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8197B1 - 특정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렙틴 분비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특정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렙틴 분비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8197B1
KR101358197B1 KR1020110070827A KR20110070827A KR101358197B1 KR 101358197 B1 KR101358197 B1 KR 101358197B1 KR 1020110070827 A KR1020110070827 A KR 1020110070827A KR 20110070827 A KR20110070827 A KR 20110070827A KR 101358197 B1 KR101358197 B1 KR 101358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ptin
ginsenoside
composition
concentration
gluc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0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0192A (ko
Inventor
김인호
한대석
윤은숙
한태원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070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8197B1/ko
Publication of KR20130010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0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8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8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23L29/035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heteroat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베타-D-글루칸(β-D-glucan), 헤스페레틴(hesperetin), 세로토닌(serotonin), 멜라토닌(melatonin), α-토코페롤(α-Tocopherol), 진세노사이드-Rb1(ginsenoside-Rb1), 진세노사이드-Rg1(ginsenoside-Rg1) 및 나린제닌(naringen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는 식욕억제 호르몬인 렙틴(leptin) 분비 촉진용 조성물 및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베타-D-글루칸(β-D-glucan), 헤스페레틴(hesperetin), 세로토닌(serotonin), 멜라토닌(melatonin), α-토코페롤(α-Tocopherol), 진세노사이드-Rb1(ginsenoside-Rb1), 진세노사이드-Rg1(ginsenoside-Rg1) 및 나린제닌(naringen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욕억제 호르몬인 렙틴(leptin) 분비 촉진용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특정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렙틴 분비 촉진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omoting leptin secretion comprising specific compounds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베타-D-글루칸(β-D-glucan), 헤스페레틴(hesperetin), 세로토닌(serotonin), 멜라토닌(melatonin), α-토코페롤(α-Tocopherol), 진세노사이드-Rb1(ginsenoside-Rb1), 진세노사이드-Rg1(ginsenoside-Rg1) 및 나린제닌(naringen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는 식욕억제 호르몬인 렙틴(leptin) 분비 촉진용 조성물 및 렙틴(leptin) 분비 촉진용 기능성 식품에 관한 것이다.
비만인구는 BMI(body mass index) 30 이상인 경우를 기준으로 미국이 전 인구의 32%로 가장 높으며, 멕시코가 30%, 영국 23%, 그리스, 호주, 뉴질랜드가 21%로 비만인구가 높은 국가들이 있다. 우리나라는 전 인구의 3.5%인 150~200만 명이 비만 인구이나, 식생활의 서구화, 다원화 등의 이유로 비만 인구가 매우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비만은 당뇨, 고혈압, 심혈관이상, 암, 정신적 고통 등 성인병 유발에서 사망원인의 일부에까지 이르게 되었으며 국가 생산성, 활동성 및 경쟁력에도 영향을 미친다. 특히 식생활과 교육환경의 변화를 많이 겪게 된 우리나라 소아, 청소년의 비만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소아당뇨 등 발병된 후 치료회복이 쉽지않은 심각성을 야기하고 있다.
비만억제 관련 치료는 약물투여, 운동, 식이요법, 정신치료, 수술요법 등 다양한 시도가 있어왔으나 특정한 방법에 의하여 개선되기는 어려우며 복합적인 치료와 환자의 의지가 중요하다. 약물투여의 경우 지방분해나 소화효소저해에 의한 방법을 원리로 약제가 개발되었으나 부작용을 동반하고 있다.
비만의 해결방법으로 생성 및 축적된 비만세포를 분해하거나 소화효소를 저해하는 방법이 보편적으로 시도되었으나, 섭취하는 식품의 소화저해나 생성된 지방을 분해한다고 하더라도 비만환자의 폭식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다량의 식품이 체내에 공급된다면 소화저해나 지방분해는 섭취하는 속도와 양에 비하여 역할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식품의 섭취를 근본적으로 조절하는 식욕조절(appetite control)은 근본적인 해결에 대한 접근방법이 될 수 있으며, 식품성분 조성물에 의한 식욕억제는 최초 시도로서 신규성, 독창성 및 진보성을 갖는 발명으로서 의의를 갖는다.
현재 식욕조절에 의한 비만억제는 약물로서 Reductil이 출시된 적이 있으나 식욕부진, 불면, 우울, 혈압 상승 등의 부작용을 동반하여 식품이나 천연물에 의한 접근이 요구된다. 따라서,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식욕억제 식품소재로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여 비만억제에 기여할 수 있는 식욕억제를 위한 조성물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비만억제의 해결수단으로서 식품성분 조성물에 의한 식욕억제 방법을 최초로 개발하였으며, 식욕억제 효과를 증명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식욕을 억제하는 렙틴(leptin)을 촉진하는 시험계를 최초로 발굴하여 세포분화도에 따라 식품성분을 적용하고 식욕억제 효과를 과학적으로 검증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2004-0097813호에는 식욕억제, 체지방 감소 및 배변 분비화 등 3가지 기능을 갖는 항비만 기능성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2004-0036111호에는 인삼 및 폴리페놀계 물질 또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을 포함하는 식물의 분말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용 식품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특정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렙틴 분비 촉진용 조성물과는 상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식욕을 억제시킬 수 있는 기능성 소재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으나, 체지방분해, 소화저해 방법의 한계성 및 부작용 등 안전성의 문제 때문에 많은 제약을 받고 있는 요즘, 식품성분이면서 식욕을 억제할 수 있는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베타-D-글루칸(β-D-glucan), 헤스페레틴(hesperetin), 세로토닌(serotonin), 멜라토닌(melatonin), α-토코페롤(α-Tocopherol), 진세노사이드-Rb1(ginsenoside-Rb1), 진세노사이드-Rg1(ginsenoside-Rg1) 및 나린제닌(naringen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욕억제 호르몬인 렙틴(leptin) 분비 촉진용 조성물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비만억제의 해결수단으로서 식품성분 조성물에 의한 식욕억제 방법을 최초로 개발하였으며, 식욕억제 효과를 증명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식욕을 억제하는 렙틴(leptin)을 촉진하는 시험계를 최초로 발굴하여 세포분화도에 따라 식품성분을 적용하고 식욕억제효과를 과학적으로 검증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베타-D-글루칸(β-D-glucan), 헤스페레틴(hesperetin), 세로토닌(serotonin), 멜라토닌(melatonin), α-토코페롤(α-Tocopherol), 진세노사이드-Rb1(ginsenoside-Rb1), 진세노사이드-Rg1(ginsenoside-Rg1) 및 나린제닌(naringen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는 식욕억제 호르몬인 렙틴(leptin) 분비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베타-D-글루칸(β-D-glucan), 헤스페레틴(hesperetin), 세로토닌(serotonin), 멜라토닌(melatonin), α-토코페롤(α-Tocopherol), 진세노사이드-Rb1(ginsenoside-Rb1), 진세노사이드-Rg1(ginsenoside-Rg1) 및 나린제닌(naringen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욕억제 호르몬인 렙틴(leptin) 분비 촉진용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식욕억제 효과를 증명하는 방법에서도 식욕을 억제하는 렙틴(leptin)의 분비를 촉진하는 시험계를 최초로 발굴하여 세포분화도에 따라 식품성분을 적용하고 식품성분의 식욕억제효과를 과학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특정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렙틴(leptin) 분비를 촉진함으로써 식욕억제에 효과적이며, 식품성분을 이용하기 때문에 장기간 복용하여도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고,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어, 식욕억제를 위한 기능성 식품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이 될 것이다.
또한 식욕억제 효과를 증명하는 방법에서도 식욕을 억제하는 렙틴(leptin) 시험계를 최초로 발굴하여 세포분화도에 따라 식품성분을 적용함으로써 식욕억제효과를 과학적으로 검증하는 모델을 최초로 제공하였다.
도 1은 3T3-L1 세포에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을 0.01~10 ㎍/㎖의 농도로 각각 첨가하였을 때 대조구와 비교하여 렙틴(leptin)의 농도를 측정한 것이다.
도 2는 3T3-L1 세포에 베타-D-글루칸(β-D-glucan)을 0.01~10 ㎍/㎖의 농도로 각각 첨가하였을 때 대조구와 비교하여 렙틴(leptin)의 농도를 측정한 것이다.
도 3은 3T3-L1 세포에 헤스페레틴(hesperetin)을 0.01~10 ㎍/㎖의 농도로 각각 첨가하였을 때 대조구와 비교하여 렙틴(leptin)의 농도를 측정한 것이다.
도 4는 3T3-L1 세포에 세로토닌(serotonin)을 0.01~10 ㎍/㎖의 농도로 각각 첨가하였을 때 대조구와 비교하여 렙틴(leptin)의 농도를 측정한 것이다.
도 5는 3T3-L1 세포에 멜라토닌(melatonin)을 0.01~10 ㎍/㎖의 농도로 각각 첨가하였을 때 대조구와 비교하여 렙틴(leptin)의 농도를 측정한 것이다.
도 6은 3T3-L1 세포에 α-토코페롤(α-Tocopherol)을 0.01~10 ㎍/㎖의 농도로 각각 첨가하였을 때 대조구와 비교하여 렙틴(leptin)의 농도를 측정한 것이다.
도 7은 3T3-L1 세포에 진세노사이드-Rb1(ginsenoside-Rb1)을 0.01~10 ㎍/㎖의 농도로 각각 첨가하였을 때 대조구와 비교하여 렙틴(leptin)의 농도를 측정한 것이다.
도 8은 3T3-L1 세포에 진세노사이드-Rg1(ginsenoside-Rg1)을 0.01~10 ㎍/㎖의 농도로 각각 첨가하였을 때 대조구와 비교하여 렙틴(leptin)의 농도를 측정한 것이다.
도 9는 3T3-L1 세포에 나린제닌(naringenin)을 0.01~10 ㎍/㎖의 농도로 각각 첨가하였을 때 대조구와 비교하여 렙틴(leptin)의 농도를 측정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베타-D-글루칸(β-D-glucan), 헤스페레틴(hesperetin), 세로토닌(serotonin), 멜라토닌(melatonin), α-토코페롤(α-Tocopherol), 진세노사이드-Rb1(ginsenoside-Rb1), 진세노사이드-Rg1(ginsenoside-Rg1) 및 나린제닌(naringen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함유하는 식욕억제 호르몬인 렙틴(leptin) 분비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식욕억제 호르몬인 렙틴 분비를 촉진하므로, 식욕 억제용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상기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헤스페레틴(hesperetin), 세로토닌(serotonin), 진세노사이드-Rg1(ginsenoside-Rg1) 및 나린제닌(naringenin) 각각의 최적 농도는 0.1~10 ug/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헤스페레틴(hesperetin) 및 진세노사이드-Rg1(ginsenoside-Rg1) 각각의 최적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10 ug/ml이며, 세로토닌(serotonin) 및 나린제닌(naringenin) 각각의 최적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0.1 ug/ml이다. 또한, 진세노사이드-Rb1(ginsenoside-Rb1)의 최적 농도는 0.1~1 ug/ml이며, 바람직하게는 1 ug/ml이다. 또한, 상기 멜라토닌(melatonin)의 최적 농도는 5~15 ug/ml, 바람직하게는 10 ug/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베타-D-글루칸(β-D-glucan) 및 α-토코페롤(α-Tocopherol) 각각의 최적 농도는 1~10 ug/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베타-D-글루칸(β-D-glucan)의 최적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10 ug/ml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화합물 혹은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성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일 0.0001 내지 1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베타-D-글루칸(β-D-glucan), 헤스페레틴(hesperetin), 세로토닌(serotonin), 멜라토닌(melatonin), α-토코페롤(α-Tocopherol), 진세노사이드-Rb1(ginsenoside-Rb1), 진세노사이드-Rg1(ginsenoside-Rg1) 및 나린제닌(naringen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욕억제 호르몬인 렙틴(leptin) 분비 촉진용 기능성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성분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함유된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0.01~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0.03 g 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시료의 확보
(1) 식욕 억제 소재의 선발
식욕억제 시험계 적용을 위한 식품성분은 단일성분의 확보가 가능한 성분으로 하였으며 항비만 가능성이 있는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베타-D-글루칸(β-D-glucan), 헤스페레틴(hesperetin), 세로토닌(serotonin), 멜라토닌(melatonin), α-토코페롤(α-Tocopherol), 진세노사이드-Rb1(ginsenoside-Rb1), 진세노사이드-Rg1(ginsenoside-Rg1) 및 나린제닌(naringenin)을 확보하였다.
(2) 세포시험용 검액 제조
대상 식품성분은 DMSO에 용해한 후 희석하여 농도별로 사용하였고, DMSO의 최종농도는 0.1% 이하로 하여 세포시험용 검액을 제조하였다.
2. 식욕 억제 호르몬 렙틴(leptin)의 분비 시험
(1) 3T3-L1 세포 배양
Mouse의 배아에서 유래한 세포주인 3T3-L1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KCLB, Korea)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으며, 100 mm 디쉬(dish)에 10% FBS, 1% PS를 함유한 DMEM으로 37℃, 5% CO2가 유지되는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세포가 컨플루언트(confluent)되면 trypsin-EDTA로 처리하여 계대 배양하였으며 배지는 2~3일에 한 번씩 교환하였다. 세포가 100% 컨플루언트(confluent)되면 식욕 억제 소재에 의한 3T3-L1 세포의 분화현상을 관찰하기 위해서 0.5 mM 메틸이소부틸크산틴(methylisobutylxanthine), 0.25 uM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1 ug/ml 인슐린(insulin)이 함유된 10% FBS, 1% PS-DMEM으로 교환하여 2일간 분화를 유도하고 이때부터 2일 동안 1 ug/ml 인슐린(insulin)이 포함된 배양액으로 배양 후 일반 배지로 배양하였다. 즉, 3T3-L1 세포가 컨플루언트(confluent)되면, 0.5 mM 메틸이소부틸크산틴, 1 uM 덱사메타손, 1 ug/ml 인슐린으로 처리하여 10일간 분화를 유도한 것을 대조구(control)로 보았다. 식욕 억제 소재 처리에 따른 결과를 보기 위하여 분화 후 각 농도의 시료를 처리하고 48시간 배양한 것을 비교하였다. 실험 종류 후 배양액, 세포 용균액(cell lysate) 및 트리글리세리드(triglyceride) 샘플을 취하여 실험에 사용할 때까지 -80℃에서 보관하였다.
(2) 렙틴 분석(Leptin assay)
실험 종료 후 회수한 배양액은 원심분리(3,000 rpm, 20 min, 4℃)하여 상층액만을 회수하여 Human Leptin kit Quantikine(R&D systems)로 렙틴(leptin)을 측정하였다. 렙틴(leptin)의 측정법은 다음과 같다. 즉, Assay diluent RD1-19 100 ul를 well에 넣고, Standard diluent buffer와 샘플 100 ul를 well에 각각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2시간 배양 후 배양액을 완전히 제거하고 diluted wash solution으로 4회 이상 세척(washing)하였다. Conjugate solution 200 ul를 각 well에 넣고 실온에서 1시간 배양 후 동일한 세척(washing) 과정을 거친다. Substrate solution 200 ul를 첨가하고 실온의 암소에서 30분 반응시킨 후 Stop solution 50 ul를 넣고 30분 이내에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식품성분 첨가 시 렙틴(leptin)의 농도변화
3T3-L1 지방세포는 분화되면 렙틴(leptin)이 생산되어 세포 중으로 분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료처리 후 배양액 중의 렙틴(leptin)의 분비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의 경우 0.01 ug/ml에서 101%, 10 ug/ml에서 114%로 농도 의존적으로 렙틴 분비율이 증가하였으며, 베타-D-글루칸(β-D-glucan)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0.01 ug/ml에서 93%의 렙틴 분비율을 보였으나, 1~10 ug/ml에서 점차 증가하여 10 ug/ml에 111%의 분비율로 최대값을 나타냈다. 헤스페레틴(hesperetin)은 0.01~1 ug/ml의 농도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100% 전후의 렙틴 분비율을 보였고, 10 ug/ml에서 111%의 최고 분비율을 나타내었으며, 세로토닌(serotonin)은 0.1 ug/ml에서 113%로 최고의 분비율을 보이며, 1~10 ug/ml의 농도에서 108% 정도의 유사한 분비율을 나타냈고, 멜라토닌(melatonin)의 경우 0.01~1 ug/ml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99% 전후의 렙틴 분비율을 나타냈으며, 10 ug/ml에서 최고값인 109%의 렙틴 분비율을 나타내었다. α-토코페롤(α-Tocopherol)은 0.01~0.1ug/ml의 시료농도에서 100% 전후의 분비율을 나타냈으며, 1~10 ug/ml의 농도 구간에서는 106% 전후의 렙틴 분비율로 최고값을 나타내었으며, 진세노사이드-Rb1(ginsenoside-Rb1)은 0.01 ug/ml 농도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89%의 값을 나타내었으나, 1 ug/ml에서 109%의 렙틴 분비율을 나타내었다. 진세노사이드-Rg1(ginsenosie-Rg1)의 경우 0.01 ug/ml에서 97%의 분비율를 보였으나,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면서 10 ug/ml에서 110%의 최고 렙틴 분비율을 나타내었다. 나린제닌(naringenin) 0.1 ug/ml에서 최고 분비율인 113%를 보이고 1~10 ug/ml의 농도구간에서는 108 ~ 111%의 증가된 분비율을 보였다(도 1~9).
세포 배양액에 증가된 렙틴(leptin)의 함량은 지방세포에서 합성되어 증가된 렙틴(leptin)의 양적 증가가 일차적인 증가요인이라 추정되었다. 또한 이들 성분들은 렙틴(leptin)의 분비를 촉진하여 시상하부에 신호전달과 함께 식욕억제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Claims (6)

  1. 유효성분으로 0.1~10 ug/ml 농도의 나린제닌(naringenin)을 함유하는 식욕억제 호르몬인 렙틴(leptin) 분비 촉진용 식품성분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0.1~10 ug/ml 농도의 나린제닌(naringenin)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욕억제 호르몬인 렙틴(leptin) 분비 촉진용 기능성 식품.
KR1020110070827A 2011-07-18 2011-07-18 특정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렙틴 분비 촉진용 조성물 KR101358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827A KR101358197B1 (ko) 2011-07-18 2011-07-18 특정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렙틴 분비 촉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827A KR101358197B1 (ko) 2011-07-18 2011-07-18 특정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렙틴 분비 촉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192A KR20130010192A (ko) 2013-01-28
KR101358197B1 true KR101358197B1 (ko) 2014-02-06

Family

ID=47839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0827A KR101358197B1 (ko) 2011-07-18 2011-07-18 특정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렙틴 분비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81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5806B1 (ko) 2015-05-22 2015-12-21 주식회사 한빛파워 지락 계전기의 시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90036B1 (de) * 2014-07-30 2019-04-10 Symrise AG Hydroxyflavone als Appetitanreger
CN106420779B (zh) * 2016-11-11 2019-11-05 中国医学科学院北京协和医院 一种促进伤口愈合的组合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8291A (ko) * 2002-07-18 2004-01-31 주식회사 더멋진 바이오텍 베타글루칸의 지방축적 억제 및 지방 분해 용도
KR20120046967A (ko) * 2010-11-03 2012-05-11 한국식품연구원 특정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욕억제 식품성분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8291A (ko) * 2002-07-18 2004-01-31 주식회사 더멋진 바이오텍 베타글루칸의 지방축적 억제 및 지방 분해 용도
KR20120046967A (ko) * 2010-11-03 2012-05-11 한국식품연구원 특정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욕억제 식품성분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5806B1 (ko) 2015-05-22 2015-12-21 주식회사 한빛파워 지락 계전기의 시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0192A (ko) 2013-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76496A1 (en) Polysaccharide digestion inhibitor
KR101552813B1 (ko) 사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58197B1 (ko) 특정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렙틴 분비 촉진용 조성물
KR101587246B1 (ko) 오로볼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용 식품 조성물 또는 대사성 질환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680013B1 (ko) 자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50087728A (ko) 개똥쑥 추출물, 아테미시닌 또는 디히드로아테미시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50198B1 (ko) 특정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욕억제 식품성분 조성물
KR101271478B1 (ko) 3-히드록시플라본, 헤스페리딘, 케르세틴, 카테킨 및 카페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렙틴 분비 촉진용 조성물
JP2012082172A (ja) チョウセンゴミシ水抽出エキス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ジペプチジルペプチダーゼiv阻害剤
KR101200671B1 (ko) 폴리감마글루탐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60094313A (ko) 모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1490781B1 (ko) 꽃방패버섯의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30082249A (ko) 담쟁이 덩쿨 추출물을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30094553A (ko) 진저레논 에이를 포함하는 암 예방용 식품 조성물, 암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암 치료용 동물용 의약품
KR20180077106A (ko) 지각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또는 인지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1155426B1 (ko) 식욕억제 식품성분 조성물
KR20120040890A (ko) 상황버섯균사체 발효 블루베리 추출물의 비만 억제 또는 치료 용도
KR101461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KR101403486B1 (ko) 한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기능성 식품
KR20170087794A (ko) 항비만 효과를 갖는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03150B1 (ko) 퀴니자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25280B1 (ko) 알바트렐러스 플레티 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662459B1 (ko) 자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A3217764A1 (en) Method for treating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through co-administration of curcumin derivative and tgf-b receptor inhibitor
KR20120029985A (ko) 식욕억제 기능성 음료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