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7789A - 황칠나무 및 비파엽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황칠나무 및 비파엽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7789A
KR20110067789A KR1020090124536A KR20090124536A KR20110067789A KR 20110067789 A KR20110067789 A KR 20110067789A KR 1020090124536 A KR1020090124536 A KR 1020090124536A KR 20090124536 A KR20090124536 A KR 20090124536A KR 20110067789 A KR20110067789 A KR 20110067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disease
ethanol
hwangchil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4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7523B1 (ko
Inventor
김용재
백흠영
오규철
윤호근
김미정
이정민
전우진
황권택
Original Assignee
한국인스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인스팜(주) filed Critical 한국인스팜(주)
Priority to KR1020090124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7523B1/ko
Publication of KR20110067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7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sychia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뇌신경 세포 보호 및 뇌기능 개선 활성을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황칠나무 및 비파엽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황칠나무, 비파엽, 뇌 세포 보호, 퇴행성 뇌질환

Description

황칠나무 및 비파엽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A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crude drug selected from Eriobotryae Folium and Dendropanax morbiferafor treating and preventing neuro-degenerative disease}
본 발명의 황칠나무 및 또는 비파엽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라디칼 소거능, 뇌세포 보호 효과 및 인지능력 개선 효과를 나타내므로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해 유용하게 이용 될 수 있다.
[문헌 1] Jeong GS et al, Planta Medica, 74, pp.1368-1373, 2008
[문헌 2] Jin DQ et al,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331, pp.1264-1269, 2005
[문헌 3] Lim CS et al, Biolog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29, pp.1212-1216, 2006 
[문헌 4] Nishioka et al., Biolog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25: 1053-1057 (2002)
[문헌 5] Taniguchi et al., Phytochemistry, 59:315-323 (2002)
[문헌 6] Shimizu et al., Chemical and Pharmaceutical Bullentin,
34: 2614-2617 (1986)
[문헌 7] De Tommaasi et al., Planta Medica, 57: 414-416 (1991)
[문헌 8] Jung et al., Archives of Pharmacal Reasearch, 22: 213-218
(1999)
[문헌 9] Taniguchi et al., Phytochemistry, 59: 315-323 (2002)
[문헌 10] Blios, M.S., Nature, 395 (26): 11991200 (1958)
[문헌 11] Yun-Lian Lina, et al., J. Ethnopharmacology, 122; 417-425 (2009)
[문헌 12] Rong Ma, et al., Neuropharmacology, 56: 10271034 (2009)
본 발명은 뇌세포 보호 및 인지 기능 개선 활성을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황칠나무 및 비파엽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세포 보호 및 인지 기능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매는 인간 본성이 파괴되며 장기간에 걸쳐 진행되는 퇴행성 질환이기 때문에 환자를 수용하는 수동적인 방법으로는 도저히 사회 경제적 부담을 감당할 수가 없으므로 예방제 및 원인 치료제를 개발하는 적극적인 시도를 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알츠하이머 질환의 근본적인 발병원인을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제는 개발되어 있지 않으며, 일반적인 치료제로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는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제 저해제인 화이자사의 아리셉트(Aricept), 노바티스사의 엑셀론(Exelon), 그리고 얀센사의 레미닐(Reminyl)과 최근에 미국 FDA로부터 허가를 받은 NMDA 수용체의 길항제 기전의 룬드벡사의 에빅사(Ebixa: Memantine)가 있다. 그러나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제 저해제의 경우는 감퇴된 인지 능력을 개선해 줄 뿐 알츠하이머 질환의 근본적인 발병 원인을 치료하지는 못한다. 또한, 단지 일부 환자의 경우에서 일시적인 증세 완화 효과를 보이며, 그 약효가 오래 지속되지 못하므로 근본적인 치료제라 하기 어렵다. 또한 질환의 특성상 장기 복용을 요하게 되는데, 상기 의약품들의 경우 간 독성, 구토, 식욕감퇴를 비롯한 여러 가지 부작용을 수반하는 것 또한 문제점으로 드러나고 있다. 따라서 질환의 진행 과정을 막아 줄 수 있는 치료제의 개발이 시급한 과제가 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 많은 다국적 제약회사들이 이 분야에 대한 연구 개발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으며 특히 알츠하이머 질환의 근본적인 발병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는 40여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베타 아밀로이드의 생성량을 감소시키는 베타 또는 감마 시크리테아제 저해제의 개발이 그 주종을 이루고 있다. 국내의 경우 알츠하이머 질환에 대한 기초 연구는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으나 치매 치료제 개발 그 자체의 경우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라고 여겨진다.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는 체내 활성 산소종(ROS)이 많이 생성되거나 항산화 시스템의 기능이 저하되면서 체내 산화계와 항산화계의 불균형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Jeong GS et al, Planta Medica, 74, pp.1368-1373, 2008).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인간의 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노화 및 노화에 관련된 각종 질병에 관심이 커지고 있으며 산화적 스트레스가 알츠하이머 증후군, 파킨슨 증후군, 헌팅턴 증후군과 같은 중추신경계의 퇴행성 뇌질환의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Jin DQ et al,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331: 1264-1269, 2005; Lim CS et al, Biolog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29: 1212-1216, 2006).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 Lev.)는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식물로써 세계에서 오직 한국의 해남, 완도와 같은 남부 해안 지역과 제주도에서만 자생하는 상록 활엽교목으로 수피에 상처를 주면 황색의 수지액이 나오는데 이것으로 황칠(黃漆)이라고 한다. 본초 강목에서는 황칠나무가 번열을 제거하고, 안질 및 화상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으며, 최근 들어서는 황칠나무의 잎이 항암 작용에 효능 이 있으며 또한 항산화 작용 및 신경 안정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지고 있으며 아울러 황칠나무 추출물이 피부의 멜라닌 색소를 생성하는 타이로시나아제를 불활성화 시켜 피부 미백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황칠나무는 비휘발 성분 66.7%, 방향성분 10.8%, 수분 8.1% 및 고형분이 14.4% 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특히 방향성분은 주로 β-쿠베벤(cubebene), γ-셀리넨(selinene), δ-카디넨(cadiene)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비파엽(Eriobotryae Folium)은 장미과(Rosaceae)에 속하는 상록교목인 비파(Eriobotrya japonica)의 잎 부위이다. 한방에서는 열매, 뿌리, 줄기껍질 및 잎을 약용으로 사용한다. 비파엽의 효능으로는 폐를 맑게하고 위를 조화시키며 기를 강화시키고 담을 삭이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외에도 염증 관련 피부질환, 기침, 가래, 혈당강하, 간기능 개선, 항염증활성 등의 약리활성이 보고되어 있다 (Nishioka et al., Biological and Pharmaceutical Bulletin, 25: 1053-1057 (2002)). 비파엽의 주요 성분으로는 우르솔산, 올레아놀산, 마스리닌산, 토메틱산을 비롯한 트리테르페노이드 화합물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Taniguchi et al., Phytochemistry, 59:315-323 (2002)), 그 외로는 세스퀘테르펜 배당체, 플라보노이드 배당체 등의 폴리페놀류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Shimizu et al., Chem. Pharm. Bull., 34: 2614-2617 (1986)); De Tommaasi et al., Planta Medica, 57: 414-416 (1991); Jung et al., Archives of Pharmacal Reasearch, 22: 213-218 (1999); Taniguchi et al., Phytochemistry, 59: 315-323 (2002)).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황칠나무 및 또는 비파엽의 추출물이 퇴행성 뇌질 환의 원인 중 하나인 아밀로이드 베타(amyloid beta)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항산화 효과와 뇌세포보호 활성 및 뇌기능 개선 효과가 뛰어나,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황칠나무 및 비파엽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황칠나무 및 비파엽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황칠나무 및 비파엽을 서로 조합시에는 황칠나무 및 비파엽의 혼합 건조 중량비가 110:1 (w/w), 바람직하게는, 15:1 (w/w),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1(w/w)의 혼합비로 혼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출물은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1-100%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70% 물 및 에탄올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뇌졸중, 중풍, 치매, 알츠하이머 질환, 파킨슨 질환, 또는 헌팅턴 질환, 구체적으로는, 알츠하이머 질환 또는 파킨슨 질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황칠나무 및 비파엽, 바람직하게는 국내산,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남 장흥지역을 비롯한 남부지역 재배산을 세척 및 건조시킨 후, 황칠나무 및 비파엽의 시료 중량의 약 1배 내지 30배, 바람직하게는 약 5배 내지 15배 (w/v) 부피의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에탄올, 보다 바람직하게는 물 또는 5 내지 80%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하여, 약 7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10℃의 반응온도에서 약 1 내지 6시간,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시간 동안 가열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환류 추출법 등의 통상적인 추출방법, 바람직하게는 가열추출법으로 1 내지 10회,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회 반복 추출하는 제 2단계; 상기 단계에서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하여 감압 농축하는 제 3단계; 상기 농축된 추출물을 약 -50℃ 내지 -30℃에서,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25℃에서, 약 24 내지 72시간,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5시간동안 동결 건조하는 제 4단계의 제조방법을 포함하는 단계를 통하여 본 발명의 황칠나무 및 비파엽 추출물을 각각 수득가능하고, 필요시 황칠나무 및 비파엽의 혼합 건조 중량비가 110:1 (w/w), 바람직하게는, 15:1 (w/w),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1(w/w)의 혼합비로 혼합하여 본 발명의 추출물들을 수득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황칠나무 및 비파엽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 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제조된 황칠나무 및 비파엽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은 베타 아밀로이드에 의한 뇌세포 독성으로부터 뛰어난 보호효과, 항산화 보호 효과 및 뇌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냄으로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생약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으로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종류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 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추출물은 1일 0.01 mg/kg 내지 10 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 mg/kg 내지 1 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및 직장, 또는 정맥등의 방법을 통하여 투여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황칠나무 및 비파엽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은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갖는 상기 황칠나무 및 비파엽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및 식품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ml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 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황칠나무 및 비파엽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베타 아밀로이드에 의한 뇌세포 독성으로부터 뛰어난 보호효과, 항산화 보호 효과 및 뇌기능 개선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이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은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황칠나무 및 비파엽의 열수 추출물의 제조
건조시킨 황칠나무 및 비파엽(전남 장흥지역 재배산)을 건조한 후, 황칠나무 시료 3.2 kg에 정제수 36 L를 가하여 100℃에서 4시간 동안 가열추출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동결건조기(일신랩, 대한민국)를 이용하여 -40℃에서 48시간 동안 동결 건조시켜 본 발명의 황칠나무 열수 추출물 300 g(수득률 9.5%)(이하“DH"라 함) 과 비파엽 시료 3.6 kg에 정제수 36 L를 가하여 100℃에서 4시간 동안 가열추출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동결건조기(일신랩, 대한민국)를 이용하여 -40℃에서 48시간 동안 동결 건조시켜 본 발명의 비파엽 열수 추출물 700 g(수득률 19.4%)(이하“EH"라 함)을 각각 얻어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황칠나무 및 비파엽의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2-1. 황칠나무 및 비파엽의 5%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건조시킨 황칠나무 및 비파엽(전남 장흥지역 재배산)을 건조한 후, 황칠나무 시료 3.2 kg을 5% 에탄올 36 L를 가하여 100℃에서 4시간 동안 가열추출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동결건조기(일신랩, 대한민국)를 이용하여 -40℃에서 48시간 동안 동결 건조시켜 본 발명의 황칠나무 열수 추출물 200 g(수득률 6.3%)(이하“D5H"라 함) 과 비파엽 시료 3.2 kg을 5% 에탄올 36 L를 가하여 100℃에서 4시간 동안 가열추출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동결건조기(일신랩, 대한민국)를 이용하여 -40℃에서 48시간 동안 동결 건조시켜 본 발명의 비파엽 열수 추출물 720 g(수득률 20.0%)(이하“E5H"라 함)을 각각 얻어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2-2. 황칠나무 50%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건조시킨 황칠나무 시료 50% 에탄올 36 L를 가하여 80℃에서 4시간 동안 가열추출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40℃에서 48시간 동안 동결건조시켜 본 발명의 황칠나무 50% 에탄올 추출물 215 g(수득률 6.7%)(이하,“D50E"라 함)을 얻어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2-3. 황칠나무 80%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건조시킨 황칠나무 시료에 80% 에탄올 36 L를 가하여 80℃에서 4시간 동안 가열추출하고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40℃에서 48시간 동안 동결건조시켜 본 발명의 황칠나무 나무 80% 에탄올 추출물 155 g(수득률 4.8%)(이하, D80E"라 함)을 얻어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3. 황칠나무 및 비파엽의 혼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황칠나무 및 비파엽 개개 건조 추출물들을 표 1과 같은 비로 상호 혼합하여 하기 실험예에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번호 혼합비 명명
3-1 DH: E5E (1:1, w/w) 0
3-2 D5E: E5E (1:1, w/w) 5
3-3 D50E: E5E (1:1, w/w) 50
3-4 D80E: E5E (1:1, w/w) 80
실험예 1. 라디칼 소거능 실험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본 발명의 추출물 시료의 전자 공여 전달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DPPH방법 (Blio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395. Nature 26: 11991200 (1958))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라디칼 소거능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시료들을 에탄올 용액에 1 mg/ml의 농도로 녹인 후, 0.02 ml씩 96-웰 플레이트에 각각 옮긴 후 에탄올에 녹인 0.25 mM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D9132, Sigma) 0.18 ml을 첨가하고,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에 517 nm에서 흡광도 값을 측정하였으며,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라디칼 소거능을 계산하여 결과를 나타내었다. 양성대조군은 항산화활성이 매우 뛰어난 EGCG 1 mM (E4268, Sigma)를 사용하였다.
Figure 112009077363841-PAT00001
실험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황칠나무 추출물에 비해 비파엽 추출물이 라디칼 소거능이 뛰어난 양성대조군 EGCG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세포독성 실험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시료의 세포독성을 실험하고자 MTT assay 법(Yun-Lian Lina, Guei-JaneWang, Chuen-Lin Huan, Yi-Chao Lee, Wei-Chen Liao, Wen-Lin Lai, Yen-Ju Lin, Nai-Kuei Huan,.J. Ethnopharmacology, 122; 417-425 (2009))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PC12 세포 (rat pheochromocytoma cell,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Manassas, VA))을 10% fetal bovin serum (FBS, Gibco-BRL ((Gaithersburg, MD)) 및 1% antimicotics/antibiotics (Gibco-BRL)를 함유한 RPMI-1640 배지(Gibco-BRL)에서 배양하여 세포수가 104-106 세포/ml이 되도록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 세포들을 96-웰 플레이트로 옮겨 주어 세포수가 웰당 1x104로 배양한 다음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황칠나무 나무 에탄올 추출물들과 비파엽 5% 에탄올 추출물을 중량대비 1:1 혼합물을 만들어, 이를 5% DMSO에 1 mg/ml 녹인 후, 각각 15 씩 넣고 (최종 농도가 0.1 mg/ml) 24 시간 37℃에서 반응시킨 후, PBS에 녹인 MTT (3 - (4,5 - dimethylthiazol - 2 - yl) - 2,5 - diphenyltetrazolium bromide, M2128, Sigma) 시약 2 mg/ml을 각 웰당 15 씩 넣은 후 37℃에서 90분간 반응 후 570nm/630nm 에서 흡광도 값을 측정한 후, 하기 수학식 2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대조군은 시료를 전혀 처리하지 않아 측정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 항산화 활성이 좋고 세포 독성이 낮은 아스코르빅산 (A5960, Sigma)을 5% DMSO에 1 mM 되게 녹인 후 세포에 0.1 mM을 처리하여 측정하였다.
Figure 112009077363841-PAT00002
실험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0, 5, 50 및 80 모두 세포 독성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신경세포 보호 활성의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시료의 베타 아밀로이드에 의한 뇌신경 독성으로부터 신경세포 보호 활성을 실험하고자 Rong 등의 방법(Rong Ma, Nian Xiong, Chengfang Huang, Qiang Tang, Benrong Hu, Jizhou Xiang, Gang Li, Neuropharmacology, 56: 10271034 (2009))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PC12 세포를 96-웰 플레이트에 antimicotics/antibiotics를 함유한 RPMI-1640 배지(Gibco-BRL)에 배양하여 세포수가 웰당 1x104이 되었을 때,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황칠나무 나무 에탄올 추출물들과 비파엽 5% 에탄올 추출물의 혼합물 시료를 1mg/ml의 농도로 5% DMSO에 녹인 후, 각각 15 씩 넣고 24시간 37℃에서 전처리(pre-incubation)한 후에, 25 β-amyloid (25-35) (A4559, Sigma)를 24 시간 처리하여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를 유도한 후, 상기 실험예 2의 MTT 어세이법을 이용하여 신경세포 보호 활성을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시료를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았으며, 음성대조군은 최종농도가 25 이 되도록 베타아밀로이드만을 처리, 양성대조군은 아스코르빅산 0.1 mM을 전처리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베타아밀로이드 펩티드에 의해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하여 세포 활성이 60% 정도로 낮아졌으며, 황칠나무 나무 에탄올 추출물들과 비파엽 5% 에탄올 추출물 혼합물 중 황칠나무 50% 에탄올 추출물과 비파엽 5% 에탄올 혼합 추출물(50)에서 세포 보호 효과에 대해 가장 높은 보호 활성을 나타냄을 보였다.
하기에 본 발명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비파 5% 에탄올추출물 + 황칠나무 50% 에탄올 추출물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비파 5% 추출물 + 황칠나무 50% 에탄올 추출물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 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비파 5% 에탄올 추출물 + 황칠나무 50% 에탄올 추출물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캅셀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캅셀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비파 5% 에탄올 추출물 + 황칠나무 50% 에탄올 추출물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 (2 ㎖)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비파 5% 에탄올 추출물 + 황칠나무 50% 에탄올 추출물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ml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비파 5% 에탄올 추출물 + 황칠나무 50% 에탄올 추출물 10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비파 5% 에탄올 추출물 + 황칠나무 50% 에탄올 추출물 1000 mg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도 1은 황칠나무의 에탄올 분획 추출물 과 비파엽 5% 에탄올 추출물 혼합물의 소거능을 나타낸 도면(0; 0% EtOH 황칠나무 추출물 + 5% EtOH 비파엽 추출물, 5; 5%EtOH 황칠나무 추출물 + 5% EtOH 비파엽 추출물, 50; 50%EtOH 황칠나무 추출물 + 5%EtOH 비파엽 추출물, 80; 80% EtOH 황칠나무 추출물 + 5% EtOH 비파엽 추출물, 시료의 최종농도: 100㎍/ml)이며,
도 2는 황칠나무의 에탄올 분획 추출물과 비파엽 5% 에탄올 추출물 혼합물의 세포 독성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 도면(Control: non-treated ; 0% EtOH 황칠나무 추출물 + 5% EtOH 비파엽 추출물, 5; 5%EtOH 황칠나무 추출물 + 5% EtOH 비파엽 추출물, 50; 50%EtOH 황칠나무 추출물 + 5%EtOH 비파엽 추출물, 80; 80% EtOH 황칠나무 추출물 + 5% EtOH 비파엽 추출물, 시료의 최종농도: 100㎍/ml)이며,
도 3은 황칠나무의 에탄올 분획 추출물과 비파엽 5% 에탄올 추출물 혼합물의 베타 아밀로이드에 의한 뇌신경 독성으로부터 신경세포 보호활성을 나타낸 도면(Control: non-treated control; con-1: 베타 아밀로이드 25 처리; 0% EtOH: 0% 에탄올 황칠나무 추출물 + 5% 비파엽 에탄올 추출물 , 50% EtOH: 50 % 에탄올 황칠나무 추출물 + 5% 비파엽 에탄올 추출물, 80% EtOH: 80 %에탄올 황칠나무 추출물 + 5%비파엽 에탄올 추출물, 5: 추출물 혼합물 5 ㎍/ml(황칠나무 에탄올 분획 추출물 + 5% 에탄올 비파엽 추출물) 처리 후 베타 아밀로이드 25 처리 (24 hr), 10: 추출물 혼합물 10 ㎍/ml(황칠나무 에탄올 분획 추출물 + 5% 에탄올 비파엽 추출물) 처리 후 베타 아밀로이드 25 처리, (24 hr), 25: 추출물 혼합물 25 ㎍/ml(황칠나무 에탄올 분획 추출물 + 5% 에탄올 비파엽 추출물) 처리 후 베타 아밀로이드 25 처리 (24 hr), 50: 추출물 혼합물 50 ㎍/ml(황칠나무 에탄올 분획 추출물 + 5% 에탄올 비파엽 추출물) 처리 후 베타 아밀로이드 25 처리 (24 hr), 100: 추출물 혼합물 100 ㎍/ml(황칠나무 에탄올 분획 추출물 + 5% 에탄올 비파엽 추출물) 처리 후 베타 아밀로이드 25 처리 (24 hr)이다.

Claims (9)

  1. 황칠나무 및 비파엽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 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황칠나무 및 비파엽의 혼합 건조 중량비가 110:1 (w/w)의 혼합비로 혼합된 약학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가용한 추출물인 약학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퇴행성 뇌질환은 뇌졸중, 중풍, 치매, 알츠하이머 질환, 파킨슨 질환, 또는 헌팅턴 질환인 약학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으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조성물.
  6. 황칠나무 및 비파엽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 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7. 제 6항에 있어서,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건강기능식품.
  8.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및 개선 효과를 갖는 황칠나무 및 비파엽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품 및 식품첨가제.
  9. 제 8항에 있어서, 캔디류의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또는 건강보조 식품류인 식품.
KR1020090124536A 2009-12-15 2009-12-15 황칠나무 및 비파엽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0775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536A KR101077523B1 (ko) 2009-12-15 2009-12-15 황칠나무 및 비파엽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4536A KR101077523B1 (ko) 2009-12-15 2009-12-15 황칠나무 및 비파엽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7789A true KR20110067789A (ko) 2011-06-22
KR101077523B1 KR101077523B1 (ko) 2011-10-27

Family

ID=44400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4536A KR101077523B1 (ko) 2009-12-15 2009-12-15 황칠나무 및 비파엽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752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920B1 (ko) * 2011-08-24 2013-02-01 재단법인 전라남도생물산업진흥재단 황칠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장질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WO2013100340A1 (ko) * 2011-12-29 2013-07-04 재단법인 전라남도생물산업진흥재단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WO2014119875A1 (ko) * 2013-02-04 2014-08-07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황칠 잎 열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진해 또는 거담용 약학 조성물
KR101475180B1 (ko) * 2014-06-12 2014-12-22 장은익 황칠 음료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황칠 음료
KR101497827B1 (ko) * 2013-09-04 2015-03-02 제주황칠바이오테크(주) 황칠나무 엑기스 추출방법
KR20150082811A (ko) * 2014-01-08 2015-07-16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인성 질환 예방용 식품 조성물
KR20200089528A (ko) * 2019-01-17 2020-07-27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마테 및 황칠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변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4558061A (zh) * 2022-03-23 2022-05-31 浙江大学 一种枇杷叶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920B1 (ko) * 2011-08-24 2013-02-01 재단법인 전라남도생물산업진흥재단 황칠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장질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WO2013100340A1 (ko) * 2011-12-29 2013-07-04 재단법인 전라남도생물산업진흥재단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남성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WO2014119875A1 (ko) * 2013-02-04 2014-08-07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황칠 잎 열수 추출물을 함유하는 진해 또는 거담용 약학 조성물
KR101497827B1 (ko) * 2013-09-04 2015-03-02 제주황칠바이오테크(주) 황칠나무 엑기스 추출방법
KR20150082811A (ko) * 2014-01-08 2015-07-16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황칠 추출물을 포함하는 노인성 질환 예방용 식품 조성물
KR101475180B1 (ko) * 2014-06-12 2014-12-22 장은익 황칠 음료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황칠 음료
KR20200089528A (ko) * 2019-01-17 2020-07-27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마테 및 황칠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변성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4558061A (zh) * 2022-03-23 2022-05-31 浙江大学 一种枇杷叶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7523B1 (ko) 201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7523B1 (ko) 황칠나무 및 비파엽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WO2009157712A2 (ko) 연골 재생, 통증 억제 및 부종 억제용 생약조성물
KR20070040209A (ko) 단삼 분획물을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038775A (ko) 울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KR101793503B1 (ko) 퇴행성 뇌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80004158A (ko) 하엽 추출물 또는 생약복합제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45653B1 (ko) 산두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활성 저해용 조성물
KR101077522B1 (ko) 비파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WO2008069604A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mixed herbal extract of aralia cordata thunb. and cimicifuga heracleifolia kom. for preventing and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 and pain disease
KR20080032494A (ko) 대황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피시온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 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조성물
KR100769412B1 (ko) Pr-119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의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1636608B1 (ko) 산수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503792B1 (ko) 들쭉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세포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
KR101059075B1 (ko) 비파엽 추출물을 함유한 알코올성 간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394650B1 (ko) 강황, 상황 및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혈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기억손상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KR20110065151A (ko) 산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483121B1 (ko) 고지혈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68288B1 (ko) 두충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파킨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30067507A (ko) 인삼 및 비티스속 식물의 조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억력 증진, 학습능력 향상, 퇴행성 뇌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20033443A (ko) 대황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피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90089672A (ko) 지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1068561B1 (ko) 퇴행성 뇌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계지, 지모 및 양강의 생약 혼합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1194935B1 (ko) 신선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0512484B1 (ko) 인지력 향상효과를 갖는 포도나무속 식물 추출물을포함하는 알츠하이머형 치매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20170316A (ko) 퇴행성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하고 기억력을 높이는 뇌 세포 보호 효과를 유도하는 건강보조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