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1252A -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비만 예방용 식품 조성물 또는 비만 치료용 제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비만 예방용 식품 조성물 또는 비만 치료용 제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1252A
KR20110021252A KR1020090078930A KR20090078930A KR20110021252A KR 20110021252 A KR20110021252 A KR 20110021252A KR 1020090078930 A KR1020090078930 A KR 1020090078930A KR 20090078930 A KR20090078930 A KR 20090078930A KR 20110021252 A KR20110021252 A KR 20110021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ffeic acid
obesity
phenethyl ester
acid phenethyl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8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8050B1 (ko
Inventor
신승호
이기원
이형주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78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8050B1/ko
Publication of KR20110021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8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8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20Reducing nutritive value; Dietetic products with reduced nutritive valu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2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16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benactizyne, clofibrat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Caffeic Acid Phenethyl Ester, CAP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용 식품 조성물 또는 비만 치료용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지방 축적 억제 효과, 지방 전구세포가 지방 세포로 분화될 때 촉진되는 세포 주기 진행 억제 효과, 지방 세포로의 분화시 발현되는 중요한 전사인자들인 C/EBPβ, C/EBPα, PPARγ의 발현 저해 효과, 지방 세포로의 분화시 촉진인자인 사이클린(Cyclin) A의 발현 저해 효과를 발휘하는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비만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발휘한다.
비만 예방, 비만 치료, 세포 주기 조절(Cell cycle arrest), 지방 분화 억제,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Caffeic Acid Phenethyl Ester, CAPE), C/EBPβ, C/EBPα, PPARγ, Cyclin A

Description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비만 예방용 식품 조성물 또는 비만 치료용 제약 조성물{Food composition for obesity prevention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obesity treatment containing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본 발명은 비만 예방용 식품 조성물 또는 비만 치료용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비만 예방용 식품 조성물 또는 비만 치료용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현대인들은 고열량의 식사가 주를 이루는 식생활로의 변화 및 운동 부족, 스트레스의 증가에 의해 인체의 항상성이 교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각종 비만 및 관련 대사성 질환이 급증하고 있다. 관련 대사성 질환은 2형 당뇨병 및 고혈압뿐 아니라, 뇌졸중, 동맥경화 등 심혈관 질환과 각종 암에 이르기까지 인류의 건강 및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질환을 포함한다. 20세기 후반에 비하면 비만율은 5~10배 증가하였다. 특히 중ㆍ장년층의 복부비만은 만성 대사 증후군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어 항상 주의가 필요하다. 팔, 다리에 축적된 지방은 잘 분해ㆍ흡 수되지 않아 용모는 보기 싫게 하여도 건강에는 큰 지장이 없지만, 복부비만의 경우는 지방이 쉽게 용해되어 혈액 속에 흡수되므로 대사 증후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우리 몸의 최초 단계 세포인 줄기 세포에서 지방 세포로 분화되는 과정은 크게 'Commitment', 'Mitotic Clonal Expansion', 'Terminal Differentiation'의 세 부분으로 나뉜다. 줄기세포에서 'commitment'를 거치면 지방 전구 세포(preadipocyte)가 되고, 이것이 'mitotic clonal expansion'을 거쳐 세포 숫자를 늘린 후 'terminal differentiation'을 통해 세포 내 지방량을 늘리게 된다.
'Mitotic clonal expansion'은 지방 전구 세포가 2~4배로 증식하는 것을 말하며, 지방 분화시 거쳐야하는 필수적인 과정이다(Q.Q. Tang et . al ., Proc Natl Acad Sci U S A, 100(1):44-9, 2003). 그리고 이 과정에서 중요한 전사인자로 작용하는 것이 C/EBPβ(CCAAT/enhancer-binding protein β)이다. 이 전사인자에 결함이 있는 쥐의 경우 지방 분화가 일어나지 않는다고 한다(Q.Q. Tang et . al ., Proc Natl Acad Sci U S A, 100(3):850-5, 2003).
'Terminal differentiation'은 분화된 지방세포(adipocyte)가 세포 내에 지방의 양을 늘려나가는 과정이며, 이 과정을 촉진하는 중요한 전사인자로는 C/EBPα(CCAAT/enhancer-binding protein α)와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가 있다(E.D. Rosen et . al ., Mol Cell , 4(4):611-7, 1999). C/EBPα와 PPARγ는 상호 조절(Cross-regulation)을 통해 지방 전구 세포가 지방 세포로 분화하는 것을 조절한다(Z. Wu et . al ., Mol Cell , 3(2):151-8, 1999).
위와 같은 전사 인자들을 조절해서 비만 및 이에 수반되는 대사 증후군을 예방ㆍ치료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에는 합성물에 비해 인체 안전성이 훨씬 높은 천연물을 이용하여 비만을 예방하려는 연구가 많이 진행 중이다. 이 중 대표적인 것은 대두류에 많이 포함된 제니스틴(genistein)을 이용한 비만 치료이다(M. Zhang et . al ., Phytother Res . 23(5):713-8, 2009; H.J. Park et . al ., J Nutr Biochem. 20(2):140-8, 2009). 하지만 이보다 효과가 좋은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천연물의 발굴 및 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아직까지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Caffeic Acid Phenethyl Ester, CAPE)에 대한 비만 예방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서는 개시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Caffeic Acid Phenethyl Ester, CAP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용 식품 조성물 또는 비만 치료용 제약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Caffeic Acid Phenethyl Ester, CAP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Caffeic Acid Phenethyl Ester, CAP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치료용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인체 안전성이 확보된 지방 분화 및 비만 예방용 식품 조성물 또는 치료용 제약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해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Caffeic Acid Phenethyl Ester, CAP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은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의 비만 예방 및 치료 효과에 대해 확인 하기 위해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의 지방 축적 억제 효과, 지방 전구세포가 지방 세포로 분화될 때 촉진되는 세포 주기 진행 억제 효과, 지방 세포로의 분화시 발현되는 중요한 전사인자들인 C/EBPβ, C/EBPα, PPARγ의 발현 저해 효과 및 지방 세포로의 분화시 촉진되는 세포 주기 진행에서 중요한 촉진인자인 사이클린(Cyclin) A의 발현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카페인산 페테닐에스테르는 세포 내 지방 축적량을 감소키시키고, 지방 분화시 촉진되는 세포 주기의 진행을 억제시키며, C/EBPβ, C/EBPα, PPARγ의 발현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사이클린(Cyclin) A의 발현도 저해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에 유효성분으로 함유되는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는 시판되고 있는 화합물로서, 쉽게 구입 가능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프로폴리스로부터 유래된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은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Caffeic Acid Phenethyl Ester, CAP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는 바람직하게 비만 예방용 식품 조성물 대비 0.1 중량%~50 중량% 포함되는 것이 좋은데, 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그 효과가 미비하고,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량 대비 효과 증가가 미비하여 비경제적이다.
한편, 본 발명의 비만 예방용 식품 조성물에 함유되는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의 농도는 바람직하게 10μM~1mM인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비만 예방용 식품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육류, 곡류, 카페인 음료, 일반음료, 초콜렛, 빵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젤리,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성 음료, 술, 비타민 복합제 및 그밖의 건강보조식품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것이 좋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은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Caffeic Acid Phenethyl Ester, CAP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치료용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비만 치료용 제약 조성물에 포함되는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함량은, 예방 및 치료제의 사용방법, 복용자의 상태, 질환의 종류 및 질환의 중증정도에 따라 바람직하게 조절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의 함량은 비만 치료용 제약 조성물 대비 0.1 중량%~50 중량%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그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 비만 치료 효과가 미비할 수 있으며, 50 중량%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량 대비 효과 상승률이 낮아 비경제적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비만 치료용 제약 조성물에 함유되는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의 농도는 바람직하게 10μM~1mM인 것이 좋은데,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한편, 본 발명의 비만 치료용 제약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사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이리 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가 있으며, 이들은 1종 이상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예방 및 치료제가 약제인 경우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이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비만 치료용 제약 조성물의 제형은 사용방법에 따라 바람직한 형태일 수 있으며, 특히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채택하여 제형화 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인 제형의 예로는 경고제(PLASTERS), 과립제(GRANULES), 로션제(LPTIONS), 리니멘트제(LINIMENTS), 리모나데제(LEMONADES), 방향수제(AROMATIC WATERS), 산제(POWDERS), 시럽제(SYRUPS), 안연고제(OPHTALMIC OINTMENTS), 액제(LIQUIDS AND SOLUTIONS), 에어로솔제(AEROSOLS), 엑스제(EXTRACTS), 엘릭실제(ELIXIRS), 연고제(OINTMENTS), 유동엑스제(FLUIDEXTRACTS), 유제(EMULSIONS), 현탁제(SUSPESIONS), 전제(DECOCTIONS), 침제(INFUSIONS), 점안제(OPHTHALMIC SOLUTIONS), 정제(TABLETS), 좌제(SUPPOSITIORIES), 주사제(INJECTIONS), 주정제(SPIRITS), 카타플라스마제(CATAPLSMA), 캅셀제(CAPSULES), 크림제(CREAMS), 트로키제(TROCHES), 틴크제(TINCTURES), 파스타제(PASTES), 환제(PILLS),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비만 치료용 제약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방법, 복용자의 연령, 성별 및 체중, 및 질환의 중증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다. 일례로, 본 발명의 피부염증 및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제는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1일 0.1 내지 100㎎/㎏(체중)으로 1회 이상 투여가능하다. 그러나 상기의 투여량은 예시하기 위한 일례에 불과하며 상기 범위에 한정되진 않는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만 예방용 식품 조성물 또는 비만 치료용 제약 조성물은 지방 축적 억제 효과, 지방 전구세포가 지방 세포로 분화될 때 촉진되는 세포 주기 진행 억제 효과, 지방 세포로의 분화시 발현되는 중요한 전사인자들인 C/EBPβ, C/EBPα, PPARγ의 발현 저해 효과 및 지방 세포로의 분화시 촉진되는 세포 주기 진행에서 중요한 촉진인자인 사이클린(Cyclin) A의 발현 저해 효과를 발휘하는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비만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발휘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하기 실시예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실험예 1: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의 지방 축적 억제 효과 측정
실험예 1은 카페인산 페테닐에스테르의 지방 축적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지방 전구 세포인 3T3-L1 세포(입수처: 미국세포주은행(ATCC))를 10% 우아 혈청(Bovine Calf Serum; BCS)과 안티바이오틱-안티마이코틱(Antibiotic-antimycotic) 10ml/L를 함유한 DMEM 배지를 사용하여 10% CO2, 37℃ 배양기(Forma Scientific Co., Marjetta, OH, USA)에서 배양하였다. 배지 조성물들은 모두 GIBCO BRL(Grand Island, NY, USA)사 제품을 사용하였다.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가 MDI(Methylisobutylxanthin)에 의한 AMPK-α 인산화 감소를 회복하는지 측정하기 위해 오일 레드 오 스테이닝(Oil Red O staining)[K. Tobe et . al ., FEBS lett , 215(2):345-9, 1987]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0%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 FBS)과 안티바이오틱-안티마이코틱(Antibiotic-antimycotic) 10ml/L를 함유한 DMEM 배지에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를 농도별로 처리한 후, 12일 동안 배양하였다. 첫 2일은 MDI(Methylisobutylxanthine 0.5mM, 데사메타손(Dexamethasone) 1μM, 인슐린(Insulin) 5μg/ml)와 동시처리한 후, 2일에서 12일까지는 인슐린(Insulin) 5μg/ml를 첨가한 배지를 2일에 한 번씩 교환하는 방식을 취했다. 세포를 고정시키기 위해 10% 포름알데히드로 20분 처리한 후, 프로필렌 글라이콜(Propylene glycol)로 포름알데히르를 제거하였다. 오일 레드 오 스테이닝(Oil Red O solution)으로 2시간 동안 세포 내의 지방을 염색한 후, PBS를 이용해 잔여 오일 레드 오 스테이 닝(Oil Red O solution)을 제거하였다. 그 후 이소프로파놀(Isopropanol)을 이용하여 지방에 염색된 용액(solution)을 추출하여 515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1은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의 지방 축적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레인 1은 무처리 대조군이고 레인2는 MDI 처리군, 레인 3은 MDI와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10μM 처리군, 레인 4는 MDI와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20μM 처리군, 레인 5는 MDI와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40μM 처리군이다. 레인 6은 MDI 및 제니스틴 80μM 처리군이다.
도 2는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가 지방 세포 분화 중 어떤 과정을 저해하는지 규명하기 위해 실시한 실험의 결과에 대한 도이다.
먼저,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의 지방 축적 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도 1),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의 처리로 인해 세포 내 지방 축적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지방 억제 천연물로 잘 알려진 제니스틴에 비해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가 2배 이상의 효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가 지방 세포 분화 중 어떤 과정을 저해하는지 규명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한 결과(도 2),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에 의한 지방 축적 저해 효과는 'mitotic clonal expansion'이 일어나는 0일에서 2일 사이에 발휘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의 세포 주기 진행 억제 효과 측정
지방 전구 세포가 지방 세포로 분화될 때 촉진되는 세포 주기 진행에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가 어떠한 효과를 가지는지 측정하기 위하여, '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er(FACS)' 분석법[A.L. Ton여 et . al ., J Biol Chem . 30;280(39):33536-40, 2005]을 이용하였다.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40μM을 MDI와 동시처리 한 후, 0, 8, 12, 16, 20, 24, 36, 48, 72, 96시간 후 세포를 70% 에탄올에 고정시켰다. 세포 주기 측정 및 정량화는 '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er'를 이용하였다. 각 실험군 별로 10,000개의 세포를 대상으로 측정했으며, 세 번의 반복 실험 후 대표성을 갖는 값을 제시하였다
도 3은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의 세포 주기 진행 저해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레인 1은 무처리 대조군이고 레인2는 MDI 처리군, 레인 3은 MDI와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40μM 처리군 이다.
측정결과(도 3), MDI에 의해 촉진되는 세포 주기 진행을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가 유의적으로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는 세포 주기 중 G1기에서 S기로의 진행을 지연시키고, G2기 및 M기의 세포 진행을 현저히 억제하였다.
하기 표 1은 도 3의 각 실험군 별 세포 주기 비율을 정량화하여 나타낸 표이다.
대조군 MDI 처리군 MDI+CAPE 40μM 처리군
시간
(hr)
Sub-
G1
G1 S G2/M Sub-
G1
G1 S G2/M Sub-
G1
G1 S G2/M
0 0.69 93.63 2.38 3.36
8 0.27 93.20 2.62 3.99 0.58 93.62 2.18 3.69 0.74 94.18 2.15 3.06
12 0.35 88.59 6.88 4.46 0.41 85.20 9.69 4.95 0.80 93.92 2.30 3.15
16 0.17 78.37 13.31 8.54 0.32 46.39 39.18 14.75 0.40 93.38 3.15 3.14
20 0.21 76.7 12.02 11.31 0.45 32.75 26.06 41.38 0.25 86.72 9.97 3.46
24 0.20 82.03 7.18 10.79 0.29 64.67 9.18 26.16 0.29 62.82 32.42 5.26
36 0.32 91.93 2.80 5.06 0.50 86.53 4.02 9.07 1.01 46.52 16.74 36.24
48 0.46 93.55 2.50 3.61 0.92 84.28 5.93 9.02 3.87 63.37 7.79 25.18
72 0.45 89.46 4.67 5.57 1.33 82.43 6.91 9.74 2.53 60.96 11.49 25.28
96 0.56 94.44 2.14 2.91 2.89 85.69 4.91 7.01 4.20 71.85 5.79 18.34
실험예 3: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의 C/ EBP β, C/ EBP α, PPAR γ 발현 저해효과 측정
지방 세포로의 분화시 발현되는 가장 중요한 전사인자들인 C/EBPβ, C/EBPα, PPARγ의 발현에 대해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웨스턴 블랏팅(Western Blotting)[B.L. Upham et . al ., Carcinogenesis . 18:37-42, 1997]을 이용하였다.
지방 전구 세포인 3T3-L1 세포를 10%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 FBS)과 안티바이오틱-안티마이코틱(Antibiotic-antimycotic) 10ml/L를 함유한 DMEM 배지에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를 농도별로 처리한 후 각 16시간(C/EBPβ), 6일(C/EBPα, PPARγ)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로부터 단백질을 추출하기 위하여 1mM 페닐메틸설포닐프루오라이드(Phenylmethylsulfonylfluoride, PMSF)을 포함하는 20% SDS로 추출하였다. 단백질 함량은 'DC assay kit[Bio-Rad Corp., Richmond, CA, USA]'를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각각의 단백질 추출물들로부터 약 60 ㎍에 해당하는 단백질을 10% SDS-PAGE에 넣어 전기영동하여 분리하였다. C/EBPβ, C/EBPα, PPARγ 항체[Cell Signaling, Beverly, MA]를 이용하여 반응시킨 후, ECL 키트[Amersham, Life Science, Denver, USA]를 이용하여 감지하였다.
도 4는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의 C/EBPβ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레인 1은 무처리 대조군이고 레인2는 MDI 처리군, 레인 3은 MDI와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10μM 처리군, 레인 4는 MDI와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20μM 처리군, 레인 5는 MDI와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40μM 처리군이다.
도 5는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의 C/EBPα 및 PPARγ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레인 1은 무처리 대조군이고 레인2는 MDI 처리군, 레인 3은 MDI와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10μM 처리군, 레인 4는 MDI와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20μM 처리군, 레인 5는 MDI와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40μM 처리군 이다.
측정결과(도 4 및 도 5),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에 의해서 C/EBPβ, C/EBPα 및 PPARγ의 밴드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의 사이클린( Cyclin) A 발현 저해효과 측정
지방 세포로의 분화시 촉진되는 세포 주기 진행에서의 중요한 촉진인자인 사이클린(Cyclin) A의 발현에 대해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웨스턴 블랏팅(Western Blotting)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지방 전구 세포인 3T3-L1 세포를 10%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 FBS)과 안티바이오틱-안티마이코틱(Antibiotic-antimycotic) 10ml/L를 함유한 DMEM 배지에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를 농도별로 처리한 후 1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로부터 단백질을 추출하기 위하여 1mM 페닐메틸설포닐프루오라이드(Phenylmethylsulfonylfluoride, PMSF)을 포함하는 20% SDS로 추출하였다. 단백질 함량은 'DC assay kit[Bio-Rad Corp., Richmond, CA, USA]'를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각각의 단백질 추출물들로부터 약 60㎍에 해당하는 단백질을 10% SDS-PAGE에 넣어 전기영동하여 분리하였다. 사이클린(Cyclin) A 폴리클론 항체[Santa Cruz, CA, USA]를 이용하여 반응시킨 후, ECL 키트[Amersham, Life Science, Denver, USA]를 이용하여 감지하였다. 베타액틴은 동일한 양의 세포로 실험했음을 증명한다.
도 6은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의 사이클린(Cyclin) A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레인 1은 무처리 대조군이고 레인2는 MDI 처리군, 레인 3은 MDI와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10μM 처리군, 레인 4는 MDI와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20μM 처리군, 레인 5는 MDI와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40μM 처리군 이다.
측정결과(도 6),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에 의해서 사이클린(Cyclin) A의 밴드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비만 치료용 약제 조성물 제조
실시예 1은 비만 치료용 약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산제 제조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2g에 유당 1g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정제 제조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100㎎, 옥수수전분 100㎎, 유당 100㎎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캡슐제 제조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100㎎, 옥수수전분 100㎎, 유당 100㎎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을 혼합한 후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4: 주사제 제조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100㎎에 주사용 증류수 적량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pH를 약 7.5로 조절한 다음 2㎖ 용량의 앰플에 충진 및 멸균시하여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비만 예방용 식품 조성물 제조
실시예 2는 비만 예방용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1: 선식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메쉬의 분말로 준비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및 들깨 각각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후 배전 및 분쇄하여 입도 60메쉬의 분말로 준비하였다.
이후, 현미 30 중량%, 율무 15 중량%, 보리 20 중량%, 찹쌀 9 중량%, 들깨 7 중량%, 검정콩 8 중량%, 검정깨 7 중량%,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3 중량%, 영지 0.5 중량% 및 지황 0.5 중량%을 혼합하여 선식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2: 츄잉껌 제조
껌 베이스 20 중량%, 설탕 76.9 중량%, 향료 1 중량%, 물 2 중량% 및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0.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츄잉껌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3: 캔디 제조
설탕 60 중량%, 물엿 39.8 중량%, 향료 0.1 중량% 및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0.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캔디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4: 비스킷 제조
박력 1급 25.59 중량%, 중력 1급 22.22 중량%, 정백당 4.80 중량%, 식염 0.73 중량%, 포도당 0.78 중량%, 팜쇼트닝 11.78 중량%, 암모니움 1.54 중량%, 중조 0.17 중량%, 중아황산나트륨 0.16 중량%, 쌀가루 1.45 중량%, 비타민 B₁0.0001 중량%, 비타민 B₂0.0001 중량%, 밀크향 0.04 중량%, 물 20.6998 중량%, 전지분유 1.16 중량%, 대용분유 0.29 중량%, 제일인산칼슘 0.03 중량%, 살포염 0.29 중량% 및 분무유 7.27 중량%와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비스킷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5: 건강음료 제조
꿀 0.26 중량%, 치옥토산아미드 0.0002 중량%, 니코틴산아미드 0.0004 중량%,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0.0001 중량%, 염산피리독신 0.0001 중량%, 이노시톨 0.001 중량%, 오르트산 0.002 중량%, 물 98.7362 중량% 및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건강 음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6: 소시지 제조
돈육 65.18 중량%, 계육 25 중량%, 전분 3.5 중량%, 대두단백 1.7 중량%, 식염 1.62 중량%, 포도당 0.5 중량% 및 글리세린 1.5 중량%와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소시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7: 건강보조식품 제조
스피루리나 55 중량%, 구아검효소 분해물 10 중량%, 비타민 B₁염산염 0.01중량%, 비타민 B6 염산염 0.01 중량%, DL-메티오닌 0.23 중량%,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7 중량%, 유당 22.2 중량% 및 옥수수전분 1.85 중량%와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10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정제형 건강보조식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8: 주류 제조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0.5 중량%를 소주, 맥주, 양주 또는 과실주와 혼합하여 에멀전 상태로 만든 후, 진공상태에서 7,000rpm으로 15분간 원심분리하거나 고속믹서기로 9,000rpm에서 혼합하여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 혼합물이 함유된 주류를 제조하였다.
도 1은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의 세포 내 지방 축적량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가 지방 세포 분화 과정 중 어느 과정을 저해하는지 규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의 지방 세포 주기 진행에 대한 저해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의 C/EBPβ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의 C/EBPα 및 PPARγ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의 사이클린(Cyclin) A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Claims (8)

  1.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Caffeic Acid Phenethyl Ester, CAP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용 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는,
    비만 예방용 식품 조성물 대비 0.1 중량%~5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용 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는,
    농도가 10μM~1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용 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비만 예방용 식품 조성물은,
    육류, 곡류, 카페인 음료, 일반음료, 초콜렛, 빵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젤리,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성 음료, 술, 비타민 복합제 및 그밖의 건강보조식품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용 식품 조성물
  5.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Caffeic Acid Phenethyl Ester, CAPE)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치료용 제약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는,
    비만 치료용 제약 조성물 대비 0.1 중량% 내지 5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치료용 제약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는,
    농도가 10μM~1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치료용 제약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비만 치료용 제약 조성물은,
    경고제(PLASTERS), 과립제(GRANULES), 로션제(LPTIONS), 리니멘트제(LINIMENTS), 리모나데제(LEMONADES), 방향수제(AROMATIC WATERS), 산제(POWDERS), 시럽제(SYRUPS), 안연고제(OPHTALMIC OINTMENTS), 액제(LIQUIDS AND SOLUTIONS), 에어로솔제(AEROSOLS), 엑스제(EXTRACTS), 엘릭실제(ELIXIRS), 연고제(OINTMENTS), 유동엑스제(FLUIDEXTRACTS), 유제(EMULSIONS), 현탁제(SUSPESIONS), 전제(DECOCTIONS), 침제(INFUSIONS), 점안제(OPHTHALMIC SOLUTIONS), 정제(TABLETS), 좌제(SUPPOSITIORIES), 주사제(INJECTIONS), 주정제(SPIRITS), 카타플라스마제(CATAPLSMA), 캅셀제(CAPSULES), 크림제(CREAMS), 트로키제(TROCHES), 틴크제(TINCTURES), 파스타제(PASTES), 환제(PILLS),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치료용 제약 조성물
KR1020090078930A 2009-08-25 2009-08-25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비만 예방용 식품 조성물 또는 비만 치료용 제약 조성물 KR101168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930A KR101168050B1 (ko) 2009-08-25 2009-08-25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비만 예방용 식품 조성물 또는 비만 치료용 제약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8930A KR101168050B1 (ko) 2009-08-25 2009-08-25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비만 예방용 식품 조성물 또는 비만 치료용 제약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252A true KR20110021252A (ko) 2011-03-04
KR101168050B1 KR101168050B1 (ko) 2012-07-24

Family

ID=43930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930A KR101168050B1 (ko) 2009-08-25 2009-08-25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비만 예방용 식품 조성물 또는 비만 치료용 제약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805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938B1 (ko) * 2011-04-22 2013-11-14 한국식품연구원 메틸 카페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및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80077998A (ko) 2016-12-29 2018-07-09 영진약품 주식회사 멀꿀 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카페인산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골조직 생성 또는 연골조직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20190050674A (ko) 2017-11-03 2019-05-13 영진약품 주식회사 멀꿀 잎 유래 추출물 또는 분획 정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신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및 카페인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또는 골조직 생성 또는 연골조직 생성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022422A (ko) 2020-02-25 2020-03-03 영진약품 주식회사 멀꿀 잎 유래 추출물 또는 분획 정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신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및 카페인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또는 골조직 생성 또는 연골조직 생성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12052B2 (ja) 2003-10-01 2009-01-21 泰啓 満田 色素斑除去及び再発防止用皮膚外用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938B1 (ko) * 2011-04-22 2013-11-14 한국식품연구원 메틸 카페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및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80077998A (ko) 2016-12-29 2018-07-09 영진약품 주식회사 멀꿀 잎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카페인산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골조직 생성 또는 연골조직 생성 촉진용 조성물
KR20190050674A (ko) 2017-11-03 2019-05-13 영진약품 주식회사 멀꿀 잎 유래 추출물 또는 분획 정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신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및 카페인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또는 골조직 생성 또는 연골조직 생성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KR20200022422A (ko) 2020-02-25 2020-03-03 영진약품 주식회사 멀꿀 잎 유래 추출물 또는 분획 정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신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 및 카페인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또는 골조직 생성 또는 연골조직 생성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8050B1 (ko) 201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93396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uscle diseases or improving muscular function, containing platycodon grandiflorum extract
KR101997060B1 (ko) 발효 녹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JP6564134B2 (ja) モルシン、クワノンジ又は桑白皮を含有する筋肉疾患予防及び治療用又は筋機能改善用組成物
KR101168050B1 (ko)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비만 예방용 식품 조성물 또는 비만 치료용 제약 조성물
KR101174701B1 (ko) 진저레논 에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용 식품 조성물, 비만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비만 치료용 동물용 의약품
KR20220168326A (ko) 금화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16801B1 (ko)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또는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유도체를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용 식품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치료용 약품 조성물
KR101587246B1 (ko) 오로볼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용 식품 조성물 또는 대사성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201312B1 (ko) 인삼 추출물 및 인삼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882492B1 (ko) 페룰릭산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욕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69717B1 (ko) 캡시코시드 g를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712450B1 (ko) 게니핀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용 식품 조성물, 비만 치료용 약학 조성물, 비만 치료용 동물용 의약품 및 사료 조성물
KR20120048203A (ko) 벤질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및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07465B1 (ko) 퀘르시트린과 스피레오시드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13065B1 (ko) 4-메틸설포닐-3-부테닐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또는 4-메틸설포닐-3-부테닐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전구체 또는 유도체를 함유하는 비만 예방용 식품 조성물 또는 비만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629642B1 (ko) 피퍼롱구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간 예방용 식품 조성물, 지방간 치료용 약학 조성물, 지방간 치료용 동물 의약품 및 사료 조성물
KR20130094553A (ko) 진저레논 에이를 포함하는 암 예방용 식품 조성물, 암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암 치료용 동물용 의약품
KR20190103665A (ko) 삼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KR102234225B1 (ko) 두충 추출물 및 우슬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544711B1 (ko) 항암효능을 갖는 비타민 k3 및 퀘르세틴을 포함하는 식품
KR100788331B1 (ko) 에피갈로카테킨 갈레트 및 공액 리놀레인산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 조성물
KR20090064865A (ko) 5-데옥시캠페롤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피부질환과 피부암예방 및 치료제
KR100633357B1 (ko) 에피갈로카테킨 갈레트 및 코코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제
KR101174702B1 (ko) 허수테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용 식품 조성물, 비만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비만 치료용 동물 의약품
KR100749115B1 (ko) 비타민 k3 및 공액 리놀레인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