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2490B1 - 데드리프트용 피트니스 구조물 - Google Patents

데드리프트용 피트니스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2490B1
KR101592490B1 KR1020140068587A KR20140068587A KR101592490B1 KR 101592490 B1 KR101592490 B1 KR 101592490B1 KR 1020140068587 A KR1020140068587 A KR 1020140068587A KR 20140068587 A KR20140068587 A KR 20140068587A KR 101592490 B1 KR101592490 B1 KR 101592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user
height
mounting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8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0156A (ko
Inventor
이기원
Original Assignee
이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원 filed Critical 이기원
Priority to KR1020140068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490B1/ko
Priority to PCT/KR2015/005674 priority patent/WO2015186993A1/ko
Publication of KR20150140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0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63B21/0626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 A63B21/0628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for vertical array of weight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올바른 운동동작을 유지할 수 있는 피트니스 구조물에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은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에 연결되고, 사용자가 가력하여 위치를 이동할 수 있는 핸들과, 상기 로드부에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핸들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 및 상기 핸들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데드리프트용 피트니스 구조물 {Fitness structure for deadlift}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데드리프트용 피트니스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미용과 건강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근력을 향상시키고 균형 잡힌 신체를 만들기 위하여 웨이트 트레이닝(weight training)을 지속하는 헬스 인구가 늘어나고 있다. 웨이트 트레이닝은 바벨(barbell)이나 덤벨(dumbbell)과 같이 무게를 가진 물체를 이용해 근육을 단련시키고 그로 인한 체력 증진을 목표로 하는 운동이다.
웨이트 트레이닝에 사용되는 동작들은 벤치 프레스(bench press), 스쿼트(squat), 데드리프트(deadlift)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피트니스 클럽에는 이러한 동작들을 구현시키기 위한 다양한 헬스 기구들이 구비되어 있다.
웨이트 트레이닝은 사용하는 운동기구에 프리 웨이트와 머신운동으로 구분될 수 있다. 프리웨이트는 바벨과 덤벨을 사용하는 운동으로 균형근 및 보조근을 이용하여 신체 발란스 향상에 효과가 크다. 머신운동은 바벨 없이 중량추 및 도르래의 조합을 포함하는 헬스 기구를 사용하는 운동으로 쉽게 운동을 익힐 수 있다.
웨이트 트레이닝의 동작 중 하나인 데드리프트는 허리, 엉덩이 허벅지 근육을 강화에 효과적이다. 데드리프트의 동작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쇠막대 및 쇠막대의 양쪽에 매달리는 원반형 중량물을 포함하는 바벨이 필요하다. 즉, 기본적으로 데드리프트는 프리웨이트 운동이다.
올바른 데드리프트의 자세는 허리와 상체를 곧게 뻗어 상체를 안정화하고, 바벨이 운동자의 정강이에 달라 붙어서 하체의 균형감이 유지되어야 한다. 또한, 운동 시작 자세에서 정강이와 허벅지가 이루는 각도, 즉 무릎이 굽혀진 각도가 거의 수직에 가깝게 형성되어야 하고, 운동자가 바벨을 상하로 이동하여 운동 시에 무릎이 발끝 앞으로 튀어나가지 않도록 무릎이 굽혀진 각도를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즉, 데드리프트 운동의 효과를 최대화 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데드리프트의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사용자의 운동능력에 맞게 운동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피트니스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에 연결되고, 사용자가 가력하여 위치를 이동할 수 있는 핸들과, 상기 로드부에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핸들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 및 상기 핸들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피트니스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에 연결되고, 사용자가 가력하여 위치를 이동할 수 있는 핸들과, 상기 로드부에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핸들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 및 상기 핸들의 하측에 설치되어 지면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높이를 변경하는 높이 가변부를 포함하는, 피트니스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로드부는 중량 또는 탄성을 조절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드부는 상기 핸들이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면 상기 로드부의 하중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기 설정된 상기 핸들의 이동경로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상기 핸들의 거치 시에 상기 핸들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그루브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의 하측에 설치되어 지면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높이를 변경하는 높이 가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 가변부의 상면와 상기 핸들 사이의 거리는 상기 거치부가 설치된 지면과 상기 핸들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 가변부는 상기 거치부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 가변부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서 위치 표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트니스 구조물에 의하면, 가이드부에 의해사용자의 가력 방향 및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트니스 구조물에 의하면, 높이 가변부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범위를 변경하거나 운동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트니스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거치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높이 가변부가 다른 위치일 때의 피트니스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피트니스 구조물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 는 도 1의 피트니스 구조물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 은 도 3의 피트니스 구조물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트니스 구조물(1000)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거치부(300)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의 높이 가변부(500)가 다른 위치일 때의 피트니스 구조물(10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를 참조하면, 피트니스 구조물(1000)은 로드부(100), 핸들(200), 거치부(300), 가이드부(400) 및 높이 가변부(500)를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피트니스 구조물(1000)은 베이스 플레이트(10)를 구비하여 거치부(300), 가이드부(400) 및 높이 가변부(500)를 지지할 수 있다.
피트니스 구조물(1000)의 각 구성은 강성을 지닌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철(Fe) 또는 철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로드부(100)는 사용자가 피트니스 구조물(1000)을 사용시에 사용자의 가력에 대항하는 하중을 제공할 수 있다. 로드부(100)는 사용자의 하중에 대항하는 힘을 발생하는 구성으로 특정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복수의 블록 중에서 사용자가 블록을 선택하여 중량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탄성을 변형할 수 있는 용수철을 사용하여 탄성력의 강도를 조절하거나, 탄성계수가 상이한 고무밴드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탄성력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로드부(100)는 복수의 블록(120) 중에서 사용자가 블록(120)을 선택하여 중량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로드부(100)는 베이스 프레임(110), 가이드 로드(111), 연결부(130), 블록(120), 케이블(131), 풀리(140) 및 연결클립(141)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로드부(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가이드 로드(111)와 블록(120)을 구비할 수 있다. 블록(120)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 로드(111)를 따라 선형운동 할 수 있다. 즉, 블록(120)은 케이블(131)과 연결되어 사용자가 케이블(131)에 연결된 핸들(200)을 가력하면 블록(120)을 상측으로 선형운동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블록(120)에 형성된 고정홀(121)에 고정핀(123)을 삽입하여 블록(120)과 케이블(131)을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고정핀(123)의 위치를 변경하여 로드부(100)의 중량을 선택 할 수 있다. 케이블(131)은 연결부(130) 및 풀리(140)를 통과하여 핸들(200)에 결합된다. 핸들(200)과 케이블(131)은 연결클립(141)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핸들(200)은 사용자의 손잡이 역할을 한다. 사용자는 운동 자세에서 핸들(200)을 잡고 로드부(100)의 하중 이상의 힘을 가하여 핸들(2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핸들(200)은 특정한 이동방향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가한 힘의 방향에 따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핸들(200)을 이용하여 프리웨이트 운동을 할 수 있다.
거치부(300)는 로드부(100)에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핸들(200)을 거치할 수 있다. 사용자가 피트니스 구조물(1000)을 사용하지 않을 시에 핸들(200)을 거치할 수 있다. 거치부(300)는 지면이나 베이스 플레이트(10)에서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핸들(200)의 양 단을 거치하기 위해서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거치부(300)에 핸들(200)이 거치되면 로드부(100)의 하중이 제거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고정핀(123)의 위치를 변경하여 로드부(100)의 하중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즉, 핸들(200)의 위치가 고정된 후에 로드부(100)의 하중의 크기를 변경하는바, 로드부(100)의 하중 변경시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로부터 예방할 수 있다.
거치부(300)는 핸들(200)의 접촉면적을 넓히고, 핸들(200)의 일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그루브(31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루브(310)는 거치부(300)의 단부에 형성되어 핸들(200)의 거치 시에 핸들(20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그루브(310)는 특정 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각형이나 원형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도2 참고)
가이드부(400)는 사용자가 핸들(200)의 이동방향을 안내하여 사용자가 올바른 운동을 유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가이드부(400)는 기 설정된 핸들(200)의 이동경로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400)는 지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400)는 핸들(200)이 사용자의 전방이나 후방으로의 이동을 안내하여 핸들(200)이 선형운동을 유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400)는 거치부(300)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거나 거치부(300)에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거치부(300)는 핸들(200)이 전방으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거치부(300)의 앞쪽에 형성되거나(도1 참조) 핸들(200)이 후방으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거치부(300)의 뒤쪽에 형성될 수 있다.(미도시) 또한, 거치부(300)는 핸들(200)이 전후방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거치부(300)의 앞뒤로 형성될 수 있다.(미도시)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가이드부(400)는 거치부(300)의 앞쪽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가이드부(400)는 핸들(200)의 일면과 접촉할 수 있는 면에 보강부(4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보강부(410)는 나사, 용접, 리벳 등의 결합부재(411)로 가이드부(400)에 고정될 수 있다. 보강부(410)는 가이드부(400)와 핸들(200)의 접촉으로 발생할 수 있는 스크레치 또는 파손을 방지 할 수있다. 보강부(410)는 가이드부(400)의 재질과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알류미늄,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이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높이 가변부(500)는 거치부(300)의 하측에 설치되어 지면으로부터 사용자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다. 높이 가변부(500)는 사용자가 올라서서 핸들(200)을 잡아 운동을 할 수 있다. 높이 가변부(500)는 가이드부(400)나 거치부(30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거나, 가이드부(400)나 거치부(300)와 분리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높이 가변부(500)를 거치부(300)의 하측에 설치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높이 가변부(500)는 가이드부(400)나 거치부(300)와 연결되도록 설치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높이 가변부(500)는 지지 플레이트(510), 받침부(520), 스토퍼(530), 연결부재(540) 및 연결 프레임(550)을 구비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510)의 상면은 사용자의 발바닥과 맞닿을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510)는 양 발을 각각 지지하기 위해서 한 쌍으로 형성되거나, 크기를 크게하여 양 발을 하나의 플레이트에 놓을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510)의 하면은 받침부(520)를 설치하여 지지 플레이트(510)의 평형을 유지할 수 있다. 받침부(520)의 하측에는 고무, 실리콘 등의 완충부재(521)를 설치하여 높이 가변부()의 설치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충격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510)는 연결부재(540)에 의해 연결 프레임(55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540)는 힌지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 플레이트(510)가 회전할 수 있다.
높이 가변부(500)는 스토퍼(530)를 구비하여 지지 플레이트(51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510)의 회전에 의해서 높이 가변부(500)의 위치가 변경 되면 스토퍼(530)가 지지 플레이트(510)의 상면과 접촉하여 높이 가변부(500)는 정지된다. 이?, 지지 플레이트(510)와 접촉하는 스토퍼(530)의 단부에는 충격완화를 위해서 고무, 실리콘 등의 충격완화부재(531)를 설치 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510)의 상면에는 사용자의 발바닥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는 위치 표시부(511)를 형성될 수 있다. 위치 표시부(511)는 사용자와 핸들(200)의 관계를 표시하는 것으로 특정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위치 표시부(511)는 발바닥 형태, 다각형 또는 원형 형태로 표시 될 수 있다. 또한, 발의 크기에 따라 위치 표시부(511)의 크기를 다르게 형성하거나, 발의 중심이 핸들(200)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핸들(200)의 수직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0)도 지지 플레이트(510)의 위치 표시부(511)와 동일하게 위치 표시부(11)를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피트니스 구조물(1000)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 는 도 1의 피트니스 구조물(1000)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 은 도 3의 피트니스 구조물(1000)을 이용하는 사용자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내지 도 6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높이 가변부(500)의 위치를 변경하여 피트니스 구조물(1000)을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할 수 있다.
사용자는 높이 가변부(500)에 올라선 후에 핸들(200)을 잡고(도 5참조) 상측으로 힘을 가력하여 핸들(20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지면이나 베이스 플레이트(10)에서 일정 간격(d) 이격된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서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허리와 허벅지가 이루는 각(ANG1)을 유지하면서, 핸들(200)을 가이드부(400)를 따라 왕복 선형운동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베이스 플레이트(10)나 지면에서 핸들(200)을 잡고(도6 참조) 상측으로 힘을 가력하여 핸들(20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허리와 허벅지가 이루는 각(ANG2)을 유지하면서, 핸들(200)을 가이드부(400)를 따라 왕복 선형운동 할 수 있다. ANG1 또는 ANG2는 사용자가 각 동작 상태에서 올바른 운동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각으로 특정 각도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신체 크기 및 유연성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웨이트 트레이닝 중 하나인 데드리프트의 올바른 운동방법은 허리와 상체를 곧게 뻗어야 하고, 바벨이 사용자의 정강이에 달라 붙어서 수직방향으로 선형운동을 유지하여야 한다. 또한, 운동 시작 자세에서 정강이와 허벅지가 이루는 각도, 즉 무릎이 굽혀진 각도가 거의 수직에 가깝게 형성되어야 하고, 운동자가 바벨을 상하로 이동하여 운동 시에 무릎이 발끝 앞으로 튀어나가지 않도록 무릎이 굽혀진 각도를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유연성이 떨어지거나 배가 나오거나 허리를 세우는 척추 기립근이 약해서 운동 능력이 부족한 사용자는 올바른 운동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피트니스 구조물(1000)은 가이드부(400)를 구비하여 핸들(200)의 운동방향을 수직방향으로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핸들(200)과 가이드부(400)가 부딪치지 않도록 운동을 하면, 핸들(200)이 사용자의 정강이에 붙으면서 핸들(200)을 수직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즉, 핸들(200)이 기 설정된 방향으로 운동 시에 가이드부(40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이동할 수 있다.
피트니스 구조물(1000)은 높이 가변부(500)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체격 또는 유연성에 적합한 위치에서 운동을 할 수 있다.
체격이 작은 사용자는 상대적으로 무릎과 발바닥 사이의 거리가 짧다. 따라서 핸들(200)이 정강이에 붙어서 상하 운동하기 위해서는 높이 가변부(500)를 설치하여 핸들(200)의 이동가능 범위를 확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높이 가변부(500) 위에 올라서 운동을 하면 발바닥에서 핸들(200)의 위치 사이의 거리가 짧아져서 체격이 작은 사용자의 운동 범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유연성 있는 사용자는 발바닥에서 가까운 위치의 핸들(200)을 잡고 운동할 수 있다. 즉 유연성 있는 사용자는 높이 가변부(500) 위에 올라서서 핸들(200)을 잡고 운동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운동 범위를 확대할 수 있으며, 운동 효과도 증대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발바닥에서 핸들의(200)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면 사용자의 무릎이 굽혀진 각도가 줄어들게 되며, 사용자는 다리근육(대퇴사두근)을 더욱 이용하여 운동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이에 반해 유연성이 없는 사용자는 발바닥에서 가까운 위치의 핸들(200)을 잡을 수 없다. 이때, 사용자는 높이 가변부(500)를 회전시켜서 이동시킨 후에 지면이나 베이스 플레이트(10) 위에서 핸들(200)을 잡고 운동 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유연성에 적절하게 높이 가변부(500)의 위치를 변경하여 사용자의 능력에 맞추어 운동을 할 수 있다.
피트니스 구조물(1000)은 가이드부(400)가 사용자의 가력 방향 및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운동 효과를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피트니스 구조물(1000)은 높이 가변부(500)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범위를 변경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운동능력에 따라 적절한 운동 자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피트니스 구조물(1000)은 높이 가변부(500)의 위치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능력에 맞게 이용하여, 잘못된 운동 자세 및 방법에서 발생하는 운동자의 부상을 방지 및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피트니스 구조물(1000)은 핸들(200)을 거치부(300)에 거치하여 로드부(100)의 하중변경 시에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피트니스 구조물(1000)은 위치 표시부(511)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위치 설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로드부
200: 핸들
300: 거치부
310: 그루브
400: 가이드부
500: 높이 가변부
510: 지지 플레이트
511: 위치 표시부
520: 받침부
530: 스토퍼
1000: 피트니스 구조물

Claims (10)

  1. 로드부;
    사용자가 가력하여 위치를 이동하거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는 핸들;
    상기 로드부에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핸들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
    상기 핸들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핸들의 하측에 설치되어 지면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의 높이가 변경되면 상기 지면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상기 사용자는 변경된 높이에서 운동을 할 수 있는 높이 가변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부는,
    일단은 기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고, 타단은 상기 핸들의 길이방향의 중심에 연결되어 상기 핸들의 이동에 따라 위치 또는 방향이 변경되는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높이 가변부는,
    상기 거치부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높이 가변부가 상기 연결 프레임에 대해 일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높이 가변부의 일면이 상기 지면을 마주 보도록 배치되면, 상기 사용자는 상기 지면에서 데드리프트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상기 높이 가변부가 상기 연결 프레임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높이 가변부의 타면이 상기 지면을 마주 보도록 배치되면, 상기 사용자는 상기 높이 가변부에서 데드리프트 운동을 할 수 있는, 데드리프트용 피트니스 구조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는 중량 또는 탄성을 조절 가능한, 데드리프트용 피트니스 구조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는 상기 핸들이 상기 거치부에 거치되면 상기 로드부의 하중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는, 데드리프트용 피트니스 구조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기 설정된 상기 핸들의 이동경로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데드리프트용 피트니스 구조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핸들의 거치 시에 상기 핸들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그루브를 구비하는, 데드리프트용 피트니스 구조물.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가변부의 상면와 상기 핸들 사이의 거리는 상기 거치부가 설치된 지면과 상기 핸들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데드리프트용 피트니스 구조물.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가변부는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지정하기 위해서 위치 표시부를 구비하는, 데드리프트용 피트니스 구조물.
KR1020140068587A 2014-06-05 2014-06-05 데드리프트용 피트니스 구조물 KR101592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587A KR101592490B1 (ko) 2014-06-05 2014-06-05 데드리프트용 피트니스 구조물
PCT/KR2015/005674 WO2015186993A1 (ko) 2014-06-05 2015-06-05 피트니스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8587A KR101592490B1 (ko) 2014-06-05 2014-06-05 데드리프트용 피트니스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156A KR20150140156A (ko) 2015-12-15
KR101592490B1 true KR101592490B1 (ko) 2016-02-05

Family

ID=54767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8587A KR101592490B1 (ko) 2014-06-05 2014-06-05 데드리프트용 피트니스 구조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92490B1 (ko)
WO (1) WO201518699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7151A (ko) 2021-11-25 2023-06-0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데드리프트 자세 교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430Y1 (ko) 2016-07-08 2017-01-23 (주)뉴텍웰니스 모노리프트
KR102638675B1 (ko) * 2023-08-05 2024-02-19 김주회 충격 완충구조를 가지는 데드리프트 플랫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1003126A1 (en) * 1978-04-05 1981-11-12 L Lambert Leg extension,leg curl,hip,thigh,back and buttocks machine
US20050239612A1 (en) * 2003-06-27 2005-10-27 Keiser Dennis L Exercise apparatus using weight and pneumatic resistances
KR200408778Y1 (ko) * 2005-12-02 2006-02-16 강석철 다리운동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4826B2 (ja) * 1989-11-20 1995-04-19 紀男 椙棟 筋力測定器具
JPH07397A (ja) * 1993-06-15 1995-01-06 Hitachi Medical Corp 超音波診断装置
US6544150B1 (en) * 2000-01-05 2003-04-08 Anatoly Ivanovich Samodoumov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weight training exercises
JP3083398U (ja) * 2001-07-13 2002-01-25 李孝忠 全機能ウェイトトレーニ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1003126A1 (en) * 1978-04-05 1981-11-12 L Lambert Leg extension,leg curl,hip,thigh,back and buttocks machine
US20050239612A1 (en) * 2003-06-27 2005-10-27 Keiser Dennis L Exercise apparatus using weight and pneumatic resistances
KR200408778Y1 (ko) * 2005-12-02 2006-02-16 강석철 다리운동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7151A (ko) 2021-11-25 2023-06-0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데드리프트 자세 교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0156A (ko) 2015-12-15
WO2015186993A1 (ko) 2015-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40916A1 (en) Fitness training units
EP2111268B1 (en) Abdominal exercise device
US7485079B2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US4111417A (en) Torso exerciser
US7794361B2 (en) Swing handle arrangement for an exercise equipment
US20110195822A1 (en) Wall-Mounted Home Fitness Training Equipment
US9731162B2 (en) Free-motion dynamic resistance trainer for sports and rehabilitation movement training
US8267843B2 (en) Gluteus weight training machine
KR20130090761A (ko) 방향 전환 기계 및 그 훈련 방법
US9446284B2 (en) Squat exercising
US20140128231A1 (en) Unique Exercise and Strength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of Exercise and Strength Training
US20140113780A1 (en)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101592490B1 (ko) 데드리프트용 피트니스 구조물
US9968817B2 (en) Unibody fitness system
US20140235413A1 (en) Suspension trainer
US20170087406A1 (en) Exercise Wedge
US6425845B1 (en) Abdominal buttocks and other muscle groups exercise device
US20120083392A1 (en) Variable grip and resistance exercise machine
US11331536B1 (en) Isokinetic rotational testing, evaluation and training system
KR101351985B1 (ko) 힙업 운동기구
KR200485362Y1 (ko) 코어 근육 강화 및 스트레칭을 위한 운동 장치
US9227100B2 (en) Portable physical therapy exercise support stand
JP2016168337A (ja) 足圧連動トレーニング器具
KR102591446B1 (ko) 데드리프트 자세 교정장치
EP3162412B1 (en) Training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