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3802A - 전자 계전기 - Google Patents

전자 계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3802A
KR20160013802A KR1020150082504A KR20150082504A KR20160013802A KR 20160013802 A KR20160013802 A KR 20160013802A KR 1020150082504 A KR1020150082504 A KR 1020150082504A KR 20150082504 A KR20150082504 A KR 20150082504A KR 20160013802 A KR20160013802 A KR 20160013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ovable
fixed
movable contact
fixed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2872B1 (ko
Inventor
요이찌 하세가와
가즈오 구보노
Original Assignee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13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3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2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2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60Contact arrangements moving contact being rigidly combined with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6Contact spring sets
    • H01H50/58Driving arrang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therewith; Mounting of driving arrangements on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6Contact spring s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22Polarised relays
    • H01H51/2236Polarised relays comprising pivotable armature, pivoting at extremity or bending point of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22Polarised relays
    • H01H51/2272Polarised relays comprising rockable armature, rocking movement around central axis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arm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0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preventing vibration of contacts, holding contacts together after engagement, or biasing contacts to the open position
    • H01H1/54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preventing vibration of contacts, holding contacts together after engagement, or biasing contacts to the open position by magnetic force
    • H01H2001/545Means f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preventing vibration of contacts, holding contacts together after engagement, or biasing contacts to the open position by magnetic force having permanent magnet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01H1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of switch contacts
    • H01H11/06Fixing of contacts to carrier ; Fixing of contacts to insulating carrier
    • H01H2011/067Fixing of contacts to carrier ; Fixing of contacts to insulating carrier by deforming, e.g. bending, folding or caulking, part of the contact or terminal which is being 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5/00Movable contacts
    • H01H2205/002Movable contacts fixed to operat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64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 H01H50/643Driving arrangements between movable part of magnetic circuit and contact intermediate part performing a rotating or pivoting mov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4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 H01H9/443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using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 Arc-Extinguishing Devices That Are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사이즈를 소형으로 할 수 있는 전자 계전기를 제공한다.
전자 계전기(1)는, 각각 고정 접점(38)을 갖는 한 쌍의 고정 접점 단자(22)와, 각각 고정 접점과 접촉 분리되는 가동 접점(36)을 갖는 한 쌍의 가동편(18a, 18b)과, 당해 한 쌍의 가동편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18c)를 포함하는 가동 접점 스프링(18)과, 철심(24)에 흡착되는 평판부(16a) 및 당해 평판부로부터 구부러져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하부(16b)를 구비하고, 회전 운동에 의해 가동 접점 스프링을 이동시키는 접극자(16)와, 접극자의 회전 운동을 생성하는 전자석 장치(31)를 구비하고, 수하부(16b)는 전자석 장치와 대향하는 제1면 상에 가동 접점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한 돌기(16f)와, 돌기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됨과 함께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과의 사이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 가동 접점 스프링을 끌어당기는 끌어당김부(16b2)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전자 계전기{ELECTROMAGNETIC RELAY}
본 발명은 전자 계전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 계전기의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의 접촉점에서는,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 간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전자 반발력이 발생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전자 반발력은,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으로부터 이격되게 작용한다. 이로 인해, 과전류의 통전 시에,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의 접촉력을 발생시키는 전자 계전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내지 8 참조). 또한, 종래부터 두 갈래의 가동 스프링과 접극자를 구비하는 전자 계전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9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13-4181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3-2590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2-25648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3-8442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9911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0-1005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99133호 공보 일본 실용신안 공고 평8-2906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00275호 공보
상기 종래의 전자 계전기는, 과전류의 통전 시에,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의 접촉력을 발생시키지만,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의 둘레에 전류로가 형성되므로, 전자 계전기가 대형화되어 버린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의 접촉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새로운 부품(예를 들어, 철편)을 고정 단자나 가동 스프링에 설치하므로, 부품 수가 증가하고, 제조 비용이 증대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사이즈를 소형으로 할 수 있는 전자 계전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명세서에 개시된 전자 계전기는, 각각 고정 접점을 갖는 한 쌍의 고정 접점 단자와, 각각 상기 고정 접점과 접촉 분리되는 가동 접점을 갖는 한 쌍의 가동편과, 당해 한 쌍의 가동편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가동 접점 스프링과, 철심에 흡착되는 평판부 및 당해 평판부로부터 구부러져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하부(垂下部)를 구비하고,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가동 접점 스프링을 이동시키는 접극자와, 상기 접극자를 구동하는 전자석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수하부는, 상기 전자석 장치와 대향하는 면 상에 상기 가동 접점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한 돌기와, 상기 돌기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됨과 함께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과의 사이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 상기 가동 접점 스프링을 끌어당기는 끌어당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명세서에 개시된 전자 계전기는, 각각 고정 접점을 갖는 한 쌍의 고정 접점 단자와, 상기 고정 접점과 접촉 분리되는 한 쌍의 가동 접점을 갖는 접속판과, 상기 접속판이 고정되는 판 스프링과 철심에 흡착되는 평판부 및 당해 평판부로부터 구부러져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하부를 구비하고,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접속판 및 상기 판 스프링을 이동시키는 접극자와, 상기 접극자를 구동하는 전자석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수하부는, 상기 전자석 장치와 대향하는 면 상에 상기 판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한 돌기와, 상기 돌기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됨과 함께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과의 사이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 상기 판 스프링 및 상기 접속판을 끌어당기는 끌어당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명세서에 개시된 전자 계전기는, 고정 접점을 갖는 고정 접점 단자와, 상기 고정 접점과 접촉 분리되는 가동 접점을 갖는 접속판과,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에 설치된 철심에 흡착되는 흡착부 및, 상기 흡착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자석의 여자에 따른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접속판을 이동시키는 접극자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판은 상기 수하부에, 상기 수하부의 상기 고정 접점 단자와 대향하는 면과는 반대의 면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수하부는, 상기 접속판이 고정되어 있는 위치로부터 상기 접속판의 상기 가동 접점이 설치되어 있는 위치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고정 접점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와 상기 접속판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계전기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사이즈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릴레이)(1)의 분해도.
도 2는 릴레이(1)의 사시도.
도 3의 (A)는 케이스(1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의 (B)는 접극자(16)의 측면도.
도 4의 (A)는 가동 접점 스프링(18)의 정면도이고, 도 4의 (B)는 가동 접점 스프링(18)의 측면도.
도 5의 (A)는 고정 접점 단자(22a 및 22b)의 정면도이고, 도 5의 (B)는 고정 접점 단자(22a 및 22b)의 측면도.
도 6의 (A)는 릴레이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6의 (B)는 고정 접점 단자(22a) 측에서 본 경우의 아크 소호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의 (C)는 고정 접점 단자(22b) 측에서 본 경우의 아크 소호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의 (A)는 릴레이(1)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7의 (B)는 고정 접점 단자(22a) 측에서 본 경우의 아크 소호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의 (C)는 고정 접점 단자(22b) 측에서 본 경우의 아크 소호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의 (A)는 제1 가동편(18a) 측에서 본 릴레이(1)의 측면도. 도 8의 (B)는 고정 접점 단자(22a), 가동 접점 스프링(18) 및 접극자(16)의 확대도. 도 8의 (C) 및 도 8의 (D)는 가동 접점 스프링(18) 및 접극자(16)의 부분 확대도.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릴레이(110)의 사시도.
도 10의 (A)는 판 스프링(180) 및 접속판(181)의 구성도. 도 10의 (B)는 접극자(160)의 구성도. 도 10의 (C)는 판 스프링(180) 및 접속판(181)이 접극자(160)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의 (D)는 판 스프링(180), 접속판(181) 및 접극자(160)의 측면도.
도 11의 (A)는 접극자(16)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의 (B)는 접극자(160)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의 (A)는 도 11의 (A)의 A-A 선의 단면도. 도 12의 (B)는 측벽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접극자(16) 및 가동 접점 스프링(18)의 단면도. 도 12의 (C)는 도 11의 (B)의 A-A선의 단면도. 도 12의 (D)는 저벽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접극자(160), 접속판(181) 및 판 스프링(180)의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 계전기(이하, 릴레이라고 함)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릴레이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릴레이(1)는 직류 고전압 대응 릴레이이고, 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 프리차지(메인 릴레이 접점으로의 돌입 전류 방지)용 릴레이로서 사용된다. 여기서, 직류 고전압은 IEC(l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에 의해 규정되는 고전압이 아니고, 예를 들어 일반적인 자동차 배터리에서 사용되는 12VDC 또는 24VDC를 초과하는 전압을 의미한다.
릴레이(1)는 직류 고전압의 부하 차단 시에,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 간에 발생하는 아크를 확실하게 소호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일반적인 직류 고전압 대응 릴레이에서는 부하측의 접속에 극성의 지정이 있지만, 배터리 프리차지용 릴레이인 릴레이(1)에서는, 배터리 충전 시 및 방전 시에 전류 방향이 서로 역전되기 때문에, 부하 측의 접속의 극성을 지정하지 않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릴레이(1)는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과의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관계없이, 아크를 소호할 필요가 있다. 또한, 릴레이(1)의 용도는, 전기 자동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장치나 설비에 이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레이(1)는 케이스(10), 자기 소호용 영구 자석(12), 힌지 스프링(14), 접극자(16), 가동 접점 스프링(18), 절연 커버(20), 고정 접점 단자(22(22a, 22b)), 철심(24), 스풀(26), 베이스(28), 코일(30), 한 쌍의 코일 단자(32(32a, 32b)) 및 계철(34)을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코일 단자(32(32a, 32b))는 철심(24), 스풀(26) 및 코일(30)을 포함하는 전자석을 여자하기 위한 전류를 공급한다.
도 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자석 홀더(101)가 형성되어 있고, 자석 홀더(101) 내에 영구 자석(12)이 보유 지지된다. 자석 홀더(101) 내에 보유 지지된 영구 자석(12)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접점 단자(22a, 22b)의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도 2에서는 케이스(10)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영구 자석(12)의 N극을 갖는 면은 고정 접점 단자(22b) 측을 향해져 있고, 영구 자석(12)의 S극을 갖는 면은 고정 접점 단자(22a) 측을 향해져 있다. 또한, N극을 갖는 면과 S극을 갖는 면의 위치가 반대여도 된다. 또한, 영구 자석(12)으로서, 예를 들어 잔류 자속 밀도, 보유 지지력 및 내열성이 우수한 사마륨 코발트 자석을 이용한다. 특히, 아크의 열이 영구 자석(12)에 전해지므로, 네오디뮴 자석보다도 내열성이 우수한 사마륨 코발트 자석이 이용된다.
도 1로 되돌아가서, 힌지 스프링(14)은 측면에서 보아 역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접극자(16)의 수하부(16b)를 아래 방향으로 가압하는 수평부(14a)와, 계철(34)의 수직부(34b)에 고정되는 수하부(14b)를 구비하고 있다.
접극자(16)는 도 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아 「<」 형상의 자성체이고, 철심(24)에 흡착되는 평판부(16a)와, 굴곡부(16c)를 개재하여 평판부(16a)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수하부(16b)를 구비하고 있다. 수하부(16b)에는, 가동 접점 스프링(18)을 수하부(16b)에 코오킹 고정하기 위한 돌기(16f)가, 후술하는 절연 커버(20) 또는 전자석 장치(31)에 대향하는 수하부(16b)의 제1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하부(16b)는 굴곡부(16c)로부터 돌기(16f)를 향하여 연장되는 상부(16b1)와, 돌기(16f)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하부(16b2)를 구비하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부(16b2)는 가동 접점 스프링(18)을 끌어당기는 끌어당김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굴곡부(16c)의 중앙에는, 힌지 스프링(14)의 수평부(14a)가 돌출하도록, 관통 구멍(16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평판부(16a)에는, 계철(34)의 돌기부(34c)가 끼이는 절결부(16e)가 형성되어 있다.
접극자(16)는, 계철(34)의 돌기부(34c)에 끼워진 절결부(16e)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운동을 한다. 코일(30)에 전류가 흐르면, 철심(24)이 평판부(16a)를 흡착한다. 이때, 힌지 스프링(14)의 수평부(14a)는 수하부(16b)와 접촉하고, 수하부(16b)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눌린다. 코일(30)의 전류가 절단되면, 힌지 스프링(14)의 수평부(14a)의 복원력에 의해 수하부(16b)는 눌려 내려진다. 이에 의해, 평판부(16a)는 철심(24)으로부터 분리된다. 여기서, 철심(24) 또는 절연 커버(20)에 대향하는 평판부(16a)의 면을 제1면이라고 하고, 제1면의 이면을 제2면이라고 한다. 또한, 절연 커버(20) 또는 전자석 장치(31)에 대향하는 수하부(16b)의 면을 제1면이라고 하고, 제1면의 이면을 제2면이라고 한다.
도 4의 (A)는 가동 접점 스프링(18)의 정면도이고, 도 4의 (B)는 가동 접점 스프링(18)의 측면도이다.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접점 스프링(18)은 정면에서 보아 역ㄷ자 형상의 도전성 판 스프링이고, 한 쌍의 가동편, 즉 제1 가동편(18a) 및 제2 가동편(18b)과, 제1 가동편(18a) 및 제2 가동편(18b)의 상단부를 서로 수평하게 연결하는 연결부(18c)를 구비하고 있다.
제1 가동편(18a)은 중앙보다 하단부에 가까운 위치(18da) 및 위치(18da)보다도 하단부에 가까운 위치(18ea)의 2군데에서 2회 절곡 가공되어 있다. 제2 가동편(18b)은 중앙보다 하단부에 가까운 위치(18db) 및 위치(18db)보다도 하단부에 가까운 위치(18eb)의 2군데에서 2회 절곡 가공되어 있다. 여기서, 제1 가동편(18a)의 위치(18ea)보다 아래 부분을 하부(18a3)로 하고, 위치(18ea)와 위치(18da)의 사이의 부분을 중앙부(18a1)로 하고, 제1 가동편(18a)의 위치(18da)보다 위의 부분을 상부(18a2)로 한다. 마찬가지로, 제2 가동편(18b)의 위치(18eb)보다 아래의 부분을 하부(18b3)로 하고, 위치(18eb)와 위치(18db)의 사이의 부분을 중앙부(18b1)로 하고, 제2 가동편(18b)의 위치(18db)보다 위의 부분을 상부(18b2)로 한다.
제1 가동편(18a)의 중앙부(18a1)에는, 내 아크성이 우수한 재료로 이루어진 가동 접점(36a)이 형성되어 있다. 제2 가동편(18b)의 중앙부(18b1)에는, 내 아크성이 우수한 재료로 이루어진 가동 접점(36b)이 형성되어 있다. 제1 가동편(18a) 및 제2 가동편(18b)은, 제1 가동편(18a)의 상부(18a2) 및 하부(18a3) 및, 제2 가동편(18b)의 상부(18b2) 및 하부(18b3)가 고정 접점 단자(22a 및 22b)로부터 각각 이격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상부(18a2) 및 상부(18b2)는, 접점 간에서 발생한 아크를 상측 방향의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아크 러너로서 기능한다. 하부(18a3) 및 하부(18b3)는, 접점 간에서 발생한 아크를 하측 방향의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아크 러너로서 기능한다.
연결부(18c)에는, 수하부(16b)에 형성된 돌기(16f)에 끼워지는 관통 구멍(18e)이 형성되어 있다. 돌기(16f)가 관통 구멍(18e)에 끼워져서 코오킹됨으로써, 가동 접점 스프링(18)은 접극자(16)의 수하부(16b)의 제1면에 고정된다.
또한, 하부(18a3)의 면을 따라, 하부(18a3)로부터 가동 접점(36a)을 향하여 돌출되는, 중앙부(18a1)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는 컷업 부재부(18fa)가 제1 가동편(18a)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18b3)의 면을 따라, 하부(18b3)로부터 가동 접점(36b)을 향하여 돌출된, 중앙부(18b1)에 대한 컷업 부재부(18fb)가 제2 가동편(18b)에 형성되어 있다. 하부(18a3 및 18b3)에 연결되어 있는 컷업 부재부(18fa 및 18fb)에 의해, 가동 접점(36a)과 하부(18a3)(즉, 접점 이외의 부재)와의 사이의 거리 및 가동 접점(36b)과 하부(18b3)와의 사이의 거리가 짧아진다. 따라서, 가동 접점(36a)과 고정 접점(38a)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 및, 가동 접점(36b)과 고정 접점(38b)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아크가 이들 접점으로부터 하부(18a3 및 18b3)(즉, 접점 이외의 부재)로 각각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컷업 부재부(18fa 및 18fb)는, 이들 접점의 소모를 억제할 수 있다.
도 5의 (A)는 고정 접점 단자(22a 및 22b)의 정면도이고, 도 5의 (B)는 고정 접점 단자(22a 및 22b)의 측면도이다.
고정 접점 단자(22a 및 22b)는, 베이스(28)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관통 구멍에 상방으로부터 압입되어, 베이스(28)에 고정된다. 고정 접점 단자(22a 및 22b)는 측면에서 보아 크랭크 형상으로 구부러져 있다. 고정 접점 단자(22a 및 22b)의 각각은, 최상부(22g), 상부(22e), 경사부(22f) 및 하부(22d)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 접점 단자(22a 및 22b)가 베이스(28)에 고정되어 있는 하부(22d)는 지지점으로서 기능한다. 상부(22e)는 하부(22d)보다도 가동 접점 스프링(18) 또는 절연 커버(20)로부터 이격되도록 구부러져 있다. 고정 접점 단자(22a 및 22b)의 상부(22e)에는, 내 아크성이 우수한 재료로 이루어진 고정 접점(38a 및 38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고정 접점 단자(22a 및 22b)의 하부(22d)에는, 도시하지 않은 전원 등에 접속되는 두 갈래 단자(22c)가 설치되어 있다.
최상부(22g)는, 고정 접점(38a 및 38b)보다도 위의 위치(22h)에서 고정 접점 단자(22a 및 22b)를 절곡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도 5의 (A) 및 도 5의 (B)에서는, 위치(22h)보다 위의 부분이 최상부(22g)이고, 위치(22h)와 경사부(22f)와의 사이의 부분이 상부(22e)이다.
최상부(22g)는, 상부(22e)보다도 가동 접점 스프링(18) 또는 절연 커버(20)로부터 이격되도록 구부러져 있다. 최상부(22g)는 접점 간에서 발생한 아크를 가동 접점(36a 및 36b) 및 고정 접점(38a 및 38b)으로부터 상측 방향의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아크 러너로서 기능한다.
도 1로 되돌아가서, 절연 커버(20)는 수지를 포함하고 있고, 절연 커버(20)의 천장부(20e)에는, 철심(24)의 헤드부(24a)를 노출하는 관통 구멍(20a)이 형성되어 있다. 절연 커버(20)의 저부에는, 절연 커버(20)를 베이스(28)에 고정하기 위하여 돌기 형상의 고정부(20b 및 20c)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20b)는 베이스(28)의 일단부에 걸림 결합하고, 고정부(20c)는 베이스(28)의 도시하지 않은 구멍에 삽입된다. 또한, 수지를 포함한 백스톱(20d)이 절연 커버(20)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토퍼로서의 백스톱(20d)은 코일(30)에 전류가 흐르지 않을 경우(즉, 후술하는 전자석 장치(31)가 오프인 경우)에, 가동 접점 스프링(18)과 접촉된다. 백스톱(20d)에 의해, 가동 접점 스프링(18) 및 계철(34)과 같은 금속 부품끼리의 충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릴레이(1)의 작동음을 저감할 수 있다.
철심(24)은 스풀(26)의 헤드부(26b)에 형성된 관통 구멍(26a)에 삽입된다. 스풀(26)에는 코일(30)이 권취되어 있고, 베이스(28)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철심(24), 스풀(26) 및 코일(30)은 전자석 장치(31)를 구성한다. 전자석 장치(31)는 전류의 온/오프에 따라서 접극자(16)의 평판부(16a)를 끌어당기거나 또는 끌어당김을 해제한다. 이에 의해, 고정 접점 단자(22a 및 22b)에 대한 가동 접점 스프링(18)의 개폐 동작이 실행된다. 베이스(28)에는, 한 쌍의 코일 단자(32a, 32b)가 압입되고, 한 쌍의 코일 단자(32a, 32b)에는 각각 코일(30)의 권선이 감긴다.
계철(34)은, 측면에서 보아 L자형의 도전성 부재이고, 베이스(28)의 이면에 고정되는 수평부(34a)와, 수평부(34a)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는 수직부(34b)를 구비하고 있다. 수직부(34b)는, 베이스(28)의 하방으로부터 베이스(28)의 도시하지 않은 관통 구멍 및 절연 커버(20)의 도시하지 않은 관통 구멍에 압입된다. 이에 의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직부(34b)의 상부의 양단에 형성된 돌기부(34c)가 절연 커버(20)의 천장부(20e)로부터 돌출된다.
도 6의 (A)는 릴레이(1)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고, 특히 고정 접점과 가동 접점이 이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의 (B)는 고정 접점 단자(22a) 측에서 본 경우의 아크 소호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6의 (C)는 고정 접점 단자(22b) 측에서 본 경우의 아크 소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의 (A) 내지 도 6의 (C)에 있어서, 전류가 흐르는 방향(제1 방향)은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도 6의 (A)에서는, 고정 접점 단자(22a 및 22b) 중 어느 한쪽이 도시하지 않은 전원측에 접속되고, 다른 쪽이 도시하지 않은 부하측에 접속되어 있다. 코일(30)에 전류가 흐르면, 철심(24)이 평판부(16a)를 흡착하여, 돌기부(34c) 및 절결부(16e)를 지지점으로 하여 접극자(16)가 회동한다. 접극자(16)의 회동에 따라 수하부(16b) 및 수하부(16b)에 고정된 가동 접점 스프링(18)이 회전하고, 가동 접점(36a 및 36b)은 각각 대응하는 고정 접점(38a 및 38b)에 접촉된다. 가동 접점(36a 및 36b)과 고정 접점(38a 및 38b)이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예를 들어 고정 접점 단자(22b)에 전압이 인가되면, 전류는 도 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접점 단자(22b), 고정 접점(38b), 가동 접점(36b), 제2 가동편(18b), 연결부(18c), 제1 가동편(18a), 가동 접점(36a), 고정 접점(38a), 고정 접점 단자(22a)의 순서대로 흐른다. 그리고, 코일(30)에 흐르는 전류가 절단되면, 힌지 스프링(14)의 복원력에 따라 접극자(16)가 도 6의 (B)에 도시되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접극자(16)의 회동에 의해, 가동 접점(36a 및 36b)은 각각 고정 접점(38a 및 38b)으로부터 이격되기 시작하는데, 가동 접점(36a) 및 고정 접점(38a) 간을 흐르는 전류 및, 가동 접점(36b) 및 고정 접점(38b) 간을 흐르는 전류는 완전히는 차단되지 않아, 고정 접점(38a 및 38b)과 가동 접점(36a 및 36b)과의 사이에 아크가 발생한다.
도 6의 (A) 내지 도 6의 (C)에 도시하는 릴레이(1)에서는, 전류가 가동 접점(36a)으로부터 고정 접점(38a)으로 흐르는 장소에서는,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계의 방향은 고정 접점 단자(22a)로부터 고정 접점 단자(22b)를 향하는 깊이 방향이다. 따라서, 가동 접점(36a) 및 고정 접점(38a) 간에 발생하는 아크는, 로렌츠 힘에 의해 도 6의 (B)의 화살표 A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하측 방향의 공간으로 당겨 늘어져서 소호된다. 한편, 전류가 고정 접점(38b)으로부터 가동 접점(36b)으로 흐르고 있는 장소에서는, 도 6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계의 방향은 고정 접점 단자(22a)로부터 고정 접점 단자(22b)를 향하는 깊이 방향이다. 따라서, 가동 접점(36b) 및 고정 접점(38b) 간에 발생하는 아크는, 로렌츠 힘에 의해 도 6의 (C)의 화살표 B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측 방향의 공간으로 당겨 늘어져서 소호된다.
도 7의 (A)는 릴레이(1)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7의 (B)는 고정 접점 단자(22a) 측에서 본 경우의 아크 소호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7의 (C)는 고정 접점 단자(22b) 측에서 본 경우의 아크 소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의 (A) 내지 도 7의 (C)에 있어서, 전류가 흐르는 방향(제2 방향)은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전류가 흐르는 방향은, 도 6의 (A) 내지 도 6의 (C)의 예와는 반대로 되어 있다.
도 7의 (A)에서는, 도 6의 (A)와 마찬가지로, 고정 접점 단자(22a 및 22b) 중 어느 한쪽이 도시하지 않은 전원 측에 접속되고, 다른 쪽이 도시하지 않은 부하 측에 접속되어 있다. 코일(30)에 전류가 흐르면, 철심(24)이 평판부(16a)를 흡착하고, 돌기부(34c) 및 절결부(16e)를 지지점으로 하여 접극자(16)가 회동한다. 접극자(16)의 회동에 수반하여 수하부(16b) 및 수하부(16b)에 고정된 가동 접점 스프링(18)이 회전하고, 가동 접점(36a 및 36b)은 각각 대응하는 고정 접점(38a 및 38b)에 접촉된다. 가동 접점(36a 및 36b)과 고정 접점(38a 및 38b)이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예를 들어 고정 접점 단자(22a)에 전압이 인가되면, 전류는,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접점 단자(22a), 고정 접점(38a), 가동 접점(36a), 제1 가동편(18a), 연결부(18c), 제2 가동편(18b), 가동 접점(36b), 고정 접점(38b), 고정 접점 단자(22b)의 순서대로 흐른다. 그리고, 코일(30)에 흐르는 전류가 절단되면, 힌지 스프링(14)의 복원력에 의해 접극자(16)가 도 7의 (B)에 도시되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접극자(16)의 회동에 의해, 가동 접점(36a 및 36b)은 각각 고정 접점(38a 및 38b)으로부터 이격되기 시작하는데, 가동 접점(36a) 및 고정 접점(38a) 간을 흐르는 전류 및, 가동 접점(36b) 및 고정 접점(38b) 간을 흐르는 전류는 완전히는 차단되지 않아, 고정 접점(38a 및 38b)과 가동 접점(36a 및 36b)과의 사이에 아크가 발생한다.
도 7의 (A) 내지 (C)에 도시하는 릴레이(1)에서는, 전류가 고정 접점(38a)으로부터 가동 접점(36a)으로 흐르는 장소에서는, 도 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계의 방향은 고정 접점 단자(22a)로부터 고정 접점 단자(22b)를 향하는 깊이 방향이다. 따라서, 가동 접점(36a) 및 고정 접점(38a) 간에 발생하는 아크는 로렌츠 힘에 의해 도 7의 (B)의 화살표 A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측 방향의 공간으로 당겨 늘어져서 소호된다. 한편, 전류가 가동 접점(36b)으로부터 고정 접점(38b)으로 흐르고 있는 장소에서는, 도 7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계의 방향은 고정 접점 단자(22a)로부터 고정 접점 단자(22b)를 향하는 깊이 방향이다. 따라서, 가동 접점(36b) 및 고정 접점(38b) 간에 발생하는 아크는, 로렌츠 힘에 의해 도 7의 (C)의 화살표 B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하측 방향의 공간으로 당겨 늘어져서 소호된다.
따라서, 도 6의 (A) 내지 도 7의 (C)에 의하면, 본 실시 형태의 릴레이(1)는 가동 접점(36a) 및 고정 접점(38a) 간을 흐르는 전류 및, 가동 접점(36b) 및 고정 접점(38b) 간을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관계없이, 가동 접점(36a) 및 고정 접점(38a) 간에 발생하는 아크와 가동 접점(36b) 및 고정 접점(38b) 간에 발생하는 아크를 동시에, 또한 각각 반대 방향의 공간으로 각각 당겨 늘여서 소호할 수 있다.
또한, 접극자(16) 및 가동 접점 스프링(18)을 포함하는 가동 부재의 지지점(예를 들어 절결부(16e))이 가동 접점(36a 및 36b) 또는 고정 접점(38a 및 38b)의 상측에 배치되고, 고정 접점 단자(22a 및 22b)의 지지점(예를 들어, 하부(22d))이 가동 접점(36a 및 36b) 또는 고정 접점(38a 및 38b)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접점(36a) 및 고정 접점(38a) 간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따라, 가동 접점(36a) 및 고정 접점(38a) 간에 발생하는 아크를 상측 방향으로 당겨 늘여도, 하측 방향으로 당겨 늘여도, 아크를 당겨 늘이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가동 접점(36b) 및 고정 접점(38b) 간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따라, 가동 접점(36b) 및 고정 접점(38b) 간에 발생하는 아크를 상측 방향으로 당겨 늘여도, 하측 방향으로 당겨 늘여도, 아크를 당겨 늘이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8의 (A)는 제1 가동편(18a) 측에서 본 릴레이(1)의 측면도이다. 도 8의 (B)는 고정 접점 단자(22a), 가동 접점 스프링(18) 및 접극자(16)의 확대도이다. 도 8의 (C) 및 도 8의 (D)는 가동 접점 스프링(18) 및 접극자(16)의 부분 확대도이다.
코일(30)에 전류가 흐르면, 철심(24)이 평판부(16a)를 흡착하고, 돌기부(34c) 및 절결부(16e)를 지지점으로 하여 접극자(16)가 회동한다. 접극자(16)의 회동에 수반하여 수하부(16b) 및 수하부(16b)에 고정된 가동 접점 스프링(18)이 회전하고, 도 8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접점(36a)은 고정 접점(38a)에 접촉된다.
이때, 가동 접점 스프링(18)은, 수하부(16b)의 제1면에 형성된 돌기(16f)에 의해 코오킹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접극자(16)의 수하부(16b)의 하부(16b2)에 대향하는 제1 가동편(18a)의 상부(18a2)(구체적으로는 돌기(16f)보다도 아래에 위치하는 상부(18a2))는, 도 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극자(16)의 수하부(16b)로부터 이격되도록 휘어져 있다. 즉, 접극자(16)의 수하부(16b)의 하부(16b2)와 제1 가동편(18a)의 상부(18a2)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가동 접점(36a)이 고정 접점(38a)과 접촉하면, 예를 들어 전류는 도 8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가동편(18a)의 상부(18a2)로 흐른다. 이로 인해, 상부(18a2)에서 우나사의 법칙에 의해 자계가 발생한다. 접극자(16)는 자성체이고, 상부(18a2)를 향한 자계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도 8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가동편(18a)의 상부(18a2)에는 수하부(16b)의 하부(16b2)를 향하여 흡인력이 발생한다.
또한, 도 8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류의 방향이 도 8의 (C)와 반대일 경우, 자계의 방향도 도 8의 (C)와 반대가 되지만, 도 8의 (C)와 마찬가지로, 제1 가동편(18a)의 상부(18a2)에는 수하부(16b)의 하부(16b2)를 향하여 흡인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제1 가동편(18a)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상관없이, 제1 가동편(18a)의 상부(18a2)에는 수하부(16b)의 하부(16b2)를 향하여 흡인력이 발생한다. 이 흡인력에 의해 가동 접점(36a)이 고정 접점(38a)에 가압되기 때문에, 전자 반발력이 발생한 경우에 가동 접점(36a)이 고정 접점(38a)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접극자(16)의 수하부(16b)가 제1 가동편(18a)의 상부(18a2)에 대향함과 함께 돌기(16f)보다 아래로 연장되는 하부(16b2)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 간에 흡인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새로운 부품을 설치하지 않아도, 하부(16b2)가 제1 가동편(18a)의 상부(18a2)를 흡인할 수 있다. 그로 인해, 과전류의 통전 시에 전자 반발력이 발생해도, 접극자(16)의 수하부(16b)의 하부(16b2)가, 가동 접점(36a)이 고정 접점(38a)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제1 가동편(18a)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제2 가동편(18b)의 상부(18b2)도 제1 가동편(18a)의 상부(18a2)와 마찬가지로 흡인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수하부(16b)의 하부(16b2)가 제2 가동편(18b)의 상부(18b2)를 흡인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가동 접점 스프링(18)이 고정 접점(38a, 38b)과 접촉 분리되는 가동 접점(36a, 36b)을 각각 갖는 한 쌍의 가동편(18a, 18b)과, 당해 한 쌍의 가동편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18c)를 포함한다. 그리고, 접극자(16)의 수하부(16b)가, 전자석 장치(31)와 대향하는 제1면 상에 가동 접점 스프링(18)을 코오킹 고정하기 위한 돌기(16f)와, 돌기(16f)보다 하방으로 연장됨과 함께 고정 접점(38a, 38b)과 가동 접점(36a, 38b)과의 사이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 가동 접점 스프링(18)을 끌어당기는 하부(16b2)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릴레이(1)에서는, 한쪽의 고정 접점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류는, 정면에서 보아 역ㄷ자 형상의 가동 접점 스프링(18), 즉, 역ㄷ자 형상의 전류로를 통하여 다른 쪽의 고정 접점으로 출력되므로, 종래와 같이,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의 둘레에 전류로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 릴레이의 사이즈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수하부(16b)가 가동 접점 스프링(18)(즉, 상부(18a2, 18b2))을 흡인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 간에 흡인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새로운 부품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릴레이(110)의 사시도이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릴레이(110)는 접극자(160), 판 스프링(180) 및 접속판(181)을 구비하고 있다.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릴레이(110)의 다른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릴레이(1)가 대응하는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의 (A)는 판 스프링(180) 및 접속판(181)의 구성도이다. 도 10의 (B)는 접극자(160)의 구성도이다. 도 10의 (C)는 판 스프링(180) 및 접속판(181)이 접극자(160)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의 (D)는 판 스프링(180), 접속판(181) 및 접극자(160)의 측면도이다.
도 10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 스프링(180)은 측면에서 보아 「<」 형상의 도전성 판 스프링이고, 중앙보다 하단부에 가까운 위치(180b)에서 절곡 가공되어 있다. 여기서, 판 스프링(180)의 위치(180b)보다 위의 부분을 상부(180c)라고 하고, 판 스프링(180)의 위치(180b)보다 아래의 부분을 하부(180d)라고 한다. 상부(180c)에는, 접극자(160)의 수하부(160b)에 형성된 돌기(160f)에 끼워지는 관통 구멍(180a)이 형성되어 있다. 도 10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160f)가 관통 구멍(180a)에 끼워지고, 코오킹됨으로써, 판 스프링(180)은 접극자(160)의 수하부(160b)의 제1면에 고정된다. 여기에서는, 전자석 장치(31) 또는 절연 커버(20)에 대향하는 수하부(160b)의 면을 제1면이라고 하고, 제1면의 이면을 제2면이라고 한다. 판 스프링(180)은 상부(180c)가 고정 접점 단자(22a 및 22b)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즉, 전자석 장치(3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접속판(181)은 도전성 판이고, 하부(180d)에 수평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접속판(181)의 좌우 양단에는, 내 아크성이 우수한 재료로 이루어진 가동 접점(36a, 36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판 스프링(180)의 일단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접극자(160)의 수하부(160b)의 제1면에 코오킹 고정되어 있다. 판 스프링(180)의 타단부는, 가동 접점(36a, 36b)을 연결하는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접속판(181)에 고정되어 있고, 또한 가동 접점(36a, 36b) 간에 고정되어 있다.
도 10의 (B) 및 도 10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극자(160)는 2회 절곡 가공된 자성체이고, 철심(24)에 흡착되는 평판부(160a)와, 굴곡부(160c)를 개재하여 평판부(160a)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수하부(160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0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굴곡부(160c)의 중앙에는, 힌지 스프링(14)의 수평부(14a)가 돌출되도록, 관통 구멍(160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평판부(160a)에는, 계철(34)의 돌기부(34c)가 끼이는 절결부(160e)가 형성되어 있다. 접극자(160)는 상술한 접극자(16)와 마찬가지로, 계철(34)의 돌기부(34c) 및 절결부(160e)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운동을 한다. 코일(30)에 전류가 흐르면, 철심(24)이 평판부(160a)를 흡착한다. 이때, 힌지 스프링(14)의 수평부(14a)는 수하부(160b)와 접촉하고, 수하부(160b)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눌린다. 코일(30)의 전류가 절단되면, 힌지 스프링(14)의 수평부(14a)의 복원력에 의해 수하부(160b)는 눌려 내려진다. 이에 의해, 평판부(160a)는 철심(24)으로부터 분리된다.
도 10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하부(16b)에는, 판 스프링(180)을 수하부(160b)에 코오킹 고정하기 위한 돌기(160f)가 전자석 장치(31) 또는 절연 커버(20)에 대향하는 수하부(160b)의 제1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0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하부(160b)는 정면에서 보아 대략 T자 형상의 자성체이고, 굴곡부(160c)에 접속되는 상부(160g), 상부(160g)의 하단부 중앙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중앙부(160h), 중앙부(160h)로부터 더 하방으로 연장되는 하부(160j)를 구비하고 있다. 하부(160j)는 접속판(181) 및 판 스프링(180)을 끌어당기는 끌어당김부로서 기능한다. 중앙부(160h)와 하부(160j)와의 사이의 위치(160i)에서 절곡 가공되어 있다. 하부(160j)가 대략 수직으로 배치될 경우에, 수하부(160b)는 상부(160g) 및 중앙부(160h)가 고정 접점 단자(22a 및 22b)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즉, 절연 커버(2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또한, 수하부(160b)는 도 10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 스프링(180) 및 접속판(181)에 겹치도록 연장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0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하부(160b)는 판 스프링(180)의 형상을 따라서 절곡 가공, 즉, 판 스프링(180)에 겹치도록 절곡 가공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1609) 및 중앙부(160h)가 상부(180c)와 겹치고, 하부(160j)가 하부(180d)와 겹친다.
가동 접점(36a 및 36b)이 각각 고정 접점(38a 및 38b)과 접촉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도 10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접점(36a)으로부터 가동 접점(36b)에 전류가 흐르면, 접속판(181)에서 우나사의 법칙에 의해 자계가 발생한다. 접극자(160)는 자성체이고, 하부(160j)를 향한 자계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접속판(181)에는 수하부(160b)의 하부(160j)를 향하여 흡인력이 발생한다. 또한, 전류의 방향이 도 10의 (D)와 반대일 경우, 자계의 방향도 도 10의 (D)와 반대가 되지만, 하부(160j)를 향한 자계가 발생한다. 따라서, 도 10의 (D)와 마찬가지로, 접속판(181)에는 수하부(16b)의 하부(160j)를 향하여 흡인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접속판(181)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상관없이, 접속판(181)에는 수하부(160b)의 하부(160j)를 향하여 흡인력이 발생한다. 이 흡인력은, 전자 반발력이 발생한 경우에, 가동 접점(36a, 36b)이 고정 접점(38a, 38b)으로부터가 이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접극자(160)의 수하부(160b)가 판 스프링(180)의 하부(180d)에 대향함과 함께 돌기(16f)보다 아래로 연장되는 중앙부(160h) 및 하부(160j)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 간에 흡인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새로운 부품을 설치하지 않아도, 하부(160j)가 접속판(181) 및 판 스프링(180)의 하부(180d)를 흡인할 수 있다. 과전류의 통전 시에 전자 반발력이 발생해도, 접극자(160)의 수하부(160b)의 하부(160j)는, 가동 접점(36a 및 36b)이 고정 접점(38a 및 38b)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1의 (A)는 접극자(16)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1의 (B)는 접극자(160)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의 (A)는 도 11의 (A)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12의 (B)는 측벽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접극자(16) 및 가동 접점 스프링(18)의 단면도이다. 도 12의 (C)는 도 11의 (B)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12의 (D)는 저벽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접극자(160), 접속판(181) 및 판 스프링(180)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2의 (A) 내지 도 12의 (D)에 도시하는 전류의 방향은 일례이고, 역방향이어도 된다. 전류의 방향이 역방향이 되는 경우, 자계의 방향도 역방향이 된다.
도 1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하부(16b)의 하부(16b2)의 좌우 양단 중 적어도 한쪽에, 전자석 장치(31) 측에 소정의 각도(θ)로 세워 설치된 측벽(162)을 설치해도 된다. 소정의 각도(θ)는, 과전류의 통전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자기 회로)의 자기 저항을 작게 하기 위해서, 수하부(16b)의 제1면에 대하여 90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측벽(162)은 수하부(16b)의 하부(16b2)의 좌우 양단 중 적어도 한쪽을 전자석 장치(31) 측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측벽(162)은 자성체를 포함하고 있다.
도 11의 (A)의 A-A선의 단면에서는, 도 1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 접점 스프링(18)의 제1 가동편(18a)의 둘레에 자계(자기 회로)가 형성된다. 도 12의 (A)와 같이 측벽(162)이 수하부(16b)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도 1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벽(162)이 수하부(16b)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과전류의 통전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자기 회로)의 자기 저항이 작아지기 때문에, 가동 접점 스프링(18)이 접극자(16)에 의해 강한 힘으로 흡인된다.
또한, 도 1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극자(160)의 수하부(160b)의 하부(160j)의 하단부에, 전자석 장치(31) 측에 소정의 각도(θ)로 세워 설치된 저벽(163)을 설치해도 된다. 소정의 각도(θ)는, 과전류의 통전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자기 회로)의 자기 저항을 작게 하기 위해서, 수하부(160b)의 제1면에 대하여 90도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벽(163)은 수하부(160b)의 하부(160j)를 전자석 장치(31) 측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도 된다. 저벽(163)은 자성체를 포함하고 있다.
도 11의 (B)의 A-A선의 단면에서는, 도 12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 스프링(180)의 하부(180d)의 둘레에 자계(즉 자기 회로)가 형성된다. 도 12의 (C)와 같이 저벽(163)이 하부(160j)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도 12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벽(163)이 하부(160j)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과전류의 통전에 의해 발생하는 자계(자기 회로)의 자기 저항이 작아지기 때문에, 판 스프링(180) 및 판 스프링(180)에 고정된 접속판(181)이 접극자(160)에 의해 강한 힘으로 흡인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릴레이(110)는 고정 접점(38a, 38b)과 접촉 분리되는 가동 접점(36a, 36b)을 갖는 평판 형상의 접속판(18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접극자(160)의 수하부(160b)가 전자석 장치(31)와 대향하는 제1면 상에 가동 판 스프링(180)을 코오킹 고정하기 위한 돌기(160f)와, 돌기(160f)보다 하방으로 연장됨과 함께 고정 접점(38a, 38b)과 가동 접점(36a, 38b)과의 사이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 판 스프링(180) 및 접속판(181)을 끌어당기는 하부(160j)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릴레이(110)에서는, 한쪽의 고정 접점으로부터 입력되는 전류는, 좌우 양단에 가동 접점(36a, 36b)이 배치된 접속판(181), 즉, 직선 형상의 전류로를 통하여 다른 쪽의 고정 접점으로 출력되므로, 종래와 같이,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의 둘레에 전류로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 릴레이의 사이즈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수하부(16b)의 하부(160j)가 접속판(181) 및 판 스프링(180)(즉, 하부(180d))을 흡인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가동 접점 및 고정 접점 간에 흡인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새로운 부품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1, 110: 전자 계전기(릴레이)
10: 케이스
12: 영구 자석
14: 힌지 스프링
16, 160: 접극자
18: 가동 접점 스프링
20: 절연 커버
22, 22a, 22b: 고정 접점 단자
24: 철심
26: 스풀
28: 베이스
30: 코일
32, 32a, 32b: 코일 단자
34: 계철
180: 판 스프링

Claims (6)

  1. 각각 고정 접점을 갖는 한 쌍의 고정 접점 단자와,
    각각 상기 고정 접점과 접촉 분리되는 가동 접점을 갖는 한 쌍의 가동편과, 당해 한 쌍의 가동편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가동 접점 스프링과,
    철심에 흡착되는 평판부 및 당해 평판부로부터 구부러져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하부를 구비하고,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가동 접점 스프링을 이동시키는 접극자와,
    상기 접극자를 구동하는 전자석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수하부는, 상기 전자석 장치와 대향하는 면 상에 상기 가동 접점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한 돌기와, 상기 돌기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됨과 함께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과의 사이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 상기 가동 접점 스프링을 끌어당기는 끌어당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끌어당김부의 좌우 양단 중 적어도 한쪽에, 상기 전자석 장치측에 세워 설치된 자성체의 측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3. 각각 고정 접점을 갖는 한 쌍의 고정 접점 단자와,
    상기 고정 접점과 접촉 분리되는 한 쌍의 가동 접점을 갖는 접속판과,
    상기 접속판이 고정되는 판 스프링과,
    철심에 흡착되는 평판부 및 당해 평판부로부터 구부러져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하부를 구비하고,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접속판 및 상기 판 스프링을 이동시키는 접극자와,
    상기 접극자를 구동하는 전자석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수하부는, 상기 전자석 장치와 대향하는 면 상에 상기 판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한 돌기와, 상기 돌기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됨과 함께 상기 고정 접점과 상기 가동 접점과의 사이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 상기 판 스프링 및 상기 접속판을 끌어당기는 끌어당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끌어당김부의 하단부에, 상기 전자석 장치측에 세워 설치된 저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판 스프링은 절곡되어 있고, 상기 수하부는, 상기 판 스프링 및 상기 접속판에 겹치도록 연장 설치되며, 상기 판 스프링의 형상을 따라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6. 고정 접점을 갖는 고정 접점 단자와,
    상기 고정 접점과 접촉 분리되는 가동 접점을 갖는 접속판과,
    전자석과,
    상기 전자석에 설치된 철심에 흡착되는 흡착부 및, 상기 흡착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자석의 여자에 따른 회전 운동에 의해 상기 접속판을 이동시키는 접극자를 구비하고,
    상기 접속판은 상기 수하부에, 상기 수하부의 상기 고정 접점 단자와 대향하는 면과는 반대의 면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수하부는, 상기 접속판이 고정되어 있는 위치로부터 상기 접속판의 상기 가동 접점이 설치되어 있는 위치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고정 접점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연장부와 상기 접속판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계전기.
KR1020150082504A 2014-07-28 2015-06-11 전자 계전기 KR1017428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152870A JP6403476B2 (ja) 2014-07-28 2014-07-28 電磁継電器
JPJP-P-2014-152870 2014-07-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3802A true KR20160013802A (ko) 2016-02-05
KR101742872B1 KR101742872B1 (ko) 2017-06-01

Family

ID=53264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504A KR101742872B1 (ko) 2014-07-28 2015-06-11 전자 계전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570259B2 (ko)
EP (1) EP3012849B1 (ko)
JP (1) JP6403476B2 (ko)
KR (1) KR101742872B1 (ko)
CN (1) CN10530441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310A (ko) * 2016-12-27 2018-07-05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전자기 릴레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41361B2 (ja) * 2013-12-13 2018-06-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磁リレー
JP6422249B2 (ja) * 2014-07-03 2018-11-14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US9865420B2 (en) * 2014-07-23 2018-01-09 Fujitsu Component Limited Electromagnetic relay
JP6433706B2 (ja) * 2014-07-28 2018-12-05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及びコイル端子
JP6631068B2 (ja) * 2015-07-27 2020-01-15 オムロン株式会社 接点機構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磁継電器
JP6808434B2 (ja) * 2016-10-05 2021-01-06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6959728B2 (ja) * 2016-11-04 2021-11-05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1592947S (ko) * 2017-05-16 2017-12-11
CN108010801B (zh) * 2017-12-05 2023-10-20 厦门宏发汽车电子有限公司 一种高压预充电继电器
JP2019121490A (ja) * 2017-12-28 2019-07-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CN110970266A (zh) * 2018-09-30 2020-04-07 泰科电子(深圳)有限公司 电磁继电器
CN110970268A (zh) * 2018-09-30 2020-04-07 泰科电子(深圳)有限公司 电磁继电器
JP7361593B2 (ja) * 2019-12-19 2023-10-16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CA3181242A1 (en) 2020-06-02 2021-12-09 Ulrik Nytoft RASMUSSEN Locking against rotation of electric motor of a linear actuator
JP7380455B2 (ja) * 2020-07-02 2023-11-15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2022069864A (ja) * 2020-10-26 2022-05-12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CN113436937B (zh) * 2021-05-25 2023-03-28 中汇瑞德电子(芜湖)有限公司 一种具有安全装置的继电器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39891A (ja) 1992-10-26 1994-05-20 Anden Kk 電磁継電器
JPH082906A (ja) 1994-06-20 1996-01-09 Shin Etsu Chem Co Ltd 窒化けい素の精製方法
JP2002100275A (ja) 2000-07-18 2002-04-05 Nagano Fujitsu Component Kk 電磁継電器
JP4258361B2 (ja) * 2003-12-02 2009-04-30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DE112007003451T5 (de) * 2007-04-27 2010-02-18 Mitsubishi Electric Corp. Elektronisches Überlastrelais
JP5206157B2 (ja) 2008-06-30 2013-06-12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5222669B2 (ja) * 2008-09-16 2013-06-26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電磁継電器
JP5600577B2 (ja) * 2010-12-14 2014-10-01 富士電機機器制御株式会社 接点機構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JP2012199112A (ja) 2011-03-22 2012-10-18 Panasonic Corp 電磁継電器および接点装置
JP2012199133A (ja) 2011-03-22 2012-10-18 Panasonic Corp リレー装置
CN102693876A (zh) * 2011-03-24 2012-09-26 崔万恒 一种直流高压继电器
JP5549642B2 (ja) 2011-06-08 2014-07-16 アンデン株式会社 継電器
JP5585550B2 (ja) 2011-07-18 2014-09-10 アンデン株式会社 継電器
JP5838920B2 (ja) 2011-07-18 2016-01-06 アンデン株式会社 継電器
JP5984087B2 (ja) * 2011-09-22 2016-09-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磁リレー
JP5856426B2 (ja) 2011-10-07 2016-02-09 富士電機株式会社 接点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電磁接触器
CN103456567B (zh) * 2012-06-04 2017-09-19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电磁继电器
JP6124173B2 (ja) * 2012-06-04 2017-05-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磁リレ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310A (ko) * 2016-12-27 2018-07-05 후지쯔 콤포넌트 가부시끼가이샤 전자기 릴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70259B2 (en) 2017-02-14
EP3012849A1 (en) 2016-04-27
EP3012849B1 (en) 2018-02-07
JP6403476B2 (ja) 2018-10-10
JP2016031803A (ja) 2016-03-07
US20160027602A1 (en) 2016-01-28
CN105304414B (zh) 2017-09-08
KR101742872B1 (ko) 2017-06-01
CN105304414A (zh) 201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2872B1 (ko) 전자 계전기
US11120961B2 (en) Electromagnetic relay and coil terminal
JP6556514B2 (ja) 電磁継電器
EP3264437B1 (en) Electromagnetic relay
US20180130625A1 (en) Electromagnetic relay
CN115083837A (zh) 电磁继电器
EP2945174B1 (en) Contact device
US10347452B2 (en) Polarized DC electromagnetic device and electromagnetic contactor using same
JP2010062054A (ja) 電磁継電器
US20210335565A1 (en) Relay
JP2021044215A (ja) リレー
US11373830B2 (en) Electromagnetic relay to ensure stable energization even when contact is dissolved
JP2010177159A (ja) 電磁継電器
JP7357193B2 (ja) 電磁継電器
WO2023119957A1 (ja) 電磁継電器
EP4261868A1 (en) Contact apparatus and electromagnetic relay
KR20230146983A (ko) 전자 계전기
JP2018107045A (ja) 接点装置
JP2005302677A (ja) リレ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