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1689A - 탄성 진동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퍼프 - Google Patents

탄성 진동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퍼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1689A
KR20210071689A KR1020190162125A KR20190162125A KR20210071689A KR 20210071689 A KR20210071689 A KR 20210071689A KR 1020190162125 A KR1020190162125 A KR 1020190162125A KR 20190162125 A KR20190162125 A KR 20190162125A KR 20210071689 A KR20210071689 A KR 20210071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ff
elastic
casing
vibrating body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2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0676B1 (ko
Inventor
이칠성
김효영
윤현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웰
Priority to KR1020190162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676B1/ko
Publication of KR20210071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1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45D33/3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with watches or other mechanically-driven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45D33/36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with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18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mprising a pad, i.e. a cushion-like mass of soft material, with or without gripp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7Vibration, e.g. ultrasound

Landscapes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 진동체에 관한 것으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탄성 프레임 및 상기 탄성 프레임과 결합되며 진동모듈이 탑재될 수 있는 진동모듈 케이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탄성 진동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퍼프{ELASTIC VIBRATING BODY AND VIBRATING PUFF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탄성 진동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퍼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진동체의 재질을 유연한 탄성 재질로 하여, 퍼프에 삽입되어 사용되는 경우 부드러운 타격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퍼프가 얼굴의 곡면에 닿을 때마나 얼굴 곡면에 대응하여 형태가 유연하게 변형되어 부드러운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 진동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퍼프에 관한 것이다.
화장퍼프는 여성 등 사용자가 피부 잡티를 가리거나 피부 톤을 보다 밝게 개선하기 위해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또는 트윈케익과 같은 화장품을 일정량을 묻혀 피부에 펴바르기 위한 도구이다.
화장퍼프는 사용자가 손가락에 끼워 직접 두드리면서 사용할 수 있는 일반적인 화장퍼프가 있으며, 기기와 파운데이션이 일체로 형성된 진동파운데이션에 부착되어 기기의 진동을 전달하는 진동퍼프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한편, 이러한 진동퍼프에는 진동체가 내장된 경우가 있다. 이와같이 진동체가 내장된 진동퍼프는 간편하게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고, 화장이 고르게 펴발려지는 효과가 있음에도, 퍼프에 내장된 진동체의 이물감이 느껴져 사용자에게 다소 불편한 사용감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다.
실용신안 제20-2012-0000367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진동퍼프 사용시 내장된 진동체의 단단한 프레임의 이물감을 최소화하고 부드러운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 진동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퍼프를 제공한다.
또한, 얼굴 곡면에 닿을 때마나 얼굴 곡면에 대응하여 유연하게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탄성 진동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퍼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진동체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탄성 프레임 및 상기 탄성 프레임과 결합되며 진동모듈이 탑재될 수 있는 진동모듈 케이싱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 프레임은, 상기 진동모듈 케이싱 보다 탄성이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진동모듈은 진동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모듈 케이싱은, 상기 모터,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제어회로기판이 탑재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하부 케이싱, 상기 하부 케이싱과 결합하여, 상기 하부 케이싱을 커버하는 상부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프레임은, 상기 진동모듈 케이싱이 결합될 수 있는 케이싱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 결합부 주변에 형성되는 탄성 퍼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진동체는 상부 케이싱의 일측에는 상기 배터리를 인출할 수 있는 덮개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는 하부 케이싱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탄성 퍼프부은, 상기 케이싱 결합부 보다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퍼프는, 진동체 및 상기 진동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쿠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쿠션부는, 상기 퍼프부 및 상기 퍼프부에 결합되는 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체 내부에 탑재된 상기 모터는, 상기 밴드부의 움직임에 따라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진동 퍼프는 쿠션부의 일면으로 노출되어 모터의 온-오프 스위칭 신호를 전달하는 터치 패드 및 상부 케이싱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지는 핸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핸들부는 한 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쿠션부에는 상기 터치 패드를 노출시키고 상기 핸들부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개구부가 마련되며, 상기 터치 패드 상에는 개구부를 통해 돌출되는 단자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진동퍼프 사용시 내장된 진동체의 단단한 프레임의 이물감을 최소화하고 퍼프에 탄성에 부여하여 부드러운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 진동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퍼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얼굴 곡면에 닿을 때마나 얼굴 곡면에 대응하여 유연하게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탄성 진동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퍼프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진동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퍼프의 사시도이다.
도 3b 및 도 3c는 각각 도 3a의 평면도 및 AA 방향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교체 방법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 진동체의 형태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도 3a의 진동퍼프와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들이다.
도 8은 도 6 및 도 7의 터치 패드와는 다른 형태의 단자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발명의 탄성 진동체의 배터리 교체 방법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0 및 도 11은 종래 진동퍼프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진동체 및 진동퍼프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퍼프의 사시도이며, 도 3b 및 도 3c는 각각 도 3a의 평면도 및 AA 방향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체(20)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탄성 프레임(210) 및 탄성 프레임(210)과 결합되며 진동모듈(225)이 탑재될 수 있는 진동모듈 케이싱(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진동모듈(225)는 진동을 제공하는 모터(226), 모터(226)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227), 모터(226)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회로기판(228)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모듈 케이싱(240)은 모터(226), 배터리(227) 및 제어회로기판(228)이 탑재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하부 케이싱(220) 및 하부 케이싱(220)과 결합하여, 하부 케이싱(220)을 커버하는 상부 케이싱(2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탄성 프레임(210)은 기존의 플라스틱 등의 사출물로 이루어진 경우가 아닌, 실리콘이나,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이 사용되어, 퍼프부(30) 내부에 삽입 또는 내장된다 하더라고, 사용시 이물감이 느껴지지 않고 오히려 퍼프부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피부에 터치하는 경우, 얇은 퍼프 재질에 탄성력이 부가되어 손가락이 피부에 닿는 느낌을 보다 푹신한 느낌을 사용자에게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탄성 프레임(210)은 진동모듈 케이싱(240)의 경계(L) 부분에서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도록 진동모듈 케이싱(240)과 결합되어, 얼굴 곡면을 따라 퍼프부(30)가 얼굴에 밀착되어 움직이는 경우 내부에 삽입된 탄성 프레임(210)도 퍼프부(30)가 얼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한편, 탄성 프레임(210)은 탄성에 의해 형태가 변형되어도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어 퍼프의 형태를 변형시키지 않고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탄성 프레임(210)은 천연 고무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NBR), 실리콘 고무와 같은 합성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으며, 탄성의 성질을 가진 재질이면 그 종류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탄성 프레임(210)은 상기 진동모듈 케이싱(240)이 결합될 수 있는 케이싱 결합부(211)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 결합부(211) 주변에 형성되는 탄성 퍼프부(2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진동체(20)는 모터(226)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피부에 전달하여 일정한 힘으로 두드리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함으로써 피부에 파운데이션 등과 같은 화장품이 골고루 펴져 커버될 수 있도록 해준다. 또한, 진동체(20)는 진동에 의해 일정한 힘을 피부에 전달하므로 사용자가 직접 두드리는 방식 보다 화장품을 피부에 보다 밀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메이크업 지속력을 보다 높일 수 있으며 자연스러운 피부 표현이 가능하다.
탄성 프레임(210)은 진동모듈 케이싱(240) 보다 탄성이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진동모듈의 안정적 장착을 위해 진동모듈 케이싱(240)은 변형이 적도록 탄성이 작을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탄성 프레임(210)과 같은 탄성을 지닌 물질로 형성되어 보다 진동체(20)의 탄성을 높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교체 방법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부 케이싱(230)의 일측에는 배터리(227)를 인출할 수 있는 덮개(232)가 형성되고 덮개(232)는 하부 케이싱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덮개(232)는 사용자가 들어올려 배터리(227)를 인출하는 방식이며, 상기 덮개에 의한 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이며, 슬라이드 결합에 의해 배터리(227)를 인출하는 방식이나. 상면을 누르는 힘에 의해 덮개가 개방되는 방식(터치에 의해 덮개가 개방되는 방식) 등을 포함하여, 배터리를 인출하는 방식에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다.
탄성 퍼프부(213)은 케이싱 결합부(211) 보다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케이싱 결합부(211)가 탄성 퍼프부(213)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케이싱 결합부(211)에 하부 케이싱(220)과 상부 케이싱(230)이 결합되더라도 탄성 프레임(210)과 두께가 같아져 진동모듈 장착에 의해 진동체 두께가 두꺼워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 프레임(210)에는 하부 케이싱(220)의 바닥에 탑재된 배터리 (227)가 끼워지는 제1홈부(215)와, 모터(226) 및 제어회로기판(228)이 끼워지며 제1홈부(215)와 연통되는 제2홈부(216)가 마련되는데, 그 중 모터(226)를 지지하는 제2홈부(216)는 진동의 일부를 1차적으로 흡수 내지 감쇄하는 것이므로 모터(226) 가 억지끼움되는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진동체는 모터 등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커버 등의 구성요소가 모두 단단(딱딱)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 지기 때문에 퍼프를 피부에 두드려 사용하는 경우 단단한 이물감이 피부에 전달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진동체(20)의 프레임을 탄성 재질의 탄성 프레임(210)을 사용하게 되면, 모터(226)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탄성 프레임(210)을 거치면서 부드러운 느낌을 가진 진동으로 변환되고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의 대부분은 상기 탄성 프레임에 흡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단단한 재질의 진동퍼프 보다는 전혀 다른 부드럽고 안정된 진동을 느낄 수 있어 보다 편안한 메이크업을 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퍼프부(30)에 삽입되어 더욱 푹신한 사용감을 느낄 수 있으며, 이는 탄성 프레임의 탄성력이 퍼프부(30)에 부가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피부에 눌러지는 느낌보다는 가볍게 탄력을 부여하는 느낌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퍼프부(30)를 두드릴 때는 손 끝부분을 피부에 눌러 사용하게 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 프레임(210)은 손 끝에 의해 눌러지는 경우, 피부에 퍼프부(30)가 밀착되도록 탄성 프레임(210)도 피부 곡면의 형태에 따라 구부러져 퍼프부(30)가 피부에 접촉되는 면적을 보다 크게 할 수 있으며, 퍼프부(30)가 피부에 보다 밀착될 수 있게 하여 화장품이 피부에 들뜸없이 메이크업을 할 수 있게 한다. (도 5 참조).
탄성 퍼프부(213)는 전체적으로 원형 내지 타원형인 것을 예시할 수 있지만, 그 전단부(213a)가 전방으로 좁아지는 테이퍼진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인 퍼프는 둥근 형태로 되어 있어 얼굴의 코 또는 코와 볼의 경계와 같이 굴곡이 있는 경계 부위에 퍼프를 밀착시키기 어렵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방부(213a)가 테이퍼진 구조는 모서리가 경계에 밀착될 수 있어 코와 볼 경계부 미간 등 굴곡이 많은 부위에 보다 꼼꼼하게 화장품을 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탄성 퍼프부(21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싱 결합부(211) 보다 두껍기 때문에 케이싱 결합부와 단차가 생긴다. 따라서 상기 케이싱 결합부(211)에는 상기 케이싱 결합부(211)의 하면과 상기 탄성 퍼프부(213)의 하면 사이의 높이차에 의해 형성되는 하부단차공간(211a)과 케이싱 결합부(211)의 상면과 상기 탄성 퍼프부의 상면 사이의 높이차에 의해 형성되는 상부단차공간(211b)이 마련된다.
하부단차공간(211a) 내에는 하부 케이싱(220)이 안착되고 상부단차공간(211b) 내에는 상부 케이싱(230)이 안착된다. 특히 하부 케이싱(220)의 하면은 상기 탄성 퍼프부(213)에서 돌출되지 않고 적어도 탄성 퍼프부(213)와 동일 평면상(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단단한 하면만 얼굴에 밀착되던 기존의 진동체 보다 부드러운 진동을 피부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 퍼프부(213)가 진동체(20)의 외곽을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모터(226)에서 발생한 진동 중 일부는 하부 케이싱(220)을 통해 피부로 전달되고 나머지 일부는 탄성 퍼프부(213)를 통해 피부로 분산되어 전달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하부 케이싱(220)을 하부단차공간(211a)보다 얇게 형성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하부 케이싱(220)은 피부에 닿지 않고 탄성 퍼프부(213)만 피부에 접하기 때문에 진동이 환형의 탄성 퍼프부(213)를 통해서만 피부에 전달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탄성 재질의 탄성 퍼프부(213)를 통해서만 진동이 전달되기 때문에 진동이 전달되는 면적은 줄어들지만 사용자가 느끼는 진동의 품질 내지 기호성은 더욱 높일 수도 있다.
상기 케이싱 결합부(211)에는 하부 케이싱(220)과 상부 케이싱(230)이 결합할 수 있도록 복수의 관통홀(212)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하부 케이싱(220)은 모터(226)와, 배터리(227)와, 제어회로기판(228)이 각각 탑재되는 제1, 2, 3 수용홈부(221a,221a,221c)와, 관통홀(212)에 삽입되는 복수의 제1끼움돌기(222)가 형성된다.
모터(226)가 탑재되는 제1수용홈부(221a)는 상기 탄성 퍼프부(213)의 테이퍼진 전단부(213a)에서 상기 케이싱 결합부(211)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편심되도록 배치된다. 모터(226)가 중심선의 일측으로 편심 배치되는 이유는 본 발명의 진동체를 후술할 손잡이가 있는 쿠션부 내에 넣어서 사용할 때 일반적으로 손잡이에 검지와 중지 또는 약지의 손가락을 포함하여 넣어서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모터가 중앙에 배치되면 모터의 바로 위에 위치한 손가락에 진동이 직접 전달되어 불편함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중심선에서 일측으로 편심되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모터를 편심되게 배치하더라도 피부에 전달되는 진동은 탄성 프레임에 의해 분산되기 때문에 피부를 두드리는 효과는 충분히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부 케이싱(230)에는 상기 관통홀(212)에 삽입되어 상기 제1끼움돌기(222)와 맞닿는 복수의 제2끼움돌기(231)와 배터리를 인출할 수 있는 덮개(232)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 케이싱(220)과 상부 케이싱(230)은 탄성 프레임(210)을 사이에 두고 나사(223)로 결합된다. 나사(223)는 상기 상부 케이싱(230)의 제2끼움돌기(231) 와, 탄성 프레임(210)의 관통홀(212)과, 하부 케이싱(220)의 제1끼움돌기(222)로 순차로 삽입되면서 체결된다.
상기 덮개(232)는 상기 상부 케이싱(230)의 후단부에 마련되며 상기 하부 케이싱(2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러한 결합을 위해 덮개(232)의 후단부와 하부 진동모듈 케이싱(220)의 후단부에 각각 마련된 고리 형태의 제1,2단턱(233,224)이 서로 걸림 결합된다.
여기서 덮개(232)와 하부 케이싱(220)의 제1,2단턱(233,224)이 결합하기 용이하도록 제1홈부(215)는 탄성 퍼프부(213)의 일부가 절개되어 후단은 완전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진동체는 탄성 프레임이 삽입된 구조이기 때문에 모터에서 발생하는 진동 에너지가 분산 및 감쇄된 상태로 피부에 전달되어 사용자에게 보다 편안하고 안정된 진동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동퍼프(10)는 진동체(20)와 진동체(20)를 수용할 수 있는 쿠션부(30)를 포함하고, 쿠션부는 진동체(20)를 내부에 수용하는 퍼프부(35)와, 퍼프부(35)의 양측에 결합 하며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밴드부(32)로 구성될 수 있다.
진동체(20)의 작동은 상부 케이싱(230)에 일반적인 온-오프 스위치를 설치할 수도 있으나, 밴드부(32)에 마그네틱(33)을 부착하고 진동체의 제어회로기판(228)에 자기감지 센서(229)를 설치하여 자기감지 센서의 마그네틱 감지 여부에 따라 모터의 온-오프를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자기감지센서가 진동체에 탑재되어 있고, 밴드부에 결합된 마그네틱이 떨어지면 모터가 진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마그네틱의 감지 여부 뿐만 아니라, 모터의 온-오프 제어를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여서, 마그네틱 센서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센서 제어방식 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밴드부(32)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반드시 띠 형태만을 한정하지 않으며, 퍼프부(35)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형태 및 유사한 기능을 하는 형태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밴드부(32)의 동작에 의해 모터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형성된 다양한 형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쿠션부(30)는 퍼프부(35) 및 퍼프부(35)에 결합되는 밴드부(32)를 포함하고, 진동체(20)는 센서(미도시)를 포함하며, 진동체(20)에 탑재된 모터(227)가 밴드부(31)가 들어올려지거나 밴드부(31)가 스위치 역할을 수행하여, 가등한 ON-OFF 동작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모터(227)는 진동체(20)에 탑재된 센서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센서는 밴드부(31)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어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는 자기감지 센서로서, 밴드부에 마그네틱이 결합되어 있어, 밴드부가 센서로부터 멀어지면 모터가 진동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일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 도 3a의 진동퍼프와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들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진동퍼프는 쿠션부(30)의 일면으로 노출되어 모터(227)의 온-오프 스위칭 신호를 전달하는 터치 패드(50) 및 상부 케이싱(23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지는 핸들부(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핸들부(70)는 한 쌍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양손으로 핸들부(70)의 양 끝을 잡고 오므려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쿠션부(30)에는 터치 패드(50)를 노출시키고 핸들부(70)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개구부(31)가 마련되며,터치 패드(50) 상에는 개구부(31)를 통해 돌출되는 단자부(5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퍼프(10)는 터치 패드(50)
와 핸들부(70)를 포함한 진동체(20)와, 상기 진동체(20)를 내부에 수용하는 퍼프부(35)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서는 터치 패드(50)를 이용하여 모터(226)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할 때에만 작동하여 불필요한 전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50)는 정전식 또는 감압식이 있는데 작동 방식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터치 패드(50)는 상부 케이싱(230)의 상면에 형성되는데 손가락이 접촉되면 제어회로기판(228)에서는 온(on)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켜 모터가 작동하게 되고, 상기 터치 패드(50)에서 손가락이 떨어지면 오프(off)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켜모터(226)가 멈추게 된다.
상기 핸들부(70)는 상부 케이싱(230)의 상면 중앙에 설치된 힌지브라켓(71)과, 상기 힌지브라켓(7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축(74)이 마련된 핸들(7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7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일 수도 있고, 도 7에 도시된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73)은 손가락이 쉽게끼워질 수 있도록 위로 볼록한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퍼프부(35)는 그 상면에 터치 패드(50)가 노출되고 상기 핸들(73)이 상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개구부(31)가 마련된다. 사용자는 핸들(73)에 손가락을 끼우면 개구부(31)를 통해 노출된 터치 패드(50)에 접촉하게 되어 자동으로 모터(226)가 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터치 패드(50)를 통해 모터(226)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면 앞서 설명한 자기감지 센서와 마그네틱을 이용한 제어 방식에 비해 보다 간편하고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밴드부에 마그네틱을 부착한 방식의 경우에는 손가락을 밴드부에서 완전히 빼야 모터의 작동이 멈추게 되는 반면, 터치 패드를 활용한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 패드와 접촉하지 않도록 핸들에 끼운 손가락을 살짝 위로 들거나 뒤로 살짝만 빼기만 하면 모터의 작동이 멈추게 되므로, 모터의 온-오프를 보다 손쉽고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도 6 및 도 7의 터치 패드와는 다른 형태의 단자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터치 패드 상에 돌기 형태의 복수의 단자부(51)가 추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앞서 설명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터치 패드(50)의 경우에는 개구부(31) 밑에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손가락이 터치 패드에서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접촉 불량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터치 패드(50) 상에 전도성의 단자부(51)를 설치하여 개구부(31)를 통해 돌출되도록 하여 온-오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퍼프(30)는 삽입되는 진동체(20)의 재질이 탄성의 성질로 되어 있어 퍼프부(35)가 보유한 탄성의 성질을 부가하여 사용자가 재질이 다른 물건이 삽입되어도 부드러운 사용감을 느낄 수 있으며, 진동체(20)가 퍼프부(30)의 움직임에 대응되어 자유롭게 휘어지고 움직여 짐에 따라 퍼프부(30)가 피부 곡면에 보다 밀착시킬 수 있다.
특히, 손가락 끝으로 퍼프부(30)를 누르는 경우에도 진동체(20)의 앞부분이 이에 대응하여 휘어지면서, 손 끝의 느낌보다는 푹신한 느낌을 전달할 수 있어 피부에 부드럽게 두드려지는 느낌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진동체(20)에는 밴드부(32)가 변형된 형태의 핸들부(70)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손을 집어 넣지 않고 두드릴 수 있으며, 핸들부(70)는 하나 또는 한 쌍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핸들부(70)는 상기 제시된 형태만을 한정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휘어진 형태 길이 등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움직임에 따라(사용자가 핸들부(70)를 인출하는 동작에 의해 모터의 on-off를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진동체(20)의 동작은 터치센서, 마그네틱 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다양한 스위치 등을 이용하여 on-off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탄성 진동체 및 이를 포함하는 퍼프는 퍼프의 구성 자체로 모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가 큰 진동기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탄성 재질에 의해 퍼프에 삽입되더라도 이물감을 느끼지 않고 사용자가 푹신하고 부드러운 사용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퍼프의 탄성에 탄성의 성질을 더하여 보다 탄력적인 사용감을 더할 수 있어 피부 표현을 자연스럽게 표현하는 데 효과적이며, 탄성 진동체의 움직임이 자유로워 퍼프가 얼굴의 다양한 부위에서 밀착될 수 있어 꼼꼼하고 섬세하게 메이크업을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탄성 진동체를 포함하는 퍼프의 실시예를 다양하게 제시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니즈에 부합되도록 하였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진동퍼프
20 : 진동체
210 : 탄성 프레임
220 : 하부 케이싱
230 : 상부 케이싱
30 : 쿠션부
50 : 터치 패드
70 : 핸들부

Claims (10)

  1.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탄성 프레임; 및
    상기 탄성 프레임과 결합되며 진동모듈이 탑재될 수 있는 진동모듈 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진동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프레임은,
    상기 진동모듈 케이싱 보다 탄성이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진동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모듈은,
    진동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진동모듈 케이싱은,
    상기 모터, 상기 배터리 및 상기 제어회로기판이 탑재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하부 케이싱,
    상기 하부 케이싱과 결합하여, 상기 하부 케이싱을 커버하는 상부 케이싱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프레임은,
    상기 진동모듈 케이싱이 결합될 수 있는 케이싱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 결합부 주변에 형성되는 탄성 퍼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진동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싱의 일측에는 상기 배터리를 인출할 수 있는 덮개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는,
    하부 케이싱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탄성 진동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퍼프부은,
    상기 케이싱 결합부 보다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진동체.
  6. 청구항 1 내지 6항 중에서 어느 하나의 진동체;
    상기 진동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쿠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퍼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상기 퍼프부; 및
    상기 퍼프부에 결합되는 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체 내부에 탑재된 상기 모터는,
    상기 밴드부의 움직임에 따라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퍼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의 일면으로 노출되어 모터의 온-오프 스위칭 신호를 전달하는 터치 패드; 및
    상부 케이싱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워지는 핸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퍼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부는,
    한 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퍼프.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에는 상기 터치 패드를 노출시키고 상기 핸들부가 외부로 인출되
    도록 개구부가 마련되며,
    상기 터치 패드 상에는 개구부를 통해 돌출되는 단자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퍼프.
KR1020190162125A 2019-12-06 2019-12-06 탄성 진동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퍼프 KR102300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125A KR102300676B1 (ko) 2019-12-06 2019-12-06 탄성 진동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퍼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125A KR102300676B1 (ko) 2019-12-06 2019-12-06 탄성 진동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퍼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1689A true KR20210071689A (ko) 2021-06-16
KR102300676B1 KR102300676B1 (ko) 2021-09-09

Family

ID=76602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125A KR102300676B1 (ko) 2019-12-06 2019-12-06 탄성 진동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퍼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6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6186A (ko) 2022-05-30 2023-12-07 주식회사 비브랩 진동 퍼프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359B1 (ko) * 2011-04-05 2011-08-22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진동수단이 내장된 화장용 퍼프
KR20120000367U (ko) 2010-07-06 2012-01-12 정철종 중복구조의 환기구로 구성된 다리미 보관함
KR200472287Y1 (ko) * 2013-04-03 2014-04-30 (주)아모레퍼시픽 화장용 퍼프
KR101946923B1 (ko) * 2018-08-03 2019-02-13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비흡수성 외장재와 진동부재로 이루어진 화장용 퍼프
KR102020678B1 (ko) * 2019-03-12 2019-09-10 시너지미모스 주식회사 진동퍼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0367U (ko) 2010-07-06 2012-01-12 정철종 중복구조의 환기구로 구성된 다리미 보관함
KR101058359B1 (ko) * 2011-04-05 2011-08-22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진동수단이 내장된 화장용 퍼프
KR200472287Y1 (ko) * 2013-04-03 2014-04-30 (주)아모레퍼시픽 화장용 퍼프
KR101946923B1 (ko) * 2018-08-03 2019-02-13 주식회사 한국피앤피 비흡수성 외장재와 진동부재로 이루어진 화장용 퍼프
KR102020678B1 (ko) * 2019-03-12 2019-09-10 시너지미모스 주식회사 진동퍼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0676B1 (ko) 2021-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4806B2 (en) Resilient non-smooth projection member on eyeglass temples and nose pads
US7834851B1 (en) Computer mouse that prevents or treats carpal tunnel syndrome and methods of use
CN207968808U (zh) 便携式骨传导耳机
KR102300676B1 (ko) 탄성 진동체 및 이를 포함하는 진동퍼프
KR101015711B1 (ko) 터치스크린용 버튼 어답터 키트
US20080225004A1 (en) Wireless mouse
TW201327286A (zh) 按摩器一體型之電腦滑鼠
CN209437630U (zh) 美容装置
KR101513907B1 (ko) 휴대용 적외선 진동 마사지기
US20060187206A1 (en) Computer mouse
KR101071927B1 (ko) 스타일러스 펜
CN207968812U (zh) 可更换耳塞套的骨传导耳机
CN216080095U (zh) 可穿戴式空调
CN210222710U (zh) 一种穿戴手掌式鼠标
CN2842953Y (zh) 一种软体耳内式助听器
CN208141348U (zh) 一种游戏输入装置
JP2000112653A (ja) ゲル封入マウス及びマウス用ゲル封入カバー
CN207968813U (zh) 新型骨传导佩戴耳塞
CN205515480U (zh) 一种充电式软胶按摩器
KR20210067564A (ko) 화장 퍼프
KR100304495B1 (ko) 컴퓨터용 마우스
KR20230070580A (ko) 진동 퍼프
CN220757642U (zh) 颈部按摩仪
CN219271441U (zh) 颈部按摩仪
CN213465928U (zh) 一种挂脖式颈部按摩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