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981B1 - 탄성밴드를 이용한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탄성밴드를 이용한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4981B1
KR102254981B1 KR1020190127401A KR20190127401A KR102254981B1 KR 102254981 B1 KR102254981 B1 KR 102254981B1 KR 1020190127401 A KR1020190127401 A KR 1020190127401A KR 20190127401 A KR20190127401 A KR 20190127401A KR 102254981 B1 KR102254981 B1 KR 102254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elastic band
band
exercise
elastic ba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7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4383A (ko
Inventor
강기동
Original Assignee
강기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기동 filed Critical 강기동
Priority to KR1020190127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4981B1/ko
Publication of KR20210044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4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42Anchored at one end only, the other end being manipulated by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63B21/0557Details of attachments, e.g. clips or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6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 A63B21/1609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for anchoring on a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02Space saving incorporated in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인은 물론이고 노약자나 환자들도 원하는 대상물에 쉽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 능력에 적합한 강도의 탄성밴드를 선택하여 이 탄성밴드를 당기거나 밀면서 다양한 동작으로 신체의 여러 부위를 운동할 수 있는 탄성밴드를 이용한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일측 또는 양측이 개구되고, 내부는 수용공간(15)이 형성된 관체 형상의 몸체(10)와, 상기 수용공간(15)에 서로 다른 신축력을 발휘하도록 형성된 복수개가 설치되어 그 각각의 일측 또는 양측 끝단부가 상기 몸체(10) 밖으로 노출되며 신축되도록 형성된 탄성밴드(20)와, 상기 몸체(10)의 외표면에 설치되어 설정된 대상물에 상기 몸체(1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결속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탄성밴드를 이용한 운동기구{BODY EXERCISE APPARATUS USING ELASTIC BAND}
본 발명은 일반인은 물론이고 노약자나 환자들도 원하는 대상물에 쉽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 능력에 적합한 강도의 탄성밴드를 선택하여 이 탄성밴드를 당기거나 밀면서 다양한 동작으로 신체의 여러 부위를 운동할 수 있는 탄성밴드를 이용한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기구는 신체 능력을 강화시켜 체력을 단련하고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신체를 단련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운동기구가 사용되고 있다.
운동기구의 종류는 크게 운동의 유형에 따라 싸이클이나 런닝머신을 이용해 심폐 지구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산소 운동과, 산소 공급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근육에 부하 또는 저항을 주어 근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산소 운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근력을 강화시키기 위한 대표적인 운동기구로는 바벨, 덤벨, 탄성밴드, 짐볼, 중량물에 와이어나 프레임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운동기구, 체중을 이용한 운동기구 등이 있다.
그러나 중량물을 이용한 대부분의 근력 운동기구는 설치면적을 많이 차지하고, 가격이 비싼 문제로 인해, 일반 가정에서는 부피가 작은 일부만을 구비하여 사용할 뿐이고, 다양한 운동기구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대부분 피트니스 센터를 이용할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탄성밴드나 짐볼은 무게가 가볍고 보관이 용이하여 일반 가정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짐볼의 경우는 부피가 커 휴대가 용이하지 못하기 때문에 여러 장소에서 사용하기는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탄성밴드를 이용해 다양한 신체 부위를 운동할 수 있으면서도, 운동 장소에 제약을 받지 않을 수 있는 운동기구의 개발이 계속되고 있다.
종래에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77894호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바의 양측단에 손잡이의 일측을 결합하고, 이 손잡이의 타측에는 탄성밴드를 결합하여, 바를 기준으로 손잡이의 각도를 변화시키며 여러 동작으로 신체 부위를 운동할 수 있는 다기능 운동기구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탄성밴드를 이용한 다기능 운동기구의 경우, 탄성밴드의 탄성력이 설치된 두께나 길이에 따라 이미 정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 맞게 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탄성밴드를 특정 대상물이나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사용해야 함에 따라, 신체의 여러 부위를 다양한 동작으로 운동하는데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77894호(2015.07.08.공개, 탄성밴드를 이용한 다기능 운동기구)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인들은 물론이고 노약자나 환자들도 간편하게 휴대하여 원하는 대상물에 쉽고 편리하게 설치 및 분리할 수 있고, 설치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켜 안전하게 운동을 실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 능력에 적합한 강도의 탄성밴드를 선택하여 그 선택된 탄성밴드를 다양한 동작으로 당기거나 밀면서 신체의 여러 부위를 운동할 수 있는 탄성밴드를 이용한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 또는 운반이 용이한 크기로 형성되고, 일측 또는 양측에는 개구부(11)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수용공간(15)이 마련된 관체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10)와, 상기 수용공간(15)에 서로 다른 신축력을 발휘하도록 형성된 복수개가 설치되어 그 각각의 일측 또는 양측 끝단부가 상기 몸체(10) 밖으로 노출되며 신축되도록 형성된 탄성밴드(20)와, 상기 몸체(10)의 외표면에 설치되어 설정된 대상물에 상기 몸체(1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결속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공간(15) 내에 복수개의 탄성밴드(20) 각각이 신축되는 영역을 구획하도록 설치되어, 어느 하나의 탄성밴드가 신축되는 동안 나머지 탄성밴드가 임의로 유동되거나 신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구획부재(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측은 복수개의 상기 탄성밴드(2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에 선택적으로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힘을 가해 상기 탄성밴드(20)를 신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밴드당김부재(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밴드를 이용한 운동기구는 일반인들은 물론이고 노약자나 환자들도 간편하게 휴대하여 원하는 대상물에 용이하게 설치 및 분리할 수 있음에 따라 운동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운동을 실시할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원하는 대상물에 설치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됨에 따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 능력에 적합한 강도의 탄성밴드를 선택하여 그 선택된 탄성밴드를 다양한 동작으로 당기거나 밀면서 신체의 여러 부위를 운동할 수 있어 운동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밴드를 이용한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밴드를 이용한 운동기구가 의자의 손잡이 부분에 결속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 내부에 구획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몸체 내부에 밴드지지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밴드에 밴드당김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밴드를 이용한 운동기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밴드를 이용한 전신 운동기구는 크게 몸체(10), 탄성밴드(20) 및 결속수단(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몸체(10)는 사용자가 휴대 또는 운반이 용이한 크기로 이루어져, 일측 또는 양측에 개구부(1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15)이 형성된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써, 외관은 각형 또는 원형이나 원통형 등 후술할 탄성밴드(20)가 수용공간(15)에 복수개 수용되어 신축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탄성밴드(20)는 신축성을 지닌 재질로 이루어져 수용공간(15)에 복수개가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복수개의 탄성밴드(20) 각각은 서로 다른 신축력을 발휘하도록 형성되며, 각각의 탄성밴드(20)는 일측 또는 양측 끝단부가 몸체(10)에 형성된 개구부(11)를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탄성밴드(20)는 원통형 또는 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탄성밴드(20)가 각기 다른 신축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직경 또는 두께를 서로 다르게 형성하거나, 탄성밴드(20)의 신축력을 육안으로 쉽게 구분하기 위해 색상을 서로 다르게 형성시켜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탄성밴드(20)는 몸체(10)의 외부로 늘어난 후 줄어드는 과정에서 탄성밴드(20)의 끝단부가 몸체(10)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탄성밴드(20) 각각의 끝단부를 고리 형태로 매듭짓거나 또는 개구부(11)의 너비보다 큰 크기의 연결고리(25)를 설치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의 결속수단(30)은 몸체(10)의 외표면에 설치되어 설정된 대상물에 몸체(1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첨부한 도면에는 결속수단(30)의 일 예로 벨크로 테입이 사용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볼트 및 너트, 나사못 등과 같은 체결부재가 사용되거나, 벨트 형태로 이루어져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트랩(Strap) 또는 스키어의 발을 스키에 부착된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한 바인딩(Binding)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결속수단(30)의 다른 예로는 몸체(10)에 설치되어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된 상태로 길이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 지지돌기와, 이 지지돌기가 끼워져 몸체(10)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지지홈이 구비되어 대상물에 설치되는 브라켓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밖에도 결속수단(30)은 대상물을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공지의 구성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탄성밴드를 이용한 운동기구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용공간(15)에 복수개의 탄성밴드(20)가 설치된 몸체(10)를 운동하고자 하는 장소로 가져가 의자, 책상, 침대, 창틀 등과 같은 다양한 대상물에 결속수단(30)을 이용해 몸체(10)를 고정시킨다.
결속수단(30)에 의해 몸체(10)를 견고하게 고정시킨 후에는, 서로 다른 신축력을 지는 복수개의 탄성밴드(20) 중에서 사용자의 신체 능력에 맞는 탄성밴드(20)를 선택하고, 선택한 탄성밴드(20)가 신축되도록 사용자의 신체에 가까워지게 당기거나 또는 사용자로부터 멀어지도록 밀면서 운동을 하면 된다.
이때 탄성밴드(20)를 이용해 운동할 때에는 사용자가 개구부(11) 밖으로 노출된 탄성밴드(20)의 끝단부를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신축시키거나, 혹은 팔이나 다리가 구속되도록 탄성밴드(20)를 묶어 둔 상태로 신축시킬 수 있다.
이처럼 몸체(10)를 용이하게 휴대 및 운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에서 다양한 운동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공간의 효율성과 사용상의 편의성을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고, 결속수단(30)을 이용해 원하는 대상물에 몸체(10)가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안전하게 운동을 실시할 수 있으며, 몸체(10)에 구비된 복수개의 탄성밴드(20)가 각기 다른 신축력을 발휘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능력에 적합한 강도로 운동을 실시할 수 있어 운동의 효율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밴드를 이용한 운동기구는, 도 3과 같이 상기의 수용공간(15) 내에 복수개의 탄성밴드(20) 각각이 신축되는 영역을 구획하도록 설치되어, 어느 하나의 탄성밴드가 신축되는 동안 나머지 탄성밴드가 임의로 유동되거나 신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구획부재(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획부재(40)는 수용공간(10)을 몸체(10)의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구획할 수 있는데, 이는 탄성밴드(20)의 형상과 설치 방향을 고려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구획부재(40)는 몸체(10)의 상하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복수개의 탄성밴드(20)가 원통형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구획부재(40)의 설치 방향에 전혀 제한을 둘 필요가 없지만, 복수개의 탄성밴드(20)가 각형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탄성밴드(20)의 너비가 긴 부분이 몸체(10)에 설치되는 방향을 고려하여 구획부재(4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탄성밴드(20)의 너비가 긴 부분을 몸체(10)의 좌우 방향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구획부재(40)가 몸체(10)의 상하 방향으로 수용공간(15)을 구획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는 달리 탄성밴드(20)의 너비가 긴 부분을 몸체(10)의 상하 방향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구획부재(40)가 몸체(10)의 좌우 방향으로 수용공간(15)을 구획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탄성밴드(20)의 형상 및 설치 방향에 따라 구획부재(40)의 설치방향을 달리하는 이유는, 복수개의 탄성밴드(20) 각각이 신축되는 영역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몸체(10)의 좌우 너비나 상하 높이가 과도하게 커지는 것을 방지하여 휴대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설정된 대상물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게다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의 내부에는 설정된 간격과 높이에서 복수개의 상기 탄성밴드(20) 각각이 지지된 상태에서 신축되도록 지지하는 밴드지지체(5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밴드지지체(50)는 몸체(10)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밴드지지축(51)과, 이 밴드지지축(51)에 중심부가 끼워져 외표면에 지지된 탄성밴드(20)가 신축되는 동안 그 신축되는 방향을 따라 회전하도록 형성된 밴드지지롤러(52)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밴드지지체(50)가 2개 이상 구비된 경우에는 각각의 탄성밴드(20)가 지그재그 형태로 지지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밴드지지체(50)의 설치 개수를 최소화하면서도 탄성밴드(20)의 길이를 길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복수개의 밴드지지체(50)를 지그재그 형태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탄성밴드(20)가 신축되는 과정에서 외표면이 서로 마찰되거나 간섭되지 않을 수 있도록 설치하여, 탄성밴드(20)의 신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처럼 몸체(10) 내부에 밴드지지체(50)를 설치하여 탄성밴드(20)의 길이를 길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탄성밴드(20)의 신축 동작이 더욱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신축되는 길이가 길어지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더욱 다양한 동작으로 원활하게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밴드를 이용한 운동기구는, 도 5와 같이 복수개의 탄성밴드(2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선택하여 일측을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그 선택된 탄성밴드(20)가 사용자의 힘에 의해 신축되도록 타측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게 형성된 밴드당김부재(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밴드당김부재(60)는 복수개의 탄성밴드(20) 각각의 끝단부에 분리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결속부(61)와, 이 결속부(61)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파지부(62)로 구성될 수 있으며, 몸체(10)와 같이 휴대 및 운반이 가능한 크기와 무게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결속부(61)를 탄성밴드(20)에 용이하게 연결 및 분리하기 위해서, 탄성밴드(20)의 끝단부가 원형의 고리 형태를 이루도록 매듭 짓거나, 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탄성밴드(20)의 끝단부에 연결고리(25)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밴드당김부재(6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된 연결부(63)를 더 구비하여 이 연결부(63)를 이용해 결속부(61)와 파지부(62) 사이가 연결되게 설치할 수 있는데, 이때의 연결부(63)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이나 운동 방법에 따라 밴드당김부재(60)의 길이를 알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이처럼 밴드당김부재(60)를 탄성밴드(20)에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사용자가 파지부(62)를 파지한 상태에서 탄성밴드(20)를 신축시키게 됨에 따라, 탄성밴드(20)의 끝단부를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신축시킬 때 보다 더욱 더 안정적이고 수월하게 탄성밴드(20)를 신축시키며 운동할 수 있고, 다양한 운동자세로 여러 신체 부위를 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밴드를 이용한 운동기구는 일반인들은 물론이고 노약자나 환자들도 간편하게 휴대하여 원하는 대상물에 용이하게 설치 및 분리할 수 있음에 따라 운동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운동을 실시할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원하는 대상물에 설치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됨에 따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 능력에 적합한 강도의 탄성밴드를 선택하여 그 선택된 탄성밴드를 다양한 동작으로 당기거나 밀면서 신체의 여러 부위를 운동할 수 있어 운동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 몸체 15 : 수용공간
20 : 탄성밴드
30 : 결속수단
40 : 구획부재
50 : 밴드지지체 51 : 밴드지지축
52 : 밴드지지롤러
60 : 밴드당김부재 61 : 결속부
62 : 파지부 63 : 연결부

Claims (3)

  1. 휴대 또는 운반이 용이한 크기로 형성되고, 일측 또는 양측에는 개구부(11)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수용공간(15)이 마련된 관체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10);
    상기 수용공간(15)에 서로 다른 신축력을 발휘하도록 형성된 복수개가 설치되어 그 각각의 일측 또는 양측 끝단부가 상기 몸체(10) 밖으로 노출되며 신축되도록 형성된 탄성밴드(20);
    상기 몸체(10)의 외표면에 설치되어 설정된 대상물에 상기 몸체(1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결속수단(30);
    상기 수용공간(15) 내에 복수개의 탄성밴드(20) 각각이 신축되는 영역을 구획하도록 설치되어, 어느 하나의 탄성밴드가 신축되는 동안 나머지 탄성밴드가 임의로 유동되거나 신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구획부재(40);
    상기 구획부재(40)에 의해 구획된 각각의 수용공간(15)에 둘 이상이 지그재그 형태로 고정되게 설치된 밴드지지축(51)과, 상기 밴드지지축(51)에 중심부가 끼워져 외표면에 접촉된 상기 탄성밴드(20)를 지지함과 동시에 탄성밴드(20)가 신축 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동을 안내하도록 설치된 밴드지지롤러(52)를 포함하는 밴드지지체(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밴드를 이용한 운동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은 복수개의 상기 탄성밴드(20)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에 선택적으로 연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타측은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힘을 가해 상기 탄성밴드(20)를 신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밴드당김부재(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밴드를 이용한 운동기구.
KR1020190127401A 2019-10-15 2019-10-15 탄성밴드를 이용한 운동기구 KR102254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401A KR102254981B1 (ko) 2019-10-15 2019-10-15 탄성밴드를 이용한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7401A KR102254981B1 (ko) 2019-10-15 2019-10-15 탄성밴드를 이용한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383A KR20210044383A (ko) 2021-04-23
KR102254981B1 true KR102254981B1 (ko) 2021-05-24

Family

ID=75738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7401A KR102254981B1 (ko) 2019-10-15 2019-10-15 탄성밴드를 이용한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4981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7466A (ko) * 2004-09-23 2005-12-14 김경 간이 헬스운동구
ES2632003T3 (es) * 2011-07-13 2017-09-07 Balanced Body Inc. Aparato de ejercicio reformador
KR20150077894A (ko) 2013-12-30 2015-07-08 유석종 탄성밴드를 이용한 다기능 운동기구
CN203763761U (zh) * 2014-04-10 2014-08-13 张仲甫 拉绳运动器结构
KR101619439B1 (ko) * 2014-09-12 2016-05-10 홍석표 근력강화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4383A (ko) 2021-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50800A1 (en) Translating carriage exercise machines and methods of use
US5468205A (en) Portable door mounted exercise apparatus
US5556369A (en) Exercise device
US9656115B2 (en) Exercise device including elastic closed loop resistance tension band
US6494817B2 (en) Portable exercising device
US5176602A (en) Exercise device
US6245001B1 (en) Multipurpose exercise apparatus
US5267930A (en) Exercise machine employing improved leg and foot exercising fixture
US9028381B2 (en) Door-mounted fitness device with removable pulley members
US8057370B2 (en) Resistance apparatus
US20050107226A1 (en) Encased resistance cable portable exercise apparatus
US5820532A (en) Portable arm and leg exerciser
US5342274A (en) Multi-purpose exercise device
US20070087920A1 (en) Portable exercise device
US7381168B2 (en) Exercise system using exercise resistance cables
CN1183054A (zh) 训练器材及其方法
US20130288861A1 (en) Door Mounted Exercise Assembly
US20140005015A1 (en) Portable gym using gravitational forces
US6689025B2 (en) Exercise device utilizing rubber tubing
US9370682B2 (en) Exercise equipment assembly for overhead resistance
US20140194261A1 (en) Full body exercise machine
US7192390B2 (en) Expander type exercise device
CN109289154A (zh) 一种转盘式拉力健身器
US20080058165A1 (en) Portable abdominal and aerobic exercise mat
KR102254981B1 (ko) 탄성밴드를 이용한 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