상기의 투여량은 예시하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하며, 복용자의 상태와 의사의 처방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제4형태로 상기 화학식 1로 표기되는 피퍼롱구민(piperlongumin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예방용 동물 사료 첨가제 또는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동물 사료 첨가제 또는 사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피퍼롱구민은 바람직하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50 중량% 함유되는 것이 좋다. 상기 피퍼롱구민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지방간 예방효과가 미미하며, 5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량 대비 예방효과 증가가 미미하여 비경제적이다.
한편, 본 발명의 동물 사료 첨가제 또는 사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피퍼롱구민의 농도는 바람직하게 10 μM~1 mM인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의 의미는 본 발명에서 요구하는 지방간 예방 또는 치료의 효과가 본 발명의 성분인 피퍼롱구민으로부터 발생함을 의미하고, 그 외에 다른 성분을 보조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지방간 예방용 식품 조성물, 지방간 치료용 약학 조성물, 동물 의약품 및 동물 사료 첨가제 또는 사료 조성물은 지방 축적 억제 효과, 지방축적 시 발현되는 중요한 전사인자인 SREBP-1의 단백질 발현 저해 효과, 중성지방의 합성을 조절하는 FAS 단백질의 발현 저해 효과를 나타내는 피퍼롱구민(piperlongumin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기 때문에, 지방간 예방 또는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피퍼롱구민(piperlongumine), 피페린(piperine), 실리비닌(silibinin) 처리에 대한 올레인산으로 유도된 간세포의 생존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피퍼롱구민(piperlongumine), 피페린(piperine), 실리비닌(silibinin) 처리에 대한 올레인산으로 유도되는 간세포 내 지방 축적 저해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로, 레인 1은 올레인산을 처리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 레인 2는 올레인산 처리로 지방이 축적된 대조군, 레인 3은 올레인산과 피퍼롱구민 10 μM 처리군, 레인 4는 올레인산과 피퍼롱구민 20 μM 처리군, 레인 5는 올레인산과 피페린 20 μM 처리군, 레인 6은 올레인산과 피페린 40 μM 처리군, 레인 7, 8, 9는 올레인산과 밀크씨슬의 유효성분인 실리비닌 20, 40, 80 μM 처리 양성대조군이다.
도 3은 피퍼롱구민(piperlongumine), 피페린(piperine), 실리비닌(silibinin)의 SREBP-1 과 FAS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레인 1은 올레인산을 처리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 레인 2는 올레인산 처리로 지방이 축적된 대조군, 레인 3은 올레인산과 피퍼롱구민 5 μM 처리군, 레인 4는 올레인산과 피퍼롱구민 10 μM 처리군, 레인 5는 올레인산과 피퍼롱구민 20 μM 처리군, 레인 6은 올레인산과 피페린 20 μM 처리군, 레인 7은 올레인산과 피페린 40 μM 처리군, 레인 8은 올레인산과 밀크씨슬의 유효성분인 실리비닌 80 μM 처리 양성대조군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 또는 실험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 실험예 1: 피퍼롱구민(piperlongumine)이 인간 간 세포주의 생존도에 미치는 효과 측정]
본 실험예는 올레인산으로 유도되는 인간 간 세포주에 대한 피퍼롱구민(piperlongumine)의 독성 정도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때, 지방간 개선효능이 있는 피페린(piperine)과 실리비닌(silibinin)을 비교 샘플로 사용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엠티티(3-(4,5디메틸티아졸-2-일)-2,5디페닐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분석법을 실시하였다. 먼저, 인간 간세포주인 HepG2를 24-웰 플레이트에 접종한 뒤 웰(well)에 세포가 70% 정도 차도록 배양하고, 올레인산(0.25 mM)과 피퍼롱구민, 피페린 및 실리비닌을 20, 40 μM의 농도로 각각 처리하였다. 시료 처리 후 24시간 뒤에 MTT를 0.5 mg/ml의 농도가 되도록 처리하고 2시간 동안 37℃, 5% 이산화탄소 배양기 안에서 배양하였다. 그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DMSO (dimethylsulfoxide)를 200 ㎕ 처리한 뒤 면역 흡광도 분석기 (Versa Max, Moleular device, Califonia, USA)를 이용하여 570 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도는 올레인산을 처리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에 대해 백분율로 계산하였다.
MTT 분석 결과, 피퍼롱구민, 피페린 및 실리비닌의 각 처리 농도에 따른 인간 간 세포에 대한 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도 1).
[ 실험예 2: 피퍼롱구민(piperlongumine)이 인간 간 세포 내 지방 축적 억제에 미치는 효과 측정]
본 실험예에서는 올레인산으로 유도되는 인간 간 세포 내에서 피퍼롱구민의 지방 축적 억제 효과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간세포에 올레인산(0.25 mM)을 각 시료들과 동시 처리하면서 오일 레드 오 염색(Oil Red O staining) (K. Tobe et al., FEBS lett, 215(2):345-9, 1987)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때, 지방간 개선효능이 있는 피페린(piperine)과 실리비닌(silibinin)을 비교 샘플로 사용하였다.
인간 간 세포인 HepG2 세포주(ATCC, Gaithersburg, MD)를 24-웰 플레이트에 접종하고 70~80% 정도 찼을 때 16시간 정도에 세럼 스타베이션(serum starvation)을 수행하였다. 시그마 알드리치(Sigma Aldrich)에서 구입한 올레인산 나트륨(sodium oleic acid)을 소혈청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BSA)과 섞어서 만든 8 mM 올레인산/10% BSA 을 0.25 mM 올레인산 농도가 되도록 세포에 처리하였다.
올레인산(0.25 mM) 처리와 동시에 피페린, 피퍼롱구민, 지방간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진 실리비닌을 도 2에 명시된 농도에 따라 각각 처리하였다. 시료를 처리하고 24시간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간세포 내 축적된 지방구를 오일 레드 오(Oil red O)용액을 이용하여 염색하였다. 이를 위해 3~4%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를 400 ㎕ 넣고 1시간 동안 고정시킨 다음 용액을 제거하고, 60% 이소프로판올(isoporpanol)을 넣어 세척 후, 흡입(suction)하여 용액을 제거하였다.
그 후, 오일 레드 오 용액(Oil Red O solution) 400 ㎕를 넣고 호일로 싸서 최소 1시간 동안 상온에서 염색시켰다. 오일 레드 오 용액을 제거하고,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 PBS)로 4번 세척한 후 100% 이소프로판올 500 ㎕로 녹여내었다. 이후, 면역 흡광도 분석기를 이용하여 515 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피퍼롱구민은 10 μM, 20 μM 농도에서 유의적으로 지방 축적을 저해하였으나, 피페린은 20 μM, 40 μM 처리 했을 때 지방구 축적 저해 효능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피퍼롱구민의 올레인산으로 유도되는 간 세포 내 지방 축적 저해 효과는 기존에 효능이 잘 알려진 밀크씨슬의 유효성분인 실리비닌(20, 40, 80 μM) 보다도 더 크게 지방 축적을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2).
[ 실험예 3: 피퍼롱구민(piperlongumine)이 인간 간 세포 내 지방 축적 조절 인자 발현에 미치는 효과 측정]
본 실험예에서는 간세포 내 지방의 축적 시 발현되는 가장 중요한 전사인자인 SREBP-1 및 이 전사인자에 의해 조절되는 단백질인 FAS의 발현에 대해 피퍼롱구민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웨스턴 블랏팅(Western Blotting) [B.L. Upham et al., Carcinogenesis. 18:37-42, 1997]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때, 지방간 개선효능이 있는 피페린(piperine)과 실리비닌(silibinin)을 비교 샘플로 사용하였다.
인간 간 세포인 HepG2 (ATCC, Gaithersburg, MD)를 6 cm dish에 접종하고 70~80% 정도 찼을 때, 16시간 정도에 세럼 스타베이션(serum starvation)을 수행하였다. 시그마 알드리치(Sigma Aldrich)에서 구입한 올레인산 나트륨(sodium oleic acid)을 소혈청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BSA)과 섞어서 만든 8 mM 올레인산/10% BSA을 0.25 mM 올레인산 농도가 되도록 세포에 처리하였다. 올레인산(0.25 mM) 처리와 동시에 피페린, 피퍼롱구민, 지방간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진 실리비닌을 도 3에 명시된 농도에 따라 각각 처리하였다.
시료를 처리하고, 24시간 후에 배양된 세포로부터 단백질을 추출하기 위하여 차가운 인산완충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 PBS)로 두 번 세척하고, RIPA 완충액(50 mM, Tris pH 8.0, 150 mM NaCl, 1 % NP-40, 5 mM EDTA, 그리고 1 mM PMSF)에 단백질 분해효소 저해제(시그마알드리치) 0.5 %와 인산 분해효소 저해제(250 mM Sodium Fluoride, 5 mM Sodium Orthovanadate, 50 mM Sodium Pyrophosphate and 50 mM Glycerophosphate) 0.5 %를 함유하는 단백질 추출 용액으로 세포를 용해하였다.
세포 용해물을 4℃에서 12,000 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새 1.5 mL 에펜도르프 튜브(eppendorf tube)에 옮겼다. 단백질 함량은 소혈청알부민(bovine serum albumin, BSA)을 표준용액으로 한 'DC assay kit [Bio-Rad Corp., Richmond, CA, USA]'를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브로모페놀 블루를 함유하는 시료 완충액에 20~50 ㎍의 단백질을 섞고, 100℃에서 5분간 반응하여 변성을 가한 뒤, 12% SDS-폴리아크릴아미드 젤에서 분리하였다. 분리된 단백질을 젤에서 폴리비닐리덴 플루로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막으로 옮긴 뒤 차단 완충액(탈지유 5%, 세척완충액 94.8%, 그리고 sodium azide 0.2%)으로 실온에서 1시간 반응시킨 뒤 세척완충액으로 10 분간 세 차례 세척하였다. 그 후, 산타 크루즈(Santa cruz)에서 구입한 SREBP-1 항체와 셀 시그날(Cell signal)에서 구입한 FAS 그리고 시그마(Sigma)에서 구입한 GAPDH 항체를 상온에서 2시간 또는 4℃에서 밤새도록 반응시킨 뒤, 세척완충액으로 10분간 3차례 세척하였다.
양고추냉이 과산화효소(horseradish peroxidase, HRP)와 공유결합한 2차 항체(anti-rabbit IgG-HRP 또는 anti-mouse IgG, Santa cruz)를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킨 뒤 세척완충액으로 10분간 세 차례 세척하고, 화학 발광액(EZ-Western Detection Kit, Daeillab Service Co, Ltd)으로 5분간 반응시킨 뒤, 엑스레이 필름에 노출시키고, 엑스레이 필름을 인화하였다.
실험결과, 피페린과 실리비닌에 비해서, 피퍼롱구민 처리에 의해 immature SREBP-1, mature SREBP-1, FAS 의 발현 정도가 피퍼롱구민 처리에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도 3).
[실시예 1: 지방간 예방용 식품 조성물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하기와 같이 지방간 예방용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 선식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메쉬의 분말로 준비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및 들깨 각각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후 배전 및 분쇄하여 입도 60메쉬의 분말로 준비하였다. 이후, 현미 30중량%, 율무 15중량%, 보리 20중량%, 찹쌀 9중량%, 들깨 7중량%, 검정콩 8중량%, 검정깨 7중량%, 피퍼롱구민 3중량%, 영지 0.5중량% 및 지황 0.5중량%을 혼합하여 선식을 제조하였다.
(2) 츄잉껌 제조
껌 베이스 20중량%, 설탕 76.9중량%, 향료 1중량%, 물 2중량% 및 피퍼롱구민 0.1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츄잉껌을 제조하였다.
(3) 캔디 제조
설탕 60중량%, 물엿 39.8중량%, 향료 0.1중량% 및 피퍼롱구민 0.1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캔디를 제조하였다.
(4) 비스킷 제조
박력 1급 25.59중량%, 중력 1급 22.22중량%, 정백당 4.80중량%, 식염 0.73중량%, 포도당 0.78중량%, 팜쇼트닝 11.78중량%, 암모니움 1.54중량%, 중조 0.17중량%, 중아황산나트륨 0.16중량%, 쌀가루 1.45중량%, 비타민 B₁0.0001중량%, 비타민 B₂0.0001중량%, 밀크향 0.04중량%, 물 20.6998중량%, 전지분유 1.16중량%, 대용분유 0.29중량%, 제일인산칼슘 0.03중량%, 살포염 0.29중량%, 분무유 7.27중량% 및 피퍼롱구민 1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비스킷을 제조하였다.
(5) 건강음료 제조
꿀 0.26중량%, 치옥토산아미드 0.0002중량%, 니코틴산아미드 0.0004중량%,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0.0001중량%, 염산피리독신 0.0001중량%, 이노시톨 0.001중량%, 오르트산 0.002중량%, 물 98.7362중량% 및 피퍼롱구민 1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건강 음료를 제조하였다.
(6) 소시지 제조
돈육 65.18중량%, 계육 25중량%, 전분 3.5중량%, 대두단백 1.7중량%, 식염 1.62중량%, 포도당 0.5중량%, 글리세린 1.5중량% 및 피퍼롱구민 1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소시지를 제조하였다.
(7) 건강보조식품 제조
스피루리나 55중량%, 구아검효소 분해물 10중량%, 비타민 B₁염산염 0.01중량%, 비타민 B6 염산염 0.01중량%, DL-메티오닌 0.23중량%,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7중량%, 유당 22.2중량%, 옥수수전분 1.85중량% 및 피퍼롱구민 11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정제형 건강보조식품을 제조하였다.
(8) 주류 제조
피퍼롱구민 0.5중량%를 소주, 맥주, 양주 또는 과실주와 혼합하여 에멀전 상태로 만든 후, 진공상태에서 7,000 rpm으로 15분간 원심분리하거나 고속믹서기로 9,000 rpm에서 혼합하여 피퍼롱구민이 함유된 주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지방간 치료용 약제 조성물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하기와 같이 지방간 치료용 의학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 산제 제조
피퍼롱구민 2 g에 유당 1 g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 정제 제조
피퍼롱구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3) 캡슐제 제조
피퍼롱구민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을 혼합한 후,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4) 주사제 제조
피퍼롱구민 100 ㎎에 주사용 증류수 적량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pH를 약 7.5로 조절한 다음 2 ㎖ 용량의 앰플에 충진 및 멸균시하여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지방간 치료용 동물 의약품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하기와 같이 지방간 치료용 동물 의약품을 제조하였다.
(1)정제 제조
피퍼롱구민 100 ㎎에 단백질 혼합물 100 ㎎, 말분 100 ㎎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2)주사제 제조
피퍼롱구민 100 ㎎에 주사용 증류수 적량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pH를 약 7.5로 조절한 다음 2 ㎖ 용량의 앰플에 충진 및 멸균시하여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지방간 예방용 동물 사료 첨가제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피퍼롱구민과 닭기름을 1: 9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지방간 예방용 동물(개, 애완견) 사료 첨가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지방간 예방용 동물 사료 조성물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하기와 같이 지방간 예방용 동물(개, 애완견)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옥수수 25.5 kg, 소맥 15.04 kg, 소맥분 8.15 kg, 미강 7.4 kg, 대두박 18 kg, 옥구르텐 1kg, 닭부산물 14 kg, 동물성유지 9 kg, 가공염 0.3 kg, 인산제삼칼슘 0.3 kg, 석회석 1 kg, 염화콜린 0.01 kg, 비타민 0.05 kg, 미네랄 0.05 kg, 소화효소제 0.1 kg 및 피퍼롱구민을 0.1 kg을 혼합하여 지방간 예방용 동물(개, 애완견)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Claims (12)

  1. 다음의 화학식 1로 표기되는 피퍼롱구민(piperlongumin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예방용 식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퍼롱구민은,
    지방간 예방용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50 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예방용 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퍼롱구민은,
    농도가 10 μM~1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예방용 식품 조성물.
  4. 다음의 화학식 1로 표기되는 피퍼롱구민(piperlongumin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치료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3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퍼롱구민은,
    지방간 치료용 약학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50 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퍼롱구민은,
    농도가 10 μM~1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다음의 화학식 1로 표기되는 피퍼롱구민(piperlongumin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치료용 동물 의약품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4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퍼롱구민은,
    지방간 치료용 동물 의약품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50 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치료용 동물 의약품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퍼롱구민은,
    농도가 10 μM~1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치료용 약학 조성물.
  10. 다음의 화학식 1로 표기되는 피퍼롱구민(piperlongumin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예방용 동물 사료 첨가제 또는 사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5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피퍼롱구민은,
    지방간 치료용 동물 의약품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50 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예방용 동물 사료 첨가제 또는 사료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피퍼롱구민은,
    농도가 10 μM~1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방간 예방용 동물 사료 첨가제 또는 사료 조성물.


















KR1020140078323A 2014-06-25 2014-06-25 피퍼롱구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예방용 식품 조성물, 지방간 치료용 약학 조성물, 지방간 치료용 동물 의약품 및 사료 조성물 KR101629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323A KR101629642B1 (ko) 2014-06-25 2014-06-25 피퍼롱구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예방용 식품 조성물, 지방간 치료용 약학 조성물, 지방간 치료용 동물 의약품 및 사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323A KR101629642B1 (ko) 2014-06-25 2014-06-25 피퍼롱구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예방용 식품 조성물, 지방간 치료용 약학 조성물, 지방간 치료용 동물 의약품 및 사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724A true KR20160007724A (ko) 2016-01-21
KR101629642B1 KR101629642B1 (ko) 2016-06-13

Family

ID=55308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8323A KR101629642B1 (ko) 2014-06-25 2014-06-25 피퍼롱구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예방용 식품 조성물, 지방간 치료용 약학 조성물, 지방간 치료용 동물 의약품 및 사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96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9010A1 (ko) * 2018-12-27 2020-07-02 주식회사 티에스디라이프사이언스 피퍼롱구민을 함유하는 담도폐쇄증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7287A (ko) 2010-03-24 2011-09-30 동아제약주식회사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20104165A (ko) 2009-09-02 2012-09-20 매사추세츠 제네럴 호스피털 코퍼레이션 암 치료용 화합물 및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4165A (ko) 2009-09-02 2012-09-20 매사추세츠 제네럴 호스피털 코퍼레이션 암 치료용 화합물 및 조성물
KR20110107287A (ko) 2010-03-24 2011-09-30 동아제약주식회사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unil Kumar 외 2명, ‘Antioxidative role of selected herbs against ethanol induced liver injury in rats’, Journal of Applied and Natural Science 제3권 제2호, 242~246쪽, 2011년.*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9010A1 (ko) * 2018-12-27 2020-07-02 주식회사 티에스디라이프사이언스 피퍼롱구민을 함유하는 담도폐쇄증 치료 또는 예방용 의약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9642B1 (ko) 2016-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2424B2 (en) Muscle atrophy inhibitor
KR101692033B1 (ko) D-싸이코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160074338A1 (en)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besity,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besity, and animal medicine for treating obesity, containing gingernone a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101629642B1 (ko) 피퍼롱구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예방용 식품 조성물, 지방간 치료용 약학 조성물, 지방간 치료용 동물 의약품 및 사료 조성물
CN107530385A (zh) 用于促进脑源性神经营养因子产生的组合物
KR101713309B1 (ko) 잣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증강용 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
KR101660834B1 (ko) 지페노사이드 75의 항당뇨 효과
KR20110021252A (ko)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비만 예방용 식품 조성물 또는 비만 치료용 제약 조성물
JP2014159408A (ja) 過活動膀胱の予防又は改善剤
KR102159019B1 (ko) 수벌번데기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22408B1 (ko) 자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12450B1 (ko) 게니핀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용 식품 조성물, 비만 치료용 약학 조성물, 비만 치료용 동물용 의약품 및 사료 조성물
KR20170027272A (ko) D-싸이코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976030B2 (ja) 非アルコール性脂肪肝疾患の予防または改善用組成物
KR101368954B1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각성효과가 있는 조성물
KR101089314B1 (ko) 유포비아스테로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007465B1 (ko) 퀘르시트린과 스피레오시드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TWI294284B (ko)
US20230364069A1 (en) Method for treating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through co-administration of curcumin derivative and tgf-b receptor inhibitor
KR20150084488A (ko) 부지깽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7126731B1 (ja) Ampk活性化剤、運動機能向上剤、筋持久力向上剤および筋萎縮抑制剤
KR102115657B1 (ko) 제라닉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JP2016216440A (ja) カテキン類吸収促進剤
KR20110076053A (ko) 스페니쉬 오레가노 추출물 또는 여름세이보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