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8433B1 - 악력기 - Google Patents

악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8433B1
KR101668433B1 KR1020150038108A KR20150038108A KR101668433B1 KR 101668433 B1 KR101668433 B1 KR 101668433B1 KR 1020150038108 A KR1020150038108 A KR 1020150038108A KR 20150038108 A KR20150038108 A KR 20150038108A KR 101668433 B1 KR101668433 B1 KR 101668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ing
housing
main body
han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2410A (ko
Inventor
민경구
Original Assignee
우성엔프라 주식회사
민경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성엔프라 주식회사, 민경구 filed Critical 우성엔프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8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8433B1/ko
Publication of KR20160112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Linearly-compress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for hands or fi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력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에 탄성 지지되는 한 쌍의 승강부재가 설치되어 손의 부분별 악력 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승강부재에 회전부재가 구비되어 손에 자극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손의 유연성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 악력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탄성 지지되는 한 쌍의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악력기 { A handgrip }
본 발명은 악력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에 탄성 지지되는 한 쌍의 승강부가 설치되어 손의 부분별 악력 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승강부에 회전부가 구비되어 손에 자극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손의 유연성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 악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의 그립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손 운동의 목적으로 소위 악력기가 사용되고 있다.
손의 힘을 기르기 위한 악력기는 종래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한 A자형 프레임구조물이 사용되어 왔는데, A자형 프레임은 꼭지점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간격이 벌어지는 구조이어서 손으로 감싸 쥐었을 때, 손바닥과 손가락 전체에 걸쳐 힘이 고르게 분배되는 구조가 아니어서 손 운동에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37217호에서 손의 전체에 걸쳐 힘이 분산되고 손가락 하나하나의 개별적 운동을 허용하는 손가락 악력기가 제안된바 있다.
상기한 선등록 고안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것처럼 압지스프링(8)과 탄압스프링(9)이 개재되어 설치되는 각형누름지지봉(7)(7a)의 머리부(6)가 각 손가락누름구(1)의 내부와 손바닥동체(5)의 내부에 각각 하향 및 상향으로 걸림되어 상부동체(10)와 하부동체(11)를 결합함에 따라서 상,하부동체(10)(11)의 상,하부로 각 손가락누름구(1)와 손바닥동체(5)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손바닥동체(5) 측벽의 전,후방으로 끼워물림구멍(4)을 뚫어 형성하고, 캡형고무받침커버(17)의 내주벽 상단부의 전, 후방으로는 내향끼움돌기(17a)를 돌설하여, 캡형고무받침커버(17)를 상기 손바닥동체(5)의 저부로부터 포삽하여 끼움으로써, 캡형고무받침커버(17)의 내향끼움돌기(17a)가 손바닥동체(5)의 끼움물림구멍(4)으로 끼워 물림되면서 캡형고무받침커버(17)가 손바닥동체(5)로 포삽하여 일체로 착설 결합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같은 상기한 선등록 고안에 의하면, 검지 손가락부터 새끼 손가락까지의 4개의 손가락에 각기 대응하는 4개의 손가락누름부(1)를 구비하고 있고, 각각의 손가락의 힘을 받는 각각의 손가락누름부(1)가 스프링(8)에 의해 탄발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각 손가락으로부터 받게 되는 누름 압력에 대응하여 손가락누름부(1)의 누름 정도(압축 이동 정도)가 달라지게 되어 각 손가락 별로 구별되게 운동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등록 고안은 그의 단면도 구성인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손가락누름부(1)와 캡형고무받침커버(17)가 서로 분리된 채 스프링(8,9)에 의해 각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발력을 받고 있어, 이들 부재들을 구속하기 위한 수단으로 각종 부품들이 사용되고 조립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제작 원가가 증가하며, 또 손가락이 개별적으로 눌려지게 되어 있어, 인접하는 손가락누름부(1)들 사이의 상대적 이동이 일어나 슬라이드될 때, 손가락의 피부가 인접하는 손가락누름부(1)들 사이의 틈새에 끼이는 현상이 발생하여 불편할 뿐 아니라, 실제로 운동 시에 4개의 손가락이 함께 움직이게 되어 개별적 손가락의 운동 효과는 거의 없는 대신 복잡한 구조에 따른 가격 상승 및 손가락 피부의 틈새 끼임 현상으로 큰 실효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3721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에 탄성 지지되는 한 쌍의 승강부가 설치되어 손의 부분별 악력 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승강부에 회전부가 구비되어 손에 자극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손의 유연성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 악력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부재의 외주면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지압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악력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의 내측에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탄성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손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악력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탄성 지지되는 한 쌍의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승강부는 하부에 설치구가 형성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의 설치구와 본체의 내측에 형성된 지지홈에 양 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는 상,하부가 관통형성되어 상기 회전부가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부에 설치구가 형성되는 하우징커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커버의 전,후단에는 상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되도록 하여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 양측에는 상기 회전부의 힌지핀이 지지되는 힌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홈의 하부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커버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되도록 하여 지지부재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커버는 본체에 형성된 걸림부에 단턱부가 걸림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승강부재에 형성된 수용부에 수용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의 힌지홈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회전부재를 지지하는 힌지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외주면에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본체는 내측 중앙부의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에 탄성 지지되는 한 쌍의 승강부가 설치되어 손의 부분별 악력 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승강부에 회전부가 구비되어 손에 자극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손의 유연성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부재의 외주면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지압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내측에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탄성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손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손가락 악력단련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손가락 악력단련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악력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악력기의 A-A'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악력기의 B-B'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악력기의 분리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악력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악력기의 A-A'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악력기의 B-B'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악력기의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본체에 탄성 지지되는 한 쌍의 승강부가 설치되어 손의 부분별 악력 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승강부에 회전부가 구비되어 손에 자극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손의 유연성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 악력기(5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내측에 공간부(102)가 형성된 본체(100)와, 본체(100)의 내측에 일부가 돌출되게 설치되는 승강부(200)와, 상기 승강부(200)의 내측에 일부가 돌출되게 설치되는 회전부(300)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본체(100)는 제1본체(100a)과 제2본체(100b)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홈(101a)와 걸림돌기(101b)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내측에 공간부(102)가 형성되어 상기 공간부(102)에 탄성부재(250)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승강부(200)가 설치되어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승강부(200)를 승,하강시키며 악력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승강부(200)는 본체(00)의 내측에 일부가 돌출되게 설치되되, 하부에 설치구(232)가 형성되는 승강부재(210)와, 상기 승강부재(210)의 설치구(232) 및 상기 본체(100)의 내측 하부에 오목한 홈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홈(104)에 양 단이 지지되는 탄성부재(250)로 이루어져 승강부재(210)가 탄성부재(250)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본체(100)의 내측에서 상,하로 이동하며 악력 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승강부재(210)는 상,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회전부(300)를 커버하는 하우징(220)과 하우징(220)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우징커버(230)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커버(230)의 전,후부에 형성된 결합돌기(234)가 하우징(220)의 결합홈(222)에 결합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커버(230)의 하부에 상기 설치구(232)가 형성되어 탄성부재(250)의 일단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20)의 내부 양측에는 후술할 회전부(300)의 힌지핀(320)이 지지되는 힌지홈(224)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홈(224)의 하부에는 가이드홈(226)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커버(230)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홈(226)에 대응되도록 하여 지지부재(236)가 돌출 형성되어 힌지핀(320)이 고정되도록 한다.
즉, 승강부재(210)의 하우징(220)에 가이드홈(226)을 통하여 후술할 회전부재(310)가 결합된 힌지핀(320)이 결합되어 힌지홈(224)에 위치되고, 하우징(220)의 하부에 하우징커버(230)가 결합될 때, 하우징커버(230)의 지지부재(236)가 가이드홈(226)에 결합되어 힌지핀(320)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커버(230)의 양측면에는 하우징(22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단턱부(238)가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의 공간부(102) 상단에 형성된 걸림부(106)에 걸림 고정되게 되어 승강부재(210)가 본체(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체(100)의 내측에 탄성부재(250)가 설치되게 되어 탄성부재(25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됨으로써 탄성부재(250)에 손이 끼이는 등의 손 부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부재(210)는 한 쌍이 구비되어 손의 부분별 악력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다양한 자극을 줄 수 있어 악력운동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내측 중앙부의 양측에는 상, 하 방향으로 가이드부(108)가 돌출 형성되어 한 쌍의 승강부재(210)의 일측을 가이드함으로써 승강부재(210)가 서로 뒤틀리거나 궤도를 벗어나는 일 없이 상, 하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승,하강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하부면 및 측면의 하측에는 다수개의 지압돌기(110)가 형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악력기(50)를 손에 파지한 경우 손바닥 또는 손가락에 자극을 주어 지압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승강부(200)에는 승강부(200)의 상부로 일부가 돌출되게 회전부(300)가 설치되는데, 상기 회전부(300)는 상기 승강부재(210)에 형성되는 수용부(212)에 수용되는 회전부재(310)와, 상기 회전부재(3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핀(320)으로 이루어져 회전부재(310)가 승강부재(210)의 내측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재(210)의 하우징(220) 및 하우징커버(230)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부(212)에 위치되도록 하여 하우징(220) 양측에 형성된 힌지홈(224)에 힌지핀(320)이 지지되어 회전부재(31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악력기(50)에 따르면 상기 승강부(200)를 승,하강시키며 악력 운동을 수행함과 동시에 회전부(300)를 회전시키게 됨으로써 손에 보다 다양한 자극을 가하게 되어 손의 유연성을 키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악력 운동을 하지 않을 때에도 상기 회전부재(310)를 손바닥과 손등을 누르면서 회전시키는 등 지압수단으로써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310)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돌기부(312)가 형성되어 지압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악력기(50)에 의하면, 본체(100)에 탄성 지지되는 한 쌍의 승강부(200)가 설치되어 손의 부분별 악력 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승강부(200)에 회전부(300)가 구비되어 손에 더 자극을 높일 수 있으며, 손의 유연성을 키울 수 있도록 하고, 회전부재(310)의 외주면에 돌기부(312)를 형성하여 지압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며, 본체(100)의 내측에 탄성부재(250)가 구비되어 탄성부재(25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손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악력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에 탄성 지지되는 한 쌍의 승강부가 설치되어 손의 부분별 악력 운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승강부에 회전부가 구비되어 손에 자극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손의 유연성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 악력기에 관한 것이다.
50: 악력기 102: 공간부
104: 지지홈 106: 걸림부
108: 가이드부 110: 지압돌기
200: 승강부 210: 승강부재
212: 수용부 220: 하우징
222: 결합홈 224: 힌지홈
226: 가이드홈 230: 하우징커버
232: 설치구 234: 결합돌기
236: 지지부재 238: 단턱부
300: 회전부 310: 회전부재
312: 돌기부 320: 힌지핀

Claims (8)

  1.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탄성 지지되는 한 쌍의 승강부와,
    상기 승강부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악력기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하부에 설치구가 형성되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의 설치구와 본체의 내측에 형성된 지지홈에 양 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부재는 상,하부가 관통형성되어 상기 회전부가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결합되고 하부에 설치구가 형성되는 하우징커버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커버의 전,후단에는 상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되도록 하여 결합홈이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의 내부 양측에는 상기 회전부의 힌지핀이 지지되는 힌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홈의 하부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커버의 양측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되도록 하여 지지부재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력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커버는 본체에 형성된 걸림부에 단턱부가 걸림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력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승강부재에 형성된 수용부에 수용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승강부재의 힌지홈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회전부재를 지지하는 힌지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력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외주면에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력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내측 중앙부의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력기.
KR1020150038108A 2015-03-19 2015-03-19 악력기 KR101668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108A KR101668433B1 (ko) 2015-03-19 2015-03-19 악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108A KR101668433B1 (ko) 2015-03-19 2015-03-19 악력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410A KR20160112410A (ko) 2016-09-28
KR101668433B1 true KR101668433B1 (ko) 2016-10-21

Family

ID=57101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108A KR101668433B1 (ko) 2015-03-19 2015-03-19 악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84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37270A (zh) * 2017-01-04 2019-10-15 活力主体有限公司 力测量设备
IT202100013439A1 (it) 2021-05-24 2021-08-24 Univ Degli Studi Di Trento Dispositivo di allenamento per pianisti e sistema di allenamento comprendente almeno un tale dispositiv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28463A (ja) * 2010-06-18 2013-07-11 クァン ジン ボール指圧器
US20130196825A1 (en) * 2012-01-26 2013-08-01 Robert Silagy Apparatus and systems for finger exercis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0286Y1 (ko) * 1983-07-30 1985-02-26 이성종 악력기
KR200437217Y1 (ko) 2007-01-10 2007-11-13 천재권 손가락 악력단련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28463A (ja) * 2010-06-18 2013-07-11 クァン ジン ボール指圧器
US20130196825A1 (en) * 2012-01-26 2013-08-01 Robert Silagy Apparatus and systems for finger exerci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410A (ko) 201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4815B1 (ko) 미용기
EP2478884A1 (en) Massage brush and handle for massage brush
KR101325474B1 (ko) 마사지 기능이 구비된 화장품용기
US20130131562A1 (en) Massage device
KR101160349B1 (ko) 지압효율이 향상된 베개
KR101668433B1 (ko) 악력기
JP6640873B2 (ja) コンピュータ用マウス
KR200471361Y1 (ko)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KR200472287Y1 (ko) 화장용 퍼프
EP2443958A1 (en) Electrically driven brush device
US8622941B2 (en) Hand-held massage device
JP5701646B2 (ja) マッサージ装置
KR101842886B1 (ko) 립스틱 용기
KR101411971B1 (ko) 안면 마사지장치
KR20110027255A (ko) 립스틱 케이스
CN215079586U (zh) 一种脱毛仪探头旋转结构及脱毛仪
CN205268526U (zh) 一种舒适型按摩头及按摩器
KR200461481Y1 (ko) 마스카라 도포기
KR101768442B1 (ko) 마사지 용구
CN209437656U (zh) 穴位按摩装置
CN208658677U (zh) 外壳及烹饪器具
CN207969821U (zh) 一种便携式梳子
KR100693015B1 (ko) 젓가락
CN104315792B (zh) 冰箱饮水机
KR20130117364A (ko) 마사지용 롤러가 구비된 아이크림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