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019B1 - 수벌번데기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벌번데기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019B1
KR102159019B1 KR1020190072751A KR20190072751A KR102159019B1 KR 102159019 B1 KR102159019 B1 KR 102159019B1 KR 1020190072751 A KR1020190072751 A KR 1020190072751A KR 20190072751 A KR20190072751 A KR 20190072751A KR 102159019 B1 KR102159019 B1 KR 102159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venting
pupae
obesity
composition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미
우순옥
김세건
방경원
김효영
최홍민
문효정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90072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0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0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61K35/64Insects, e.g. bees, wasps or flea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iabetes (AREA)
  • Myc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벌번데기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벌번데기(Honeybee Drone Pupas)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의약외품 조성물, 수벌번데기를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벌번데기는 리파아제 활성, 지방세포 증식 억제효과, 지방조직 무게 증가 억제효과, 지방생성 관련 유전자의 발현 억제효과, 비만 억제 경로의 활성화 효과 등을 가지고 있어 비만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의약품 및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바, 지속적인 성장이 예측되는 비만 개선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벌번데기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besity comprising Honeybee Drone Pupas}
본 발명은 수벌번데기 (Honeybee Drone Pupas)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벌번데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의약외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음식물로 섭취한 에너지와 신체활동으로 소비한 에너지 간의 불균형에 의하여 과잉의 에너지가 체지방으로 축적되는 현상이다. 일반적으로 비만은 체내에 지방 조직이 과다한 상태를 의미하며, 이러한 비만 상태가 오랜 시간에 걸쳐 지속되면 당뇨병, 고지혈증, 심장병, 뇌졸증, 동맥경화증, 지방간 등의 각종 대사성질환과 성인병이 유발된다. 최근 과다한 열량 섭취와 운동 부족으로 인하여 서구 선진국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비만인구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는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 되고 있다. 또한 비만은 과잉의 에너지 공급이 지방세포 크기와 수의 증가를 유발하여 체내 지방으로 축적되는 것이 주된 발생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외에도 유전적 요인, 서구화된 식생활에 의한 환경적 요인, 심리적 요인, 에너지 대사 이상 등 다양한 원인이 작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비만에 원인이 되는 지방세포를 제어하여 비만을 억제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으나, 비만 억제 효과가 없거나 비만 억제 효과가 있는 경우라도 상당한 부작용을 일으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비만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수벌번데기(Honeybee Drone Pupas)는 예로부터 중국에서 식용으로 섭취되어 왔으며, 면역증강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Journal of Apiculture, Vol. 33, No. 1, pp. 17-23 (2018)).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혐오 식품으로 분류되어 식용화 가치가 널리 알려지지 않았으며, 아직까지 전세계적으로 이의 약리활성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알려진 바 없다. 한편 수벌은 생장 기간이 길고 유충 및 번데기기가 길어서 산물로 이용가능성이 크며, 독성면에서도 일벌과 같이 독샘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장점이 있어 수벌, 특히 이의 번데기의 약리활성을 확인하여 기능성 식품, 의약품으로 개발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비만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는 물질에 대해 연구한 결과 수벌번데기의 리파아제 활성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벌번데기(Honeybee Drone Pupa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벌번데기(Honeybee Drone Pupa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벌번데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벌번데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중증가 억제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벌번데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벌번데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중증가 억제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벌번데기는 리파아제 활성, 지방세포 증식 억제효과, 지방조직 무게 증가 억제효과, 지방생성 관련 유전자의 발현 억제효과, 비만 억제 경로의 활성화 효과 등을 가지고 있어 비만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의약품 및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바, 지속적인 성장이 예측되는 비만 개선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벌번데기(Honeybee Drone Pupa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비만은 고지방식이(High-fat Diet, HFD)로 유도된 비만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수벌번데기”는 수벌의 번데기를 의미하며 수벌 유충, 웅봉과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수벌 유충을 포함할 수 있다. 수벌은 알에서 24일 후에 태어나며 몸집이 일벌보다 크고 뚱뚱한 특징이 있다. 수벌의 애벌레는 벌방 안에서 자란 후 변태하여 번데기가 되며 이후 발육하여 어른 벌이 될 수 있다. 수벌 번데기는 웅봉 소초에서 생산될 수 있으며, 7 내지 27령의 수벌 유충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7일 내지 23일, 더욱 바람직하게는 17일 내지 23일령의 수벌 유충을 수벌 번데기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벌번데기는 서양종 꿀벌 (Apis mellifera) 또는 동양종 꿀벌 (Apis cerana)의 수벌 번데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양종 꿀벌의 수벌 번데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벌번데기는 멸균한 후 건조시킨 분말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당 분야에 알려진 공지의 방법을 통해 제한없이 건조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동결 건조 또는 열풍 건조를 통해 건조된 수벌 번데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벌번데기는 리파아제 활성, 지방세포 증식 억제, 체중 증가 억제, 지방조직 무게 증가 억제, 지방축적 억제 및 지방조직 비대 억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수벌번데기는 리파아제 활성, 지방세포 증식 억제, 체중 증가 억제, 지방조직 무게 증가 억제, 지방축적 억제 및 지방조직 비대 억제 효과를 가짐으로써 비만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의약품 및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바, 지속적인 성장이 예측되는 비만 개선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벌번데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는 고체 또는 액체의 제제용 첨가물을 사용할 수 있다. 제제용 첨가물은 유기 또는 무기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부형제로서는 예를 들면 유당, 자당, 백당, 포도당, 옥수수 전분 (corn starch), 전분, 탈크, 소르비트, 결정 셀룰로오스, 덱스트린, 카올린, 탄산칼슘, 이산화규소 등을 들 수 있다. 결합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에테르, 에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아라비아고무, 트래거캔스 (tragacanth), 젤라틴, 셀락(shellac),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구연산칼슘, 덱스트린, 펙틴 (pectin)등을 들 수 있다. 활택제로서는 예를 들면 스테아린산마그네슘, 탈크,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카, 경화식물유 등을 들 수 있다. 착색제로서는 통상 의약품에 첨가하는 것이 허가되어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정제, 과립제에는 당의(糖衣), 젤라틴코팅, 기타 필요에 따라 적절히 코팅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방부제, 항산화제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제제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적 유효량은 환자의 상처 종류, 적용부위, 처리회수, 처리시간, 제형, 환자의 상태, 보조제의 종류 등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일일 유효량을 환자에 적용시 0.00001 내지 10000 μg일 수 있다. 상기 1 일량은 1일에 1회, 또는 적당한 간격을 두고 하루에 2~3회에 나눠 투여해도 되고, 수일(數日) 간격으로 간헐(間歇)투여해도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상기 사용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환자의 중증도, 상처 종류, 적용부위, 처리회수, 처리시간, 제형, 환자의 상태, 보조제의 종류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유효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벌번데기를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개체"란 소, 개, 돼지, 닭, 양, 말,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을 의미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개체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로 비만 치료 중인 환자, 비만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환자, 비만 치료를 받을 필요가 있는 환자를 모두 포함하며, 비만 치료를 위하여 외과적 수술을 시행한 환자 또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벌번데기는 이 외 기존의 비만 치료를 위한 약물 또는 치료방법과 병용하여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벌번데기를 병용 처리하는 경우, 이는 비만 치료를 위한 다른 약물 또는 치료방법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벌번데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또는 수벌번데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중증가 억제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식품으로는 본 발명의 시알릴락토오스를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 식품으로는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 콘비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티,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츠 등), 식용식물유지, 마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본 발명의 수벌번데기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벌번데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 또는 수벌번데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중증가 억제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용어 “의약외품”은 인체에 대한 작용이 약하거나 인체에 직접 작용하지 아니한 물품일 수 있으며,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 또는 사람이나 동물의 구조와 기능에 약리학적 영향을 줄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을 제외한 물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의약외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벌번데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체중증가 억제용 식품 조성물,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 또는 체중증가 억제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이용하면 지방세포 증식 억제, 체중 증가 억제, 지방조직 무게 증가 억제, 지방축적 억제 및 지방조직 비대 억제 효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비만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의약품 및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바, 지속적인 성장이 예측되는 비만 개선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수벌번데기 시료의 준비
서양종꿀벌을 사육하는 양봉농가에서 생산한 17~23일령의 수벌번데기를 채취하여 본 발명의 수벌번데기 시료로 사용하였으며, 채취 즉시 -20℃ 냉동고에 보관하였다.
냉동된 수벌번데기는 상온에서 1시간 동안 방치하여 해동시킨 후 증류수에 세척하고 불순물을 제거한 뒤 고압멸균기에서 121℃에서 10분간 가열하여 멸균하였다. 동결건조 시료는 동결건조기(SFDSM24L, Samwon Freezing Engineering Co.)를 이용하여 -40∼-45℃에서 72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열풍건조 시료는 열풍건조기(JSR, JSOF-150, Forced Convection Oven)를 이용하여 65 ± 5℃에서 72시간 동안 건조 하였다. 수벌번데기 건조물은 망체를 사용하여 고운 가루로 만든 후에 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수벌번데기의 항비만 활성 확인
수벌번데기의 항비만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지질의 소화 및 흡수를 저해하여 위장을 통한 에너지 섭취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지질 분해 효소인 리파아제 활성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에서 준비된 수벌번데기 시료를 이용하여 리파아제 활성 어세이를 수행하였다. 리파아제 활성 어세이 키트(Lipase activity assay kit)는 abcam (Cambridge, UK)에서 구입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리파아제 활성은 abcam에서 제공하는 시험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96 well plate에 표준 시료 (standard), 양성 대조군 (positive control), 실시예 1에 따라 동결건조 또는 열풍 건조시킨 수벌번데기 시료 50μL을 첨가하고 reaction mix, control reaction mix 용액을 100μL 첨가한 후 빛으로부터 보호하면서 30분간 반응을 유도하였다. 이후 microplate reader(Spectramax M2, BioSurplus, USA)기를 이용하여 570 nm 파장에서 첫번째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37℃에서 빛을 차단한 채 60~90분간 반응시킨 후 57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리파아제 활성 분석에 이용한 계산식은 하기와 같다.
Lipase activity = B × Dilution Factor / (T2 - T1) × V
B = Amount of glycerol in the sample well (nmol)
T1 = Time of first ready (A1) (minutes)
T2 = Time of first ready (A2) (minutes)
V = Pretreated sample volume added into the reaction well (mL)
수벌 번데기의 리파아제 활성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Sample 리파아제 활성(mU/mL)
blank 검출되지 않음
열풍 건조 수벌번데기 2.14 ± 0.27
동결 건조 수벌번데기 1.06 ± 0.06
양성 대조군 2.91 ± 0.3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표준 시료에서는 리파아제 활성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열풍 건조 수벌번데기 및 동결 건조 수벌 번데기를 이용한 실험에서는 리파아제 활성이 검출되었고, 특히 열풍 건조 수벌 번데기의 경우 동결 건조 수벌 번데기 대비 약 2 배의 우수한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제제예 1. 의약품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수벌번데기 200mg
유당 100mg
탈크 10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1.2 정제의 제조
수벌번데기 100mg
옥수수전분 100mg
유당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1.3 캡슐제의 제조
수벌번데기 100mg
옥수수전분 100mg
유당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1.4 주사제의 제조
수벌번데기 10μg/ml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pH 조절제 적량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ml)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1.5 액제의 제조
수벌번데기 100mg
설탕 20g
이성화당 20g
레몬향 적량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ml로 맞추었다.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갈색병에 충전하고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식품의 제조
수벌번데기 100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기능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예, 영양캔디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3. 음료의 제조
수벌번데기 100mg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기능성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기능성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8)

  1. 수벌번데기(Honeybee Drone Pupas)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벌번데기는 리파아제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벌번데기는 서양종 꿀벌 (Apis mellifera)의 수벌번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벌번데기는 동결 또는 열풍 건조된 수벌 번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수벌번데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6. 수벌번데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중증가 억제용 식품 조성물.
  7. 수벌번데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의약외품 조성물.
  8. 수벌번데기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중증가 억제용 의약외품 조성물.
KR1020190072751A 2019-06-19 2019-06-19 수벌번데기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59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751A KR102159019B1 (ko) 2019-06-19 2019-06-19 수벌번데기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751A KR102159019B1 (ko) 2019-06-19 2019-06-19 수벌번데기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9019B1 true KR102159019B1 (ko) 2020-09-23

Family

ID=72708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751A KR102159019B1 (ko) 2019-06-19 2019-06-19 수벌번데기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90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8381A (ko) 2021-06-16 2022-12-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수벌 번데기 분말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4447A (ko) * 2009-01-16 2010-07-26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소염 효과를 가지는 벌목곤충 추출물
KR20110020057A (ko) * 2009-08-21 2011-03-0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수벌 번데기를 이용한 건강 보조 식품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건강 보조식품
KR20170047544A (ko) * 2015-10-23 2017-05-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호박벌 여왕벌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의 지방축적억제 용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4447A (ko) * 2009-01-16 2010-07-26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소염 효과를 가지는 벌목곤충 추출물
KR20110020057A (ko) * 2009-08-21 2011-03-02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수벌 번데기를 이용한 건강 보조 식품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건강 보조식품
KR20170047544A (ko) * 2015-10-23 2017-05-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호박벌 여왕벌 글라이코자미노글라이칸의 지방축적억제 용도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Apiculture, Vol. 33, No. 1, pp. 17-23 (2018) *
Journal of Apiculture, Vol. 33, No. 4, pp. 303-306 (2018)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8381A (ko) 2021-06-16 2022-12-23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수벌 번데기 분말을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기능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13943B1 (en) Prophylactic or therapeutic composition for hemoglobinuria or myoglobinuria
CN101484158A (zh) 衰老抑制剂
KR101870960B1 (ko)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097516A (ko) 고지혈증 개선제 및 빈혈 개선 조성물, 요산치 저하 조성물 및 음식품
KR20090082908A (ko) 로즈마리 추출물, 이를 함유하는 식이 및 약학 조성물, 및 이의 용도
US10729737B2 (en) Muscle-enhancing agent
JP2016008180A (ja) 筋肉持久力向上剤
KR102159019B1 (ko) 수벌번데기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265335B2 (ja) 骨密度増加剤、破骨細胞活性抑制剤及び骨リモデリング改善剤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20190066478A (ko) 람부탄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2542359B1 (ko) 면역화된 갈색거저리 유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6557893B1 (ja) 熱中症の予防、軽減及び/又は治療のための組成物
JP2022552759A (ja) エンテロコッカス・フェカーリス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肥満または肥満から誘導された代謝症候群の予防または治療用の組成物
WO2015190682A1 (ko) 쿠마린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0484328B1 (ko) 코코아 성분을 함유하는 음식물
KR101623318B1 (ko) 이질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헥산디올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629642B1 (ko) 피퍼롱구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예방용 식품 조성물, 지방간 치료용 약학 조성물, 지방간 치료용 동물 의약품 및 사료 조성물
JP4873605B2 (ja) 穀類由来の成分を有効成分とする血管新生阻害の作用を有する組成物
JP2019176828A (ja) 経口組成物
KR20130112980A (ko) 크레이스토카릭스 오페르쿠라투스 추출물 및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70357B1 (ko) 락토코커스 락티스 q1 균주를 포함하는 면역증진용 조성물
JP7156639B2 (ja) レスベラトロール誘導体の新規用途
KR20150125636A (ko) 쥐티푸스균으로 유발되는 식중독 또는 급성위장염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623319B1 (ko)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으로 유발되는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헥산디올산을 포함하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