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386U - 복싱 연습용 기구 - Google Patents

복싱 연습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386U
KR20160001386U KR2020140007615U KR20140007615U KR20160001386U KR 20160001386 U KR20160001386 U KR 20160001386U KR 2020140007615 U KR2020140007615 U KR 2020140007615U KR 20140007615 U KR20140007615 U KR 20140007615U KR 20160001386 U KR20160001386 U KR 2016000138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cushion
vertical bar
disposed
bo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6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명철
Original Assignee
신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명철 filed Critical 신명철
Priority to KR20201400076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386U/ko
Publication of KR201600013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38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20Punching balls, e.g. for boxing; Other devices for striking used during training of combat sports, e.g. bags
    • A63B69/22Punching balls, e.g. for boxing; Other devices for striking used during training of combat sports, e.g. bags mounted on, or suspended from, a fixed support
    • A63B69/224Punching balls, e.g. for boxing; Other devices for striking used during training of combat sports, e.g. bags mounted on, or suspended from, a fixed support mounted on a resilient foo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10Combat sports
    • A63B2244/102Box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복싱 연습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싱 다이어트나 복싱 연습을 통해 단련되는 체력강화 및 군살빼기 운동 등의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상하좌우 전방향으로 탄력적인 회동을 하는 복싱 연습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복싱 연습용 기구는 조립 및 분해가 간단하여 설치가 간편하고, 가격 시 복수 개의 쿠션부를 전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하면서, 상하로 유동하게 하여 복싱 연습으로 체력을 강화하거나 다이어트 등에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과격한 복싱 연습을 하는 운동선수에게 빈번하게 발생되는 뇌졸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복싱 연습용 기구{Boxing training equipment}
본 고안은 복싱 연습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싱 다이어트나 복싱 연습을 통해 단련되는 체력강화 및 군살빼기 운동 등의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상하좌우 전방향으로 탄력적인 회동을 하는 복싱 연습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싱 연습용 기구는 모래가 삽입된 주머니(샌드백)를 기둥이나 벽 등에 부착된 지지대에 매달아 놓고 연습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샌드백은 내부에 모래나 공기를 충진하여 천장에 매달아 놓거나 바닥에 세워놓고 손 또는 발로 가격하면서 사용하는 운동 기구로서 주로 복싱 및 격투기 도장 등에서 주로 사용되어 왔지만, 근래 들어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일반인들도 운동 효과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해소 및 다이어트를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종래의 일반적인 샌드백은 모래가 충진되어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일반인이 사용하기에는 불편할 뿐만 아니라, 천장에 줄로 매달아서 사용해야 하므로 샌드백 설치작업이 어렵고, 설치장소를 이동시키기가 어려워 공간활용도 면에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보완하여 샌드백 내부에 모래 대신 공기, 솜 등을 충진하여 중량이 가볍고, 설치 및 이동이 비교적 자유로운 권투 연습용 기구가 등록실용신안 제20-0372812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샌드백은 별도의 높이 조절 수단이 없기 때문에 높이가 고정되면서 사용할 수 있는 범위가 한정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받침대를 이용하여 단순히 바닥에 세워놓는 것으로, 만약 사용자가 샌드백을 강하게 가격하는 경우에는 샌드백이 바닥에 쓰러지게 되면서 안전사고를 초래가 우려가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중량이 50kg 이상되는 받침대를 제작함으로 인해 이동이 어렵고, 제작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72812호(2005.01.04.)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2822호(2011.03.14.)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립과 분해가 간편한 복싱 연습용 기구를 설치하고, 전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하면서 상하로 유동이 가능한 쿠션부를 구비하여 복싱 연습으로 체력을 강화하거나 다이어트 등의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복싱 연습용 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복싱 연습용 기구는,
복싱 연습용 기구에 있어서,
최하부에 배치되는 원형의 하부 지지 수단(102)의 중앙에 체결 볼트(110)와 긴밀하게 끼움 결합되고, 상기 체결 볼트(110) 나사산에 수직으로 볼트 체결되는 중공 파이프 형상의 제 1 수직봉(100);
상기 제 1 수직봉(100)의 내경과 대응되고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턱의 위치까지 내삽되며, 복수 개로 형성된 타원형의 제 2 쿠션부(210) 중앙을 관통하여 끼움 결합되는 제 2 수직봉(200);
상기 제 2 수직봉(200)의 내경과 대응되고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턱의 위치까지 내삽되며, 플렉셔블 스프링(220)이 구획된 수직봉을 긴밀하게 감싸면서 끼움 결합되면서 타원형의 제 1 쿠션부(310) 중앙을 관통하는 제 3 수직봉(300); 및
상기 수직봉 내부 중앙을 관통하여 탄설되고, 상기 기구의 하부와 상부를 단단하게 지지하면서 일정한 탄성을 갖는 탄력 축(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수직봉의 체결되는 위치에는 높낮이 조절 수단(120)을 구비하여 상기 수직봉이 내삽되는 길이만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복싱 연습용 기구는 조립 및 분해가 간단하여 설치가 간편하고, 가격 시 복수 개의 쿠션부를 전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하면서, 상하로 유동하게 하여 복싱 연습으로 체력을 강화하거나 다이어트 등에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과격한 복싱 연습을 하는 운동선수에게 빈번하게 발생되는 뇌졸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싱 연습용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싱 연습용 기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싱 연습용 기구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싱 연습용 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싱 연습용 기구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복싱 연습용 기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일면에 있어서,
최하부에 배치되는 원형의 하부 지지 수단(102)의 중앙에 체결 볼트(110)와 긴밀하게 끼움 결합되고, 상기 체결 볼트(110) 나사산에 수직으로 볼트 체결되는 중공 파이프 형상의 제 1 수직봉(100);
상기 제 1 수직봉(100)의 내경과 대응되고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턱의 위치까지 내삽되며, 복수 개로 형성된 타원형의 제 2 쿠션부(210) 중앙을 관통하여 끼움 결합되는 제 2 수직봉(200);
상기 제 2 수직봉(200)의 내경과 대응되고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턱의 위치까지 내삽되며, 플렉셔블 스프링(220)이 구획된 수직봉을 긴밀하게 감싸면서 끼움 결합되면서 타원형의 제 1 쿠션부(310) 중앙을 관통하는 제 3 수직봉(300); 및
상기 수직봉 내부 중앙을 관통하여 탄설되고, 상기 기구의 하부와 상부를 단단하게 지지하면서 일정한 탄성을 갖는 탄력 축(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수직봉의 체결되는 위치에는 높낮이 조절 수단(120)을 구비하여 상기 수직봉이 내삽되는 길이만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싱 연습용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 수단(120)은 측단에 배치된 높낮이 고정 볼트(122)를 조여서 상호 체결되는 수직봉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싱 연습용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일면에 있어서,
상기 플렉셔블 스프링(220)은 제 3 수직봉(300)에 관통되어 결합된 제 1 쿠션부(310)를 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싱 연습용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플렉셔블 스프링(220)은 내부에 절단되어 나누어진 제 2 수직봉(200)을 긴밀하게 끼움하여 상기 제 2 수직봉(200)의 수직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싱 연습용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일면에 있어서,
상기 제 1 쿠션부(310) 및 제 2 쿠션부(210)는 수직봉을 중심으로 상하 유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싱 연습용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탄력 축(400)은 최하부와 최상부에 구비되는 체결 볼트(110)에 용접 결합된 체결 고리(112)와 체결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싱 연습용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일면에 있어서,
상기 복싱 연습용 기구는 미끄러짐 또는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 지지 수단 하부(102)면에 고무 재질의 매트(104)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싱 연습용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의 일면에 있어서,
상기 제 1 쿠션부(310) 및 제 2 쿠션부(210)는 플라스틱과 고무의 혼합 연질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싱 연습용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일면에 있어서,
상기 제 1 쿠션부(310) 하부에 배치되는 높낮이 조절 수단(120) 상부면에서 플렉셔블 스프링(220)이 배치된 하부면까지 외주면을 감싸는 연질 고무 재질의 커버(2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싱 연습용 기구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싱 연습용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싱 연습용 기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싱 연습용 기구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싱 연습용 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싱 연습용 기구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복싱 연습용 기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복싱 연습용 기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제 1 수직부(100), 상기 제 1 수직봉(100)과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턱까지 내삽되어 결합되는 제 2 수직봉(200), 상기 제 2 수직봉(200)과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턱까지 내삽되어 결합되는 제 3 수직봉(300) 및 상기 수직봉의 수직을 유지하면서 일정한 탄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탄력 축(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수직부(100)는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그 내부는 비어 있으며, 상기 제 1 수직부(100)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 수단(102)의 중앙 중공에 긴밀하게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제 1 수직부(100)의 하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 볼트(110)와 체결되는데, 상기 체결 볼트(110)는 끝단에 체결 고리(112)가 용접 결합된다. 상기한 체결 볼트(110)는 전술한 제 1 수직부(100)의 하단부 및 제 3 수직봉(300) 상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용접 결합된 체결 고리(112)에 탄력 축(400)을 탄설하여 기구 전체를 단단하게 지지하면서 일정한 탄성을 지닐 수 있다.
추가로, 상기 기구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 수단(102)은 그 재질이 철 등으로 형성되어 미끄러짐 또는 이탈이 될 수 있으므로, 그 하부면에 고무 재질의 매트(104)를 배치하는게 바람직하다.
별법으로, 상기 하부 지지 수단(102)은 별도의 수납 공간을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마이크, 음향장치 및 라디오 등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여, 복싱 연습 시 음악 등을 청취할 수 있으며, 야외에서는 마이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태양에 있어서, 추가의 일면으로 하부 지지 수단(102) 하부면에 매트(104) 대신 탄력 고무 부재(미도시)를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탄력 고무 부재는 일정한 탄성을 지니는 원형 형상으로 하부 지지 수단(102) 하부면의 상하좌우에 상기 탄력 고무 부재를 소정의 너비와 높이로 형성하되, 그 형상은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하부 지지 수단(1020)과의 긴밀한 체결을 위해서 탄력 고무 부재 상부면에 스프링(미도시)을 체결 고정시키고, 상기 스프링 내부의 내경과 대응되는 원형 파이프(미도시)를 삽입하여 긴밀하게 고정 후, 상기와 같이 형성된 스프링과 원형 파이프를 포함하는 탄력 고무 부재를 용접하여 체결할 수도 있다.
상기 스프링은 장치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직경은 5~10mm가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추가의 일면으로, 하부 지지 수단(102) 하부면에 자유자재로 회전 및 이동이 가능할 수 있는 바퀴(미도시)를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태양에 있어서, 하부 지지 수단(102) 하부면에 단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한 바퀴(미도시)를 복수 개로 수평 또는 수직으로 대향되게 배치하여 11자 형태의 레일(미도시) 상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이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상기 장치를 다수 개 나란히 일렬로 세워놓고, 여러 사람이 동시에 상기 장치에 가격을 하여 게임 또는 복싱 연습용으로서 활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수직부(100)의 내경과 대응되면서, 내삽되는 제 2 수직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수직부(100)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턱의 위치까지 삽입되면서 상하로 자유롭게 높이를 조절하며 원하는 위치에서 높낮이 조절 수단(1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내삽되는 수직부의 길이는 20~30cm가 바람직할 수 있으나, 상기 길이는 본 고안의 범위 내에서 변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높낮이 조절 수단(120)의 측면에는 "ㄱ" 형상의 높낮이 고절 볼트(122)가 구비되어 있어서, 내삽되어 결합되는 수직부를 일정한 길이만큼 늘리거나 줄여서 고정 볼트(122)로 고정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ㄱ" 형상의 높낮이 고절 볼트(122)는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에 용접 결합된 손잡이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손잡이를 상방 또는 하방으로 회전시켜 내삽된 수직부를 단단하게 밀착시켜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 2 수직부(200)는 스프링 이탈 방지 부재(202), 제 2 쿠션부(200), 플렉셔블 스프링(220) 및 커버(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 이탈 방지 부재(202)는 상기 제 2 수직부(200)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후술될 플렉셔블 스프링(220)이 걸림되어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쿠션부(210)는 수직부가 관통되는 부위가 비워있는 타원형 또는 원형의 형태로, 상기 제 2 수직부(200)와 관통되어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제 2 쿠션부(210)는 수직부에 복수 개를 관통하여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2 쿠션부(210)의 재질은 플라스틱과 고무의 혼합 연질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적당한 무게감을 가지면서 탄력성이 있으므로 부상을 방지하면서 효과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쿠션부(200)는 결합되는 수직부의 상하부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어, 가격을 할 때 상하로 유동할 수 있으므로, 운동의 최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플렉셔블 스프링(220)은 상기 제 2 수직부(200)를 긴밀하게 감싸서 결합되는 구조로서, 상기 플렉셔블 스프링(220) 내부에 배치되는 제 2 수직부(200)는 절단되어 배치된다. 이는 상하좌우 전방향으로 자유롭게 회동이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절단되어 배치된 제 2 수직부(200)는 플렉셔블 스프링(220)이 긴밀하게 감싸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없을 때에는 항상 수직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 3 수직봉(300)은 제 1 쿠션부(3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 3 수직봉(300)은 전술한 수직봉과의 체결 방식과 동일하게 일정한 길이로 제 2 수직봉(200)에 내삽되어 중첩되는 부분에 높낮이 조절 수단(120)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높낮이 조절 수단(120)은 제 1 쿠션부(310)를 주먹 등으로 가격할 때 빗나가서 다칠 위험이 있으므로, 높낮이 조절 수단(120) 상부면에서 플렉셔블 스프링(220)이 배치된 하부면까지 외주면을 감싸는 연질 고무 재질의 커버(230)를 씌울 수 있다. 상기 커버(230)는 어떠한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일정한 탄성을 지니는 물성이면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 1 쿠션부(310)는 타원형 또는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이 관통되어 상기 제 3 수직봉(300)과 수직으로 결합된다. 상기 제 1 쿠션부(310) 하부에는 플렉셔블 스프링(220)이 배치되어 있어, 가격을 하게 되면 전후좌우 전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다. 또한, 제 3 수직봉(300)과 이격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상하로 유동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 1 쿠션부(310)의 재질은 플라스틱과 고무의 혼합 연질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쿠션부(310) 상부에는 전술한 체결 볼트(110)가 구비되어 상기 제 3 수직봉(300)과 볼트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제 1 수직봉(100)에 배치되는 체결 볼트(110)와 동일하게 체결 고리(112)가 용접 결합되어 있어서, 각각의 체결 고리(112)에 탄력 축(400)을 걸림 체결하여 기구 전체를 단단하게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제 1 쿠션부(310)와 제 3 수직봉(300)을 긴밀하게 체결 고정하고, 수직 방향의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상기 제 3 수직봉(300) 하단부 및 제 1 수직봉(100) 상단부에 원형의 볼을 끼움 고정하고 탄력 축(400)을 걸림 체결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탄력 축(400)은 고무 또는 탄성을 지니는 물성으로 형성하는게 바람직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쿠션부는 야간에 심미감과 미려함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야광띠 또는 불빛을 발산할 수 있는 띠를 둘러서 형성할 수도 있다.
별법으로, 파이프 형상의 수직부와 쿠션부를 수평으로 관통하게 하여, 양끝단에 플렉셔블 스프링을 체결하고,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형성되게 함으로서 완력 및 근력 운동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운동 기구로서도 응용이 가능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중앙에 배치되는 쿠션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쿠션부는 상부에서 하부쪽으로 소정의 길이로 턱이 형성되어 있어, 가격 시 타격감을 향상함은 물론, 타격이 빗나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수직봉이 체결되는 부위에는 상기 수직봉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의 고무링을 배치하여, 타격 시 금속의 부딪침에 의한 소음 등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고무링은 미끄럼을 최소화하는 고무 재질로서, 상기 수직봉의 직경과 대응되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든 적용될 수가 있다.
또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 수단(120)은 수직봉과 내삽되는 부위에 나사산의 직경과 대응되는 부위의 내부에 형성시킴으로서, 외부에 돌출되는 높낮이 조절 수단(120)에 의하여 타격 시 빗나가서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수직봉의 체결 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직봉과 내삽되는 부위에 나사산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의 중공이 5개 내지 10개 형성되고, 체결 너트를 상기 수직봉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중공과 용접 결합시켜 조절하고자 하는 높이에 볼트를 삽입시킴으로써, 긴밀하게 체결이 되며, 외부에 어떠한 것도 돌출되지 않음으로 타격 연습을 안전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서술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복싱 연습용 기구 200 : 제 2 수직봉
100 : 제 1 수직봉 202 : 스프링 이탈 방지 부재
102 : 하부 지지 수단 210 : 제 2 쿠션부
104 : 매트 220 : 플렉셔블 스프링
110 : 체결 볼트 230 : 커버
112 : 체결 고리 300 : 제 3 수직봉
120 : 높낮이 조절 수단 310 : 제 1 쿠션부
122 : 높낮이 고정 볼트 400 : 탄력 축

Claims (9)

  1. 복싱 연습용 기구에 있어서,
    최하부에 배치되는 원형의 하부 지지 수단(102)의 중앙에 체결 볼트(110)와 긴밀하게 끼움 결합되고, 상기 체결 볼트(110) 나사산에 수직으로 볼트 체결되는 중공 파이프 형상의 제 1 수직봉(100);
    상기 제 1 수직봉(100)의 내경과 대응되고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턱의 위치까지 내삽되며, 복수 개로 형성된 타원형의 제 2 쿠션부(210) 중앙을 관통하여 끼움 결합되는 제 2 수직봉(200);
    상기 제 2 수직봉(200)의 내경과 대응되고 내주면에 형성된 걸림턱의 위치까지 내삽되며, 플렉셔블 스프링(220)이 구획된 수직봉을 긴밀하게 감싸면서 끼움 결합되면서 타원형의 제 1 쿠션부(310) 중앙을 관통하는 제 3 수직봉(300); 및
    상기 수직봉 내부 중앙을 관통하여 탄설되고, 상기 기구의 하부와 상부를 단단하게 지지하면서 일정한 탄성을 갖는 탄력 축(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수직봉의 체결되는 위치에는 높낮이 조절 수단(120)을 구비하여 상기 수직봉이 내삽되는 길이만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싱 연습용 기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 수단(120)은 측단에 배치된 높낮이 고정 볼트(122)를 조여서 상호 체결되는 수직봉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싱 연습용 기구.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셔블 스프링(220)은 제 3 수직봉(300)에 관통되어 결합된 제 1 쿠션부(310)를 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싱 연습용 기구.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셔블 스프링(220)은 내부에 절단되어 나누어진 제 2 수직봉(200)을 긴밀하게 끼움하여 상기 제 2 수직봉(200)의 수직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싱 연습용 기구.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쿠션부(310) 및 제 2 쿠션부(210)는 수직봉을 중심으로 상하 유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싱 연습용 기구.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 축(400)은 최하부와 최상부에 구비되는 체결 볼트(110)에 용접 결합된 체결 고리(112)와 체결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싱 연습용 기구.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싱 연습용 기구는 미끄러짐 또는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 지지 수단 하부(102)면에 고무 재질의 매트(104)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싱 연습용 기구.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쿠션부(310) 및 제 2 쿠션부(210)는 플라스틱과 고무의 혼합 연질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싱 연습용 기구.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쿠션부(310) 하부에 배치되는 높낮이 조절 수단(120) 상부면에서 플렉셔블 스프링(220)이 배치된 하부면까지 외주면을 감싸는 연질 고무 재질의 커버(2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싱 연습용 기구.





KR2020140007615U 2014-10-21 2014-10-21 복싱 연습용 기구 KR2016000138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615U KR20160001386U (ko) 2014-10-21 2014-10-21 복싱 연습용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615U KR20160001386U (ko) 2014-10-21 2014-10-21 복싱 연습용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386U true KR20160001386U (ko) 2016-04-29

Family

ID=55916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615U KR20160001386U (ko) 2014-10-21 2014-10-21 복싱 연습용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386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220B1 (ko) 2018-07-19 2019-11-07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에어 펀치 기반의 복싱 부스 장치
KR102067404B1 (ko) 2018-07-23 2020-01-17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복싱 동작 감지를 통한 복싱 음향 부스 장치
KR102200881B1 (ko) * 2020-04-22 2021-01-08 류도수 타격 운동기구가 구비된 트램펄린
KR102312268B1 (ko) * 2021-01-06 2021-10-13 김영일 복합 운동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220B1 (ko) 2018-07-19 2019-11-07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에어 펀치 기반의 복싱 부스 장치
KR102067404B1 (ko) 2018-07-23 2020-01-17 주식회사 삼육오엠씨네트웍스 복싱 동작 감지를 통한 복싱 음향 부스 장치
KR102200881B1 (ko) * 2020-04-22 2021-01-08 류도수 타격 운동기구가 구비된 트램펄린
KR102312268B1 (ko) * 2021-01-06 2021-10-13 김영일 복합 운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21145B1 (en) Exercise device
US9656115B2 (en) Exercise device including elastic closed loop resistance tension band
US8632440B2 (en) Proprioception training and exercise device
US10343004B2 (en) Trampoline support handle systems
KR20160001386U (ko) 복싱 연습용 기구
US7850575B1 (en) Trampoline surrounding net bracing structure
US20170014667A1 (en) Exercise Device
JP2017529934A (ja) レッグプレス
GB2489986A (en) Apparatus having a mannequin for being struck by a person training for fighting
TWM503920U (zh) 健身球椅
US20170182343A1 (en) Integrated step and jump exercise device
JP6754453B2 (ja) トランポリン懸架取付連結装置
JP2015517839A (ja) エクササイズ/トレーニングマシン関連出願に係るクロスレファレンス
US5033737A (en) Adjustable hurdle
CN207101813U (zh) 一种用于跆拳道练习的平衡训练装置
KR101314325B1 (ko) 발차기용 운동기구
JP2014124233A (ja) 水泳練習装置
US9227100B2 (en) Portable physical therapy exercise support stand
CN204380196U (zh) 硅胶仿人搏击训练器
KR101266149B1 (ko) 운동기구
KR101361733B1 (ko) 회전식 펀칭 운동기구
KR102455185B1 (ko) 근력강화 운동기구
WO2012123890A2 (en) Device with pedals for gym activities
KR101538235B1 (ko) 실외용 멀티 운동기구
KR102254981B1 (ko) 탄성밴드를 이용한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