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055B1 - 우르시올이 제거된 옻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옻 추출물의 약침으로서의 용도 - Google Patents

우르시올이 제거된 옻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옻 추출물의 약침으로서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8055B1
KR101538055B1 KR1020150004528A KR20150004528A KR101538055B1 KR 101538055 B1 KR101538055 B1 KR 101538055B1 KR 1020150004528 A KR1020150004528 A KR 1020150004528A KR 20150004528 A KR20150004528 A KR 20150004528A KR 101538055 B1 KR101538055 B1 KR 101538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urushiol
mixture
present
etha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4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수
백영미
정택근
서진우
박효진
김완영
김대겸
정영진
최광선
이서윤
채종걸
전영석
박수진
이대웅
이경욱
심태경
전용우
김성재
장성일
고대경
한진택
한병준
양시홍
권성호
고환주
최성환
박은영
김병학
김기정
이재석
김세란
김현창
양주한
송영길
김지용
박용환
강봉석
이철우
정진권
김태헌
안태영
안선규
한영규
기현숙
김혜수
서지영
함유정
조은숙
이재성
김종현
정아롱
박준혁
Original Assignee
김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수 filed Critical 김용수
Priority to KR1020150004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0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0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2Anacardiaceae (Sumac family), e.g. smoketree, sumac or poison oak
    • A23L1/21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a) 옻 추출물에 밀납, 왁스 및 파라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와 에탄올을 첨가한 혼합물을 가열하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의 가열한 혼합물을 냉각한 후 상기 재료를 제거하고, 농축하여 에탄올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르시올이 제거된 옻 추출물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우르시올이 제거된 옻 추출물과 상기 우르시올이 제거된 옻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공식품,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및 약침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우르시올이 제거된 옻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옻 추출물의 약침으로서의 용도{Method for producing Rhus verniciflua extract with urushiol removed and use as herbal acupuncture of Rhus verniciflua extract produced by the same method}
본 발명은 (a) 옻 추출물에 밀납, 왁스 및 파라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와 에탄올을 첨가한 혼합물을 가열하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의 가열한 혼합물을 냉각한 후 상기 재료를 제거하고, 농축하여 에탄올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르시올이 제거된 옻 추출물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우르시올이 제거된 옻 추출물과 상기 우르시올이 제거된 옻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공식품, 화장료 조성물, 약학 조성물 및 약침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옻나무과(Anacadiaceae)에 속하는 옻나무는 세계적으로 약 600여 종이 존재하며, 우리나라에는 참옻나무(Rhus verniciflua stokes)가 자생하고 있다. 종래부터 옻나무(피)는 당뇨병 및 위 관련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한약재로 널리 이용되어 왔으며, 민간에서는 주로 옻닭이나 옻오리 등으로 제조하여 섭취하고 있다. 옻의 항종양, 항혈전 활성 등의 다양한 생리 활성이 밝혀지면서 건강기능성 식품, 의약품 소재, 화장품 소재로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으며, 소비와 생산량이 급증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옻의 생산 면적은 2002년 1,216천 ㎡에서 2007년도 3,058천㎡로, 옻 식용판매액 비중도 2002년도에 52.5%에서 2007년 75.8%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옻나무는 피부에 발진을 일으키거나 가려움을 유발하여 수포를 형성시키는 등의 심각한 알러지를 일으키는 우르시올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어, 식품, 의약품, 화장품 소재로 제한 없이 사용되기에는 한계가 있다.
옻나무에 포함되어 있는 우르시올은 페놀유도체의 하나로, 화학구조는 R기가 탄소수 15~17개의 직쇄상으로 연결된 화합물로서, 13개의 혼합물로 이루어져 있다. R 그룹의 탄소간 불포화 결합이 공기 중의 산소에 의해 산화될 때, 라디칼 중합 반응이 일어나며, 이 반응에 의해 옻칠이 만들어진다. 우르시올이 산화 중합반응 전의 화합물들이 피부 알러지를 유발하며, 특히, R 그룹의 탄소수가 15~17개, 불포화기가 2개 이상의 화합물이 강하게 피부 알러지를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옻으로부터 우르시올을 제거하려는 종래 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219650호에는 옻에 버섯 균주를 접종한 후 배양하여 옻의 독성을 제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0367286호에는 옻을 고온에서 열풍건조한 후 용매를 첨가하여 고온 및 고압에서 추출하여 독성이 제거된 옻나무 추출물의 추출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옻 추출물에 밀납, 왁스 및 파라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와 에탄올을 첨가한 후 추출하여 우르시올이 완전히 제거된 옻 추출물의 제조방법과는 상이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옻의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등과 같은 기능성 성분은 파괴하지 않으면서, 옻의 독성 성분인 우르시올만 선택적으로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옻 추출물에 밀납 및 에탄올을 첨가한 후 추출하고 냉각 및 농축하여 우르시올이 완전히 제거된 옻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옻 추출물에 밀납, 왁스 및 파라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와 에탄올을 첨가한 혼합물을 가열하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의 가열한 혼합물을 냉각한 후 상기 재료를 제거하고, 농축하여 에탄올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르시올이 제거된 옻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우르시올이 제거된 옻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우르시올이 제거된 옻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해열 또는 관절염 치료용 약침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우르시올이 제거된 옻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공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우르시올이 제거된 옻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 항산화 활성 및 미백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우르시올이 제거된 옻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옻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알러지 반응을 일으키는 우르시올만이 선택적으로 완전히 제거되며, 옻의 유용성분으로 알려진 갈산(gallic acid)으로 대표되는 폴리페놀류와 퀘르세틴과 같은 플라보노이드류의 기능성 성분과 약리효과는 제거되지 않는다. 이에,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옻 추출물은 알러지를 유발하는 우르시올이 함유되지 않아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 등에 안전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옻 추출물은 해열 및 관절염으로 인한 부종 개선 효과가 우수하여 해열 및 관절염 치료를 위한 약침의 용도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옻 추출물에 밀납, 왁스 및 파라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와 에탄올을 첨가한 혼합물을 가열하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의 가열한 혼합물을 냉각한 후 상기 재료를 제거하고, 농축하여 에탄올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르시올이 제거된 옻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옻 추출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a)단계의 옻 추출물은 생옻에 물을 첨가한 후 추출한 추출물, 옻을 발효시켜 얻은 발효 옻을 추출한 추출물, 옻에 고온 및 고압 처리하여 추출한 추출물, 옻을 고온에서 추출 후 황국균으로 발효한 추출물 또는 옻을 열풍건조한 후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옻 껍질에 물을 첨가한 후 추출하고 농축한 추출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옻 추출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a)단계의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옻 추출물에 옻 추출물 중량대비 밀납, 왁스 및 파라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 0.1~10%와 에탄올 5~30%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옻 추출물에 옻 추출물 중량대비 밀납, 왁스 및 파라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 1%와 에탄올 20%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옻 추출물에 밀납, 왁스 및 파라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를 적정량 첨가하여 옻을 추출함으로써 옻 추출물 내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기능성 성분은 파괴하지 않으면서. 옻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우르시올 화합물만 상기 재료에 의해 선택적으로 용해 포집되게 된다.
본 발명의 옻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a) 옻 추출물에 옻 추출물 중량대비 밀납, 왁스 및 파라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 0.1~10%와 에탄올 5~30%를 첨가한 혼합물을 70~90℃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의 가열한 혼합물을 25~35℃로 냉각한 후 상기 재료를 제거하고, 농축하여 에탄올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a) 옻 추출물에 옻 추출물 중량대비 밀납, 왁스 및 파라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 1%와 에탄올 20%를 첨가한 혼합물을 8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의 가열한 혼합물을 30℃로 냉각한 후 상기 재료를 제거하고, 농축하여 에탄올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옻 추출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b)단계와 같이 혼합물을 냉각하게 되면 밀납 등의 재료가 굳어져 혼합물의 상부에 떠오르게 된다. 따라서 상부에 굳은 밀납 등의 재료만 제거하고, 혼합물을 농축하여 에탄올을 제거하면 우르시올이 완전 제거된 옻 추출물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옻 추출물은 메탄올, 아세톤 등과 같은 유기용매는 사용하지 않고 에탄올을 첨가하여 추출하기 때문에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 등에 거리낌없이 안전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우르시올이 제거된 옻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우르시올이 제거된 옻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해열 또는 관절염 치료용 약침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침 조성물은 옻 추출물, 소금 및 인산나트륨 완충액을 혼합한 후 여과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약침 조성물은 해열 및 관절염으로 인한 부종 개선 효과가 있으므로, 해열 및 관절염 치료를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우르시올이 제거된 옻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옻 추출물은 피부 트러블 개선 효과, 항산화 활성, 미백 활성 등의 효과를 지니므로, 피부 트러블 개선, 노화방지 및 미백 개선 등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아이 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워터, 팩, 파우더,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등으로 다양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추출물 외에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화장료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과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우르시올이 제거된 옻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공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옻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으며, 환제, 분말, 과립, 침제,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본 발명의 유효 성분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의 경우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의 경우 100 mL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외에는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우르시올이 제거된 옻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옻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른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옻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 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0.01 내지 500 mg/㎏의 양,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 m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또한 옻 추출물의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옻 추출물은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옻 추출물의 제조
수분함량 65%의 생옻 껍질 30 kg에 10배량의 증류수를 첨가하고, 환류 냉각 장치를 부착하여 100℃에서 8시간 추출한 후 여과하여, 30 brix%로 진공 농축하여 농축물 3.25 kg을 얻었다.
제조예 2. 우르시올 제거 옻 추출물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옻 농축물 1 kg에 95%의 발효 에탄올 200 g 및 밀납 10 g을 가하고, 환류 냉각기를 부착하여 8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 다음 진공 온도를 30℃로 냉각시켜 굳어진 밀납을 제거한 후 진공 농축하여 에탄올을 제거하고 우르시올이 제거된 옻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3. 옻 약침액의 제조
상기 제조예 2에서 얻어진 옻 추출물 20 g을 약용 소금 0.9%, pH 7.5의 10mM 인산나트륨 완충액 980 g에 용해하여 2중량%의 옻추출물 수용액을 제조하고, 분자 컷오프 사이즈(molecular cut off size) 200kda의 미국 밀리포어(Millipore) 역삼투막으로 여과하여, 최종적으로 수용성 고형분 성분이 6 mg/mL(0.6 중량%)의 옻 약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옻 약침 조성물을 20 mL씩 유리병에 분주하여 충진하고, 고무전과 알루미늄 캡으로 캡핑한 후, 121℃에서 30분간 멸균하고 10℃로 냉각시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옻 추출물의 우르시올 함량
생옻 껍질, 생옻껍질 물 추출물(제조예 1), 제조예 2의 옻 추출물 30 g에 대하여 n-핵산 300 mL로 3회씩 추출하였다. 수분이 모두 날라갈 때까지 감압 농축한후, 85% 메탄올로 녹여 분석 시료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예 2의 방법으로 제조된 옻 추출물은 우르시올이 전혀 검출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옻 추출물의 우르시올 함량(mg%)
구분 생옻피 제조예 1 제조예 2
우르시올 함량 206 3.4 0
실시예 2. 옻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폴리페놀 함량은 Folin-Ciocalteus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즉, 추출물 0.5 mL에 2% Na2CO3 5 mL를 넣고 충분히 혼합한 후, 2분간 방치하였다. 이후, Folin-Ciocalteus 시약 0.5 mL를 넣고 30분간 방치한 후, 7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갈산(gallic acid)을 표준물질로 한 직선식에 의하여 환산하였다. 비교예 1은 한국등록특허 제1320149호의 실시예 3의 방법으로 제조된 옻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예 1과 제조예 2의 옻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이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제조예 2의 방법으로 옻을 추출하여도 폴리페놀 성분이 파괴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옻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mg%)
구분 제조예 1 비교예 1 제조예 2
총 폴리페놀 함량 28 24.5 27
실시예 3. 옻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각 추출물 1 mL에 디에틸글리콜 10 mL를 가하여 잘 혼합한 후, 여기에 1N 수산화나트륨 0.1 mL를 잘 혼합하고, 37℃ 수조상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4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표준 물질로 루틴(rutin)을 사용하였고, 총 플로보노이드 함량은 루틴(mg/100 ㎖, %)으로 환산하였다. 비교예 1은 한국등록특허 제1320149호의 실시예 3의 옻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예 1과 제조예 2의 옻 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제조예 2의 방법으로 옻을 추출하여도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파괴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옻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mg/100 ㎖, %)
구분 제조예 1 비교예 1 제조예 2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4,4 4.2 4.3
실시예 4: 옻 약침액의 해열시험( 효모법에 의한 해열작용 평가)
동물 체온 측정 장치(JD-TR-0065, 정도, 한국)로 정상 쥐의 직장 온도를 측정한 후, 0.85% 염분(saline)에 용해된 15% 효모 용액을 체중 100 g당 1 mL씩 각 군의 흰쥐에 피하주사하여 17시간 경과 후, 다시 직장 검사를 측정하여 1℃ 이상 상승한 쥐만 선택하여 시험에 사용하였다. 대조군에는 생리식염수를, 시험군에는 제조예 3에 의해 제조된 약침 조성물을 체중 1 kg당 1 mL를 복강 주사한 후, 5시간 후 직장 온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옻 약침 조성물 처리 시 대조군에 비하여 평균 3.1℃의 낮은 온도를 나타내어 해열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표 4).
옻 약침액의 해열 효과(단위: 체온 ℃)
구분 시험군 대조군
1 38.9 42.7
2 39.7 43.1
3 39.2 41.7
4 39.5 42.1
5 40.1 42.4
6 39.1 43.0
평균 39.4 42.5
실시예 5: 옻 약침액의 관절염의 부종 억제 효과
체중 200 g 이내의 흰쥐를 실험군 당 6마리를 대상으로, 부종 유도제인 ZYMOSAN-A(20 mg/mL/Kg) 0.5 mL와 Freund's Adjuvant 0.5 mL를 혼합한 후 주사하여 부종을 유발시키고, 본 발명의 제조예 3의 옻 약침 조성물을 흰쥐 체중 1 kg 당 1 mL씩 복강 주사하여 경과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은 부종이 4일부터 유도되었고, 30일 경과시 최고 정점을 나타내었고, 부종이 사라지는데 그 후로 45일이 소요되었다. 반면 시험군에서는 옻 약침액 주사 3일 후부터 감소하여 부종이 빨리 억제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Claims (9)

  1. (a) 옻 추출물에 밀납, 왁스 및 파라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와 에탄올을 첨가한 혼합물을 가열하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의 가열한 혼합물을 냉각한 후 상기 재료를 제거하고, 농축하여 에탄올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르시올이 제거된 옻 추출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옻 추출물은 옻 껍질에 물을 첨가한 후 추출하고 농축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르시올이 제거된 옻 추출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혼합물은 옻 추출물에 옻 추출물 중량대비 밀납, 왁스 및 파라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 0.1~10%와 에탄올 10~30%를 첨가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르시올이 제거된 옻 추출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a) 옻 추출물에 옻 추출물 중량대비 밀납, 왁스 및 파라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 0.1~10%와 에탄올 5~30%를 첨가한 혼합물을 70~90℃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 및
    (b) 상기 (a)단계의 가열한 혼합물을 25~35℃로 냉각한 후 상기 재료를 제거하고, 농축하여 에탄올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르시올이 제거된 옻 추출물의 제조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50004528A 2015-01-13 2015-01-13 우르시올이 제거된 옻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옻 추출물의 약침으로서의 용도 KR101538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528A KR101538055B1 (ko) 2015-01-13 2015-01-13 우르시올이 제거된 옻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옻 추출물의 약침으로서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528A KR101538055B1 (ko) 2015-01-13 2015-01-13 우르시올이 제거된 옻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옻 추출물의 약침으로서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8055B1 true KR101538055B1 (ko) 2015-07-22

Family

ID=53874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4528A KR101538055B1 (ko) 2015-01-13 2015-01-13 우르시올이 제거된 옻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옻 추출물의 약침으로서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80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1649A (ko) 2015-08-18 2017-02-28 우희경 옻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제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2096A (ko) * 2000-06-29 2002-01-09 정형진 항산화물질을 함유한 옻나무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48421A (ko) * 2009-04-23 2009-05-13 (주)에이지아이 알러지를 유발하지 않는 옻나무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리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2096A (ko) * 2000-06-29 2002-01-09 정형진 항산화물질을 함유한 옻나무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48421A (ko) * 2009-04-23 2009-05-13 (주)에이지아이 알러지를 유발하지 않는 옻나무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리학적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1649A (ko) 2015-08-18 2017-02-28 우희경 옻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제조장치
KR20210106934A (ko) 2015-08-18 2021-08-31 윤종철 옻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4302B1 (ko) 활성형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함량이 증가된 옻나무 추출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132655B1 (ko) 구절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74462B1 (ko) 오미자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40534A (ko) 큰도꼬마리 어린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WO2018062733A1 (ko) 탈염 용암해수를 이용하여 제조한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당 조절 개선용 조성물
KR20170000902A (ko)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성장촉진용 조성물 및 제형화
KR20130097537A (ko) 강황, 석창포, 원지의 열수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지력 및 기억력 향상용 조성물
KR101538055B1 (ko) 우르시올이 제거된 옻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옻 추출물의 약침으로서의 용도
KR20210002378A (ko) 송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보호용 조성물
WO2008069604A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mixed herbal extract of aralia cordata thunb. and cimicifuga heracleifolia kom.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 and pain disease
KR20180099054A (ko) 리그닌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차가버섯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045847B1 (ko) 관능성 및 항당뇨 활성이 증대된 옥미수·호박 가미 경옥고
KR20160082958A (ko) 자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70077980A (ko) 큰도꼬마리 어린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노화용 조성물
KR20040042119A (ko) 차가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증강 및 항암 활성을갖는 조성물
KR102177221B1 (ko) 발효용담 추출물, 국화 추출물 및 박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040004764A (ko) 간독성에 대한 보호 활성을 갖는 가시오가피 추출물 또는이로부터 부탄올로 분획한 분획층과 부탄올분획층에서분리한 시린진과시린가레시놀-디-오-베타-굴루코피라노사이드을 함유하는항산화작용과 간독성 보호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0538983B1 (ko)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
KR102445679B1 (ko) 누에 번데기 추출물 및 홍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003354B1 (ko) 꼬리겨우살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당뇨용 조성물
KR101907918B1 (ko) 산 용액을 이용하는 피부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용 인삼 추출박의 제조방법
KR101752476B1 (ko) 생강나무 추출물로부터 프로시아니딘 정제방법
KR101146848B1 (ko) 디커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물 중독 및 금단 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40087593A (ko) 차가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당 강하 및 당뇨병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KR20240022003A (ko) 인진쑥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