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300U - 박스의 힌지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박스의 힌지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300U
KR20160003300U KR2020160000307U KR20160000307U KR20160003300U KR 20160003300 U KR20160003300 U KR 20160003300U KR 2020160000307 U KR2020160000307 U KR 2020160000307U KR 20160000307 U KR20160000307 U KR 20160000307U KR 20160003300 U KR20160003300 U KR 201600033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box
holes
cover
shaf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3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인구
Original Assignee
(주)디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에스이 filed Critical (주)디에스이
Priority to KR20201600003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3300U/ko
Priority to CN201620216671.6U priority patent/CN205470520U/zh
Publication of KR201600033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30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3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10Details of hinged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5/00Loc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로 전기콘트롤박스 등에 있어서 박스의 힌지를 매우 단순하고 튼튼한 구조로 하고 이와 함께 힌지를 임의로 분해할 수 없도록 간단히 록킹시킬 수 있게 하여 힌지 분해를 이용해 박스를 개방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박스의 힌지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본체(1)와 커버(2)에 힌지(3)가 구성되어 힌지(3)를 중심으로 커버(2)가 개폐되는 박스에 있어서, 본체(1)에 힌지공(11,11')을 형성하고 커버(2)에는 상기 힌지공(11,11')에 삽입되는 힌지축(21,21')을 형성하여 힌지(3)를 구성하고, 상기 힌지공(11,11')에 결합된 힌지축(21,21')이 힌지공(11,11')으로부터 임의로 분해되지 않게 하는 스토퍼(4)를 구비시켜 박스의 힌지 록킹장치를 구성한 것에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박스의 힌지 록킹장치{THE LOCKING DEVICE FOR A HINGE OF BOX}
본 고안은 박스의 힌지 록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로 전기콘트롤박스 등에 있어서 박스의 힌지를 매우 단순하고 튼튼한 구조로 하고 이와 함께 힌지를 임의로 분해할 수 없도록 간단히 록킹시킬 수 있게 하여 힌지 분해를 이용해 박스를 개방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박스의 힌지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측 힌지를 중심으로 개폐되는 구조의 박스에 있어서 힌지 구조를 단순화하여 제작, 조립의 용이성과 사용편이성 향사 등을 꾀함과 아울러 임의로 힌지를 분해할 수 없도록 록킹하는 박스의 힌지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전기콘트롤박스에 주로 적용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고안에서는 전기콘트롤박스를 중점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은 특히 전기콘트롤박스를 중점으로 설명되겠으나 전기콘트롤박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측에 힌지가 설치되어 힌지를 이용해 개폐되는 전기콘트롤박스를 포함한 여러 박스(BOX)류(類)에 적용된다.
전기콘트롤박스는 본체 일측에 힌지로 커버가 결합되고 그 반대 측에 클램프가 장착되어 본체에 결합된 커버를 힌지를 이용해 개폐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전기콘트롤박스는 참고문헌1 내지 참고문헌4 등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전기콘트롤박스는 본체에 힌지로 결합되어 개폐되는 커버의 클램프에 자물쇠(LOCK)가 구비되지 않아 쉽게 개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누구나 쉽게 개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반면 관계자 외 다른 사람의 접근이 용이하므로 전기콘트롤박스 내에 장착된 회로기판 등의 부속물이 훼손, 분실되는 우려도 적지 않다.
그러므로 관계자 이외에는 누구나 임의로 전기콘트롤박스를 개방할 수 없도록 커버의 개폐를 단속하기 위한 자물쇠를 클램프에 구비시켜서 전기콘트롤박스를 관리, 보호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자물쇠를 구비한 전기콘트롤박스의 일례로는 참고문헌5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클램프가 자물쇠로 채워진 전기콘트롤박스는 클램프의 자물쇠를 해제하지 못하더라도 (자물쇠에 의해 커버가 잠긴 상태에서도) 반대편 힌지를 분해하면 커버를 본체에서 분리할 수 있으므로 쉽게 박스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자물쇠를 채워놓은 전기콘트롤박스의 경우에도 힌지를 해제하면 커버를 개방할 수 있어 자물쇠의 사용이 소용없게 되므로 커버에 자물쇠를 채워서 함부로 개방할 수 없도록 함과 동시에 힌지를 임의로 분해할 수 없게 하여 힌지분해를 이용해 박스를 열 수 없도록 하는 힌지의 록킹장치 개발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목적의 종래 기술로는 문틀의 경첩 등에 설치하여 경첩의 분해를 이용해 문을 열 수 없도록 하는 록킹장치 등이 있는 데 이들은 참고문헌6 내지 참고문헌9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참고문헌6 내지 참고문헌9에 개시된 경첩의 록킹장치는 힌지에 홈을 형성하고 여기에 여러 고정수단(스냅링, 멈춤링 등)를 끼워서 스냅링에 의해 힌지가 축공에서 빠져나올 수 없게 함으로써 힌지의 임의 분해를 방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록킹장치는 힌지에서 록킹장치를 쉽게 분리할 수 없으므로 전술한 힌지의 임의 분해방지목적을 충분히 달성한다.
그러나 상기 구조를 전기콘트롤박스 등의 박스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후술하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문헌5 내지 참고문헌8에 나타난 문틀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규격(크기)이 작은 전기콘트롤박스 등의 박스는 힌지의 규격(크기) 역시 박스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여기에 매우 작은 규격의 부품인 스냅링, 멈춤링 등을 끼워 결합하는 조립구조로 제작하는 데 어려움이 크고 작은 규격으로 인해 쉽게 사용할 수 없는 불편이 있다.
따라서 힌지 분해를 방지하기위한 록킹구조는 비교적 간단하고 손쉬운 구조로 제작할 수 있어야 하고 조립 및 사용성 등도 용이하여야 한다.
즉, 전술한 록킹장치는 힌지에 한번 고정시키면 쉽게 분리할 수 없으므로 (분리되지 않아야만 힌지의 록킹장치로서 기능하지만 록킹상태의 해제를 위해서는 간편히 분리할 수 도 있어야 한다.) 힌지를 고정하고 있는 록킹장치를 필요에 따라 힌지에서 간편히 결합/분리할 수 있는 탈착기능을 제공하지 못한다.
다시 말해 힌지의 록킹장치는 힌지에 록킹이 필요한 경우에는 간단히 결합하여 함부로 분리할 수 없도록 하여야 하고, 이와 반대인 록킹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힌지로부터 간단히 분리할 수 있는 이중성을 모두 갖춰야만 박스의 다양한 사용용도와 목적에 맞도록 넓게 활용할 수 있고 또 우수한 사용편이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필요에 따라 힌지 록킹장치를 간편하게 또 손쉽게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의 제공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박스의 힌지를 임의로 분해할 수 없도록 힌지의 록킹장치를 부여함으로써 힌지분해를 이용해 박스를 개방할 수 없도록 하는 박스의 힌지 록킹장치를 이미 선 발명한 바 있다.(참고문헌10)
상기 본 출원인의 선 발명에 따른 록킹장치는 힌지를 임의로 분해할 수 없도록 확실한 잠금기능을 제공하면서 록킹장치가 필요없는 경우에 있어서는(힌지를 록킹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힌지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힌지 분해를 방지하는 록킹장치를 그 사용용도와 목적 등에 따라 간편하고 손쉽게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데에 특징이 있다.
(참고문헌1)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6445호(2008.12.23.) (참고문헌2)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6446호(2008.12.23.) (참고문헌3)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3411호(2005.12.09.) (참고문헌4)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3412호(2005.12.09.) (참고문헌5)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59303호(2014.02.10.) (참고문헌6)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3154호(2001.05.15.) (참고문헌7)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0-016422호(2000.09.25.) (참고문헌8)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11205호(2011.12.05) (참고문헌9)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61-157700(1986.09.30.) (참고문헌10)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41060호(2014.09.17.)
본 고안은 주로 전기콘트롤박스 등을 포함한 박스의 힌지 구조를 단순화하여 간단히 분해,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박스의 제작, 조립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하고자 한다.
또 본 고안은 단순화한 힌지가 견고히 결합되도록 함과 아울러 힌지를 임의로 분해할 수 없도록 록킹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힌지 분해를 이용한 박스 개방이 이루어질 수 없도록 힌지분해를 방지하고, 힌지의 결합관계가 견고하게 유지되어 안정된 사용성을 보장할 수 있는 박스의 힌지 록킹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본 고안은 본 출원인의 상기 선 발명이 갖는 특징(힌지 분해를 방지하는 록킹장치를 그 사용용도와 목적 등에 따라 간편하고 손쉽게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점.)을 그대로 수용하면서 매우 단순화한 힌지 구조로 박스의 제작,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튼튼한 힌지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특징이 있다.
상기 과제해결을 위한 본 고안은;
[청구항1]에 기재된 고안에 따르면; 본체와 커버에 힌지가 구성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커버가 개폐되는 박스에 있어서, 본체에 힌지공을 형성하고 커버에는 상기 힌지공에 삽입되는 힌지축을 형성하여 힌지를 구성하고, 상기 힌지공에 결합된 힌지축이 힌지공에서 임의로 분해되지 않게 하는 스토퍼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2]에 기재된 고안에 따르면;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4)는; 본체(1)에 탈착결합되고, 힌지공(11,11')에 결합된 힌지축(21,21')의 분리방향(A)[힌지축(21,21')이 힌지공(11,11')에 삽입되는 방향(B)의 반대 방향] 외측에 결합되어 힌지공(11,11')에 삽입된 힌지축(21,21')이 힌지공(11,11')으로부터 빠져나오지 못하게 고정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3]에 기재된 고안에 따르면;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4)는; 조립편(42)이 본체(1)의 조립공(5)에 탈착결합되고, 고정편(41)이 힌지공(11,11')에 결합된 힌지축(21,21')의 분리방향(A) 외측에 위치되어 힌지공(11,11')에 결합된 힌지축(21,21')이 분리방향(A)[힌지축(21,21')이 힌지공(11,11')에 삽입되는 방향(B)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게 하여 힌지공(11,11')으로부터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끼움, 분리작업만으로 힌지의 결합과 분해가 이루어지는 단순화된 힌지구조로 구성되어 매우 간단히 분해, 조립할 수 있으므로 주로 전기콘트롤박스 등을 포함한 박스의 제작, 조립이 용이하여 제작 코스트를 절감하고 향상된 사용편의성 등을 제공한다.
본 고안은 힌지 분해를 방지하는 록킹장치를 그 사용용도와 목적 등에 따라 간편하고 손쉽게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힌지의 견고한 결합과 동시에 힌지분해가 방지되어 힌지분해를 이용한 박스 개방이 예방되므로 튼튼하고 안정된 사용성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박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박스의 개방상태 사시도.
도 3,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박스의 분리 사시도.
도 5,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요부 발췌 분리 사시도.
도 7, 도 8은 본 고안의 요부 발췌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일부 발췌 평면도.
본 고안은 주로 전기콘트롤박스 등의 박스에 있어서, 박스의 힌지구조를 단순화하고, 조립된 힌지를 견고히 고정시킴과 동시에 임의로 분해할 수 없게 록킹시킬 수 있는 힌지 록킹장치를 구성한다.
주로 전기콘트롤박스 등의 박스는 본체 일측으로 커버가 힌지구조로 결합되어 개폐가능하게 되고, 상기 힌지가 결합된 본체 반대측에는 커버를 클램핑, 언클램핑하여 개폐시킬 수 있는 클램프가 구비된다.
또 박스에는 커버를 임의로 개방하여 박스를 열 수 없도록 자물쇠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힌지가 구성된 박스에 있어서, 본체와 커버에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힌지공으로 서로 결합, 분해되는 힌지를 구성하고, 상기 힌지공에 삽입된 힌지축을 힌지공에 고정시켜서 임의로 분해할 수 없도록 하는 스토퍼를 결합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체와 커버는 힌지축과 힌지공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되는 힌지가 구성되고 상기 힌지축에는 힌지공에 삽입된 힌지축이 힌지공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결합한다.
상기 힌지축은 축방향으로 스토퍼에 의해 고정되어 힌지공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됨으로써 힌지 분해가 방지된다.
상기 본체와 커버의 힌지축과 힌지공은 삽입, 분리되는 것으로 조립 및 분해가 이루어지는 매우 단순한 구조로 구성되어 제작의 용이성과 함께 튼튼한 내구성을 제공하며, 상기 힌지축을 힌지공에 고정시키는 스토퍼는 본체에 결합되어 힌지축을 힌지공에 견고히 고정시키고 힌지공으로부터의 분리를 방지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내용을 첨부 도면과 함께 상세히 살펴본다.
도 1,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박스의 사시도, 도 3,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박스의 분리 사시도, 도 5,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요부 발췌 분리 사시도, 도 7, 도 8은 본 고안의 요부 발췌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일부 발췌 평면도이다.
본 고안은 전기콘트롤박스 등의 박스에 있어서 힌지를 단순하고 튼튼한 구조로 하면서 힌지를 임의로 분해할 수 없도록 박스의 힌지 록킹장치를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박스는 본체(1)와 커버(2) 일측에 힌지(3)를 구성하여 커버(2)가 힌지(3)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본체(1)를 개폐시키도록 결합하고, 상기 힌지(3) 반대편에는 커버(2)를 클램핑, 언클램핑하여 개폐시키는 클램프(6,6')를 구비한다.
상기한 박스의 구성은 전기콘트롤박스 등에서 볼 수 있는 일반적인 구성이며, 박스의 개폐를 단속하기 위해 클램프(6,6') 또는 본체(1)와 커버(2) 사이에는 커버(2)를 임의로 개방할 수 없도록 자물쇠를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기콘트롤박스를 포함한 박스에 있어서, 본체(1)와 커버(2)를 개폐결합하는 힌지(3)에, 힌지(3)의 결합구조를 견고히 하고 힌지분해를 이용해 커버(2)를 열 수 없도록 박스의 힌지 록킹장치를 구성한다.
본체(1)에는 힌지공(11,11')을 형성하고 커버(2)에는 상기 힌지공(11,11')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힌지축(21,21')을 형성하여 박스의 개폐작동을 위한 힌지(3)를 구성한다.
상기 힌지축(21,21')은 힌지공(11,11')에 삽입되는 내경과 길이로 구성하며, 또 힌지공(11,11')은 힌지축(21,21')이 삽입되는 외경과 길이로 구성함은 극히 당연하다.
상기 본체(1)의 힌지공(11,11')과 커버(2)의 힌지축(21,21')은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그리고 중앙에 3개를 형성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본체(1)의 힌지공(11,11')에 커버(2)의 힌지축(21,21')이 삽입됨으로써 결합되고 힌지공(11,11')에서 분리됨으로써 분해된다.
상기와 같이 본체(1)의 힌지공(11,11')과 커버(2)의 힌지축(21,21')으로 구성된 힌지(3)는 스토퍼(4)에 의해 임의로 분해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힌지(3)를 고정시키는 스토퍼(4)는, 힌지공(11,11')에 결합된 힌지축(21,21')의 분리방향(A)[힌지축(21,21')이 힌지공(11,11')에 삽입되는 방향(B)의 반대 방향] 외측에 결합되어 힌지공(11,11')에 삽입된 힌지축(21,21')이 힌지공(11,11')으로부터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고정시킨다.
도시한 예는 중앙 힌지공(11,11')에 결합된 힌지축(21,21')에 스토퍼(4)를 결합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스토퍼(4)는 중앙과 좌우 양측 모두 각각에 또는 어느 일측에만 실시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스토퍼(4)는 조립편(42)이 박스(1)의 조립공(5)에 끼움조립되어 탈착결합되고, 고정편(41)이 힌지공(11,11')에 결합된 힌지축(21,21')의 분리방향(A) 외측에 위치되어 힌지축(21,21')을 고정시킨다.
즉, 상기 스토퍼(4)는 조립편(42)이 형성되어 조립편(42)에 부합되는 형상으로 본체(1)에 형성된 조립공(5)에 탈착결합된다.
그리고 스토퍼(4)의 고정편(41)은 도시한 예와 같이 힌지공(11,11')에 삽입된 힌지축(21,21') 일측, 즉 분리방향(A) 외측으로 힌지축(21,21') 끝에 밀착결합되어 힌지축(21,21')이 힌지공(11,11')으로부터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저지하여 고정시킴으로써 힌지축(21,21')을 힌지공(11,11')에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커버(2)의 힌지축(21,21')은 본체(1)의 힌지공(1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본체(1)의 조립공(5)에 고정된 스토퍼(4)에 의해 분리방향(A)으로의 이동이 구속되어 힌지축(21,21')의 축방향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힌지축(21,21')을 본체(1)의 힌지공(11,11')에서 분리시킬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21,21')을 힌지공(11,11')에 고정시킨 스토퍼(4)는 본체(1)의 조립공(5)에 결합된 조립편(42)이 커버(2)를 닫은 상태에서 커버(2)에 의해 눌러져 고정됨으로써 스토퍼(4)를 본체(1)에서 분리할 수 없게 된다.
즉, 커버(2)를 닫은 상태에서는 힌지축(21,21')을 고정하고 있는 스토퍼(4)는 본체(1)에 결합된 조립편(42)이 커버(2)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커버(2)를 열지 않고서는 힌지(3)에서 분리해 낼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본체(1)의 힌지공(11,11')과 커버(2)의 힌지축(21,21')이 삽입되는 단순한 결합으로 힌지(3)를 구성할 수 있고, 힌지(3)의 단순한 결합구조로 견고하면서 사용안정성이 우수한 제품을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버(2)가 닫힌 상태에서 힌지(3)를 임의로 분해할 수 없게되어 힌지분해를 이용한 박스 개방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4)가 필요없는 경우에는 커버(2)를 개방한 상태에서 본체(1)의 조립공(5)으로부터 간단히 분리할 수 있으므로 박스의 사용용도와 목적 등 그 필요에 따라 스토퍼(4)를 간편하게 탈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본 고안은 본체(1)와 커버(2)의 힌지구성을 반대로 한 경우, 즉 본체(1)에 힌지축(12,12')을 형성하고 커버(2)에 힌지공(11,11')을 형성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하여 동일한 작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은 힌지공(11,11')과 힌지축(21,21') 및 스토퍼(4) 등의 구성요소를 그 형태 등을 달리하거나 등가물로 치환하는 방법 등으로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극히 당연하며 이러한 실시예들 역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 첨부 도면에 사용한 부호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1:본체 11,11':힌지공
2:커버 21,21':힌지축
3:힌지 4:스토퍼
41;고정편 42:조립편
5:조립공 6,6':클램프

Claims (3)

  1. 본체(1)와 커버(2)에 힌지(3)가 구성되어 힌지(3)를 중심으로 커버(2)가 개폐되는 박스에 있어서,
    본체(1)에 힌지공(11,11')을 형성하고 커버(2)에는 상기 힌지공(11,11')에 삽입되는 힌지축(21,21')을 형성하여 힌지(3)를 구성하고,
    상기 힌지공(11,11')에 결합된 힌지축(21,21')이 힌지공(11,11')으로부터 임의로 분해되지 않게 하는 스토퍼(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의 힌지 록킹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4)는; 본체(1)에 탈착결합되고,
    힌지공(11,11')에 결합된 힌지축(21,21')의 분리방향(A)[힌지축(21,21')이 힌지공(11,11')에 삽입되는 방향(B)의 반대 방향] 외측에 결합되어 힌지공(11,11')에 삽입된 힌지축(21,21')이 힌지공(11,11')으로부터 빠져나오지 못하게 고정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박스의 힌지 록킹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4)는; 조립편(42)이 본체(1)의 조립공(5)에 탈착결합되고,
    고정편(41)이 힌지공(11,11')에 결합된 힌지축(21,21')의 분리방향(A) 외측에 위치되어 힌지공(11,11')에 결합된 힌지축(21,21')이 분리방향(A)[힌지축(21,21')이 힌지공(11,11')에 삽입되는 방향(B)의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게 하여 힌지공(11,11')으로부터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박스의 힌지 록킹장치.
KR2020160000307U 2016-01-19 2016-01-19 박스의 힌지 록킹장치 KR20160003300U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307U KR20160003300U (ko) 2016-01-19 2016-01-19 박스의 힌지 록킹장치
CN201620216671.6U CN205470520U (zh) 2016-01-19 2016-03-21 箱的铰链锁定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307U KR20160003300U (ko) 2016-01-19 2016-01-19 박스의 힌지 록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300U true KR20160003300U (ko) 2016-09-27

Family

ID=56655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307U KR20160003300U (ko) 2016-01-19 2016-01-19 박스의 힌지 록킹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60003300U (ko)
CN (1) CN205470520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46660B (zh) * 2019-07-30 2024-03-22 国家电网有限公司 一种互感器防护箱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7700A (ja) 1984-12-28 1986-07-17 Hitachi Cable Ltd 電解研磨の試料通電装置
KR20000016422U (ko) 1999-02-01 2000-09-25 김태환 경첩
KR200223154Y1 (ko) 2000-12-13 2001-05-15 씨리우스코리아주식회사 분해방지용 경첩
KR200403411Y1 (ko) 2005-09-09 2005-12-09 주식회사 박스코 전기 콘트롤박스용 록커
KR200403412Y1 (ko) 2005-09-09 2005-12-09 주식회사 박스코 전기 콘트롤박스용 힌지
KR20080006446U (ko) 2007-06-18 2008-12-23 허인구 전기 콘트롤박스용 록커
KR20080006445U (ko) 2007-06-18 2008-12-23 허인구 전기 콘트롤박스용 힌지
KR20130003809U (ko) 2011-12-16 2013-06-26 박미정 글래스-부직포 복합수지를 사용하는 다층 인쇄 회로기판
KR101359303B1 (ko) 2012-08-02 2014-02-10 (주)디에스이 박스용 록커
KR101441060B1 (ko) 2014-04-21 2014-09-17 (주)디에스이 박스의 힌지 록킹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7700A (ja) 1984-12-28 1986-07-17 Hitachi Cable Ltd 電解研磨の試料通電装置
KR20000016422U (ko) 1999-02-01 2000-09-25 김태환 경첩
KR200223154Y1 (ko) 2000-12-13 2001-05-15 씨리우스코리아주식회사 분해방지용 경첩
KR200403411Y1 (ko) 2005-09-09 2005-12-09 주식회사 박스코 전기 콘트롤박스용 록커
KR200403412Y1 (ko) 2005-09-09 2005-12-09 주식회사 박스코 전기 콘트롤박스용 힌지
KR20080006446U (ko) 2007-06-18 2008-12-23 허인구 전기 콘트롤박스용 록커
KR20080006445U (ko) 2007-06-18 2008-12-23 허인구 전기 콘트롤박스용 힌지
KR20130003809U (ko) 2011-12-16 2013-06-26 박미정 글래스-부직포 복합수지를 사용하는 다층 인쇄 회로기판
KR101359303B1 (ko) 2012-08-02 2014-02-10 (주)디에스이 박스용 록커
KR101441060B1 (ko) 2014-04-21 2014-09-17 (주)디에스이 박스의 힌지 록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5470520U (zh)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4132B2 (en) Cable outlet with curable polymer
US20180363334A1 (en) Attachment member and lock having the same
US10108026B2 (en) Hinge device for eyeglasses
KR20160003300U (ko) 박스의 힌지 록킹장치
CA2996914C (en) Cam lock
ITMI20010288A1 (it) Baule da tetto per autoveicoli con mezzi di chiusura perfezionati
KR101441060B1 (ko) 박스의 힌지 록킹장치
US10265233B2 (en) Incubator
JP2006153257A5 (ko)
CN107624012B (zh) 开盖机构
KR102561957B1 (ko) 프레임과 고글다리 간의 교체 탈착이 가능한 고글
JP2011217999A (ja) 開放補助部材および巾着型収納袋
KR101959654B1 (ko) 고정 프레임
US9845904B2 (en) Loosening-preventing device for pipe fitting
KR20100064202A (ko) 뚜껑분실방지 구조를 갖는 맨홀커버
KR20150000041U (ko) 전기콘트롤박스의 힌지 고정장치
JP3222548U (ja) 組立て式踏み台
US9764791B2 (en) Locking mechanism for bicycles
TWI586572B (zh) A magnetic attraction device for use in addition to foot
JP3949082B2 (ja) 電柱用支線ガードにおけるガード本体と芯材の止着装置
KR101464103B1 (ko) 몰드물 고정용 패스너 조립체
PL1634802T3 (pl) Adapter mocujący
JP6685930B2 (ja)
JP3198459U (ja) 携帯端末用ケース
US10550616B2 (en) Hinge for do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