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4447A - 소염 효과를 가지는 벌목곤충 추출물 - Google Patents

소염 효과를 가지는 벌목곤충 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4447A
KR20100084447A KR1020090007581A KR20090007581A KR20100084447A KR 20100084447 A KR20100084447 A KR 20100084447A KR 1020090007581 A KR1020090007581 A KR 1020090007581A KR 20090007581 A KR20090007581 A KR 20090007581A KR 20100084447 A KR20100084447 A KR 20100084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e
extract
bumblebee
bees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7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1155B1 (ko
Inventor
안미영
박해철
윤형주
심하식
박인균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장)
Publication of KR20100084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3Arthrop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08Vasodilators for multiple indic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rd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염 효과를 가지는 벌목곤충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벌목곤충 추출물의 관절염 등의 부종에 관한 억제 효과와 내피세포의 산화질소 생성으로 인한 혈관확장 및 이완기전의 강정 효과가 있음을 새롭게 확인함으로써 소염제, 혈관확장 및 이완용 강정제 등의 의약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는 벌목곤충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소염 효과, 벌목곤충 추출물, 산화질소 생성, 강정 효과

Description

소염 효과를 가지는 벌목곤충 추출물{Bee extract for anti-inflammation}
본 발명은 벌목곤충 추출물의 관절염 등의 부종에 관한 억제 효과와 내피세포의 산화질소 생성으로 인한 혈관 확장 및 이완기전의 강정 효과가 있음을 새롭게 확인함으로써 소염제, 혈관확장 및 이완용 강정제 등의 의약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는 벌목곤충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벌 유충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국내 특허 등록 제523237호], 벌 유충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국내 등록 특허 제576972호]은 벌 유충 포함 봉군, 벌집을 사용하였고, 그 용도가 항암 및 혈전용해이며, 예전에는 호리병벌을 열용이라는 한약재명으로 중국에서 부르고 성충을 데쳐 옹종에 사용한 기록이 있다[곤충류약물도감, 2002년, 신일출판사, 최정, 안미영, 이영보, 류강선]. 본 발명에서는 제조방법에서는 호박벌여왕벌 또는 서양뒤영벌여왕벌 마쇄 후 에탄올 초음파 침지, 증발 농축, 동결건조를 거쳤으며 대량 공급이 가능한 호박벌여왕벌, 서양뒤영벌여왕벌을 사용하여 제제화한 것이 종래의 벌 번데기 및 유충 등을 사용한 기존 특허와 다르다.
체내 염증반응은 생체자기방어의 표현으로 체내 들어온 외부 이물질, 즉, 세 균세포막껍질에 존재하는 다당류 등에 의해 물리적으로 일어나는 반응으로 세포막의 포스포리피드를 분해하여 아라키돈산으로 가수분해 시키는 포스포리파제 A2와 이 아라키돈산에 산소를 붙여 사이크로환을 지방산에서 많이 만드는 사이클로옥시제네이즈(cyclooxygenase) I, II와 이 사이클로옥시제네이즈에 의해 생성된 염증매개물질인 프로스타글라딘 E2 등이 관여하고 있다. 현재 알려진 소염제는 스테로이드성 소염제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로 나뉘어지며, 위장장애가 적은 내복제와 환부에 직접 붙여 위장 장애를 적게 하는 패치형이 대세이다. 관절염에 사용되는 소염제로 현재 케토프로펜 등 유사구조를 이루고 있으나, 염증 억제는 물론이거니와 관절연결조직의 재생 및 치유에 관여하는 새로운 치료형 관절염 치료제가 요구되어진다.
한편, 벌목곤충은 분류학적으로 잎벌아목(Symphita)과 벌아목(Apocrita)으로 구분되며 전 세계에 13만여 종이 분포하며 한국에는 46과 1900여 종이 분포한다.
알려진 생약으로 배벌과의 토봉(土蜂), 토봉자(土蜂子); 호리병벌과의 열옹; 꿀벌과의 봉밀(蜂蜜), 봉유(蜂乳), 봉랍(蜂蠟), 봉교(蜂膠), 밀봉자(蜜蜂子), 밀봉소(蜜蜂巢); 봉독(蜂毒), 죽봉(竹蜂), 류사밀(留師蜜); 말벌과의 노봉방(露蜂房), 대황봉자(大黃蜂子); 개미과의 흑마의 등이 있다. 이상의 생약에서 봉독의 성분과 약리활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밝혀진 상태이고 기타 생약의 유효성분에 대한 연구는 규명되지 않은 상태이다. 근년 봉교의 암세포 억제작용을 위주로 하여 많은 기능이 해석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곤충류약물도감, 최정, 안미영, 이영보, 류강선, 도서출판신일]. 배벌과(Scoliidae) 곤충 적문토 봉, 애호리병벌 등, 배벌과 호리병벌 성충을 약용곤충으로 사용한다는 기록은 있으나, 호박벌이나 서양뒤영벌을 약으로 사용한다는 기록은 없어 과거에는 대량 증식이 발달하지 않은 연유인지는 몰라도 야생이 아닌 순화된 벌에서 성충을 마쇄, 알콜 침지, 초음파 추출, 증발 농축하여 원하는 소염 활성 추출물을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천연 추출물을 검색 연구하던 중 벌목곤충 추출물이 만성염증모델에 발부종 크기를 억제하는 소염 효과와 혈관내피 세포에서 산화질소(NO)를 산생시켜 혈관확장 이완에 관계하므로 강정 및 소염 효과에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벌목곤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염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벌목곤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확장 및 이완용 강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벌목곤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염제 조성물 또는 혈관확장 및 이완용 강정제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벌목곤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강식품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벌목곤충 추출물이 CFA 발부종인 만성염증에 대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어 벌목곤충 추출물의 새로운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벌목곤충 추출물은 혈관내피 세포에서 산화질소(NO)를 산생시켜 혈관확장 이완에 관계하며 강정 및 소염효과에 관계함을 증명하였다. 따라서, 직접 관계가 되는 물질로 순수 분리 하여 순환기 개선 의약품 소재로 이용 가능하다고 본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벌목곤충 추출물의 관절염 등의 부종에 관한 억제 효과와 내피세포의 산화질소 생성으로 인한 혈관확장 및 이완기전의 강정 효과가 있음을 새롭게 확인함으로써 소염제, 혈관확장 및 이완용 강정제 등의 의약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는 벌목곤충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벌목곤충은 재래꿀벌(동양종), 양봉꿀벌(서양종), 호박벌, 어리별쌍살벌, 말벌, 왕벌, 미동정된 벌 등이며, 분류학(한국곤충명집, 한국곤충학회, 1994년)상으로는 배벌과, 대모벌과, 호리병벌과, 말벌과, 꿀벌상과(꿀벌과, 꿀벌아과의 어리호박벌족, 뒤영벌족, 꿀벌족 포함) 등에 속하는 모든 벌을 포함하며, 유충, 번데기, 성충, 봉군 껍질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추출물은 벌목곤충을 마쇄 후 탄소수 1 ~ 4개의 저급 알코올로 추출로 초음파 처리 후 동결 건조하여 얻은 추출물을 의미한다.
벌목곤충 추출물은 고농축아미노산과 염증유발을 일으키는 세포막리포사카라이드를 분해시키는 효소활성물질을 많이 함유하여 각 알콜 추출물을 랫트에 발 부종을 유발시킨 후 일정기간 투여 시 발 부종 크기를 억제하는 소염 효과를 일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해당 5번 요추 DGR(dorsal root ganglias)와 척수(spinal cord)에 붙은 뼈 관절조직을 조직 H&E 염색하여 관찰한 결과, 관절 연골조직(articular cartilage)의 손상방지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기전으로는 분비형 포스포리파제 효소가 일부 관여하고, 혈관내피세포에서 산화질소(NO)를 산생시켜 혈관확장 이완에 관계하며 강정 및 소염 효과에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벌목곤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의약적 조성물이나 건강보조식품 등으로 이용 가능하며 공지된 형태의 기술로 제제화 또는 식품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칸다리딘을 주성분으로 하며 우론산을 함유하는 호박벌여왕벌, 서양뒤영벌 여왕벌, 호박벌 봉군껍질 및 삽포로뒤영벌 중에서 선택된 알콜 추출물 2종 이상 혼합하여 함유하는 복합제제를 포함한다. 상기 추출물은 산성당[특히 우론산(uronic acid)을 가지는 당] 5% 이상 함유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비독성이고 불활성인 제약상 적합한 부형제는 고상, 준고상 또는 액상희석제, 충전제 및 모든 유형의 제형보조물이다. 바람직한 제형으로는 정제, 피복 정제, 캡슐제, 환제, 과립제, 좌약, 액제, 현탁액제 및 에멀전제, 페이스트제(pastes), 연고제, 겔제, 크림제, 로션제, 산제 및 분무제 등이 포함된다.
정제, 피복 정제, 캡슐제, 환제 및 과립제는 통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a) 충진제 및 중량제(예: 전분, 락토스, 슈크로스, 글루코오스, 만니톨과 규산) (b) 결합제(예: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알긴산염, 젤라틴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c) 흡습제(예: 글리세롤), (d) 붕해제(예: 한천, 탄산칼슘 및 탄산나트륨), (e) 용해지연제(예: 파라핀) (f) 흡수촉진제(예: 4급 암모늄 화합물), (g) 습윤제(예: 세틸알코올 및 글리세롤모노스테아레이트), (h) 흡착제(예:고령토 및 벤토나이트), 및, (i) 윤활제(예: 활석, 스테아르산 칼슘,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마그네슘 스타레이트 탈크 및 고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상기(a) 내지 (i)에서 기재한 물질의 혼합물 이외에 유효 화합물 또는 화합물들을 함유할 수 있다. 정제, 캡슐제, 환제 및 과립제는 피막을 입힐 수 있으며, 장관 특정 부위에 유효화합물만 방출시키도록 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폴리머 또는 붕해제 조성물을 사용 서방형으로 제제화할 수도 있다고 미세캡슐화할 수도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주사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 좌제 등이 포함된다. 좌제는 유제화합물 이외에 통상의 수용성 또는 수불용성 부형제,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 카카오지방 등의 지방, 고급에스테르(예: C16-지방산을 갖는 C14-알코올),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61, 라우린지 및 글리세롤젤라틴 물질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연고제, 페이스트제, 크림제 및 겔제는 유효화합물 이외 통상의 부형제, 락 토오스, 활석, 규산, 수산화알루미늄, 규산칼슘 및 폴리아미드 분제, 또는 이들 물질들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분무제로는 통상의 포사제, 예를 들면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을 더 함유할 수 있으며, PEG-4000과 글리세린을 함유하는 비강분무제로도 제제화할 수 있다.
액제 및 에멀젼제는 유효 화합물 이외에 통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용매, 가용화제 및 유화제, 예를 들면, 물, 에틸알콜, 이소프로필알코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벤질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디메틸포름아미드 오일, 특히 면실유, 낙화생유, 옥수수 배종유, 올리브유, 피마자유 및 참깨유, 글리세롤, 글리세롤 포름알코올, 테트라히드로푸로푸릴 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또는 이들 물질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액제 및 에멀젼제는 혈액과 등장성인 멸균형태로 제제할 수 있다.
현탁제는 유효 화합물 이외에 통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액상희석제(예: 물, 에틸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현탁제(예: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및 소르비탄 에스테르),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한천 및 트라가칸트,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또는 이들 물질의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제형들은 또한 발색제, 방부제 및 냄새나 맛을 개선시키는 첨가제, 예를 들면 박하유 및 유칼리유 및 감미제(예: 사카린)를 함유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한 화합물 이외에 다른 제약 상의 유효한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은 공지된 방법, 예를 들면 유효 화합물을 부형제와 혼합하는 통상의 방식으로 제조된다. 치료학적 유효 화합물은 상기 제약제형에 있어서 전체혼합물의 약 0.1 내지 99.5 중량 %,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95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어야 한다.
더 나아가 당 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을 함유한 벌목곤충 추출물의 유효투입량은 환자의 나이, 신체적 조건, 몸무게 등에 의해 다양화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10 내지 50 ㎎/㎏(몸무게)/1일 범위 내에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1일 유효투입량 범위 내에서 하루에 한번 또는 하루에 여러 번 나누어 투입할 수 있다.
또한, 건강식품이란, 상기 유효성분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과자류 등의 식품소재에 첨가하거나, 캅셀화, 분말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하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어 식품 또는 치료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벌목곤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데, 그 외에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첨가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과 기타 첨가제의 혼합량은 사용 목적(예방 또는 치료)에 따라 통상적인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벌목곤충 추출물은 전체 식품 조성물의 0.01 ∼ 10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장기간 섭취하는 경우의 함량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및 부작용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되는 식품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는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에는 포도당, 과당 등의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 등의 폴리사카라이드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 포함된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의 천연 감미제, 또는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의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0.02 ~ 0.03 g이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상기 성분 이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 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가. 호박벌(B. ignitus) 유충 호박벌번데기, 호박벌봉군껍질, 삽포로 뒤영벌 봉군, 서양뒤영벌 여왕벌, 호박벌여왕벌을 마쇄 후 유기용매(80% 에틸알콜)로 초음파(30 ±10 kHz) 30분 초음파 발생기에 담겨 초음파조작 30분, 3번 30분 간격 쉬었다 실시하고 1일밤 침지한 다음, 다시 초음파 1회 조작하고, 진공회전농축(Buchi Rotavapor evapor R, Flawil, Switzerland) 후, 동결 건조하여 시료로 사용하였다.
벌목곤충 시료 알콜 추출물 제조 후 동결 건조 시 수율, 당, 단백질, 무기질 함량
시료(추출물) 1 2 3 4 5 6
호박벌유충 호박벌번데기 호박벌봉군껍질 삽포로뒤영벌봉군 서양뒤영벌여왕벌 호박벌여왕벌
수율(%) 6.4 4.5 3.8 17.6 2.4 7.5
지방(%) 23.74 30.32 14.19 4.05 4.80 14.19
단백질(%) 40.35 39.78 12.61 10.78 17.23 35.13
중성당(%) 3.4 8.6 6.8 10.0 11.7 4.2
산성당/당(%) 44.3 56.8 56.7 54.0 63.8 40.6
회분(%) 4.99 7.25 2.37 2.45 5.63 7.05
Ca (%) 0.08 0.07 0.02 0.03 0.03 0.05
P 0.96 1.44 0.42 0.42 1.37 1.65
K 1.74 2.45 0.65 0.65 1.60 2.15
Na 0.09 0.07 0.1 0.1 0.16 0.24
Mg 0.07 0.13 0.05 0.05 0.03 0.04
Fe (ppm) 89.02 88.85 31.40 31.40 88.88 171.17
Mn 9.74 1.86 2.19 2.19 2.98 8.87
Zn 58.97 49.55 33.20 33.20 51.34 53.31
Cu 12.10 14.16 9.35 9.35 12.30 28.07
산성당은 여기서는 우론산을 포함하는 글루쿠론산(glucuronic acid)과 갈락투론산(galacturonic acid) 및 그 유도체(즉, N-acetyl glucuronic acid, N-acetyl galcturonic acid 등)를 지칭한다. 또한, 상기 당 내 우론산이 5% 이상(5~64%) 함유되어 있다.
단백질, 지방, 회분은 A.O.A.C.방법[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al analysis chemists, Washington, D. C.]에 따랐다.
벌목곤충 알콜 추출물의 아미노산 함량(%)
시료
(추출물)
1 2 3 4 5 6
아미노산함량(%) 호박벌유충 호박벌번데기 호박벌봉군껍질 삽포로뒤영벌봉군 서양뒤영벌여왕벌 호박벌여왕벌
Cys 0.250 0.242 0.094 0.063 0.094 0.120
Met 0.670 0.635 0.032 0.098 0.232 0.427
Asp 2.583 2.228 0.273 0.339 0.329 1.523
Thr 1.310 1.177 0.123 0.207 0.230 0.868
Ser 1.424 1.272 0.155 0.226 0.247 0.761
Glu 6.032 5.147 0.478 0.960 1.469 3.479
Gly 1.970 1.684 0.261 0.378 0.451 1.335
Ala 2.169 2.125 0.195 0.387 0.704 1.456
Val 1.871 1.498 0.189 0.360 0.316 1.045
Ile 1.474 1.290 0.114 0.221 0.250 0.935
Leu 2.613 2.201 0.198 0.383 0.414 1.690
Tyr 1.663 2.319 0.055 0.211 0.064 0.359
Phe 1.165 1.198 0.069 0.177 0.137 0.616
Lys 1.704 1.890 0.103 0.213 0.380 1.505
His 0.850 0.747 0.052 0.143 0.161 0.317
Arg 1.326 1.366 0.058 0.141 0.408 0.726
Pro 2.805 2.867 0.629 0.900 0.562 1.422
호박벌유충, 호박벌번데기, 서양뒤영벌여왕벌, 호박벌여왕벌 각각의 알콜 추출물에 글루타민산 아미노산이 호박벌봉군껍질, 삽포로뒤영벌봉군 보다 많이 함유됨을 알 수 있다.
분석조건은 자외선검출기(275 nm), 컬럼은 Luna C18(2) column, 5μ, 250 x 4.6 mm인 역상컬럼을 사용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다. 용매는 메탄올과 물의 gradient로 24.6.분대가 칸타리딘(cantharidin)을 알 수 있었다
나. 랫트에 1회 투여 시 독성여부 및 투여 용량 조사
단회투여독성시험(호박벌 유충 추출물, 호박벌 번데기 추출물, 호박벌 유충동결건조 가루 각각에 대하여)
- 시험동물 : 6주령 랫드(SD계) 군당 5마리, 총 암수 각각 25마리
- 시험군 : 4단계 시험군과 대조군, 시료투여 : 경구 강제 투여
- 주요 조사결과 : 일반증상(특이 증상 없음), 사망률(호박벌 유충 동결건조가루 상중등량군 1마리), 체중변화(증가), 혈액학적검사, 혈액생화학적 검사, 육안적 부검 소견
호박벌을 유충, 번데기로 구분하고 서양뒤영벌영왕벌, 호박벌여왕벌 등의 알콜 추출물을 제조하고 호박벌 유충 및 번데기 알콜 추출물은 단회 투여 독성에서 사망 및 특이한 임상증상 및 혈액혈청학적 유의성을 관찰할 수 없어 제제 면에서 안전하였다.
호박벌 유충 알콜 추출물/호박벌 번데기 알콜 추출물에 대한 단회 투여 후 2주간 생존율 비교
성별 투여량
(g/㎏)
치료 후 일수 사망율
0 1 4 7 12 14
Female 0 5/5 5/5 5/5 5/5 5/5 5/5 0/5
0.04 5/5 5/5 5/5 5/5 5/5 5/5 0/5
0.2 5/5 5/5 5/5 5/5 5/5 5/5 0/5
1 5/5 5/5 5/5 5/5 5/5 5/5 0/5
5 5/5 5/5 5/5 5/5 5/5 5/5 0/5
Male 0 5/5 5/5 5/5 5/5 5/5 5/5 0/5
0.04 5/5 5/5 5/5 5/5 5/5 5/5 0/5
0.2 5/5 5/5 5/5 5/5 5/5 5/5 0/5
1 5/5 5/5 5/5 5/5 5/5 5/5 0/5
5 5/5 5/5 5/5 5/5 5/5 5/5 0/5
호박벌 유충 동결건조 가루에 대한 단회 투여 후 2주간 생존율 비교
성별 투여량
(g/㎏)
치료 후 일수 사망율
0 1 4 7 12 14
Female 0 5/5 5/5 5/5 5/5 5/5 5/5 0/5
0.04 5/5 5/5 5/5 5/5 5/5 5/5 0/5
0.2 5/5 5/5 5/5 5/5 5/5 5/5 0/5
1 5/5 5/5 4/5 4/5 4/5 4/5 1/5
5 5/5 5/5 5/5 5/5 5/5 5/5 0/5
Male 0 5/5 5/5 5/5 5/5 5/5 5/5 0/5
0.04 5/5 5/5 5/5 5/5 5/5 5/5 0/5
0.2 5/5 5/5 5/5 5/5 5/5 5/5 0/5
1 5/5 5/5 5/5 5/5 5/5 5/5 0/5
5 5/5 5/5 5/5 5/5 5/5 5/5 0/5
호박벌 유충 알콜 추출물 단회 투여 2주 후 혈청생화학적/혈액학적 변화
Group/Dose g/kg Protein Bilirubin ALP SGOT SGPT CPK LDH Na K Creatinine BUN Uric acid T. Chol HDL Chol Triglyceride Glucose Ca
0 6.93 0.20 253.33 350.00 78.00 2362.33 3855.33 139.67 19.07 0.60 24.07 5.53 92.67 26.00 154.33 202.33 11.23
0.04 6.43 0.17 199.33 170.33 73.33 761.67 3223.67 137.33 21.53 0.60 23.03 5.53 77.33 21.67 104.67 203.33 10.57
0.2 6.45 0.10 209.50 110.50 45.50 490.50 1917.50 139.00 18.75 0.50 23.30 5.35 79.50 24.00 83.00 167.00 10.75
1 6.12 0.10 207.60 214.40 64.60 7196.20 3248.40 139.00 17.20 0.52 19.70 4.52 74.20 22.40 74.40 199.80 9.94
5 6.93 0.13 346.67 180.33 57.33 838.67 2243.67 136.00 21.77 0.67 21.80 10.40 85.67 24.33 200.00 401.67 12.83
0 6.50 0.10 352.00 136.50 61.00 775.50 2158.00 140.00 22.05 0.70 19.70 8.85 65.00 22.00 181.00 325.50 11.90
0.04 6.93 0.10 440.67 112.00 53.33 434.00 1514.33 145.00 15.27 0.60 27.33 6.97 87.67 27.00 148.33 309.67 11.90
0.2 6.65 0.10 484.50 147.50 59.25 588.75 2171.00 146.50 14.43 0.68 24.23 7.48 74.75 23.25 147.75 303.75 12.18
1 6.33 0.10 384.00 138.25 64.25 1605.75 1735.25 149.50 8.85 0.65 22.93 5.68 78.25 21.00 109.00 262.00 11.70
5 6.66 0.10 406.40 94.40 49.80 334.40 1116.60 150.00 7.82 0.64 25.40 8.84 80.80 26.60 155.20 351.40 12.76
호박벌 동결건조 가루 단회 투여 2주 후 혈액학적 변화
Group RBC WBC HCT Hb MCV MCH MCHC Platelet
0 7.53 4.35 47.40 14.90 62.90 19.80 31.50 1088.00
0.04 7.36 6.68 45.78 14.73 62.25 20.03 32.15 1151.75
0.2 7.20 5.61 45.57 14.67 63.17 20.37 32.23 1017.33
1 6.61 10.07 42.10 13.50 63.60 20.40 32.00 1019.00
5 7.74 10.11 49.87 15.57 64.40 20.13 31.27 1002.00
0 8.12 10.73 51.40 15.90 63.35 19.60 31.00 1123.50
0.04 6.80 10.23 44.80 13.70 65.90 20.20 30.60 1199.00
0.2 8.01 11.99 52.80 16.25 65.90 20.30 30.75 1267.00
1 8.21 13.06 53.50 16.37 65.13 19.93 30.60 1087.00
5 7.14 8.52 44.25 14.33 62.05 20.10 32.40 1042.25
호박벌 번데기 알콜 추출물을 단회 투여 2주 후 혈청생화학/혈액학적 변화
Group RBC WBC HCT Hb MCV MCH MCHC Platelet
0 7.14 8.52 44.25 14.33 62.05 20.10 32.40 1042.25
0.04 7.46 7.78 46.80 14.90 62.95 20.05 31.83 713.25
0.2 7.65 6.24 47.93 15.27 62.60 19.90 31.80 978.67
1 7.20 7.27 44.93 14.33 62.48 19.90 31.88 872.00
5 7.32 6.54 46.28 14.64 63.20 20.02 31.66 965.20
0 8.05 8.40 52.37 16.03 65.10 20.00 30.70 978.00
0.04 7.77 10.54 50.45 15.68 64.95 20.15 31.03 1120.50
0.2 7.49 12.85 48.70 15.10 65.05 20.20 31.05 1147.00
1 8.34 12.82 54.43 16.58 65.28 19.88 30.45 1319.00
5 8.28 11.47 53.20 16.23 64.28 19.58 30.43 1231.25
Figure 112009006103193-PAT00001
상기 표 8은 호박벌 번데기 추출물을 암컷 랫트에 경구 단회 투여하고 2주 후 생화학적 혈청 값을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09006103193-PAT00002
상기 표 9는 호박벌 번데기 추출물을 수컷 랫트에 경구 단회 투여하고 2주 후 생화학적 혈청 값을 나타낸다.
수컷 랫트에 있어서 혈청 주의 칼슘 수치는 호박벌 번데기 알콜 추출물의 경구 투여 농도가 0.2g/kg, 1g/kg, 2g/kg으로 증가함에 따라 10.9에서 11.9, 12.3으로 비례적으로 증가되는 상관성을 나타내어 강정 효과(발기 유도)의 기전의 일부로 사료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보는 것 같이, 호박벌 유충 또는 번데기 알콜 추출물이 유충 동결건조 가루 보다 생체투여 면에서 안전하다고 할 수 있다.
다. 기능성 동물실험(in vivo, ip): Ajuvant 투여 유발 쥐에 대한 염증억제 효과
1) 실험동물 및 사육조건
샘타코로부터 공급받은 6주령, 204.6 ± 2.1g의 SDrat 수컷을 온도 23± 2℃, 습도 55 ± 10%, 12시간 조명주기의 조건하에서 사육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물과 사료는 자유로이 섭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1주일 적응 후에 군당 7마리씩 체중을 비슷하게 군을 나누어 실험을 하였다.
2) 검액의 제조 및 시료 투여
음성 대조군으로는 생리식염수를 복강에 주사기로 투여하였고 실험적 만성염증모델을 위해 실험동물 랫트쥐 발바닥 부종을 CFA(complete Freund's adjuvant, Sigma사) 100 ㎕를 흰쥐 발바닥의 표피 내로 주사하여 염증을 유발하였다. 약물처리군은 모두 CFA 주사 30분 전에 복강 투여하였다. 시료는 에탄올로 초음파추출 농축 후 건조하여 나오는 상기 알콜 추출물은 10 mg/kg의 비율로 생리 식염수에 녹여 투여 시료로 사용하여 8일간 반복 연속 투여하였다. 양성대조물질로 인도메타신(indomethacin)은 1 mg/kg으로 100mM 탄산나트륨에 녹인 후 생리식염수에 희석하여 투여하였다.
3) 발바닥 부종측정방법
발바닥 부종의 측정은 왼쪽 뒷발에 CFA로 염증을 유도한 후 시간별로 대조군, 염증군과 약물군으로 나누어 발바닥 가로 크기를 digmatic caliper(Mitutoyo Corporation, Japan) 재어서 비교하였다. 측정시간은 CFA 염증유발 당일 1시간, 3시간, 5시간, 그 다음날인 2일, 3일, 4일, 7일, 8일, 9일, 10일, 11일, 14일로 하여 CFA 투여 전에 측정값을 대조군으로 삼아 부종의 변화를 그래프로 표시하였다.
4) 병리조직학적 관찰
14일째 관련 염증 유발쪽 발신경이 연결된 5번 요추 DRG와 척수(spinal cord), 5번 요추와 연결된 염증발쪽 뼈와 반대 발쪽뼈를 실험군마다 적출 중성포르말린에 고정 후 H&E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병리조직을 관찰하였다.
벌목곤충 추출물(10 mg/kg) 투여로 척추신경절(dorsal root ganglias; DRG) 치료된 병리조직 결과
그룹 병리조직 결과
1 Con - Normal
2 CFA Induced injury without treatment incomplete with residual damaged area
3 BIL Induced injury with treatment Repair, incomplete with residual damaged area
4 BIP Induced injury with treatment Repair, incomplete with residual damaged area
5 BIQ Induced injury with treatment Repair
6 BTQ Induced injury with treatment Repair, incomplete with residual damaged area
7 IND Induced injury with treatment Repair, incomplete with residual damaged area
8 BHSPL Induced injury with treatment Repair, incomplete with residual damaged area
9 BIC Induced injury with treatment Repair, incomplete with residual damaged area
벌목곤충 추출물 투여로 척추신경절 및 척수 치료된 병리조직 결과
그룹 병리조직 결과
1군 - Normal
2군 CFA Control Induced injury without treatment Repair, incomplete with residual damaged area
Treat Opposite site without treatment Partial destruction of articular cartilage
3군 BIL Treat Induced injury with treatment Repair
Control Opposite site without treatment Partial destruction of articular cartilage
4군 BIP Treat Induced injury with treatment Repair, incomplete with residual damaged area
Control Opposite site without treatment Mildly damaged articular cartilage, focal
5군 BIQ Treat Induced injury with treatment Repair, incomplete with residual damaged area
Control Opposite site without treatment Mildly damaged articular cartilage, focal
6군 BTQ Treat Induced injury with treatment Repair
Control Opposite site without treatment No significant alteration
7군 IND Treat Induced injury with treatment Repair
Control Opposite site without treatment Destruction of articular cartilage
8군 BHSPL Treat Induced injury with treatment Repair, incomplete with residual damaged area
Control Opposite site without treatment Partial destruction of articular cartilage
9군 BIC Treat Induced injury with treatment Repair
Control Opposite site without treatment Partial destruction of articular cartilage
* 시료(10 mg/kg), treat: 염증 유발 후 시료처리한 발 연결된 5번 요추뼈, control: 염증유발안한 반대편 발 연결된 5번 요추뼈
본 발명은 호박벌여왕벌,>호박벌 봉군껍질>서양뒤영벌>호박벌 유충 알콜 추출물 순으로 척추신경절의 관절면의(hyaline articular cartilage) 회복 효과를 보이면서 CFA 발부종인 만성염증에 대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랫트에 만성염증모델을 만들기 위하여 페렴균 세포막껍질로 만들어진 액체 보체(adjuvant)로 발부종을 유발시킨 후 호박벌 봉군껍질, 호박벌 여왕벌 및 서양뒤영벌 여왕벌 추출물 8일간 투여 14일 관찰시 발부종 크기를 억제하는 소염 효과를 일별 관찰할 수 있었다[도 2]. 해당 5번 요추 DGR(dorsal root ganglias)와 척수에 붙은 뼈 관절조직을 14일째날 수거하여 조직 H&E 염색하여 관찰한 결과 관절연골조직(articular cartilage)의 손상방지 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도 3]. 척수는 CFA만 투여군에서도 추출물 투여군에서도 기전으로는 분비형 포스포리파제 효소가 일부 관여하고, 호박벌 번데기 추출물은 혈관내피세포에서 산화질소(NO)를 산생시켜 혈관확장 이완에 관계하며 강정 및 소염 효과에 관련성이 확인되었다.
시험예 2 : NO 생성량, 분비형 포스포리파제 A 2 (s-PLA2) 활성조사
벌목곤충 추출물에 대해 NO 생성량을 소혈관 내피세포(CPAE cell line)를 배양하여 100 ㎕를 96 웰(well)에 넣고 각 분획 건조물을 10 배수로 희석(200 mg/mL, 20 ㎕)하여 24시간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한 후에 총 질산양을 색으로 정량하는 Nims 등의 방법에 의해 NO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HUVEX cell을 실험하여 같은 방법으로 NO 생성량을 측정하여 CPAE cell과 비슷한 양상 벌 추출물의 NO 생성증강을 확인하였다. 그 data는 중복되어 기재를 생략하였다.
NO 생성량 조사는 일반적인 NO 측정 발색법인 Nims 등[Nims, et al. Methods 7, 48-54. 1995]의 방법에 따라서 그리스(Griess) 시약을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또한, s-PLA2 활성은 Cayman kit를 사용하여 Reynolds 등의 방법[Reynolds et al. Anal. Biochem. 204, 190-197, 1992]에 따라 조사하였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피세포에서 서양뒤영벌여왕벌, 호박벌 봉군껍질, 호박벌 유충, 호박벌여왕벌에서 NO 생성량이 가장 높았다. 또한, 내피세포에서 세포 생존율을 MTT 분석으로 조사한 결과 심각한 세포독성이 없었다.
또한, s-PLA2 조사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으며, 분비형 포스포리파제 A2를 일반적으로 양성대조군인 벌독을 다른 실험에서 처치하였을 때 분비형 포스포리파제가 상승하는 경향이 있는데 본 실험에서는 호박벌여왕벌, 호박벌 번데기 알콜 추출물에서 염증반응의 분비효소인 포스포리파제의 관여를 보여준다.
제제예 1: 정제의 제조
유효성분으로 호박벌여왕벌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이의 혼합물 15 mg이 함유된 정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다.
호박벌여왕벌 추출물 250 g을 락토오스 175.9 g, 감자전분 180 g 및 콜로이드성 규산 32 g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해서 14 메쉬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시키고 여기에 감자전분 160 g, 활석 50 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 g을 첨가해서 얻은 혼합물을 정제로 만들었다.
제제예 2: 캅셀제의 제조
유효성분(호박벌여왕벌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이의 혼합물) 500 ㎎을 경질 젤라틴 캅셀에 충전하여 캅셀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 음료 제조
유효성분(호박벌여왕벌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또는 이의 혼합물) 500 ㎎을 적당량의 물에 용해시킨 후에 보조성분으로서 비타민 C, 교미제로서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올리고당을 적당량 가하고, 보존제로서 적당량의 나트륨벤조에이트를 가한 후에 물을 가하여 전량을 100 ㎖로 만들어 음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타우린이나 마이오 이노시톨, 엽산, 판토텐산 등을 단독으로 혹은 함께 첨가할 수 있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호박벌여왕벌 추출물(biq), 서양뒤영벌여왕벌 추출물(btq), 호박벌 봉군껍질 추출물(bic)의 칸다리딘 성분 RP-HPLC 프로파일이다.
도 2는 흰 쥐에 있어서 CFA로 유발된 발 부종에 대한 뒤영벌류 여왕벌 추출물에 대한 소염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signicantly greater than control or CFA paw volume at each time point(P>0.01), CON: 생리식염수 투여군, CFA: 만성염증모델로 발부종유발군, BIL: 호박벌 유충 알콜 추출물 투여군, BIP: 호박벌 번데기 알콜 추출물 투여군, BIQ: 호박벌여왕벌 알콜 추출물 투여군, BTQ: 서양뒤영벌 알콜 추출물 투여군, IND: 인도메타신(indomethacin) 투여군; BHSPL: 삽포르뒤영벌 봉군 통채 알콜 추출물 투여군, BIC: 호박벌 봉군껍질 알콜 추출물 투여군].
도 3은 벌목곤충 추출물 처치한 DRG의 병리조직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혈관내피 세포에 벌목곤충 추출물 처리(200 mg/ml, 20 ㎕) 시 산화질소 생성 증가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다양한 벌목곤충 추출물(200 mg/ml)의 분비형 포스포리파제 A2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Claims (7)

  1. 벌목곤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염제 조성물.
  2. 벌목곤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확장 및 이완용 강정제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탄소수 1 ~ 4개의 저급 알코올로 추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벌목곤충은 재래꿀벌(동양종), 양봉꿀벌(서양종), 호박벌, 어리별쌍살벌, 말벌, 왕벌, 미동정된 벌, 배벌과, 대모벌과, 호리병벌과, 말벌과 및 꿀벌상과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벌목곤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질소 생 성용 건강식품.
  6. 칸다리딘을 주성분으로 하며 우론산을 함유하는 호박벌여왕벌, 서양뒤영벌 여왕벌, 호박벌 봉군껍질 및 삽포로뒤영벌 중에서 선택된 알콜 추출물 2종 이상 혼합하여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제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에는 당 우론산 5% 이상 함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제제.
KR1020090007581A 2009-01-16 2009-01-30 소염 효과를 가지는 벌목곤충 추출물 KR1010711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856 2009-01-16
KR20090003856 2009-0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447A true KR20100084447A (ko) 2010-07-26
KR101071155B1 KR101071155B1 (ko) 2011-10-10

Family

ID=42643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7581A KR101071155B1 (ko) 2009-01-16 2009-01-30 소염 효과를 가지는 벌목곤충 추출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115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520B1 (ko) * 2013-03-21 2014-06-11 대한민국 뒤영벌 류의 알코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101491765B1 (ko) * 2013-11-19 2015-02-16 대한민국 뒤영벌 류의 알코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에 의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073932A (ko) * 2015-06-18 2015-07-0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뒤영벌 유충 유래 동맥경화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200048055A (ko) * 2018-10-29 2020-05-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서양종꿀벌의 수번데기를 함유하는 항혈전용 조성물
KR102159019B1 (ko) * 2019-06-19 2020-09-23 대한민국 수벌번데기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73251A (ko) 2019-12-10 2021-06-1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20220138241A (ko) * 2021-04-05 2022-10-12 한국원자력연구원 서양뒤영벌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891A (zh) 1995-06-01 1996-12-04 孙丰年 一种含生物碘的蛋糕生产方法
KR100576972B1 (ko) 2002-10-02 2006-05-10 대한민국 벌 유충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0523237B1 (ko) 2005-05-26 2005-10-24 대한민국 벌 유충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520B1 (ko) * 2013-03-21 2014-06-11 대한민국 뒤영벌 류의 알코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101491765B1 (ko) * 2013-11-19 2015-02-16 대한민국 뒤영벌 류의 알코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에 의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073932A (ko) * 2015-06-18 2015-07-0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뒤영벌 유충 유래 동맥경화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200048055A (ko) * 2018-10-29 2020-05-0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서양종꿀벌의 수번데기를 함유하는 항혈전용 조성물
KR102159019B1 (ko) * 2019-06-19 2020-09-23 대한민국 수벌번데기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73251A (ko) 2019-12-10 2021-06-18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20220138241A (ko) * 2021-04-05 2022-10-12 한국원자력연구원 서양뒤영벌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1155B1 (ko) 2011-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1155B1 (ko) 소염 효과를 가지는 벌목곤충 추출물
KR101898688B1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위축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EP2240193B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s of lindera obtusiloba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s
KR20060025990A (ko) 복합 생약 추출물(배당환)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JP2011525527A (ja) 軟骨再生、痛症の抑制及び浮腫抑制用生薬組成物
KR101807080B1 (ko) 갯지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용 조성물
KR101248378B1 (ko) 관절염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KR101332824B1 (ko) 민대극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30124724A (ko) 씀바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조성물
Oladele et al. Evaluation of anti-inflammatory and membrane stabilizing effects of aqueous root extract of Boerhavia diffusa Linn. in rats
KR20120089045A (ko) 새콩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040080640A (ko) 항통풍활성을 갖는 개다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20140026737A (ko) 발효울금 분말을 함유한 알코올성 간손상 보호용 조성물
KR101168595B1 (ko) 마치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 및 당뇨 합병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60386B1 (ko) Acp 혼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70002445A (ko) Hgd­sj­201 생약 복합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655708B1 (ko) 골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135177A (ko) 승마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승마에서 유래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03752B1 (ko) 홍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073797A (ko) 지실, 금은화 및 백지 혼합물로부터의 생약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류마티스성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2453757B1 (ko) 황새냉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20093534A (ko) 비파엽추출물 함유 류마티스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2127726B1 (ko) 복합 한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행 개선용 제제
KR20050097013A (ko) 염증 및 통증에 효과가 있는 계지 추출물과 이를 함유하는약학적제제
KR102288071B1 (ko) 히어리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