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5203A - 손 떨림 보정 시험용 동축 멀티 포트 가진기 및 이를 가진 시험 장치 - Google Patents

손 떨림 보정 시험용 동축 멀티 포트 가진기 및 이를 가진 시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5203A
KR20160005203A KR1020140083317A KR20140083317A KR20160005203A KR 20160005203 A KR20160005203 A KR 20160005203A KR 1020140083317 A KR1020140083317 A KR 1020140083317A KR 20140083317 A KR20140083317 A KR 20140083317A KR 20160005203 A KR20160005203 A KR 20160005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unit
ports
test
test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5491B1 (ko
Inventor
황영수
박수홍
최성국
Original Assignee
황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영수 filed Critical 황영수
Priority to KR1020140083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491B1/ko
Publication of KR20160005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3/00Testing correct operation of photographic apparatu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 떨림 보정 시험용 동축 멀티 포트 가진기 및 이를 가진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하나의 축을 따라 진동하는 다수 개의 포트에 카메라와 같은 영상 획득 장치가 설치되어 다수 개의 카메라의 손 떨림 보정(Optical Image Stabilizer) 시험이 가능하도록 하는 손 떨림 보정 시험용 동축 멀티 포트 가진기 및 이를 가진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손 떨림 보정 시험 장치(100)는 제어 유닛; 다수 개의 포트(121)가 하나의 회전 축에 의하여 동시에 진동이 되고 그리고 다수 개의 포트(121)의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을 가진 시험 대상을 상기 회전 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고정시키는 소켓 및 상기 회전 축의 구동을 위한 구동 장치를 가진 가진기(120); 및 상기 다수 개의 포트(121)에 대응되는 피사 형상을 가진 챠트 모듈(13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손 떨림 보정 시험용 동축 멀티 포트 가진기 및 이를 가진 시험 장치{Apparatus for Generating Stimulated Vibration for Test of Optical Image Stabilizer with Multiport Equipped Coaxially and a Test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손 떨림 보정 시험용 동축 멀티 포트 가진기 및 이를 가진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하나의 축을 따라 진동하는 다수 개의 포트에 카메라와 같은 영상 획득 장치가 설치되어 다수 개의 카메라의 손 떨림 보정(Optical Image Stabilizer) 시험이 가능하도록 하는 손 떨림 보정 시험용 동축 멀티 포트 가진기 및 이를 가진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손 떨림 보정(Optical Image Stabilizer) 또는 영상 흔들림 방지는 고정 장치로부터 또는 카메라를 유지하는 손과 같은 신체로부터 카메라로 전달되는 흔들림 또는 진동을 방지 또는 보정을 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스마트 기기와 같은 휴대용 기기에 장착된 카메라는 주로 손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으로 인하여 영상의 흔들림이 발생될 수 있다. 손 떨림 보정을 위한 방법으로 렌즈가 이용되는 광학적인 방법과 이미지 센서가 이용되는 방법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광학적 영상 흔들림 방지 기술은 빛의 경로를 변화시켜 움직임을 보정하는 원리가 적용된다. 다른 한편으로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는 방법은 이미지 센서로 유입되는 빛에 의한 전자신호를 받아들여 영상을 보정하는 전자적인 방법과 예를 들어 CMOS 이미지 센서와 같은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는 기계적인 방법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손 떨림 방지의 보정 또는 시험을 위한 다양한 방법 또는 장치가 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다.
특허등록번호 제1013364호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터 시스템'은 내부에 암실을 형성하는 집적 부스; 상기 집적 부스의 내부 전면에 설치되며, 피사체가 설치되는 피사체 설치 유닛; 상기 집적 부스의 내부 전면과 내부 후면 사이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전후 이동 레일을 포함하는 거질 조절 유닛; 및 상기 피사체를 촬상하는 테스트 카메라가 설정되는 카메라 거치대를 포함하는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한다. 상기 선행기술에서 흔들림은 전후 이동 레일 또는 기기 진동판 및 스윙 기구에 의하여 발생된다.
손 떨림 보정과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2013-0065223호 '손 떨림 보정용 카메라 모듈의 해상도 평가 방법'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렌즈 모듈, 이미지 센서 및 손 떨림 보정용 구동 기기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을 준비하는 단계; 해상도 측정이 가능한 샘플 패턴을 배치하는 단계; 카메라 모듈에 일정한 진동수를 가진 진동을 가하는 단계; 샘플 패턴에 대한 이미지를 상기 카메라 모듈로 획득하는 단계; 구동 장치에 의한 손 떨림 보정 값을 단위 스텝 별로 변화시키면서 이미지의 해상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기울기에 따라 해상도의 측정 속도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해당도 평가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상기 선행기술에서 진동은 축에 대하여 각각 45도의 기울기를 가지는 방향으로 가해진다.
손 떨림 또는 진동은 다양한 형상으로 발생될 수 있고 손 떨림 보정 또는 시험을 위한 장치는 적어도 2개의 자유 수준을 가진 가진 발생 장치에 의하여 시험이 될 필요가 있다. 이와 동시에 다수 개의 카메라 모듈에 대한 시험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그리고 손 떨림 보정 시험은 다수 개의 대상에 대하여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동일한 조건에서 진행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가진 발생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문헌1: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3364호(2011년02월14일 공개) 선행문헌2: 한국특허공개번호 제2013-0065223호(2013년06월19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축을 따라 진동하는 하나의 회전 축을 따라 진동하는 것에 의하여 적어도 2개의 카메라 모듈에 대한 손 떨림 보정 시험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서로 다른 방향에 대한 진동 발생에 대한 시험이 가능하도록 하는 손 떨림 보정 시험용 동축 멀티 포트 가진기 및 이를 가진 시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동축 멀티 포트 가진기는 각각에 카메라 모듈을 가진 시험 대상의 고정이 가능한 다수 개의 포트가 배치된 회전 진동 유닛; 회전 진동 유닛의 한쪽 부분 및 다른 부분에 결합되는 제1 고정 프레임 및 제2 고정 프레임; 및 상기 한쪽 부분 및 다른 부분을 회전 축으로 회전 진동 유닛을 회전 진동시키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 개의 포트는 상기 구동 장치에 의하여 동시에 진동을 하고 그리고 상기 시험 대상은 상기 다수 개의 포트에서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고정이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미리 결정된 방향은 상기 회전 축에 대하여 0 내지 90 도 사이의 각도로 경사진 방향이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회전 축에 진동 비틀림을 측정하기 위한 엔코더 또는 자이로 센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손 떨림 보정 시험 장치는 제어 유닛; 다수 개의 포트가 하나의 회전 축에 의하여 동시에 진동이 되고 그리고 다수 개의 포트의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을 가진 시험 대상을 상기 회전 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고정시키는 소켓 및 상기 회전 축의 구동을 위한 구동 장치를 가진 가진기; 및 상기 다수 개의 포트에 대응되는 피사 형상을 가진 챠트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소켓에 상기 시험 대상을 공급 및 배출하기 하기 위한 핸들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구동 장치의 진동을 제어하는 위치 및 속도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진동 축은 상기 위치 및 속도 프로파일에 따라 진동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진기는 하나의 축을 따라 회전하는 다수 개의 포트에 고정된 각각의 카메라에 대하여 손 떨림 보정 시험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검사 효율의 향상되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진기는 하나의 방향을 기준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에 의하여 2개의 서로 다른 방향에 대한 진동 효과가 나타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진동 시험에 소요되는 시간이 감소되도록 하면서 진동 발생 구조가 간단해지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가진기가 설치된 시험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가진기가 설치된 시험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핸들러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d는 가진기의 포트에 설치되는 소켓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가진기의 실시 예에 대한 분해 구조 및 조립 구조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가진기에 의한 손 떨림 보정 시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도 3a의 과정에서 가진기의 실시 예를 그리고 도 3c는 카메라 모듈이 소켓에 배치된 실시 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진기의 가진 제어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가진기가 설치된 시험 장치(100)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손 떨림 보정 시험 장치(100)는 제어 유닛; 다수 개의 포트(121)가 하나의 진동 축에 의하여 동시에 진동이 되고 그리고 다수 개의 포트(121)의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을 가진 시험 대상을 상기 회전 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고정시키는 소켓 및 상기 진동 축의 구동을 위한 구동 장치를 가진 가진기(120); 및 상기 다수 개의 포트(121)에 대응되는 피사 형상을 가진 챠트 모듈(13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험 장치(100)는 카메라의 영상 촬영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진동을 모사하여 손 떨림 보정을 시험하기 위한 장치에 해당한다. 진동은 흔들림, 이동, 떨림 또는 회전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운동을 포함할 수 있고 가진기(120)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진동은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주기 운동을 포함하고 그리고 주기 운동은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일정하거나 또는 일정하지 않은 형태로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험 장치(100)는 기본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반복적인 주기 운동을 발생시킬 수 있고 다양한 부가 장치를 추가하는 것에 의하여 다양한 형태의 변형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시험 장치(100)는 하나의 방향으로 반복적인 주기 운동을 발생시키는 것에 의하여 서로 다른 방향의 주기 운동을 발생시키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효과가 생기도록 할 수 있다.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서 시험 장치(100) 또는 가진기(120)는 하나의 진동 축을 기준으로 주기 운동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설명이 되지만 필요에 따라 다수 개의 방향 또는 다수 개의 진동 축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형태의 주기 운동을 발생시킬 수 있고 본 발명은 진동 방향 또는 진동 축의 수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시험 장치(100)의 전체적인 작동은 제어 유닛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예를 들어 DD 모터(direct drive motor)와 같은 구동 장치(125)를 제어하여 가진기(120)에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은 입력 유닛(12)을 통하여 입력되는 명령을 처리하고 그리고 카메라 모듈에서 얻어진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장치(D)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중앙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시험 장치(100)에 설치된 각각의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적절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장치(125)의 작동을 제어하여 일정한 형태의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제어 유닛에 설치될 수 있다.
가진기(120)는 카메라 모듈을 가진 시험 대상이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포트(121) 및 각각의 포트(121)에 고정된 카메라 모듈을 진동시키는 예를 들어 DD 모터와 같은 구동 장치(125)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포트(121)에 커버의 개폐가 가능한 소켓이 설치될 수 있고 소켓에 상기 시험 대상이 진동 축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고정될 수 있다. 구동 장치(125)에 의하여 진동 축을 중심으로 각각의 포트(121)가 동일한 방향으로 진동될 수 있고 그리고 각각의 소켓에 고정된 카메라 모듈에 의하여 챠트 모듈(130)에 배치된 피사 형상(131a)에 대한 이미지가 얻어질 수 있다. 그리고 얻어진 이미지는 디스플레이 장치(D)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을 가진 시험 대상은 트레이(11, 11a, 11b)로부터 공급되거나 트레이(11, 11a, 11b)로 배출될 수 있다. 트레이(11, 11a, 11b)로부터 포트(121)에 설치된 소켓에 대한 시험 대상의 공급은 도 1a에 도시된 실시 예와 같이 수동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도 1b에 도시된 실시 예와 같이 헤드(150a) 및 이송 가이드(150b)로 이루어지는 핸들러 (150)에 의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트레이(11, 11a, 11b)는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프레임(F)의 전면에 배치되거나 가진기(12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트레이(11, 11a, 11b)의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핸들러(150)에 배치된 흡착 노즐의 수에 따라 적절한 수로 선택될 수 있다.
다수 개의 작동 버튼으로 이루어진 작동 유닛(13) 또는 작동 패널(C )이 프레임(F)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작동 표시 등(L)이 배치될 수 있지만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도 1a에 도시된 것처럼, 트레이(11a, 11b) 및 입력 유닛(12)이 개폐식 베이스(B)에 배치될 수 있지만 트레이(11a, 11b), 입력 유닛(12) 또는 작동 유닛(13)은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챠트 모듈(130)은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도 1a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1a의 실시 예도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의 차트 모듈(130)이 프레임(F)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챠트 모듈(130)은 가진기(120)로부터 카메라 모듈의 초점 거리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챠트 모듈(130)은 각각의 포트(121)에 대응되는 피사 형상(131a)을 가진 챠트 유닛(131), 차트 유닛(131)의 고정을 위한 고정 프레임(132), 차트 유닛(131)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 가이드(133) 및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 가이드(13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수평 가이드(133) 및 수직 가이드(133)의 정해진 위치에 챠트 유닛(131)을 고정 시키기 위한 고정 유닛(133a, 133b)이 수평 가이드(133) 및 수직 가이드(133)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챠트 모듈(130)은 가진기(120)와 독립적으로 제작되어 프레임(F)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그리고 챠트 유닛(131)의 이동으로 제어 유닛에 의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차트 모듈(130)이 본 발명에 따른 시험 장치(100)에 적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b를 참조하면, 이송 가이드(150a) 및 헤드(150a)로 이루어진 핸들러(150)가 프레임(F) 내부에 설치되어 시험 대상을 트레이(11)로부터 포트(121)로 이송시키거나 또는 포트(121)로부터 트레이로 이송시킬 수 있다. 트레이(11)는 필요에 따라 공급 트레이 및 배출 트레이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핸들러(150)의 작동은 제어 유닛에 의하여 이루어지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핸들러(150)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c를 참조하면, 핸들러(150)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시험 대상을 이송시키는 헤드(150a) 및 헤드(150a)를 정해진 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 가이드(150b)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헤드(150a)는 시험 대상을 고정하는 진공 흡착 구조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흡착 노즐(151), 각각의 흡착 노즐(151)이 고정되는 고정 블록(152) 및 각각의 흡착 노즐(151)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실린더 블록(15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헤드(150a)는 고정 브래킷(154)에 의하여 이송 가이드(150b)에 고정되어 이동될 수 있다.
헤드(150a)를 정해진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 가이드(150b)는 고정 프레임(155), 이송 프레임(155)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슬라이드 부재(155a), 슬라이드 부재(155a)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브래킷 유닛(155b) 및 슬라이드 부재(155a)의 이동을 유도하는 제1 가이드 유닛(155c)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150a)는 결합 브래킷(154)에 고정될 수 있고 그리고 결합 브래킷(154)이 브래킷 유닛(155b)에 고정되는 것에 의하여 헤드(150a)가 이송 가이드(150b)에 결합될 수 있다.
헤드(150a)의 제2 방향으로 이동을 위하여 한 쌍의 제2 가이드 유닛(156a, 156b)가 배치될 수 있고 이송 프레임(155)은 모터와 같은 이송 장치(157a)에 의하여 작동하는 이송 부재(157)에 의하여 제2 가이드 유닛(156a, 156b)을 따라 제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착 노즐(151)의 수는 가진기에 포함된 포트의 수에 비하여 많을 수 있고 바람직하게 하나가 많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진기에 배치된 포트의 수가 M(M은 자연수)라면 흡착 노즐(151)의 수는 M+1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각각의 포트로부터 시험 대상이 차례대로 포트가 배출이 되면서 이와 동시에 각각의 포트에 시험 대상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다만 흡착 노즐(151)의 수는 제한되지 않으며 흡착 노즐(151)에 의한 포트에 대한 또는 포트로부터 시험 대상의 공급 또는 배출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필요에 따라 헤드(150a)에 카메라 유닛과 같은 탐지 유닛(S)이 설치되어 각각의 포트에서 시험 대상의 고정 상태가 탐지될 수 있지만 반드시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각각의 포트에 예를 들어 스마트 폰과 같은 시험 대상의 고정을 위한 소켓이 설치될 수 있다.
도 1d는 가진기의 포트에 설치되는 소켓(160)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d를 참조하면, 시험 대상이 고정되는 소켓(160)은 자동 개폐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켓(160)은 베이스 플레이트(161), 베이스 플레이트(161)에 설치되는 배치 유닛(161a), 배치 유닛(161a)에 형성되어 시험 대상이 고정되는 고정 홈(165), 고정 홈(165)을 개폐시키는 개폐 커버(162), 개폐 커버(162)의 작동을 위한 개폐 작동 유닛(163)을 포함할 수 있다. 개폐 작동 유닛(163)의 작동에 의하여 고정 홈(165)이 개폐 커버(162)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 커버(162)에 고정 홈(165)에 고정되는 시험 대상의 카메라 모듈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이미지 윈도우(162a)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d의 (가)는 고정 홈(165)이 폐쇄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고 그리고 (나)는 고정 홈(165)이 개방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개폐 커버(162)에 연결된 개폐 작동 유닛(163)의 제어 유닛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 작동 유닛(163)의 작동을 위에서 설명된 핸들러의 작동과 연계될 수 있다.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소켓(160)이 본 발명에 따른 시험 장치에 적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에서 시험 장치에 설치되는 각각의 유닛에 대하여 설명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가진기(20)의 실시 예에 대한 분해 구조 및 조립 구조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진기(20)는 각각에 카메라 모듈을 가진 시험 대상의 고정이 가능한 다수 개의 포트(21)가 배치된 회전 진동 유닛(22); 회전 진동 유닛(22)의 한쪽 부분 및 다른 부분에 결합되는 제1 고정 프레임(27) 및 제2 고정 프레임(28); 및 상기 한쪽 부분 및 다른 부분을 회전 축으로 회전 진동 유닛(22)을 회전 진동시키는 구동 장치(25)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 개의 포트(21)는 상기 구동 장치(25)에 의하여 동시에 진동을 하고 그리고 상기 시험 대상(261)은 상기 다수 개의 포트(21)에서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고정이 된다.
다수 개의 포트(21)는 회전 진동 유닛(22)에 배치될 수 있고 그리고 회전 진동 유닛(22)은 판형 구조를 가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회전 진동 유닛(22)은 하나의 직선을 기준으로 대칭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그리고 하나의 직선은 진동 발생을 위한 진동 축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 진동 유닛(22)은 직사각판형이 될 수 있고 마주보는 짧은 변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이 진동 축이 될 수 있다. 대칭 구조는 주기적인 진동 발생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실제 카메라 모듈에 의한 사진 촬영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의 손 떨림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변형 진동이 발생되도록 보조적인 장치가 추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조 장치의 추가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다수 개의 포트(21)는 상기 하나의 직선을 따라 배열이 되거나 또는 하나의 직선에 대하여 대칭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그리고 다수 개의 포트(21) 각각에 카메라 모듈을 가진 예를 들어 휴대폰 또는 스마트 폰과 같은 시험 대상(261)이 고정될 수 있다. 다수 개의 포트(21)에 예를 들어 시험 대상의 고정이 가능한 소켓이 배치될 수 있고 그리고 각각의 소켓에 고정되는 시험 대상(261)은 미리 결정된 방향을 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미리 결정된 결정 방향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것처럼, 진동 축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a에 제시된 실시 예에서 회전 진동 유닛(22)은 직사각판형이 되고 그리고 진동 축은 긴 변과 평행한 직선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시험 대상(261)은 진동 축에 대하여 예를 들어 45도와 같이 0 내지 90 사이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시험 대상(261)의 경사는 시험 대상의 구조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험 대상(261)은 적어도 하나의 직선에 대하여 대칭 구조가 될 수 있고 상기 경사는 적어도 하나의 직선과 회전 진동 유닛(22)의 진동 축이 서로 경사가 지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휴대폰의 경우 얇은 직사각판형이 될 수 있고 그리고 카메라 모듈이 하나의 짧은 변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경우 휴대폰은 마주보는 짧은 변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에 대하여 대칭 구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경사는 휴대폰의 대칭 기준선과 회전 진동 유닛(22)의 진동 축의 경사를 의미한다. 또는 경사는 마주보는 긴 변의 중심을 연결하는 대칭 기준선과 회전 진동 유닛(22)의 경사를 의미한다.
회전 진동 유닛(22)은 제1 고정 프레임(27)과 제2 고정 프레임(28)에 마주보는 끝 부분이 고정되어 회전 진동이 될 수 있다. 제1 고정 프레임(27) 또는 제2 고정 프레임(28)은 회전 진동 유닛(22)이 회전 진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는 이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고정 프레임(27) 및 제2 고정 프레임(28)은 베이스 기판(29)에 정해진 거리만큼 떨어져 분리 가능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 기판(29)은 시험과 관련된 다른 모듈에 결합될 수 있는 적절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고정 프레임(27, 28)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흡수 구조 또는 진동 방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진동 유닛(22)의 한쪽 끝은 제1 고정 프레임(27)에 결합된 회전 운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동 장치(25)의 구동 축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진동 유닛(22)의 다른 끝은 예를 들어 베어링 같은 회전 지지 유닛(24)에 의하여 제2 고정 프레임(28)에 결합될 수 있다. 구동 장치(25)은 예를 들어 DD 모터(Direct Drive Motor)과 같은 것이 될 수 있지만 회전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임의의 구동 장치가 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회전 진동 유닛(22)은 구동 축 또는 회전 지지 유닛(24)에 각각 결합되는 회전 축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회전 진동을 탐지하기 위한 센서 모듈(23)이 예를 들어 회전 진동 유닛(22)의 축의 끝 부분 또는 다른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 모듈(23)은 예를 들어 엔코더 또는 자이로 센서와 같은 것이 될 수 있고 그리고 각각의 포트(21)의 회전 상태 또는 비틀림 상태를 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엔코더가 회전 지지 유닛(24)에 결합된 진동 축에 설치되어 회전 축의 휘어짐 또는 구동 장치(25)의 회전과 진동 축의 회전의 오차와 같은 것이 탐지될 수 있다. 또한 자이로 센서가 각각의 포트(21) 또는 적어도 2개의 포트(21)에 설치되어 가속도가 측정되어 각각의 포트(21)에서 진동 오차가 탐지될 수 있다. 탐지된 진동 오차는 제어 유닛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진동 오차, 회전 상태 또는 비틀림 상태는 서로 다른 위치에서 진동 상태가 서로 다르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비틀림 상태는 진동 축의 휨, 시험 대상의 고정 상태의 불안정 또는 고정 프레임(27, 28)에서 진동 발생과 같은 다양한 원인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다. 센서 모듈(23)은 가진기(20)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어 시간 또는 위치에 따른 진동 오차를 탐지하고 이를 제어 유닛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진기(20)는 다수 개의 시험 대상이 동시에 그리고 동일 또는 유사한 조건에서 손 떨림 보정이 시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하나의 진동 축에 따른 회전 진동의 발생에 의하여 2개의 서로 다른 방향에 대한 진동이 발생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시험이 이루어지는 것과 유사한 효과가 발생되도록 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가진기에 의한 손 떨림 보정 시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3b는 도 3a의 과정에서 가진기의 실시 예를 그리고 도 3b는 카메라 모듈의 실시 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다수 개의 포트(21)를 가진 가진기(20)가 시험 프레임(F)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 개의 포트(21)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위치하는 피사 형상(311 )이 배치된 챠트 유닛(31)이 시험 프레임(F)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챠트 유닛(31)에 배치되는 피사 형상(311)는 시험 대상의 카메라 모듈에 의하여 촬영이 되는 대상을 의미한다. 피사 형상(311)은 방향성을 가질 수 있고 그리고 각각의 피사 형상(311)의 방향성을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피사 형상의 방향성은 위에서 설명이 된 시험 대상의 경사 방향과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피사 형상(311)이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성을 가지면서 시험 대상의 경사와 동일 또는 유사한 방향이 되도록 하는 것은 동일 또는 유사한 조건에서 시험이 되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진동에 따른 이미지의 왜곡 방향 또는 왜곡 원인의 탐색이 용이하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피사 형상(311)은 다양한 방법으로 챠트 유닛(31)에 형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차트 유닛(31)의 밝기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챠트 유닛(31)에 형성된 피사 형상(311)의 형상, 방향성 또는 밝기가 조절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다양한 제어 가능한 피사 형상(311)이 챠트 유닛(31)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이 된 것처럼 챠트 유닛(31)은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가진기(20)는 각각의 포트(21)에 배치된 시험 대상의 카메라 모듈이 피사 형상(311)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이 된 것처럼, 시험 대상의 경사와 피사 형상(311)의 방향성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사 형상(311)의 초점은 경사진 2개의 수직 축의 원점에 위치하도록 챠트 유닛(31)에 표시되지만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경사진 2개의 축은 시험 대상의 경사진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화면을 기준으로 X-Y축으로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X-Y 평면에서 진동에 따른 화면의 떨림 여부가 측정되고 그리고 시험 대상에서 손 떨림 보정 기능이 켜지는 경우 떨림 여부가 측정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사각 판형의 회전 진동 유닛(22)에서 회전 진동을 위한 회전 축은 화살표(A)로 표시된 각각의 포트(21)를 연결하는 직선이 된다. 그리고 회전 진동 방향은 축에 수직이 되는 화살표(V)로 표시된 방향이 되고 예를 들어 회전 축을 중심으로 10 내지 60도의 각도로 주기 운동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DD 모터와 같은 구동 장치(15)에 의하여 회전 진동 유닛(22)이 예를 들어 1 내지 20 Hz의 주기로 회전 진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 진동의 과정에서 각각의 카메라 모듈이 각각의 피사 형상(311)을 촬영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게 된다. 제어 유닛이 설치되어 회전 진동의 작동, 이미지의 획득 또는 이미지의 분석과 관련된 처리가 제어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것처럼, 촬영 방향 또는 이미지 획득 방향(S)은 회전 축의 방향(A)과 수직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포트(21)에 배치된 시험 대상의 방향은 진동 축의 방향(A)의 방향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각각의 포트(21)에 카메라 모듈(261a)을 가진 시험 대상(261)이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포트(21)의 회전 축의 방향(A)이 결정되고 그리고 회전 진동의 방향(R)은 회전 축(A)의 방향에 수직이 된다. 그리고 시험 대상(261)의 경사 방향(CA)은 회전 축의 방향(A)에 예를 들어 0 내지 90도 사이의 범위에서 경사지고 그리고 실질적으로 진동의 방향(R)에 대하여 경사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회전 축의 방향(A)에 따른 시험 대상(261)의 회전 진동은 두 개의 방향(A 및 IA로 표시된)에 대한 회전 진동을 시험 대상(261)에 가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효과를 가져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진기(20)는 하나의 회전 축에 대한 진동으로 서로 다른 2개의 회전 축에 대한 진동 시험과 동일 또는 유사한 효과가 발생되도록 한다. 시험 대상(261)을 다양한 각도로 배치하거나 또는 시험 대상(261)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서로 다른 축 진동 크기에 따른 손 떨림 보정 시험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3a 내지 도 3c에 제시된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포트(21)는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고 그리고 진동 축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가진기(20)에서 구동 장치에 의한 진동은 미리 결정된 방식으로 발생되고 그리고 진동은 제어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진동은 예를 들어 DD 모터와 같은 구동 장치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고 진동 제어는 구동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진기의 가진 제어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유닛은 진동 프로파일 생성 유닛(41)을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구동 장치에 설치된 작동 드라이버(42)는 연산 증폭기(421), 속도 제어기(422), 토크 제어기(423) 및 연산 유닛(42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작동 드라이버(42)에 의하여 구동 장치(25)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고 그리고 구동 장치(43)의 작동 상태는 엔코더와 같은 센서(44)에 의하여 탐지될 수 있다.
구동 드라이버(42)의 포함되는 각각의 유닛은 전자 소자, 프로그램 또는 이들이 결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동 장치(25)에서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먼저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제어 장치에 설치된 제어 유닛에 의하여 진동 프로파일이 생성될 수 있다. 진동 프로파일은 예를 들어 진폭, 진동수, 파형(wave form) 또는 속도와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진폭 설정은 1 사이클(cycle)에서 진동 축의 위치를 포함할 수 있고, 진동수는 진동 축의 회전 속도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파형은 예를 들어 사인 파, 톱니 파 또는 구형 파와 같은 진동 축의 진동 형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진동 프로파일은 1 사이클에 대한 위치 및 속도를 포함하고, 주기가 100 ㎲로 설정될 수 있고 그리고 1 주기 후의 예를 들어 원점 위치와 같은 진동 축의 위치가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진동 프로파일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다수 개가 될 수 있고 각각의 진동 프로파일은 예를 들어 100 ㎲와 같은 일정 주기로 연산 증폭기(421)을 거쳐 속도 제어기(422) 및 토크 제어기(423)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그에 따라 구동 장치(25)의 진동이 제어될 수 있다. 주어진 진동 프로파일에 따른 구동 장치(25)의 진동 여부가 센서(44)에 의하여 탐지되어 연산 유닛(424) 및 연산 증폭기(421)로 되먹임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어 유닛(41)에 의하여 구동 장치의 진동이 제어될 수 있다.
진동 프로파일은 미리 준비되어 속도 제어기(422) 및 토크 제어기(423)으로 전달될 수 있고 다수 개의 진동 프로파일이 미리 준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작동 드라이버(42)에 위치 명령 버퍼가 형성될 수 있다. 진동 프로파일은 예를 들어 100 ㎲의 주기로 속도 제어기(422) 및 토크 제어기(423)로 전송될 수 있고 위치 명령 버퍼에 예를 들어 3개의 최대 위치 명령이 저장될 수 있다. 위치 명령 버퍼에서 위치 명령이 입출력이 되는 방식은 예를 들어 FIFO(First In First Out) 방식이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위치 명령 버퍼의 하나의 진동 프로파일과 관련된 위치 명령이 출력되면 다음 위치 지령이 출력 대기가 될 수 있고 그리고 새로운 진동 프로파일과 관련된 위치 명령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 유닛은 위치 명령 버퍼에 저장된 위치 명령의 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장치(25)는 진동 프로파일에 따른 작동이 가능하도록 게인 튜닝(gain tuning)이 되거나 그에 적합한 구동 장치(25)가 선택될 수 있다.
다양한 방식으로 구동 장치(25)가 제어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가진기는 하나의 축을 따라 회전하는 다수 개의 포트에 고정된 각각의 카메라에 대하여 손 떨림 보정 시험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검사 효율의 향상되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진기는 하나의 방향을 기준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에 의하여 2개의 서로 다른 방향에 대한 진동 효과가 나타나도록 하는 것에 의하여 진동 시험에 소요되는 시간이 감소되도록 하면서 진동 발생 구조가 간단해지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0: 시험 장치
120: 가진기 121: 포트
125: 구동 장치 130: 챠트 모듈
131: 챠트 유닛 132: 고정 프레임
133: 수평 가이드 134: 수직 가이드
133a, 133b: 고정 유닛 150: 핸들러
150a: 헤드 150b: 이송 가이드
160: 소켓 11, 11a, 11b: 트레이
12: 입력 유닛 13: 작동 유닛
20: 가진기 21: 포트
22: 회전 진동 유닛 23: 센서 모듈
24: 회전 지지 유닛 25: 구동 장치
27, 28: 고정 프레임 29: 베이스 기판
30: 챠트 유닛 42: 생성 유닛
42: 작동 드라이버 44: 센서
311: 피사 형상

Claims (6)

  1. 각각에 카메라 모듈을 가진 시험 대상의 고정이 가능한 다수 개의 포트(21)가 배치된 회전 진동 유닛(22);
    회전 진동 유닛(22)의 한쪽 부분 및 다른 부분에 결합되는 제1 고정 프레임(27) 및 제2 고정 프레임(28); 및
    상기 한쪽 부분 및 다른 부분을 회전 축으로 회전 진동 유닛(22)을 회전 진동시키는 구동 장치(25)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 개의 포트(21)는 상기 구동 장치(25)에 의하여 동시에 진동을 하고 그리고
    상기 시험 대상은 상기 다수 개의 포트(21)에서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고정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떨림 보정 시험용 동축 멀티 포트 가진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방향은 상기 회전 축에 대하여 0 내지 90 도 사이의 각도로 경사진 방향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떨림 보정 시험용 동축 멀티 포트 가진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축에 진동 비틀림을 측정하기 위한 엔코더 또는 자이로 센서를 더 포함하는 손 떨림 보정 시험용 동축 멀티 포트 가진기.
  4. 제어 유닛;
    다수 개의 포트(121)가 하나의 회전 축에 의하여 동시에 진동이 되고 그리고 다수 개의 포트(121)의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을 가진 시험 대상을 상기 회전 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고정시키는 소켓 및 상기 회전 축의 구동을 위한 구동 장치를 가진 가진기(120); 및
    상기 다수 개의 포트(121)에 대응되는 피사 형상을 가진 챠트 모듈(130)을 포함하는 손 떨림 보정 시험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소켓에 상기 시험 대상을 공급 및 배출하기 하기 위한 핸들러(150)를 더 포함하는 손 떨림 보정 시험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구동 장치의 진동을 제어하는 위치 및 속도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진동 축은 상기 위치 및 속도 프로파일에 따라 진동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떨림 보정 시험 장치.


KR1020140083317A 2014-07-03 2014-07-03 손 떨림 보정 시험용 동축 멀티 포트 가진기 및 이를 가진 시험 장치 KR101625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317A KR101625491B1 (ko) 2014-07-03 2014-07-03 손 떨림 보정 시험용 동축 멀티 포트 가진기 및 이를 가진 시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317A KR101625491B1 (ko) 2014-07-03 2014-07-03 손 떨림 보정 시험용 동축 멀티 포트 가진기 및 이를 가진 시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203A true KR20160005203A (ko) 2016-01-14
KR101625491B1 KR101625491B1 (ko) 2016-05-31

Family

ID=55172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317A KR101625491B1 (ko) 2014-07-03 2014-07-03 손 떨림 보정 시험용 동축 멀티 포트 가진기 및 이를 가진 시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4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146B1 (ko) * 2020-03-17 2020-08-18 (주)이즈미디어 카메라 모듈용 손떨림 보정기 검사 장치
KR20200128332A (ko) * 2019-05-02 2020-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성능 평가 방법
EP3734962A3 (en) * 2019-05-02 2020-1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test devi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860B1 (ko) * 2005-12-12 2007-10-24 옵토팩 주식회사 이미지센서 패키지 검사 장치 및 방법
JP2010016464A (ja) 2008-07-01 2010-01-21 Iwate Toshiba Electronics Co Ltd カメラモジュールのテスト装置及びそのテスト方法
JP2011120186A (ja) 2009-12-07 2011-06-16 Advas Co Ltd ビデオカメラ撮像用装置
KR101013364B1 (ko) * 2010-09-16 2011-02-14 (주)아이솔루션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8332A (ko) * 2019-05-02 2020-1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성능 평가 방법
EP3734962A3 (en) * 2019-05-02 2020-1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test devi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US11089220B2 (en) 2019-05-02 2021-08-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test devi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KR102145146B1 (ko) * 2020-03-17 2020-08-18 (주)이즈미디어 카메라 모듈용 손떨림 보정기 검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5491B1 (ko) 2016-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54168B2 (ja) プロジェクターおよび制御方法
KR101625491B1 (ko) 손 떨림 보정 시험용 동축 멀티 포트 가진기 및 이를 가진 시험 장치
US20090244302A1 (en) Camera module with image stabilizing apparatus
KR100534023B1 (ko) 카메라모듈 검사장치
JP2006242821A (ja) 光学パネルの撮像方法、光学パネルの検査方法、光学パネルの撮像装置、光学パネルの検査装置
KR101013364B1 (ko) 카메라 흔들림 보정 성능 테스트 시스템
JP2008128665A (ja) 振動試験方法、振動試験補助装置、及び振動試験システム
JP2004145504A (ja) 画像処理システム
CN212752487U (zh) 光学防抖测试装置
CN111879499A (zh) 摄像头驱动马达的光学稳像性能测试方法
US8670039B2 (en) Method and system for testing an image stabilizing device for an image capture apparatus
KR20150133050A (ko) 카메라모듈의 손떨림 보정력 검사장치
JP2008299224A (ja) カメラの手振れ補正機能を評価するための加振方法
KR101801438B1 (ko) 손 떨림 보정 시험용 가진 발생 장치
KR101612326B1 (ko)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검사 방법
JP5927711B1 (ja) レンズ素子搬送機構、コントローラ、光軸調整装置並びに、光学モジュール製造設備及びその製造方法
CN109031854B (zh) 带抖动修正功能的光学设备的抖动修正特性评价装置
CN103512514A (zh) 部件检查装置
CN104932192B (zh) 一种振动装置
KR101625409B1 (ko) 손 떨림 보정 시험을 위한 진동 발생 장치
JP4076134B2 (ja) ぶれ補正機能を有する画像入力装置の調整方法と調整装置
KR102145146B1 (ko) 카메라 모듈용 손떨림 보정기 검사 장치
JP2006084455A (ja) 角速度センサ検査装置
JP7314679B2 (ja) ラインチャートを用いた光学センサユニットの指向揺れ測定方法および装置
KR101234954B1 (ko) 2차원 좌표측정기(2次元座標測定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