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287Y1 - 화장용 퍼프 - Google Patents

화장용 퍼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287Y1
KR200472287Y1 KR2020130002468U KR20130002468U KR200472287Y1 KR 200472287 Y1 KR200472287 Y1 KR 200472287Y1 KR 2020130002468 U KR2020130002468 U KR 2020130002468U KR 20130002468 U KR20130002468 U KR 20130002468U KR 200472287 Y1 KR200472287 Y1 KR 2004722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ff
holder
present
hand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4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인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1300024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2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2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2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45D33/36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with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4Containers with two lids on one side; Containers with several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45D40/221Features of the hin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 A45D40/222Means for closing the li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3Cosmetic, toilet, powder puff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용 퍼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홀더를 회전시켜 퍼프지지판으로부터 퍼프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퍼프의 깨끗한 사용이 가능한 화장용 퍼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판상의 손잡이(10); 상기 손잡이(10)와 결합되는 홀더(20); 상기 홀더(20)에 나사 결합되는 퍼프결합판(30); 상기 홀더(20)에 결합되며, 퍼프결합판(30) 하부에 위치하는 퍼프지지판(40); 상기 퍼프지지판(40)을 감싸며 형성되는 퍼프(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손잡이(10)는 편리한 보관을 위해서 결합홈(1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손잡이(10)는 사용시 세워질 수 있도록 하단에 탄성부재(16)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홀더(20)는 손잡이(10)와 탄성부재(16)를 결합하기 위해서 고정홀(2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퍼프결합판(30)은 손잡이(10)의 결합홈(12)과 결합하는 결합돌기(3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퍼프지지판(40)은 퍼프(50)가 씌워질 수 있도록 원판형으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퍼프(50)는 용이한 교체를 위해 상부에 개방부(5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화장용 퍼프{Puff for make-up}
본 고안은 화장용 퍼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홀더를 회전시켜 퍼프지지판으로부터 퍼프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퍼프의 깨끗한 사용이 가능한 화장용 퍼프에 관한 것이다.
화장용 퍼프는 분상 화장품을 이용하여 화장을 하고자 하는 부위에 뭉침 없이 골고루 펴서 밀착감 있게 바르며, 감성적 사용감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터치하여 화장을 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종래의 화장용 퍼프는 일측면에 형성된 손가락 삽입밴드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화장품을 취한 후 화장부위에 대고 두드리면서 분상 화장품을 펴 바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화장용 퍼프는 면, 스폰지, 발포NBR, 루비셀, 폴리에스테르, 나이론 등으로 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화장품 용기와 함께 수납 보관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화장용 퍼프는 퍼프(400)와 화장용 퍼프 일측면에 형성된 손가락 삽입밴드(41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의 화장용 퍼프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장품 용기의 용기본체(100) 내부에 형성된 퍼프 수용부(300)에 보관한다. 상기 종래의 화장용 퍼프를 이용하여 화장을 할 때에는 손가락 삽입밴드(410)에 손가락을 끼워 화장용 퍼프를 파지한 상태에서 피부에 두드리면서 화장을 하게 된다.
종래 화장용 퍼프는 손가락 삽입밴드(410)에 손가락을 끼워 화장용 퍼프를 파지한 상태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손에 화장품이 뭍을 수가 있고, 화장용 퍼프의 형상이 변하여 사용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화장용 퍼프는 화장품의 용기에 내장되어 함께 제공된다. 대부분의 사용자는 화장용 퍼프의 교체가 필요할 때에는 화장용 퍼프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과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손상되거나 훼손되기 전까지는 오염의 정도에 관계없이 이를 그대로 사용한다. 그러므로 화장용 퍼프에 잔류하는 화장품은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퍼프지지판에 퍼프를 씌워서 사용케 함으로써 화장용 퍼프의 형상이 변하지 않아 사용이 편리하고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화장용 퍼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퍼프지지판에서 퍼프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어서 항상 청결한 상태로 퍼프를 사용할 수 있는 화장용 퍼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판상의 손잡이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어 두었다가 퍼프를 사용시에만 세워서 사용함으로써 손에 화장품이 묻지않아 청결한 화장을 할 수 있는 화장용 퍼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판상의 손잡이(10); 상기 손잡이(10)와 결합되는 홀더(20); 상기 홀더(20)에 나사 결합되는 퍼프결합판(30); 상기 홀더(20)에 결합되며, 퍼프결합판(30) 하부에 위치하는 퍼프지지판(40); 상기 퍼프지지판(40)을 감싸며 형성되는 퍼프(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손잡이(10)는 편리한 보관을 위해서 결합홈(1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손잡이(10)는 사용시 세워질 수 있도록 하단에 탄성부재(16)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홀더(20)는 손잡이(10)와 탄성부재(16)를 결합하기 위해서 고정홀(2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퍼프결합판(30)은 손잡이(10)의 결합홈(12)과 결합하는 결합돌기(3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퍼프지지판(40)은 퍼프(50)가 씌워질 수 있도록 원판형으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퍼프(50)는 용이한 교체를 위해 상부에 개방부(5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퍼프지지판에 퍼프를 씌워서 사용케 함으로써 화장용 퍼프의 형상이 변하지 않아 사용이 편리하고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퍼프지지판에서 퍼프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어서 항상 청결한 상태로 퍼프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판상의 손잡이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접어 두었다가 퍼프를 사용시에만 세워서 사용함으로써 손에 화장품이 묻지않아 청결한 화장을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화장용 퍼프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화장용 퍼프가 화장품 용기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가 화장품 용기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의 손잡이가 세워진 상태에서 화장품 용기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도 5의 단면도.
도 8은 도 6의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가 화장품 용기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의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의 손잡이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의 평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의 손잡이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퍼프를 교체하기 위해 퍼프결합판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의 단면도.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 퍼프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가 화장품 용기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의 손잡이가 세워진 상태에서 화장품 용기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가 화장품 용기에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의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의 손잡이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의 손잡이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퍼프를 교체하기 위해 퍼프결합판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는 도 3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판상의 손잡이(10); 상기 손잡이(10)와 결합되는 홀더(20); 상기 홀더(20)에 나사 결합되는 퍼프결합판(30); 상기 홀더(20)에 결합되며, 퍼프결합판(30) 하부에 위치하는 퍼프지지판(40); 상기 퍼프지지판(40)을 감싸며 형성되는 퍼프(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손잡이(10)는 편리한 보관을 위해서 결합홈(1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손잡이(10)는 사용시 세워질 수 있도록 하단에 탄성부재(16)가 추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홀더(20)는 손잡이(10)와 탄성부재(16)를 결합하기 위해서 고정홀(2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퍼프결합판(30)은 손잡이(10)의 결합홈(12)과 결합하는 결합돌기(3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퍼프지지판(40)은 퍼프(50)가 씌워질 수 있도록 원판형으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퍼프(50)는 용이한 교체를 위해 상부에 개방부(5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10)는 사용자가 화장용 퍼프를 사용할 때 파지하는 곳으로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홈(12)과 고정홀(1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손잡이(10)를 판상으로 형성한 이유는 손으로 파지하여 화장용 퍼프를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결합홈(12)은 화장용 퍼프를 사용하지 않을 때 손잡이(10)를 눕혀서 퍼프결합판(30)의 결합돌기(34)에 끼운 후, 퍼프수용부(72)에 보관을 한다. 상기 고정홀(14)은 손잡이(10)가 홀더(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핀(22)이 끼워진다.
상기 고정홀(14) 사이에는 탄성부재(16)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6)는 손잡이(10)의 결합홈(12)이 퍼프결합판(30)의 결합돌기(24)에서 이탈될 때 탄성부재(16)의 탄성에 의해서 손잡이(10)가 자동으로 세워진다. 상기 탄성부재(16)는 비틀림을 받아서 탄성변형을 하는 비틀림 스프링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더(20)는 상면에 고정홀(24)이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돌출된 나사산(26)과 상기 돌출된 나사산(26)의 끝단 내부에는 결합요홈(2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홀(24)은 손잡이(10)의 고정홀(14) 사이에 위치하여 고정핀(22)에 의해서 고정된다. 하면에 형성된 돌출된 나사산(26)은 퍼프결합판(30)의 관통홀(32)을 통과하여 퍼프지지판(40)의 결합돌기(42)와 결합된다. 상기 나사산(26)의 끝단 내부에 형성된 결합요홈(28)은 퍼프결합판(30)의 관통홀(32)을 통과하여 퍼프지지판(40)의 결합돌기(42)와 결합함으로써 상기 퍼프결합판(30)과 퍼프지지판(40)이 홀더(20)에서 분리되지 않게 한다.
상기 퍼프결합판(30)은 상면에 말굽 형상의 돌출된 가이드(36)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36)의 개방된 부분에는 결합돌기(34)가 형성된다. 가운데는 관통홀(32)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32) 내주에는 상기 홀더(20)의 나사산(26)과 결합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홀더(20)와 결합되는 손잡이(10)의 결합홈(12)은 퍼프결합판(30)의 결합돌기(34)와 결합되어, 화장용 퍼프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손잡이(10)가 끼움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36)는 도 4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잡이(10)가 세워질 때, 상기 손잡이(10)가 직립상태를 지나쳐 넘어가지 않도록 손잡이(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퍼프지지판(40)은 홀더(20)의 결합요홈(28)과 결합하기 위해 가운데 결합돌기(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퍼프지지판(40)은 원판형상으로 퍼프(50)를 씌워 화장용 퍼프를 사용할 때, 퍼프(50)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게 해준다. 상기 결합돌기(42)는 홀더(20)의 돌출된 나사산(26) 끝단 내부에 형성된 결합요홈(28)과 끼워져 상기 퍼프지지판(40)이 분리되지 않게 한다.
상기 퍼프(50)는 용이한 교체를 위해 상부에 개방부(52)를 형성한다. 상기 퍼프(50)의 내부에는 퍼프지지판(40)이 위치하여 사용시에 퍼프(50)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게 된다. 퍼프(50)의 상부에는 개방부(52)가 형성되어 손상되거나 오염된 퍼프(50)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의 조립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홀더(20)의 고정홀(24) 사이에 탄성부재(16)를 장착한 후, 상기 고정홀(24)의 바깥부분에 손잡이(10)의 고정홀(14)을 위치시킨다. 상기 손잡이(10)와 홀더(20)를 고정하기 위해 고정핀(22)을 상기의 고정홀(12,24)에 삽입한다. 홀더(20)의 하면에 형성된 돌출된 나사산(26)에 퍼프결합판(30)의 관통홀(32)을 끼워서 관통시킨 후, 퍼프결합판(30)을 지나서 돌출된 나사산(26)의 끝단 내부에 형성된 결합요홈(28)에 퍼프지지판(40)의 결합돌기(42)를 끼움 결합함으로써 상기 퍼프지지판(40)이 분리되지 않게 한다. 그리고, 개방부(52)가 형성된 퍼프(50)를 상기 퍼프지지판(40)에 끼운다. 이때, 상기 퍼프(50)의 개방부(52)를 손으로 벌려서 퍼프지지판(40)에 끼울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의 사용 상태를 첨부 도면 도 5 내지 도 9를 바탕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5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를 사용하기 위해서 용기본체(70)에서 용기캡(60)을 개방한다. 상기 용기캡(60)을 개방하면 화장용 퍼프가 퍼프수용부(72)에 장착된 상태로 있다. 화장용 퍼프를 사용하기 위해서 도6과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잡이(10)의 결합홈(12)을 퍼프결합판(30)의 결합돌기(28)에서 이탈시켜 손잡이(10)를 세운다. 상기 손잡이(10)는 결합돌기(34)에서 이탈되면 홀더(20)와 손잡이(10) 사이에 형성된 탄성부재(16)에 의해서 자동으로 세워지게 된다. 상기 손잡이(10)가 세워질 때, 상기 손잡이(10)가 직립상태를 넘어가지 않도록 가이드(36)가 손잡이(10)를 지지한다. 그 후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를 용기본체(70)의 퍼프수용부(72)에서 분리하여 내용물수용부(74)의 내용물을 취하여 사용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용 퍼프의 퍼프(50)를 교체하는 과정을 첨부 도면 도 10 내지 도 12를 바탕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는 퍼프(50)가 퍼프지지판(40)과 퍼프결합판(30)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데,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퍼프결합판(30)의 하단 테두리(38)과 퍼프지지판(40)이 퍼프(50)의 개방부(52) 주위를 압박하여 고정하고 있다. 상기 퍼프(50)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손잡이(1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 홀더(20)의 하단부에 형성된 나사산(20)이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강하여 퍼프지지판(40)이 퍼프결합판(30)의 하단 테두리(38) 부분에서 이격상태가 된다. 이격된 이후, 퍼프(50)의 개방부(52)를 통해서 상기 퍼프(50)를 손쉽게 퍼프지지판(40)에서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에서 설명한 것은 화장용 퍼프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손잡이 12:결합홈
14,24:고정홀 16:탄성부재
20:홀더 22:고정핀
26:나사산 28:결합요홈
30:퍼프결합판 32:관통홀
34:결합돌기 36:가이드
40:퍼프지지판 42:결합돌기
50:퍼프 52:개방부

Claims (8)

  1.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판상의 손잡이(10);
    상기 손잡이(10)와 결합되는 홀더(20);
    상기 홀더(20)에 나사 결합되는 퍼프결합판(30);
    상기 홀더(20)에 결합되며, 퍼프결합판(30) 하부에 위치하는 퍼프지지판(40);
    상기 퍼프지지판(40)을 감싸며 형성되는 퍼프(5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2. 홀더(20)에 손잡이를 장착할 때 탄성부재(16)를 끼워서 장착하고, 홀더(20)의 하면에 형성된 나사산(26)에 퍼프결합판(30)의 관통홀(32)을 끼워서 관통시킨 후, 퍼프결합판(30)을 지나서 나사산(26)의 끝단 내부에 형성된 결합요홈(28)이 퍼프지지판(40)의 결합돌기(42)를 끼움 결합하고, 개방부(52)가 형성된 퍼프(50)를 퍼프지지판(40)에 끼워서 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0)는 홀더(20)와 결합을 위한 고정홀(14)과 퍼프결합판(30)의 결합돌기(34)와 결합을 위한 결합홈(1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0)는 하단에 탄성부재(16)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20)는 하면에 돌출된 나사산(26)과 상기 나사산(26)의 끝단 내부에 결합요홈(28)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결합판(30)은 홀더(20)와 결합하기 위해 가운데 관통홀(3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32)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지지판(40)은 홀더(20)의 결합요홈(28)과 결합하는 결합돌기(42)가 가운데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50)는 교체를 위해 상부에 개방부(5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KR2020130002468U 2013-04-03 2013-04-03 화장용 퍼프 KR2004722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468U KR200472287Y1 (ko) 2013-04-03 2013-04-03 화장용 퍼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468U KR200472287Y1 (ko) 2013-04-03 2013-04-03 화장용 퍼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287Y1 true KR200472287Y1 (ko) 2014-04-30

Family

ID=51489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468U KR200472287Y1 (ko) 2013-04-03 2013-04-03 화장용 퍼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287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231B1 (ko) * 2014-01-06 2015-09-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손잡이를 구비한 퍼프
KR101560343B1 (ko) * 2015-06-03 2015-10-19 주식회사 피플앤코 퍼프 손잡이 돌출형 화장품 콤팩트
KR20150123140A (ko) * 2014-04-24 2015-11-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손잡이를 구비한 화장용 퍼프
KR101669241B1 (ko) 2015-01-29 2016-10-25 주식회사 케이알 손잡이를 갖는 퍼프
KR20210071689A (ko) * 2019-12-06 2021-06-16 주식회사 에코웰 탄성 진동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퍼프
KR20210130955A (ko) * 2020-04-23 2021-11-02 (주)아우딘퓨쳐스 콤팩트 화장품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726Y1 (ko) 2005-04-22 2005-07-01 임성욱 화장용 파우더 퍼프
KR101106787B1 (ko) 2011-07-20 2012-01-18 배명근 탄력유동구가 내재된 분리형 진동퍼프
KR101107002B1 (ko) 2011-04-05 2012-01-18 배명근 진동수단이 내장된 손잡이 퍼프
KR101106788B1 (ko) 2011-10-31 2012-01-19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퍼프부재의 용이한 결합구조를 갖는 진동퍼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8726Y1 (ko) 2005-04-22 2005-07-01 임성욱 화장용 파우더 퍼프
KR101107002B1 (ko) 2011-04-05 2012-01-18 배명근 진동수단이 내장된 손잡이 퍼프
KR101106787B1 (ko) 2011-07-20 2012-01-18 배명근 탄력유동구가 내재된 분리형 진동퍼프
KR101106788B1 (ko) 2011-10-31 2012-01-19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퍼프부재의 용이한 결합구조를 갖는 진동퍼프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231B1 (ko) * 2014-01-06 2015-09-0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손잡이를 구비한 퍼프
KR20150123140A (ko) * 2014-04-24 2015-11-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손잡이를 구비한 화장용 퍼프
KR101724410B1 (ko) * 2014-04-24 2017-04-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손잡이를 구비한 화장용 퍼프
KR101669241B1 (ko) 2015-01-29 2016-10-25 주식회사 케이알 손잡이를 갖는 퍼프
KR101560343B1 (ko) * 2015-06-03 2015-10-19 주식회사 피플앤코 퍼프 손잡이 돌출형 화장품 콤팩트
KR20210071689A (ko) * 2019-12-06 2021-06-16 주식회사 에코웰 탄성 진동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퍼프
KR102300676B1 (ko) 2019-12-06 2021-09-09 주식회사 에코웰 탄성 진동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퍼프
KR20210130955A (ko) * 2020-04-23 2021-11-02 (주)아우딘퓨쳐스 콤팩트 화장품 용기
KR102342341B1 (ko) * 2020-04-23 2021-12-22 (주)아우딘퓨쳐스 콤팩트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2287Y1 (ko) 화장용 퍼프
JP2010012223A (ja) メーキャップ用塗布具及びこれを用いた塗布化粧品
KR101906395B1 (ko) 핑거 마스카라
KR101862858B1 (ko) 핑거 마스카라
KR101745357B1 (ko) 탄성슬릿부를 구비한 손가락 삽입 마스카라 용기
KR101201718B1 (ko) 브러쉬의 변형이 가능한 마스카라 용기
TW201544363A (zh) 便於握持的異軸筆
KR200474795Y1 (ko) 퍼프 결합형 용기뚜껑을 갖는 화장품용기
KR101214048B1 (ko) 샘플 립스틱 용기
KR101782508B1 (ko) 회전형 립스틱 용기
JP2011516234A (ja) 容器本体に回転可能に設けられたパフを備える化粧品容器
KR20090003714U (ko) 화장품용기의 브러시기구
JP2023527805A (ja) ミラー分離型化粧品容器
KR20130025549A (ko) 버튼타입 화장품 용기
KR20080024942A (ko) 용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퍼프를 구비한 화장품용기
KR200473105Y1 (ko) 화장용 퍼프
JP3213879U (ja) サイドプッシュ式化粧品塗布装置
WO2017075816A1 (zh) 化妆品容器
KR101496838B1 (ko) 고깔형 화장솜, 이의 인출장치가 구비된 화장솜 케이스 및 이의 사용도구
WO2017075815A1 (zh) 化妆品容器
JP2015119900A (ja) 化粧料容器及び化粧料用容器
KR20170115904A (ko) 주걱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200483714Y1 (ko) 화장 용구
JP3224162U (ja) すぐに使える化粧品パッケージ
KR20150087036A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