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7254A -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박스토출유닛 - Google Patents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박스토출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7254A
KR20160007254A KR1020140087659A KR20140087659A KR20160007254A KR 20160007254 A KR20160007254 A KR 20160007254A KR 1020140087659 A KR1020140087659 A KR 1020140087659A KR 20140087659 A KR20140087659 A KR 20140087659A KR 20160007254 A KR20160007254 A KR 20160007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blade
box plate
plate materi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7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4329B1 (ko
Inventor
이준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팩
Priority to KR1020140087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329B1/ko
Publication of KR20160007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02Feeding sheets or wrappe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박스토출유닛에 관한 것으로, 박스 판재를 적재하는 적재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박스 판재가 토출되는 방향의 단부에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박스 판재를 한 장씩 분리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를 각각 구동하는 블레이드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박스공급장치의 박스 토출 방향으로 설치되어 박스 판재에 손상 없이 한 장씩 토출이 가능하고, 박스 판재의 크기 및 두께가 변경되더라도 박스 판재를 한 장씩 토출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박스공급장치에 박스토출유닛이 결합됨으로써 별도의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박스토출유닛{Box discharging unit of Box supplying device for Box making machine}
본 발명은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박스토출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기 다른 사이즈의 박스 판재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에 장착되어 박스 판재를 한 장씩 토출하는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박스토출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함기는 각종 상품을 포장하는 포장 박스를 만들기 위해 판상의 박스 판재를 육면체 형상으로 만들어주는 기계를 말한다.
포장박스는 골판지나 합성수지재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지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상의 박스 판재를 용도에 맞는 전개도 형태로 절단한 후 육면체 형태로 접어서 만들어진다. 이러한 작업을 수작업으로 진행하면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 효율이 매우 낮은 문제가 있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특허공개 제2002-0069835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제함기를 사용하게 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제함기는 박스 판재를 박스 판재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장치 또는 이송장치의 규격이 정해져 있어 한가지 사이즈의 박스만 만들 수 있으므로 불편함이 있다. 또한, 박스공급장치로부터 제함기로 박스 판재를 토출할 때 별도의 흡착 장치를 통해 한 장씩 흡착인출해 제함기로 박스 판재를 이송하였으나, 이러한 흡착 장치는 구성이 복잡하고 설치 면적을 크게 차지해 작업 라인을 구성함에 있어 어려움이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2002-0069835호(공개일: 2002. 09. 05)
본 발명의 목적은 각기 다른 사이즈의 박스 판재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에 장착되어 박스 판재를 한 장씩 토출하는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박스토출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박스토출유닛은, 박스 판재를 적재하는 적재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박스 판재가 토출되는 방향의 단부에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박스 판재를 한 장씩 분리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를 각각 구동하는 블레이드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 구동부는 상기 블레이드를 각각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측 또는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박스 판재의 양측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박스 판재를 향하는 판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블레이드가 삽입되는 슬릿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레이드의 작동 전 상기 박스 판재를 한 장씩 상승시키기 위한 승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는 상기 박스 판재의 하단에 접촉하여 상기 박스 판재를 한 장씩 상승시키는 승강 블레이드와, 상기 승강 블레이드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 구동부와, 상기 승강 구동부를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을 포함한다.
상기 승강 블레이드는 상기 박스 판재에 접촉하는 단부 두께가 상기 박스 판재의 두께와 같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 구동부는 상기 승강 블레이드를 상승시켜 토출 방향을 기준으로 첫 번째 상기 박스 판재를 상승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블레이드는 제1 및 제2 블레이드이며, 상기 승강 블레이드에 의해 상기 첫 번째 박스 판재가 상승되면, 상기 블레이드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1 블레이드가 상기 박스 판재를 상기 제2 블레이드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첫 번째 박스 판재가 상기 제2 블레이드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블레이드가 상기 첫 번째 박스 판재와 두 번째 박스 판재 사이로 인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블레이드가 상기 첫 번째 박스 판재와 두 번째 박스 판재 사이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블레이드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2 블레이드가 상기 첫 번째 박스 판재를 상기 제1 블레이드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첫 번째 박스 판재를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기 박스 판재의 토출 방향쪽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블레이드와, 상기 제1 블레이드의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제2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블레이드의 초기 위치는 상기 첫 번째 박스 판재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전진한 위치이며, 상기 첫 번째 박스 판재가 상승한 후 상기 제2 블레이드가 전진하여 상기 첫 번째 박스 판재와 두 번째 박스 판재의 사이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블레이드가 상기 첫 번째 박스 판재와 두 번째 박스 판재의 사이로 인입된 후, 상기 제1 블레이드가 후퇴하여 상기 첫 번째 박스 판재가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박스토출유닛은 박스공급장치의 박스 토출 방향으로 설치되어 박스 판재에 손상 없이 한 장씩 토출이 가능하고, 박스 판재의 크기 및 두께가 변경되더라도 박스 판재를 한 장씩 토출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박스공급장치에 박스토출유닛이 결합됨으로써 별도의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박스토출유닛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박스토출유닛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박스토출유닛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2에 따른 박스토출유닛의 작동 원리를 도시한 작동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박스토출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박스토출유닛의 활용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박스토출유닛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박스토출유닛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박스토출유닛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박스토출유닛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따른 박스토출유닛의 작동 원리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박스토출유닛(400)은 박스공급장치(70)에 결합되어 박스 판재(50)를 제함기(30)로 이송하는 박스이송장치(10) 쪽으로 한 장씩 토출한다.
먼저 박스공급장치(7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박스공급장치(70)는 각기 다른 사이즈의 박스 판재(50)를 공급할 수 있도록 복수 개가 구비되며, 이송 카트(미도시)로부터 이송되어 적재된 복수의 박스 판재(50)를 박스이송장치(10) 쪽으로 이동시킨다(편의상 박스이송장치 쪽 방향을 박스토출유닛의 전방, 박스이송장치의 반대 방향을 박스토출유닛의 후방으로 정의하기로 함). 박스공급장치(70)는 박스 판재(50)를 적재하는 적재부(100)와, 박스 판재(50)를 적재부(100)의 전방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공급부(200)와, 박스 판재(50)의 크기에 맞게 적재부(100)의 폭을 조절하는 폭조절부(300)로 구성된다. 적재부(100), 공급부(200), 폭조절부(300)는 메인 프레임(72)에 탑재되어 지지되고, 적재부(100)는 폭조절부(300) 및 후술할 박스토출유닛(400)의 일부 구성품이 설치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메인 프레임(72)과 소정 높이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박스토출유닛(400)은 적재부(100)의 전방에 설치되어 박스이송장치(10)로 박스 판재(50)를 토출하며, 폭조절부(300)에 의해 적재부(100)의 폭이 조절될 때 함께 이동함으로써 박스 판재(50)의 사이즈가 달라지더라도 그에 대응하여 작동될 수 있다.
박스토출유닛(400)은 적재부(100)에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410)과, 지지 프레임(410)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적재된 복수의 박스 판재(50)를 한 장씩 분리하는 블레이드(430)와, 블레이드(430)를 구동하는 블레이드 구동부(450)와, 블레이드(430)의 동작 전 박스 판재(50)를 한 장씩 상승시키는 승강부(470)로 구성된다. 박스토출유닛(400)은 적재된 박스 판재(50)가 설정된 장수 이하로 남겨지거나 박스 판재(50)가 정상적으로 토출되지 않는 경우 작업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경고부(49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410)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길이 방향의 일단이 적재부(100)의 전면 양측에 각각 결합된다. 지지 프레임(410)은 내부에 블레이드 구동부(450)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프레임(410)은 박스 판재(50)를 향하는 판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블레이드(430)가 노출되는 슬릿(412)이 형성된다. 슬릿(412)은 블레이드(430)의 작동 시 간섭되지 않을 정도의 길이 및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레이드(430)는 소정의 폭을 갖는 판재이며, 각각의 지지 프레임(410)에 삽입된다. 블레이드(430)는 지지 프레임(410)에 삽입되는 부분에서 박스 판재(50)에 접촉되는 접촉부(432)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블레이드(430)는 박스 판재(50)에 접촉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유선형으로 두께가 얇아지거나, 지지 프레임(410)에 삽입되는 부분으로부터 단차져 박스 판재(50)에 접촉되는 부분이 얇아지는 형태일 수도 있다. 블레이드(430)의 박스 판재(50)에 접촉되는 부분이 얇은 것은 복수의 박스 판재(50)가 적재된 상태에서 두께가 얇은 박스 판재(50)의 사이로 블레이드(430)가 삽입되어 박스 판재(50)를 하나씩 분리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블레이드(430)의 박스 판재(50)에 접촉되는 부분이 너무 두꺼우면 박스 판재(50)의 사이에 삽입되기 어려워 박스 판재(50)가 여러 장씩 토출될 수 있음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블레이드 구동부(450)는 블레이드(430)에 결합되어 블레이드(430)를 구동시키며, 한 쌍의 블레이드(430)를 적재부(100)의 전후좌우로 동시에 이동시키거나, 각각의 블레이드(430)를 별도로 이동시킨다(박스 판재가 토출되는 상세한 과정은 후술하기로 한다).
승강부(470)는 박스 판재(50)를 한 장씩 상승시키는 승강 블레이드(472)와, 승강 블레이드(472)를 하부에서 지지하며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474)와, 승강 구동부(474)를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476)으로 구성된다. 승강부(470)는 박스 판재(50)가 전방으로 한 장씩 밀려 이동하는 속도에 맞춰 박스 판재(50)를 한 장씩 상승시킨 후 하강하여 다음 박스 판재(50)를 지지한다. 그 후 다시 박스 판재(5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이동한 박스 판재(50)를 상승시키도록 설정된다.
승강 블레이드(472)는 적재된 박스 판재(50) 중 가장 앞쪽의 박스 판재(50)를 기 설정된 높이로 상승시켜 블레이드(430)에 의해 적재된 박스 판재(50)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승강 블레이드(472)의 박스 판재(50)와 접촉되는 부분은 박스 판재(50)의 최소 두께에 대응하거나 또는 그 이하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작업할 박스 판재(50)의 두께가 달라지더라도 승강 블레이드(472)는 해당 박스 판재(50)를 한 장씩 상승시킬 수 있어야 하므로, 승강 블레이드(472)의 단부는 가장 최소 두께를 갖는 박스 판재(50)의 두께와 같거나 그 이하의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 구동부(474)는 승강 블레이드(472)를 하부에서 지지하며, 미리 설정된 타이밍에 맞춰 승강 블레이드(472)를 상승 및 하강 시킨다. 승강 구동부(474)는 승강 방향을 따라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리니어 모터나 유압 실린더 등 직선 운동이 가능한 구성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지지 브래킷(476)은 박스공급장치(70)의 메인 프레임(72)에 결합되어 승강 블레이드(472) 및 승강 구동부(474)를 지지한다.
박스토출유닛(400)에 의해 박스 판재(50)가 토출되는 과정을 순서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가 박스 판재(50)를 이송 카트에 적재해 박스공급장치(70)의 적재부(100)로 박스 판재(50)를 이동시키면, 공급부(200)에 의해 적재부(100)의 전방으로 박스 판재(50)가 이동된다. 이 때, 적재부(100)의 폭은 폭조절부(300)에 의해 미리 박스 판재(50)의 크기에 맞게 설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공급부(200)에 의해 박스 판재(50)가 적재부(100)의 전방으로 이송이 완료되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구동부(474)에 의해 승강 블레이드(472)가 상승하면서 가장 전방에 있는 한 개의 박스 판재(50)를 상승시킨 후 바로 하강한다.
박스 판재(50)가 상승되면 블레이드 구동부(450)에 의해 좌측에 위치한 블레이드(430)가 상승된 첫 번째 박스 판재(50)를 우측으로 밀어준다(편의상 좌측 블레이드를 기준으로 함). 이후 좌측 블레이드(430)는 첫 번째 박스 판재(50)와 두 번째 박스 판재(50)의 사이로 인입되고, 이와 동시에 우측 블레이드(430)가 첫 번째 박스 판재(50)를 좌측으로 밀어준다. 이에 따라 첫 번째 박스 판재(50)는 좌측 블레이드(430) 위로 일측면이 올라가게 되어 두 번째 박스 판재(50)와 이격 간격이 넓어지면서 적재된 박스 판재들로부터 이탈된다. 이탈된 첫 번째 박스 판재(50)는 박스이송장치(10)로 토출된다.
첫 번째 박스 판재(50)가 토출되면 공급부(200)에 의해 두 번째 박스 판재(50)가 다시 최전방으로 이동되고, 상승 블레이드(430)에 의해 상승하면서 전술한 과정을 반복해 박스이송장치(10)로 토출된다.
블레이드(430)가 동시에 작동하여 박스 판재(50)의 사이로 인입하지 않고 하나씩 작동하는 이유는, 박스 판재(50)가 적재된 상태에서 마찰력이나 정전기 등에 의해 박스 판재(50)들이 서로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블레이드(430)가 박스 판재(50)들의 사이로 인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박스 판재(50)를 일측으로 밀어준 후에 블레이드(430)를 인입시키는 것이 박스 판재(50)를 한 장씩 분리시키는데 훨씬 유리하다. 같은 맥락에서 동일한 높이에 박스 판재(50)가 위치하는 것 보다 박스 판재(50)를 상승시킨 후 일측으로 밀어주는 것이 박스 판재(50)를 한 장씩 분리시키는데 유리하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승강부(470)가 박스 판재(50)를 한 장씩 상승시켜 분리되도록 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반대로 박스 판재(50)를 한 장씩 하강시켜 분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승강 블레이드 및 승강 구동부의 작동 방향만 변경되면 적용이 가능하므로, 작업 환경 또는 필요에 따라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박스공급장치의 박스토출유닛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단,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박스토출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박스토출유닛은 적재부(100)의 전면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서브 프레임(420)과, 서브 프레임(4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적재된 복수의 박스 판재(50)를 한 장씩 분리하는 복수의 블레이드(430', 430'')와, 블레이드(430', 430'')를 서브 프레임(42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지지 샤프트(434)와, 블레이드(430', 430'')를 구동시키는 블레이드 구동모듈(450'')로 구성된다.
서브 프레임(420)은 제1 실시 예의 지지 프레임(410) 내부에 구비되며, 블레이드(430', 430'')에 결합된 지지 샤프트(434)를 지지한다. 서브 프레임(420)에는 지지 샤프트(434)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 샤프트(434)는 일단에 블레이드(430', 4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서브 프레임(420)의 판면에 결합되며, 박스 판재(50)의 측면을 향해 전진 또는 후진하는 블레이드(430', 430'')를 지지한다.
블레이드(430', 430'')는 제1 블레이드(430') 및 제2 블레이드(430'')의 2개로 구성되며, 지지 샤프트(434)에 결합되는 부분은 서브 프레임(420)의 판면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박스 판재(50)에 접촉되는 부분은 지지 샤프트(434)에 결합되는 부분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박스 판재(50)의 측면을 향해 연장된다. 즉, 블레이드(430', 430'')는 'L'자 형태로 절곡되며, 절곡된 단부가 박스 판재(50)에 접촉되는 접촉부(432', 432'')가 된다. 접촉부(432', 432'')는 제1 및 제2 블레이드(430', 430'')에 각각 형성된다. 블레이드(430', 430'')는 블레이드 구동모듈(450'')에 의해 박스 판재(50)의 측면을 향해 전진 또는 후진한다. 제1 블레이드(430')는 박스 판재(50)의 토출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되고, 제2 블레이드(430'')는 제1 블레이드(430')의 후방에 배치된다.
블레이드 구동모듈(450'')은 제1 블레이드(430') 및 제2 블레이드(430'')에 각각 결합되어 박스 판재(50)의 측면을 향해 제1 블레이드(430') 및 제2 블레이드(430'')를 직선 운동 시키는 제1 래크 기어(454) 및 제2 래크 기어(456)와, 직선 방향으로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452)와, 구동부(452)의 구동력을 제1 래크 기어(454) 및 제2 래크 기어(456)로 전달하는 연결 기어(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부(452)는 실린더나 리니어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블레이드(430') 및 제2 블레이드(430'')를 직선으로 왕복 운동시킬 수 있다면 종류에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래크 기어 및 연결 기어가 아닌 회전 모터와 래크 기어 및 피니언 기어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역시 구동부(452)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제1 블레이드(430') 및 제2 블레이드(430'')를 직선으로 왕복 운동시킬 수 있다면 종류에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박스 판재(50)가 적층된 상태에서 토출되기 전 적재부(100)의 양측에 각각 위치한 제1 블레이드(430')는 가장 앞에 있는 박스 판재(50) 쪽으로 동시에 전진해 측면의 일부를 전방에서 지지하게 된다. 박스 판재(50)의 토출 시 전술한 제1 실시 예에서와 동일하게, 승강부(470)에 의해 적재된 박스 판재(50) 중 맨 앞의 박스 판재(50)가 상승하면서 제1 블레이드(430')의 후방에 각각 위치한 제2 블레이드(430'') 의 접촉부(432?)가 첫 번째 박스 판재(50)와 두 번째 박스 판재(50)의 사이로 동시에 인입되고, 이와 동시에 승강부(470)는 하강한다. 제2 블레이드(430'')가 인입되면서 제1 블레이드(430')는 후퇴하여 첫 번째 박스 판재(50)가 토출된다. 첫 번째 박스 판재(50)의 토출 후 제1 블레이드(430')는 다시 전진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되고, 이러한 과정이 연속적으로 반복되어 박스 판재(50)가 한 장씩 토출된다. 전술한 제1 실시 예에서는 적재부(100)의 좌우 양측에 각각 하나씩의 블레이드(430)만이 구비되므로 양쪽 블레이드(430)가 하나씩 교대로 작동되어 박스 판재(50)를 분리하는 구조였다. 그러나 제2 실시 예의 박스토출유닛은 적재부(100)의 양측에 2개의 블레이드(430', 430'')가 각각 구비되므로, 한 쌍의 제1 블레이드(430')가 동시에 작동되고, 제2 블레이드(430'') 역시 한 쌍이 동시에 작동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박스토출유닛의 활용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토출유닛(400)은 복수의 박스공급장치(70)에 각각 장착되며, 박스토출유닛(400)의 전방에는 복수의 박스이송장치(10)가 각각 배치되어 박스공급장치(70)와 결합될 수 있다. 박스토출유닛(400)은 적재부(100)에 설치되므로 박스공급장치(70)마다 박스 판재(50)의 크기에 따라 각기 다르게 설정된 적재부(100)의 폭에 맞추어 박스 판재(50)를 토출하도록 설정된다. 박스 판재(50)의 수가 설정된 장수 이하이거나 박스 토출 시 이상이 발생되면 경고부(490)를 통해 이를 작업자에게 알릴 수 있다. 경고부(490)는 알람을 울리는 부저, 빛으로 표시하는 경고등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이 모두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경고부(490)는 이상 상태를 감지하거나 박스 판재(50)의 장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고등이 사용되는 경우, 박스 판재(50)가 토출되는 부분에서 경고 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경고등이 지지 프레임(410)에 구비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및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50: 박스 판재 70: 박스공급장치
100: 적재부 200: 공급부
300: 폭조절부 400: 박스토출유닛
410: 지지 프레임 430: 블레이드
450: 블레이드 구동부 470: 승강부
472: 승강 블레이드 474: 승강 구동부
476: 지지 브래킷 490: 경고부

Claims (13)

  1. 박스 판재를 적재하는 적재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박스 판재가 토출되는 방향의 단부에 결합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에 각각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박스 판재를 한 장씩 분리하는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를 각각 구동하는 블레이드 구동부를 포함하는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박스토출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구동부는 상기 블레이드를 각각 상기 지지 프레임의 외측 또는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박스토출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박스 판재의 양측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박스 판재를 향하는 판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블레이드가 삽입되는 슬릿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박스토출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의 작동 전 상기 박스 판재를 한 장씩 상승시키기 위한 승강부를 더 포함하는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박스토출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박스 판재의 하단에 접촉하여 상기 박스 판재를 한 장씩 상승시키는 승강 블레이드와, 상기 승강 블레이드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 구동부와, 상기 승강 구동부를 지지하는 지지 브래킷을 포함하는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박스토출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블레이드는 상기 박스 판재에 접촉하는 단부 두께가 상기 박스 판재의 두께와 같거나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박스토출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구동부는 상기 승강 블레이드를 상승시켜 토출 방향을 기준으로 첫 번째 상기 박스 판재를 상승시킨 후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박스토출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일측 및 타측 블레이드이며,
    상기 승강 블레이드에 의해 상기 첫 번째 박스 판재가 상승되면, 상기 블레이드 구동부에 의해 상기 일측 블레이드가 상기 박스 판재를 상기 타측 블레이드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박스토출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박스 판재가 타측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일측 블레이드가 상기 첫 번째 박스 판재와 두 번째 박스 판재 사이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박스토출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블레이드가 상기 첫 번째 박스 판재와 두 번째 박스 판재 사이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블레이드 구동부에 의해 상기 타측 블레이드가 상기 첫 번째 박스 판재를 상기 일측 블레이드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첫 번째 박스 판재를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박스토출유닛.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기 박스 판재의 토출 방향쪽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블레이드와, 상기 제1 블레이드의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제2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박스토출유닛.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의 초기 위치는 상기 첫 번째 박스 판재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전진한 위치이며, 상기 첫 번째 박스 판재가 상승한 후 상기 제2 블레이드가 전진하여 상기 첫 번째 박스 판재와 두 번째 박스 판재의 사이로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박스토출유닛.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블레이드가 상기 첫 번째 박스 판재와 두 번째 박스 판재의 사이로 인입된 후, 상기 제1 블레이드가 후퇴하여 상기 첫 번째 박스 판재가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박스토출유닛.
KR1020140087659A 2014-07-11 2014-07-11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박스토출유닛 KR101624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659A KR101624329B1 (ko) 2014-07-11 2014-07-11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박스토출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659A KR101624329B1 (ko) 2014-07-11 2014-07-11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박스토출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254A true KR20160007254A (ko) 2016-01-20
KR101624329B1 KR101624329B1 (ko) 2016-05-25

Family

ID=55307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7659A KR101624329B1 (ko) 2014-07-11 2014-07-11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박스토출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43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734A (ko) * 2017-12-19 2019-06-27 세방전지(주) 포장박스 조립 자동화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KR102295968B1 (ko) * 2020-12-04 2021-09-01 (주)로픽 제함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835A (ko) 2001-02-28 2002-09-05 장현규 박스개함장치 및 이송장치를 구비한 제함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835A (ko) 2001-02-28 2002-09-05 장현규 박스개함장치 및 이송장치를 구비한 제함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734A (ko) * 2017-12-19 2019-06-27 세방전지(주) 포장박스 조립 자동화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KR102295968B1 (ko) * 2020-12-04 2021-09-01 (주)로픽 제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4329B1 (ko) 2016-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4329B1 (ko)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의 박스토출유닛
JP2009184325A (ja) シート状段ボールの計数排出装置
CN107128685B (zh) Led支架离线检测上料装置及方法
KR101496280B1 (ko) 파레트 자동 정렬장치 및 이의 파레트 자동 정렬방법
KR101438741B1 (ko) 낱장 공급장치
JP2005119301A (ja) ブランク打抜き機
CN102447137A (zh) 铅蓄电池自动包板机
JP6026592B1 (ja) 段ボールシートの積載装置
KR101634115B1 (ko) 제함기용 박스공급장치
KR101757064B1 (ko) 카톤 파일의 박스 포장지 제거장치
CN202523809U (zh) 铅蓄电池自动包板机
KR20140145179A (ko) 스탬핑되는 스트립을 공급하기 위한 모듈
ITMI20121379A1 (it) Macchina per la sfogliatura di cartoni
JP6395547B2 (ja) シート供給装置
CN212667811U (zh) 一种内托下盒输送装置
KR100739015B1 (ko) 컨베이어 이송물의 배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출방법
CN220048782U (zh) 一种支撑物布放设备
KR20160060491A (ko) 판지 분배 공급시스템
CN218114189U (zh) 一种led灯珠剥料机的上料装置
CN219276809U (zh) 一种包装盒的折盒装置
CN218538336U (zh) 一种托盘转运系统
CN211894972U (zh) 自动旋转输送台
CN211469946U (zh) 一种模具上料装置
CN217398027U (zh) 纸垛出料堆叠输送设备
CN215437157U (zh) 一种条烟堆叠装置及装箱推送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