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3362B1 -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3362B1
KR102623362B1 KR1020210030856A KR20210030856A KR102623362B1 KR 102623362 B1 KR102623362 B1 KR 102623362B1 KR 1020210030856 A KR1020210030856 A KR 1020210030856A KR 20210030856 A KR20210030856 A KR 20210030856A KR 102623362 B1 KR102623362 B1 KR 102623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ler
deer antler
menopausal symptoms
preventing
ferm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0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6504A (ko
Inventor
서승태
박혜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케어
Priority to KR1020210030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362B1/ko
Publication of KR20220126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6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3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2Bones; Osteocytes; Osteoblasts; Tendons; Tenocytes; Teeth; Odontoblasts; Cartilage; Chondrocytes; Synovial membr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12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climacter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69Plantar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31Leuconostoc
    • A23V2400/321Mesenteroi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Immu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docri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세포 내에서 에스트로겐 활성을 갖고 에스트로겐 수용체 작용제(estrogen receptor agonist)로 작용하므로, 갱년기 또는 폐경기에 나타나는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다양한 증상을 완화 또는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물 유래의 조성물이므로 부작용이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어, 의약품 또는 식품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menopausal symptoms comprising deer antler fermentation products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성 갱년기란 내분비 증후군의 일종으로 난소기능의 전반적이고 점진적인 노화로 인한 여성호르몬, 즉 에스트로겐의 감소로 인해 생리적 기능 및 성기능이 감소 내지 소실되는 과도기를 말한다. 이러한 갱년기의 증상으로는 안면홍조, 빈맥, 부정맥, 부종, 발한 또는 두통과 같은 혈관성 변화에 의한 증상이 있고, 근육통, 관절통 및 요통과 같은 근골격계 변화에 의한 증상이 있으며, 빈뇨, 배뇨통, 방광염, 하부 요도 위축, 요실금, 냉증, 질 건조증 또는 질 위축과 같은 비뇨생식기 변화에 의한 증상이 있고, 단기 기억장애, 기억력 감퇴, 우울증, 불안증, 집중력 감퇴 및 어지럼증과 같은 뇌신경계 변화에 의한 증상이 있으며, 이 외에도 시력감퇴 및 피부와 모발이 변화되는 증상들이 발생되며, 호르몬 변화로 인한 골다공증이나 심혈관계 질환 등 여성의 건강에 치명적인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중년 여성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 및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갱년기 증상을 개선할 수 있는 치료제의 개발이 요구되었고, 이러한 갱년기 증상의 개선을 위한 치료 요법으로 호르몬 대체요법, 비스테로이드계 제제 등의 약물에 의한 치료법 등이 개발되었으며, 그 중에 에스트로겐을 투여하는 호르몬 대체 요법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약물 치료법을 적용하는 경우 대부분이 두통 및 체중증가 등의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장기간 약물을 사용하면 자궁내막암, 유방암, 고혈압, 혈전증, 담뇨계 결석 등을 일으킬 수 있으며, 또한 월경성 출혈이 나타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난소 과잉자극 등의 부작용으로 인하여 의사의 처방 없이는 복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에스트로겐 대체요법의 경우에도 인위적으로 체내에 호르몬을 투여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거부반응과 함께 자궁출혈, 뇌졸중, 심장발작, 유방암 및 자궁암의 발생 위험이 증가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 때문에 식품이나 첨가물의 형태로 섭취하는 자연적인 방법으로 에스트로겐 요법을 대체하고자 하는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갱년기의 증상을 완화하는 효과가 우수한 새로운 갱년기 증상 치료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에스트로겐(estrogen)은 세포 수의 증가와 분화를 포함하는 다양한 생물학적 작용을 한다. 에스트로겐의 생물학적 작용들은 핵 수용체 슈퍼패밀리(superfamily)에 속하는 두 개의 에스트로겐 수용체 알파(ERα; estrogen receptorα)와 에스트로겐 수용체 베타(ERβ)를 통하여 그 활성을 발휘한다.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작용메커니즘은 에스트로겐과 세포 내 에스트로겐 수용체들과의 결합으로 수용체들의 이합체(dimer)를 형성하고 이들이 표적 유전자(target gene)의 프로모터(promoters)에 위치한 특정한 에스트로겐 반응서열(estrogen response elements, EREs)와 결합함으로써 표적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한다. 두 개의 에스트로겐 수용체는 서로 다른 조직분포 패턴, 리간드 결합력을 가지므로 이러한 차이는 다른 조직에서 에스트로겐 수용체의 작용제(agonists)와 길항제(antagonists)의 서로 다른 선택적 역할을 가능하게 한다. 아울러,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작용하는 물질들은 폐경기여성의 호르몬 대체요법과 생식기암의 화학요법제 개발을 위한 표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인체에 부작용이 없는 천연물을 대상으로 에스트로겐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천연물을 발굴한다면, 여성 갱년기 증상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므로, 관련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녹용(Cornu cervi pantotrichum, antler)은 사슴과에 속하는 매화록, 마록 및 동속 근연 동물의 털이 밀생되고 골질화되지 않은 어린 뿔로 매년 재생되는 연골조직을 말하며, 각질화되지 않은 것은 녹용이고, 각질화된 것은 녹각이라 하는데,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 및 일본 등의 동양권 국가들에서는 녹용을 오래전부터 최고의 보혈 강장제로 널리 사용해 왔으며, 그 성상과 효능에 관해서는 본초강목과 동의보감 등의 문헌에 수록되어 있다.
녹용은 크게 면역계, 조혈계, 당대사, 심혈관계 등에 약리 효능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약리활성 성분으로는 강글리오사이드(ganglioside), 판토크린(pantocrin)(70% 에탄올 추출물), 아미노산, 콘드로이틴(chondroitin), 글루코사민(glucosamine),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인산칼슘, 탄산칼슘, 콜라겐, 인지질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과학적으로도 면역증강, 혈압강하, 조혈기능, 고콜레스테롤혈증, 항스트레스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
녹용과 같은 강장에 대한 효능을 가진 생약재는 특정 장기에만 국한되어 작용하여 강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그 효과는 단일 성분 의약품에 비해 약하나 신체 전반에 걸쳐 복합적으로 효능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녹용은 설사 등의 부작용이 있어 한방에서는 수렴작용이 있는 한약과 병용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 기대효과가 감소된다. 녹용은 에탄올 등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 과정을 거치는 동안 녹용의 많은 유효성분 및 활성성분이 소실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이 발효를 함으로써 녹용의 효율을 높이고 새로운 약리효과를 기대 할 수 있게 된다.
발효는 일반적으로 유용한 미생물을 배양하여 인체에 도움을 주는 성분을 생성하고 독성 또는 부작용을 초래하는 성분을 제거하는 것이 목적이다. 발효의 과정을 거치게 되면 새로운 생리활성 부여, 유용한 장내 미생물의 증가, 흡수율 증가, 잔류농약의 감소 또는 제거 등 다양한 이점을 지니고 있어 최근에는 발효를 이용한 생물학적인 전환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유산균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를 이용하여 발효된 녹용 발효물을 통한 여성 갱년기 증상 치료에 관한 자료가 개시되거나 교시된 바가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체에 안전한 천연물 유래 여성 갱년기 증상 치료 물질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녹용 발효물이 세포 내에서 에스트로겐 활성을 갖고 에스트로겐 수용체 작용제(estrogen receptor agonist)로 작용하여, 갱년기 또는 폐경기 여성에게 나타나는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다양한 증상을 완화 또는 예방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KR 10-1829526 B
본 발명의 목적은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녹용 발효물은 녹용 추출물을 유산균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로 발효시켜 얻은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녹용 추출물은 녹용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의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속, 비피도박테리움속, 류코노스톡속, 페디오코커스속, 웨이셀라속, 스타필로코커스속, 에로코커스속 및 엔테로코커스속 유산균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산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유산균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플란타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여성 갱년기 증상은 안면홍조, 피부건조, 부정맥, 부종, 발한, 급뇨, 배뇨통, 빈뇨, 요실금, 방광염, 하부 요도 위축, 근육통, 관절통, 골다공증, 냉증, 질 건조증, 질 위축, 집중 장애, 단기 기억장애, 기억력 감퇴, 두통, 가슴 두근거림, 어지럼증, 수면 중 발한, 수면장애, 우울증, 불안증, 및 신경과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여성 갱년기 증상은 요실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조성물은 에스트로겐 수용체 작용제(agonist)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세포 내에서 에스트로겐 활성을 갖고 에스트로겐 수용체 작용제(estrogen receptor agonist)로 작용하므로, 갱년기 또는 폐경기에 나타나는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다양한 증상을 완화 또는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물 유래의 조성물이므로 부작용이 없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어, 의약품 또는 식품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은 난소의 노화로 인하여 에스트로겐의 분비가 감소됨에 따라 폐경을 전후로 걸쳐 여성에게 나타나는 증상 및 질환을 총칭하는 것으로, 안면홍조, 피부건조, 부정맥, 부종, 발한, 급뇨, 배뇨통, 빈뇨, 요실금, 방광염, 하부 요도 위축, 근육통, 관절통, 골다공증, 냉증, 질 건조증, 질 위축, 집중 장애, 단기 기억장애, 기억력 감퇴, 두통, 가슴 두근거림, 어지럼증, 수면 중 발한, 수면장애, 우울증, 불안증 또는 신경과민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조성물은 에스트로겐 활성을 갖고, 에스트로겐 수용체(estrogen receptor; ER) 작용제(agonist) 활성을 나타내어, 여성 갱년기 증상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녹용 발효물을 제조한 후, 에스트로겐 수용체-양성 유방암 세포주 MCF-7에 처리하여 ER-매개 전사활성 정도를 측정한 결과, 상기 녹용 발효물을 처리한 세포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ER-매개 전사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녹용 발효물이 에스트로겐 활성을 갖고, ER 작용제로서의 활성을 나타내므로, 갱년기 여성에서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유래된 갱년기 증상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녹용 발효물"은 녹용 추출물을 유산균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로 발효시킨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녹용을 락토바실러스속, 비피도박테리움속, 류코노스톡속, 페디오코커스속, 웨이셀라속, 스타필로코커스속, 에로코커스속 및 엔테로코커스속 유산균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산균,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로 발효시킨 것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녹용을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플란타룸(Lactobacillus paraplantarum)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산균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로 발효시킨 것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녹용을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SST-9962[기탁번호: KCCM12712P], 락토바실러스 파라플란타룸(Lactobacillus paraplantarum) SST-9961[기탁번호: KCCM12711P]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SST-9960[기탁번호: KCCM 11402P]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균주로 발효시킨 것일 수 있다.
상기 "녹용 발효물"은 당업계에서 공지된 통상의 발효방법으로 발효된 것을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녹용 추출물은 추출 원재료인 녹용에 추출 용매를 처리하여 얻은 조추출물뿐만 아니라 조추출물의 가공물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녹용 추출물은 감압 증류, 동결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상기 조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상기 녹용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의 추출물로서, 추출방법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용매로 물을 사용하는 경우 열수추출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80 내지 130 ℃,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10 ℃의 물에서 0.5 내지 24 시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 시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용매로 열수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즉 녹용 분말을 냉수 또는 실온의 물에 희석하여 혼합한 희석액에서 녹용의 성분이 추출될 수 있다. 냉수 또는 실온의 물을 이용하여 녹용 성분을 추출하는 경우 발효와 별도로 추출할 수도 있고, 유산균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를 접종하여 발효되는 과정에서 녹용으로부터 녹용의 성분이 용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수용액에 의한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탄올, 메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알코올 수용액,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중량%의 알코올 수용액,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 중량%의 알코올 수용액으로 추출할 수 있다. 알코올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 유산균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를 접종하기 전에 먼저 알코올 추출물에 함유된 알코올을 기화시켜 알코올 함량을 낮춘 농축액 또는 알코올 추출물을 농축 및 건조시킨 후 물에 용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녹용 추출물은 넓은 의미로는 녹용 분말을 물에 희석한 희석액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시험예에서 녹용 열수 추출물 또는 녹용 에탄올 수용액 추출물을 유산균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로 발효시킨 녹용 발효물에 비하여, 녹용 물 희석액을 유산균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로 발효시킨 녹용 발효물의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다소 낮지만, 발효시키지 않은 녹용 추출물에 비해서는 그 효과가 유의적으로 증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녹용 추출물에 유산균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를 접종하기 전에 균주의 생육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단백질원, 탄수화물원, 비타민 또는 무기질 등의 유산균 영양원을 추가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균주 영양원은 시중에 판매되는 배지를 이용하거나 또는 필요한 영양원만을 개별적으로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녹용 추출물, 또는 녹용 추출물과 균주 영양원의 혼합물은 유산균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를 접종하기 전에 가열 살균할 수 있다.
상기 녹용 추출물의 고형분 함량은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추출 후 다른 농축 과정이 없을 경우 1 내지 15 중량%이고, 이를 바로 사용할 수도 있고, 농축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농축 또는 건조한 후 희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속, 비피도박테리움속, 류코노스톡속, 페디오코커스속, 웨이셀라속, 스타필로코커스속, 에로코커스속 및 엔테로코커스속 유산균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산균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산균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락토바실러스 파라플란타룸,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및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유산균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플란타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유산균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플란타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균주는 균주 자체로 첨가되거나 배양액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배양액은 균주를 액체 배지에서 배양한 배양액 자체, 상기 배양액을 농축한 농축액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 발효 균주, 특히 유산균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가 1×106 내지 1×109 cfu/mL, 바람직하게는 1×106 내지 1×108 cfu/mL,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7 내지 1×108 cfu/mL 농도로 함유된 배양액을 상기 녹용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중량부로 첨가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원하는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나게 하기 위한 상기 "녹용 발효물"은, (1) 녹용 추출물을 발효용 트레이에 넣고, 녹용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산균 배양액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배양액 0.3 내지 3.0 중량부를 가한 후, (2) 20 내지 40℃에서 18 내지 96 시간,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96 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72 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48 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36 시간,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시간 동안 발효시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특히, (3) 상기 발효 이후에 2 내지 10℃에서 5 내지 24시간 동안 저온 숙성시킨 후, (4) 25 내지 35℃, 바람직하게는 28 내지 33℃에서 4 내지 8시간 동안 통풍 건조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수행하는 것이 효과 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녹용 발효물을 저온 숙성시키는 경우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 효과가 더욱 증진된다는 것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본 발명의"녹용 발효물"은 다른 방법으로 제조된 녹용 발효물, 또는 유산균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가 아닌 다른 균주에 의해 발효 및 제조된 녹용 발효물에 비해 영양 성분 함량이 더 증강될 뿐만 아니라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 효과가 더 증진된다는 것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발효를 위한 균주 중에서 유산균은 녹용 추출물에서의 생육도가 우수하므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등을 비롯한 타 균주에 비해 발효 시간이 짧은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녹용 발효물은 미생물 균체를 포함하는 발효물일 수 있고, 균체가 제거된 발효물일 수도 있다. 균체가 제거된 발효물은 발효물을 멸균하여 사균체를 포함하게 할 수도 있고, 여과 또는 원심분리를 통해 균체를 제거한 여액 또는 원심분리 상등액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는 녹용 추출물에 포함된 성분을 미생물이 증식하면서 생체 내에서 이용하기 용이한 성분으로 생물전환시키거나, 에스트로겐 활성, 즉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갖는 신규의 활성 성분이 생성되기 때문으로 예상되며, 단순한 균주 자체가 부가되어 얻을 수 있는 효과보다 현저히 상승된 것이다. 상기 녹용 발효물은 액상의 발효물을 그 자체로 사용할 수도 있고, 이를 건조하여 분말화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본 발명의 녹용 발효물의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용어 "예방"이란, 상기 여성 갱년기 증상을 억제시키거나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용어 "개선"이란, 본 발명의 녹용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투여로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용어 "치료"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상기 여성 갱년기 증상을 역전시키거나, 완화시키거나, 그 진행을 억제하거나, 또는 예방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며, 에스트로겐 활성을 갖고 에스트로겐 수용체 작용제로 작용하므로 에스트로겐 결핍으로 인한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에 현저한 효과가 있다.
하기 시험예에서는, 본 발명의 녹용 발효물이 여성 갱년기 증상에 대하여 모두 유의한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은 영양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기능식품(health functional food),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및 사료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하며, 인간 또는 가축을 비롯한 동물을 취식대상으로 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본 발명의 녹용 발효물을 캡슐, 정제, 분말, 과립, 액상, 환, 편상, 페이스트상, 시럽, 겔, 젤리 또는 바(bar) 형태로 제제화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일반 약품과는 달리 장기 복용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이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일반 식품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 햄, 소시지 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이트,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 버터, 치이즈 등), 식용식물 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각종 조미료(예: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에 상기 녹용 발효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영양보조제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캡슐, 타블렛, 환 등에 상기 녹용 발효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상기 녹용 발효물 자체를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건강음료)할 수 있도록 액상화할 수 있고,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녹용 발효물을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로 제조하거나, 추출한 후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이 건강음료 조성물로 이용되는 경우, 상기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일 수 있다. 감미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내지 0.03 g 이다.
본 발명의 녹용 발효물은 상기 식품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함유될 수 있는데, 그 양은 여성 갱년기 증상에 대하여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달성하기에 유효한 양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녹용 발효물은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2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1.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이 건강음료 조성물인 경우에는, 상기 녹용 발효물은 건강음료 조성물에 0.1 내지 100 mg/ml,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0 mg/ml,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mg/ml, 더욱 바람직하게는 의 3 내지 20 mg/ml, 더욱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5 mg/ml, 더욱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 mg/ml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녹용 발효물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이면, 세포 생존율은 우수하나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 효과가 원하는 정도로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 농도가 증가하는 만큼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 효과가 증가하지 않거나 독성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인 비트로 실험 결과, 본 발명의 녹용 발효물의 농도가 상기 범위인 경우에는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에 대하여 유의적인 효과가 나타나면서도 세포독성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녹용 발효물의 1일 투여량은 건조중량 기준으로 1 내지 100 m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mg/kg,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mg/kg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녹용 발효물의 1일 투여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이면,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 효과가 원하는 정도로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 농도가 증가하는 만큼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 효과가 증가하지 않거나 독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녹용 발효물과 함께 여성 갱년기 증상에 대하여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다른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펙트산의 염, 알긴산, 알긴산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또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식품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또는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녹용 발효물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녹용 발효물", "여성 갱년기 증상"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의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예컨대, 경구 투여용 담체 또는 비경구 투여용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담체는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용 담체는 물, 적합한 오일, 식염수, 수성 글루코스 및 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안정화제 및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안정화제로는 아황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또는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항산화제가 있다. 적합한 보존제로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메틸- 또는 프로필-파라벤 및 클로로부탄올이 있다. 그 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다음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5).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 어떠한 방법으로도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 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 투여용 또는 비경구 투여용 제제로 제형화할 수 있다. 제형화할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완충제(예를 들어, 식염수 또는 PBS), 항산화제, 정균제, 킬레이트화제(예를 들어, EDTA 또는 글루타치온),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아쥬반트(예를 들어,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현탁제, 농후제 습윤제, 붕해제 또는 계면활성제,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액제, 겔제, 시럽제, 슬러리제, 현탁액 또는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감자 전분 등 포함),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덱스트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예컨대, 활성 성분을 고체 부형제와 배합한 다음 이를 분쇄하고 적합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 과립 혼합물로 가공함으로써 정제 또는 당의정제를 수득할 수 있다.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또는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또는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으며,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적으로 투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적합한 비경구용 담체와 함께 주사제, 경피 투여제 및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 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주사제의 경우에는 반드시 멸균되어야 하며 박테리아 및 진균과 같은 미생물의 오염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주사제의 경우 적합한 담체의 예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물, 에탄올, 폴리올(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이들의 혼합물 및/또는 식물유를 포함하는 용매 또는 분산매질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합한 담체로는 행크스 용액, 링거 용액,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또는 주사용 멸균수, 10% 에탄올, 40% 프로필렌 글리콜 및 5% 덱스트로즈와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를 미생물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빈산, 티메로살 등과 같은 다양한 항균제 및 항진균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사제는 대부분의 경우 당 또는 나트륨 클로라이드와 같은 등장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피 투여제의 경우 연고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외용액제, 파스타제, 리니멘트제, 에어롤제 등의 형태가 포함된다. 상기에서 "경피 투여"는 약학적 조성물을 국소적으로 피부에 투여하여 약학적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한 양의 활성성분이 피부 내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흡입 투여제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적합한 추진제, 예를 들면, 디클로로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또는 다른 적합한 기체를 사용하여, 가압 팩 또는 연무기로부터 에어로졸 스프레이 형태로 편리하게 전달할 수 있다. 가압 에어로졸의 경우, 투약 단위는 계량된 양을 전달하는 밸브를 제공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입기 또는 취입기에 사용되는 젤라틴 캡슐 및 카트리지는 락토즈 또는 전분과 같은 적합한 분말 기제의 분말 혼합물을 함유하도록 제형화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은 모든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인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15th Edition, 1975.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ennsylvania 18042, Chapter 87: Blaug, Seymour)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녹용 발효물을 유효량으로 포함할 때 바람직한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효량'이라 함은 음성 대조군에 비해 그 이상의 반응을 나타내는 양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여성 갱년기 증상을 개선 또는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상기 녹용 발효물은 약학 조성물 총 함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2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1.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2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녹용 발효물은 약학 조성물에 대하여 0.1 내지 100 mg/ml,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0 mg/ml,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 mg/ml, 더욱 바람직하게는 의 3 내지 20 mg/ml, 더욱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5 mg/ml, 더욱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 mg/ml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녹용 발효물의 함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이면, 세포 생존율은 우수하나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 효과가 원하는 정도로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 농도가 증가하는 만큼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 효과가 증가하지 않거나 독성이 있을 수 있다. 한편, 인 비트로 실험 결과, 본 발명의 녹용 발효물의 농도가 상기 범위인 경우에는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에 대하여 유의적인 효과가 나타나면서도 세포독성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녹용 발효물의 유효량은 조성물이 제품화되는 형태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으로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질환의 정도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을 달리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녹용 발효물의 1일 투여량은 건조중량 기준으로 1 내지 100 m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mg/kg,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mg/kg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녹용 발효물의 1일 투여량이 상기 하한치 미만이면,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 효과가 원하는 정도로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상한치를 초과하는 경우 농도가 증가하는 만큼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 효과가 증가하지 않거나 독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또한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외용제의 제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피부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유화제,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활성제, 친유성 활성제 또는 지질 소낭 등 피부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피부 외용제로 제공될 경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 등의 제형일 수 있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제조예 1: 녹용 열수 추출물의 제조
국내산 녹용을 정선, 수세 후 분쇄기로 균일하게 분쇄하여 평균입자크기 300 ㎛의 녹용 분말을 제조하여 냉장보관하면서 이용하였다.
상기 녹용 분말 및 10 배 중량의 증류수를 환류추출기에 넣고 100 ℃, 3시간 동안 2회 추출한 후, 방냉하고 감압농축하여 녹용 열수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녹용 열수 추출물의 당도는 1.6 브릭스(brix)이고, 환원당 함량은 0.24%, 단백질 함량은 0.31%였다.
제조예 2: 녹용 에탄올수용액 추출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녹용 분말 및 4 배 중량의 50 중량% 에탄올 수용액을 첨가하여 3일 동안 실온에서 추출한 후, 감압농축하여 녹용 에탄올수용액 추출물을 얻었다. 상기 녹용 에탄올수용액 추출물의 당도는 1.7브릭스였다.
제조예 3: 녹용 물 희석액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녹용 분말이 2.0 중량%가 되도록 물을 혼합하여 녹용 물 희석액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녹용 추출물에서의 균주의 발효특성 - 생균수 변화
녹용 추출물에서의 유산균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의 발효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접종 후 12 및 24시간째에 생균수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하기 표 1의 유산균을 각각 MRS 브로스 배지에 접종하고 37 ℃에서 24시간 동안 정치 배양하여 활성화시킴으로써 유산균 배양액을 제조하였다.
유산균 균주명 기탁번호
Leuconostoc mesenteroides SST-9962 KCCM12712P
Lactobacillus paraplantarum SST-9961 KCCM12711P
또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SST-9960[기탁번호 : KCCM 11420P] 균주를 LB 액체배지에 접종한 후 30 ℃에서 2일간 배양하여 활성화시킴으로써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배양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제조예 1 내지 3의 녹용 추출물을 각각 4 배 중량의 증류수로 희석한 녹용 추출물에 포도당 1.5 중량%를 첨가하고, 상기 유산균 배양액(1×108 CFU/mL) 또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배양액(1×108 CFU/mL)을 0.5 중량%로 접종한 후 37 ℃에서 24시간 동안 발효한 후 생균수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생균수는 시료 1 mL를 멸균 생리식염수 9 mL에 희석하고 잘 섞은 후 단계별로 희석한 다음 0.1 mL을 취하여 anaerobic jar (BBL Gas Pak Anaerobic System)를 이용하여 최대한 혐기적인 상태로 보관하여 37 ℃에서 배양한 후 생성된 집락수를 계측하고, 그 평균 집락 수에 희석배수를 곱하여 배양액 당 colony를 산출하였다.
구분 생균수(CFU/mL)
발효 전 발효 후(제조예 1) 발효 후(제조예 2) 발효 후(제조예 3)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SST-9962
5.0×105 7.2×107 6.8×107 3.3×107
락토바실러스 파라플란타룸 SST-9961 5.0×105 2.6×107 2.2×107 1.0×107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SST-9960
5.0×105 0.8×107 0.6×107 0.4×107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효 기질로 제조예 1의 녹용 열수 추출물을 사용한 것과 제조예 2의 에탄올수용액 추출물을 사용한 것에서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제조예 3의 녹용 물 희석액을 사용한 것에서는 발효 후 생균수가 제조예 1 및 2의 생균수의 절반에 조금 못 미치는 수준이었다.
또한, Leuconostoc mesenteroides SST-9962 균주를 사용하여 제조한 배양액의 생균수가 Lactobacillus paraplantarum SST-9961 균주를 사용하여 제조한 배양액의 생균수보다 훨씬(약 3배) 많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유산균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의 녹용 추출물에서의 생육도의 비교
본 발명의 유산균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에 대하여 녹용 추출물에서의 균주 생육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조예 1의 녹용 추출물을 2배, 4배, 10배 중량의 증류수로 희석한 녹용 추출물에 포도당 1.5 중량%를 첨가하고, 상기 유산균 배양액(1×108 CFU/mL)을 0.5 중량%로 접종한 후 37 ℃에서 24시간 동안 발효한 후 균주의 생육도를 분광광도계(Optizen 2120UV, Mecasys co., Ltd., Korea)로 6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생육도(OD600)
희석 전 2배 희석 4배 희석 10배 희석
SST-9962 0.597 1.112 1.624 0.784
SST-9961 0.612 1.256 1.823 0.767
SST-9960 0.609 0.615 0.224 0.110
상기 표 3을 살펴보면, 4배 희석한 녹용 추출물에 대한 Leuconostoc mesenteroides SST-9962 균주의 생육도 및 Lactobacillus paraplantarum SST-9961 균주의 생육도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으나, 4배 희석한 녹용 추출물에 대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의 생육도는 SST-9962 균주 및 SST-9961 균주의 생육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았다.
또한, SST-9962 균주 및 SST-9961 균주의 경우 희석 전, 2배 희석 또는 10 배 희석한 녹용 추출물에 비하여 4배 희석한 녹용 추출물에서 생육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바실러스 서브틸리스의 경우 희석 전 또는 2배 희석한 녹용 추출물에서 생육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하기 실시예에서는 제조예 1의 녹용 열수 추출물을 이용하여 녹용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SST-9962 균주 또는 SST-9961 균주로 발효시키는 경우에는 녹용 추출물을 4배 희석하여 이용하고,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로 발효시키는 경우에는 녹용 추출물을 2배 희석하여 이용하였다.
실시예 1~2 : 녹용 발효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녹용 추출물을 4 배 중량의 증류수로 희석한 녹용 추출물을 121 ℃, 1.5기압, 15분간 멸균하였다. 또한, 상기 SST-9962 및 SST-9961 유산균을 각각 MRS 브로스 배지에 접종하고 37 ℃에서 24시간 동안 정치 배양하여 활성화시킴으로써 유산균 배양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녹용 추출물에 포도당 1.5 중량%를 첨가하고, 상기 준비한 각각의 유산균 배양액(1×108 CFU/mL)을 1.0 중량%로 접종한 후 37 ℃에서 24시간 동안 정치 배양하여 발효물을 얻었다.
실시예 3: 바실러스 서브틸리스로 발효시킨 녹용 발효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녹용 추출물을 2배 중량의 증류수로 희석한 녹용 추출물을 121 ℃, 1.5기압, 15분간 멸균하였다.
또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SST-9960[기탁번호 : KCCM 11420P] 균주를 LB 액체배지에 접종한 후 30 ℃에서 2일간 배양하여 활성화시킴으로써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배양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상기 녹용 추출물에 포도당 1.5 중량%를 첨가하고, 상기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배양액(1×108 CFU/mL)을 1.0 중량%로 접종한 후 30 ℃에서 3일 동안 교반속도 100 rpm의 호기 조건으로 배양하여 발효물을 얻었다.
비교예: 녹용 열수 추출물
제조예 1의 녹용 열수 추출물을 하기 시험에서의 비교예로 이용하였다.
상기 제조예 1 내지 3 및 비교예의 녹용 추출물 및 발효 균주를 정리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녹용 추출물 발효균주명
실시예 1 제조예 1 Leuconostoc mesenteroides SST-9962
실시예 2 제조예 1 Lactobacillus paraplantarum SST-9961
실시예 3 제조예 1 Bacillus subtilis SST-9960
비교예 제조예 1 -
시험예 3: 세포독성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녹용 발효물이 유방암세포주인 MCF7 세포에 3x estrogen response element(ERE)를 promoter region에 함유하고 luciferase를 reporter gene으로 사용하고 있는 plasmid를 영구 transfection 시킨 MCF7/ERE 세포(에스트로겐 수용체(ER)가 내재적으로 발현되어 있는 MCF-7 세포)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즉 세포독성을 아래의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MCF7/ERE 세포를 96 well plate에 1.2 X 104개 농도로 깔고 24시간 경과 후 시료를 여러 농도로 처리하였다. 37℃, 5% CO2 배양기에서 다시 24시간 배양한 후 세포독성을 CellTiter 96 AQueous Non-Radioactive Cell Proliferation Assay kit (Promega, USA)를 사용하여 MTS assay를 실시하였다. 세포배양액을 제거한 후 MTS (3-(4,5-dimethylthiazol-2-yl)-5-(3-carboxymethoxyphenyl)-2-(4-sulfopheny)-2Htetrazolium) 용액을 함유한 배지로 교체하고, 37℃에서 1시간동안 방치한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파장 490 nm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시험군의 세포 생존율을 음성대조군에 대한 상대 비율로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음성대조군으로 시료 대신 DMSO만을 0.1 % 처리한 무처리군, 양성대조군으로 E2(17β-estradiol)(ER agonist, Sigma)를 1 nM로 처리한 시험군을 이용하였다.
구분 세포 생존율(%)
시료 처리농도(㎍/mL)
10 50 100 200 500
음성대조군 (DMSO 0.1%) 100
양성대조군 (E2, 1 nM) 93.4
실시예 1 113.1 132.3 116.5 99.7 94.9
실시예 2 108.6 124.5 110.2 101.2 95.4
실시예 3 108.7 126.1 109.9 102.4 93.8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녹용 발효물이 500 ㎍/mL 농도까지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생체 외( in vitro ) 에스트로겐 활성
4-1: 에스트로겐 활성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에 따른 녹용 발효물의 생체 외(in vitro) 에스트로겐 활성 확인을 위하여 루시퍼라아제 리포터 유전자 분석을 다음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5% charcoal stripped FBS phenol-red free DMEM 배지로 24시간 배양한 MCF7/ERE 세포를 96 well plate에 well 당 1.2 X 104개의 세포를 깔고 24시간 경과 후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녹용 발효물을 각각 여러 농도로 처리하였다. 37℃, 5% CO2 배양기에서 다시 24시간 배양한 다음, 세포를 lysis시켰다. 이후, mono luciferase assay kit(Promega, USA)를 사용하여 상기 Lysates 내의 luciferase 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Lysate내 총단백질량을 Bio-Rad protein assay kit (Bio-Rad, USA)로 정량하여 luciferase 값을 보정하였다. 각각의 시험군의 에스트로겐 활성을 양성대조군에 대한 상대 비율로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에스트로겐 활성 (Relative luciferase activity, %)
시료 처리농도(㎍/mL)
6.25 12.5 25 50 100
음성대조군 (DMSO 0.1%) -
양성대조군 (E2, 100 pM) 100
실시예 1 23.1 72.3 116.5 123.7 106.9
실시예 2 18.6 64.5 100.2 111.2 95.4
실시예 3 18.7 56.1 89.9 102.4 83.8
비교예 9.4 11.6 21.7 33.5 34.6
상기 표 6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의 녹용 발효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에스트로겐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2: 에스트로겐 수용체 저해제와 함께 처리한 경우의 에스트로겐 활성
한편,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MCF7/ERE 세포에 실시예에 따른 녹용 발효물(50 ㎍/mL)을 에스트로겐 수용체 저해제인 ICI 182.770 (ICI)와 함께 처리한 후 에스트로겐 활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7에 음성대조군에 대한 상대 비율로 나타내었다.
구분 에스트로겐 활성 (Relative luciferase activity, %)
음성대조군 (DMSO 0.1%) -
양성대조군 (E2, 100 pM) 100
ICI 100 nM 3.4±0.2
E2 100 pM + ICI 100 nM 5.6±0.3
실시예 1 + ICI 100 nM 4.1±0.2
실시예 2 + ICI 100 nM 3.8±0.3
실시예 3 + ICI 100 nM 3.7±0.1
상기 표 7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른 녹용 발효물은 에스트로겐 수용체 저해제인 ICI 182.770와 함께 처리하는 경우 에스트로겐 활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볼 때, 본 발명의 녹용 발효물의 에스트로겐 활성이 에스트로겐 수용체에 의존적인 것을 알 수 있다.
4-3: ERα 또는 ERβ 매개 에스트로겐 활성
HEK293T 세포를 48-well plate에 4.0 x 104 cells/well 농도로 seeding하고 24시간 경과 후 배지를 제거한 후, ER-α-plasmid 또는 ER-β-plasmid, pERE reporter gene plasmid, pRL-TK, lipofectamine 2000 (invitrogen, USA)를 혼합한 것을 5% charcoal stripped FBS phenol-red free DMEM에 섞은 배지로 교체하여 일시적으로 transfection 시켰다. 24시간 경과 후 실시예 1 내지 3에 따른 녹용 발효물 각각을 여러 농도로 처리하였다. 이후, 37℃, 5% CO2 배양기에서 다시 24시간 배양한 후 세포를 lysis 시켜 얻은 lysates내의 luciferase 활성을 dual luciferase assay kit(Promega,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여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결과는 firefly luciferase 활성과 pRL-TK 유래 renilla luciferase 활성의 비율로 결정하였다.
구분 (㎍/mL) Relative luciferase activity (%)
ERα ERβ
음성대조군 (DMSO 0.1%) 100
양성대조군 (E2, 1 nM) 688.5 690.3
실시예 1 10 ㎍/mL 395.6 662.3
50 ㎍/mL 591.3 780.5
100 ㎍/mL 480.1 771.3
실시예 2 10 ㎍/mL 331.2 592.1
50 ㎍/mL 523.4 701.3
100 ㎍/mL 420.6 690.2
실시예 3 10 ㎍/mL 320.7 573.5
50 ㎍/mL 506.9 680.2
100 ㎍/mL 405.8 668.2
비교예 10 ㎍/mL 131.3 140.2
50 ㎍/mL 220.6 260.5
100 ㎍/mL 235.7 252.3
상기 표 8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녹용 발효물은 ER-β(에스트로겐 수용체 베타) 매개 에스트로겐 활성이 ER-α(에스트로겐 수용체 알파) 매개 에스트로겐 활성에 비해 훨씬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4~42 : 녹용 발효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되, 실시예 1~2의 유산균 대신 하기 표 9의 유산균으로 대체하여 녹용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9의 유산균들은 누룩, 김치 등의 전통식품 및 시판 요구르트로부터 분리한 것으로, 출원인이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던 균주들이다. 하기 균주명은 각 균주의 학명의 약어, 또는 이에 자체 번호를 부여한 것이다.
구분 균주명
실시예 4 Leuconostoc mesenteroides LM-2
실시예 5 Leuconostoc mesenteroides LM-3
실시예 6 Leuconostoc lactis LL
실시예 7 Lactobacillus plantarum LP-2
실시예 8 Lactobacillus paraplantarum LP-3
실시예 9 Lactobacillus plantarum LP-4
실시예 10 Lactobacillus plantarum LP-5
실시예 11 Lactobacillus sakei LS-1
실시예 12 Lactobacillus sakei LS-2
실시예 13 Lactobacillus sakei LS-3
실시예 14 Lactobacillus sakei LS-4
실시예 15 Lactobacillus sakei LS-5
실시예 16 Lactobacillus arizonensis LA-1
실시예 17 Lactobacillus arizonensis LA-2
실시예 18 Lactobacillus johnsonii LJ
실시예 19 Lactobacillus pentosus LPE
실시예 20 Lactobacillus brevis LB
실시예 21 Lactobacillus hayakitensis LH-1
실시예 22 Lactobacillus hayakitensis LH-2
실시예 23 Lactococcus taiwanensis LT
실시예 24 Pediococcus pentosaceus PP-1
실시예 25 Pediococcus pentosaceus PP-2
실시예 26 Pediococcus pentosaceus PP-3
실시예 27 Pediococcus pentosaceus PP-4
실시예 28 Pediococcus pentosaceus PP-5
실시예 29 Pediococcus pentosaceus PP-6
실시예 30 Pediococcus pentosaceus PP-7
실시예 31 Pediococcus pentosaceus PP-8
실시예 32 Pediococcus pentosaceus PP-9
실시예 33 Pediococcus pentosaceus PP-10
실시예 34 Pediococcus pentosaceus PP-11
실시예 35 Weissella confusa WC
실시예 36 Enterococcus raffinosus ER-1
실시예 37 Enterococcus raffinosus ER-2
실시예 38 Enterococcus faecalis EF
실시예 39 Staphylococcus warneri SW
실시예 40 Staphylococcus xylosus SX
실시예 41 Bifidobacterium bifidum BB
실시예 42 Aerococcus urinaeequi AU
시험예 5: 생체 외( in vitro ) 에스트로겐 활성
상기 시험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MCF7/ERE 세포에 실시예 1~2의 유산균 이외의 유산균으로 발효한 녹용 발효물을 50 ㎍/mL 농도로 처리한 후, 에스트로겐 활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구분 균주 에스트로겐 활성
(% of 대조군)
양성대조군(E2) - 100
비교예 - 33.5±0.5
실시예 4 Leuconostoc mesenteroides LM-2 56.2±1.3
실시예 7 Lactobacillus plantarum LP-2 60.4±0.9
실시예 8 Lactobacillus paraplantarum LP-3 57.1±0.6
실시예 12 Lactobacillus sakei LS-2 64.4±1.4
실시예 13 Lactobacillus sakei LS-3 66.1±0.8
실시예 21 Lactobacillus hayakitensis LH-1 70.6±1.7
실시예 22 Lactobacillus hayakitensis LH-2 68.3±1.4
실시예 23 Lactococcus taiwanensis LT 67.5±0.6
실시예 28 Pediococcus pentosaceus PP-5 62.4±0.7
실시예 33 Pediococcus pentosaceus PP-10 61.6±0.4
실시예 34 Weissella confusa WC 69.4±1.1
실시예 40 Staphylococcus xylosus SX 66.7±2.6
상기 표 10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의 균주 이외의 유산균으로 발효한 녹용 발효물이 비교예에 비해 에스트로겐 활성이 더욱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실시예 1 및 2의 균주 이외의 유산균으로 발효한 녹용 발효물의 경우에도 에스트로겐 활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시험예 6: 녹용 추출물에서의 기타 유산균들의 생육도
실시예 1 및 2의 유산균 이외의 다른 유산균들도 녹용 추출물(4배 희석)에서 높은 생육도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고자, 상기 시험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유산균 생육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구분 균주명 생육도(O.D. 600nm)
실시예 4 Leuconostoc mesenteroides LM-2 1.623
실시예 5 Leuconostoc mesenteroides LM-3 1.522
실시예 6 Leuconostoc lactis LL 1.526
실시예 7 Lactobacillus plantarum LP-2 1.700
실시예 8 Lactobacillus paraplantarum LP-3 1.550
실시예 9 Lactobacillus plantarum LP-4 1.646
실시예 10 Lactobacillus plantarum LP-5 1.544
실시예 11 Lactobacillus sakei LS-1 1.695
실시예 12 Lactobacillus sakei LS-2 1.584
실시예 13 Lactobacillus sakei LS-3 1.676
실시예 14 Lactobacillus sakei LS-4 1.584
실시예 15 Lactobacillus sakei LS-5 1.637
실시예 16 Lactobacillus arizonensis LA-1 1.649
실시예 17 Lactobacillus arizonensis LA-2 1.530
실시예 18 Lactobacillus johnsonii LJ 1.851
실시예 19 Lactobacillus pentosus LPE 1.570
실시예 20 Lactobacillus brevis LB 1.564
실시예 21 Lactobacillus hayakitensis LH-1 1.595
실시예 22 Lactobacillus hayakitensis LH-2 1.563
실시예 23 Lactococcus taiwanensis LT 1.643
실시예 24 Pediococcus pentosaceus PP-1 1.635
실시예 25 Pediococcus pentosaceus PP-2 1.631
실시예 26 Pediococcus pentosaceus PP-3 1.618
실시예 27 Pediococcus pentosaceus PP-4 1.602
실시예 28 Pediococcus pentosaceus PP-5 1.560
실시예 29 Pediococcus pentosaceus PP-6 1.560
실시예 30 Pediococcus pentosaceus PP-7 1.524
실시예 31 Pediococcus pentosaceus PP-8 1.516
실시예 32 Pediococcus pentosaceus PP-9 1.548
실시예 33 Pediococcus pentosaceus PP-10 1.515
실시예 34 Pediococcus pentosaceus PP-11 1.537
실시예 35 Weissella confusa WC 1.918
실시예 36 Enterococcus raffinosus ER-1 1.792
실시예 37 Enterococcus raffinosus ER-2 1.518
실시예 38 Enterococcus faecalis EF 1.606
실시예 39 Staphylococcus warneri SW 1.710
실시예 40 Staphylococcus xylosus SX 1.654
실시예 41 Bifidobacterium bifidum BB 1.574
실시예 42 Aerococcus urinaeequi AU 1.546
상기 표 11을 살펴보면, 녹용 발효물의 유산균 생육도(OD600)는 1.515 ~ 1.918 범위로 나타나, 유산균들이 녹용 추출물 내에서 매우 높은 생육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7: 녹용 발효물의 발효특성 - pH 변화
유산균의 종류 및 배양시간에 따른 pH 변화를 하기 표 12에 나타내었다. 상기 pH는 시료 10 mL을 취한 후 pH meter(Seven Compact, Mettler Toledo, Switzerland)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측정하였다.
구분 균주명 0 시간 24 시간
실시예 2 Leuconostoc mesenteroides SST-9962 6.42 5.28
실시예 6 Leuconostoc lactis LL 6.42 5.40
실시예 7 Lactobacillus plantarum LP-2 6.42 5.22
실시예 11 Lactobacillus sakei LS-1 6.41 5.38
실시예 16 Lactobacillus arizonensis LA-1 6.42 5.47
실시예 17 Lactobacillus johnsonii LJ 6.42 5.50
실시예 18 Lactobacillus pentosus LPE 6.42 5.46
실시예 20 Lactobacillus brevis LB 6.42 5.41
실시예 21 Lactobacillus hayakitensis LH-1 6.42 5.51
실시예 23 Lactococcus taiwanensis LT 6.41 5.42
실시예 28 Pediococcus pentosaceus PP-5 6.42 5.45
실시예 35 Weissella confusa WC 6.42 5.49
실시예 36 Enterococcus raffinosus ER-1 6.42 5.44
실시예 38 Enterococcus faecalis EF 6.42 5.47
실시예 39 Staphylococcus warneri SW 6.42 5.64
실시예 40 Staphylococcus xylosus SX 6.42 5.58
실시예 41 Bifidobacterium bifidum BB 6.42 5.65
상기 표 12를 살펴보면, 유산균 별로 pH 변화를 비교하면 Leuconostoc mesenteroides SST-9962 및 Lactobacillus plantarum LP-2가 다른 균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한편, 유산균이 동일할 경우 기질로 제조예 1의 녹용 열수 추출물, 제조예 2의 녹용 에탄올 추출물, 제조예 3의 녹용 물 희석액을 사용하는 배양액의 pH에는 거의 차이가 없었고, 제조예 3의 경우 나머지에 비해 24 시간째의 pH가 다소 높았다.
시험예 8: 갱년기 증상 완화 효과
8-1: 갱년기 증상 설문 지표(쿠퍼만 지수)
쿠퍼만 지수(Kupperman Index)는 갱년기 증상을 평가하는 척도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설문이며, 갱년기 증상 정도를 기록하여 점수화한 것이다. 12가지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4점 척도(0-없음, 1-약간, 2-보통, 3-심함)를 사용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갱년기 증상이 심한 것으로 판단한다. 쿠퍼만 지수 평가항목은 하기 표 13과 같다. 통상적으로, 쿠퍼만 지수가 5~10점인 경우는 경미한 갱년기 상태이고, 10~15점인 경우는 중증도의 갱년기 상태이며, 15점 이상은 심한 갱년기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쿠퍼만 지수는 갱년기 증상의 진행 상황을 보다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설문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지표들 중 하나로서, KFDA 갱년기 여성건강 기능성 허가시 임상 지표로도 이용된다. 따라서, 실험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쿠퍼만 지수는 해당 물질이 여성 갱년기 증상을 개선, 또는 여성 갱년기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입증할 수 있다. 실험에 참가할 갱년기 여성은 하기 기준에 따라 선정하였다.
- 하기 표 13의 갱년기 증상 자가 진단표의 합계 점수(쿠퍼만 지수)가 10점 이상의 점수를 나타내는 자
- 47세~56세 여성 중 최근 6개월 동안 생리가 불규칙해지거나 2개월 이상 무월경 상태가 지속 되는 자
- 피부 질환을 포함하는 급, 만성 신체 질환이 없는 건강한 자
- 열나는 질병(감기, 독감)에 걸리지 않는 자
상기 기준을 충족하는 여성으로, 최근 3개월 이내에 여성호르몬 치료를 받은 자 또는 수술적으로 폐경한 자, 갱년기 증상 개선을 위한 약을 복용하고 있는자, 또는 질환으로 치료 중이거나 약을 복용하는 자는 제외하고, 총 60 명의 갱년기 여성을 피실험자로 선별하였다. 상기 선별된 여성들의 연령대는 평균 50.76±2.52세였으며, 4주 동안의 실험기간을 거쳤다.
설문내용 답변
없다 경미 중간 심함

쿠퍼만지수
1. 안면홍조-얼굴이 화끈거림 0 4 8 12
- 얼굴이 아침, 저녁 느닷없이 붉어진다.
- 목뒤로부터 열감을 느끼거나, 붉은 반점이 보인다.
2. 발한 0 2 4 6
- 밤에 식은땀이 난다.
3. 불면증 0 2 4 6
- 잠들기 어렵거나 깨어나서 다시 자기 어렵다.
- 잠자는 도중 열감 때문에 잠을 설치는 횟수가 늘었다.
4. 신경질 0 2 4 6
- 감정조절이 안되거나 짜증이 난다.
- 괜히 불안해진다.
5. 우울증 0 1 2 3
- 울적한 느낌이 들때가 있다.
6. 어지럼증 0 1 2 3
- 현기증이 난다.
7. 피로감 0 1 2 3
- 쉽게 지치고 피로감이 오래간다.
8. 관절통 및 근육통 0 1 2 3
- 관절 마디나 근육에 통증이 느껴진다.
9. 두통 0 1 2 3
- 머리가 아프다.
10. 가슴 두근거림 0 1 2 3
- 가슴이 두근두근 거린 적이 있다.
11. 의주감 - 가려움 0 1 2 3
- 피부가 간지러워 불편하다.
질건조증 12. 질건조 및 분비물 감소 0 1 2 3
- 질 부위가 가만히 앉아 있어도 따끔거린다.
- 외음부가 가렵다.
- 부부관계시 질부위가 건조하여 불편함/통증을 느낀다.
합계
8-2: 갱년기 증상 완화 효과 확인
실시예 및 비교예의 녹용 발효물을 상기 선정된 갱년기 여성들에게 건조중량으로 20 mg/kg/day씩 4주간 섭취하도록 한 후, 쿠퍼만 지수의 변화를 하기 표 14에 나타내었다.
쿠퍼만 지수(n=60) 복용 전 복용 4주 후
대조군 18.23 18.16
비교예 18.20 16.57
실시예 1 18.12 9.05
실시예 2 18.31 11.20
실시예 3 18.27 12.63
실시예 4 18.06 14.31
실시예 7 18.33 14.16
실시예 8 18.17 14.45
실시예 12 18.16 13.53
실시예 13 18.09 13.24
실시예 21 18.25 13.06
실시예 22 18.22 13.31
실시예 23 18.18 13.65
실시예 28 18.13 13.77
실시예 33 18.26 13.78
실시예 34 18.11 13.05
실시예 40 18.24 13.11
상기 표 14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녹용 발효물을 복용한 갱년기 여성은 갱년기 증상 지수가 개선되며, 4주 복용 후에는 상당한 개선 효과를 나타내어, 본 발명의 녹용 발효물이 갱년기 증상 완화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9: 요실금 증상 완화
9-1: 요실금 개선 효과
갱년기 여성들 중에서 요실금 증상이 있는 23명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되, 각각의 시험군(대조군,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및 비교예) 당 4주씩 총 20주간 실험을 실시하였다. 상기 23명의 여성들 중 기침, 재채기, 무거운 것 등을 들 때, 그리고 줄넘기 등 배에 힘이 들어가 복압이 상승됨으로 인해 요실금이 생기는 grade Ⅰ의 요실금 환자는 9명, 앉았다 일어설 때, 걸어갈 때 등 작은 움직임에도 요실금이 있는 grade Ⅱ의 요실금 환자는 7명, 서 있거나, 앉아 있거나 자세와 활동과는 관계없이 항상 요실금이 있는 grade Ⅲ의 요실금 환자는 7명이었다.
상기 요실금 증상이 있는 여성들에게 실시예 및 비교예의 녹용 발효물을 건조중량으로 20 mg/kg/day씩 각각 4주간 섭취하도록 하였으며, 각각 4주간의 섭취를 종료한 후 설문조사를 한 결과를 하기 표 15에 나타내었다.
구분(단위: 명) 효과 없음 효과 약간 있음 효과 아주 있음
대조군 23 0 0
비교예 15 8 0
실시예 1 1 12 10
실시예 2 3 12 8
실시예 3 4 13 6
상기 표 15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녹용 발효물이 대조군 또는 비교예에 비해 요실금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9-2: 요누출시 복압 변화 측정
상기 9-1의 실험에서 각각의 녹용 발효물에 유의한 효과를 보인 환자 5명을 선발하여 각각 요누출시복압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6에 나타내었다. 요누출시복압 (valsalva leak point pressure, VLPP) 검사는 요도를 통해 방광 내 소변을 유출시키는 복압에 저항하는 요도의 능력을 정량화함으로써 요도괄약근의 기능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복압성요실금 환자에서 내인성요도괄약근기능부전을 감별하는 유용한 검사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요누출시복압 측정을 위해 방광내압술 후에 방광을 비우고 150∼200 ml의 생리식염수를 천천히 주입하였으며 이 때 안정된 방광내압을 보이면 생리식염수 주입을 중단하고 변환기의 높이를 치골접합부의 높이로 조정한 후 앉은 자세에서 환자에게 서서히 배에 힘을 주게 하면서 요도로 요누출이 있는지 직접 육안으로 관찰하고, 요도로 요누출이 있을 당시의 방광 내압을 2∼3회 측정하여 가장 낮은 방광내압 수치를 요누출시복압으로 하였다.
구분(cmH2O) 복용 전 복용 4주 후
대조군 54.2 52.6
비교예 54.2 56.8
실시예 1 54.2 65.4
실시예 2 54.2 62.6
실시예 3 54.2 61.2
상기 표 16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녹용 발효물이 요누출시복압을 증가시킴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녹용 발효물의 섭취 전후로 갱년기 여성의 혈압과 맥박수를 디나맵(Dinamap) 반자동 혈압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본 발명의 녹용 발효물이 유의할만한 확장기 또는 수축기 혈압의 변화, 또는 맥박수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것을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의 시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또는 의약품의 제조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상기 여성 갱년기 증상에 대한 예방 및 치료 효과가 뛰어난 녹용 발효물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조성성분 및 조성비에 따라 제조예 4 및 5에서 식품 및 의약품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서 제조하였다.
<제조예>
제조예 4. 식품의 제조
제조예 4-1.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실시예 1의 녹용 발효물 1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기능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조예 4-2. 기능성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의 녹용 발효물 100 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기능성 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조예 4-3. 캔디
설탕 60 중량%, 물엿 39.8 중량% 및 향료 0.1 중량%와 상기 실시예 1의 녹용 발효물 0.1 중량%를 배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캔디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5. 의약품의 제조
제조예 5-1. 산제
실시예 1의 녹용 발효물 20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5-2. 정제
실시예 1의 녹용 발효물 5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5-3. 캅셀제
실시예 1의 녹용 발효물 50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5-4. 액제
실시예 1의 녹용 발효물 10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또한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9)

  1. 녹용 추출물을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얻은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유산균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Leuconostoc mesenteroides) SST-9962 균주 (수탁번호: KCCM12712P)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플란타룸 (Lactobacillus paraplantarum) SST-9961 균주 (수탁번호: KCCM12711P)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녹용 추출물은 녹용을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성 갱년기 증상은 안면홍조, 피부건조, 부정맥, 부종, 발한, 급뇨, 배뇨통, 빈뇨, 요실금, 방광염, 하부 요도 위축, 근육통, 관절통, 골다공증, 냉증, 질 건조증, 질 위축, 집중 장애, 단기 기억장애, 기억력 감퇴, 두통, 가슴 두근거림, 어지럼증, 수면 중 발한, 수면장애, 우울증, 불안증, 및 신경과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성 갱년기 증상은 요실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에스트로겐 수용체 작용제(agonis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9. 녹용 추출물을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얻은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되,
    상기 유산균은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Leuconostoc mesenteroides) SST-9962 균주 (수탁번호: KCCM12712P) 및 락토바실러스 파라플란타룸 (Lactobacillus paraplantarum) SST-9961 균주 (수탁번호: KCCM12711P)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210030856A 2021-03-09 2021-03-09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23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856A KR102623362B1 (ko) 2021-03-09 2021-03-09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856A KR102623362B1 (ko) 2021-03-09 2021-03-09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504A KR20220126504A (ko) 2022-09-16
KR102623362B1 true KR102623362B1 (ko) 2024-01-11

Family

ID=83445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0856A KR102623362B1 (ko) 2021-03-09 2021-03-09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362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9526B1 (ko) 2016-03-03 2018-02-19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발효 녹용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면역 강화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권순영 외 1명. 한국식품과학회지 50(1): 37-43(2018.02.28.)*
유리. 경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2014.02.)*
중앙일보에 게재된 기사 ‘원기 북돋는 대표 보약재 녹용, 발효시키니 독성 줄고 효능 극대화’(2020.09.2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504A (ko) 202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7060B1 (ko) 발효 녹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00088887A (ko) 피페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US20230143524A1 (en) A novel strain of lactobacillus reuteri lm1071 separated from breast milk,and composition for relieving premenstrual syndrome comprising the strain or its culture fluid
KR20150005430A (ko) 월경 전기 증후군 및 월경통 완화의 기능을 갖는 조성물
KR102456356B1 (ko) 락토바실러스 혼합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완화용 조성물
KR102021774B1 (ko) 배변촉진용 또는 다이어트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40150707A1 (en) Novel strain of lactobacillus gasseri lm1065 separated from breast milk, and composition of relieving premenstrual syndrome comprising the strain or its culture fluid
KR20200101113A (ko) 구절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143692A (ko) 미강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졸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63141B1 (ko) 백년초 추출물, 여주 추출물 및 시계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갱년기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98594A (ko)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또는 알레르기성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1656943A1 (en) Extract from plant of japanese parsley famil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7479833B2 (ja) エストロゲン様活性剤組成物
KR102167958B1 (ko) 아마란스 또는 곡류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및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174701B1 (ko) 진저레논 에이를 포함하는 비만 예방용 식품 조성물, 비만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비만 치료용 동물용 의약품
KR101076223B1 (ko) 한약재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16801B1 (ko) 5-(3&#39;&#39;,4&#39;&#39;-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또는 5-(3&#39;&#39;,4&#39;&#39;-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유도체를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용 식품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치료용 약품 조성물
KR102623362B1 (ko)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증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00129571A (ko) 정자수 증가와 환경호르몬 예방효과를 갖는 성기능 개선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성기능 개선용 식품
KR102158134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465484B1 (ko)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68124B1 (ko) 발효반죽 유래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퍼멘텀 lm1020 균주, 및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포함하는 월경전 증후군 완화용 조성물
KR102447966B1 (ko) 녹용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 또는 근육 손상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23366B1 (ko) 녹용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40097813A (ko) 식욕억제, 체지방 감소 및 배변 활성화등 3가지 기능을 갖는 항비만 기능성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