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2268B1 - 복합 운동기 - Google Patents

복합 운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2268B1
KR102312268B1 KR1020210001239A KR20210001239A KR102312268B1 KR 102312268 B1 KR102312268 B1 KR 102312268B1 KR 1020210001239 A KR1020210001239 A KR 1020210001239A KR 20210001239 A KR20210001239 A KR 20210001239A KR 102312268 B1 KR102312268 B1 KR 102312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rampoline
base frame
puncher
spr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1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일
Original Assignee
김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일 filed Critical 김영일
Priority to KR1020210001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2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3B69/203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11Trampoli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63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복합 운동 기구가 개시된다. 복합 운동 기구는, 개구부가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과 개구부에 스프링부재에 의해 설치되는 천부재를 포함하는 트렘플린과, 베이스 프레임의 측면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펀치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펀치기는, 베이스 프레임의 측면에 일단이 설치되며 설치된 길이 가변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과, 지지 프레임의 타단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탄성 펀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 운동기{CONPLEX EXERCISE APPARTUS}
본 발명은 트렘플린 운동과 타격 운동이 동시에 가능한 복합 운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렘플린은, 수직으로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는 운동기구로서, 이용자는 온몸을 사용하여 상하 운동이 가능하다.
트렘플린은, 하부에 복수개의 레그부가 설치되며 내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이용자를 상하 운동이 가능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트렘플린은, 이용자의 운동 강도를 높이면서, 전신의 스트레칭과 비틀림과 균형감을 증가시킬 수 있는 관계로 대중적인 인기가 있다.
그러나 트렘플린은 상하 운동만이 가능하여, 이용자가 실시하는 운동의 적용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실용공보 20-2015-0003624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트렘플린을 이용한 운동 과정에서 타격 운동이 함께 가능한 복합 운동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개구부가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개구부에 스프링부재에 의해 설치되는 천부재를 포함하는 트렘플린;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측면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펀치기;를 포함하되, 상기 펀치기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측면에 일단이 설치되며, 가운데가 절곡되어 상기 트렘플린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분리 및 길이 가변이 가능한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타단의 내부로 일단이 삽입 설치되어 분리 및 길이 가변이 가능한 연결 프레임; 상기 연결 프레임의 타단에 고정 설치되는 탄성 펀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펀치부는, 상기 연결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며 가장자리의 일부분이 상측으로 굴곡되는 금속 재질의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상측에 돌출된 상태로 복수 개 설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외부에 설치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복합 운동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받침부에 설치되는 스프링부재이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스프링부재의 외표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쿠션재와, 상기 쿠션재를 덮는 천재질의 쿠션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펀치기는 설치된 크기와 스프링부재의 탄성력을 달리한 상태로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트렘플린을 이용한 텀블링 등의 전신 운동과 펀치기를 이용한 타격 운동의 동시 운동이 가능하여, 운동 효과의 극대화가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복합 운동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복합 운동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기(300)는, 개구부가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20)과 개구부에 스프링부재에 의해 설치되는 천부재(30)를 포함하는 트렘플린(100)과, 베이스 프레임(20)의 측면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펀치기(20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복합 운동기(300)는 트렘플린(100)을 이용한 상하 운동과 펀치기(200)를 이용한 펀칭 운동의 복합 운동이 가능한 복합 운동기(300)에 관한 것이다.
트렘플린(100)은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금속 재질을 포함하는 것으로 바닥면에 지지되는 복수개의 레그부(10)가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트렘플린(100)은 하부에 복수개의 레그부(10)가 설치되며 내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20)과, 베이스 프레임(20)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천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20)은 다각형의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다각형의 프레임 형상에 대응하는 다각형의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20)은 본 실시예에서 다각형의 프레임 형상과 다각형의 개구부 형상으로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라운드 형상의 프레임과 라운드 형상의 개구부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베이스 프레임(20)은 다각형 또는 라운드 형상의 프레임과 다각형 또는 라우드 형상의 개구부의 적절한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프레임(20)의 개구부에는 천부재(30)가 설치될 수 있다.
천부재(30)는 개구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하중을 탄성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천부재(30)는 개구부의 내부에서 스프링부재(40)에 의해 탄성 지지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즉, 스프링부재(40)는 천부재(30)의 가장자리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안딘은 천부재(30)의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타단은 개구부의 내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천부재(30)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트렘플린을 이용한 적절한 운동이 가능하다.
한편 트렘플린(100)의 측면에는 펀치기(200)가 설치될 수 있다.
펀치기(200)는 트렘플린(100)을 구성하는 베이스 프레임(20)의 측면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트렘플린을 이용한 운동 과정에서 펀치기(200)를 이용한 펀칭 운동도 함께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펀치기(200)는 트렘플린(100)의 일측에 단일개로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트렘플린(100)의 측면에 서로간에 이격된 위치에 복수개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펀치기(200)가 복수개로 설치되는 경우 규격 사양을 달리하여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펀치기(200)는, 베이스 프레임(20)의 측면에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110)과, 지지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탄성 펀치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10)은 일단은 베이스 프레임(20)의 측면에 설치되고 타단은 베이스 프레임(20)의 상측으로 긴 길이로 연장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10)은 베이스 프레임(20)의 측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탄성 펀치부(120)를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설치된 길이의 가변이 가능하다.
즉, 지지 프레임(110)은 탄성 펀치부(120)에 설치되는 연결 프레임(111)을 더욱 포함하는 것으로, 연결 프레임(111)이 지지 프레임(110)의 내부에 길이 가변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프레임(111)은 지지 프레임(1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 나사(113)에 의해 설치된 상태의 고정이 가능하다.
고정 나사(113)는 연결 프레임(111)을 지지 프레임(110)에 나사 결합으로 고정하는 것으로 하나로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개로 설치되어 연결 프레임(111)을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탄성 펀치부(120)는 연결 프레임(111)에 설치되어 지지 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트렘플린을 이용한 운동 과정에서 펀칭 운동을 병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탄성 펀치부(120)는, 지지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받침부(121)와, 받침부(121)의 상측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탄성부재(123)와, 탄성부재(123)의 외부에 부착되는 커버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121)는 지지 프레임(110)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연결 프레임(111)에 설치된 상태로 지지 프레임(110)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받침부(121)는 후술하는 탄성부재(123)를 안정적으로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 프레임(110)의 상측에 설치되어 탄성부재(123)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받침부(121)는 탄성부재(123)를 안정적으로 설치하도록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받침부(12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장자리의 일부분이 상측으로 굴곡되어 탄성부재(123)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형상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탄성부재(123)는 일측은 받침부(121)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23)는 사용자가 손으로 펀칭을 하는 경우 타격력이 전달되는 부분으로 안정적인 타격력의 전달을 위해 스프링부재로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탄성부재와 스프링부재는 동일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스프링부재(40)는 받침부(121)의 상측에 단일개로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타격감이 전달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물론 스프링부재(40)는 받침부(121)의 상측에 단일개로 설치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받침부(121)의 상측에 복수개로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스프링부재(40)는 받침부(121)의 상측에 복수개로 설치되는 경우 사용자의 타격력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커버부(125)는 스프링부재(40)의 외표면의 전체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타격하는 과정에서 충격력을 감소시켜 손의 피부 손상 또는 골절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커버부(125)는, 스프링부재(40)의 외표면을 감싸는 쿠션재(125a)와, 쿠션재(125a)를 덮는 쿠션 커버(125b)를 포함할 수 있다.
쿠션 커버(125b)는 스프링부재(40)의 외표면 전체를 덮는 것으로,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시 피부 손상이 발생되지 않는 천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쿠션 커버(125b)의 내부에는 쿠션재(125a)가 충진될 수 있다.
쿠션재(125a)는 쿠션 커버(125b)의 내부에 충진되는 것으로, 스프링부재(40)의 외표면 전체를 감싸면서 쿠션 커버(125b)의 내부에 충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의 타격력이 가해지는 경우 타격력의 충격을 일정 부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여, 타격 운동 효과를 증대하면서 타격 과정에서 상해가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복합 운동기(300)는, 트렘플린(100)을 이용한 텀블링 등의 전신 운동과 펀치기(200)를 이용한 타격 운동의 동시 운동이 가능하여, 운동 효과의 극대화가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합 운동기(300)의 펀치기(400)는 트렘플린(100)에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펀치기(200)는 트렘플린(100)의 측면에 설치된 크기와 스프링부재(40)의 탄성력을 달리한 상태로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복수개의 펀치기(200)를 선택적으로 타격하는 것이 가능하여 운동 능력에 따라 적절한 운동이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레그부 20...베이스 프레임
30...천부재 40...스프링부재
100..트렘플린 110..지지 프레임
111..연결 프레임 113..고정 나사
120..탄성 펀치부 121..받침부
123..탄성부재 125..커버부
125a..쿠션재 125b..쿠션 커버

Claims (4)

  1. 개구부가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20)과 상기 개구부에 스프링부재(40)에 의해 설치되는 천부재(30)를 포함하는 트렘플린(100);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의 측면에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펀치기(200);를 포함하되,
    상기 펀치기(20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0)의 측면에 일단이 설치되며, 가운데가 절곡되어 상기 트렘플린(100)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분리 및 길이 가변이 가능한 지지 프레임(110);
    상기 지지 프레임(110)의 타단의 내부로 일단이 삽입 설치되어 분리 및 길이 가변이 가능한 연결 프레임(111);
    상기 연결 프레임(111)의 타단에 고정 설치되는 탄성 펀치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펀치부(120)는,
    상기 연결 프레임(111)의 상측에 설치되며 가장자리의 일부분이 상측으로 굴곡되는 금속 재질의 받침부(121);
    상기 받침부(121)의 상측에 돌출된 상태로 복수 개 설치되는 탄성부재(123); 및
    상기 탄성부재(123)의 외부에 설치되는 커버부(125);를 포함하는 복합 운동 기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23)는 상기 받침부(121)에 설치되는 스프링부재이고,
    상기 커버부(125)는 상기 스프링부재의 외표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쿠션재(125a)와, 상기 쿠션재(125a)를 덮는 천재질의 쿠션 커버(125b)를 포함하며,
    상기 펀치기(200)는 설치된 크기와 스프링부재의 탄성력을 달리한 상태로 복수 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운동 기구.
KR1020210001239A 2021-01-06 2021-01-06 복합 운동기 KR102312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239A KR102312268B1 (ko) 2021-01-06 2021-01-06 복합 운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1239A KR102312268B1 (ko) 2021-01-06 2021-01-06 복합 운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2268B1 true KR102312268B1 (ko) 2021-10-13

Family

ID=78150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1239A KR102312268B1 (ko) 2021-01-06 2021-01-06 복합 운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226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4157A (en) * 1994-05-09 1997-10-07 Wilkinson; William T. Rebounder and punching bag-boxing fitness device
KR20150003624U (ko) 2014-03-26 2015-10-06 김광일 충격저감부가 구비된 트램플린
KR20160001386U (ko) * 2014-10-21 2016-04-29 신명철 복싱 연습용 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4157A (en) * 1994-05-09 1997-10-07 Wilkinson; William T. Rebounder and punching bag-boxing fitness device
KR20150003624U (ko) 2014-03-26 2015-10-06 김광일 충격저감부가 구비된 트램플린
KR20160001386U (ko) * 2014-10-21 2016-04-29 신명철 복싱 연습용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4050B2 (en) Self-leveling foot for an appliance
US20100248923A1 (en) Twisting and leaping exercise apparatus
KR20100020835A (ko) 세탁기
JP2018513740A (ja) ストレッチ機能を有する脚部マッサージ器
KR102312268B1 (ko) 복합 운동기
US20190192902A1 (en) Apparatus for squat exercise
US20080275373A1 (en) Fitness Machine Having a Vibration Absorbing Support
KR101177798B1 (ko) 운동기구
KR200485627Y1 (ko) 내전근 및 괄약근 강화 운동기구
KR101592490B1 (ko) 데드리프트용 피트니스 구조물
KR101668433B1 (ko) 악력기
JP3169025U (ja) 面状に叩くことが可能なマッサージベルト
KR101019153B1 (ko) 충격 완화용 신발
KR102044635B1 (ko) 운동기구
CN210510130U (zh) 一种机电设备减震装置
KR20150038867A (ko) 전자동 세탁기용 진동흡수댐퍼
JP3215357U (ja) マッサージ装置の機械芯の押圧スイッチ緩衝構造
KR101156909B1 (ko) 지압장치가 마련된 다리거치대
KR20030008519A (ko) 진동 안마장치
KR200350516Y1 (ko) 진동안마기
KR200426508Y1 (ko) 허리 및 궁뎅이 운동용 고정식 훌라후프
CN2924165Y (zh) 健身器材之减震器
CN210472921U (zh) 一种跑步机用驱动辊减震组件、跑步机用电机减震组件和跑步机减震组件
CN215686756U (zh) 烹饪器具
KR101346250B1 (ko) 진동 안마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10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10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110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