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6232A - 액면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액면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6232A
KR20160006232A KR1020157035240A KR20157035240A KR20160006232A KR 20160006232 A KR20160006232 A KR 20160006232A KR 1020157035240 A KR1020157035240 A KR 1020157035240A KR 20157035240 A KR20157035240 A KR 20157035240A KR 20160006232 A KR20160006232 A KR 20160006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osed surface
liquid level
liquid
axial direction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5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8743B1 (ko
Inventor
이사오 미야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160006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6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3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3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using magnet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14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Abstract

용기(90)에 저류된 액체의 액면(91) 높이를 검출하는 액면 검출 장치는, 액면에 추종해서 회전하는 회전체(50)와, 용기에 대하여 고정되는 본체부(33) 및 회전체의 회전축을 따른 축방향(AD)으로 본체부로부터 돌출되어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32)를 갖는 고정체(20)와, 회전축을 사이에 두는 배치로 회전체에 보유 지지되고, 지지부를 관통하는 자속(mf)을 발생시키는 한 쌍의 자석부(51)와, 지지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소자부(71)를 갖고, 소자부를 관통하는 자속의 밀도에 따른 검출 결과를 출력하는 검출부(70)를 구비한다. 회전체는, 지지부 및 각 자석부의 축방향 외측에 위치해서 용기 내에 노출되는 노출면(82)을 형성하고, 노출면에서 각 자석부를 축방향 외측에 투영한 두개의 투영 영역(56, 256, 57) 사이에는, 노출면으로부터 축방향 외측에 기립 설치되는 기립벽(83, 283)이 설치된다.

Description

액면 검출 장치{LIQUID-LEVEL DETECTION DEVICE}
본 개시는 2013년 6월 20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제2013-129683호에 기초하는 것으로, 여기에 그 기재 내용을 원용한다.
본 개시는 용기에 저류된 액체의 액면 높이를 검출하는 액면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액체의 액면에 추종해서 회전하는 회전체의 회전 각도를 계측함으로써, 액면의 높이를 검출하는 액면 검출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액면 검출 장치의 일종으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구성은, 한 쌍의 마그네트를 보유 지지하는 마그네트 홀더와, 홀 IC가 매설된 지지축에 의해 마그네트 홀더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서는, 홀 IC를 관통하는 자속의 밀도는 한 쌍의 마그네트를 보유 지지하는 마그네트 홀더의 회전에 수반하여 변화된다. 그러므로, 홀 IC의 출력에 기초하여 마그네트 홀더의 회전 각도를 계측함으로써, 액면 검출 장치는 용기에 저류되어 있는 액면의 높이를 검출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81106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의 마그네트 홀더에는 지지축 및 각 마그네트에 대하여 지지축의 돌출 방향에 위치하고, 용기 내에 노출되는 노출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액면 검출 장치를 장기간에 걸쳐서 사용한 경우, 액체 중에 혼입된 자성의 이물(이하, 「자성 이물」이라고 함)이 노출면에 부착되어, 검출 정밀도의 저하가 야기된다고 하는 문제에 본원 발명자는 상도하였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마그네트 홀더의 평탄한 노출면에는, 각 자석의 자력이 미치기 쉽기 때문에, 자성 이물이 서서히 부착되어 간다. 이러한 자성 이물의 계속된 부착에 의하면, 각 자석을 노출면에 투영한 두개의 투영 영역 사이에는, 이들 투영 영역을 연결하는 자기 회로가, 자성 이물에 의해 형성되어 버리는 것이다. 이 자기 회로에 자속이 누설됨으로써, 지지축 및 홀 IC를 관통하는 자속이 약화되어 버려, 홀 IC의 검출 결과의 경년 변화가 야기되는 것이다.
본 개시는,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장기간의 사용에 걸쳐서, 고정밀도의 검출 결과를 계속해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한 액면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개시의 일 형태는 용기에 저류된 액체의 액면 높이를 검출하는 액면 검출 장치이며, 액면에 추종해서 회전하는 회전체와, 용기에 대하여 고정되는 본체부 및 회전체의 회전축을 따른 축방향에 본체부로부터 돌출되어 당해 회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갖는 고정체와, 회전축을 사이에 두는 배치로 회전체에 보유 지지되고, 지지부를 관통하는 자속을 발생시키는 한 쌍의 자석부와, 지지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소자부를 갖고, 소자부를 관통하는 자속의 밀도에 따른 검출 결과를 출력하는 검출부를 구비하고, 회전체는 지지부 및 각 자석부의 축방향 외측에 위치해서 용기 내에 노출되는 노출면을 형성하고, 노출면에서 각 자석부를 축방향 외측에 투영한 두개의 투영 영역 사이에는, 당해 노출면으로부터 축방향 외측에 기립 설치되는 기립벽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형태에서, 지지부 및 한 쌍의 자석의 돌출 방향에 위치하는 노출면에는, 당해 노출면으로부터 돌출 방향에 기립 설치된 기립벽이 설치되어 있다. 이 기립벽의 표면은 부분적으로 각 자석으로부터 멀리 떨어지기 때문에, 자력이 미치기 어려워진다. 그러므로, 액체 중에 포함되는 자성 이물은 기립벽의 표면에 부착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각 자석을 노출면에 투영한 두개의 투영 영역 사이에 자성 이물에 의한 자기 회로가 형성되는 것에 기인하여, 지지부를 관통하는 자속이 약화되는 사태는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액면 검출 장치는 장기간의 사용에 걸쳐서, 고정밀도의 검출 결과를 계속해서 출력할 수 있다.
본 개시에 관한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 특징이나 이점은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의 상세한 기술에 의해 보다 명확해진다. 그 도면은,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액면 검출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A-IIA선에서의 하우징의 선단면도와, 도 1의 IIB-IIB선에서의 마그네트 홀더의 선단면도를 조합한 도면이다.
도 3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홀더 커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홀더 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복수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서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각 실시 형태에서 구성의 일부분만을 설명하고 있는 경우, 당해 구성의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선행해서 설명한 다른 실시 형태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 명시하고 있는 구성의 조합 뿐만 아니라, 특히 조합에 지장이 발생하지 않으면, 명시하지 않아도 복수의 실시 형태의 구성끼리를 부분적으로 조합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액면 검출 장치(10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로서의 연료를 저류하는 연료 탱크(90) 내에 설치되어 있다. 액면 검출 장치(100)는, 연료 펌프 모듈(93) 등에 보유 지지된 상태에서, 연료 탱크(90)에 저류되어 있는 연료의 액면(91)의 높이를 검출한다. 액면 검출 장치(100)는 하우징(20), 플로트(60), 마그네트 홀더(50) 및 홀 IC(7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하우징(20)은 이너 케이스(21), 터미널(35a 내지 35c) 및 아우터 케이스(31)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너 케이스(21)는, 예를 들어 폴리페닐렌술피드(PPS) 수지 등의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너 케이스(21)에는, 홀 IC(70)를 수용하는 소자 수용실(24)이 마련되어 있다. 세개의 터미널(35a 내지 35c)(도 1도 참조)은 인청동 등의 도전성 재료에 의해, 대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터미널(35a 내지 35c)은 외부 기기(예를 들어, 콤비네이션 미터) 및 홀 IC(70) 사이에서 전압 등의 검출 신호의 전송에 사용된다. 아우터 케이스(31)는 PPS 수지 등의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아우터 케이스(31)는, 이너 케이스(21)의 외측을 덮도록 형성됨으로써, 이너 케이스(21)를 수용하고 있다. 아우터 케이스(31)에는 축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축부(32)는 연료 펌프 모듈(93)(도 1 참조)을 통해서 연료 탱크(90)(도 1 참조)에 대하여 고정되는 본체부(33)로부터 원통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축부(32)는 마그네트 홀더(50)에 내부 끼움됨으로써, 당해 홀더(5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플로트(60)는, 예를 들어 발포시킨 에보나이트 등의 연료보다도 비중이 작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플로트(60)는, 연료의 액면(91)에 부양 가능하다. 플로트(60)는 플로트 아암(65)을 통해서 마그네트 홀더(50)에 지지되어 있다. 플로트 아암(65)은, 스테인리스강 등의 자성 재료에 의해 둥근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플로트(60)에 형성된 관통 구멍(61)에 삽입 관통되어 있다.
도 1, 2에 도시하는 마그네트 홀더(50)는, 수지 재료 등에 의해 원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마그네트 홀더(50)는, 본체부(53) 및 홀더 커버(8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그네트 홀더(50)는 플로트 아암(65)을 보유 지지하고, 축부(32)에 외부 끼움됨으로써, 하우징(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마그네트 홀더(50)는 액면(91)에 추종하도록, 마그네트(51)와 일체로 하우징(2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한다. 이 마그네트 홀더(50)에는, 한 쌍의 마그네트(51)가 수용되어 있다. 한 쌍의 마그네트(51)는, 당해 홀더(50)의 회전축을 사이에 두는 배치로 보유 지지됨으로써, 축부(32)를 사이에 두고 대향한다. 이상에 의해, 한 쌍의 마그네트(51)는 소자 수용실(24)에 수용된 홀 IC(70)를 통과하는 자속 mf를 발생시킨다.
도 2에 도시하는 홀 IC(70)는, 하우징(20)에 대한 마그네트 홀더(50)의 상대 각도를 검출하는 검출 소자이다. 홀 IC(70)는, 소자부(71) 및 세개의 리드선(7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자부(71)는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한 쌍의 마그네트(51)에 사이에 놓이도록, 축부(32)의 내부에 마련된 소자 수용실(24)에 수용되어 있다. 각 리드선(72)은 소자부(71)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각 터미널(35a 내지 35c)에 접속되어 있다. 홀 IC(70)는 전압이 인가된 상태로 마그네트(51)로부터 자계의 작용을 소자부(71)에 받음으로써, 당해 홀 IC(70)를 통과하는 자속 mf의 밀도에 따른(비례한) 전압을 발생시킨다. 홀 IC(70)에 발생한 전압은, 각 리드선(72) 및 각 터미널(35a 내지 35c) 등을 통해서 검출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로서 외부의 기기에 계측된다.
이상, 도 1에 도시하는 액면 검출 장치(100)에서는, 연료에 추종해서 상하 이동하는 플로트(60)의 왕복 동작은 마그네트 홀더(50)에 보유 지지된 플로트 아암(65)에 의해 회전 운동으로 변환되고, 이들 일체 요소(50, 65)에 전달된다. 그러므로, 마그네트 홀더(50)는 연료 탱크(90)에 저류되는 연료의 액면에 추종하여, 하우징(2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한다. 이 마그네트 홀더(50)의 상대 회전에 의해, 홀 IC(70)에 작용하는 자계의 자속 밀도가 변화됨으로써, 홀 IC(7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은 변화된다. 이와 같이 해서 액면 검출 장치(100)는, 마그네트 홀더(50)의 회전 각도, 나아가서는 연료의 액면 높이의 검출을 실현하고 있다.
이어서, 마그네트 홀더(50)의 홀더 커버(80)의 상세를 도 2 내지 4에 기초하여 더 설명한다.
도 2,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홀더 커버(80)는 본체판부(81), 기립벽(83) 및 보조벽(87)을 갖고 있다. 본체판부(81)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축부(32)의 돌출 방향인 축방향 AD의 외측으로부터 본체부(53)의 개구(52)에 끼워져 있다. 본체판부(81)는 열 코오킹 등에 의해, 본체부(53)에 고정되어 있다. 본체판부(81)는 축부(32) 및 각 마그네트(51)에 대하여 축방향 AD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본체판부(81)에서, 연료 탱크(90)(도 1 참조) 내에 노출되는 외표면이 노출면(82)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축방향 AD의 외측을 향해서 각 마그네트(51)를 노출면(82)에 투영한 두개의 영역을, 도 4에 도시하는 투영 영역(56, 57)으로 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의 한쪽의 투영 영역(56)의 중간 부분은, 보조벽(87)에 의해 노출면(82)이 분단되어 있음에 따라 그 사이가 제거되어 있다. 또한, 도 2,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방향 AD의 외측을 향해서 축부(32)를 노출면(82)에 투영한 영역을 중앙 영역(58)으로 한다. 그리고, 두개의 마그네트(51)가 대향하는 방향이며, 중앙 영역(58)을 사이에 두고 두개의 투영 영역(56, 57)이 배열되는 방향을 대향 방향 FD로 한다. 또한, 노출면(82)을 따라서 대향 방향 FD와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폭 방향 WD로 한다.
기립벽(83)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노출면(82) 상을 횡단하도록 배치된 플로트 아암(65)을 넘는 높이까지, 축방향 AD의 외측을 향해서 노출면(82)으로부터 기립 설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노출면(82)으로부터 기립벽(83)의 정상면(84)까지의 축방향 AD에 따른 높이 치수 h1은, 플로트 아암(65)의 횡단면의 직경 d1보다도 크다. 도 3,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립벽(83)은 노출면(82)을 따라서 폭 방향 WD로 연신되어 있다. 기립벽(83)의 연신 방향에서의 양단부는, 노출면(82)의 폭 방향 WD의 양쪽 테두리까지 도달되어 있다. 이에 의해, 폭 방향 WD에서의 기립벽(83)의 길이(이하, 「폭 치수 w1」이라고 함)는 폭 방향 WD에서의 각 투영 영역(56, 57)의 최대 길이(이하, 「최대 폭 치수 w2, w3」이라고 함)와 실질적으로 동일해져 있다. 기립벽(83)은 플로트 아암(65)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두개의 투영 영역(56, 57)의 중간 위치로부터 약간 투영 영역(56)에 근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기립벽(83)의 적어도 일부는 중앙 영역(58)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플로트 아암(65)과 인접하는 기립벽(83)의 측벽은 경사면(85)으로 되어 있다. 도 2 내지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면(85)은 축방향 AD를 따라서 노출면(82)으로부터 이격됨에 따라, 투영 영역(57)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보조벽(87)은 도 3,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립벽(83)을 사이에 두고 투영 영역(57)과는 반대측에 형성되어 있다. 보조벽(87)은 노출면(82)으로부터 축방향 AD의 외측을 향해서, 기립벽(83)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까지 기립 설치되어 있다. 보조벽(87)은 기립벽(83)의 폭 방향 WD의 중앙으로부터, 대향 방향 FD를 따라서 노출면(82)의 외측 테두리까지 연신되어 있다. 보조벽(87)은 기립벽(83)과 연속하면서, 당해 기립벽(83)과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에 의해, 기립벽(83) 및 본체판부(81)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홀더 커버(80)의 기능을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연료 탱크(90) 내의 연료 중에는, 예를 들어 철분 등의 자성의 이물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철분 등은, 각 마그네트(51)의 자력에 의해, 마그네트 홀더(50)의 외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기립벽(83)은, 이러한 철분 등의 부착을 방지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노출면(82)으로부터 기립 설치된 기립벽(83)의 외표면, 특히 정상면(84)은 각 마그네트(51)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각 마그네트(51)의 자력은 정상면(84)에 미치기 어려워진다. 그로 인해, 마그네트 홀더(50)에서 철분이 부착되기 쉬운 범위는 기립벽(83)을 사이에 둔 양측의 노출면(82)에 한정되고, 기립벽(83)의 외표면에 철분 등은 부착되기 어려워진다.
여기까지 설명한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두개의 투영 영역(56, 57) 사이에 철분 등에 의해 자기 회로가 형성됨에 기인하여, 축부(32)를 관통하는 자속 mf(도 2 참조)가 약화되는 사태는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소자부(71)를 관통하는 정규의 자속 mf의 안정화가 도모됨으로써, 액면 검출 장치(100)는 장기간의 사용에 걸쳐서, 고정밀도의 검출 결과를 홀 IC(70)으로부터 계속해서 출력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실시 형태의 기립벽(83)은, 도 4에 도시하는 두개의 투영 영역(56, 57)을 분단하도록, 폭 방향 WD로 연신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두개의 투영 영역(56, 57)의 한쪽으로부터 다른 쪽까지 연속해서 부착된 철분 등이 자기 회로를 형성해 버리는 사태는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액면 검출 장치(100)의 검출 정밀도는 높은 채로 계속 유지된다.
또한, 기립벽(83)의 폭 치수 w1이, 각 투영 영역(56, 57)의 최대 폭 치수 w2, w3과 동일한 만큼 확보되어 있으므로, 기립벽(83)을 돌아 들어가도록 하여 철분 등이 노출면(82)에 부착되는 사태는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각 투영 영역(56, 57) 사이를 연결하는 자기 회로의 형성이 더욱 곤란해짐으로써, 액면 검출 장치(100)의 검출 정밀도를 유지하는 효과는 높은 확실성을 가지고 발휘되게 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의 기립벽(83)은 중앙 영역(58)과 부분적으로 겹치는 배치에 의해, 두개의 투영 영역(56, 57)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두개의 마그네트(51)로부터 대략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는 기립벽(83)은, 양쪽의 마그네트(51)로부터 확실하게 멀리 떨어지게 된다. 그로 인해, 기립벽(83)의 외표면에 철분 등이 붙기 어려워지는 작용은 확실하게 발휘될 수 있다. 따라서, 철분 등이 형성하는 자기 회로에 의해 검출 정밀도의 악화가 야기되는 사태는, 더 확실하게 회피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자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플로트 아암(65)이 노출면(82) 상을 횡단하는 액면 검출 장치(100)에서는, 플로트 아암(65)이 노출면(82)에 부착된 철분 등과 함께 두개의 투영 영역(56, 57)을 연결하는 자기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제1 실시 형태의 기립벽(83)은 플로트 아암(65)을 넘는 높이까지 기립 설치되어 있다. 이상에 의하면, 플로트 아암(65) 및 철분 등의 협동에 의해 기립벽(83)을 타고 넘도록 자기 회로가 형성되어 버리는 사태는 방지된다. 따라서, 플로트 아암(65)을 구비하는 액면 검출 장치(100)에서도, 높은 검출 정밀도의 유지가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에서, 하우징(20)이 「고정체」에 상당하고, 축부(32)가 「지지부」에 상당하고, 마그네트 홀더(50)가 「회전체」에 상당한다. 또한, 마그네트(51)가 「자석부」에 상당하고, 홀 IC(70)가 「검출부」에 상당하고, 연료 탱크(90)가 「용기」에 상당한다.
(제2 실시 형태)
도 5에 도시하는 제2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이다. 제2 실시 형태의 홀더 커버(280)에서는, 제1 실시 형태의 보조벽(87)(도 4 참조)에 상당하는 구성이 생략되어 있다. 그로 인해, 한쪽의 투영 영역(256)은, 다른 쪽의 투영 영역(57)과 마찬가지로, 중간 부분에서 도중에 끊어지지 않고 연속되어 있다. 또한, 기립벽(283)에서 플로트 아암(65)과 인접하는 측벽은, 노출면(82)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상의 제2 실시 형태에서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함으로써, 각 투영 영역(256, 57) 사이를 연결하는 자기 회로의 형성은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장기간의 사용에 걸쳐서 고정밀도의 검출 결과를 계속해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복수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개시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어 해석되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형태 및 조합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 기립벽(83, 283)은 홀더 커버(80, 28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기립벽의 강도는 확보 용이하게 된다. 그러나, 기립벽은 홀더 커버와 별체로 형성되고, 당해 커버에 설치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러한 구성이라면, 전술한 수지 재료보다도 자속 mf를 통과시키기 어려운 비자성 재료에 의해 기립벽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노출면을 형성하는 홀더 커버가 본체부와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 기립벽(83, 283)은 폭 방향 WD로 연신되는 형상이었다. 그러나, 기립벽의 형상은 적절히 변경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기립벽의 연신 방향은, 대향 방향 FD로 교차되어 있으면, 폭 방향 WD로부터 어긋난 방향이어도 된다. 또한, 기립벽의 폭 치수 w1(도 4 참조)은, 각 투영 영역의 최대 폭 치수 w2, w3을 크게 상회하고 있어도 되고, 또는 각 투영 영역의 최대 폭 치수 w2, w3보다 작아도 된다. 또한, 복수의 기립벽이 두개의 투영 영역 사이에 기립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기립벽의 위치는 두개의 투영 영역의 중간에 한정되지 않고, 중앙 영역으로부터 크게 벗어나서 한쪽의 투영 영역의 근방이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액면 검출 장치는, 강판제의 연료 탱크 내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강판제의 연료 탱크에서는, 장기간의 사용에 수반하여, 철분 등이 혼입되기 쉬워진다. 그러므로, 마그네트 홀더에 대한 철분 등의 부착을 방지함으로써, 검출 정밀도의 안정화가 도모된 액면 검출 장치는 강판제의 연료 탱크에 특히 적합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노출면(82)의 중앙 영역(58)을 플로트 아암(65)이 가로지르고 있었다. 그러나, 노출면 상을 가로지르지 않도록 플로트 아암의 보유 지지 형태가 변경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형태라면, 자기 회로의 형성을 방지하는 것은, 한층 더 용이해진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두개의 마그네트(51)에 의해 「한 쌍의 자석부」가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한 쌍의 자석부」는, 홀 IC에 자속을 작용시킬 수 있으면,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자석부」의 각각이 복수의 마그네트를 조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는, 하나의 마그네트에 착자된 극성이 상이한 두개의 자극이 「한 쌍의 자석부」에 각각 상당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검출부」 및 「지지부」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구성은 적절히 변경되어도 된다.
이상, 연료의 잔량을 검출하는 차량용 액면 검출 장치(100)에 적용한 예에 기초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개시의 적용 대상은, 이러한 액면 검출 장치에 한정시킬 필요는 없고, 차량에 탑재되는 다른 액체, 예를 들어 브레이크 액, 엔진 냉각수, 엔진 오일 등의 용기 내의 액면 검출 장치이어도 된다. 또한, 차량용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민생용 기기, 각종 수송 기계가 구비하는 액체 용기 내에 설치되는 액면 검출 장치에, 본 개시는 적용 가능하다.
본 개시는 실시예에 준거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개시는 당해 실시예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고 이해된다. 본 개시는, 여러가지 변형예나 균등 범위 내의 변형도 포함한다. 또한, 여러가지 조합이나 형태, 나아가 그것들에 1 요소만, 그 이상, 또는 그 이하를 포함하는 다른 조합이나 형태도, 본 개시의 범주나 사상 범위에 들어가는 것이다.

Claims (5)

  1. 용기(90)에 저류된 액체의 액면(91) 높이를 검출하는 액면 검출 장치이며,
    상기 액면(91)에 추종해서 회전하는 회전체(50)와,
    상기 용기(90)에 대하여 고정되는 본체부(33) 및 상기 회전체(50)의 회전축을 따른 축방향(AD)으로 상기 본체부(33)로부터 돌출되어 당해 회전체(5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32)를 갖는 고정체(20)와,
    상기 회전축을 사이에 두는 배치로 상기 회전체(50)에 보유 지지되고, 상기 지지부(32)를 관통하는 자속(mf)을 발생시키는 한 쌍의 자석부(51)와,
    상기 지지부(32)의 내부에 배치되는 소자부(71)를 갖고, 상기 소자부(71)를 관통하는 자속의 밀도에 따른 검출 결과를 출력하는 검출부(70)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체(50)는 상기 지지부(32) 및 상기 각 자석부(51)의 상기 축방향(AD) 외측에 위치해서 상기 용기(90) 내에 노출되는 노출면(82)을 형성하고,
    상기 노출면(82)에서, 상기 각 자석부(51)를 상기 축방향(AD) 외측에 투영한 두개의 투영 영역(56, 256, 57) 사이에는, 당해 노출면(82)으로부터 상기 축방향(AD) 외측에 기립 설치되는 기립벽(83, 283)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 검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면(82)에서 상기 두개의 투영 영역(56, 256, 57)이 배열되는 방향을 대향 방향(FD)으로 하면, 상기 기립벽(83, 283)은 상기 노출면(82)을 따라서 상기 대향 방향(FD)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 검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면(82)을 따라서 상기 대향 방향(FD)과 직교하는 폭 방향(WD)에서, 상기 기립벽(83, 283)의 길이(w1)는 당해 폭 방향(WD)에서의 각 상기 투영 영역(56, 256, 57)의 최대 길이(w2, w3)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 검출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벽(83, 283)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축방향(AD) 외측을 향해서 상기 지지부(32)를 상기 노출면(82)에 투영한 중앙 영역(58)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 검출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면(91)에 뜨는 플로트(60)와,
    봉 형상의 자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회전체(50)에 보유 지지되면서 상기 노출면(82) 상을 횡단하고, 상기 플로트(60)를 보유 지지하는 플로트 아암(65)을 더 구비하고,
    상기 기립벽(83, 283)은 상기 플로트 아암(65)을 넘는 높이까지 상기 축방향(AD) 외측을 향해서 기립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면 검출 장치.
KR1020157035240A 2013-06-20 2014-06-16 액면 검출 장치 KR1017987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29683A JP6107462B2 (ja) 2013-06-20 2013-06-20 液面検出装置
JPJP-P-2013-129683 2013-06-20
PCT/JP2014/003178 WO2014203512A1 (ja) 2013-06-20 2014-06-16 液面検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232A true KR20160006232A (ko) 2016-01-18
KR101798743B1 KR101798743B1 (ko) 2017-11-16

Family

ID=52104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5240A KR101798743B1 (ko) 2013-06-20 2014-06-16 액면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57213B2 (ko)
JP (1) JP6107462B2 (ko)
KR (1) KR101798743B1 (ko)
BR (1) BR112015030622B1 (ko)
WO (1) WO20142035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42454B2 (ja) * 2018-12-25 2021-03-17 矢崎総業株式会社 液位検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1106A (ja) 2011-03-01 2012-09-20 Denso Corp 液面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7275A (ja) 1998-02-23 1999-08-31 Yazaki Corp 液面レベルセンサ
JP4126159B2 (ja) * 2001-01-11 2008-07-30 矢崎総業株式会社 回転検出装置用マグネット及び回転検出装置用マグネットの製造方法
JP3975966B2 (ja) 2003-05-07 2007-09-12 株式会社デンソー 液面レベルセンサ
JP4720159B2 (ja) 2004-11-30 2011-07-13 日本精機株式会社 液面検出装置
JP4466461B2 (ja) * 2005-05-09 2010-05-26 株式会社デンソー 液面検出装置
JP5230246B2 (ja) 2008-04-16 2013-07-10 矢崎総業株式会社 非接触式液面レベルセンサ
JP5621517B2 (ja) * 2010-11-04 2014-11-12 株式会社デンソー 液面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81106A (ja) 2011-03-01 2012-09-20 Denso Corp 液面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07462B2 (ja) 2017-04-05
KR101798743B1 (ko) 2017-11-16
US20160131515A1 (en) 2016-05-12
US9857213B2 (en) 2018-01-02
JP2015004574A (ja) 2015-01-08
BR112015030622A2 (pt) 2017-07-25
BR112015030622B1 (pt) 2020-11-17
WO2014203512A1 (ja)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00640B2 (ja) 液面検出装置
US9677926B2 (en) Liquid-level detection device
US7520167B2 (en) Fuel level gauge for use in automobile
KR101798743B1 (ko) 액면 검출 장치
JP4093126B2 (ja) 液面検出装置
JP2020128966A (ja) 液位検出装置ユニット
JP6319058B2 (ja) 液面検出装置
JP5621517B2 (ja) 液面検出装置
JP4973058B2 (ja) 液面検出装置
JP2018197728A (ja) 液面レベルセンサ
JP2007240274A (ja) 液面検出装置
KR101849024B1 (ko) 액면 검출 장치
JP3714242B2 (ja) 液面検出装置
JP2006284459A (ja) 液面検出装置
KR101343313B1 (ko) 연료 유량검출장치
WO2016038815A1 (ja) 液面検出装置
JP2006308392A (ja) 液面検出装置の取り付け構造
JP2009271013A (ja) 液面検出装置
JP5176755B2 (ja) 液面検出装置
JP2006242777A (ja) 液面検出装置とその出力調整方法
JP6260497B2 (ja) 液面検出装置
JP2008145131A (ja) 液面検出装置
JP2006317342A (ja) 液面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