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6848B1 - 디커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물 중독 및 금단 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디커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물 중독 및 금단 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6848B1
KR101146848B1 KR1020090121197A KR20090121197A KR101146848B1 KR 101146848 B1 KR101146848 B1 KR 101146848B1 KR 1020090121197 A KR1020090121197 A KR 1020090121197A KR 20090121197 A KR20090121197 A KR 20090121197A KR 101146848 B1 KR101146848 B1 KR 101146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cusin
drug
methamphetamine
preferen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1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4536A (ko
Inventor
양재하
황미열
안은미
이민정
김광중
Original Assignee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21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6848B1/ko
Publication of KR20110064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4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66Lactones having six-membered rings, e.g. delta-lactones
    • A61K31/37Coumarins, e.g. psoral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귀 추출물의 유효성분인 디커신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디커신은 약물중독의 지표로 사용되는 조건화 장소선호도 (conditional place preference)를 이용하여 중독성 약물에 대한 선호도를 감소시켜 약물 중독 및 금단 증상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및 건강보조식품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디커신, 필로폰, 조건화 장소선호도, 보상효과, 금단증상

Description

디커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물 중독 및 금단 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decursin as an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and treating drug intoxification and withdrawal syndrome}
본 발명은 디커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물 중독 및 금단 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Ichiro Sora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5, pp7699-7704, 1998.
[문헌 2] Goldstein A, 2000, Addiction (2nd ed.), Oxford University Press.
[문헌 3] Nestler E et al., 2001, Molecular Neuropharmacology (International ed.) McGraw-Hill Medical Publishing Division.
[문헌 4] Han DS, 1992 Pharmacognosy (4th ed.). Seoul: Dongmyungsa Press.
[문헌 5] Jung DJ et al., Phytochemistry, 30, 710712, 1991
[문헌 6] Kang et al., J. Natural Products, 64, 683685, 2001
[문헌 7] Dawson et al., Pharmacology Biochemistry and Behavior, 39, 865871, 1991
[문헌 8] Jung MH et al., Carcinogenesis, 30, 655-661, 2009
[문헌 9] Kim HH et al., Cancer Letter, 223, 191-201, 2005
[문헌 10] 조성기 외, 과학기술부 보고서, 1999
[문헌 11] 이만열외, 식품세계 제4권 제6호 통권 제39호 108-114, 2003
[문헌 12] Bae EA, Biol. Pharm. Bull. 21:990-992, 1998
[문헌 13] Kim HS & Jang CG, Brain Res. Bull, 44, 221-7, 1997
선진문명의 발달과 급진하는 경제사회에 따른 스트레스로 인해 약물중독의 확산은 중요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약물이란 질병을 예방,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물질을 지칭하며, 신체기능의 변화를 일으키는 물질을 말한다. 이런 약물들이 인간의 대뇌에 영향을 주어 의식이나 마음상태를 변화시키는 약물들을 상습적으로 사용하고 신체적, 정신적 이상증상을 보이는 경우를 흔히 약물중독이라 표현한다. 약물중독은 세계적으로 심각한 정신질환중의 하나로서, 중독성 약물에 대한 치료제의 개발은 시급한 현실이다. 이러한 약물중독의 해결책으로 여러 가지 사회정책 및 치료, 재활을 위한 프로그램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근본적인 치료대책으로서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흔히 사용되는 대표적인 습관성 약물로 각종 언론매체를 통해 이미 사회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필로폰 (메트암페타민)과 같은 암페타민계 약물과 진통제로 많이 쓰이는 아편계 제제들 (모르핀과 헤로인) 마리화나로 널리 알려져 있는 대마계 제제들 및 각종 수면제로 사용되는 항정신성약물들이 있다. 이와 같은 중독성 약물들은 대뇌에서 신경흥분성 신경물질인 도파민을 증가시킴으로 극도의 희열과 만족감을 느끼게 하고 차후 다시 약물투여를 하게끔 유도한다. 이런 현상을 약물의 보상효과 (reward effect)라고 일컫는다. 보상효과는 약물의 중독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동물모델에서 기계적 장치로 측정할 수 있다. 보상효과를 측정하는 실험적 방법으로 조건화 장소선호도 (conditional place preference) 가 있다. 약물에 대한 중독 상태를 보이는 동물에서 조건화 장소선호도는 증가한다. (Ichiro Sora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5, 7699-7704, 1998). 즉, 조건화 장소선호도를 이용하여 약물중독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디커신 (decursin)은 당귀에 함유된 쿠마린(coumarin) 유도체로서 그 화학식은 C19H20O5이고 분자량은 328이다. 당귀는 예로부터 한의학에서 사용된 약재로 빈혈 치료와 진정작용, 진통효과 및 강장제의 약효가 보고 되어 있다 (Han DS, 1992 Pharmacognosy (4th ed.). Seoul: Dongmyungsa Press., Jung DJ et al., Phytochemistry, 30, 710712, 1991). 당귀의 메타올 추출물이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제 활성을 억제효과를 나타내는데 이 효과는 쿠마린 성분인 디커신과 디커시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다 (Kang et al., J. Natural Products, 64, 683685, 2001). 특히 디커신은 당귀 성분 중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고 화학구조상 뇌의 혈관장벽(blood barrier)을 디커시놀보다 용이하게 침투하여 뇌로 잘 전달 될 수 있다. 이런 아세틸콜린E 저해 효과와 혈관장벽을 통과 할 수 있는 디커신은 스코폴라민이 처리되어 기억력이 감퇴된 동물모델에서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보고 되었다 (Dawson et al., Pharmacology Biochemistry and Behavior, 39, 865871, 1991). 또한 디커신의 구조 이성체인 디쿠르시놀 안젤레이트(decursinol angelate)와 디커신은 암에서 혈관신생반응을 억제하여 항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Jung MH et al., Carcinogenesis, 30, 655-661, 2009). 디커신은 인비트로(in vitro)에서 항암활성을 나타내고, 프로테인 키나제(protein kinase) C의 활성을 증 진시키는 작용이 있음도 밝혀졌다 (Kim HH et al., Cancer Letter, 223, 191-201, 2005). 또한 방사선으로 조사된 쥐의 면역세포 보호와 면역세포 활성을 증가시키는 당귀의 주요 성분으로 디커신이 보고 되었다 (조성기 외, 과학기술부 보고서, 1999). 특히 디커신은 백혈병 치료와 신장독성 경감, 당뇨성 고혈압 치료 등에 효과적이며, 이 외에도 미백기능 및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에 대한 항균기능 등을 가지고 있다 (이만열외,식품세계 제4권 제6호 통권 제39호 108-114, 2003, Bae EA, Biol Pharm Bull 21:990-992.1998).
그러나, 상기 문헌의 어디에도 중독성 약물을 대상으로 한 질환에 대한 디커신의 효과에 관해서는 개시 또는 교시된 바는 없다.
본 발명에서는 디커신의 알려진 생물학적 기능을 바탕으로 필로폰에 의한 중독 현상에 미치는 효과를 실험한 결과, 디커신이 필로폰에 의한 조건화 장소선호를 저해함으로 지속적인 약물투여에 의한 약물강화작용을 저해시키고 약물에 의한 보상효과를 저해함을 확인하여 약물 중독 및 금단 증상 예방 및 치료효과에 유용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당귀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디커신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한 약물 중독 및 금단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당귀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디커신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한 약물 중독 및 금단증상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약물은 필로폰, 코카인(cocaine), 암페타민(amphetamine), 모르핀(morphine) 또는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필로폰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디커신은 상용으로 구입가능하거나 당업계에 잘 알려진 추출 및 분리방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귀를 음건하여 마쇄한 후, 건조된 중량의 약 1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5배 분량의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용매 및 이들의 혼합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및 에탄올 혼합 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0% 에탄올 혼합용매로, 실온에서 약 1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8시간 동안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냉침 추출한 후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 감압 농축 또는 건조하여 당귀추출물을 수득하고, 이를 당업계에 통상적인 정제 및 분리방법, 예를 들어,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법, 재결정법 등의 방법을 반복 수행함으로서 본 발명의 디커신 화합물을 다량으로 수득가능하다.
본 발명의 디커신에 대하여 필로폰에 의한 중독 현상에 미치는 효과를 필로폰 투여가 이루어진 특정 장소에 대한 선호도를 가지게 하여 약물의 보상효과를 관찰하는 조건화 장소선호도 (Conditional Place Preference)를 측정하여 실험한 결 과, 디커신이 필로폰에 의한 조건화 장소선호를 저해함으로 지속적인 약물투여에 의한 약물강화작용을 저해시키고 약물에 의한 보상효과를 저해함을 확인하여 약물 중독 및 금단 증상 예방 및 치료효과에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당귀는 오랫동안 생약으로 사용되어 오던 약재로서 이로부터 추출된 본 발명의 당귀로부터 분리된 디커신 역시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화합물을 0.02 내지 5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종류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당귀로부터 분리된 디커신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당귀로부터 분리된 디커신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당귀로부터 분리된 디커신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당귀 정제분획물의 단일성분인 디커신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 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 및 정제 분획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당귀로부터 분리된 디커신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당귀로부터 분리된 디커신은 1일 0.0001 내지 100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당귀로부터 분리된 디커신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당귀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디커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물 중독 및 금단 증상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물 중독 및 금단증상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건강기능식품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화합물을 0.01 내지 95 %,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 중량백분율로 포함한다.
또한, 약물 중독 및 금단증상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목적으로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인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조 및 가공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그대로 또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또는 다른 첨가제를 넣어 고르게 섞은 것을 적당한 방법으로 과립상으로 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여 조제하거나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을 그대로 또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또는 다른 적당한 첨가제를 넣어 고르게 섞은 것을 직접 압축 성형하여 만들거나 또는 미리 만든 과립에 건강기능식품을 그대로 혹은 적당한 첨가제를 넣어 고르게 섞은 다음 압축 성형하여 조제하거나 건강기능식품에 부형제, 결합제 또는 다른 적당한 첨가제를 넣어 고르게 섞은 분말을 용매로 습윤시키고, 습윤된 분말을 저압으로 틀에 넣어서 성형한 후, 적당한 방법으로 건조하여 조제한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에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넣을 수 있으며, 적당한 제피제로 제피 가능하다.
상기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보통 캅셀에 건강기능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적당한 부형제 등을 고르게 섞은 것 또는 적당한 방법으로 입상으로 한 것 또는 입상으로 한 것에 적당한 제피제로 제피한 것을 그대로 또는 가볍게 성형하여 충전하여 조제하며, 연질캅셀제는 보통 캅셀에 건강기능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적당한 부형제 등을 넣은 것을 젤라틴 등 적당한 캅셀기제에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을 넣어 소성을 높인 캅셀기제로 피포하여 일정한 형상으로 성형하여 조제하며, 필요에 따라 상기 캅셀기제에 착색료 보존료 등을 첨가할 수 있다.
환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보통 건강기능식품에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고르게 섞은 다음 적당한 방법으로 구상으로 성형하여 조제하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적당한 제피제로 제피를, 또는 전분, 탈크 또는 적당한 물질로 환의를 입힐 수도 있다.
과립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보통 건강기능식품을 그대로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넣어 고르게 섞은 다음 적당한 방법으로 입상으로 만들고 될 수 있는 대로 입자를 고르게 한 것이며, 필요에 따라 착향료, 교미제 등을 넣을 수 있다. 과립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12호 (1680 μm), 14호 (1410 μm) 및 45호 (350 μm) 체를 써서 다음 입도시험을 할 때에 12호체를 전량 통과하고 14호체에 남는 것은 전체량의 5.0 %이하이고 또 45호체를 통과하는 것은 전체량의 15.0 %이하이어야 한다.
본원 발명의 상기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교미제, 착향료 등에 대한 용어 정의는 당업계에 공지된 문헌에 기재된 것으로 그 기능 등이 동일 내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 (대한약전 해설편, 문성사, 한국약학대학협의회, 제 5 개정판, p33-48, 1989).
본 발명은 약물 중독 및 금단증상의 완화 효과를 나타내는 디커신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보조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디커신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약물 중독 및 금단증상의 완화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디커신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디커신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디커신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디커신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당귀로부터 분리된 디커신이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당귀로부터 분리된 디커신은 생쥐의 조건화 장소선호도를 억제하는 바, 약물중독 및 금단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참고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디커신 (Decursin)의 제조
1-1. 당귀추출물의 제조
참당귀 (Angelica gigas Nakai, 산형과 Umbelliferae family) 5kg을 세절한 후, 건조된 당귀 5kg에 28L의 70% 에탄올을 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농축기(EYELA, Japan)으로 감압 농축하여 당귀추출물 2.2kg을 수득하였다.
1-2. 추출물의 분획
상기 실시예 1-1단계에서 얻은 당귀 추출물 2.2kg을 대상으로 하여 1차로 물에 현탁하여 에틸아세테이트 (1L × 3)로 분획하여 남은 물층을 다시 부탄올 (800mL × 2)로 분획을 수행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358g, 부탄올 분획물 100g, 및 물층 1.74kg을 각각 수득하였다.
1-3. 디커신의 분리
상기 1-2에서 수득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358g을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법 (CHCl3: MeOH=10:1)를 수행하여 6개의 소분획을 얻고 이 소분획들 중 디커신 다량 함유 분획을 다시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 (n-hexane:EtOAc=10:1)를 실시하여 디커신 80mg을 얻어 이를 핵 자기 공명(JEOL JNM-LA 400) 및 질량 분석기(JEOL-AX 505WA)에 의해 기존 문헌과 비교하여 동정하였다 (도 1).
여기에서 얻은 디커신을 5 mg/kg 용매 (70% 폴리에틸렌글라이콜, 1% Tween-80, 1% 에탄올)에 용해하여 하기 실험예에 시료로 사용하였다.
디커신(분자량:328, C 19 H 2 0O 5 )
Figure 112009075745900-pat00001
1 H-NMR (JEOL JNM-LA 400 MHz; CDCl3): (도 1참조) 7.56 (1H, d, J=9.5 Hz, H-4), 7.14 (1H, s, H-5), 6.75 (1H, s, H-8), 6.21 (1H, d, J=9.5 Hz, H-3), 5.64 (1H, s, H-2''), 5.08 (1H, t, J=4.8 Hz, H-3'), 3.17 (1H, dd, J=17.1, 4.7Hz, H-4'a), 2.90 (1H, dd, J=17.1, 4.7 Hz, H-4'b), 2.12 (3H, s, 3''-CH3), 1.87 (3H, s, H-4''), 1.37 (3H, s, gem-CH3), 1.35 (3H, s, gem-CH3).
EI/MS m/z(JEOL-AX 505WA): (rel. int., %): 328 (4.6), [M]+, 228 (33.8), 213 (100), 147 (1.8), 83 (38.3), 55 (11.5).
참고예 1. 실험동물의 준비
실험동물은 체중 25-30 g의 C56/BL6계 수컷 마우스 (효창사이언스 사)를 사용하였고, 대구한의대학교 동물사육실에서 일정한 조건 (온도: 21± 2, 명암: 12시간 명암주기)에서, 사료와 음수의 자유로운 섭취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실험시작 전까지 물과 먹이를 충분히 제공한다.
참고예 2. 통계처리
실험성적은 조건화 장소선호도는 박스 내에서 머무는 시간 (second)로 통계적 유의성은 SPSS 프로그램 (Version 11.01)의 원웨이(One-way) ANOVA로 검정하여 p값이 0.05이하인 경우에 유의한 것으로 인정하였다.
실험예 1. 약물 투여에 의한 조건화 장소선호도 변화에 대한 디커신의 효과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디커신의 약물 투여에 의한 행동학적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존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하였다 (Kim HS & Jang CG, Brain Res. Bull., 44, pp221-7, 1997).
실험동물을 사육장에서 외부소음이 차단된 실험실로 옮겨 각각 무게를 잰 후 장소선호도 측정상자에 개별적으로 넣었다. 장소선호도 상자는 가로 28 cm, 세로 22 cm, 높이 31 cm 의 방이 두 개가 연결된 구조물 (San Diego Instruments, Inc. 미국)이며, 약물과 연관된 기억을 주기 위해 각 방마다 한쪽은 사선무늬 종이를 사방 벽면에 부치고 다른 한쪽은 동그라미 무늬 종이를 사방 벽면에 부쳤다. 실험동물은 첫째 날 20분 동안 각 방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각 방에 머무는 시간을 측정한다 (Pre-CPP). Pre-CPP는 실험동물이 선호하는 장소가 있는지 확인하여 약물투여로 인한 장소선호도 측정에서 오차를 줄이기 위함이다. Pre-CPP이후 첫째, 셋째, 다섯째, 일곱째 날에는 필로폰(2 mg/ kg, 복강 투여)을 투여하여 두 개의 방중에 한방에 1시간씩 두어 약물과 장소를 연관시켜 기억하게 한다. Pre-CPP이후 둘째, 넷째, 여섯째, 여덟깨 날에는 식염수를 투여하여 필로폰이 투여된 방이 아닌 다른 방에 1시간 두어 식염수와 장소를 연관시켜 기억하게 한다. 디커신은 필로폰 투여 1시간 전 경구로 5 mg/kg를 투여 하였다. 8일이 지난 후 장소선호도 측정 상자에 실험동물을 20분 동안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하면서 필로폰과 연관된 장소에 얼마나 머무는지 조사하였다 (Post-CPP). Post-CPP에서 필로폰 관련 장소에 머무는 시간과 Pre-CPP시 그 방에 머문 시간의 차이가 약물에 의한 장소선호도를 나타낸다.
실험결과, 도 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담체(vehicle)를 투여 후 식염수를 투여한 정상군에서는 Post-CPP와 Pre-CPP 시간차이가 평균 82.87 초였고 담체 투여 후 필로폰을 투여한 군에서는 Post-CPP와 Pre-CPP 시간차이가 평균 260.1 초였다. 즉, 필로폰에 의한 장소선호도가 증가하였음을 보였다. 반해, 실시예의 디커신 5 mg/kg을 경구로 투여한 투여군의 경우에는 평균 87.53 초로 필로폰 투여군에 비해 장소선호도가 감소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디커신 투여 후 식염수를 투여한 디커신 단독군은 정상군에 비해 차이가 없음이 확인되었다. 즉, 디커신 약물은 자체로는 장소선호도 또는 장소 기피도를 나타내는 약물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필로폰의 의한 장소선호도 증가를 감소시키는 디커신의 효과는 필로폰에의 보상효과를 차단함에 기인한다고 생각 된다 (표 1참조).
Group 필로폰-조건 장소선호도
(sec)
정상군 82.87
필로폰 투여군 260.1
디커신 단독 투여군 71.62
필로폰 + 디커신 동시투여군 87.53
실험예 2. 급성독성실험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디커신의 약물 투여에 의한 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존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하였다 (이형철 외, 동의병리학회지, 15(4), pp543-47, 2001).
6 주령의 특정병원체부재 (Specific pathogen-free, SPF) SD계 랫트를 사용하여 급성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각 그룹당 2마리씩의 동물에 본 발명의 디커신을 500 ㎎/㎏의 용량으로 1회 경구투여 하였다. 실험물질 투여 후 동물의 폐사여부, 임상증상 및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강장기와 흉강 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실험 물질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및 부검 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결과, 본 발명의 디커신은 랫트에서 각각 500 ㎎/㎏ 까지도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경구투여 최소치사량 (LD50)은 500 ㎎/㎏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하기에 본 발명의 디커신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디커신 30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디커신 30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디커신 30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디커신 30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디커신 30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로 조절한 후 갈색 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디커신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디커신 300 ㎎
비타민 C 15 g
비타민 E(분말) 100 g
젖산철 19.75 g
산화아연 3.5 g
니코틴산아미드 3.5 g
비타민 A 0.2 g
비타민 B1 0.25 g
비타민 B2 0.3g
물 정량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분리된 디커신의 핵 자기 공명스팩트럼(1H-NMR)을 나타낸 도이며;
도 2는 약물 투여로 인한 생쥐의 조건화 장소선호도에 대한 디커신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Claims (5)

  1. 당귀로부터 분리된 디커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필로폰 중독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당귀로부터 분리된 디커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필로폰 중독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5. 삭제
KR1020090121197A 2009-12-08 2009-12-08 디커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물 중독 및 금단 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46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197A KR101146848B1 (ko) 2009-12-08 2009-12-08 디커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물 중독 및 금단 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197A KR101146848B1 (ko) 2009-12-08 2009-12-08 디커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물 중독 및 금단 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536A KR20110064536A (ko) 2011-06-15
KR101146848B1 true KR101146848B1 (ko) 2012-07-19

Family

ID=44397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197A KR101146848B1 (ko) 2009-12-08 2009-12-08 디커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물 중독 및 금단 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684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1853B1 (ko) * 2005-07-27 2006-04-17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한국산 당귀로부터 추출분리되는 저급알콜용매 가용추출물을 포함하는 니코틴 중독 및 금단증상의 예방 및치료용 약학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1853B1 (ko) * 2005-07-27 2006-04-17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한국산 당귀로부터 추출분리되는 저급알콜용매 가용추출물을 포함하는 니코틴 중독 및 금단증상의 예방 및치료용 약학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② Neurobiology of Learning and Memory 79 (2003) 11?1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4536A (ko) 201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36800A (ko) 당귀 및 황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101522273B1 (ko)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20110067789A (ko) 황칠나무 및 비파엽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496834B1 (ko) 울금 유래 생리활성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93503B1 (ko) 퇴행성 뇌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71853B1 (ko) 한국산 당귀로부터 추출분리되는 저급알콜용매 가용추출물을 포함하는 니코틴 중독 및 금단증상의 예방 및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228920B1 (ko) 황칠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장질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20120045591A (ko) 대황을 포함한 생약조합 추출물을 함유한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22579B1 (ko) 항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을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100830553B1 (ko) 독활 및 승마 혼합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관련 질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60131016A (ko) 독활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KR101016837B1 (ko) 금은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1151567B1 (ko) 항알레르기 효능을 갖는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0881369B1 (ko) 감초로부터 분리된 이소리퀴리티게닌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약물 중독 및 금단 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46848B1 (ko) 디커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물 중독 및 금단 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806035B1 (ko) 신경안정 및 항불안 효능을 갖는 산국화 추출물 및 이를함유하는 조성물
KR101403999B1 (ko) 독성물질을 제거한 삼백초 정제물 및 분획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 및 알러지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101373653B1 (ko) 해당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816193B1 (ko) 13종의 한약재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함유하는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
KR100818363B1 (ko) 독활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개선용 건강보조식품
KR101256279B1 (ko) 사우치논을 함유하는 약물중독 및 금단 증상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538055B1 (ko) 우르시올이 제거된 옻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옻 추출물의 약침으로서의 용도
KR20120073797A (ko) 지실, 금은화 및 백지 혼합물로부터의 생약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류마티스성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0637264B1 (ko) 권백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위한 약학조성물
KR20090089672A (ko) 지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