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723B1 - 조립식 가구 프레임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조립식 가구 프레임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723B1
KR102053723B1 KR1020180108405A KR20180108405A KR102053723B1 KR 102053723 B1 KR102053723 B1 KR 102053723B1 KR 1020180108405 A KR1020180108405 A KR 1020180108405A KR 20180108405 A KR20180108405 A KR 20180108405A KR 102053723 B1 KR102053723 B1 KR 102053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rame
magnet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기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레아
Priority to KR1020180108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7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F16B2001/003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83Use of a magnet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연결부재의 결합부위를 프레임에 끼워넣는 것만으로 프레임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가구 프레임의 연결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결합부위가 돌출 형성된 연결부재; 상기 결합부위의 외측에 형성된 제 1 홈부; 원형링을 2개 이상 분할한 모양으로 제작되어 상기 제 1 홈부에 끼워지는 걸림부재; 상기 결합부위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된 프레임; 상기 통공의 입구에 형성된 나사공; 상기 걸림부재의 일부가 끼워지는 제 2 홈부가 내측에 형성되어 자석; 상기 나사공의 연결되게 형성되어 상기 자석이 삽입 설치되는 결합공; 상기 프레임과 자석에 각각 형성되어 자석을 결합공에 설치하였을 때 연결되는 관통공; 상부에 형성된 나사부가 상기 나사공에 결합되어 결합공에 삽입설치된 상기 자석의 위치를 잡아주는 마감부재;로 이루어진 조립식 가구 프레임의 연결구조에 의하여 달성 되어진다.

Description

조립식 가구 프레임의 연결구조{omitted}
본 발명은 조립식 가구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자석에 의해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가구 프레임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가구는 기본적인 틀을 잡아주는 수직 프레임와 수평 프레임을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종래에는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을 연결부재의 결합부위에 끼워 체결구로 연결 하였기 때문에 조립하는데 익숙하지 않은 수요자 입장에서는 상당한 노력과 시간을 필요로 했으며, 공급자 입장에서는 크기가 작아 분실하기 쉬운 체결구를 종류별로 필요한 숫자만큼 별도로 포장하여 제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원 발명자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구의 틀을 구성하는 프레임에 자석을 제공하고 연결부재의 결합부위에는 자력에 의해 벌어지는 2개 이상의 걸림부재를 제공하여 결합부위를 프레임에 끼우는 것만으로 프레임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한 본 발명의 조립식 가구 프레임의 연결구조를 안출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연결부재의 결합부위를 프레임에 끼워넣는 것만으로 프레임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가구 프레임의 연결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결합부위가 돌출 형성된 연결부재; 상기 결합부위의 외측에 형성된 제 1 홈부; 원형링을 2개 이상 분할한 모양으로 제작되어 상기 제 1 홈부에 끼워지는 걸림부재; 상기 결합부위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된 프레임; 상기 통공의 입구에 형성된 나사공; 상기 걸림부재의 일부가 끼워지는 제 2 홈부가 내측에 형성되어 자석; 상기 나사공의 연결되게 형성되어 상기 자석이 삽입 설치되는 결합공; 상기 프레임과 자석에 각각 형성되어 자석을 결합공에 설치하였을 때 연결되는 관통공; 상부에 형성된 나사부가 상기 나사공에 결합되어 결합공에 삽입설치된 상기 자석의 위치를 잡아주는 마감부재;로 이루어진 조립식 가구 프레임의 연결구조에 의하여 달성 되어진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은 연결부재의 결합부위를 통공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자석의 자력에 의해 원형링을 분할한 2개 이상의 걸림부재가 제 1,2 홈부에 위치하여 프레임을 연결구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를 보인 요부단면도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위(11)가 돌출 형성된 연결부재(10); 상기 결합부위(11)의 외측에 형성된 제 1 홈부(12); 원형링을 2개 이상 분할한 모양으로 제작되어 상기 제 1 홈부(12)에 끼워지는 걸림부재(21)(22); 상기 결합부위(11)가 삽입되는 통공(31)이 형성된 프레임(30); 상기 통공(31)의 입구에 형성된 나사공(32); 상기 걸림부재(21)(22)의 일부가 끼워지는 제 2 홈부(41)가 내측에 형성되어 자석(40); 상기 나사공(32)의 연결되게 형성되어 상기 자석(40)이 삽입 설치되는 결합공(33); 상기 프레임(30)과 자석(40)에 각각 형성되어 자석(40)을 결합공(33)에 설치하였을 때 연결되는 관통공(34)(42); 상부에 형성된 나사부(51)가 상기 나사공(32)에 결합되어 결합공(33)에 삽입설치된 상기 자석(40)의 위치를 잡아주는 마감부재(50);로 이루어진 조립식 가구 프레임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결합부위(11)는 연결하려는 프레임(30)의 갯수에 따라 연결부재(10)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원형링을 분할한 모양인 2개 이상의 상기 걸림부재(21)(22)는 외경이 상기 결합부위(11)의 외경과 일치하도록 제작되어 상기 제 1 홈부(12)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결합부위(11)의 외경과 상기 걸림부재(21)(22)의 외경이 일치되는 것으로, 상기 걸림부재(21)(22)가 상기 제 1 홈부(12)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부위(11)의 외측에 테이프를 붙여 놓는 방법으로 연결부재(10)와 함께 취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21)(22)의 두께를 제 1 홈부(12)에 상기 걸림부재(21)(22)가 끼워졌을 때 자석(30)의 자력을 포함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이상 빠지지 않을 정도의 공차를 갖도록 제작하는 방법으로 테이프 없이 연결부재(10)와 함께 취급될 수 있도록 실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제 2 홈부(41)는 상기 걸림부재(21)(22)가 자석(41)의 자력에 의해 외부로 벌어졌을 때의 모양에 일치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공(34)(42)은 프레임(30)을 연결부재(10)로부터 분리하려고 할 때 공구를 이용하여 걸림부재(21)(22)를 제 1 홈부(12)에 밀어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자석(40)은 결합공(33)에 삽입한 상태로, 나사공(32)에는 마감부재(50)의 나사부(51)가 나사 결합된 상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가구 조립전 자석(40)과 마감부재(50)가 프레임(30)과 별도로 취급되지 않는다. 상기 마감부재(50)의 머리부(52)는 상기 프레임(30)과 연결부재(10)사이에 노출되는 상태로 결합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연결부재(10)에 프레임(30)을 결합하려고 할 경우에는 결합부위(11)를 통공(31)에 삽입하기만 하면 되는 것으로, 결합부위(11)를 통공(31)에 삽입하여 걸림부재(21)(22)가 제 2 홈부(41)에 위치하게 되면 자석(40)의 자력에 의해 걸림부재(21)(22)의 일부가 제 2 홈부(41)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프레임(30)을 당기는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제 1,2 홈부(12)(41)에 위치하는 걸림부재(21)(22)에 의해 빠지지 않게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프레임(30)을 분해하려고 할 경우에는 연결된 관통공(34)(42)에 공구를 넣어 걸림부재(21)(22)를 제 1 홈부(12)에 완전히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프레임(30)을 잡아당기면 손쉽게 분해할 수 있다.
상기 공구는 관통공(34)(42)이 끼워질 수 있으면 되지만 작업의 편의성을 위해 집게모양으로 손잡이를 오므렸을 때 상기 관통공(34)(42)을 통해 상기 걸림부재(21)(22)를 제 1 홈부(12)에 밀어넣을 수 있는 전용공구를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프레임(30)의 통공(31)에 결합부위(11)를 삽입시키는 단순한 작업으로 연결부재(10)와 프레임(30)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부재(10)와 프레임(30)에 크기가 작은 걸림부재(21)(22), 자석(40), 마감부재(50)가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분실의 염려없이 취급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연결부재 11 : 결합부위
12 : 제 1 홈부 21,22 : 걸림부재
30 : 프레임 31 : 통공
32 : 나사공 33 : 결합공
34,42 : 관통공 40 : 자석
41 : 제 2 홈부 50 : 마감부재

Claims (1)

  1. 결합부위(11)가 돌출 형성된 연결부재(10); 상기 결합부위(11)의 외측에 형성된 제 1 홈부(12); 원형링을 2개 이상 분할한 모양으로 제작되어 상기 제 1 홈부(12)에 끼워지는 걸림부재(21)(22); 상기 결합부위(11)가 삽입되는 통공(31)이 형성된 프레임(30); 상기 통공(31)의 입구에 형성된 나사공(32); 상기 걸림부재(21)(22)의 일부가 끼워지는 제 2 홈부(41)가 내측에 형성되어 자석(40); 상기 나사공(32)의 연결되게 형성되어 상기 자석(40)이 삽입 설치되는 결합공(33); 상기 프레임(30)과 자석(40)에 각각 형성되어 자석(40)을 결합공(33)에 설치하였을 때 연결되는 관통공(34)(42); 상부에 형성된 나사부(51)가 상기 나사공(32)에 결합되어 결합공(33)에 삽입설치된 상기 자석(40)의 위치를 잡아주는 마감부재(50);로 이루어진 조립식 가구 프레임의 연결구조.
KR1020180108405A 2018-09-11 2018-09-11 조립식 가구 프레임의 연결구조 KR102053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405A KR102053723B1 (ko) 2018-09-11 2018-09-11 조립식 가구 프레임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405A KR102053723B1 (ko) 2018-09-11 2018-09-11 조립식 가구 프레임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723B1 true KR102053723B1 (ko) 2019-12-09

Family

ID=68837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405A KR102053723B1 (ko) 2018-09-11 2018-09-11 조립식 가구 프레임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7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7336A (ko) * 2008-01-10 2009-07-15 주식회사 신화이노텍 자석을 이용한 착탈장치
KR101546663B1 (ko) * 2014-03-04 2015-08-25 (주)한샘 영구자석을 이용한 가구재의 조립구조
KR101728894B1 (ko) * 2015-07-27 2017-04-20 김용래 조립식 프레임 구조체
KR101775012B1 (ko) * 2016-10-12 2017-09-04 심규승 뒤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조립식 가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7336A (ko) * 2008-01-10 2009-07-15 주식회사 신화이노텍 자석을 이용한 착탈장치
KR101546663B1 (ko) * 2014-03-04 2015-08-25 (주)한샘 영구자석을 이용한 가구재의 조립구조
KR101728894B1 (ko) * 2015-07-27 2017-04-20 김용래 조립식 프레임 구조체
KR101775012B1 (ko) * 2016-10-12 2017-09-04 심규승 뒤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조립식 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9331B2 (en) Frame structure of playing machine
US10060462B2 (en) Assembling facilitating device
US20080076304A1 (en) Assembly structure
US8471133B1 (en) Quick-release cymbal felt locating device
KR101458745B1 (ko) 테이블 프레임 및 그 조립방법
KR102053723B1 (ko) 조립식 가구 프레임의 연결구조
WO2016029879A1 (zh) 旋转连接单元及模块化机器人单体
KR101665940B1 (ko) 자석을 이용한 연결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파티션
KR101281525B1 (ko) 프로파일의 연결 조립장치
WO2017201769A1 (zh) 组合式家具
KR101925706B1 (ko) 조립식 프레임
US11143239B2 (en) Chain slider
KR101626836B1 (ko) 조립식 관 및 이의 조립방법
CN204985198U (zh) 锁扣连接组件和被锁连构件
KR20160001854U (ko) 기역니은디귿 조립식 가구
KR101631927B1 (ko) 가구용 프레임 연결장치
CN210251225U (zh) 支持锁定的包围体组件
CN210091617U (zh) 角度锁机构及显示装置
KR200482289Y1 (ko) 조립가구의 결합모듈
CN204878161U (zh) 一种家具用方便拆装连接结构
CN220286202U (zh) 一种多角度连接结构件
KR20140134892A (ko) 가구용 판넬 체결장치
TWI679933B (zh) 組合式管套件及筏體
KR101408400B1 (ko) 도어 손잡이
KR200495383Y1 (ko) 프로파일용 핸드그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