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8565B1 -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8565B1
KR101138565B1 KR1020100026863A KR20100026863A KR101138565B1 KR 101138565 B1 KR101138565 B1 KR 101138565B1 KR 1020100026863 A KR1020100026863 A KR 1020100026863A KR 20100026863 A KR20100026863 A KR 20100026863A KR 101138565 B1 KR101138565 B1 KR 101138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raction
water
acetonitril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6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7625A (ko
Inventor
김순회
손미원
이태호
손용성
최상진
백남준
정진석
이상진
이슬기
Original Assignee
동아제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제약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제약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6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8565B1/ko
Priority to PCT/KR2011/001945 priority patent/WO2011118953A2/en
Publication of KR20110107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7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8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8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4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besity (AREA)
  • Diabet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백 목부, 텍사스향나무 목부 및 나한백 목부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목부 추출물 또는 쑤잡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및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식품에 포함되는 추출물 및 쑤잡센은 체지방 및 체중의 유의적인 감소효과를 보이며, 혈장에서의 글루코즈, GOT, GPT, LDL-콜레스테롤, LDL/VLDL 콜레스테롤의 농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 및 식품은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 또는 비만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에 효과적이다.

Description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obesity or lipid related metabolic deseases}
본 발명은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및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유전적, 대사적, 환경적, 그리고 행동학적인 복잡한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생물학적 현상으로 일반적으로 체중과다로 인식되고 있으나 의학적으로는 BMI(body mass index)가 30이상(≒표준체중의 30% 이상)인 경우이거나 BMI가 27이상이며 기타 순환기계 질환인 당뇨병(diabetes), 고혈압(hypertension), 고지혈증(hyperlipidemia) 등이 연관되어 있는 경우를 비만으로 분류하고 있다. 특히 비만은 인슐린 저항성(insulin resistance), 당뇨병, 고혈압, 암, 담낭질환(gallbladder disease), 고지혈증, 동맥경화 등과 연관되어 각종 성인병을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을 뿐 아니라 비만에 걸린 환자나 동물의 경우 면역계에 악화를 초래하는 것이 최근에 알려져 있어 사회적으로 중요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비만의 원인은 유전적인 소인이 70% 이상으로 알려져 있고 그외 환경요인으로 고 지방식의 섭취나 운동부족 등이 알려져 있지만 최근 들어서는 섭취한 에너지량과 소비하는 에너지량의 불균형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즉, 지난 수십년간 유전적 소인이 많이 변화하지 않았음에도 발생율은 급속히 증가한 것으로 미루어 유전적 원인으로만 보기는 어렵고 따라서 에너지 균형을 파괴하는 유전적, 환경적 복합 요인이 체중결정(비만발생)의 중요 인자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비만의 정확한 원인에 대한 규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비만치료제로는 제니칼(Xenical, 로슈제약회사, 스위스), 리덕틸(Reductil, 에보트사, 미국), 아콤플리아(Acomplia, 사노피아벤티스, 프랑스), 엑소리제(Exolise, 아토파마, 프랑스) 등으로 크게 지방흡수억제제, 식욕억제제, 에너지소비 촉진제로 분류된다. 제니칼의 경우 리파아제 억제제로 소장 및 췌장의 리파아제를 억제하여 지방의 흡수를 방지하는 작용을 하며, 리덕틸의 경우 뇌에서 식욕을 조절하는 호르몬인 노르아드레날린 및 세로토닌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식욕을 억제한다. 또한, 아콤플리아의 경우 뇌에서 식욕을 조절하는 CB1 수용체의 길항제로 작용하여 식욕을 억제하며, 엑소리제의 경우 열생성효과가 있어 신체의 기초대사량을 높여주고, 위장관 리파아제를 억제시켜 지방 흡수를 낮춘다. 현행치료제들은 지용성 비타민 흡수 감소, 고혈압, 우울증, 불안, 자살충동 등의 부작용과 함께 그 효능의 지속성도 낮아, 더욱 개선된 비만치료제의 개발이 필요하고, 현재 개발되고 있는 제품도 부작용 없이 만족할 만한 치료효과를 가지지 못하기 때문에 새로운 비만치료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은 생체내 물질대사 장애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 중 혈중 지질과 관련된 것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지방간, 제2형 당뇨, 고지혈증, 심혈관 질환, 동맥경화증 및 지질 관련 대사증후군 등을 포함한다. 상기 대사증후군은 당뇨,비만 등 여러가지 대사성 질환이 한 사람에게 동시에 나타나는 질환을 의미한다. 상기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 역시 비만과 동일하게 효과적인 치료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측백 목부는 측백나무과(Cupressaceae) 측백나무(ThujaorientalisLinne)의 심재를 의미하며, (-)-thujopsene, cedrol, α-cedrene, cuparene, widdrol 등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텍사스향나무 목부는 측백나무과(Cupressaceae)의 텍사스향나무(JuniperusMexicana)의 심재를 의미한다. 성분으로는 cedrol, α-cedrene, (-)-thujopsene, widdrol, chamigrene, widdrene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Kichens GC, Dorsky J, Kaiser K,1971, Cedarwood oil and dericatives, Givaudanian 1, 3-9), 살균, 진경, 수렴, 진해거담 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Sheppard-Hanger S, 1995, The aromatherapy Practitioner Reference Manual, AIA, Tampa, FL).
또한, 나한백 목부는 측백나무과(Cupressaceae) 나한백속(Thujopsis) 나한백(Thujopsisdolabrata)의 심재를 의미한다. 나한백은 일본이 원산이며 남부지방에서 주로 나온다. 높이 약 10~30m에 지름 약 90cm 정도이며, 건축재, 토목재, 칠기재 등에 사용되며, 한국 특허 제10-0917802호 등에는 나한백의 정유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항균 및 항진균 효과 등이 개시되어 있으나,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과 관련한 효과는 알려져 있지 않다.
한편, 쑤잡센((-)-thujopsene, C15H24)은 녹는점이 213-215 ℃인 분자량 약 204.35의 무색 오일로서, 위드린(widdrene)이라고도 불리며, 역시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과 관련한 효과는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발명자들은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에 효과적인 천연물에 대한 연구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첫번째 과제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두번째 과제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측백 목부, 텍사스향나무 목부 및 나한백 목부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목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측백 목부는 측백나무과(Cupressaceae) 측백나무(ThujaorientalisLinne)의 심재이고, 상기 텍사스향나무 목부는 측백나무과(Cupressaceae)의 텍사스향나무(JuniperusMexicana)의 심재이며, 상기 나한백 목부는 측백나무과(Cupressaceae) 나한백속(Thujopsis) 나한백(Thujopsisdolabrata)의 심재일 수 있다.
상기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은 지방간, 제2형 당뇨, 고지혈증, 심혈관 질환, 동맥경화증 및 지질 관련 대사증후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을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99.99 중량 %,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은 생체내 물질대사 장애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 중 혈중 지질과 관련된 것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지방간, 제2형 당뇨, 고지혈증, 심혈관 질환, 동맥경화증 및 지질 관련 대사증후군 등을 포함한다. 상기 대사증후군은 당뇨, 비만 등 여러가지 대사성 질환이 한 사람에게 동시에 나타나는 질환을 의미한다.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4인 알코올, 헥산, 클로로포름 및 에틸아세테이트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목부를 에탄올 추출하여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분획추출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추출물에 물과 헥산을 가하여 헥산 가용성 추출물과 헥산 불용성 추출물(수층)을 제조하고, 상기 헥산 불용성 추출물에 물과 클로로포름을 가하여 클로로포름 가용성 추출물과 클로로포름 불용성 추출물(수층)을 제조하고, 상기 클로로포름 불용성 추출물에 물과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여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불용성 추출물(수층)을 제조하고,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불용성 추출물에 물과 부탄올을 가하여 부탄올 가용성 추출물과 부탄올 불용성 추출물(수층)을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 분획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목부 추출물은 정유(essential oil)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정유 추출물은 목부에 포함되는 정유성분을 함유하도록 추출된 추출물을 의미하며, 목부를 수증기 증류, 압착, 유지흡수, 휘발성 유기용제 추출, 또는 초임계 유체 추출에 의해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수증기 증류는 내부온도가 섭씨 98도에 도달한 시점을 기준으로 120분간 증류될 수 있으며, 고온의 수증기는 환류 냉각 응축기 등을 이용하여 응축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쑤잡센((-)-thujopsene) 함유 분획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분획 추출물은 쑤잡센을 높은 함량으로 바람직하게는 30중량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중량%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쑤잡센은 측백 목부, 텍사스향나무 목부 및 나한백 목부에 공통적으로 들어 있는 정유 성분의 하나로, 하기의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쑤잡센은, 본 발명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체지방 및 체중의 유의적인 감소 효과를 나타내며, 혈장에서의 글루코즈, GOT, GPT, LDL-콜레스테롤, LDL/VLDL 콜레스테롤의 농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0019066917-pat00001
따라서, 측백 목부, 텍사스향나무 목부 또는 나한백 목부로부터 쑤잡센 함량이 높은 분획물을 분리하여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획 추출물은 목부 정유 추출물을 n-헥산 분획 추출한 것 또는 물과 아세토니트릴 혼합액 분획 추출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n-헥산 분획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분획 추출물은 목부 정유 추출물을 n-헥산 분획 추출하고, 물과 아세토니트릴 혼합액 분획 추출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과 아세토니트릴 혼합액 분획 추출은 n-헥산 분획 추출물을 부피비로 물:아세토니트릴=1:2~8인 혼합액으로 추출하거나, n-헥산 분획 추출물을 부피비로 물:아세토니트릴=1:2~8인 혼합액으로 분획 추출한 후 부피비로 물:아세토니트릴=4~18:1인 혼합액으로 다시 분획추출한 것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n-헥산 분획 추출물은 목부 정유 출물을 n-헥산에 녹이고, n-헥산으로 충진한 (packing) 실리카 겔 컬럼 (Silica gel column)에 이동상 (mobile phase) 용매로서 n-헥산을 통과하여 수득되는 분획물일 수 있다.
물/아세토니트릴 혼합액 분획 추출물은 목부 정유추출물을 실리카 겔 컬럼을 거쳐 얻은 분획물을 물/ 아세토니트릴 혼합용액에 녹이고, 이동상 용매로서 물/아세토니트릴 혼합용액을 사용하여 물/ 아세토니트릴 혼합용액으로 충진한 C18 RP resin 를 통과시킨 뒤, TLC를 확인하며 쑤잡센이 함유된 용액만을 받아서 농축, 진공 건조를 거쳐 쑤잡센 함량을 높힌 분획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획 추출물은 목부 정유추출물을 실리카 겔 컬럼을 거치고, C18 RP resin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물을 C18 RP 컬럼을 통과시켜, 물/아세토니트릴 용매로 HPLC를 반복 실시하여 수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쑤잡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쑤잡센은 시판되거나, 측백 목부, 텍사스향나무 목부 및 나한백 목부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목부에서 추출된 목부 추출물 중 함유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목부 추출물은 상술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 중 함유되는 추출물과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은 지방간, 제2형 당뇨, 고지혈증, 심혈관 질환, 동맥경화증 및 지질 관련 대사증후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은 상기 쑤잡센을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99.99중량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 중량%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측백 목부, 텍사스향나무 목부 및 나한백 목부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목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은 본 발명의 목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에서 언급한 내용과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동일한 내용이 적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쑤잡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 또는 비만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은 본 발명의 쑤잡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에서 언급한 내용과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동일한 내용이 적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식품에 포함되는 추출물 및 쑤잡센은 체지방 및 체중의 유의적인 감소효과를 보이며, 혈장에서의 글루코즈, GOT, GPT, LDL-콜레스테롤, LDL/VLDL 콜레스테롤의 농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므로, 본 발명은 본 발명 조성물 또는 식품에 포함되는 추출물 또는 쑤잡센의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 용도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 조성물 또는 식품에 포함되는 추출물 또는 쑤잡센의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제제 및/또는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의 제조를 위한 용도 및 본 발명 조성물 또는 식품에 포함되는 추출물 또는 쑤잡센을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치료, 개선 및/또는 예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식품과 그에 포함되는 추출물 및/또는 쑤잡센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등도 등에 따라 다양한 범위에서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에게 투여할 수 있으며, 성인기준으로 추출물 기준 10~10000mg, 쑤잡센 기준 10~10000mg을 1일 1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복용할 수 있다. 상기 투여량은 투여경로 등에 따라 증감될 수 있으며,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과 그에 포함되는 추출물 및/또는 쑤잡센은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경구, 직장, 정맥, 근육, 피한,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식품과 그에 포함되는 추출물 및/또는 쑤잡센은 경구로 섭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및/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또는 희석제는 예를 들어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또는 광물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주사용액의 형태로 제제화할 수 있다. 제제화시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 또는 쑤잡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 (sucrose), 락토오스 (lactose), 및/또는 젤라틴 등을 섞어 제제화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탈크 같은 윤활제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은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식품 등을 포함하며,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을 갖는 원료를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가공된 보조식품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식품은 조성물일 수 있으며, 추출물 또는 쑤잡센 이외에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 또는 쑤잡센은 액상(음료)의 경우 식품 100ml 기준으로 0.1 ~ 10g, 바람직하게는 0.2~5g의 비율로 첨가할 수 있고, 액상이 아닌 경우(정제, 분말 등)는 전체 식품 중량의 0.01~15중량%, 바람직하게는 0.2~10중량%의 비율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일 수 있으며,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말토스, 수크로스 등 폴리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탕알콜이다. 상기 향미제는 예를 들어, 천연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또는 합성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이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바람직하게는 액상 식품 100mL당 1 내지 20g, 더욱 바람직하게는 5~12g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은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식품은 천연과일쥬스, 또는 과일 쥬스 음료 및/또는 야채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가능하다. 상기 첨가제는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식품 중 20중량% 이내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 또는 식품에 포함되는 추출물, 및 쑤잡센은 체지방 및 체중의 유의적인 감소효과를 보이며, 혈장에서의 글루코즈, GOT, GPT, LDL-콜레스테롤, LDL/VLDL 콜레스테롤의 농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 및 식품은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 또는 비만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에 효과적이다.
도 1은 텍사스향나무 목부 정유 추출물의 HPLC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텍사스향나무 목부 정유 추출물에서 실리카겔 컬럼을 거쳐 쑤잡센의 함량을 높인 HPLC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텍사스향나무 목부 정유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을 거친 뒤 C18 RP 레진을 거쳐 쑤잡센의 함량을 높인 분획물의 HPLC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텍사스향나무 목부 정유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을 거치고 C18 RP 레진을 거친 뒤, C18 RP컬럼을 통과시켜 세미프리패러티브 HPLC를 반복실시하여 쑤잡센의 함량을 높인 분획물의 HPLC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추출물의 제조
1-1.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한약재상(대한민국 서울 제기동 경동시장 소재)에서 건조된 측백 목부, 텍사스향나무 목부 및 나한백 목부를 구입하여 물로 세척하여 협잡물을 제거하고 잘 건조된 상태로 사용하였다. 분쇄기(모델명 : J-NCM, 제조사 : JISICO)로 분쇄한 목부 각 20g에 160㎖의 85 % 에탄올 수용액을 가해 상온에서 72시간 동안 잘 교반시키고, 추출한 후 여과하고 이를 55~65 ℃로 농축기(모델명 : Labor Vakuum-System, 제조사 : ILMVAC )로 감압 농축한 후, 동결건조기(모델명 : Bondiro, 제조사 : IlShin)로 동결건조시켜 각 분말(추출물)을 수득하였다 (표1 참조).
[표 1] 에탄올 추출 수율
Figure 112010019066917-pat00002
1-2. 수증기 증류 추출물의 제조
측백 목부, 텍사스향나무 목부, 또는 나한백 목부각각 1,200g을 분쇄기를 이용하여 충분히 마쇄한 다음, 증류수 1200㎖와 혼합하여 수증기 분사기가 장착된 용기에 담은 다음, 수증기를 주입하였다. 내부 온도가 98℃에 도달한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120분간 증류하였다. 발생하는 각 정유추출물을 함유하는 고온의 수증기는 환류 냉각 응축기(모델명 : Kettle Controls, 제조사 : 한일엔지니어링 )를 이용하여 응축하여, 측백 목부의 정유추출물을 약 8.6g, 텍사스향나무 목부 정유추출물을 약 9.2g, 나한백 목부 정유추출물을 약 9.6g 수득하였다 (표 2 참조).
그 중 텍사스향나무 정유추출물에 대하여 물과 아세토나이트릴 농도구배 방법으로 HPLC를 실시하였다(HPLC pump<P680>, Injector<ASI-100>, UV<UVD 340U>).그 결과를 도 1 에 나타내었다. 도 1 은 텍사스향나무 목부 정유추출물의 HPLC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결과이다. 상기 크로마토그램 중 쑤잡센의 피크를 retention time 및 UV 스펙트럼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도 1의 x축은 retention time을 의미하고 y축은 신호높이를 의미한다. 크로마토그램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유추출물 중 쑤잡센이 함유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결과 약 35%(w/w)의 쑤잡센이 함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표 2] 수증기 증류 추출 수율
Figure 112010019066917-pat00003
1-3. 극성용매 및 비극성 용매 가용추출물의 제조
1) 헥산 가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의 85%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10g씩 취하여 180㎖의 증류수에 녹인 후에 헥산 180㎖와 함께 분별 깔때기 (separatory funnel)에 넣어서 강하게 섞은 후에 헥산 불용성층 (수층)과 헥산 가용성층을 분리하였다. 다시 헥산 불용성층 (수층)에 헥산 180㎖를 가한 후, 혼합하고 분획하여 헥산 불용성 추출물 및 가용성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2) 클로로포름 가용 추출물의 제조
상기 헥산 불용성 추출물 (수층)에 클로로포름 180㎖를 가하여 섞은 후에 클로로포름 가용성층 및 불용성층을 분리하고, 추가로 클로로포름 불용성층 (수층)에 클로로포름 180㎖를 넣어 혼합 후, 분획하여 클로로포름 가용성 추출물 및 불용성 추출물 (수층)을 수득하였다.
3) 에틸아세테이트 가용 추출물의 제조
상기 클로로포름 불용성 추출물 (수층)에 에틸아세테이트 180㎖를 가하여 섞은 후에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층 및 불용성층을 분리하고, 추가로 에틸아세테이트 불용성층 (수층)에 에틸아세테이트 180㎖를 넣어서 혼합 후, 분획하여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성 추출물 및 불용성 추출물 (수층)을 수득하였다.
4) 부탄올 가용성 추출물의 제조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불용성 추출물 (수층)에 부탄올 180㎖를 가하여 섞은 후에 부탄올 가용성층 및 불용성층을 분리하고, 추가로 부탄올 불용성층 (수층)에 부탄올 180㎖를 넣어서 혼합 후, 분획하여 부탄올 가용성 추출물 및 불용성 추출물 (수층)을 수득하였다.
상기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가용 추출물 및 불용성 추출물을 감압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측백 목부, 텍사스향나무 목부와 나한백 목부 각 헥산 가용추출물 4.12, 4.51, 4.81g, 클로로포름 가용추출물 1.21, 1.34, 1.68g, 에틸아세테이트 가용추출물 1.58, 1.65, 1.31g 및 부탄올 가용추출물 0.2, 0.21, 0.15g, 물 가용추출물 1.98, 2.02, 1.80g을 수득하였다. 구체적인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표 3] 각 생약별 극성용매 및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의 수율
Figure 112010019066917-pat00004
< 실시예 2> 쑤잡센 함량이 높은 분획물의 제조
2-1. 텍사스향나무 목부 정유추출물에서 쑤잡센 함량을 높힌 분획물의 획득
1) 텍사스향나무 목부 정유추출물에서 쑤잡센 함량을 높힌 분획물(1차 분획물)의 획득
상기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얻어진 텍사스향나무 목부 정유추출물 100g을 n-Hexane 50㎖에 녹였다. 이 용액을 column관에 n-Hexane으로 packing한 Silica gel 300 g에 통과 시켰다. Mobile phase 용매로는 n-Hexane 1,500 ㎖를 사용하며, column관을 통과한 용액 1,000 ㎖를 받고, 농축 및 진공 건조를 통해, 약 58g의 분획물을 얻었으며, 시그마사의 쑤잡센(≥97%)를 이용하여, HPLC(제조사 : Dionex, 모델명 : HPLC pump<P680>, Injector<ASI-100>, UV<UVD 340U>)로 정량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텍사스향나무 목부 정유추출물에서 실리카겔 컬럼을 거쳐 쑤잡센의 함량을 높인 분획물의 HPLC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결과이다. 그 결과 약 55%(w/w)의 쑤잡센이 함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2) 텍사스향나무 목부 정유추출물에서 쑤잡센 함량을 높힌 분획물(2차 분획물)의 획득
1)에서 얻은 분획물 15g을 물 : 아세토니트릴 = 1 : 4 혼합 용액 5㎖에 녹였다. 이 용액을 물 : 아세토니트릴 = 1 : 4 혼합 용액으로 packing한 C18 RP resin 300g 를 통과시켰다. Mobile phase 용매로는 물 : 아세토니트릴 = 1 : 4 혼합 용액를 사용하였다. TLC를 확인하여 쑤잡센 용액만을 받고, 농축 및 진공 건조를 하여 5g의 분획물을 얻었으며, 시그마사의 쑤잡센(≥97%)를 이용하여, HPLC 정량분석 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은 텍사스향나무 목부 정유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을 거친 뒤 C18 RP 레진을 거쳐 쑤잡센의 함량을 높인 분획물의 HPLC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결과이다. 그 결과 약 75%의 쑤잡센(w/w)이 함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3) 텍사스향나무 목부 정유추출물에서 쑤잡센 함량을 높힌 분획물(3차 분획물)의 획득
2)에서 얻은 분획물 10g을 C18 RP 컬럼을 이용하여 물 : 아세토니트릴 = 9 : 1의 용매조건에서 2 ml/min의 유속으로 세미프리패러티브 HPLC를 반복 실시하여 리텐션 시간 25.1분에서 유출되는 쑤잡센을 받고, 농축 및 진공 건조를 하여 980mg을 얻었다. 분리한 쑤잡센의 순도를 확인하기 위해 시그마사의 쑤잡센(≥97%)를 이용하여, HPLC 정량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는 텍사스향나무 목부 정유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을 거치고 C18RP레진을 거친 뒤, C18RP 컬럼을 통과시켜 세미프리패러티브 HPLC를 반복실시하여 쑤잡센의 함량을 높인 분획물의 HPLC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결과이다. 그 결과 약 95%의 쑤잡센(w/w)이 함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2-2. 측백 목부 정유추출물에서 쑤잡센 함량을 높힌 분획물의 획득
1) 측백 목부 정유추출물에서 쑤잡센 함량을 높힌 분획물(1차 분획물)의 획득
실시예 1-2의 방법으로 얻어진 측백 목부 정유추출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2-1의 1)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한 결과 약 54g의 분획물을 얻었으며, 약 48%의 쑤잡센(w/w)이 함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2) 측백 목부 정유추출물에서 쑤잡센 함량을 높힌 분획물(2차 분획물)의 획득
상기 2-1의 2)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한 결과 4.5g의 분획물을 얻었으며, 약 73%의 쑤잡센(w/w)이 함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3) 측백 목부 정유추출물에서 쑤잡센 함량을 높힌 분획물(3차 분획물)의 획득
상기 2-1의 3)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한 결과 950mg의 분획물을 얻었으며, 약 95% 쑤잡센(w/w)이 함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2-3. 나한백 목부 정유추출물에서 쑤잡센 함량을 높힌 분획물의 획득
1) 나한백 목부 정유추출물에서 쑤잡센 함량을 높힌 분획물(1차 분획물)의 획득
실시예 1-2의 방법으로 얻어진 나한백 목부 정유추출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2-1의 1)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한 결과 약 59g의 분획물을 얻었으며, 약 65%의 쑤잡센(w/w)이 함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2) 나한백 목부 정유추출물에서 쑤잡센 함량을 높힌 분획물(2차 분획물)의 획득
상기 2-1의 2)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한 결과 5.8g의 분획물을 얻었으며, 약 85%의 쑤잡센(w/w)이 함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3) 나한백 목부 정유추출물에서 쑤잡센 함량을 높힌 분획물(3차 분획물)의 획득
상기 2-1의 3)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한 결과 1200mg의 분획물을 얻었으며, 약 95%의 쑤잡센(w/w)이 함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3> 추출물의 고지방식이 비만 마우스 모델 ( High fat diet - induced obese mouse model )에서의 항비만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득한 측백 목부, 텍사스향나무 목부 및 나한백 목부의 85% 에탄올 추출물, 극성/ 비극성 용매 가용 추출물 및 수증기 증류 추출물(정유추출물)을 이용하여 고지방식이 비만모델에서 항비만 효력을 비교 측정하였다.
고지방식이 비만 마우스 모델의 제조는 다음과 같다. 5주령 수컷 C57/BL6 웅성 마우스(중앙실험동물, Korea)를 22~24℃, 습도 60~80% 상태에서 표준 식이와 물을 공급하며 1주간 순화 사육한 후 고지방식이사료(Research diet)를 3주간 섭취시켰다. 각 개체의 무게를 측정하여 상위 70%를 실험 동물로 선정하고 하위 30%는 탈락시켰다. 선정된 상위 70%의 마우스를 각 군당 8마리씩으로 하여 체중을 기준으로 군분리를 실시한 후 8주간 매일 오전 9:00~ 11:00 사이에 각 약물을 경구 투여하였다. 시험동물의 무게 및 사료섭취량을 주 1회 측정하였으며, 각 결과는 약물투여 전 무게 대비 8주 후(즉 마지막 약물투여 후) 무게의 증가량(g)으로 표시되었다.
[표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각각의 추출물이 체중감소 효과를 나타내며, 측백 목부, 텍사스향나무 목부 및 나한백 목부 정유추출물이 특히 월등한 체중감소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각각의 추출물이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어 비만의 치료 또는 예방에 유용함을 확인할 수 있다.
[표 4] 고지방식이 비만 마우스 모델 (High fat diet-induced obese mouse model)에서의 항비만 효과 확인
Figure 112010019066917-pat00005
Figure 112010019066917-pat00006
< 실시예 4> 정유추출물의 농도별 고지방식이 비만 마우스 모델 ( High fat diet - induced obese mouse model )에서의 항비만 및 지질관련 대사성 질환 치료 또는 예방 효과 확인
실시예 1-2의 방법으로 얻어진 측백 목부, 텍사스향나무 목부 및 나한백 목부 정유추출물을 이용하여, 고지방식이 비만모델에서의 농도별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였다.
고지방식이 비만 마우스 모델의 제조는 다음과 같다. 5주령 수컷 C57/BL6 웅성 마우스(중앙실험동물, Korea)를 22~24 ℃, 습도 60~80 % 상태에서 표준 식이와 물을 공급하며 1주간 순화사육한 후 고지방식이사료(Research diet)를 5주간 섭취시켰다. 각 개체의 무게를 측정하여 상위 70%를 실험 동물로 선정하고 하위 30%는 탈락시켰다. 선정된 상위 70%의 마우스를 각 군당 8마리씩으로 하여 체중을 기준으로 군분리를 실시한 후 12주간 매일 오전 9:00~ 11:00 사이에 각 약물을 경구 투여하였다. 시험동물의 무게 및 사료섭취량을 주 1회 측정하였으며, 각 결과는 약물투여 전 무게 대비 12주 후(즉 마지막 약물투여 후) 무게의 증가량(g)으로 표시되었다. 부검 시 지방 조직을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간은 조직학적으로 분석하여 지방간의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채혈하여 혈장에서 혈액생화학적 수치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혈중 글루코오스, GOT, GPT, LDL-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Total-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은 각각 Thermo scientific 사의 Glucose, AST/GOT reagent, ALT/GPT reagent, LDL Cholesterol, HDL Cholesterol,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s kit를 이용하여 혈액생화학 기계 Konelab 으로 측정하였다.
간장조직은 일반적인 조직처리과정을 거쳐 파라핀 블록을 제작 및 절편한 후, H&E 염색하였으며 간장세포내 공포상 (lipid vacuole)을 광학현미경 (axioskop 2, Zeiss)으로 관찰하였다. 관찰은 각 개체당 3 부위를 실시하였으며, 각 부위별 관찰되는 공포상의 분포정도를 0 ~ 4점으로 나누었으며, 다시 0.5점씩 세분하여 점수화 하였다. 실험군간 비교는 각각의 점수에 대한 평균과 편차에 따랐다.
[표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각 정유추출물은 용량의존적으로 체중증가를 감소시켰다. 또한, [표 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부고환 지방, 중성지방 및 피하지방의 무게를 감소시켰고, [표 7]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혈액생화학적 검사에서 혈당 수치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며, GOT, GPT를 개선시켰다. 또한, [표 8]에서 볼 수 있듯이, 지방간의 정도도 개선시킴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각각의 추출물은 항비만 효과와 지질관련 대사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표 5] 측백 목부, 텍사스향나무 목부 및 나한백 목부 정유추출물의 농도별 고지방식이 비만 마우스 모델 (High fat diet-induced obese mouse model)에서의 항비만 효과 확인
Figure 112010019066917-pat00007
[표 6] 고지방식이유도 비만모델에서 지방조직 무게 감소 효과
Figure 112010019066917-pat00008
[표 7] 고지방식이유도 비만모델에서 혈액 생화학적 검사
Figure 112010019066917-pat00009
[표 8] 고지방식이유도 비만모델에서 간 조직 검사
Figure 112010019066917-pat00010
< 실시예 5> 쑤잡센 농도별 고지방식이 비만 마우스 모델 ( High fat diet - induced obese mouse model )에서의 항비만 및 지질관련 대사성 질환 치료 또는 예방 효과 확인
쑤잡센(Sigma)을 이용하여, 고지방식이 비만모델에서의 농도별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였다. 시험 방법은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추출물 대신 쑤잡센(시그마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였다. 투여 후 지방 조직 및 간을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간은 조직학적으로 분석하여 지방간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이들 마우스에서 채혈하여 혈액생화학적 수치를 측정하였다.
[표 9]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쑤잡센은 용량의존적으로 체중증가를 감소시켰다. 또한, [표 10]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부고환 지방, 중성지방 및 피하지방의 무게를 감소시켰으며, [표 1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혈액생화학적 검사에서 혈당 수치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표 12]에서 볼 수 있듯이, 지방간의 정도도 개선시킴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쑤잡센은 항비만 효과와 지질관련 대사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표 9] 쑤잡센 농도별 고지방식이 비만 마우스 모델 (High fat diet-induced obese mouse model)에서의 항비만 효과 확인
Figure 112010019066917-pat00011
[표 10] 고지방식이유도 비만모델에서 지방조직 무게 감소 효과
Figure 112010019066917-pat00012
[표 11] 고지방식이유도 비만모델에서 혈액 생화학적 검사
Figure 112010019066917-pat00013
[표 12] 고지방식이유도 비만모델에서 간 조직 검사
Figure 112010019066917-pat00014
< 실시예 6> 쑤잡센의 함량을 높힌 분획물의 고지방식이 비만 마우스 모델 ( High fat diet-induced obese mouse model )에서의 항비만 및 지질관련 대사성 질환 치료 또는 예방 효과 확인
고지방식이 비만모델에서 측백 목부, 텍사스향나무 목부 및 나한백 목부에서 유래된 쑤잡센의 함량을 높힌 분획물에 대한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였다. 시험 방법은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추출물 대신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분획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와 동일하게 하였다. 투여 후 지방 조직 및 간을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였으며, 간은 조직학적으로 분석하여 지방간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이들 마우스에서 채혈하여 혈액생화학적 수치를 측정하였다.
[표 1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분획물의 쑤잡센 함량이 높아질수록 체중 감소효과가 커졌다. 또한, [표 1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쑤잡센 함량에 비례하여, 부고환 지방, 중성지방 및 피하지방의 무게를 낮추었으며, [표 1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혈액생화학적 검사에서 혈당 수치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었다. 또한, [표 1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지방간의 정도를 쑤잡센 함량에 비례하여 개선시켰다.
따라서, 각각의 분획물은 항비만 효과와 지질관련 대사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효과적이며, 그 효과는 쑤잡센 함량에 비례함을 알 수 있다.
[표 13] 분획물 농도별 고지방식이 비만 마우스 모델 (High fat diet-induced obese mouse model)에서의 항비만 효과 확인
Figure 112010019066917-pat00015
[표 14]고지방식이유도 비만모델에서 지방조직 무게 감소 효과
Figure 112010019066917-pat00016
[표 15] 고지방식이유도 비만모델에서 혈액 생화학적 검사
Figure 112010019066917-pat00017
[표 16] 고지방식이유도 비만모델에서 간 조직 검사
Figure 112010019066917-pat00018
< 제조예 1>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구 투여용 약제학적 제제의 제조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측백목부 추출물, 텍사스향나무 목부 추출물, 나한백 목부 추출물 각각 100mg에 대하여, 옥수수 전분 90mg, 유당 180mg, 엘-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20mg, 폴리비닐피롤리돈 5mg 및 에탄올 적량을 혼합하여 습식과립법으로 제조한 과립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을 가하고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 제조예 2> 분획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제의 제조
실시예 2-1 내지 2-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측백목부 추출물, 텍사스향나무 목부 추출물, 나한백 목부 추출물 각각의 분획물 100mg에 대하여, 옥수수 전분 83mg, 유당 175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을 혼합하고 캅셀에 충전하여 캅셀제를 제조하였다.
< 제조예 3> 쑤잡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제의 제조
쑤잡센(시그마사) 100mg, 옥수수 전분 83mg, 유당 175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을 혼합하고 캅셀에 충전하여 캅셀제를 제조하였다.
< 제조예 4>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의 제조
실시예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측백목부 추출물, 텍사스향나무 목부 추출물, 나한백 목부 추출물 각각 500mg에 대하여 정제수 100ml를 추가하고 혼합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 제조예 5> 분획물을 포함하는 식품의 제조
실시예 2-1 내지 2-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측백목부 추출물, 텍사스향나무 목부 추출물, 나한백 목부 추출물 각각 500mg에 대하여 정제수 100ml를 추가하고 혼합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 제조예 6> 쑤잡센을 포함하는 식품의 제조
쑤잡센(시그마사) 500mg에 정제수 100ml를 추가하고 혼합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Claims (54)

  1. 측백 목부, 텍사스향나무 목부 및 나한백 목부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목부의 정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은 지방간, 제2형 당뇨, 고지혈증, 심혈관 질환, 동맥경화증 및 지질 관련 대사증후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을 0.01 내지 99.99 중량% 포함하는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유 추출물은 목부를 수증기 증류, 압착, 유지흡수, 휘발성 유기용제 추출, 또는 초임계 유체 추출에 의하여 추출한 것인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쑤잡센 함유 분획 추출물인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 추출물은 쑤잡센을 30중량 % 이상 포함하는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 추출물은 목부 정유 추출물을 n-헥산 분획 추출한 것 또는 물과 아세토니트릴 혼합액 분획 추출한 것인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 추출물은 목부 정유 추출물을 n-헥산 분획 추출하고, 물과 아세토니트릴 혼합액 분획 추출한 것인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과 아세토니트릴 혼합액 분획 추출은 n-헥산 분획 추출물을 부피비로 물:아세토니트릴=1:2~8인 혼합액으로 추출한 것인 조성물.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과 아세토니트릴 혼합액 분획 추출은 n-헥산 분획 추출물을 부피비로 물:아세토니트릴=1:2~8인 혼합액으로 분획 추출한 후 부피비로 물:아세토니트릴=4~18:1인 혼합액으로 다시 분획추출한 것인 조성물.
  14. 쑤잡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쑤잡센은 측백 목부, 텍사스향나무 목부 및 나한백 목부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목부에서 추출된 목부 추출물 중 함유된 것인 조성물.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은 지방간, 제2형 당뇨, 고지혈증, 심혈관 질환, 동맥경화증 및 지질 관련 대사증후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조성물.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쑤잡센을 0.01 내지 99.99 중량% 포함하는 조성물.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4인 알코올, 헥산, 클로로포름 및 에틸아세테이트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추출물인 조성물.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목부를 에탄올 추출하여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분획추출한 것인 조성물.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 추출물은 정유 추출물인 조성물.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정유 추출물은 목부를 수증기 증류, 압착, 유지흡수, 휘발성 유기용제 추출, 또는 초임계 유체 추출에 의하여 추출한 것인 조성물.
  22.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쑤잡센 함유 분획 추출물인 조성물.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 추출물은 쑤잡센을 30중량 % 이상 포함하는 조성물.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 추출물은 목부 정유 추출물을 n-헥산 분획 추출한 것 또는 물과 아세토니트릴 혼합액 분획 추출한 것인 조성물.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 추출물은 목부 정유 추출물을 n-헥산 분획 추출하고, 물과 아세토니트릴 혼합액 분획 추출한 것인 조성물.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물과 아세토니트릴 혼합액 분획 추출은 n-헥산 분획 추출물을 부피비로 물:아세토니트릴=1:2~8인 혼합액으로 추출한 것인 조성물.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물과 아세토니트릴 혼합액 분획 추출은 n-헥산 분획 추출물을 부피비로 물:아세토니트릴=1:2~8인 혼합액으로 분획 추출한 후 부피비로 물:아세토니트릴=4~18:1인 혼합액으로 다시 분획추출한 것인 조성물.
  28. 측백 목부, 텍사스향나무 목부 및 나한백 목부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목부의 정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은 지방간, 제2형 당뇨, 고지혈증, 심혈관 질환, 동맥경화증 및 지질 관련 대사증후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식품.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을 0.01 내지 99.99 중량% 포함하는 식품.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정유 추출물은 목부를 수증기 증류, 압착, 유지흡수, 휘발성 유기용제 추출, 또는 초임계 유체 추출에 의하여 추출한 것인 식품.
  35. 제28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쑤잡센 함유 분획 추출물인 식품.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 추출물은 쑤잡센을 30중량 % 이상 포함하는 식품.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 추출물은 목부 정유 추출물을 n-헥산 분획 추출한 것 또는 물과 아세토니트릴 혼합액 분획 추출한 것인 식품.
  3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 추출물은 목부 정유 추출물을 n-헥산 분획 추출하고, 물과 아세토니트릴 혼합액 분획 추출한 것인 식품.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물과 아세토니트릴 혼합액 분획 추출은 n-헥산 분획 추출물을 부피비로 물:아세토니트릴=1:2~8인 혼합액으로 추출한 것인 식품.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물과 아세토니트릴 혼합액 분획 추출은 n-헥산 분획 추출물을 부피비로 물:아세토니트릴=1:2~8인 혼합액으로 분획 추출한 후 부피비로 물:아세토니트릴=4~18:1인 혼합액으로 다시 분획추출한 것인 식품.
  41. 쑤잡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개선 또는 예방용 식품.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쑤잡센은 측백 목부, 텍사스향나무 목부 및 나한백 목부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목부에서 추출된 목부 추출물 중 함유된 것인 식품.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은 지방간, 제2형 당뇨, 고지혈증, 심혈관 질환, 동맥경화증 및 지질 관련 대사증후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식품.
  44.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쑤잡센을 0.01내지 99.99 중량% 포함하는 식품.
  45.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4인 알코올, 헥산, 클로로포름 및 에틸아세테이트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추출물인 식품.
  46.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목부를 에탄올 추출하여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분획추출한 것인 식품.
  47.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 추출물은 정유 추출물인 식품.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정유 추출물은 목부를 수증기 증류, 압착, 유지흡수, 휘발성 유기용제 추출, 또는 초임계 유체 추출에 의하여 추출한 것인 식품.
  49.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쑤잡센 함유 분획 추출물인 식품.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 추출물은 쑤잡센을 30중량 % 이상 포함하는 식품.
  51.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 추출물은 목부 정유 추출물을 n-헥산 분획 추출한 것 또는 물과 아세토니트릴 혼합액 분획 추출한 것인 식품.
  52.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 추출물은 목부 정유 추출물을 n-헥산 분획 추출하고, 물과 아세토니트릴 혼합액 분획 추출한 것인 식품.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물과 아세토니트릴 혼합액 분획 추출은 n-헥산 분획 추출물을 부피비로 물:아세토니트릴=1:2~8인 혼합액으로 추출한 것인 식품.
  54.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물과 아세토니트릴 혼합액 분획 추출은 n-헥산 분획 추출물을 부피비로 물:아세토니트릴=1:2~8인 혼합액으로 분획 추출한 후 부피비로 물:아세토니트릴=4~18:1인 혼합액으로 다시 분획추출한 것인 식품.
KR1020100026863A 2010-03-25 2010-03-25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138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863A KR101138565B1 (ko) 2010-03-25 2010-03-25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PCT/KR2011/001945 WO2011118953A2 (en) 2010-03-25 2011-03-22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obesity or lipid related metabolic desea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863A KR101138565B1 (ko) 2010-03-25 2010-03-25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625A KR20110107625A (ko) 2011-10-04
KR101138565B1 true KR101138565B1 (ko) 2012-05-10

Family

ID=44673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6863A KR101138565B1 (ko) 2010-03-25 2010-03-25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38565B1 (ko)
WO (1) WO201111895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7420A1 (ko) * 2015-04-15 2016-10-20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또는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유도체를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용 식품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치료용 약품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5297A (ja) * 2005-02-16 2006-08-31 Fancl Corp 肥満、高脂血症および動脈硬化性疾患の治療・予防剤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13657A (ja) * 2005-02-04 2006-08-17 Kaneka Corp ヒトβ3アドレナリン受容体アゴニスト剤
KR100711028B1 (ko) * 2005-07-13 2007-04-2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향나무 추출물 또는 세드롤을 포함하는 비만 및 제2형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80085358A (ko) * 2007-03-19 2008-09-2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측백 추출물,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포함하는 당뇨병 합병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90011590A (ko) * 2007-07-26 2009-02-02 김세창 향나무 열매 에탄올추출물의 혈당강하 및 물추출물의지질강하 활성
KR100911623B1 (ko) * 2008-05-19 2009-08-1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비만, 고지혈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분획물
KR100905419B1 (ko) * 2008-09-11 2009-07-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세스퀴테르펜 유도체의 용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5297A (ja) * 2005-02-16 2006-08-31 Fancl Corp 肥満、高脂血症および動脈硬化性疾患の治療・予防剤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l. Pharm. Bull. 31(7) 1415-1421 (2008) *
Biol. Pharm. Bull. 31(7) 1415-1421 (2008)*
Phytother. Res. 19, 359-361 (2005) *
Phytother. Res. 19, 359-361 (2005)*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7420A1 (ko) * 2015-04-15 2016-10-20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또는 5-(3',4'-디히드록시페닐)-감마-발레로락톤 유도체를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용 식품 조성물 및 대사성 질환 치료용 약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18953A3 (en) 2012-01-12
WO2011118953A2 (en) 2011-09-29
KR20110107625A (ko) 2011-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37596B2 (ja) 活性型フラボノイド化合物の含量が増加されたウルシ抽出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4413995B2 (ja) 抗肥満効能の薬用植物抽出物
KR20200002260A (ko) 토종보리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7303582B2 (ja) インディアングーズベリー抽出物と大麦若葉抽出物との複合物(ib複合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肥満及び/または糖尿を伴うメタボリックシンドロームの予防、改善治療用組成物
JP7161064B2 (ja) エルダーベリー抽出物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男性更年期症候群の予防、治療または改善用の組成物
KR20160123130A (ko) 감국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비만 관련 질환 또는 합병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38565B1 (ko)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227737B1 (ko) 곤달비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퍼옥시니트라이트 소거 활성을 갖는 조성물
CN101474346B (zh) 薤白提取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180042035A (ko) 참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이상지질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3520235A (zh) 一种具有降脂功能的植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1403999B1 (ko) 독성물질을 제거한 삼백초 정제물 및 분획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 및 알러지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JP2013166720A (ja) キダチハマグルマ(WedeliaBiflora)抽出物、トクサバモクマオウ(CasuarinaEquisetifolia)抽出物、およびその混合物を含むグルコース取込促進剤、並びにさらにそれらにノニの抽出物を含むグルコース取込促進剤
KR101907179B1 (ko) 설포라핀을 다량 함유하는 무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추출된 무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체중, 혈당조절용 및 지방간 예방용 식품 조성물, 약품 조성물, 동물용 의약품
KR101336068B1 (ko) 한약재의 추출물과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당뇨 조성물
KR101413771B1 (ko) 잣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억제용 조성물
KR20100061212A (ko) 측백엽, 백자인, 노간주나무 및/또는 참취의 추출 혼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관련 대사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80121338A (ko) 설포라핀을 다량 함유하는 무씨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추출된 무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체중, 혈당조절용 및 지방간 예방용 식품 조성물, 약품 조성물, 동물용 의약품
KR20130127088A (ko) 택사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 동맥경화증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2236685B1 (ko) 단삼 또는 작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48471B1 (ko) 라리아 큐네폴리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폐경기 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21112263A1 (ja) アディポネクチン産生促進剤
KR101146848B1 (ko) 디커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물 중독 및 금단 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30019285A (ko) 시계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118945A (ko) 한약재의 추출물과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