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7426A - 릴레이 - Google Patents

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7426A
KR20160007426A KR1020150097977A KR20150097977A KR20160007426A KR 20160007426 A KR20160007426 A KR 20160007426A KR 1020150097977 A KR1020150097977 A KR 1020150097977A KR 20150097977 A KR20150097977 A KR 20150097977A KR 20160007426 A KR20160007426 A KR 20160007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relay
pair
side pieces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7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2380B1 (ko
Inventor
도모아키 사사키
다카후미 이마이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7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20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movable inside coil and substantially lengthwise with respect to axis thereof; movable coaxially with respect to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8Indicators;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01H50/443Connections to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64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64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 H01H50/643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intermediate part performing a rotating or pivoting mov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01Relays in which the armature is maintained in one position by a permanent magnet and freed by energisation of a coil producing an opposing magnetic fie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21Guiding or setting position of armatures, e.g. retaining armatures in their end position
    • H01F7/122Guiding or setting position of armatures, e.g. retaining armatures in their end position by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 H01F7/1607Armatures entering the winding
    • H01F7/1615Armatures or stationary parts of magnetic circuit having permanent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 H01F7/1607Armatures entering the winding
    • H01F7/1623Armatures having T-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44Magnetic coils or windings
    • H01H2050/446Details of the insulating support of the coil, e.g. spool, bobbin, form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1/00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6Bases; Casings; Covers having windows; Transparent cases or co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전자석 장치의 동작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릴레이는 고정 접점과, 가동 접촉자와, 전자석 장치(4)를 구비한다. 전자석 장치(4)는 보빈(41)과, 코일(42)과, 가동 철심(43)과, 제 1 접극자(44a)와, 제 2 접극자(44b)와, 강자성체부(45)를 구비한다. 제 1 접극자(44a)는 가동 철심(43)의 제 1 단부(43a)가 압입되는 제 1 구멍(44aa)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접극자(44b)는 가동 철심(43)의 제 2 단부(43b)가 압입되는 제 2 구멍(44bb)이 형성되어 있다. 보빈(41)은 통체(41a)와, 제 1 플랜지(41b)와, 제 2 플랜지(41c)와, 한 쌍의 제 1 측편(41d)과, 한 쌍의 제 2 측편(41e)과, 한 쌍의 제 1 측편(41d)의 서로의 대향면에 형성되어 제 1 접극자(44a)를 가이드하는 제 1 리브(41f)와, 한 쌍의 제 2 측편(41e)의 서로의 대향면에 형성되어 제 2 접극자(44b)를 가이드하는 제 2 리브(41g)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릴레이{RELAY}
본 발명은 릴레이,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석 장치를 구비하는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릴레이로서는, 예를 들면, 리모콘 릴레이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리모콘 릴레이는, 케이스의 내부에, 코일로의 통전에 따라 플런저가 진퇴하는 전자석 장치와, 플런저의 진퇴 동작에 따라 접점부의 온/오프를 전환하는 개폐 기구부가 수납되어 있다.
전자석 장치는 코일과, 코일 보빈과, 플런저와, 2개의 접극자와, 요크와, 레지듀얼 플레이트(residual plate)와, 2개의 영구자석과, 2개의 보조 요크를 구비한다.
코일 보빈은 코일이 감기는 통 형상의 권동부(卷胴部)와, 권동부의 축방향의 양단부 각각에 마련된 판 형상의 칼라부와, 양 칼라부의 상하 방향을 따르는 양측 가장자리 각각으로부터 권동부와 반대측으로 돌출하는 판 형상의 측부를 구비한다.
일본 공개 특허 제 2011-249137 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리모콘 릴레이에서는, 코일 보빈의 칼라부로부터 동일측으로 돌출된 2개의 측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코일 보빈의 축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접극자와 2개의 측부의 마찰이 커져서 접극자가 부드럽게 움직이지 않는다는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석 장치의 동작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릴레이는 고정 접점과, 가동 접촉자와, 전자석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전자석 장치의 동작에 따라 상기 가동 접촉자를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고정 접점으로부터 멀어진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한다. 상기 전자석 장치는, 보빈과, 코일과, 가동 철심과, 제 1 접극자와, 제 2 접극자와, 강자성체부를 구비한다. 상기 보빈은, 상기 코일이 감겨지는 동시에, 상기 가동 철심이 관통 삽입된 통체와, 상기 통체의 축방향의 제 1 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 1 플랜지와, 상기 통체의 축방향의 제 2 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 2 플랜지를 구비한다. 상기 보빈은, 상기 제 1 플랜지에 있어서 상기 통체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통체와는 반대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제 1 측편과, 상기 제 2 플랜지에 있어서 상기 통체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통체와는 반대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제 2 측편을 구비한다. 상기 가동 철심은,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 각각의 상기 통체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면적이 중간부의 상기 통체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면적에 비해 작다. 상기 제 1 접극자는 상기 가동 철심의 제 1 단부가 압입되는 제 1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접극자는 상기 가동 철심의 제 2 단부가 압입되는 제 2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강자성체부는 상기 보빈, 상기 코일, 상기 제 1 접극자 및 상기 제 2 접극자를 둘러싸는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강자성체부는, 상기 가동 철심의 제 1 단부 중 상기 제 1 접극자로부터 돌출된 부분이 관통 삽입되는 제 1 관통 삽입 구멍과, 상기 가동 철심의 제 2 단부 중 상기 제 2 접극자로부터 돌출된 부분이 관통 삽입되는 제 2 관통 삽입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빈은, 상기 한 쌍의 제 1 측편의 서로의 대향면에 있어서 상기 통체의 축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리브와, 상기 한 쌍의 제 2 측편의 서로의 대향면에 있어서 상기 통체의 축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리브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접극자는 상기 한 쌍의 제 1 측편의 상기 제 1 리브끼리의 사이에 협지(挾持)되어 있다. 상기 제 2 접극자는 상기 한 쌍의 제 2 측편의 상기 제 2 리브끼리의 사이에 협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릴레이에서는, 전자석 장치의 동작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실시형태의 릴레이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실시형태의 릴레이에 있어서 커버를 분리한 상태에서 가동 접촉자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의 개략 정면도,
도 3은 실시형태의 릴레이에 있어서 커버를 분리한 상태에서 가동 접촉자가 제 2 위치에 있을 때의 개략 정면도,
도 4는 실시형태의 릴레이에 있어서의 전자석 장치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실시형태의 릴레이에 있어서의 전자석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실시형태의 릴레이에 있어서의 전자석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7은 실시형태의 릴레이에 있어서의 보빈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8은 실시형태의 릴레이에 있어서의 전자석 장치의 주요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9a는 실시형태의 릴레이에 있어서의 전자석 장치의 좌측면도,
도 9b는 실시형태의 릴레이에 있어서의 전자석 장치의 우측면도,
도 10은 실시형태의 릴레이에 있어서의 전환 회로의 회로도,
도 11은 비교예의 릴레이에 있어서의 전자석 장치의 주요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2a는 실시형태의 릴레이에 있어서의 전자석 장치의 제 1 변형예의 좌측면도,
도 12b는 실시형태의 릴레이에 있어서의 전자석 장치의 제 1 변형예의 우측면도,
도 13a는 실시형태의 릴레이에 있어서의 전자석 장치의 제 2 변형예의 좌측면도,
도 13b는 실시형태의 릴레이에 있어서의 전자석 장치의 제 2 변형예의 우측면도,
도 14a는 실시형태의 릴레이에 있어서의 전자석 장치의 제 3 변형예의 좌측면도,
도 14b는 실시형태의 릴레이에 있어서의 전자석 장치의 제 3 변형예의 우측면도,
도 15는 실시형태의 릴레이를 구비하는 부하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16은 실시형태의 릴레이를 구비하는 부하 제어 시스템의 전송 신호의 설명도.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릴레이(1)에 대해 도 1 내지 도 8, 도 9a, 도 9b 및 도 10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릴레이(1)는 고정 접점(2)과, 가동 접촉자(3)와, 전자석 장치(4)를 구비하고, 전자석 장치(4)의 동작에 따라 가동 접촉자(3)가 고정 접점(2)에 접촉하는 제 1 위치(도 2 참조)와 고정 접점(2)으로부터 멀어진 제 2 위치(도 3 참조) 사이에서 이동한다. 전자석 장치(4)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41)과, 코일(42)과, 가동 철심(43)과, 제 1 접극자(44a)와, 제 2 접극자(44b)와, 강자성체부(45)를 구비한다. 보빈(41)은 코일(42)이 감겨지는 동시에, 가동 철심(43)이 관통 삽입된 통체(41a)를 구비한다. 또한, 보빈(41)은 통체(41a)의 축방향의 제 1 단부(41aa)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 1 플랜지(41b)와, 통체(41a)의 축방향의 제 2 단부(41ab)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 2 플랜지(41c)를 구비한다. 보빈(41)은, 제 1 플랜지(41b)에 대해 통체(41a)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도 9a의 좌우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통체(41a)와는 반대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제 1 측편(41d)을 구비한다. 또한, 보빈(41)은 제 2 플랜지(41c)에 대해 통체(41a)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도 9b의 좌우 방향]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통체(41a)와는 반대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제 2 측편(41e)을 구비한다. 가동 철심(43)은, 제 1 단부(43a) 및 제 2 단부(43b) 각각의 통체(41a)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면적이 중간부(43c)의 통체(41a)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면적에 비해 작다. 제 1 접극자(44a)는 가동 철심(43)의 제 1 단부(43a)가 압입되는 제 1 구멍(44aa)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접극자(44b)는 가동 철심(43)의 제 2 단부(43b)가 압입되는 제 2 구멍(44bb)이 형성되어 있다. 강자성체부(45)는 보빈(41), 코일(42), 제 1 접극자(44a) 및 제 2 접극자(44b)를 둘러싸는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강자성체부(45)는, 가동 철심(43)의 제 1 단부(43a) 중 제 1 접극자(44a)로부터 돌출된 부분이 관통 삽입되는 제 1 관통 삽입 구멍(455)(도 5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강자성체부(45)는, 가동 철심(43)의 제 2 단부(43b) 중 제 2 접극자(44b)로부터 돌출된 부분이 관통 삽입되는 제 2 관통 삽입 구멍(456)(도 5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보빈(41)은, 한 쌍의 제 1 측편(41d)의 서로의 대향면에 있어서 통체(41a)의 축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제 1 리브(41f)와, 한 쌍의 제 2 측편(41e)의 서로의 대향면에 있어서 통체(41a)의 축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제 2 리브(41g)를 구비한다. 제 1 접극자(44a)는 한 쌍의 제 1 측편(41d)의 제 1 리브(41f)끼리의 사이에 협지되어 있다. 제 2 접극자(44b)는 한 쌍의 제 2 측편(41e)의 제 2 리브(41g)끼리의 사이에 협지되어 있다. 따라서, 릴레이(1)에서는 전자석 장치(4)의 동작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릴레이(1)는 고정 접점(2), 가동 접촉자(3) 및 전자석 장치(4) 등을 수납하는 케이스(1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릴레이(1)는 제 1 단자(5)와, 제 2 단자(6)와, 한 쌍의 제 3 단자(7)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 접점(2)은 제 1 단자(5)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가동 접촉자(3)는 제 2 단자(6)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릴레이(1)는 예를 들면, 제 1 단자(5)와 제 2 단자(6) 사이에, 부하(305)(도 10 참조)와 상용 전원(306)(도 10 참조)의 직렬 회로를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다. 릴레이(1)는 한 쌍의 제 3 단자(7) 사이에 코일(42)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릴레이(1)는 부하(305)의 온, 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릴레이(1)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이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릴레이(1)는 일 권선형의 쌍안정 릴레이[래칭 릴레이(latching relay)]이다. 쌍안정 릴레이는, 코일(42)에 여자 입력을 부여하였을 때에 동작 또는 복귀하여, 여자 입력을 제거한 후에도 그 상태를 유지하는 전자 릴레이이다. 또한, 릴레이(1)는 코일(42)의 여자 입력에 극성이 있는 유극 릴레이이다. 따라서, 릴레이(1)는 가동 철심(43)을 왕복 이동시키기 위해서, 코일(42)로의 통전 방향을 반전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릴레이(1)는 리모콘 릴레이이다. 릴레이(1)는 JIS C8360로 규격화되어 있는 리모콘 릴레이의 규격을 충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10)의 치수는, 예를 들면, JIS C8201-2-1의 부속서 XC에 규정되어 있는 전등 분전반용 협약형 회로 차단기의 치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10)는 합성 수지제의 바디(11)와 합성 수지제의 커버(12)를 결합시켜 구성되어 있다. 바디(11) 및 커버(12)의 수지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PBT(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바디(11)와 커버(12)가 동일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디(11)는 일면에 개구부(11a)를 갖는 상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12)는 바디(11)의 개구부(11a)를 덮는 평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0)는 바디(11)와 커버(12)를 4개의 머리붙이 핀(15)을 이용하여 결합하고 있다. 바디(11)는 각 머리붙이 핀(15)이 관통 삽입되는 4개의 제 1 관통 구멍(11b)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12)는 각 머리붙이 핀(15)이 관통 삽입되는 4개의 제 2 관통 구멍(12b)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0)를 조립하려면, 바디(11)와 커버(12)를 끼워맞춤한 후, 머리붙이 핀(15)을 커버(12)의 제 2 관통 구멍(12b) 및 바디(11)의 제 1 관통 구멍(11b)에 관통 삽입시켜서, 머리붙이 핀(15)의 선단부를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바디(11)와 커버(12)를 결합시킨다.
바디(11)는 서로 평행한 2개의 칸막이 벽(11c, 11d)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2개의 칸막이 벽(11c, 11d)은, 바디(11)에 있어서의 커버(12)와의 대향면으로부터 커버(12)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2개의 칸막이 벽(11c, 11d)은 케이스(1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떨어져 있다. 케이스(10) 내에 수납되는 전자석 장치(4)는 통체(41a)의 축방향이 케이스(10)의 길이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릴레이(1)는 전자석 장치(4)와 칸막이 벽(11d) 사이에 판 스프링(16)을 개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 스프링(16)은 가동 철심(43)에 간섭하지 않도록 U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판 스프링(16)은 케이스(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 가동 철심(43)이 닿지 않도록,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릴레이(1)는, 판 스프링(16)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가동 철심(43)이 이동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릴레이(1)는, 케이스(10)의 길이 방향의 제 1 단부에 있어서, 제 1 단자(5)와 제 2 단자(6)가 케이스(10)의 폭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또한, 릴레이(1)는 케이스(10)의 길이 방향의 제 2 단부에 있어서, 한 쌍의 제 3 단자(7)가 케이스(10)의 폭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 1 단자(5)는 제 1 단자판(51)과, 제 1 좌금(52)과, 도전성의 제 1 단자 나사(53)를 구비한다. 제 1 단자 나사(53)는, 제 1 축부(53b)가 제 1 좌금(52)에 관통 삽입되어 제 1 단자판(51)의 제 1 나사 구멍(51b)에 끼워맞춤될 수 있다. 제 1 단자판(51)은 일부가 케이스(10)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나머지의 부분이 케이스(10) 내에 수납되어 있다. 제 1 단자판(51)은 금속판 등의 도전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 1 단자(5)는 제 1 단자판(51)이 제 1 단자 나사(53)에 의해 바디(11)에 장착되어 있다.
제 2 단자(6)는 제 2 단자판(61)과, 제 2 좌금(62)과, 도전성의 제 2 단자 나사(63)를 구비한다. 제 2 단자 나사(63)는 제 2 축부(63b)가 제 2 좌금(62)에 관통 삽입되어 제 2 단자판(61)의 제 2 나사 구멍(61b)에 끼워맞춤될 수 있다. 제 2 단자판(61)은 일부가 케이스(10)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나머지의 부분이 케이스(10) 내에 수납되어 있다. 제 2 단자판(61)은 금속판 등의 도전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 2 단자(6)는 제 2 단자판(61)이 제 2 단자 나사(63)에 의해 바디(11)에 장착되어 있다.
제 3 단자(7)는 제 3 단자판(71)과, 제 3 좌금(72)과, 도전성의 제 3 단자 나사(73)를 구비한다. 제 3 단자 나사(73)는 제 3 축부(73b)가 제 3 좌금(72)에 관통 삽입되어 제 3 단자판(71)의 제 3 나사 구멍(71b)에 끼워맞춤될 수 있다. 제 3 단자판(71)은 일부가 케이스(10)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나머지의 부분이 케이스(10) 내에 수납되어 있다. 제 3 단자판(71)은 금속판 등의 도전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릴레이(1)는 고정 접점(2)이 제 1 단자(5)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가동 접촉자(3)가 제 2 단자(6)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릴레이(1)는 고정 접점(2)에 가동 접촉자(3)가 접촉한 상태의 경우에, 제 1 단자(5)와 제 2 단자(6)가 고정 접점(2) 및 가동 접촉자(3)를 거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고정 접점(2)으로부터 가동 접촉자(3)가 떨어졌을 때에 제 1 단자(5)와 제 2 단자(6)가 전기적으로 절연된다.
고정 접점(2)은 제 1 단자판(51)으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된 연설편(延設片)(51c)에 고착되어 있다. 연설편(51c)는 J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 접점(2)은 연설편(51c)의 선단부에 고착되어 있다. 릴레이(1)는, 제 1 단자(5)와 제 2 단자(6) 사이에 배치된 격벽(18)을 구비한다. 격벽(18)은 전기 절연성을 갖고 있다. 격벽(18)은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가동 접촉자(3)는 장척 형상의 도전판에 의해 형성된 판 스프링(31)과, 판 스프링(31)에 고착되어 고정 접점(2)에 접촉 가능한 가동 접점(32)을 구비한다. 도전판은 금속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가동 접촉자(3)는 판 스프링(31)에 가동 접점(32)이 일체로 형성되어도 좋다. 릴레이(1)는 가동 접촉자(3)와 고정 접점(2)로 접점부(100)를 구성하고 있다.
가동 접촉자(3)는 길이 방향의 제 1 단부(3a)에 가동 접점(32)을 구비하고, 길이 방향의 제 2 단부(3b)가 가요성을 갖는 전선(65)을 거쳐서 제 2 단자(6)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선(65)은 몇 개의 구리 소선을 서로 편입되도록 집합된 편조 도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릴레이(1)는 보빈(41)이 한 쌍의 제 1 측편(41d)으로부터 제 1 플랜지(41b)와는 반대측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지지편(41h)을 구비한다. 한 쌍의 지지편(41h)에는, 원형봉 형상의 제 1 축핀(101)이 관통 삽입되는 베어링 구멍(41j)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축핀(101)은 케이스(10) 내에 있고, 케이스(10)의 폭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케이스(10)에 보지된다.
릴레이(1)는 제 1 축핀(101)의 회전으로 회전 가능한 장척 형상의 레버(8)를 구비한다. 레버(8)는 전기 절연성을 갖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레버(8)는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 제 1 축핀(101)을 회전 가능하게 보지하는 제 1 베어링 구멍(8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레버(8)는 보빈(41)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레버(8)는 길이 방향의 제 1 단부(8a)에 제 2 베어링 구멍(82)이 형성되어 있다. 레버(8)는 제 2 베어링 구멍(82)에 가동 철심(43)의 제 1 단부(43a)에 장착된 원형봉 형상의 제 2 축핀(102)이 관통 삽입되어 있다. 제 2 축핀(102)은 제 1 축핀(101)과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레버(8)는 가동 철심(43)의 이동에 따라서 제 1 축핀(10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레버(8)는 가동 접촉자(3)와의 사이에 코일 스프링(9)을 보지하는 스프링 받이부(83)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코일 스프링(9)은, 가동 접촉자(3)가 고정 접점(2)에 접촉하고 있을 때에 소망한 접촉압이 얻어지도록 가동 접촉자(3)에 힘을 부여하는 스프링이다.
스프링 받이부(83)는 가동 접촉자(3)측이 개방된 U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 받이부(83)는 중앙편(83a)과, 중앙편(83a)의 양단으로부터 중앙편(83a)의 두께 방향을 따르는 일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측편(83b)으로 U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받이부(83)의 중앙편(83a)에는, 코일 스프링(9)의 일단부가 끼워넣어지는 제 1 돌기(83d)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 접촉자(3)는 길이 방향의 중간부(3c)에 코일 스프링(9)의 타단부가 끼워넣어지는 제 2 돌기(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 접촉자(3)는, 제 2 돌기와 제 1 단부(3a) 사이에 제 2 돌기 및 제 1 단부(3a)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구멍(34)이 형성되어 있다. 레버(8)는 가동 접촉자(3)의 구멍(34)에 삽입되는 제 3 돌기(도시하지 않음)를 일체로 구비한다. 또한, 레버(8)는 제 1 단부(8a)에 가동 접촉자(3)에 접촉 가능한 지점 돌기(85)를 구비하고 있다.
레버(8)는 길이 방향의 제 2 단부(8b)에 케이스(10)의 정면측에 형성되어 있는 창 구멍에 면하는 표시편(86)을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릴레이(1)는, 가동 철심(43)의 이동에 따라 레버(8)가 회전하면, 표시편(86)의 표시면에 있어서 노출하는 영역이 변화한다. 표시편(86)의 표시면에는, 「ON」의 문자와, 「OFF」의 문자가 표기되어 있다. 표시편(86)의 표시면은, 가동 접촉자(3)가 고정 접점(2)에 접촉한 상태의 경우, 「ON」와「OFF」 중, 「ON」의 문자만이 노출되고, 가동 접촉자(3)가 고정 접점(2)으로부터 멀어진 상태의 경우, 「ON」와「OFF」 중, 「OFF」의 문자만이 노출된다. 레버(8)는 표시편(86)의 표시면에 케이스(10)의 폭방향을 따르는 홈(86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릴레이(1)에서는 예를 들면, 유저가 마이너스 드라이버 등의 선단부 등을 창 구멍을 통해 홈(86b)에 삽입하여, 마이너스 드라이버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 레버(8)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보빈(41)은 전기 절연성을 갖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통체(41a)는 각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플랜지(41b)의 외주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제 2 플랜지(41c)의 외주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제 1 측편(41d)은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측편(41d)은 통체(41a)의 축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길이가 제 1 접극자(44a)의 두께보다 길다. 제 1 측편(41d)은 통체(41a)의 축방향과 한 쌍의 제 1 측편(41d)의 대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가 제 1 플랜지(41b)보다 길다. 제 1 리브(41f)는 한 쌍의 제 1 측편(41d)의 서로의 대향면에 있어서 통체(41a)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제 1 측편(41d)에는 제 1 리브(41f)가 2개씩 형성되어 있다. 제 1 측편(41d)에 형성된 2개의 제 1 리브(41f)는, 통체(41a)의 축방향과 한 쌍의 제 1 측편(41d)의 대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떨어져서 형성되어 있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 1 측편(41d)의 대향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제 1 리브(41f) 사이의 간격(H11)은, 한 쌍의 제 1 측편(41d)의 대향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접극자(44a)의 길이(H12)와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제 2 측편(41e)은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측편(41e)은 통체(41a)의 축방향을 따르는 방향의 길이가 제 2 접극자(44b)의 두께보다 길다. 제 2 측편(41e)은 통체(41a)의 축방향과 한 쌍의 제 2 측편(41e)의 대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가 제 2 플랜지(41c)보다 길다. 제 2 리브(41g)는 한 쌍의 제 2 측편(41e)의 서로의 대향면에 있어서 통체(41a)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제 2 측편(41e)에는 제 2 리브(41g)가 2개씩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2 측편(41e)에 형성된 2개의 제 2 리브(41g)는, 통체(41a)의 축방향과 한 쌍의 제 2 측편(41e)의 대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떨어져 형성되어 있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 2 측편(41e)의 대향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제 2 리브(41g) 사이의 간격(H21)은, 한 쌍의 제 2 측편(41e)의 대향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접극자(44b)의 길이(H22)와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가동 철심(43)은 예를 들어, 장척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동 철심(43)은 두께를 일정하게 하고, 길이 방향의 제 1 단부(43a) 및 제 2 단부(43b) 각각의 폭을 중간부(43c)의 폭에 비해 짧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가동 철심(43)은 제 1 단부(43a) 및 제 2 단부(43b) 각각의 통체(41a)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면적이 중간부(43c)의 통체(41a)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면적에 비해 작게 되어 있다. 가동 철심(43)은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형상이 직사각형이다.
제 1 접극자(44a)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접극자(44a)의 제 1 구멍(44aa)은 제 1 접극자(44a)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구멍(44aa)의 개구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제 1 접극자(44a)는 자성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 2 접극자(44b)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접극자(44b)의 제 2 구멍(44bb)은 제 2 접극자(44b)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구멍(44bb)의 개구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제 2 접극자(44b)는 자성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전자석 장치(4)는 코일(42)로의 통전에 의해, 제 1 접극자(44a)와 제 2 접극자(44b)가 이극(異極)이 되도록 여자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석 장치(4)는 코일(42)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역방향으로 하는 것에 의해, 제 1 접극자(44a)와 제 2 접극자(44b)의 한쪽이 N극, 다른쪽이 S극으로 여자된 상태로부터 한쪽이 S극, 다른쪽이 N극으로 여자된 상태로 바꿀 수 있다.
전자석 장치(4)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접극자(44a)에 대해 제 2 접극자(44b)와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비자성체의 플레이트(48)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레이트(48)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으로서는, 예를 들면, SUS304 등을 채용할 수 있다.
플레이트(48)는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레이트(48)의 중앙부에는, 제 1 접극자(44a)의 제 1 구멍(44aa)보다 큰 제 3 구멍(48a)이 형성되어 있다. 플레이트(48)는 제 1 접극자(44a)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석 장치(4)는 플레이트(48)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가동 철심(43)의 이동에 수반하여 제 1 접극자(44a)가 강자성체부(45)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제 1 접극자(44a)와 강자성체부(45) 사이에 플레이트(48)가 개재된다. 플레이트(48)는 제 1 접극자(44a)보다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강자성체부(45)는 보빈(41), 코일(42), 제 1 접극자(44a) 및 제 2 접극자(44b) 등을 둘러싸는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강자성체부(45)는 강자성체부(45)의 축방향과 보빈(41)에 있어서의 통체(41a)의 축방향이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강자성체부(45)의 축방향은 보빈(41)의 한 쌍의 제 1 측편(41d)의 대향 방향과 평행하다.
강자성체부(45)는 각각 U자형으로 형성된 한 쌍의 요크(계철)(450)를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요크(450)[이하, 「제 1 요크(450)」라고 함]는, 중앙편(451)과, 중앙편(451)의 양단으로부터 중앙편(451)의 두께 방향을 따르는 일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측편(452)으로 U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제 1 요크(450)는, 보빈(41)의 통체(41a)의 축방향과 보빈(41)의 한 쌍의 제 1 측편(41d)의 대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제 1 요크(450)는 한 쌍의 측편(452) 사이의 거리가, 제 1 접극자(44a)에 대해 가까운 측편(452)에 대향하는 면과, 제 2 접극자(44b)에 대해 가까운 측편(452)에 대향하는 면 사이의 거리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다.
제 1 요크(450)는 한 쌍의 측편(452) 중 제 1 접극자(44a)에 가까운 측편(452)의 선단 가장자리에, 제 1 관통 삽입 구멍(455)의 대략 절반을 구성하기 위한 제 1 오목소(凹所)(45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요크(450)는 한 쌍의 측편(452) 중 제 2 접극자(44b)에 가까운 측편(452)의 선단 가장자리에, 제 2 관통 삽입 구멍(456)의 대략 절반을 구성하기 위한 제 2 오목소(454)가 형성되어 있다.
전자석 장치(4)는, 코일(42)에 전류를 흐르게 했을 때에 전자력을 발생시키고, 해당 전자력에 의해서, 제 1 접극자(44a)와 제 2 접극자(44b) 중 한쪽과 강자성체부(45) 사이에 흡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릴레이(1)는, 전자석 장치(4)에 대해 제 1 접극자(44a)가 제 1 요크(450)에 근접했을 때에, 가동 접촉자(3)가 고정 접점(2)에 접촉하는 제 1 위치가 된다. 또한, 릴레이(1)는 전자석 장치(4)에 대해 제 2 접극자(44b)가 제 1 요크(450)에 근접했을 때에, 가동 접촉자(3)가 고정 접점(2)으로부터 멀어진 제 2 위치가 된다.
전자석 장치(4)는 영구자석(46)을 구비하고 있다. 영구자석(46)은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영구자석(46)은 두께 방향의 제 1 면(461)과 제 2 면(462)이 서로 이극이 되도록 착자(着磁)되어 있다. 영구자석(46)은 제 1 면이 S극이 되고, 제 2 면이 N극이 되도록 착자되어 있다. 영구자석(46)은 제 1 요크(450)의 중앙편(451)에 대해 코일(42)에 대향하는 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영구자석(46)은 제 1 요크(450)의 중앙편(451)측에 제 1 면(461)이 위치하고, 코일(42) 측에 제 2 면(462)이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전자석 장치(4)는 강자성체부(45)가 영구자석(46)의 제 1 면(461)과 동일한 극성으로 여자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석 장치(4)는, 강자성체부(45)를 구성하는 한 쌍의 제 1 요크(450)가 S극으로 여자되어 있다.
또한, 전자석 장치(4)는 각각 제 1 요크(450)보다 작은 한 쌍의 제 2 요크(47)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요크(47)는 직사각형 판 형상의 주편(主片)(471)과, 주편(471)의 일단으로부터 주편(471)의 두께 방향의 일방향으로 돌출된 측편(472)에서 L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요크(47)는 영구자석(46)과 보빈(4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요크(47)는 주편(471)이 영구자석(46)과 겹쳐서, 영구자석(46)과 코일(42)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전자석 장치(4)는, 영구자석(46)의 제 2 면(462)이 제 2 요크(47)측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제 2 요크(47)가 영구자석(46)의 제 2 면(462)과 동일한 극성으로 여자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석 장치(4)는 제 2 요크(47)가 N극으로 여자되어 있다. 따라서, 전자석 장치(4)는 제 2 요크(47)와 제 1 요크(450)가 이극으로 여자되어 있다.
제 2 요크(47)는 측편(472)이 제 2 플랜지(41c)에 있어서의 제 2 접극자(44b)의 대향면과 겹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2 요크(47)는 제 1 접극자(44a)가 강자성체부(45)에 근접했을 때에, 측편(472)과 제 2 접극자(44b)가 근접하고, 제 2 접극자(44b)가 강자성체부(45)에 근접했을 때에, 주편(471)의 타단과 제 1 접극자(44a)가 근접하도록 크기를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전자석 장치(4)는 제 1 접극자(44a) 또는 제 2 접극자(44b)와 강자성체부(450)가 근접할 때까지 가동 철심(43)을 이동시키면, 코일(42)로의 통전이 정지되어도, 영구자석(46)의 자력에 의해서 가동 철심(43)의 위치를 보지할 수 있다. 따라서, 릴레이(1)는 코일(42)로의 통전이 정지된 후에도, 고정 접점(2)[이하, 「제 1 고정 접점(2)」이라고 함]과 가동 접촉자(3)[이하, 「제 1 가동 접촉자(3)」라고 함]으로 구성되는 접점부(100)[이하, 「제 1 접점부(100)」라고 함)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전자석 장치(4)는 제 1 접극자(44a)가 강자성체부(45)에 근접한 상태에 있어서, 제 1 접극자(44a), 제 1 요크(450), 영구자석(46), 제 2 요크(47) 및 가동 철심(43)을 포함한 자기 회로가 구성된다. 또한, 전자석 장치(4)는 제 2 접극자(44b)가 강자성체부(45)에 근접한 상태에 있어서, 제 2 접극자(44b), 제 1 요크(450), 영구자석(46), 제 2 요크(47) 및 가동 철심(43)을 포함한 자기 회로가 구성된다.
릴레이(1)는 상술된 바와 같이 일 권선형의 쌍안정 릴레이이므로, 가동 철심(43)을 왕복 이동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코일(42)로의 통전 방향을 바꾸는 전환 회로(20)(도 10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전환 회로(20)는 제 1 다이오드(D1)와, 제 2 다이오드(D2)와, 제 2 접점부(200)와, 콘덴서(C1)와, 저항(R1)을 구비한다.
전환 회로(20)는 제 1 다이오드(D1)의 애노드와 제 2 다이오드(D2)의 캐소드가 한 쌍의 제 3 단자(7) 중 한쪽의 제 3 단자(7)에 공통 접속되어 있다. 제 2 접점부(200)는 제 1 다이오드(D1)의 캐소드와 제 2 다이오드(D2)의 애노드의 한쪽을 택일적으로 코일(42)의 일단에 접속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코일(42)의 타단은, 한 쌍의 제 3 단자(7) 중 다른쪽의 제 3 단자(7)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릴레이(1)는 한 쌍의 제 3 단자(7) 사이에 코일(42)과 제 1 다이오드(D1)의 직렬 회로가 접속되었을 경우와, 한 쌍의 제 3 단자(7) 사이에 코일(42)과 제 2 다이오드(D2)의 직렬 회로가 접속되었을 경우에, 코일(42)로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역방향이 된다.
제 2 접점부(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고정 접점(202)과, 제 3 고정 접점(203)과, 제 2 고정 접점(202)에 대향하는 제 2 가동 접촉자(212)와, 제 3 고정 접점(203)에 대향하는 제 3 가동 접촉자(213)를 구비한다. 릴레이(1)는 제 2 가동 접촉자(212)와 제 3 가동 접촉자(213)를 지지하는 지지판(220)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판(220)은 금속 판 등의 도전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 2 접점부(200)는 지지판(220)이 코일(42)을 거쳐서, 한 쌍의 제 3 단자(7) 중 한쪽의 제 3 단자(7)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2 접점부(200)는 제 2 고정 접점(202), 제 3 고정 접점(203)이 각각 제 1 다이오드(D1), 제 2 다이오드(D2)를 거쳐서, 한 쌍의 제 3 단자(7) 중 다른쪽의 제 3 단자(7)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지지판(220)은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판(220)은 중앙편(221)과 한 쌍의 측편(222)으로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한 쌍의 측편(222)의 길이를 서로 다르게 하고 있다. 제 2 접점부(200)는 제 2 가동 접촉자(212)가 한 쌍의 측편(222) 중 긴 측편(222)에 지지되고, 제 3 가동 접촉자(213)가 한 쌍의 측편(222) 중 짧은 측편(222)에 지지되어 있다.
제 2 가동 접촉자(212)는, 장척 형상의 도전판에 의해 형성된 판 스프링(212a)과, 판 스프링(212a)에 고착되어 제 2 고정 접점(202)에 접촉 가능한 제 2 가동 접점(212b)을 구비한다. 판 스프링(212a)은, 제 2 가동 접촉자(212)를 제 2 고정 접점(202)에 접촉시키는 방향의 스프링력을 갖고 있다. 제 2 가동 접촉자(212)는, 판 스프링(212a)에 제 2 가동 접점(212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 3 가동 접촉자(213)는 장척 형상의 도전판에 의해 형성된 판 스프링(213a)과, 판 스프링(213a)에 고착되어 제 3 고정 접점(203)에 접촉 가능한 제 3 가동 접점(213b)을 구비한다. 판 스프링(213a)은 제 3 가동 접촉자(213)를 제 3 고정 접점(203)에 접촉시키는 방향의 스프링력을 갖고 있다. 제 3 가동 접촉자(213)는 판 스프링(213a)에 제 3 가동 접점(213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릴레이(1)는 상술의 레버(8)가 제 2 가동 접촉자(212)와 제 3 가동 접촉자(213)를 택일적으로 누름 조작하는 조작부(87)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조작부(87)는 레버(8)의 길이 방향의 제 2 단부(8b)에 대해 표시편(86)보다 제 1 베어링 구멍(81)에 가까운 부위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87)는 선단부가 제 2 가동 접촉자(212)의 선단부와 제 3 가동 접촉자(213)의 선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조작부(87)는 제 2 가동 접촉자(212)와 제 3 가동 접촉자(213)의 한쪽으로부터 멀어지는 동시에 다른쪽을 가압한다. 제 2 가동 접촉자(212)는, 조작부(87)에 의해 가압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제 2 고정 접점(202)과 접촉하고, 조작부(87)에 의해 가압되면, 제 2 고정 접점(202)으로부터 멀어진다. 또한, 제 3 가동 접촉자(213)는, 조작부(87)에 의해 가압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제 3 고정 접점(203)과 접촉하고, 조작부(87)에 의해 가압되면, 제 3 고정 접점(203)으로부터 멀어진다.
릴레이(1)는 제 1 접극자(44a)가 강자성체부(45)에 근접한 상태에 있어서, 제 1 가동 접촉자(3)가 제 1 고정 접점(2)과 접촉하는 동시에, 제 2 가동 접촉자(212)가 제 2 고정 접점(202)과 접촉하고, 또한 제 3 가동 접촉자(213)가 제 3 고정 접점(203)으로부터 멀어진다. 또한, 릴레이(1)는 제 2 접극자(44b)가 강자성체부(45)에 근접한 상태에 있어서, 제 1 가동 접촉자(3)가 제 1 고정 접점(2)으로부터 멀어지는 동시에, 제 2 가동 접촉자(212)가 제 2 고정 접점(202)으로부터 멀어지고, 또한 제 3 가동 접촉자(213)가 제 3 고정 접점(203)과 접촉한다. 따라서, 릴레이(1)는 제 1 접극자(44a)가 강자성체부(45)에 근접한 상태와, 제 2 접극자(44b)가 강자성체부(45)에 근접한 상태에서 코일(42)로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서로 다르다.
릴레이(1)의 동작에 대해서는 이하에 간단하게 설명한다.
릴레이(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접촉자(3)가 고정 접점(2)으로부터 멀어진 상태에서, 가동 철심(43)의 여자 상태가 바뀌도록 코일(42)에 전류가 통전되면, 제 1 접극자(44a)가 강자성체부(45)와 근접하도록 가동 철심(43)이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릴레이(1)는 레버(8)가 제 1 축핀(101)을 회전축으로서 도 3에 있어서의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릴레이(1)는 레버(8)가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접촉자(3)가 고정 접점(2)과 접촉한다. 또한, 릴레이(1)에서는, 레버(8)의 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해서, 제 3 가동 접촉자(213)가 조작부(87)로 눌려져서 제 3 가동 접촉자(213)가 제 3 고정 접점(203)으로부터 멀어진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릴레이(1)는 코일(42)로의 통전이 정지되어도, 제 1 가동 접촉자(3)가 제 1 고정 접점(2)에 접촉한 상태가 영구자석(46)의 자력에 의해서 유지된다.
또한, 릴레이(1)에서는, 통전 방향이 반전된 전류가 코일(42)에 통전되면, 제 2 접극자(44b)가 강자성체부(45)와 근접하도록 가동 철심(43)이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릴레이(1)는 레버(8)가 제 1 축핀(101)을 회전축으로서 도 2에 있어서의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릴레이(1)는 레버(8)가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접촉자(3)가 고정 접점(2)으로부터 멀어진다. 또한, 릴레이(1)에서는, 레버(8)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해서, 제 2 가동 접촉자(212)가 조작부(87)로 눌려져서 제 2 가동 접촉자(212)가 제 2 고정 접점(202)으로부터 멀어진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릴레이(1)는 코일(42)로의 통전이 정지되어도, 제 1 가동 접촉자(3)가 제 1 고정 접점(2)으로부터 멀어진 상태가 유지된다.
그런데, 본원 발명자들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리모콘 릴레이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비교예의 릴레이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비교예의 릴레이는, 릴레이(1)의 전자석 장치(4)에 있어서의 보빈(41)의 형상이 상위하다.
비교예의 릴레이에 있어서의 보빈(41)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1)의 보빈(41)에 있어서의 제 1 리브(41f) 및 제 2 리브(41g)를 구비하지 않는다. 비교예에서는, 가동 철심(43)이 이동할 때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서, 보빈(41)의 한 쌍의 제 1 측편(41d)의 대향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접극자(44a)의 길이를, 한 쌍의 제 1 측편(41d) 사이의 거리와 대략 동일한 값으로 설정하였다. 마찬가지로, 비교예에서는, 보빈(41)의 한 쌍의 제 2 측편(41e)의 대향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접극자(44b)의 길이를, 한 쌍의 제 2 측편(41e) 사이의 거리와 대략 동일한 값으로 설정하였다.
그렇지만, 비교예의 릴레이에서는, 제 1 접극자(44a) 및 제 2 접극자(44b)가 부드럽게 움직이지 않았다. 이 점에 대해서, 본원 발명자들은 제 1 접극자(44a)가 한 쌍의 제 1 측편(41d)을 따라서 이동할 경우에 생기는 마찰력, 제 2 접극자(44b)가 한 쌍의 제 2 측편(41e)을 따라서 이동할 경우에 생기는 마찰력 각각이 큰 것에 원인이 있다고 추고하였다.
또한, 비교예의 릴레이에서는, 보빈(41)에 있어서의 한 쌍의 제 1 측편(41d)에 한 쌍의 제 1 측편(41d) 사이의 치수가 국소적으로 짧아지는 휘어짐이 발생하기 쉽고, 전자석 장치의 조립 시에 제 1 접극자(44a)를 한 쌍의 제 1 측편(41d) 사이에 삽입할 수 없었다. 또한, 비교예의 릴레이에서는, 보빈(41)에 있어서의 한 쌍의 제 2 측편(41e)에 한 쌍의 제 2 측편(41e) 사이의 치수가 국소적으로 짧아지는 휘어짐이 발생하기 쉽고, 전자석 장치의 조립 시에 제 2 접극자(44b)를 한 쌍의 제 2 측편(41e) 사이에 삽입할 수 없었다. 또한, 본원 발명자들은 비교예의 릴레이에서는 보빈(41)의 통체(41a)에 코일(42)을 감으면, 한 쌍의 제 1 측편(41d) 사이의 치수가 국소적으로 길어지는 휘어짐이 발생하기 쉽고, 한 쌍의 제 2 측편(41e) 사이의 치수가 국소적으로 길어지는 휘어짐이 발생하기 쉽다고 하는 지견을 얻었다. 그리고, 비교예의 릴레이에서는, 가동 철심(43)이 이동하는 경우에, 제 1 접극자(44a) 및 제 2 접극자(44b)가 흔들려버려서, 흡인력 특성이 불균일해져 버리는 일이 있었다.
이것에 대해, 본 실시형태의 릴레이(1)는, 제 1 접극자(44a)가 한 쌍의 제 1 측편(41d)의 제 1 리브(41f)끼리의 사이에 협지되고, 제 2 접극자(44b)가 한 쌍의 제 2 측편(41e)의 제 2 리브(41g)끼리의 사이에 협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릴레이(1)는, 제 1 접극자(44a)가 한 쌍의 제 1 측편(41d)을 따라서 이동할 때의 마찰력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제 2 접극자(44b)가 제 2 측편(41e)을 따라서 이동할 때의 마찰력을 경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릴레이(1)는 가동 철심(43)이 이동할 때의 가동 철심(43)의 흔들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릴레이(1)는 제 1 접극자(44a) 및 제 2 접극자(44b)를 보다 부드럽게 움직이는 것이 가능해져서, 전자석 장치(4)의 동작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릴레이(1)는 흡인력 특성의 불균일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릴레이(1)에서는, 서로 대향하는 제 1 리브(41f)가 이동하는 제 1 접극자(44a)를 가이드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릴레이(1)에서는, 서로 대향하는 제 2 리브(41g)가 이동하는 제 2 접극자(44b)를 가이드하는 기능을 갖는다.
릴레이(1)는, 제 1 측편(41d)에 제 1 리브(41f)가 2개씩 형성되어 있으므로, 1개씩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가동 철심(43)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면 내에서의 제 1 접극자(44a)의 회전을 보다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릴레이(1)는, 제 2 측편(41e)에 제 2 리브(41g)가 2개씩 형성되어 있으므로, 1개씩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가동 철심(43)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면 내에서의 제 2 접극자(44b)의 회전을 보다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릴레이(1)는, 제 1 측편(41d)에 제 1 리브(41f)를 2개씩 형성하고, 제 2 측편(41e)에 제 2 리브(41g)를 2개씩 형성하고 있으므로, 한 쌍의 제 1 측편(41d) 및 한 쌍의 제 2 측편(41e)에 휘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리브(41f)에 형성되는 제 1 리브(41f)의 개수, 제 2 리브(41g)에 형성되는 제 2 리브(41g)의 개수는 2개로 한정되지 않지만, 개수가 많아질수록 마찰력이 커지는 경향에 있으므로, 3개 이상보다 2개인 쪽이 바람직하다.
제 1 리브(41f)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에 제 1 둥근부(41fa)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제 2 리브(41g)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에 제 2 둥근부(41ga)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석 장치(4)는, 제 1 리브(41f)의 선단에 제 1 둥근부(41fa)를 갖는 경우,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리브(41f)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에서 본 형상이 직사각형상인 경우에 비해,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져서, 동작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전자석 장치(4)는, 제 1 리브(41f)와 제 1 접극자(44a)의 서로의 대향면끼리가 대략 평행인 경우에 비해,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전자석 장치(4)는, 제 2 리브(41g)의 선단에 제 2 둥근부(41ga)를 갖는 경우,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리브(41g)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에서 본 형상이 직사각형상인 경우에 비해,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져서, 동작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자석 장치(4)는, 제 1 리브(41f)의 선단에 제 1 둥근부(41fa)를 갖는 경우,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리브(41f)의 길이 방향에서 본 형상이 삼각형상인 경우에 비해, 보빈(41)의 성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전자석 장치(4)는, 제 2 리브(41g)의 선단에 제 2 둥근부(41ga)를 갖는 경우,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리브(41g)의 길이 방향에서 본 형상이 삼각형상인 경우에 비해, 보빈(41)의 성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둥근부(41fa) 및 제 2 둥근부(41ga)의 형상은, 적어도 직각이 되는 각부를 갖지 않는 것으로 마찰력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한 형상이면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둥근부(41fa) 및 제 2 둥근부(41ga)에 있어서, 길이 방향에서 본 형상은, 통체(41a)의 축방향에 따른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형상과 동일하다. 제 1 둥근부(41fa) 및 제 2 둥근부(41ga)의 길이 방향에서 본 형상은, 원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단지 각부를 둥글게 한 형상이어도 좋고, 반타원 구형의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전자석 장치(4)는, 제 1 접극자(44a)의 측면에 제 1 리브(41f)가 들어간 제 1 오목부(44ac)[도 14a 참조]가 형성되고, 제 2 접극자(44b)의 측면에 제 2 리브(41g)가 들어간 제 2 오목부(44bc)[도 14b 참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릴레이(1)는 제 1 접극자(44a) 및 제 2 접극자(44b) 각각의 통체(41a)의 축방향과 한 쌍의 제 1 측편(41d) 및 한 쌍의 제 2 측편(41e)에 직교하는 방향의 흔들림을 보다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동작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릴레이(1)를 구비하는 부하 제어 시스템(300)의 일례에 대해서 도 15 및 도 16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부하 제어 시스템(300)은, 릴레이(1)와, 릴레이(1)를 제어하는 제 1 단말기(301)와, 스위치의 조작 상태를 감시하는 제 2 단말기(302)와, 전송 제어 장치(303)와, 변압기(304)를 구비한다. 부하 제어 시스템(300)은 제 1 단말기(301) 및 제 2 단말기(302)가 2선식의 신호선(Ls)을 거쳐서 전송 제어 장치(30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릴레이(1)는 제 1 단자(5)와 제 2 단자(6) 사이에 부하(305)와 상용 전원(306)의 직렬 회로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릴레이(1)는 한 쌍의 제 3 단자(7) 중 한쪽의 제 3 단자(7)가 변압기(304)에 접속되고, 다른쪽의 제 3 단자(7)가 제 1 단말기(301)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부하 제어 시스템(300)은 상용 전원(306)을 구성 요건으로서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부하 제어 시스템(300)은 부하(305)를 구성 요건으로서 포함하지 않지만, 포함해도 좋다.
제 1 단말기(301) 및 제 2 단말기(302)는 각각 고유의 어드레스(address)가 설정되어 있다.
전송 제어 장치(303)는 신호선(Ls)을 거쳐서, 제 1 단말기(301) 및 제 2 단말기(302) 각각의 사이에서 어드레스 데이터를 포함한 전송 신호(Vs)(도 16 참조)를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2 단말기(302)는 스위치(312)의 조작 상태를 나타내는 감시 데이터를 신호선(Ls)을 거쳐서 전송 제어 장치(303)에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하 제어 시스템(300)은 제 1 단말기(301)가 릴레이(1)를 제어할 경우에, 원격제어 변압기(304)로부터 릴레이(1)에 펄스적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변압기(304)는 상용 전원으로 이루어지는 교류 전원에 접속되어 있고, 100V의 교류 전압을 변압하여 릴레이(1) 및 제 1 단말기(301) 각각 24V의 교류 전압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변압기(304)는 릴레이(1)에 소정 전압(±24V의 교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원격제어 변압기이다.
제 1 단말기(301)는 최대로 4회로의 릴레이(1)를 제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제 1 단말기(301)에는, 릴레이(1)를 개별적으로 인식하기 위해서 2비트의 부하 번호가 부가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단말기(301)의 채널과 부하 번호를 통합하여 어드레스라고 부르기로 한다. 즉, 부하 제어 시스템(300)은, 각 릴레이(1)에 각각 개별의 어드레스가 부여되어 있게 한다.
제 1 단말기(301)는 어드레스 데이터에 포함되는 부하 번호가 일치하는 릴레이(1)를 제어함으로써 대응하는 부하를 제어한다.
부하 제어 시스템(300)에서는, 제 2 단말기(302)의 어드레스와 릴레이(1)의 어드레스의 대응 관계를 전송 제어 장치(303)에서 관리하고 있다. 따라서, 부하 제어 시스템(300)에서는, 전송 제어 장치(303)에 대해 1개의 제 2 단말기(302)의 어드레스에 복수 회로의 릴레이(1)의 어드레스를 관계 데이터로서 대응시키면, 1개의 제 2 단말기(302)로 복수 회로의 릴레이(1)를 일괄하여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런 종류의 제어를 일괄 제어라고 칭하고, 특히, 복수의 부하(305)를 동일한 제어 상태로 제어하는 일괄 제어를 그룹 제어라고 칭하고, 복수의 부하(305)를 미리 개개에 설정한 제어 상태로 제어하는 일괄 제어를 패턴 제어라고 칭한다. 그룹 제어나 패턴 제어는, 릴레이(1)에 의해 제어되는 부하(305)가 조명 부하일 때 특히 유효하고, 오피스 공간과 같이 다수의 조명 부하가 배열되어 있는 장소에서, 복수의 조명 부하를 일제히 점등·소등시킬 때에 그룹 제어나 패턴 제어를 이용할 수 있다.
부하 제어 시스템(300)은 전송 제어 장치(303), 제 1 단말기(301), 각 릴레이(1) 및 변압기(304)가 분전반(도시하지 않음)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송 제어 장치(303)는 신호선(Ls)에 대해서 도 16a에 도시된 포맷(신호 형태)의 전송 신호(Vs)를 송출한다. 전송 신호(Vs)는, 쌍극성(±24V)의 시분할 다중 신호이고, 펄스폭 변조에 의해서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되어 있다[도 16b]. 전송 신호(Vs)는, 스타트 펄스 신호(SY), 모드 데이터(MD), 어드레스 데이터(AD), 제어 데이터(CD), 체크 섬 데이터(CS) 및 신호 반송 기간(WT)을 포함한다. 스타트 펄스 신호(SY)는 신호 송출 개시를 나타내는 신호이다. 모드 데이터(MD)는 전송 신호(Vs)의 모드를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어드레스 데이터(AD)는 제 1 단말기(301)나 제 2 단말기(302)를 각별하게 호출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제어 데이터(CD)는 릴레이(1)나 부하(305)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체크 섬 데이터는 전송 오류를 검출하기 위한 데이터이다. 신호 반송 기간(WT)은 제 1 단말기(301)나 제 2 단말기(302)로부터의 반송 신호를 수신하는 타임 슬롯(time slot)이다.
제 1 단말기(301) 및 제 2 단말기(302)는, 신호선(Ls)을 거쳐서 수신한 전송 신호(Vs)에 포함되는 어드레스 데이터(AD)가 자기의 어드레스에 일치하면, 전송 신호(Vs)로부터 제어 데이터(CD)를 집어넣는다. 그리고, 제 1 단말기(301) 및 제 2 단말기(302)는 전송 신호(Vs)의 신호 반송 기간(WT)에 감시 데이터를 전류 모드 신호로서 반송한다. 전류 모드 신호는 신호선(Ls)을 적당한 저 임피던스를 거쳐서 단락시키는 것에 의해 송출되는 신호이다.
전송 제어 장치(303)는 소망한 제 1 단말기(301) 또는 제 2 단말기(302)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모드 데이터(MD)를 제어 모드로 하고, 소망한 제 1 단말기(301) 또는 제 2 단말기(302)의 어드레스를 어드레스 데이터(AD)로 하는 전송 신호(Vs)를 송출한다. 그리고, 부하 제어 시스템(300)에서는, 어드레스 데이터(AD)에 일치하는 어드레스의 제 1 단말기(301) 또는 제 2 단말기(302)가 제어 데이터(CD)를 받아서, 신호 반송 기간(WT)에 감시 데이터를 반송한다. 그리고, 전송 제어 장치(303)는, 송출 제어 데이터(CD)와 신호 반송 기간(WT)에 수신한 감시 데이터와의 관계에 의해서 제어 데이터(CD)가 소망한 제 1 단말기(301) 또는 제 2 단말기(302)에 전송된 것을 확인한다.
제 1 단말기(301)는 받은 제어 데이터(CD)에 따라 릴레이(1)를 제어한다. 제 2 단말기(302)는 받은 제어 데이터(CD)에 따라 표시부(313)를 제어한다.
전송 제어 장치(303)는 통상 시에는 모드 데이터(MD)를 더미 모드로 한 전송 신호(Vs)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송출하고 있다[상시, 폴링(polling)을 실시하고 있다]. 제 2 단말기(302)는, 전송 제어 장치(303)에 대해서 어떠한 정보를 전송하려고 하는 경우, 더미 모드의 전송 신호(Vs)의 스타트 펄스 신호(SY)에 동기시키고, 도 16c와 같은 할입(割入)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때, 제 2 단말기(302)는 할입 플래그를 설정하여 전송 제어 장치(303)와의 이후의 정보의 주고받음에 대비한다.
전송 제어 장치(303)는 할입 신호를 수신하면, 모드 데이터(MD)를 할입 폴링 모드로 하는 동시에, 어드레스 데이터(AD)의 상위의 반수의 비트[어드레스 데이터(AD)를 8비트라고 하면 상위 4비트]를 순서대로 증가시키면서 전송 신호를 송출한다. 할입 신호를 발생시킨 제 2 단말기(302)는, 할입 폴링 모드의 전송 신호(Vs)의 어드레스 데이터(AD)의 상위 4비트가 자기의 어드레스의 상위 4비트에 일치하는 경우에, 신호 반송 기간(WT)에 어드레스의 하위의 반수의 비트를 전송 제어 장치(303)에 반송한다. 이것에 의해, 전송 제어 장치(303)는 할입 신호를 발생시킨 제 2 단말기(302)를 인식할 수 있다.
전송 제어 장치(303)는 할입 신호를 발생시킨 제 2 단말기(302)의 어드레스를 획득하면, 모드 데이터(MD)를 감시 모드로 하여, 획득한 어드레스의 어드레스 데이터(AD)를 갖는 전송 신호(Vs)를 신호선(Ls)에 송출한다. 그리고, 제 2 단말기(302)는 이 전송 신호(Vs)에 대해서, 전송하려고 하는 정보인 감시 데이터를 신호 반송 기간(WT)에 반송한다.
마지막으로, 전송 제어 장치(303)는 할입 신호를 발생시킨 제 2 단말기(302)에 대해서 할입 리셋을 지시하는 신호를 송출하고, 제 2 단말기(302)의 할입 플래그를 해제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 2 단말기(302)로부터 전송 제어 장치(303)로의 감시 데이터의 전송은, 전송 제어 장치(303)로부터 제 2 단말기(302)로의 4회의 신호 전송(더미 모드, 할입 폴링 모드, 감시 모드, 할입 리셋)에 의해서 완료한다.
전송 제어 장치(303)에서는, 일련의 인터럽트(interrupt) 처리를 거쳐서 감시 데이터를 수신하면, 제 2 단말기(302)와 미리 대응시킨 제 1 단말기(301)로의 제어 데이터(CD)를 작성한다. 전송 제어 장치(303)는, 작성한 제어 데이터(CD)를 제 1 단말기(301)의 어드레스 데이터(AD)와 함께 전송 신호(Vs)에 의해 시분할 다중 전송한다. 전송 신호(Vs)에 의해 엑세스된 제 1 단말기(301)는, 제어 데이터(CD)의 제어 내용에 따른 릴레이(1)를 제어하여, 부하(305)로의 전원 공급의 온과 오프를 제어한다. 즉, 부하 제어 시스템(300)에서는, 제 2 단말기(302)의 스위치(312)의 조작에 따라, 대응하는 제 1 단말기(301)에 의해 릴레이(1)를 거쳐서 부하(305)로의 전원 공급의 온과 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5에는 제 1 단말기(301)와 제 2 단말기(302)가 1개씩 도시되어 있지만, 각각 복수여도 좋다. 제 1 단말기(301), 제 2 단말기(302)와 신호선(Ls)의 접속 형태에는 송신 배선이 채용된다.
상술된 실시형태 등에 대해서 설명한 각 도면은 모식적인 도면이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 각각의 비가 반드시 실제의 치수 비를 반영하고 있다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실시형태 등에 기재된 재료, 수치 등은 바람직한 예를 나타내고만 있는 것이며, 이에 한정하는 주지는 아니다. 또한, 본원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에 적절하게 변경을 더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릴레이 2 : 고정 접점
3 : 가동 접촉자 4 : 전자석 장치
41 : 보빈 41a : 통체
41aa : 제 1 단부 41ab : 제 2 단부
41b : 제 1 플랜지 41c : 제 2 플랜지
41d : 제 1 측편 41e : 제 2 측편
41f : 제 1 리브 41g : 제 2 리브
42 : 코일 43 : 가동 철심
43a : 제 1 단부 43b : 제 2 단부
43c : 중간부 44a : 제 1 접극자
44aa : 제 1 구멍 44bb : 제 2 구멍
44ac : 제 1 오목부 44b : 제 2 접극자
44bc : 제 2 오목부 45 : 강자성체부
455 : 제 1 관통 삽입 구멍 456 : 제 2 관통 삽입 구멍

Claims (4)

  1. 고정 접점과, 가동 접촉자와, 전자석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전자석 장치의 동작에 따라 상기 가동 접촉자를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고정 접점으로부터 떨어진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릴레이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 장치는 보빈과, 코일과, 가동 철심과, 제 1 접극자와, 제 2 접극자와, 강자성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보빈은 상기 코일이 감겨지는 동시에, 상기 가동 철심이 관통 삽입된 통체와, 상기 통체의 축방향의 제 1 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 1 플랜지와, 상기 통체의 축방향의 제 2 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 2 플랜지와, 상기 제 1 플랜지에 있어서 상기 통체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통체와는 반대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제 1 측편과, 상기 제 2 플랜지에 있어서 상기 통체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통체와는 반대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제 2 측편을 구비하고,
    상기 가동 철심은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 각각의 상기 통체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면적이, 중간부의 상기 통체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의 면적에 비해 작고,
    상기 제 1 접극자는 상기 가동 철심의 제 1 단부가 압입되는 제 1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접극자는 상기 가동 철심의 제 2 단부가 압입되는 제 2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강자성체부는 상기 보빈, 상기 코일, 상기 제 1 접극자 및 상기 제 2 접극자를 둘러싸는 직사각형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동 철심의 제 1 단부 중 상기 제 1 접극자로부터 돌출된 부분이 관통 삽입되는 제 1 관통 삽입 구멍과, 상기 가동 철심의 제 2 단부 중 상기 제 2 접극자로부터 돌출된 부분이 관통 삽입되는 제 2 관통 삽입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빈은 상기 한 쌍의 제 1 측편의 서로의 대향면에 있어서 상기 통체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1 리브와, 상기 한 쌍의 제 2 측편의 서로의 대향면에 있어서 상기 통체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접극자는 상기 한 쌍의 제 1 측편의 상기 제 1 리브끼리의 사이에 협지되고,
    상기 제 2 접극자는 상기 한 쌍의 제 2 측편의 상기 제 2 리브끼리의 사이에 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브는 선단에 제 1 둥근부를 갖고,
    상기 제 2 리브는 선단에 제 2 둥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1 측편의 각각에는 상기 제 1 리브가 2개씩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 1 측편의 각각에 형성된 2개의 상기 제 1 리브는, 상기 통체의 축방향과 상기 한 쌍의 제 1 측편의 대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떨어져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제 2 측편의 각각에는 상기 제 2 리브가 2개씩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 2 측편의 각각에 형성된 2개의 상기 제 2 리브는, 상기 통체의 축방향과 상기 한 쌍의 제 2 측편의 대향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떨어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극자의 측면에는, 상기 제 1 리브가 들어간 제 1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접극자의 측면에는, 상기 제 2 리브가 들어간 제 2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릴레이.
KR1020150097977A 2014-07-11 2015-07-09 릴레이 KR1017423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42915A JP6384781B2 (ja) 2014-07-11 2014-07-11 リレー
JPJP-P-2014-142915 2014-07-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426A true KR20160007426A (ko) 2016-01-20
KR101742380B1 KR101742380B1 (ko) 2017-05-31

Family

ID=55068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977A KR101742380B1 (ko) 2014-07-11 2015-07-09 릴레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18811B2 (ko)
JP (1) JP6384781B2 (ko)
KR (1) KR101742380B1 (ko)
CN (1) CN105261524B (ko)
CA (1) CA2896393C (ko)
TW (1) TWI5977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468Y1 (ko) * 2014-09-29 2018-07-05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직류 릴레이
JP2018037287A (ja) * 2016-08-31 2018-03-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磁リレー
US10629389B2 (en) * 2017-11-17 2020-04-21 Patrick L. McGuire Latching relay and method thereof
DE102018109856B3 (de) * 2018-04-24 2019-08-01 Phoenix Contact Gmbh & Co. Kg Relais
DE102019117805A1 (de) * 2019-07-02 2021-01-07 Johnson Electric Germany GmbH & Co. KG Relaisanordn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Relaisanordnu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9137A (ja) 2010-05-26 2011-12-08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リモコンリレー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9529A (ja) * 1983-01-31 1984-08-10 松下電工株式会社 バランスアマチユア型リレ−
JPS59154749U (ja) * 1983-03-31 1984-10-17 松下電工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H0436037Y2 (ko) * 1984-12-25 1992-08-26
JPH081776B2 (ja) 1986-01-16 1996-01-10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EP0321664B1 (en) * 1987-12-23 1994-12-28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Inc A polarized electromagnet
US5264812A (en) * 1992-05-19 1993-11-23 Takamisawa Electric Co., Ltd. Small, economical and stable polarized electromagnetic relay having two groups of electromagnetic relay portions
JP2001307609A (ja) * 2000-04-25 2001-11-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リレー
JP2002110013A (ja) 2000-09-26 2002-04-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リモコンリレー
JP4281684B2 (ja) * 2004-12-22 2009-06-17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リレー用の電磁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9137A (ja) 2010-05-26 2011-12-08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リモコンリレ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96393C (en) 2016-11-22
US9418811B2 (en) 2016-08-16
KR101742380B1 (ko) 2017-05-31
CA2896393A1 (en) 2016-01-11
JP6384781B2 (ja) 2018-09-05
CN105261524B (zh) 2017-09-29
JP2016018754A (ja) 2016-02-01
CN105261524A (zh) 2016-01-20
TWI597753B (zh) 2017-09-01
TW201618147A (zh) 2016-05-16
US20160012993A1 (en) 2016-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2380B1 (ko) 릴레이
KR101480963B1 (ko) 전자 개폐기
US9881758B2 (en) Contact device and electromagnetic relay equipped with the contact device
KR101720405B1 (ko) 리모콘 릴레이
JP2016201286A (ja) 接点装置および電磁継電器
WO2012073780A1 (ja) ラッチングリレー
KR20160013802A (ko) 전자 계전기
JP6168785B2 (ja) 有極電磁継電器
US10580603B2 (en) Power switchgear
US20200381203A1 (en) Electromagnetic relay, electric apparatus, and electric apparatus case
EP3690916A1 (en) Contact device and electromagnetic relay equipped with said contact device
WO2019181359A1 (ja) 電磁継電器
JP5480718B2 (ja) リモコンリレー
WO2015177960A1 (ja) 有極直流電磁石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JP6964252B2 (ja) 接点装置、及び電磁継電器
WO2019103061A1 (ja) 接点装置、及び電磁継電器
JP2019139885A (ja) 電磁石装置及び電磁継電器
KR101974970B1 (ko) 전자 접촉기
JP2011249139A (ja) リモコンリレー
WO2024111446A1 (ja) 電磁継電器および検知システム
US20230326696A1 (en) Contact apparatus and electromagnetic relay
JP2006179354A (ja) リレー用の電磁石装置
JP2016225150A (ja) 接点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磁継電器
JP2019140207A (ja) 電磁石装置及び電磁継電器
KR20180085586A (ko) 직류 릴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