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4970B1 - 전자 접촉기 - Google Patents

전자 접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4970B1
KR101974970B1 KR1020180007929A KR20180007929A KR101974970B1 KR 101974970 B1 KR101974970 B1 KR 101974970B1 KR 1020180007929 A KR1020180007929 A KR 1020180007929A KR 20180007929 A KR20180007929 A KR 20180007929A KR 101974970 B1 KR101974970 B1 KR 101974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vable
fixed
housing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7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9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4Terminal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는 고정부, 고정부에 대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가동부, 고정부와 가동부의 접촉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알림부 및 가동부와 함께 이동 가능하고 고정부와 가동부의 접촉에 대응하여 알림부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인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접촉기{ELECTROMAGNETIC CONTACTOR}
본 발명은 전자 접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접촉기는 전자석의 원리로 동작하여, 회로를 개폐한다. 이를 위해, 전자 접촉기는 전원과 부하 사이의 회로 상에 배치된다. 그리고 전자접촉기는 회로를 연결하여, 전원으로부터 부하로 전류 공급을 제공한다. 한편, 전자 접촉기는 회로를 차단하여, 전원으로부터 부하로 전류 공급을 차단한다. 이러한 전자 접촉기는, 고정부와 가동부를 포함한다. 고정부와 가동부가 접촉되면, 회로가 연결되며, 고정부와 가동부가 분리되면, 회로가 차단된다. 이때, 고정부와 가동부가 접촉되면, 고정부와 가동부 사이에 전류가 흐른다.
그런데, 고정부와 가동부는 아크 챔버 등 밀폐 공간 내에 설치되어 작동하므로 이의 작동 여부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없다. 이로 인하여, 전자 접촉기의 관리자가 전자 접촉기의 동작에 있어서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전자 접촉기의 관리자가 전자 접촉기의 회로 연결 여부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접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대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가동부, 상기 고정부와 가동부의 접촉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알림부 및 상기 가동부와 함께 이동 가능하고, 상기 고정부와 가동부의 접촉에 대응하여, 상기 알림부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인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발생부, 상기 인가부와 접촉에 대응하여, 상기 발생부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부 및 상기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부는, 상기 고정부에 의해 관통되고, 상기 발생부, 구동부 및 출력부가 실장되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생부와 출력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부가 상기 베이스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발생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접촉기는, 상기 가동부와 인가부가 결합되고, 상기 가동부와 인가부를 함께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가부는, 상기 이동부에 결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구동부에 대향하여 돌출되는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부는, 상기 고정부와 가동부의 분리에 대응하여, 상기 신호의 발생을 중단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접촉기는, 인가되는 전류에 기반하여, 상기 고정부와 가동부가 접촉하도록 상기 이동부에 대향하여 자기력을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전자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접촉기는, 상기 고정부에 의해 관통되고, 상기 고정부, 가동부, 알림부 및 인가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발생부에 연결되는 제 1 연결 단자 및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제 1 연결 단자에 체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외부 회로에 연결되는 제 2 연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 접촉기는, 상기 가동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부의 맞은 편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에 의하면, 전자 접촉기가 회로의 연결 여부를 외부 장치에 통지할 수 있다. 이때 인가부가 가동부와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고정부와 가동부의 접촉에 대응하여, 알림부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알림부가 고정부와 가동부의 접촉을 나타내는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외부 장치가 고정부와 가동부의 접촉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인가부가 고정부와 가동부의 분리에 대응하여, 알림부의 구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알림부가 고정부와 가동부의 접촉을 나타내는 신호의 발생을 중단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외부 장치가 고정부와 가동부의 분리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접촉기의 관리자가 외부 장치를 통해 전자 접촉기의 동작에 있어서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접촉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서 전자접촉기 어셈블리의 단면도들이다. 여기서, 도 2a는 차단 상태, 도 2b는 통전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에 적용되는 알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에 적용되는 인가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 1”또는 “제 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접촉기(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을 도시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접촉기(100)는, 케이스(110) 및 전자접촉기 어셈블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전자접촉기 어셈블리(120)를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케이스(110)는 전자접촉기 어셈블리(120)의 일 부분을 노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110)는 절연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스(110)는 합성 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전자접촉기 어셈블리(120)는 전자석의 원리로 동작하여, 회로를 개폐할 수 있다. 이 때 전자접촉기 어셈블리(120)는 전원과 부하 사이의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접촉기 어셈블리(120)는 회로를 연결하여, 전원으로부터 부하로 전류 공급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자접촉기 어셈블리(120)는 회로를 차단하여, 전원으로부터 부하로 전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접촉기 어셈블리(200)를 도시하는 단면도들이다. 여기서,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서 전자접촉기 어셈블리(120)를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이 때 도 2a는 전자접촉기 어셈블리(120)가 회로를 차단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도 2b는 전자접촉기 어셈블리(120)가 회로를 연결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한 실시예에 따른 알림부(24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인가부(25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접촉기 어셈블리(120)는, 하우징(210), 고정부(220), 가동부(230), 인가부(250), 알림부(240) 및 전자석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고정부(220), 가동부(230), 인가부(250), 알림부(240) 및 전자석부(260)를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하우징(210)은 고정부(220)의 일 부분을 노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210)은 케이스(110)와 함께, 고정부(220)의 일 부분을 노출시킬 수 있다. 하우징(210)은 제 1 하우징(211), 제 2 하우징(215) 및 제 3 하우징(219)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하우징(211)은 아크 챔버, 제 2 하우징(215)은 미틀 플레이트, 제 3 하우징(219)은 요크라고 칭하기도 한다.
제 1 하우징(211)과 제 2 하우징(215)이 고정부(220), 가동부(230), 인가부(250) 및 알림부(240)를 수용하고, 제 2 하우징(215)과 제 3 하우징(219)이 전자석부(260)를 수용할 수 있다. 이 때 제 2 하우징(215)이 제 1 하우징(211)과 제 3 하우징(219)의 사이에서, 제 1 하우징(211) 및 제 3 하우징(219)에 각각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하우징(211)과 제 2 하우징(215)이 각각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호에 체결됨에 따라, 제 1 하우징(211)과 제 2 하우징(215) 사이에 고정부(220), 가동부(230), 인가부(250) 및 알림부(240)를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2 하우징(215)과 제 3 하우징(219)이 각각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호에 체결됨에 따라, 제 2 하우징(215)과 제 3 하우징(219) 사이에 전자석부(260)를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하우징(211)이 제 2 하우징(214)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 2 하우징(215)이 제 3 하우징(219)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211)은 두 개의 개구부(213)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하우징(211)의 개구부(213)가 제 1 개구부(213)라는 용어와 혼용될 수 있다. 제 1 개구부(213)들은 고정부(220)와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제 1 개구부(213)들은 제 1 하우징(211)을 관통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개구부(213)들은 상호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고정부(220)의 일 부분을 노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 1 개구부(213)들은 제 2 하우징(215)의 내부 영역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 2 하우징(215)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하우징(215)의 개구부(216)가 제 2 개구부(216)라는 용어와 혼용될 수 있다. 제 2 개구부(216)는 전자석부(260)와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제 2 개구부(216)는 제 2 하우징(215)을 관통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개구부(216)는 제 2 하우징(215)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220)는 하우징(210)에서 미리 정해진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220)는 전원과 부하에 사이의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220)는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220)는 두 개의 고정 단자(고정접촉자 또는 고정접점이라 칭하기도 한다)들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단자들은 단일 평면 상에서, 상호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단자들 중 어느 하나는 전원에 연결되고, 고정 단자들 중 다른 하나는 부하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고정 단자들은 케이스(110)와 하우징(210)을 통과하여, 케이스(110)와 하우징(210)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단자들은 제 1 하우징(211)의 제 1 개구부(213)들을 통해, 하우징(210)에 체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 단자들이 제 1 하우징(211)에 배열될 수 있다. 즉 고정 단자들이 가동부(23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가동부(230)는 고정부(220)에 대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가동부(230)는 고정 단자들이 배치된 평면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가동부(230)가 고정 단자들에 접촉되어, 고정 단자들을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가동부(230)는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동부(230)는 제 1 하우징(211)과 제 2 하우징(215)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가동부(230)는 고정부(220)의 하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가동부(230)는 두 개의 가동 단자(가동 접점이라 칭하기도 한다)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가동 단자들은 가동부(230)에서 고정 단자들에 각각 대응하여, 상호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가동 단자들은, 고정 단자들이 배치된 평면에 수직하고 각각의 고정 단자로부터 연장되는 축들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가동부(230)는 고정부(220)에 접촉되거나, 고정부(2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 때 가동부(230)가 고정부(220)로 이동하여, 가동 단자들이 고정 단자들에 접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동부(230)가 고정 단자들을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동부(230)가 고정 단자들 사이에서 전류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가동부(230)가 고정부(220)로부터 이동하여, 가동 단자들이 고정 단자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알림부(240)는 고정부(220)와 가동부(230)의 접촉 여부에 대하여, 알림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고정부(220)와 가동부(230) 접촉 시, 알림부(240)는 고정부(220)와 가동부(230)의 접촉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220)와 가동부(230) 분리 시, 알림부(240)는 신호의 발생을 중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알림부(240)는 하우징(210)에서 미리 정해진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알림부(240)는 고정부(22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알림부(240)는 발생부(241), 구동부(243) 및 출력부(245)를 포함할 수 있다.
발생부(241)는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발생부(241)는 구동부(243)에 의해 구동하여,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생부(241)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부(243)는 발생부(24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고정부(220)와 가동부(230) 접촉 시, 구동부(243)가 발생부(241)를 동작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220)와 가동부(230) 분리 시, 구동부(243)는 발생부(241)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부(243)는 발생부(241)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243)는 인가부(250)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인가부(250)가 구동부(243)에 접촉되면, 구동부(243)가 발생부(241)를 동작시킬 수 있다. 게다가, 인가부(250)가 구동부(243)로부터 분리되면, 구동부(243)는 발생부(241)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부(243)는 마이크로 스위치(micro switch)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245)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출력부(245)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출력부(245)는 발생부(241)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부(245)는 제 1 연결 단자(246)와 제 2 연결 단자(247)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연결 단자(246)는 하우징(210)의 내부에서 발생부(241)에 연결될 수 있다. 제 2 연결 단자(247)는 제 1 연결 단자(246)에 연결되고, 하우징(210)을 관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연결 단자(246)는 클립(clip) 형태로 형성되고, 제 2 연결 단자(247)는 로드(rod) 형태로 형성되어, 제 1 연결 단자(246)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연결 단자(247)는 하우징(210)의 외부에서 외부 회로에 연결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알림부(2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2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248)는 발생부(241), 구동부(243) 및 출력부(245)(정확하게는 출력부의 제 1 연결 단자(246))를 지지할 수 있다. 바꿔 말하면, 발생부(241), 구동부(243) 및 출력부(245)가 베이스부(248)에 실장될 수 있다. 발생부(241)와 출력부(245)가 베이스부(248)의 외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부(245)의 제 1 연결 단자(246)가 베이스부(248)의 외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구동부(243)는 베이스부(248)의 내부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부(243)의 스위치(244)는 베이스부(248)의 개방홈(248a) 부분에 배치되어 내부의 인가부(250)에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부(248)는 하우징(2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베이스부(248)는 제 1 하우징(211)과 제 2 하우징(215)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248)는 두 개의 통로부(249)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로부(249)들은 고정부(220)와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통로부(249)들은 베이스부(248)를 관통할 수 있다. 여기서, 통로부(249)들은 제 1 개구부(213)들에 각각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알림부(240)는 발생부(241), 구동부(243), 출력부(254)가 베이스부(248)에 설치되는 어셈블리 형태로 되어 있어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인가부(250)는 알림부(240)에 대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가부(250)는 가동부(230)와 함께,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인가부(250)는 가동부(230)의 이동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인가부(250)는 알림부(240)에 접촉하여, 알림부(24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 때 가동부(230)가 고정부(220)에 접촉 시, 인가부(250)가 알림부(240)에 접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가부(250)가 고정부(220)와 가동부(230)의 접촉에 대응하여, 알림부(24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인가부(2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51), 돌기부(253) 및 체결부(25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251)는 가동부(230)를 지지할 수 있다. 이 때 지지부(251)는 가동부(230)를 사이에 두고 고정부(220)의 맞은 편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지부(251)가 가동부(230)와 함께, 제 1 하우징(211)과 제 2 하우징(215)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251)는 가동부(230)의 하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돌기부(253)는 지지부(251)로부터 알림부(240)에 대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이 때 돌기부(253)는 알림부(240)의 구동부(243)에 대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돌기부(253)가 지지부(251)와 함께, 제 1 하우징(211)과 제 2 하우징(215)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돌기부(253)는 구동부(243)의 하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돌기부(253)가 상방으로 움직이는 경우 구동부(243)의 스위치(244)를 작동시킬 수 있다.
체결부(255)는 고정부(220)에 대향하여 가동부(23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체결부(255)는 가동부(230)를 사이에 두고 지지부(251)의 맞은 편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255)는 지지부(251)에 체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체결부(255)는 지지부(251)와 함께, 제 1 하우징(211)과 제 2 하우징(215)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체결부(255)는 구동부(243)의 상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체결부(255)는 제 1 체결부(256)와 제 2 체결부(258)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체결부(256)는 가동부(230)를 사이에 두고 지지부(251)의 맞은 편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 1 체결부(256)가 가동부(230)에 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체결부(256)는 가동 단자들 사이에 밀착되어, 고정 단자들에 대향하여 가동 단자들을 노출시킬 수 있다. 제 2 체결부(258)는 제 1 체결부(256)로부터 연장되어, 지지부(251)에 체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 2 체결부(256)가 가동부(230)를 지지부(251)와 제 1 체결부(256) 사이에 가둘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인가부(250)는 알림부(240)에 접촉되거나, 알림부(24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가동부(230)가 고정부(220)로 이동함에 따라, 인가부(250)가 알림부(240)로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가동부(230)가 고정부(220)에 접촉 시, 돌기부(253)가 구동부(243)의 스위치(244)에 접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알림부(240)가 구동할 수 있다. 즉 알림부(240)는 고정부(220)와 가동부(230)의 접촉을 나타내는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장치가 고정부(220)와 가동부(230)의 접촉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가동부(230)가 고정부(220)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인가부(250)가 알림부(24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 때 가동부(230)가 고정부(220)로부터 분리 시, 돌기부(253)가 구동부(243)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알림부(240)의 구동이 중단될 수 있다. 즉 알림부(240)가 고정부(220)와 가동부(230)의 접촉을 나타내는 신호의 발생을 중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장치가 고정부(220)와 가동부(230)의 분리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부 장치는 램프(lamp), 디스플레이(display) 또는 오디오 처리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 장치가 고정부(220)와 가동부(230)의 접촉 또는 분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알람을 오디오 데이터 또는 표시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출력할 수 있다.
전자석부(260)는 가동부(230)와 인가부(2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전자석부(260)는 액추에이터라고도 한다. 즉 전자석부(260)는 고정부(220)에 대향하여, 가동부(230)를 이동시키고, 알림부(240)에 대향하여, 인가부(25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전자석부(260)는 인가되는 전류에 기반하여, 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자석부(260)는 자기력에 기반하여, 가동부(230)를 고정부(220)로 이동시키고, 인가부(250)를 알림부(24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전자석부(260)는 코일부(271), 고정고정코어(273), 가동코어(281), 샤프트(283), 실린더(275) 및 탄성부(291, 293)들을 포함할 수 있다.
코일부(271)는 전자석부(260)에서 외곽 영역을 둘러쌀 수 있다. 이 때 코일부(271)는 제 2 하우징(215)과 제 3 하우징(219)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코일부(271)는 실린더(275) 주변을 둘러쌀 수 있다. 또한 코일부(271)는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코일부(271)는 전원에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코일부(271)는 고정부(220)에 연결된 전원에 연결될 수 있으며, 별도의 전원에 연결될 수도 있다.
고정코어(273)는 전자석부(260)에서 코일부(27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코어(273)는 제 2 하우징(215)의 제 2 개구부(216)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고정코어(273)의 일 단부가 제 2 개구부(216)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코어(273)의 일 단부가 제 2 개구부(216)를 통해 제 1 하우징(211)과 제 2 하우징(215)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코어(273)의 타 단부가 제 3 하우징(219)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즉 코일부(271)의 내측에서, 고정코어(273)의 타 단부와 제 3 하우징(219) 사이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코어(273)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코어(273)는 가이드부(283)를 포함할 수 있다. 283여기서, 고정코어(273)는 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283)는 고정코어(273)를 관통할 수 있다. 여기서, 샤프트(283)는 고정 단자들 사이의 중심축을 따라 고정코어(273)를 관통할 수 있다.
이동부(280)는 전자석부(260)에서 가동부(230)와 인가부(250)를 함께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이동부(280)는 고정부(220) 사이의 중심축을 따라, 직선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부(280)는 코일부(271)의 내측에서 고정코어(273)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280)는 가동부(230)와 인가부(250)에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부(280)는 도전성 물질 또는 자성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부(280)는 가동코어(281)와 샤프트(283)를 포함할 수 있다.
가동코어(281)는 코일부(271)의 내측에서 고정코어(273)에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가동코어(281)는 고정코어(273)의 타 단부와 제 3 하우징(219)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샤프트(283)는 가동부(230)와 가동코어(281)를 연결할 수 있다. 샤프트(283)의 양 단부들이 고정코어(273)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이 때 샤프트(283)의 일 단부가 가동부(230)에 대향하여 돌출되어, 가동부(230) 및 체결부(255)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샤프트(283)는, 가동부(230)가 인가부(250)의 지지부(251)와 체결부(255) 사이에 배치되도록, 지지부(251)와 체결부(255)에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샤프트(283)의 타 단부가 제 3 하우징(219)에 대향하여 돌출되어, 가동코어(281)에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291, 293)들은 전자석부(260)에서 이동부(280)의 이동에 따른 충격을 억제하고 접압력 또는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탄성부(291, 293)들은 고정코어(273)와 이동부(280) 간 충돌을 방지하고, 가동부(230)와 인가부(250) 간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291, 293)들은 제 1 탄성부(291)와 제 2 탄성부(29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탄성부(291)는 고정코어(273)와 이동부(28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 1 탄성부(291)는 고정코어(273)와 가동코어(28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탄성부(291)는 고정코어(273)와 가동코어(281) 사이에서, 샤프트(283)를 둘러쌀 수 있다. 전자석부(260)의 전자기력이 사라지면 제 1 탄성부(291)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부(280)는 하방으로 복귀한다.
제 2 탄성부(293)는 가동부(230)와 인가부(250)(또는 샤프트(28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 2 탄성부(293)는 제 1 하우징(211)과 제 2 하우징(215)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탄성부(293)는 가동부(230)와 지지부(251) 사이에서, 제 2 이동부(283)를 둘러쌀 수 있다. 제 2 탄성부(293)는 이동부(280)가 상승하면 가동부(230)에 접압력을 제공하여 고정부(220)에 대한 접촉력을 증대시킨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동부(280)가 가동부(230)와 인가부(250)를 함께 이동시킬 수 있다. 코일부(271)에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부(271)의 내측에서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단자들이 배치된 평면에 수직한 축을 따라,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코어(273)가 자기장에 기반하여, 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고정코어(273)가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어, 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가동코어(281)가 고정코어(273)의 자기력에 반응할 수 있다. 또는 가동코어(281)가 자기장에 의해 자화되어, 자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코어(273)와 가동코어(281)가 상호의 자기력에 반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어부(271)와 가동코어(281) 사이에 인력이 발생될 수 있다. 이 후 가동코어(281)가 고정코어(273)에 대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샤프트(283)가 가동코어(281)를 따라 이동하여, 가동부(230)를 고정부(220)에 접촉시키고, 인가부(250)를 알림부(240)에 접촉시킬 수 있다. 한편, 코일부(271)에 인가되는 전류가 차단되면, 가동코어(281)가 샤프트(283)와 함께 고정코어(273)로부터 이동하여, 가동부(230)를 고정부(220)로부터 분리시키고, 인가부(250)를 알림부(24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접촉기(100)가 회로의 연결 여부를 외부 장치에 통지할 수 있다. 이 때 인가부(250)가 가동부(230)와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고정부(220)와 가동부(230)의 접촉에 대응하여, 알림부(24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알림부(240)가 고정부(220)와 가동부(230)의 접촉을 나타내는 신호를 외부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외부 장치가 고정부(220)와 가동부(230)의 접촉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인가부(250)가 고정부(220)와 가동부(230)의 분리에 대응하여, 알림부(240)의 구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알림부(240)가 고정부(220)와 가동부(230)의 접촉을 나타내는 신호의 발생을 중단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외부 장치가 고정부(220)와 가동부(230)의 분리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접촉기(100)의 관리자가 외부 장치를 통해 전자 접촉기(100)의 동작에 있어서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100 전자 접촉기
110 케이스 120, 200 전자접촉기 어셈블리
210 하우징 211 제 1 하우징
213 제 1 개구부 215 제 2 하우징
216 제 2 개구부 219 제 3 하우징
220 고정부 230 가동부
240 알림부 241 발생부
243 구동부 245 출력부
246 제 1 연결 단자 247 제 2 연결 단자
248 베이스부 249 통로부
250 인가부 251 지지부
253 돌기부 255 체결부
256 제 1 체결부 258 제 2 체결부
260 전자석부 271 코일부
273 고정코어 275 실린더
280 이동부 281 가동코어
283 샤프트 291, 293 탄성부

Claims (10)

  1.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대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가동부;
    상기 고정부와 가동부의 접촉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알림부; 및
    상기 가동부와 함께 이동 가능하고, 상기 고정부와 가동부의 접촉에 대응하여, 상기 알림부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인가부;를 포함하고,
    상기 알림부는,
    상기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발생부;
    상기 인가부와 접촉에 대응하여, 상기 발생부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부; 및
    상기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알림부는,
    상기 고정부에 의해 관통되고, 상기 발생부, 구동부 및 출력부가 실장되고 상기 발생부, 구동부 및 출력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와 인가부가 결합되고, 상기 가동부와 인가부를 함께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가부는,
    상기 이동부에 결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구동부에 대향하여 돌출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고정부와 가동부의 분리에 대응하여, 상기 신호의 발생을 중단하도록 더 구성되는 전자 접촉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인가되는 전류에 기반하여, 상기 고정부와 가동부가 접촉하도록 상기 이동부에 대향하여 자기력을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전자석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부와 출력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부가 상기 베이스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발생부에 연결되는 전자 접촉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의해 관통되고, 상기 고정부, 가동부, 알림부 및 인가부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발생부에 연결되는 제 1 연결 단자; 및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제 1 연결 단자에 체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외부 회로에 연결되는 제 2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지지부의 맞은 편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
KR1020180007929A 2018-01-22 2018-01-22 전자 접촉기 KR101974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929A KR101974970B1 (ko) 2018-01-22 2018-01-22 전자 접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929A KR101974970B1 (ko) 2018-01-22 2018-01-22 전자 접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4970B1 true KR101974970B1 (ko) 2019-05-03

Family

ID=66582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929A KR101974970B1 (ko) 2018-01-22 2018-01-22 전자 접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97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7825A (ko) * 2012-05-30 2015-11-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 개폐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30052A (ko) * 2015-04-30 2016-11-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회로 차단기의 트립 구동 감지 유닛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7825A (ko) * 2012-05-30 2015-11-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전자 개폐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30052A (ko) * 2015-04-30 2016-11-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회로 차단기의 트립 구동 감지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64437B1 (en) Electromagnetic relay
USRE49236E1 (en) Contact device and electromagnetic relay
US9793079B2 (en) Electromagnetic relay
JP4190379B2 (ja) 複合型電磁継電器
US7872551B2 (en) Relay
KR102159887B1 (ko) 전자기 릴레이
JP5549642B2 (ja) 継電器
JP2011108452A (ja) 電磁継電器
US7847660B2 (en) Relay
KR101974970B1 (ko) 전자 접촉기
EP3690914A1 (en) Contact device, and electromagnetic relay equipped with said contact device
US11133140B2 (en) Contact device and electromagnetic relay
KR20190089441A (ko) 전자 접촉기
WO2018189778A1 (ja) 気中遮断器
US20130207751A1 (en) Magnetic actuator with two-piece side plates for a circuit breaker
EP3690915A1 (en) Contact device, and electromagnetic relay equipped with said contact device
KR102197518B1 (ko) 전자 접촉기
US20230162936A1 (en) Relay device
CN212365865U (zh) 触点装置、电磁继电器和具备电磁继电器的装置
JP3894074B2 (ja) 同軸スイッチ
JP3912231B2 (ja) 同軸リレー
JP2011222534A (ja) 電磁継電器
JP2004031085A (ja) 同軸リレー
JP2004032309A (ja) 同軸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