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6801B1 -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또는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유도체를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용 식품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치료용 약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또는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유도체를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용 식품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치료용 약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6801B1
KR101716801B1 KR1020150053419A KR20150053419A KR101716801B1 KR 101716801 B1 KR101716801 B1 KR 101716801B1 KR 1020150053419 A KR1020150053419 A KR 1020150053419A KR 20150053419 A KR20150053419 A KR 20150053419A KR 101716801 B1 KR101716801 B1 KR 101716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hydroxyphenyl
valerolactone
gamma
weight
metabolic disea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3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3185A (ko
Inventor
이기원
양희
정은선
김종란
김종은
이형주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밥스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밥스누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53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801B1/ko
Priority to PCT/KR2015/009135 priority patent/WO2016167420A1/ko
Publication of KR20160123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3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glycaemic control and diabe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30Other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사성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대사성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함유된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5-(3',4'-Dihydroxyphenyl)-gamma-valerolactone) 또는 이의 유도체는 지방 축적 및 지방 세포 분화 시 발현되는 전사인자 C/EBPα의 발현을 감소시켜, 비만, 당뇨, 고혈압, 뇌졸증, 고지혈증, 동맥경화 또는 심혈관질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또는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유도체를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용 식품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치료용 약품 조성물 {Food composition against metabolic disease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against metabolic disease containing 5-(3',4'-Dihydroxyphenyl)-gamma-valerolactone and 5-(3',4'-Dihydroxyphenyl)-gamma-valerolactone derivatives}
본 발명은 대사성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5-(3',4'-Dihydroxyphenyl)-gamma-valerolactone) 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사성 질환(metabolic disease)이란 비만, 당뇨병, 심혈관 질환 및 고혈압, 고지혈증 등을 한 가지 질환 군으로 총칭하는 것이다. 국제 당뇨 재단(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IDF)에서 제시한 대사성 질환의 진단 기준으로는 허리둘레,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공복 혈당, 혈압 5가지 지표 중 3가지 이상이 기준치를 넘으면 대사성 질환으로 진단한다. 대사성 질환은 여러 가지 요소에 의해 일어나며 주로 생활환경과 과도한 영양 섭취 및 적은 에너지 소모로 인한 비만이 가장 근본적인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대사성 질환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현재 암에 의한 사망자보다 많아졌고, 적극적인 대책과 효과적인 예방 관리가 필요한 질환이다 (KB. Keller, L. Lemberg, Am J Crit Care, 12(2):167-70, 2003).
세계인구 중 약 25%에 해당하는 17억 명이 현재 과체중(BMI> 25)이고, 주요 시장인 미국, 유럽, 일본의 1억2천 명을 포함한 서구지역의 3억 명 이상이 비만환자(BMI> 30)로 분류되고 있다. 아울러 현재 세계적으로 어린이 5명 중 1명이 소아비만에 해당되며, 그 숫자도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어 소아비만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소아비만은 특히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수치가 높아 생활 습관병으로 불리는 당뇨, 고혈압, 뇌졸중 등의 주요 원인이 되고, 소아비만아의 80% 이상이 성인비만으로 연결되어 나이가 들수록 비만으로 인한 건강상의 문제는 더욱 심각해져 또 다른 대사성 질환으로 발전될 수 있기 때문에 비만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만이 증가하게 된 주요 원인은 에너지 섭취는 많은데 비해 에너지 소비량이 적어 남은 에너지를 지방으로 축적하게 되는, 즉 에너지의 불균형에 기인한다. 현대인의 삶이 바빠짐에 따라 즉석 식품 및 고열량 식품을 섭취하게 되고, 인터넷과 텔레비전 시청 등에 의하여 활동 시간이 적어짐에 따라 생기게 된 결과이다 (SM. Wright, LJ. Aronne, Abdom Imaging., 37(5):730-2, 2012). 비만은 또한 성별, 유전자, 환경 등과 최근에는 장내 미생물에 의하여도 영향을 받는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AJ. Cox et al., Lancet Diabetes Endocrinol., pii: S2213-8587(14)70134-2, 2014).
이러한 비만의 치료방법으로 식이요법이나 운동요법은 시간과 노력이 많이 소요되고 실행이 어렵기 때문에 효과가 없을 경우, 비만치료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현재 널리 알려져 있는 주요 비만 치료제로는 제니칼, 리덕틸 등이 있다. 또한 심각한 비만이 진행되어 있는 경우에는 위를 묶거나 절제하는 수술을 통하여 체중을 감소시키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다.
올리스타트(orlistat)를 주원료로 하는 제니칼은 세계최초의 비만 치료제로서 리파아제의 작용을 억제하여 지방흡수를 억제시키고, 총 콜레스테롤 및 LDL 콜레스테롤 농도 감소, 혈당 개선효과를 보인다고 알려져 있으나 지방변, 장내가스발생, 복부팽만감 등의 부작용이 있다. 시부트라민(sibutramine)을 주원료로 하는 리덕틸의 경우, 1997년 FDA의 승인을 받아 세계 30여개 국가에서 판매 중인 제품으로 교감신경계의 세로토닌과 노르아드레날린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고농도로 유지함으로써 식욕저하 및 포만감을 유도하는 효능이 있으나 두통, 구갈, 식욕부진, 불면, 변비 등의 부작용이 알려져 최근 유럽 뿐 아니라 국내에서도 금지된 제품이다.
이러한 합성 항비만 치료제들은 여러 부작용을 나타내며 한계를 보임에 따라 비교적 안전하다고 생각되는 천연활성물질에 대한 가치가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한편,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5-(3',4'-Dihydroxyphenyl)-gamma-valerolactone, 구조식:C11H12O4, 분자량: 208.212 g/mol)은 폴리페놀이 풍부한 식품인 카카오, 녹차, 레드와인(포도) 등을 섭취하면 식품 내에 함유하고 있는 프로시아니딘(procyanidin) 또는 카테킨(catechin)이 장내 미생물에 의해 대사되어 생성되는 대사체이다. 따라서, 플라바놀(flavanol, 폴리페놀 중 가장 풍부한 성분)이 풍부한 식품을 섭취한 것을 확인하기 위한 바이오마커로서의 가능성이 있다.
또한,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은 피부 광노화 및 암전이를 촉진시킨다고 알려진 바탕질 단백 분해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활성을 억제하고, 항산화 효능도 가진다고 보고되어 있다(T. Grimm et al., Free Radic Biol Med., 36(6):811-22, 2004). 특히, 콜라겐(Collagen)과 젤라틴(Gelatin)을 분해하는 MMP-1(matrix metalloproteinase-1) 활성을 50% 억제하는 농도가 대조군인 피크노제놀(pycnogenol)에서 보다 낮고, 콜라겐과 엘라스틴(elastin)을 분해하는 MMP-2 활성과 엘라스틴과 젤라틴을 분해하는 MMP-9 활성 모두 피크노제놀(pycnogenol) 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농도에서 억제할 수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또한, 대사되기 전 물질인 카테킨(catechin)과 항산화 효능을 비교해보았을 때, 카테킨보다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의 항산화 효능이 유의적으로 좋은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5-(3',4'-Dihydroxyphenyl)-gamma-valerolactone)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89494호 (공개일자: 2012.08.13)에는, 산두근 (Sophora tonkinensis Gapnep.)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3175호 (등록일자: 2008.03.06)에는, 스컹크 캐비지(Symplocarpus foetidus)의 물 추출물 또는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분해 촉진제에 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항비만 효과가 있는 천연활성물질을 새롭게 발굴하여, 비만뿐만 아니라 당뇨, 고혈압, 뇌졸증, 고지혈증, 동맥경화 또는 심혈관질환과 같은 대사성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개발하여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5-(3',4'-Dihydroxyphenyl)-gamma-valerolactone) 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당뇨, 고혈압, 뇌졸증, 고지혈증, 동맥경화 또는 심혈관질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대사성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대사성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또는 이의 유도체는 카카오, 녹차, 레드 와인, 포도와 같이 폴리페놀이 풍부한 식품을 섭취하였을 때, 장내 균에 의하여 생성된 대사체 중 가장 높은 증가량을 보이는 물질일 수 있다.
상기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또는 이의 유도체는 일 예로, 사람이 폴리페놀이 풍부한 식품을 섭취할 경우, 상기 식품 내에 함유하고 있는 프로시아니딘(procyanidin) 또는 카테킨(catechin)이 장내 미생물에 의해 대사되어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5-(3',4'-Dihydroxyphenyl)-gamma-valerolactone, 구조식:C11H12O4), 3-(3',4'-디히드록시페닐)-델타-발레로락톤(3-(3',4'-dihydroxyphenyl)-delta-valerolactone, 구조식:C11H12O5), 5-(3',4',5'-트리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5-(3',4',5'-trihydroxyphenyl)-gamma-valerolactone, 구조식:C11H12O5) 및 5-(3-메톡시-4-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5-(3-methoxy-4-hydroxyphenyl)-gamma-valerolactone, 구조식:C12H14O4)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사성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함유되는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또는 이의 유도체의 각 농도는 바람직하게 1 μM~1 mM인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20 μM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대사성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또는 이의 유도체는 바람직하게 대사성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대비 0.00001~50 중량% 포함되는 것이 좋다. 0.00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그 효과가 미비하고,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량 대비 효과 증가가 미미하여 비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대사성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일 예로, 육류, 곡류, 카페인 음료, 일반음료, 초콜렛, 빵류, 스낵류, 과자류, 사탕, 피자, 젤리, 면류, 껌류, 유제품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성 음료, 술, 비타민 복합제 및 그 밖의 건강보조식품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5-(3',4'-Dihydroxyphenyl)-gamma-valerolactone) 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당뇨, 고혈압, 뇌졸증, 고지혈증, 동맥경화 또는 심혈관질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또는 이의 유도체는 카카오, 녹차, 레드 와인, 포도와 같이 폴리페놀이 풍부한 식품을 섭취하였을 때, 장내 균에 의하여 생성된 대사체 중 가장 높은 증가량을 보이는 물질일 수 있다.
상기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또는 이의 유도체는 일 예로, 사람이 폴리페놀이 풍부한 식품을 섭취할 경우, 상기 식품 내에 함유하고 있는 프로시아니딘(procyanidin) 또는 카테킨(catechin)이 장내 미생물에 의해 대사되어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5-(3',4'-Dihydroxyphenyl)-gamma-valerolactone, 구조식:C11H12O4), 3-(3',4'-디히드록시페닐)-델타-발레로락톤(3-(3',4'-dihydroxyphenyl)-delta-valerolactone, 구조식:C11H12O5), 5-(3',4',5'-트리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5-(3',4',5'-trihydroxyphenyl)-gamma-valerolactone, 구조식:C11H12O5) 및 5-(3-메톡시-4-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5-(3-methoxy-4-hydroxyphenyl)-gamma-valerolactone, 구조식:C12H14O4)으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함유되는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또는 이의 유도체의 각 농도는 바람직하게 1 μM~1 mM인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20 μM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서 있어서, 상기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또는 이의 유도체는 바람직하게 대사성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대비 0.00001~50 중량% 포함되는 것이 좋다. 0.000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그 효과가 미비하고,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사용량 대비 효과 증가가 미미하여 비경제적이다.
한편, 본 발명의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사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이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가 있으며, 이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인 약제인 경우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제형은 사용방법에 따라 바람직한 형태일 수 있으며, 특히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채택하여 제형화 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인 제형의 예로는 경고제(PLASTERS), 과립제(GRANULES), 로션제(LOTIONS), 리니멘트제(LINIMENTS), 리모나데제(LEMONADES), 방향수제(AROMATIC WATERS), 산제(POWDERS), 시럽제(SYRUPS), 안연고제(OPHTHALMIC OINTMENTS), 액제(LIQUIDS AND SOLUTIONS), 에어로솔제(AEROSOLS), 엑스제(EXTRACTS), 엘릭실제(ELIXIRS), 연고제(OINTMENTS), 유동엑스제(FLUIDEXTRACTS), 유제(EMULSIONS), 현탁제(SUSPENSIONS), 전제(DECOCTIONS), 침제(INFUSIONS), 점안제(OPHTHALMIC SOLUTIONS), 정제(TABLETS), 좌제(SUPPOSITORIES), 주사제(INJECTIONS), 주정제(SPIRITS), 카타플라스마제(CATAPLSMA), 캅셀제(CAPSULES), 크림제(CREAMS), 트로키제(TROCHES), 틴크제(TINCTURES), 파스타제(PASTES), 환제(PILLS),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방법, 복용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질환의 중증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다. 일 예로, 본 발명의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1일 0.00001 내지 100 ㎎/㎏(체중)으로 1회 이상 투여가능하다. 그러나 상기의 투여량은 예시하기 위한 일 예에 불과하며, 복용자의 상태에 따라 의사의 처방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사성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함유된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5-(3',4'-Dihydroxyphenyl)-gamma-valerolactone) 또는 이의 유도체는 지방 축적 및 지방 세포 분화 시 발현되는 전사인자 C/EBPα의 발현을 감소시켜, 비만, 당뇨, 고혈압, 뇌졸증, 고지혈증, 동맥경화 또는 심혈관질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의 지방 축적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레인 1은 무처리 대조군, 레인 2는 MDI 처리군, 레인 3은 MDI와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5 μM 처리군, 레인 4는 MDI와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10 μM 처리군, 레인 5는 MDI와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20 μM 처리군이다.
도 2는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의 C/EBPα의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레인 1은 무처리 대조군이고, 레인 2는 MDI 처리군, 레인 3은 MDI와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5 μM 처리군, 레인 4는 MDI와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10 μM 처리군, 레인 5는 MDI와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20 μM 처리군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실험예 1: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의 지방 축적 억제 효과 측정]
본 실험예에서는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5-(3',4'-Dihydroxyphenyl)-gamma-valerolactone)의 지방 축적 억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지방 전구세포를 분화시킨 후, 오일 레드 오 스테이닝(Oil Red O staining)(K. Tobe et. al., FEBS lett, 215(2):345-9, 1987)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LKT, USA)가 MDI(Methylisobutylxanthine)에 의한 지방세포의 분화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지방 전구 세포인 3T3-L1 세포(입수처: 미국세포주은행(ATCC))를 24-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씨딩(seeding)하고 10% 우아 혈청(Bovine Calf Serum, BCS)과 안티바이오틱-안티마이코틱(Antibiotic-antimycotic) 10 ml/L이 첨가된 DMEM(Dulbecco-modified Eagle medium) 배지를 사용하여 37℃, 10% CO2 배양기(Forma Scientific Co., Marjetta, OH, USA)에서 융합(confluent)한 상태로 자랄 때까지 배양시켰다.
융합(confluent)한 상태로 자란 3T3-L1 세포를 1% 안티바이오틱-안티마이코틱, 10%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을 포함한 DMEM 배지에 MDI{아이소부틸-메틸잔틴(isobutyl-methylxanthine) 0.5 mM, 덱사메타손(dexamethason) 1 μM, 인슐린 5 ㎍/㎖}가 더 첨가된 배양액에서 이틀간 배양하여 분화된 지방세포(differentiation adipocyte)로 만든 후, 1% 안티바이오틱-안티마이코틱, 10%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을 포함한 DMEM 배지에 5 ㎍/㎖ 인슐린을 더 포함하는 DMEM 배양액에서 이틀간 더 배양시키면서 성숙한 지방세포(mature adipocyte)로 분화시켰다.
그 후에는 1% 안티바이오틱-안티마이코틱, 10%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만 포함한 DMEM 배양액으로 교체하면서 이틀간 더 배양하여 완전히 분화된 지방세포를 형성시켰다.
3T3-L1세포에 MDI를 첨가하여 분화시키는 첫날부터 이틀 간격으로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을 5, 10, 20 μM 농도로 배양액에 처리하였다.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은 DMSO에 녹여서 사용하였으며, 총 6일간 배양하여 분화가 완성된 시점에 배양액을 제거하고 분화된 지방세포에 함유된 지방구를 염색하였다. 이를 위해 35%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500 ㎕로 5분 동안 석션(suction)하고, 15분 동안 고정시켰다. 그 후, PBS로 3번 세척하여 오일 레드 오 용액(Oil Red O solution)을 넣고 15분 동안 염색시켰다. 15분 후, 용액을 제거하고 PBS로 4번 세척하고, 500 ㎕의 이소프로파놀(2-프로파놀)(isopropanol(2-propanol))에 녹여 515 nm 에서 흡광도(Optical Density, OD) 값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의 처리로 인해 세포 내 지방 축적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도 1), 제니스틴을 80 μM 농도로 처리하여 비교해 보았을 때,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을 4배 더 낮은 20 μM 농도로 처리한 것과 유사한 효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2: 5-(3',4'- 디히드록시페닐 )-감마- 발레로락톤의 C/ EBP α 발현 저해 효과 측정]
우리 몸의 최초 단계 세포인 줄기 세포에서 지방 세포로 분화되는 과정은 크게 코미트먼트(Commitment), 미토틱 클로날 익스팬션(Mitotic Clonal Expansion), 터미널 디퍼런시에이션(Terminal Differentiation)의 세부분으로 나뉜다. 줄기세포에서 코미트먼트(commitment)를 거치면 지방 전구 세포(preadipocyte)가 되고, 이것이 미토틱 클로날 익스팬션(Mitotic Clonal Expansion)을 거쳐 세포 숫자를 늘린 후 터미널 디퍼런시에이션(Terminal Differentiation)을 통해 세포 내 지방량을 늘리게 된다.
터미널 디퍼런시에이션(Terminal Differentiation)은 분화된 지방세포(adipocyte)가 세포 내에 지방의 양을 늘려나가는 과정이며, 이 과정을 촉진하는 중요한 전사인자로는 C/EBPα(CCAAT/enhancer-binding proteinα)와 PPARγ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γ)가 있다(E.D. Rosen et al., Mol Cell, 4(4):611-7, 1999). C/EBPα와 PPARγ는 상호 조절(Cross-regulation)을 통해 지방 전구 세포가 지방 세포로 분화하는 것을 조절한다(Z. Wu et al., Mol Cell, 3(2):151-8, 1999). 또한 분화 과정 중 지방 세포는 지방산을 수용체를 통해 받아들여 지방 합성(lipogenesis)을 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지방 전구 세포가 지방 세포로 분화하는 것을 방지하면 지방 합성에 관여하는 FAS(Fatty acid synthase)가 감소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실험예에서는 분화된 지방세포가 세포 내에 지방의 양을 늘려나가는 과정을 촉진하는 중요한 전사인자 중 하나인 C/EBPα의 발현에 대해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웨스턴 블랏팅(Western Blotting)(B.L. Upham et. al., Carcinogenesis. 18:37-42, 1997)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지방 전구 세포인 3T3-L1 세포를 10%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 FBS)과 안티바이오틱-안티마이코틱(Antibiotic-antimycotic) 10 ml/L를 함유한 DMEM 배지에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을 농도별로 처리한 후, 각 6일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로부터 단백질을 추출하기 위하여 'RIPA buffer(Cell signaling, Beverly, MA)'로 추출하였다. 단백질 함량은 'DC assay kit(Bio-Rad Corp., Richmond, CA, USA)'를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각각의 단백질 추출물들로부터 약 50 ㎍에 해당하는 단백질을 '10% SDS-PAGE'에 넣어 전기 영동하여 분리하였다.
C/EBPα (Cell Signaling, Beverly, MA)를 각각 이용하여 반응시킨 후, ECL 키트(Amersham, Life Science, Denver, USA)를 이용하여 감지하였다.
실험결과,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에 의한 전사인자 C/EBPα의 발현 저해 효과를 확인하였다 (도 2).
[실시예 1: 대사성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 제조]
본 실시예 1에서는 하기와 같이 대사성 질환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 선식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메쉬의 분말로 준비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및 들깨 각각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후 배전 및 분쇄하여 입도 60메쉬의 분말로 준비하였다. 이후, 현미 30중량%, 율무 15중량%, 보리 20중량%, 찹쌀 9중량%, 들깨 7중량%, 검정콩 8중량%, 검정깨 7중량%,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또는 이의 유도체 3중량%, 영지 0.5중량% 및 지황 0.5중량%을 혼합하여 선식을 제조하였다.
(2) 츄잉껌 제조
껌 베이스 20중량%, 설탕 76.9중량%, 향료 1중량%, 물 2중량% 및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또는 이의 유도체 0.1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츄잉껌을 제조하였다.
(3) 캔디 제조
설탕 60중량%, 물엿 39.8중량%, 향료 0.1중량% 및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또는 이의 유도체 0.1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캔디를 제조하였다.
(4) 비스킷 제조
박력 1급 25.59중량%, 중력 1급 22.22중량%, 정백당 4.80중량%, 식염 0.73중량%, 포도당 0.78중량%, 팜쇼트닝 11.78중량%, 암모니움 1.54중량%, 중조 0.17중량%, 중아황산나트륨 0.16중량%, 쌀가루 1.45중량%, 비타민 B1 0.0001 중량%, 비타민 B2 0.0001중량%, 밀크향 0.04중량%, 물 20.6998중량%, 전지분유 1.16중량%, 대용분유 0.29중량%, 제일인산칼슘 0.03중량%, 살포염 0.29중량% 및 분무유 7.27중량%와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또는 이의 유도체 1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비스킷을 제조하였다.
(5) 건강음료 제조
꿀 0.26중량%, 치옥토산아미드 0.0002중량%, 니코틴산아미드 0.0004중량%, 염산리보플라빈나트륨 0.0001중량%, 염산피리독신 0.0001중량%, 이노시톨 0.001중량%, 오르트산 0.002중량%, 물 98.7362중량% 및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또는 이의 유도체 1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건강 음료를 제조하였다.
(6) 소시지 제조
돈육 65.18중량%, 계육 25중량%, 전분 3.5중량%, 대두단백 1.7중량%, 식염 1.62중량%, 포도당 0.5중량% 및 글리세린 1.5중량%와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또는 이의 유도체 1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소시지를 제조하였다.
(7) 건강보조식품 제조
스피루리나 55중량%, 구아검효소 분해물 10중량%, 비타민 B1 염산염 0.01중량%, 비타민 B6 염산염 0.01중량%, DL-메티오닌 0.23중량%,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7중량%, 유당 22.2중량% 및 옥수수전분 1.85중량%와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또는 이의 유도체 10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정제형 건강보조식품을 제조하였다.
(8) 주류 제조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또는 이의 유도체 0.5중량%를 소주, 맥주, 양주 또는 과실주와 혼합하여 에멀전 상태로 만든 후, 진공상태에서 7,000 rpm으로 15분간 원심분리하거나 고속믹서기로 9,000 rpm에서 혼합하여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또는 이의 유도체 혼합물이 함유된 주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제 조성물 제조]
본 실시예 2에서는 하기와 같이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 산제 제조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또는 이의 유도체 1 g에 유당 2 g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 정제 제조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또는 이의 유도체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또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3) 캡슐제 제조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또는 이의 유도체 100 ㎎, 옥수수전분 100 ㎎, 유당 100 ㎎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을 혼합한 후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4) 주사제 제조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또는 이의 유도체 100 ㎎에 주사용 증류수 적량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pH를 약 7.5로 조절한 다음 2 ㎖ 용량의 앰플에 충진 및 멸균시하여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Claims (4)

  1.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5-(3',4'-Dihydroxyphenyl)-gamma-valerolacton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개선용 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5-(3',4'-Dihydroxyphenyl)-gamma-valerolactone)은,
    농도가 1 μM~1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개선용 식품 조성물.
  3.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5-(3',4'-Dihydroxyphenyl)-gamma-valerolacton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5-(3',4'-Dihydroxyphenyl)-gamma-valerolactone)은,
    농도가 1 μM~1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150053419A 2015-04-15 2015-04-15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또는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유도체를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용 식품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치료용 약품 조성물 KR101716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419A KR101716801B1 (ko) 2015-04-15 2015-04-15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또는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유도체를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용 식품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치료용 약품 조성물
PCT/KR2015/009135 WO2016167420A1 (ko) 2015-04-15 2015-08-31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또는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유도체를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용 식품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치료용 약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3419A KR101716801B1 (ko) 2015-04-15 2015-04-15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또는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유도체를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용 식품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치료용 약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3185A KR20160123185A (ko) 2016-10-25
KR101716801B1 true KR101716801B1 (ko) 2017-03-15

Family

ID=57126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3419A KR101716801B1 (ko) 2015-04-15 2015-04-15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또는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유도체를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용 식품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치료용 약품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16801B1 (ko)
WO (1) WO20161674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2457A (ko) 2018-01-02 2019-07-1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5-(3',4'-디하이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을 함유하는 뇌 신경세포 보호 및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033B1 (ko) * 2018-02-08 2019-07-23 의료법인 성광의료재단 Dhpv의 신규한 합성방법
WO2021107576A1 (ko) * 2019-11-28 2021-06-03 의료법인 성광의료재단 라세믹 dhpv 또는 이의 광학 이성질체를 포함하는 피부 광노화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미백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18292B2 (ja) 2005-06-16 2013-01-16 株式会社ロッテ 脂肪分解促進剤
KR101138565B1 (ko) * 2010-03-25 2012-05-10 동아제약주식회사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20089494A (ko) 2010-11-17 2012-08-13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산두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19277A (ko) * 2011-06-21 2014-02-1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Trail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71354B1 (ko) * 2012-02-29 2014-03-10 한국식품연구원 10-히드록시캄토테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ree Radical Biology & Medicine. 2004, Vol.36, No.6, pp.811-822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2011, Vol.59, No.13, pp.7083-709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2457A (ko) 2018-01-02 2019-07-1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5-(3',4'-디하이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을 함유하는 뇌 신경세포 보호 및 기억력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67420A1 (ko) 2016-10-20
KR20160123185A (ko) 2016-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0040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uscle diseases or improving muscular function, containing platycodon grandiflorum extract
KR101997060B1 (ko) 발효 녹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328668B1 (ko) 비만억제 활성과 혈당강하 효능이 있는 꾸지뽕 및 의이인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N113180165A (zh) 一种含透明质酸钠的养颜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898688B1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위축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716801B1 (ko)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또는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유도체를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용 식품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치료용 약품 조성물
KR101587246B1 (ko) 오로볼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용 식품 조성물 또는 대사성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174701B1 (ko) 진저레논 에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용 식품 조성물, 비만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비만 치료용 동물용 의약품
EP1629837A1 (en) Antistress agent
KR101809379B1 (ko) 디오스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68050B1 (ko) 카페인산 페네틸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비만 예방용 식품 조성물 또는 비만 치료용 제약 조성물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101358197B1 (ko) 특정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렙틴 분비 촉진용 조성물
KR102328808B1 (ko) 맥주효모를 이용한 근감소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757841B1 (ko) 바이칼린-아연착염을 포함하는 비만억제용 조성물
KR102037719B1 (ko) 이오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스트레스제, 항우울제 또는 항불안제 조성물
KR102275268B1 (ko) 갱년기 증상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KR101972657B1 (ko) 자화전호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60094313A (ko) 모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60143938A (ko) 개똥쑥 열수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조성물
KR101213065B1 (ko) 4-메틸설포닐-3-부테닐 이소티오시아네이트 또는 4-메틸설포닐-3-부테닐 이소티오시아네이트의 전구체 또는 유도체를 함유하는 비만 예방용 식품 조성물 또는 비만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2347819B1 (ko) 갱년기 증상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KR20190103665A (ko) 삼백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조성물
KR102623362B1 (ko)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094553A (ko) 진저레논 에이를 포함하는 암 예방용 식품 조성물, 암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암 치료용 동물용 의약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