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0761A - 방향 전환 기계 및 그 훈련 방법 - Google Patents

방향 전환 기계 및 그 훈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0761A
KR20130090761A KR1020127030241A KR20127030241A KR20130090761A KR 20130090761 A KR20130090761 A KR 20130090761A KR 1020127030241 A KR1020127030241 A KR 1020127030241A KR 20127030241 A KR20127030241 A KR 20127030241A KR 20130090761 A KR20130090761 A KR 20130090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assembly
user
upper body
machine
pivo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30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길 레예스
Original Assignee
그라 이노베이션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라 이노베이션즈 엘엘씨 filed Critical 그라 이노베이션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30090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07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07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 A63B21/0428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the ends moving relatively by linear recipro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07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 A63B21/0421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the ends moving relatively by a pivoting arrang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8User-manipulated weights anchored at one e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5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should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7Pivot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63B23/03525Supports for both feet or both hands performing simultaneously the same movement, e.g. single pedal or single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023/0411Squatting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62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 A63B21/0626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 A63B21/0628User-manipulated weights including guide for vertical or non-vertical weights or array of weights to move against gravity forces with substantially vertical guiding means for vertical array of weigh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2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37Basket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047Walking and pulling or pushing a lo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방향 전환 기계는 사용자의 다양한 근육들과 신체 구조들을 위한 훈련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계는 신체의 방향 전환과 연관된 근육들과 신체 구조들에 대해 집중된 훈련을 제공한다. 상기 기계는 구조에 의해 지지된 피벗팅 아암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암 조립체는 저항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아암 조립체에 결합하였을 때, 하방의 저항이 사용자에게 가해질 수 있다. 사용자는 그 또는 그녀의 상체와 아암 조립체를 결합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를 세우거나 낮추고, 측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이들 모두와 관련된 훈련 또는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기계는 사용자에게 소정의 저항을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적합한 다양한 조절가능한 부품들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방향 전환 기계 및 그 훈련 방법 {CHANGE OF DIRECTION MACHINE AND METHOD OF TRAINING THEREFOR}
본원은 "방향 전환 기계 및 그 훈련 방법"이란 명칭으로 2010년 5월 25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번호 제61/348,164호를 우선권 주장한다.
본 발명은 운동 장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훈련 기계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쿼트(squat) 운동은 하체를 강화하기 위해 효과적이며 유명한 운동이지만, 동적인 육상 훈련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스쿼트는 제한되고 한정적인 상하 동작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스쿼트는 부상의 위험이 높기 때문에 주의하여 실시되어야 한다. 이는 전형적으로 웨이트(weights)를 가지고 스쿼트를 실시하는 경우에 특히 그러하며, 웨이트는 웨이트의 바(bar)를 뒷목과 어깨에 걸쳐 지지한 사용자에 의해 자유롭게 지지된다.
스쿼트를 실시할 때 부상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많은 운동 보조기구들이 개발되었다. 예컨대, 스쿼트에 사용되는 웨이트들은, 웨이트가 전방, 측방,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거나 너무 극단적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2개의 수직 레일들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열체는 몇가지 단점들이 있다. 하나의 그러한 단점은 바를 지지하고 가이드하는 수직 레일들이 임의의 방향으로의 바의 이동을 제한하지만, 직상(直上) 직하(直下) 방향으로 제한한다는 것이다. 이는 무릎과 등의 부자연스러운 동작을 초래하여 부상이나 비효과적인 운동으로 이어진다.
다른 해법은 들어올리는 사람이 균형을 잃으면 프리 바의 각 단부에서 웨이트를 붙잡아 주는 보조자(human spotter)를 활용하는 것이다. 이것이 가능한 해법이긴 하지만, 무릎과 등의 부상을 방지하지는 않으며, 보조자들만 좋을 뿐이다. 더욱이, 들어올릴 때마다 보조자를 활용할 수는 없으며, 들어올리는 사람의 동작 범위가, 전방이나 후방으로 기울이는 것이 가능하긴 하지만, 여전히 주로 상하로 제한되며, 이는 부상 위험을 증대시킨다.
하기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연관된 결함들을 해소하면서, 종래 기술의 구조로는 가능하지 않거나 고려되지 않은 많은 추가적인 장점들과 잇점들을 제공한다는 것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향 전환 기계는 그 사용자의 다양한 근육들과 신체 구조들을 강화하고 탄력 있게 만들기 위한 독특한 훈련을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기계는 사용자의 토르소(torso) 또는 코어(core)뿐만 아니라 하체의 근육들 및 신체 구조들과 연관될 수 있다. 이하에 더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기계는, 다른 근육들과 신체 구조들뿐만 아니라, 운동 방향을 전환할 때 사용되는 근육들과 신체 구조들을 훈련시키는 구조와 작용을 제공한다. 상기 기계는 사용자의 넓은 동작 범위에 대한 저항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하다. 또한, 상기 기계는 다른 운동들과 운동 기구들보다 향상된 안전성과 편의성을 제공한다.
상기 방향 전환 기계는 다양한 구조들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계는 피벗팅 단부와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어깨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결합 단부를 가진 아암 조립체와, 상기 피벗팅 단부에서 상기 아암 조립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운동 기계일 수 있다. 상기 아암 조립체는 상기 지지 구조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 구조물에 대해 상기 피벗팅 단부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운동 기계는 상기 아암 조립체의 피벗팅 단부에 피벗을 또한 포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피벗은 복수의 수평 및 수직 방향들로 상기 지지 구조물에 대해 상기 아암 조립체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암 조립체는 당해 아암 조립체를 제 위치에 잠금하기 위해 결합되고 당해 아암 조립체를 잠금 해제하기 위해 분리되도록 구성된 잠금 기구를 포함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 아암 조립체에 제 1 단부가 커플링되고 상기 지지 구조물에 제 2 단부가 커플링된 탄성 저항 장치가 사용자에게 저항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아암 조립체의 길이를 따라 이동가능한 장력 조절기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저항 장치의 제 1 단부는 아암 조립체에 의해 제공되는 저항이 조절될 수 있도록 상기 장력 조절기에 커플링될 수 있다. 상기 장력 조절기는 상기 아암 조립체의 길이를 따라 당해 장력 조절기를 이동시키고 제 위치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래칫 기구(ratcheting mechanism)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동 기계는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어깨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아암 조립체의 결합 단부에 하나 이상의 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패드들은 상기 결합 단부에서 상기 결합 조립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경우들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패드들의 측방향 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아암 조립체의 결합 단부에 하나 이상의 범위 제한기들이 있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방향 전환 기계는 사용자에게 하방 저항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피벗팅 아암과, 당해 운동 기계를 안정화하도록 구성된 지지 구조물을 포함하는 운동 기계일 수 있다. 상기 피벗팅 아암은 상기 지지 구조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 구조물에 의해 상승된 위치에 유지되면서 상기 지지 구조물에 대해 복수의 방향들로 회전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를 위한 저항을 발생시키기 위해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가진 탄성 저항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1 단부는 상기 피벗팅 아암에 부착될 수 있는 반면, 상기 제 2 단부는 상기 지지 구조물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저항 장치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피벗팅 아암을 따라 이동가능한 장력 조절기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 저항 장치의 제 1 단부는 당해 탄성 저항 장치의 장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장력 조절기에 부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 운동 기계는 사용자의 상체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피벗 아암의 결합 단부에 하나 이상의 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상기 기계는 상기 피벗 아암의 결합 단부에 하나 이상의 회전식 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회전식 패드들은 측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되면서 사용자의 상체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암 조립체를 제 위치에 잠금하기 위해 결합되고 상기 아암 조립체를 잠금 해제하기 위해 분리되도록 구성된 잠금 기구가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잠금 기구는 상기 피벗팅 아암과 커플링된 잠금 부재와 상기 지지 구조물에 커플링된 멈춤부(stop)를 포함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멈춤부는 상기 아암이 잠긴 경우에도 상기 피벗팅 아암의 상방 운동을 허용하기 위해 개방된 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 전환 기계에서 사용자를 훈련시키기 위한 방법이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사용자의 상체의 일부에 피벗팅 아암 조립체의 결합 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상체에 가해지는 저항을 견디면서 무릎을 구부려 상체를 하강된 위치로 낮추는 단계, 및 상체에 가해지는 저항을 극복하기 위해 무릎과 허리를 펴서 상체를 상승된 위치로 세우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체를 이러한 방식으로 낮추고 세우는 것은 상기 피벗팅 아암 조립체를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상체를 전방이나 후방으로 움직이지 않고 실시될 수 있어서 부상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피벗팅 아암 조립체는 하방으로 사용자에게 저항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체가 낮춰지고 세워질 때 사용자에게 저항이 가해질 수 있다.
상기 피벗팅 아암 조립체의 잠금 기구는 기계를 사용하기 전에 당해 피벗팅 아암 조립체를 잠금 해제하기 위해 분리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기계의 저항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음을 또한 유의하여야 한다. 장력 조절기에 부착된 저항 장치에 의해 저항이 제공되는 경우, 그러한 저항의 조절은 상기 피벗팅 아암 조립체의 길이를 따라 상기 장력 조절기를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체를 낮추면서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피벗팅 아암 조립체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측방향 이동시 사용자에게 저항이 계속 가해질 수 있도록 한다. 측방향 동작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일 실시예에서,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측방향으로 제 1 발을 한걸음 옮기는 단계, 상체를 낮추면서 측방향으로 적어도 상체를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1 발과 제 2 발이 인접하도록 상기 제 1 발을 향하여 제 2 발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수반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다양한 측방향들로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방법은 1회 이상의 횟수로 상체를 낮추면서 제 1 방향에서의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1회 이상의 추가적인 횟수로 상체를 낮추면서 제 2 방향에서의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방향에서의 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 2 방향에서의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은, 그에 대응하여, 상기 피벗팅 아암 조립체를 제 1 수평 방향과 제 2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시스템, 방법, 특징 및 장점이 하기된 상세한 설명과 첨부도면들을 참조함으로써 당업자들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한 모든 추가적인 시스템, 방법, 특징 및 장점이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보호되는 것으로 하고자 의도한다.
도면들에서 부품들은 불가피하게 척도를 따르지 않았으며, 본 발명의 원리들을 나타낼 경우에는 오히려 강조되었다. 도면들에서,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여러 도면들 전체에서 대응하는 부분들을 나타낸다.
도 1a는 예시적인 방향 전환 기계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1b는 방향 전환 기계의 예시적인 지지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방향 전환 기계의 예시적인 아암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방향 전환 기계의 예시적인 잠금 기구와 장력 조절기의 사시도이다.
도 2c는 방향 전환 기계의 예시적인 잠금 기구와 장력 조절기의 사시도이다.
도 2d는 방향 전환 기계의 예시적인 잠금 기구와 장력 조절기의 사시도이다.
도 2e는 방향 전환 기계의 예시적인 잠금 기구와 장력 조절기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작동중인 방향 전환 기계의 예시적인 장력 조절기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작동중인 방향 전환 기계의 예시적인 장력 조절기의 사시도이다.
도 3c는 작동중인 방향 전환 기계의 예시적인 장력 조절기와 복원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3d는 작동중인 방향 전환 기계의 예시적인 장력 조절기와 복원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3e는 방향 전환 기계의 예시적인 장력 조절기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아암 조립체의 예시적인 결합 단부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4b는 아암 조립체의 예시적인 결합 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4c는 아암 조립체의 예시적인 결합 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4d는 아암 조립체의 예시적인 피벗팅 결합 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4e는 아암 조립체의 예시적인 피벗팅 결합 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4f는 아암 조립체의 예시적인 조절가능한 결합 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4g는 아암 조립체의 예시적인 조절가능한 결합 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방향 전환 장치의 예시적인 사용을 도시하고 있는 측면도들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방향 전환 장치의 예시적인 사용을 도시하고 있는 평면도들이다.
도 7a는 고정된 웨이트들을 구비한 예시적인 아암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7b는 고정된 웨이트들을 구비한 예시적인 아암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수많은 특수한 세부사항들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은 이러한 특수한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다른 예들에서, 공지의 특징들은 본 발명을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의 방향 전환 기계는 스쿼트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저항을 제공한다. 전통적인 스쿼트에서 함께 사용되는 웨이트들에 의해 제공되는 힘과 같이, 상기 저항은 사용자의 상체에 가해질 수 있다. 그러나, 스쿼트시 사용자의 신체와 함께 움직인다는 점에서, 방향 전환 기계의 저항은 독특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방향 전환 기계는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신체의 움직임과 일치한다. 이는 효과적인 훈련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부상의 위험을 현저히 줄인다.
전통적인 스쿼트와 달리, 방향 전환 기계의 사용자들은 훈련의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 완벽한 자세를 가질 필요가 없다. 사람은 훈련하면 피로해지기 때문에, 완벽하기는 커녕 적절한 자세를 유지하기가 극히 어렵다는 면에서, 이는 매우 유리하다. 전통적인 스쿼트에 의하면 특히 그러하다. 또한, 사용자가 피로해지면, 사용자가 적절한 자세를 유지할 힘이 부족하기 때문에, 부상의 위험이 증가한다. 완벽한 자세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방향 전환 기계에서는 효과를 더 쉽게 얻을 수 있으며, 사용자는 기계에서 장시간 훈련할 수 있다.
방향 전환 기계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핸즈 프리 동작을 허용할 수 있다. 즉, 전통적인 스쿼트에서와 달리, 사용자가 훈련시 하나 이상의 웨이트들을 잡고 있을 필요가 없다. 이는 피로를 줄임으로써, 사용자가 그 또는 그녀의 에너지를 하체 훈련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방향 전환 기계는 웨이트의 낙하나 추락과 관련된 위험이 없기 때문에 더 안전하다. 또한, 방향 전환 기계는 사용자가 보조자 또는 조력자 없이 스쿼트를 실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 편리하다.
(하기된) 여타의 이유들 때문에, 방향 전환 장치는 사용자의 인체공학적 안락함과 편의를 향상시키면서도 사용자에게 향상된 훈련과 더 나은 효과를 제공하는 "인체공학"을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방향 전환 기계는 하나 이상의 강화된 스쿼트들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강화된 스쿼트들은 전통적인 스쿼트들보다 훨씬 더 큰 동작 범위를 가지며, 부상의 위험이 현저히 감소된다. 예컨대, 이하에 더 설명된 바와 같이, 방향 전환 기계에 의해 제공되는 저항은 넓은 측방향 동작 범위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강화된 스쿼트들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동작들을 신속하고 강하게 만드는 능력은 특히 테니스와 농구와 같은 스포츠에서 속도와 민첩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하체 근육들을 만드는데 매우 유리하다.
이제, 도 1a를 참조하여, 방향 전환 기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 전환 기계는 지지 조립체(104)와 아암 조립체(108)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지지 조립체(104)는 방향 전환 기계의 하나 이상의 요소들을 지지하거나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지지 조립체(104)는 방향 전환 기계를 위한 안정된 베이스를 제공하고, 아암 조립체(108)를 사용하기 위한 상승된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조립체(104)는 방향 전환 기계의 요소들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예컨대, 지지 조립체(104)는 방향 전환 기계의 아암 조립체(108)와 다른 부품들을 유지하는 프레임(116)으로서 구성된다. 또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 조립체(104)는, 아암 조립체가 그 부착 지점으로부터 베이스로 연장하거나 캔틸레버식으로 돌출하는 경우에도, 아암 조립체(108)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베이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하다면, 지지 조립체(104)가 지면, 벽체 또는 다른 구조에 고정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아암 조립체(108)는 다양한 높이에 유지되거나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 조립체(108)는 지면으로부터 5 내지 6피트까지 상승하게 된다. 물론, 다른 높이들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아암 조립체(108)는 사용자 신장의 3/4 또는 그 근처에 있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아암 조립체(108)는 사용자 어깨 높이 또는 그 근처에 있을 수 있다. 아암 조립체(108)는, 이하에서 더 설명하는 바와 같이, 소정 높이에 고정되거나, 다양한 높이들로 고정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지지 조립체(104)는, 특히, 기계가 사용중일 때, 방향 전환 기계가 기울어지거나 불안정하게 되지 않도록 아암 조립체(108)가 그로부터 연장될 수 있도록 낮은 무게 중심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지지 조립체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비교적 컴팩트할 수 있다. 이는 방향 전환 기계 주위에서 사용자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훈련시 지지 조립체와 접촉할 위험 없이 아암 조립체(108)를 잡고 지지 조립체(104) 주위로 움직일 수 있다.
아암 조립체(108)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아암 조립체(108)는 피벗(120)에 의해 피벗 단부(136)에서 지지 조립체(104)에 부착된 캔틸레버(124)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아암 조립체(108)의 결합 단부(140)에서 아암 조립체(108)에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아암 조립체에 편안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패드(128)들이 아암 조립체(108)의 제 2 단부에 있을 수 있다.
상기 피벗(120)은 아암 조립체(108)의 결합 단부(140)가 다양한 방향들로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아암 조립체(108)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수평으로, 수직으로, 또는 이들 모두로 움직일 수 있다. 이는 방향 전환 기계에서 다양한 훈련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매우 유리하다. 예컨대, 전통적인 스쿼트는 아암 조립체(108)를 수직으로 들어올리고 내리면서 실시될 수 있었다. 또한, 방향 전환 기계는 강화된 스쿼트가 실시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아암 조립체(108)를 수직으로 들어올리고 내리면서 또한, 이하에 더 설명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도 움직이면서, 강화된 스쿼트가 실시될 수 있다.
상기 피벗(120)은 아암 조립체(108)의 결합 단부(140)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피벗(120)은 다중의 축 또는 임의의 축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피벗(120)은 아암 조립체(108)가 임의의 축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볼 조인트로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유니버셜 조인트가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다른 결합체(union)가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힌지 조인트와 같은 단일 축 조인트가 몇몇 실시예들에서 사용될 수 있다. 힌지 조인트는 하나 초과의 축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힌지 조인트는 하나 초과의 축을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다른 힌지 조인트에 커플링될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 조립체(104)에서 피벗(120)의 위치는 아암 조립체(108)의 상승되거나 하강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피벗(120)은 지지 조립체(104)의 상부에 위치된다. 지지 조립체(104)에서 피벗(120)의 위치는 방향 전환 기계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고정되거나 조절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피벗(120)은 아암 조립체(108)에 고정된 높이를 제공하기 위해 지지 조립체(104)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피벗(120)은 아암 조립체(108)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상승하거나 하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벗(120)은 지지 조립체(104)의 피벗 지지체(148)에 장착될 수 있다. 피벗 지지체(148)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상승되거나 하강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방식들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컨대, 도 1b에서, 피벗 지지체(148)는 슬리브 및 튜브 구조를 포함하며, 여기서, 피벗 지지체를 늘리고(즉, 상승시키고) 줄이기(즉, 낮추기) 위해 외측 슬리브(152)와 내측 튜브(156)가 서로에 대해 슬라이드하거나 이동할 수 있다. 소정 높이에 도달하면, 슬리브(152)와 내측 튜브(156)는 서로에 대해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b에서, 내측 튜브(156)와 슬리브(152)를 고정시키기 위해 이들의 개구를 통해 핀(160)이 삽입될 수 있다. 물론, 슬리브(152)와 내측 튜브(156)는, 핀(160) 대신 또는 핀에 부가하여, 하나 이상의 클립, 클램프, 스크류 등과 같은 다른 방식들로 고정될 수 있다.
아암 조립체(108)가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는 능력은, 다양한 신장의 사용자들이 방향 전환 기계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방향 전환 기계는 단신의 사용자들뿐만 아니라 장신의 사용자들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아암 조립체(108)는 사용자의 어깨 높이에 또는 그 부근에 위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기계에 결합하는 것을 용이하게 만드는 어느 위치나 가능하다.
아암 조립체(108)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잠금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잠금 기구는 사용하지 않을 때 아암 조립체(108)를 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렇지 않으면, 아암 조립체(108)의 피벗(120)이 아암 조립체가 수직 방향들로 움직일 수 있도록 허용하기 때문에, 이는 바람직하다. 이를 설명하면, 도 1a에서, 아암 조립체(108)는 실질적으로 수평 위치에 잠금된다. 이 위치는 잠금 기구의 사용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잠금 기구는 아암 조립체(108)를 편리한 위치에 위치시킨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도 1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잠금 위치에 있는 아암 조립체(108)의 결합 단부(140)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물론, 잠금 기구는 아암 조립체(108)를 다양한 위치들에 유지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아암 조립체(108)는 사용자가 패드(128)들 속으로 및/또는 아래로 발을 들여놓음으로써 아암 조립체에 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유지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아암 조립체를 먼저 들어올릴 필요없이 아암 조립체(108)에 결합할 수 있다.
잠금 기구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아암 조립체(108)를 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잠금 기구의 제 1 부분은 잠금 기구의 제 2 부분에 결합할 수 있다. 일단 결합되면, 제 1 부분, 제 2 부분 또는 양 부분들이 아암 조립체(108)를 제 위치에 물리적으로 유지할 수 있거나, 아암 조립체의 특정 움직임(들)을 억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잠금 기구들이 도 2a 내지 도 2e에 도시되어 있다. 도 2a는 잠금 기구를 도시하고 있는 아암 조립체(108)의 사시도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잠금 기구는 커플러(224)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복수의 커플러(224)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설명하면, 도시된 실시예는 아암 조립체(108)의 각 측부에 하나씩 2개의 커플러(224)들을 갖는다. 커플러(224)는 아암 조립체(108)를 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결합되는 2개의 분리된 구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커플러(224)는 아암 조립체(108)를 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잠금 부재(204)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멈춤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이 결합되면, 멈춤부(220)와 잠금 부재(204) 간의 물리적 접촉이 아암 조립체(108)의 바람직하지 않은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잠금 부재(204)는 아암 조립체에 부착될 수 있는 반면, 멈춤부(220)는 지지 조립체(104)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결합되었을 때, 커플러(224)는 지지 조립체(104)에 대해 아암 조립체(108)를 제 위치에 고정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잠금 부재(204)는 아암 조립체(108)에 부착되고, 멈춤부(220)는 지지 조립체(104)에 부착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잠금 부재(204)의 단부(212)가 몇몇 실시예들에서 성형된 단부를 가질 수 있음을 볼 수 있다. 예컨대, 도 2b에서, 단부(212)는 일단에서 사각형상을 갖는다. 이는 잠금 부재(204)가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한 멈춤부(220)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잠금 부재(204)와 멈춤부(220)의 평면적인 특징들은 결합되었을 때 물리적으로 긴밀하게 접촉한다. 이는 잠금 부재(204)와 멈춤부(220)의 서로에 대한 움직임을 제한하고, 결국, 아암 조립체(108)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물론, 잠금 부재(204)의 단부(212) 또는 다른 부분이 다양한 형상들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단부가 라운드형, 평판형, 직사각형, 다각형 또는 다른 형상일 수 있다. 멈춤부(220)는 잠금 부재(204)와 결합하거나 이를 수용하도록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멈춤부(220)는 아암 조립체(108)를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라운드형 잠금 부재와 결합허가나 이를 수용하도록 라운드형 개구를 포함하거나, 휘어질 수 있다.
커플러(224)는, 당해 커플러가 결합되었을 때에도, 아암 조립체(108)의 약간의 상방향 운동을 허용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는 사용자가 커플러(224)를 분리하여 아암 조립체를 먼저 잠금 해제할 필요없이 아암 조립체(108)의 결합 단부(140)에 결합하여 똑바로 일어설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이를 설명하면, 도 2b에서, 멈춤부(220)는 상부 영역이 개방된 선반형 구조로서 구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멈춤부(220)는 아암 조립체(108)가 (잠겼을 때) 하방으로 움직이는 것은 억제하지만, 적어도 약간의 상방향 운동은 허용한다. 이는 아암 조립체가 잠금 해제되기 전에 사용자인 그 또는 그녀가 아암 조립체(108)를 잡고 똑바로 일어서서 버틸 수 있도록 한다.
커플러(224)의 잠금 부재(204)는 당해 잠금 부재가 멈춤부(220)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이동가능할 수 있다. 이는 잠금 부재(204)가 이동하여 멈춤부(220)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마운트(216)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트(216)는 멈춤부(220)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잠금 부재(204)가 당해 마운트 내부에서 슬라이드하거나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개방 구조를 포함한다. 도 2b에서, 잠금 부재(204)와 멈춤부(220)는 결합되어 있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멈춤부(220)를 분리하기 위해, 잠금 부재(204)는 아암 조립체(108)를 해제하고 멈춤부로부터 멀리 슬라이드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이동할 수 있다. 마운트(216)는 잠금 부재(204)가 멈춤부(220)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가이드, 트랙 등으로서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2a를 다시 참조하면, 잠금 기구는 사용자가 당해 잠금 기구를 더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핸들(208)들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잠금 기구를 직접 잡을 수 있기 때문에, 핸들(208)들이 모든 실시예들에 존재하는 것은 아님을 유의하여야 한다. 만약, 핸들(208)이 포함되어 있다면, 사용자가 핸들에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핸들이 아암 조립체(108)의 결합 단부(140)에 또는 그 부근에 위치되도록, 핸들(208)이 잠금 부재(204)에 부착될 수 있다. 핸들(208)이 사용자 근처에 위치될 수 있도록, 잠금 부재(204)들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세장형일 수 있다.
작동에 있어서, 아암 조립체(108)를 제 위치에 잠금하기 위해, 사용자는 핸들(208)을 파지하고 잠금 부재(204)들을 움직여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멈춤부(22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아암 조립체(108)를 해제하기 위해, 사용자는 핸들(208)을 파지하고 잠금 부재(204)들을 움직여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멈춤부(220)를 분리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핸들(208)을 파지하고 잠금 부재(204)들을 전방으로 슬라이드하여 멈춤부(220)에 결합시키고 후방으로 슬라이드하여 멈춤부(220)를 분리할 수 있다. 핸들(208)들은 다른 목적들을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이하에 더 설명한 바와 같이 아암 조립체(108)에 더 결합하기 위해 훈련중 핸들들을 파지할 수 있다.
잠금 기구는 몇몇 실시예들에서 공통 단부(212)를 공유하는 잠금 부재(204)들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부재(204)들은 공유된 단부(212)에서 링크된다. 단부(212)는 아암 조립체(108)를 제 위치에 잠금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단부(212)는 아암 조립체(108)를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멈춤부(220)와 결합하는 회전가능한 부분을 가질 수 있다.
그러한 일 실시예가 도 2d에 도시되어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단부(212)는 멈춤부(220)와 결합하기 위해 회전하는 롤러(22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d의 실시예에서, 잠금 부재(204)들이 아암 조립체를 제 위치에 잠금하기 위해 이동할 때, 롤러(228)는 그 자체가 멈춤부(220)와 아암 조립체(108) 사이에 끼워진다. 롤러(228)는 원형상이며,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228)는 아암 조립체(108)와 멈춤부(220) 사이에 긴밀하게 결합하도록,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그루브들을 가질 수 있다. 롤러(228)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고무, 플라스틱, 목재, 금속 또는 다른 강성이거나 준강성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도 2d에서, 예컨대, 롤러(228)의 그루브(232)는 롤러가 멈춤부(220)와 인접한 아암 조립체(108)의 둥근 부분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멈춤부(220)는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236) 또는 절곡부를 가질 수 있다. 이는 롤러를 수용하기 위해 확대된 면적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랜지(236)는 아암 조립체와 멈춤부(220) 사이에 더 큰 거리가 제공되도록 아암 조립체(108)로부터 및/또는 하방으로 휘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롤러(228)는 플랜지(236)에 의해 멈춤부(220)와 아암 조립체(108) 사이의 더 긴밀하고 더 작은 영역 "속으로" 안내되어 롤러를 잠그고, 그에 따라 아암 조립체(108)를 제 위치에 잠글 수 있다. 롤러(228)가 플랜지 없이 멈춤부(220)에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플랜지(236)가 모든 실시예들에 제공될 필요가 없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대안적 실시예에서, 플랜지(236)를 포함하기 보다는, 멈춤부(220) 자체가 아암 조립체(108)로부터 휘어질 수 있다.
롤러(228)는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멈춤부로부터 롤러를 이동시킴으로써 멈춤부(22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는 잠금 부재(204)들의 핸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단 분리되면, 아암 부재(108)들은 하나 이상의 운동들을 실시하도록 움직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아암 조립체(108)는 훈련중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해 저항을 제공한다. 이는 훈련중 사용자의 근육을 강화하고 탄력 있게 만든다는 면에서 매우 유리하다. 저항은 아암 조립체(108)에 의해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힘을 포함할 수 있다. 저항은 다양한 힘 벡터들을 따라 전달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저항은 하방의 힘 벡터를 따를 것이며, 다양한 각도들일 수 있다. 따라서, 이는 아암 조립체(108)가 사용자에게 하방의 힘 벡터를 가진 저항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이 저항을 발생시키기 위해 다양한 저항 장치들이 사용될 수 있다. 실제로, 아암 조립체(108)를 통해 하방의 힘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장치들이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예컨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의 힘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웨이트들이 아암 조립체(108)에 커플링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웨이트(708)들을 위한 지지체 또는 마운트가 웨이트들을 아암 조립체(108)의 일부분에 부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하나 이상의 웨이트(708)들을 유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바(704)들 등이 아암 조립체(108)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트(708)들은 아암 조립체(108)의 결합 단부(140)에 유지되지만, 웨이트들이 아암 조립체를 따르는 다양한 위치들에 있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웨이트(708)들은 소정 량의 저항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하다면 제거되거나 대체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른 예에서, 아암 조립체(108)와 웨이트 스택(weight stack)이 커플링될 수 있다. 예컨대, 하방의 힘이 가해지도록, 웨이트 스택의 케이블을 아암 조립체(108)로 안내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풀리들이 사용될 수 있다(예컨대, 상기 케이블은 아암 조립체의 아래로부터 아암 조립체에 접근한다). 전형적으로, 저항 장치는 아암 조립체의 캔틸레버(124)에서 아암 조립체(108)에 연결될 것이다.
도 1a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저항 장치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11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112)은 아암 조립체(108)와 지지 조립체(104) 사이에 부착될 수 있다. 스프링(112)의 제 1 단부는 캔틸레버(124)에 부착될 수 있는 반면, 스프링의 제 2 단부는 지지 조립체(104)에 부착됨으로써, 스프링의 제 2 단부가 제 1 단부 아래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아암 조립체(108)가 상방향으로 움직일 때, 스프링(112)이 신장하여 저항을 제공한다. 즉, 스프링(112)은 아암 조립체(108)를 통해 하방의 힘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112)들을 인용하였으나, 다른 유사한 저항 장치들이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예컨대, 스프링들 대신 또는 그에 추가하여, 하나 이상의 탄성 밴드들이 사용될 수 있다.
스프링(112)(또는 탄성 밴드들)들은 가변적인 저항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스프링(108)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가변적인 저항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일반적으로, 가변적인 저항은 움직이거나 신장될 때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는 저항이다. 예컨대, 스프링(112)이 신장될 때, 스프링이 제공하는 저항의 크기는 증가할 수 있다. 반대로, 웨이트와 같은 고정된 저항은, 움직일 때, 일정하게 유지된다.
사용자의 힘은 체력 곡선을 따라 변할 수 있다. 예컨대, 근육의 힘은 수축할 때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골격 구조는 많은 지주 및 레버 구조들(예컨대, 팔, 다리 및 이들의 관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이 구조들의 위치에 따라 움직임에 대한 저항을 다소 쉽게 만들 수 있다. 고정된 저항과는 반대로, 가변적인 저항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체력 곡선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이것이 유리하긴 하지만, 방향 전환 기계는 전술한 웨이트들과 같이 고정된 저항 장치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제공되는 저항의 크기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조절가능할 수 있다. 저항의 조절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몇몇 실시예들에서 사용자는 아암 조립체와 커플링된 웨이트의 양을 늘릴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사용자는 저항을 조절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스프링(112)들 또는 탄성 밴드들을 다른 스프링(들) 또는 탄성 밴드(들)과 교환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스프링(112)들 또는 탄성 밴드들이 저항을 증대시키기 위해 추가되고, 저항을 줄이기 위해 제거될 수 있다.
스프링(112) 등을 사용하는 실시예들에서, 방향 전환 기계는 제공되는 저항을 조절하기 위한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아암 조립체(108), 지지 조립체(104) 또는 이들 모두는 저항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설명하면, 아암 조립체(108), 지지 조립체(104) 또는 이들 모두는 방향 전환 기계의 스프링(112)들의 장력을 증대시키는 부품 또는 구조들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프링(112)들에 의해 제공되는 저항의 크기가 증대된다. 마찬가지로, 아암 조립체(108), 지지 조립체(104) 또는 이들 모두는 제공되는 저항의 크기를 대응하여 감소시키도록 그 장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a의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112)들의 장력을 증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장력 조절기(144)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아암 조립체(108)를 도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장력 조절기(144)는 스플링(112)을 늘려서 장력을 증대시키고, 스프링이 수축할 수 있도록 하여 장력을 감소시킨다. 훈련중 사용자에게 저항이 즉시 제공되도록, 약간의 장력이 스프링(112)에 항상 있을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스프링(112)은 상당한 힘을 제공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다른 크기의 힘이 발생될 수도 있으나) 수백 파운드의 힘이 발생될 수 있다. 이 실시예들에서, 스프링(112)의 장력을 손으로 조절하는 것은, 불가능하지 않다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스프링(112)에 의해 발생된 힘들이 가해지면, 장력의 조절이 위험할 수 있다. 따라서, 장력 조절기(144)는 장력 조절시 사용자를 보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쉽고 안전한 장력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매우 유리하다. 또한, 몇몇 실시예들에서, 장력 조절기(144)는 하나 이상의 설정 위치들 또는 부위들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저항을 일정한 설정 수준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장력 조절기(144)는 그 설정 위치들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표식들(예컨대, 라벨들)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들은 장력 조절기(144)가 특정 위치로 움직이면 방향 전환 기계에 의해 어느 정도의 장력 또는 힘이 가해질 것인지를 나타낸다. 이는, 스프링(112)들 또는 탄성 밴드들 등을 사용할 경우 힘 또는 장력의 크기를 쉽게 알 수 없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장력 조절기(144)는 스프링(112)의 장력 조절을 허용하도록 아암 조립체(108)를 따라 이동가능할 수 있으며, 소정의 장력이 실현되면,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력 조절기(144)는 장력을 증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하나의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c에서는 제 1 장력이 가해지는 반면, 도 3b 및 도 3d에서는 스프링의 장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장력 조절기(144)를 이동시킴으로써 증대된 장력이 제공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아암 조립체(108)를 따라 다양한 위치들에 장력 조절기(144)를 위치시킴으로써, 다양한 장력들이 발생될 수 있다.
장력 조절기(144)는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장력 조절기(144)는 아암 조립체의 트랙을 따르는 것과 같이 아암 조립체(108)를 따라 장력 조절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본체와, 소정 양의 장력이 구현되면 장력 조절기를 제 위치에 유지하는 브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장력 조절기(144)의 운동을 보조하기 위해, 장력 조절기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래칫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들에서, 래칫 기구는 장력 조절기(144)를 제 위치에 유지하는 제동 또는 잠금 기능을 또한 제공할 수 있다.
아암 조립체(108)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트랙(304)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랙(304)은 장력 조절기가 움직일 때 장력 조절기(144)를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트랙(304)은 아암 조립체(108)의 결합 단부(140)와 피벗팅 단부(136) 사이의 세장형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트랙(304)은 장력 조절기(144)가 피벗 단부(136)와 결합 단부(140) 사이에서 아암 조립체(108)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트랙(304)은 별도의 구조이거나, 아암 조립체(108)의 다른 부품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304)은 아암 조립체(108)의 캔틸레버(124)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트랙(304)은 장력 조절기(144)가 트랙을 따라 이동하거나 및/또는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특징부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e에서, 트랙은 이하에 더 설명한 바와 같이 장력 조절기(144)의 이동과 장력 조절기의 제 위치에의 고정을 돕는 일련의 홈부(308)를 포함한다. 물론, 홈부(308)가 모든 실시예들에 제공될 필요는 없다. 장력 조절기(144)는 몇몇 실시예들에서 매끄러운 트랙(304) 위에서 작동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대안적으로, 홈부(308)들은 다양한 다른 구조일 수 있다. 예컨대, 트랙(304)은 일련의 개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안적으로, 트랙(304)은 트랙과 장력 조절기(144) 사이의 마찰을 증대시키기 위해 거친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장력 조절기(144)가 스프링(112)들을 신장시키면서도 제 위치에 고정되기에 충분한 "견인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도 3e는 래칫 기구를 가진 본체(312)를 포함하는 장력 조절기(144)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체(312)는 아암 조립체(108)의 캔틸레버(124)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트랙(304)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장력 조절기(144)는 사용자가 장력 조절기를 움직이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핸들(316)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핸들(316)은, 핸들(316)을 작동시키면 장력 조절기(144)가 움직여지도록, 래칫 기구와 커플링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e에서, 핸들(316)은 피벗(324)을 중심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는 래칫 기구의 기어 또는 핑거가 트랙(304)의 홈부(308)들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핸들(316)에 의해 가해지는 힘은 기어 또는 핑거를 통해 트랙(304)에 전달될 수 있으며, 장력 조절기(144)가 움직이도록 한다. 핸들(316)이 레버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힘이 증폭되어 래칫 기구를 이동시키고 스프링(112)들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을 더 쉽게(그리고 더 안전하게) 만든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장력 조절기(144)가 소정 위치에 도달하면, 핸들(316)은 잠금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핸들(316)을 잠금 위치로 이동시키면, 기어 또는 핑거가 트랙에 대해 제 위치에 잠금되고, 따라서 장력 조절기를 제 위치에 고정하게 된다. 도 3e에 잠금 위치에 있는 핸들(316)이 도시되어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잠금 위치는 멈춤부(328)과 결합하도록 핸들(316)이 전방으로 밀린(또는 당겨진) 위치이다. 래칫 기구와 커플링된 릴리스(320)가 핸들(316)을 그 잠금 위치로부터 해제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릴리스(320)를 작동시키면, 핸들(316)을 해제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핸들은 장력 조절기(144)를 움직이기 위해 다시 한번 작동될 수 있다.
래칫 기구는 장력 조절기(144)를 일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래칫 기구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아암 조립체(108)의 피벗팅 단부(136)로부터 멀리 장력 조절기(144)를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래칫 기구는 장력 조절기를 여러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아암 조립체(108)의 결합 단부(140)를 향하여 핸들(316)을 작동시키면, 장력 조절기(144)가 결합 단부를 향하여 움직이게 될 수 있는 반면, 아암 조립체의 피벗팅 단부를 향하여 핸들을 작동시키면, 장력 조절기가 피벗팅 단부를 향하여 움직이게 될 수 있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래칫 조립체가 트랙을 따라 일 방향으로 장력 조절기(144)를 움직이도록 구성된 실시예들에서, 반대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반대 방향으로 배향된) 추가적인 래칫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핸들(316)은 장력 조립체(144)를 일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해 작동될 수 있는 반면, 제 2 핸들은 장력 조립체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해 작동될 수 있다. 핸들들 중 하나 또는 모두가 장력 조절기(144)를 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그들 각각의 잠금 위치들로 움직여질 수 있다.
장력 조립체(144)는 몇몇 실시예들에서 일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예컨대, 몇몇 실시예들에서, 장력 조립체(144)는 아암 조립체(108)의 결합 단부(136)를 향하여 "걸릴(ratchet)" 수 있으며, 소정의 장력이 구현되면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 위치로부터 해제되면, 장력 조절기(144)는 아암 조립체의 피벗팅 단부(136)를 향하여 반대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이는 스프링(112)들의 장력을 증대시키는 방향으로 장력 조절기(144)를 움직이기 위해 래칫 조립체가 사용되기 때문에 유리하다.
전술한 래칫 기구에 부가하여, 아암 조립체의 피벗팅 단부(136)를 향하여 장력 조절기(144)를 움직이거나 움직이는 것을 돕기 위해 다양한 다른 기구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장력 조절기(144)를 장력이 낮아지거나 낮은 위치로 복귀시킨다. 그러한 복귀 기구들은 피벗팅 단부(136)를 향하여 장력 조절기(144)를 밀거나 당기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복귀 기구들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전기적으로 구동되거나 모터로 구동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예컨대, 장력 조절기(144)에 커플링된 기어 또는 다른 구동 기구가 활성화되거나 전기가 공급되었을 때 장력 조절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복귀 기구들은 아암 조립체의 트랙(304) 또는 다른 부분과 장력 조절기(144) 사이의 마찰을 극복하는데 있어서 유리하다. 예컨대, 스프링(112)에 의해 하방의 힘이 가해지면, 장력 조절기(144)를 피벗팅 단부(136)를 향해 움직이는 것이 곤란할 수 있다. 따라서, 복귀 기구들에 의해 제공되는 힘은 방향 전환 기계에 의해 제공되는 힘이 더 작은 피벗팅 단부(136)에 더 가까운 위치로 장력 조절기(144)가 쉽게 이동하거나 복귀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c 및 도 3d는 피벗팅 단부(136)를 향하여 장력 조절기(144)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복귀 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복귀 기구는 커넥터(312)를 통해 장력 조절기(144)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탄성 부재(304)들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304)들은 장력 조절기(144)의 상부, 하부, 또는 일측부 또는 양측부들에 부착될 수 있다. 탄성 부재(304)와 장력 조절기(144) 간의 이러한 부착 또는 연결은 탄성 부재가 장력 조절기에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장력 조절기를 움직이거나 움직이는 것을 돕는다. 탄성 부재(304)는 스프링 또는 탄성 밴드와 같은 탄성적으로 신장될 수 있는 장치 또는 물질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탄성 부재(304)는 케이블(308) 또는 다른 연결 구조를 통해 장력 조절기(144)에 부착될 수 있다. 케이블(308)인 경우, 장력 조절기(144)로부터 탄성 부재(304)까지 케이블을 안내하기 위해 풀리(312) 또는 다른 케이블 가이드(예컨대, 채널, 홀 또는 도관)가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장력 조절기(144)와 탄성 부재(304)가 서로에 대해 각도를 이룬 경우에 유리하다. 도 3c 및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풀리(312)는 장력 조절기(144)로부터 탄성 부재(304)까지 소정 각도로 케이블(308)을 전달한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력 조절기(144)가 피벗팅 단부(136)로부터 멀리 결합 단부(140)를 향하여 움직일 때, 탄성 부재(304)는 늘어나거나 신장될 수 있다. 이는 결국 탄성 부재(304)로 하여금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하도록 만들며, 반대가 아니었다면, 장력 조절기(144)를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벗팅 단부(136)에 더 가까운 위치로 복귀시켰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장력 조절기(144)는 방향 전환 기계에 의해 제공되는 힘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들 또는 장치들일 수 있다. 따라서, 장력 조절기(144)가 모든 실시예들에서 래칫 기구를 사용할 필요는 없다. 예컨대, 장력 조절기(144)는 장력 조절기의 트랙의 나사식 로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장력 조절기(144)는 나사식 로드를 회전시킴으로써 움직여질 수 있다. 전형적으로, 나사식 로드의 나사산들이 장력 조절기(144)를 제 위치에 유지할 것이기 때문에, 장력 조절기가 추가적인 동작들이나 구조들을 통해 제 위치에 잠금될 필요가 없다. 물론, 장력 조절기(144)가, 필요하다면, 하나 이상의 클립, 클램프, 핀 등에 의해 제 위치에 잠금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장력 조절기(144)의 위치를 잠금하기 위해, 나사식 로드가 제 위치에 잠금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나사식 로드가 수동으로 또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아암 조립체(108)의 일부로서 도시되어 있으나, 장력 조절기가 지지 조립체(104)의 일부 또는 방향 전환 기계의 다른 부분들의 일부일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컨대, 방향 전환 기계는 지지 조립체(104) 상에 장력 조절기 및 관련 트랙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 장력 조절기는 스프링들의 일단을 하방으로 움직임으로써 스프링들을 늘리게 된다.
도 4a와 관련하여, 아암 조립체(108)의 결합 단부(140)를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아암 조립체(108)의 결합 단부(140)는 훈련중 사용자의 어깨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아암 조립체(108)는 사용자의 어깨에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패드(128)들을 포함할 수 있다. 패드(128)들은 다양한 구조로 결합 단부(140)에서 아암 조립체(108)에 부착될 수 있다. 예컨대, 패드(128)들은 지지체(408)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지지체(408)는 사용자의 좌우측 어깨에 결합하도록 서로로부터 이격된 패드(128)들을 유지하기에 충분한 폭을 가질 것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패드(128)들은 지지체(408)에 견고하게 장착되거나, 지지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128)들은 지지체(408)에 견고하게 장착되어 있다.
도 4b는 패드(128)들이 회전식 또는 피벗식 지지체에 장착되어 있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는 패드(128)들이 사용자의 어깨 움직임에 부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패드(128)들의 회전은, 아암 조립체(108)가 하방으로 움직일 때, 패드들이 사용자를 내측으로 잡아당기지 않도록 한다.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128)들이 사용자의 어깨 주위를 감싸도록 형성된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또한, 이러한 특징은 패드(128)들이 사용자의 어깨와 상체를 제 위치에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체를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게 하는 잠재적인 부상을 방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그 또는 그녀의 상체를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올리고 내림으로써 부상의 위험을 크게 줄이면서 훈련하도록 한다. 또한, 아암 조립체(108)의 견고한 구조는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 조립체(104)로부터 고정된 거리에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며, 이 또한 사용자의 상체의 전후 방향 움직임을 제한한다.
패드(128)들의 회전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패드(128)들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힌지 또는 피벗(404)에 장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회전은 특정 방향으로 제한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예컨대, 힌지에 장착되면, 회전은 대체로 일 방향으로 제한될 것이다. 물론, 패드(128)들은 다른 실시예들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컨대, 다양한 방향들로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유니버설 조인트 또는 볼 및 소켓 조인트를 포함하는 피벗(404)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b의 실시예는 피벗(404)과 회전 제한기(412)에 의해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된 패드(128)를 도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피벗(404)은 지지체(408)에 대해 패드(128)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하는 반면, 회전 제한기(412)는 패드가 특정 운동을 하지 못하도록 억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회전 제한기(412)는 패드(128)의 측방향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된 피벗(404)은 볼(416) 및 소켓(420)을 포함한다. 볼(416)은 패드(128)에 부착되는 반면, 소켓(420)은 지지체(408)에 부착될 수 있다. 소켓(420)을 지지체(408)에 부착하기 위해, 지지 부재(424)가 사용될 수 있다. 지지 부재(42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세장형 부재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회전 제한기(412)는 패드(128)의 특정 움직임을 물리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작동한다. 예컨대, 도 4b에서, 회전 제한기(412)는, 패드가 측방향으로 회전할 때, 지지 부재(424)와 접촉하게 됨으로써 패드(128)의 측방향 운동 또는 측면에서 측면으로의 운동을 제한하는 바(bars)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회전 제한기(4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424) 주위를 순회할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방향 운동은 제한되지만, 회전 제한기(412)는 패드(128)의 전후 방향 회전은 허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회전 제한기(412)는 패드(128)의 전후 방향 회전을 위한 가이드로서 생각될 수 있다. 회전 제한기(412)의 바들은 패드(128)의 전후 방향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실시예에서, 회전 제한기(412)는 지지 부재(424)가 회전 제한기 내에서 자유롭게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패드(128)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지지체(408)에 대한 패드(128)들의 위치가 조절가능할 수 있다. 도 4c는 패드(128)들이 측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패드(128)들은 필요에 따라 서로 근접하거나 더 이격되도록 움직여질 수 있다. 이는 다양한 사용자들이 패드(128)들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예컨대, 어깨가 넓은 사용자들은 패드(128)들을 서로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는 반면, 어깨가 좁은 사용자들은 패드들을 서로를 향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패드(128)들의 조절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로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패드(128)들은 조절가능한 지지 부재(424)들을 구비한 지지체(408)에 장착될 수 있다. 조절가능한 지지 부재(424)는 지지체(408)의 부재를 따라 이동가능한 슬리브(42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c에서, 슬리브(428)는 지지체(408)의 수평 부재를 따라 이동가능하다. 이 부재는 사용자의 어깨에 대해 대체로 수직하며, 따라서, 필요에 따라, 패드(128)들이 사용자의 어깨에 결합하기 위해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소정의 위치에 놓이면, 패드(128)들은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예컨대, 패드(128)를 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핀(432)들이 슬리브(428)의 개구와 지지체(408)의 수평 부재로 삽입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핀(432)들은 수평 부재를 향하여 바이어스되도록 스프링 장착형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핀(432)들은 수평 부재의 개구 위에 위치되면 그 속으로 자동 삽입될 수 있다. 물론, 패드(128)를 제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다른 구조들 또는 장치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슬리브(428), 지지 부재(424) 또는 이들 모두가 하나 이상의 클립, 클램프, 스크류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아암 조립체(108)의 결합 단부(140)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조절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예컨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단부(140)는, 다양한 사용자의 기호를 수용하거나 다양한 크기의 사용자를 수용하기 위해, 상방으로 또는 하방으로 피벗될 수 있다. 소정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결합 단부(140)의 지지체(408)는 사용을 위해 제 위치에 잠금되거나, 이후의 재조절을 위해 잠금 해제될 수 있다.
그러한 피벗팅을 실시하기 위해 피벗팅 마운트가 사용될 수 있다. 피벗팅 마운트는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도 4d에서, 지지체(408)의 둥근 부분이 슬리브(436) 내에 유지되며, 이는 지지체(408)가 슬리브(436)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한 피벗팅을 실시하기 위해 다른 구조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힌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소정 위치로 피벗되면, 지지체(408)는 하나 이상의 클립, 클램프, 스크류, 핀 등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지지체(408)의 위치를 다시 결정하기 위해, 이 아이템들은 해제될 수 있다. 다른 유지 기구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예컨대, 도 4d는 지지체(408)와 그에 따라 결합 단부(140)를 소정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핀(44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플레이트(444)를 포함하는 지지체(408)용 피벗팅 마운트를 도시하고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444)는 핀(440)을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개구(448)들을 가질 수 있다. 핀(440)은, 지지체가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체(408)를 해제하기 위해, 후퇴가능하거나, 스프링 장착형이거나, 그렇지 않으면, 제거가능할 수 있다. 핀(440)은 지지체(408)를 소정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개구(448)들 중 하나에 재삽입될 수 있다. 개구(448)들은, 지지체(408)가 피벗될 때, 각각의 개구들이 핀(440)과 정렬될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배열로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444) 자체는 지지체(408)가 피벗될 때 다른 구조들의 충돌을 피하도록 하기 위해 곡선 형상 또는 곡선 부분을 가질 수 있다.
핀(440)이 지지체(408)의 일부분에 장착될 때(또는 그 반대일 때), 플레이트(444)는 슬리브(436)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지체(408)가 피벗될 때, 핀(440)과 플레이트(444)는 서로에 대해 움직인다. 이는 핀(440)이 플레이트(444)의 하나 이상의 다양한 개구(448)들과 정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지체(408)는, 핀을 정렬된 개구 속으로 삽입함으로써, 다양한 위치들에서 핀(44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이 플레이트(444)의 하나 이상의 개구들 속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핀을 위치시키기 위해(즉, 정렬시키기 위해), 핀(440)은 마운트(452)에 부착될 수 있다. 물론, 플레이트(444)와 핀(440)이 마운트 없이 서로에 대해 적절하게 위치될 수 있는 경우에는 마운트(452)가 필요하지 않다.
피벗팅에 부가하거나 그 대신, 결합 단부(140)는 높이가 조절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결합 단부(140)는, 지지체(408)가 필요에 따라 상승 및 하강하여 제 위치에 실질적으로 잠금되거나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피벗 기능에 부가하거나 그를 대신하여, 높이 조절가능성은 방향 전환 기계가 다양한 신장의 사용자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높이 조절가능성은 사용자들이 자신의 기호에 따라 지지체(408)의 높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f 및 도 4g는 높이 조절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높이 조절 조립체는 지지체(408)를 다양한 높이들로 유지할 수 있는 요소들을 포함한다. 예컨대, 높이 조절 조립체는 지지체(408)가 슬라이드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승강 샤프트(456) 또는 다른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지지체(408)는 소정 위치로 상승하거나 하강한 다음,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승강 샤프트(456)는 실질적으로 수직하거나 수평한 배향으로 놓일 수 있다.
승강 샤프트(456)는 도 4f 및 도 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단부(140)에서 아암 조립체에 장착될 수 있다. 승강 샤프트(456)는 다양한 방식으로 아암 조립체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승강 샤프트(456)는 아암 조립체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승강 샤프트(456)는 하나 이상의 지지 구조물들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샤프트(456)는 브레이스(brace)(460)에 의해 결합 단부(140)에서 아암 조립체에 부착된다. 승강 샤프트(456)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브레이스의 단부들에서 브레이스(460)에 부착될 수 있다. 이는, 브레이스(460)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승강 샤프트(456)의 길이를 따라 슬라이딩 마운트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브레이스(460)는 승강 샤프트(456)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길이일 수 있다. 또한, 브레이스(460)는 승강 샤프트(456)에 구조적인 보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승강 샤프트가 지지체(408)의 중량을 지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지지체(408)는 다양한 방식으로 승강 샤프트(456)에 장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지지체(408)는 당해 지지체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피벗팅 마운트에 또한 부착된다. 그러나, 지지체(408)가 높이 조절 조립체에 직접 부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지지체(408)는 피벗가능하지 않고, 높이 조절이 가능할 것이다.
지지체가 승강 샤프트에 대해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체(408)를 승강 샤프트(456)에 연결하기 위해 슬라이딩 마운트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승강 샤프트(456)는 슬라이딩 마운트를 위한 트랙으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슬라이딩 마운트를 지지할 뿐만 아니라 안내하게 된다. 이를 설명하면, 도 4f 및 도 4g에서, 슬라이딩 마운트는 승강 샤프트(456)를 따라 이동하는 슬리브(464)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지지체(408)를 더 쉽게 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하는 특징들을 승강 샤프트(456), 슬라이딩 마운트 또는 이들 모두가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예컨대, 승강 샤프트(456)는 기어가 결합될 수 있는 홈부, 돌출부, 리지(ridge) 등을 그 표면에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어를 일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돌리면, 슬라이딩 마운트와 지지체(408)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게 된다. 기어는 수동으로 회전될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464)는 지지체(408)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핸들(468)을 포함한다. 핸들(468)은 그 자신의 기어, 링크 등을 가진 구동 기구에 의해 기어에 커플링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기어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지지체(408)를 위한 소정 높이 또는 고도가 구현되면, 지지체는 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예컨대, 더 이상의 회전이 억제되도록, 기어가 잠금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슬리브(464)와 지지체(408)가 특정 높이에 고정될 수 있다. 기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잠금될 수 있다. 예컨대, 기어에 커플링된 부품이 기어의 추가적인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설명하면, 핸들 또는 구동 기구가 제 위치에 유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기어의 회전이 방지된다.
지지체(408) 역시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f 및 도 4g에서, 핀이 슬리브(464)와 지지체(408)를 제 위치에 "클램프"하거나 유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핀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슬리브(464)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핀은 슬리브(464)의 나사식 개구 내부에 나사 결합되어 유지될 수 있다. 그 다음, 핀은, 당해 핀이 슬리브 속으로 이동하여 결국 승강 샤프트(456)의 일부분과 접촉하게 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그 다음, 핀은 승강 샤프트(456)에 대해 조여져 슬리브(464)와 지지체(408)를 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핀은 다른 높이 조절을 위해 지지체(408)를 해제하도록 느슨해질 수 있다.
핀은 모든 실시예들에서 나사식으로 될 필요는 없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핀은 지지체(408)를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승강 샤프트(456)의 특징부와 결합하거나 그 속에 삽입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예컨대, 핀은 승강 샤프트(456)의 일련의 개구들 중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핀은 지지체(408)를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승강 샤프트(456)의 홈부, 리지, 돌출부 또는 다른 구조적 특징부에 결합할 수 있다. 지지체(408)는, 승강 샤프트(456)로부터 핀을 제거하거나 분리함으로써, 다른 높이 조절을 위해 해제될 수 있다.
이제, 도 5a 내지 도 5c와 관련하여 방향 전환 기계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훈련을 시작하기 위해, 사용자는 사용자의 어깨가 패드(128)들에 결합되도록 방향 전환 기계 속으로 "발을 내디딜" 수 있다. 도 5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아암 조립체(108)는 패드(128)들을 상승된 위치에 유지하고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패드(128)들은 사용자의 어깨 높이 또는 그 부근에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패드(128)들과 결합하도록 그 또는 그녀의 어깨를 낮추기만 하면 된다. 이는, 사용자가 과도하게 웅크리거나 구부릴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패드(128)들을 보다 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는 그 또는 그녀의 어깨에 아암 조립체를 위치시키기 위해 아암 조립체(108)를 들어올릴 필요가 없다. 이는, 특히, 사용자의 어깨 위로 들어 올려져야 하는 아암 조립체(108)로부터의 저항이 있는 경우에, 매우 유리하다.
대안적으로, 사용자는 방향 전환 기계에 결합되도록 그 또는 그녀의 어깨를 낮출 필요가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예컨대, 사용자는 방향 전환 기계 속으로 "발을 내딛을" 수 있으며, 그 다음, 아암 조립체가 사용자의 어깨 위로 하방 운동할 수 있도록 아암 조립체를 잠금 해제함으로써, 아암 조립체(108)를 그 또는 그녀의 어깨 위로 낮출 수 있다.
도 5b에서, 사용자는 방향 전환 기계 속으로 "발을 내디뎠고", 아암 조립체(108)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은 사용자가 그 또는 그녀의 어깨를 일으켜 세움으로써 아암 조립체(108)의 하나 이상의 패드(128)들과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패드(128)들과 결합하도록 일어설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아암 조립체(108)가 이 위치에서 적어도 약간 들어 올려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 위치에서, 아암 조립체(108)는 스프링(112)들을 늘리게 되고, 이에 따라, 아암 조립체와 패드(128)들을 통해 사용자에게 저항이 가해지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저항이 사용자에게 즉시 가해지고, 사용자는 훈련중 저항을 계속 경험하게 된다.
아암 조립체(108)에 결합되면, 사용자는 아암 조립체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아암 조립체(108)를 잠금 해제할 수 있다. 물론, 아암 조립체(108)가 잠기지 않았거나 잠금 기구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 잠금 해제는 필요하지 않다. 아암 조립체(108)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잠금 기구의 커플러를 분리함으로써 잠금 해제될 수 있다. 예컨대,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조립체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아암 조립체(108)를 잠금 해제하기 위해 그 멈춤부(220)로부터 잠금 부재(204)를 당기거나, 그렇지 않으면, 움직일 수 있다. 핸들(208)들이 제공되면, 사용자는 핸들들을 통해 잠금 부재(204)를 움직일 수 있다.
멈춤부(220)는 개방된 상부를 포함할 수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는 아암 조립체(108)가 잠금 상태에서도 상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패드(128)들에 결합하고자 일어섰을 때, 아암 조립체(108)는 잠금 상태에 있는 경우에도 상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는, 아암 조립체를 잠금 해제하기 전에, 사용자가 아암 조립체(108)에 결합하여, 일어서고, 훈련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한다.
그 다음,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이하에 더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스쿼트 또는 하나 이상의 강화된 스쿼트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운동들을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예컨대, 사용자는 사용자의 하나 또는 양 다리의 발꿈치를 들어올리는 것과 같은 종아리 운동들을 실시할 수 있다.
스쿼트를 실시하기 위해, 사용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립 또는 똑바로 선 자세로부터 시작할 수 있다. 그 다음, 사용자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릎과 허리를 구부림으로써 그 또는 그녀의 몸을 낮출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아암 조립체(108)에 의해 제공되는 저항은 사용자의 어깨를 통해 사용자에게 하방의 힘을 가한다. 따라서, 그 또는 그녀의 몸을 낮출 때, 사용자는 아암 조립체(108)의 힘에 저항하여야만 한다. 이는 사용자의 근육들, 특히, 사용자의 다리 근육들과 둔근들을 강화하고 탄력 있게 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다른 주변 신체 구조들(예컨대, 뼈, 힘줄 및 인대) 또는 이와 같이 사용자의 몸을 낮추는 것과 관련된 신체 구조들이 강화되고 탄력 있게 된다.
스쿼트를 완성하기 위해, 그 후, 사용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또는 그녀의 등을 직립 자세로 세울 수 있다. 직립 위치까지 상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사용자는 그 또는 그녀의 어깨를 통해 아암 조립체(108)로부터 가해지는 저항을 극복해야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저항은 상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안 사용자의 근육들의 훈련을 강화한다. 상방향 운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근육들과 신체 구조들을 강화하고 탄력 있게 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훈련중 아암 조립체(108)를 파지할 필요가 없다. 이는, 사용자가 그 또는 그녀의 어깨를 기울이는 경우에도, 아암 조립체(108)의 하나 이상의 패드(128), 피벗(120) 및 하방의 힘이 사용자의 어깨에 아암 조립체가 결합된 상태로 유지하기 때문이다. 이는 사용자의 손을 전용하도록 자유롭게 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예컨대, 사용자는, 그 또는 그녀의 손을 그 또는 그녀의 허리에 또는 그 부근에 위치시키는 것과 같이, 그 또는 그녀의 팔과 손을 훈련중 그 또는 그녀의 토르소를 안정화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필요하거나, 구비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훈련중 아암 조립체의 하나 이상의 핸들들을 파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손에 잡혀야 하거나 사용자의 어깨(예컨대, 사용자 등의 승모근)를 균형있게 가로질러야 하는 웨이트들과는 대조적으로, 상기 아암 조립체(108)는 사용자의 손을 사용하거나 균형을 맞출 필요가 없이 사용자에게 결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는 부상, 사고 등의 위험을 줄인다는 점에서 웨이트들보다 매우 유리하다. 웨이트들의 경우, 사용자는 그 또는 그녀의 몸을 세우거나 낮추면서 지지하고 균형을 잡아야만 한다. 이는, 사용자가 훈련으로 인해 피로해질수록, 특히, 웨이트들이 상당히 무거운 경우, 점점 어려워지고 점점 위험해진다. 또한, 방향 전환 기계에 의하면, 사용자는 웨이트들을 잡거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힘을 가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에너지가, 웨이트들을 잡거나 균형을 유지하는데 집중되지 않고, 소정의 훈련에 집중된다.
더욱이, 아암 조립체(108)는 사용자의 신체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면서, 훈련중 상하 동작과 측방향 동작을 허용하는 강한 구조를 제공한다. 예컨대, 아암 조립체(108)와 패드(128)들(또는 결합 단부(140)의 다른 부분)이 사용자의 상체를 제 위치에 "잠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체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거나 회전하지 않는다. 이는, 웨이트들과 사용자의 상체가 부상의 위험을 안고 전방 또는 후방으로 자유롭게 움직이는 전형적인 스쿼트와는 대조적으로, 그러한 동작으로 인해 사용자가 부상당하지 않도록 한다.
아암 조립체(108)가 특정 지점 아래로 움직이지 않도록 억제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아암 조립체(108)를 유지할 수 없으면, 사용자는 아암 조립체의 동작 범위의 최저 지점까지 그 또는 그녀의 어깨/몸을 하방으로 낮출 수 있다. 그러면, 아암 조립체의 중량이 방향 전환 기계의 구조에 의해 유지되고, 사용자는 아암 조립체로부터 안전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는 부상의 위험을 줄인다는 점에서 매우 유리하다. 웨이트들의 경우, 사용자는 웨이트들을 떨어뜨릴 것이며, 이는 잠재적으로 그 또는 그녀 자신 및/또는 근처에 있는 사람들을 부상시킬 수 있다. 실제로, 사용자가 쓰러지는 경우에도, 아암 조립체(108)가 사용자에게 떨어져 잠재적으로 부상을 입히지 않을 것이다.
아암 조립체(108)가 특정 지점 아래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지지 조립체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크로스 바들 또는 다른 부재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프링의 내부를 통과하여 안전 바가 연장될 수 있다. 아암 조립체(108)가 하방으로 움직일 때, 안전 바에 접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더 이상의 하방 운동이 억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아암 조립체(108)는 방향 전환 기계로 다양한 훈련들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하는 넓은 동작 범위를 갖는다. 도 6a 내지 도 6c의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 조립체(108)는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수직 운동에 부가하여 또는 그에 대신하여 수평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사용자는 아암 조립체(108)에 결합된 상태로 측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운동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도 6a 내지 도 6c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아암 조립체가 측방향으로 이동하여도, 아암 조립체(108)의 저항은 사용자에게 계속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아암 조립체(108)에 결합된 상태에서 단순히 측방향으로 한걸음 내딛거나 움직임으로써, 그 또는 그녀의 하체와 토르소 근육들을 강화하고 탄력 있게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사용자가 움직이면서 아암 조립체(108)의 저항을 지지하여야만 하기 때문이다.
방향 전환 기계에서 하나 이상의 강화된 스쿼트들이 실시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강화된 스쿼트는 사용자의 신체로 행해지는 수직 동작과 수평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강화된 스쿼트를 실시하기 위해 측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그 또는 그녀의 몸을 올리거나 내릴 수 있다. 이 조합된 동작은, 사용자의 신체 방향을 변화시킬 때 사용되는 근육들과 다른 신체 구조들을 강화하고 탄력 있게 하기 때문에, 매우 유리하다. 육상 선수들과 다른 사용자들에 있어서, 자신의 신체 방향을 신속하고 강력하게 정지 및/또는 변화시킬 수 있는 능력은 매우 유리하다. 예컨대, 테니스 선수는 받아치기를 위해 일 방향으로 신속하게 움직이고 다른 받아치기를 위해 다른 방향으로 움직일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배구에 있어서, 선수는 빠른 선수들의 득점을 방지함과 아울러, 수비수들을 피하거나 나누기 위해 신속하게 방향을 전환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물론, 다른 사용자도 그러한 훈련으로부터의 잇점을 얻을 수 있다. 방향 전환을 위해 사용되는 근육들과 신체 구조들(예컨대, 사용자의 다리 안쪽이나 사용자의 신체의 측면을 따르는 근육들과 구조들)은 훈련하기 어렵다. 전형적인 운동 기구들은 이러한 유형의 훈련을 가능하게 하는 피벗팅 아암 조립체(108) 또는 그 등가물이 없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리 웨이트들을 사용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고, 사용자는 웨이트들을 유지 및/또는 균형잡기 위해 에너지를 가해야 할 필요가 있다. 상기 방향 전환 기계는 방향 전환과 관련된 운동을 가능하게 하고, 사용자에게 저항을 가함으로써 이 운동들의 효과를 강화한다.
도 6a 내지 도 6c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아암 조립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피벗팅 아암 조립체(108)는 넓은 동작 범위를 제공한다. 이는 사용자가 기계에 의해 제공되는 저항을 경험하면서 방향 전환 기계 주변의 넓은 범위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는 아암 조립체(108)를 통해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저항에 의해 훈련이 강화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방향 전환 기계로 매우 빨리 효과를 얻게 된다.
실제로, 사용자는 그렇지 않았다면 불가능하였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는 아암 조립체(108)에 의해 제공되는 저항이 방향 전환 기계 주변의 넓은 운동 범위에 걸쳐 사용자에게 가해지기 때문이다. 즉, 방향 전환 기계와 그 피벗팅 아암 조립체(108)는 그렇지 않았더라면 사용자가 경험하지 못하였을 동작 범위와 저항의 조합을 제공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아암 조립체(108)에 의해 제공되는 저항이 상당한 크기로 증대될 수 있으며, 이는 방향 전환 기계를 이용한 사용자의 훈련을 더 강화한다.
이제, 도 5a 내지 도 5c 및 도 6a 내지 도 6c와 관련하여, 강화된 스쿼트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 전환 기계 속으로 "발을 내딛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 조립체(108)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일이 발생하면, 아암 조립체(108)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조립체(104)에 대해 수직하게 될 수 있다. 물론, 아암 조립체(108)는 다양한 각도들일 수 있다.
전형적으로, 아암 조립체(108)는 제 위치에 잠금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훈련에 앞서, 적용가능하다면, 아암 조립체(108)를 잠금 해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는 아암 조립체의 잠금 기구의 커플러를 분리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일단 잠금 해제되면, 아암 조립체(108)는 수평 방향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으로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강화된 스쿼트를 시작하기 위해, 사용자는 한 발을 측방향으로 내디딜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사용자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릎과 둔부를 구부림으로써 그 또는 그녀의 몸을 낮출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그 또는 그녀의 좌측 다리를 좌측으로 내딛으면서 그 또는 그녀의 몸을 스쿼팅 위치까지 낮출 수 있다. 사용자가 그 또는 그녀의 몸을 낮출 때, 아암 조립체(108)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이동하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좌측"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는 그 또는 그녀의 몸과 아암 조립체를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울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그 또는 그녀의 다른 쪽 다리를 향하여 한쪽 다리를 이동시켜 측방향 운동을 완성할 수 있다. 상기한 예에서, 사용자는, 사용자의 발들이 대략 어깨 폭만큼 이격되도록, 그 또는 그녀의 좌측 다리를 향하여 그 또는 그녀의 우측 다리를 이동시킬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아암 조립체(108)의 구조는 사용자의 상체를 제 위치에 유지함으로써, 상체의 전방 및 후방 운동이 제한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는 특히 전통적인 장치 및 방법들과 비교하여 훈련시 부상의 위험을 크게 줄인다. 아암 조립체의 구조는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 구조물(104)로부터 먼 일정한 거리에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그 또는 그녀의 상체를 세우거나 낮추거나, 측방향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이들 모두를 하는 경우에도, 전후방향으로의 사용자의 상체 운동이 제한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성을 증대시킨다.
그리고,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스쿼트들 또는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강화된 스쿼트들을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도 6b의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계속 움직일 수 있거나, 추가적인 강화된 스쿼트들이 필요하다면, 사용자는 우측으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동일한 위치에 머물러 스쿼트들을 실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좌측으로 움직이고자 한다면, 그 또는 그녀는 전술한 동작들을 반복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아암 조립체(108)가 지지 조립체(104)와 평행해질 때까지(또는 그를 지나칠 때까지), 사용자는 일 방향으로 계속 움직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사용자가 다른 방향으로 움직여야만 하기 전에, 동일한 방향으로의 동작이 수회 반복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이 동작들을 위해 필요한 사용자의 몸을 강화하고 탄력 있게 하는데 유리하다.
우측으로 이동하기 위해, 사용자는 어깨 폭만큼 그 또는 그녀의 발들이 이격되어 인접하고 있는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또는 그녀의 상체를 낮추면서 우측 방향으로 그 또는 그녀의 우측 발을 내딛을 수 있다. 이는 아암 조립체(108)가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도 6b에 도시된 위치에 있다면, 우측으로의 움직임은 아암 조립체(108)가 도 6a에 도시된 위치로 다시 움직이게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그 또는 그녀의 상체를 도 5b에 도시된 위치로 세울 수 있다. 사용자는 도 6c에 도시된 위치까지 우측으로 계속 움직이거나, 동일한 위치에 머물거나, 방향을 전환하여 도 6b에 도시된 위치까지 좌측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는 필요에 따라 반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방향 전환과 관련된 근육들과 신체 구조들을 훈련하기 위해 좌측방향으로의 동작과 우측방향으로의 동작을 신속하게 교대로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이 근육들과 신체 구조들을 훈련하기 위해 일 방향에서 1회 이상의 반복 실시한 다음, 다른 방향으로 바꿀 수 있다.
아암 조립체(108)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지지 조립체(104) 주위로 360°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스프링 또는 탄성 밴드와 같은 저항 장치가 지지 조립체(104) 상의 회전식 마운트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아암 조립체(108)는 사용자에게 계속 저항을 제공하면서 지지 조립체(104) 주위로 360°회전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사용자가 원하는 바에 따라 많은 강화된 스쿼트들을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실시할 수 있다.
스쿼트식 운동들로 훈련된 다리 근육들과 둔근들에 부가하여, 방향 전환 기계는 방향 전환을 실시할 때 사용되는 특정 근육들에 대한 훈련에 집중한다. 예컨대, 사용자의 좌측 및 우측의 근육들과 신체 구조들이 탄력 있게 되거나 강화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측부 복근들과 아울러, 내외 넓적다리 근육들이 탄력 있게 되고 강화될 수 있다. 이는 이 근육들과 관련 신체 구조들이 전통적으로 탄력 있게 만들거나 강화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매우 유리하다. 또한, 측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아암 조립체(108)의 저항을 지지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토르소와 코어 근육들 및 신체 구조들이 또한 탄력 있게 되고 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많은 다른 실시예들과 구현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들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특징, 요소 및 실시예는 임의의 조합 또는 배열로 그 권리가 청구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

Claims (20)

  1. 운동 기계이며,
    피벗팅 단부와,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어깨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결합 단부를 가진 아암 조립체;
    피벗팅 단부에서 아암 조립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지지 구조물로서, 아암 조립체가 지지 구조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며 지지 구조물에 대해 피벗팅 단부에서 회전할 수 있는, 지지 구조물; 및
    아암 조립체에 커플링된 제 1 단부와 지지 구조물에 커플링된 제 2 단부를 가진 탄성 저항 장치를 포함하는,
    운동 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아암 조립체의 피벗팅 단부에 피벗을 더 포함하며, 피벗은 복수의 수평 및 수직 방향들로 지지 구조물에 대해 아암 조립체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운동 기계.
  3. 제 1 항에 있어서,
    아암 조립체의 길이를 따라 이동가능한 장력 조절기를 더 포함하며, 저항 장치의 제 1 단부는 아암 조립체에 의해 제공되는 저항이 조절될 수 있도록 장력 조절기에 커플링된,
    운동 기계.
  4. 제 2 항에 있어서,
    장력 조절기는 아암 조립체의 길이를 따라 장력 조절기를 이동시키고 제 위치에 고정하도록 구성된 래칫 기구를 포함하는,
    운동 기계.
  5. 제 1 항에 있어서,
    아암 조립체의 결합 단부에 하나 이상의 패드들을 더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패드들은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어깨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운동 기계.
  6. 제 5 항에 있어서,
    아암 조립체의 결합 단부에 하나 이상의 범위 제한기들을 더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범위 제한기들은 하나 이상의 패드들의 측방향 운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패드들은 결합 단부에서 결합 조립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운동 기계.
  7. 제 1 항에 있어서,
    아암 조립체는 아암 조립체를 제 위치에 잠금하기 위해 결합되고 아암 조립체를 잠금 해제하기 위해 분리되도록 구성된 잠금 기구를 포함하는,
    운동 기계.
  8. 운동 기계이며,
    제 1 단부에는 피벗을 갖고, 제 2 단부에는 사용자에게 하방 저항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결합 패드들을 가진 피벗팅 아암; 및
    운동 기계를 안정화하도록 구성된 지지 구조물로서, 피벗팅 아암이 지지 구조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지지 구조물; 및
    지지 구조물에 의해 지지된 피벗;을 포함하며,
    피벗팅 아암 조립체는 지지 구조물과 피벗에 의해 상승된 위치에 유지되며, 지지 구조물에 대해 복수의 방향들로 회전가능한,
    운동 기계.
  9. 제 8 항에 있어서,
    피벗팅 아암에 부착된 제 1 단부와 지지 구조물에 부착된 제 2 단부를 가진 탄성 저항 장치를 더 포함하는,
    운동 기계.
  10.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피벗팅 아암의 길이를 따라 이동가능한 장력 조절기를 더 포함하며, 탄성 저항 장치의 제 1 단부는 탄성 저항 장치의 장력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장력 조절기에 부착된,
    운동 기계.
  11. 제 8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결합 패드들은 사용자 결합 패드가 사용자에 대해 피벗하여 사용자의 상체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피벗들을 더 포함하는,
    운동 기계.
  12. 제 8 항에 있어서,
    피벗팅 아암의 결합 단부에 하나 이상의 회전식 패드들을 더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패드들은 사용자의 상체에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회전식 패드들은 측방향 회전이 제한되는,
    운동 기계.
  13. 제 8 항에 있어서,
    아암 조립체를 제 위치에 잠금하기 위해 결합되고 아암 조립체를 잠금 해제하기 위해 분리되도록 구성된 잠금 기구를 더 포함하는,
    운동 기계.
  14. 제 13 항에 있어서,
    잠금 기구는 피벗팅 아암과 커플링된 잠금 부재와, 지지 구조물에 커플링된 멈춤부를 포함하고, 멈춤부는 피벗팅 아암의 상방 운동을 허용하기 위해 개방된 상부를 포함하는,
    운동 기계.
  15. 방향 전환 기계에서 사용자를 훈련시키기 위한 방법이며,
    사용자의 상체의 일부에 피벗팅 아암 조립체의 결합 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로서, 피벗팅 아암 조립체는 하방으로 상체에 저항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사용자의 상체의 일부에 피벗팅 아암 조립체의 결합 단부를 결합시키는 단계;
    상체를 전방이나 후방으로 움직이지 않고, 상체에 가해지는 저항을 견디면서 무릎을 구부려 상체를 하강된 위치로 낮추는 단계로서, 상체를 낮추는 단계는 피벗팅 아암 조립체를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체를 하강된 위치로 낮추는 단계;
    상체를 전방이나 후방으로 움직이지 않고, 상체에 가해지는 저항을 극복하기 위해 무릎과 허리를 펴서 상체를 상승된 위치로 세우는 단계로서, 상체를 낮추는 단계는 피벗팅 아암 조립체를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상체를 상승된 위치로 세우는 단계; 및
    측방향으로 제 1 발을 한걸음 옮기는 단계; 및
    상체를 낮추면서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로서,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피벗팅 아암 조립체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향 전환 기계에서 사용자를 훈련시키기 위한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체를 낮추면서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피벗팅 아암 조립체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 전환 기계에서 사용자를 훈련시키기 위한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제 1 발과 제 2 발이 인접하도록, 제 1 발을 향하여 제 2 발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향 전환 기계에서 사용자를 훈련시키기 위한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1회 이상의 횟수로 상체를 낮추면서 제 1 방향에서의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1회 이상의 추가적인 횟수로 상체를 낮추면서 제 2 방향에서의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제 1 방향에서의 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 2 방향에서의 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는 피벗팅 아암 조립체를 제 1 수평 방향과 제 2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 전환 기계에서 사용자를 훈련시키기 위한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피벗팅 아암 조립체를 잠금 해제하기 위해 피벗팅 아암 조립체의 잠금 기구를 분리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향 전환 기계에서 사용자를 훈련시키기 위한 방법.
  20. 제 15 항에 있어서,
    피벗팅 아암 조립체의 길이를 따라 장력 조절기를 이동시킴으로써 저항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저항은 장력 조절기에 부착된 저장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방향 전환 기계에서 사용자를 훈련시키기 위한 방법.
KR1020127030241A 2010-05-25 2011-05-25 방향 전환 기계 및 그 훈련 방법 KR201300907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4816410P 2010-05-25 2010-05-25
US61/348,164 2010-05-25
PCT/US2011/000940 WO2011149535A1 (en) 2010-05-25 2011-05-25 Change of direction machine and method of training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0761A true KR20130090761A (ko) 2013-08-14

Family

ID=45004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30241A KR20130090761A (ko) 2010-05-25 2011-05-25 방향 전환 기계 및 그 훈련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8663075B2 (ko)
EP (1) EP2575974B1 (ko)
JP (1) JP5903431B2 (ko)
KR (1) KR20130090761A (ko)
CN (1) CN102971051B (ko)
AU (1) AU2011258876B2 (ko)
BR (1) BR112012029441A2 (ko)
CA (1) CA2798748A1 (ko)
EA (1) EA021697B1 (ko)
HK (1) HK1182352A1 (ko)
MX (1) MX2012013436A (ko)
WO (1) WO2011149535A1 (ko)
ZA (1) ZA201208331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865B1 (ko) * 2014-11-21 2015-06-10 이차영 운동기구
KR20160119772A (ko) * 2014-01-15 2016-10-14 헤네 마르첼 등 스트레칭용 스트레칭 기구
WO2018217048A1 (ko) * 2017-05-24 2018-11-29 김소용 하체 근력을 강화하기 위한 복합 기능을 포함하는 멀티 스트레칭 운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1230516B2 (en) * 2010-03-26 2016-11-17 Paul Toback Exercise apparatus
US9744396B1 (en) * 2011-07-08 2017-08-29 Demon Sled Llc Training sled
WO2013044292A1 (en) * 2011-09-27 2013-04-04 Patrick England Improvements in exercise devices
KR101429740B1 (ko) * 2012-12-28 2014-08-12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근력 지원용 착용형 로봇 거치장치
US10279207B2 (en) * 2013-08-26 2019-05-07 Lagree Technologies, Inc. Exercise machine support system
CN104922861A (zh) * 2014-03-23 2015-09-23 青岛瑞箭机电工程技术有限公司 肩扛健肌器
US11666792B2 (en) 2014-06-17 2023-06-06 Lagree Technologies, Inc. Exercise machine support system
US20170014679A1 (en) * 2015-07-13 2017-01-19 Nabile Lalaoua Abdominal Strengthening Apparatus
US10661112B2 (en) 2016-07-25 2020-05-26 Tonal Systems, Inc. Digital strength training
US11745039B2 (en) 2016-07-25 2023-09-05 Tonal Systems, Inc. Assisted racking of digital resistance
CA3004820A1 (en) * 2017-05-15 2018-11-15 Paul S. Schranz Stationary bicycle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8926809A (zh) * 2017-05-23 2018-12-04 石磊 健身器
US10486015B2 (en) 2017-10-02 2019-11-26 Tonal Systems, Inc. Exercise machine enhancements
US10617903B2 (en) 2017-10-02 2020-04-14 Tonal Systems, Inc. Exercise machine differential
US10589163B2 (en) 2017-10-02 2020-03-17 Tonal Systems, Inc. Exercise machine safety enhancements
US10335626B2 (en) 2017-10-02 2019-07-02 Tonal Systems, Inc. Exercise machine with pancake motor
CN111954562A (zh) * 2018-04-11 2020-11-17 一体式健身器股份有限公司 多功能通用健身器械
US11471728B2 (en) * 2018-05-14 2022-10-18 Paul Steven Schranz Exercise apparatus
US11285355B1 (en) 2020-06-08 2022-03-29 Tonal Systems, Inc. Exercise machine enhancements
WO2022086861A1 (en) * 2020-10-19 2022-04-28 Tonal Systems, Ins. Exercise machine arm with single-handed adjustment
US11707642B2 (en) * 2020-11-24 2023-07-25 Blair Fourney Apparatus for supported row exercise
US11878204B2 (en) 2021-04-27 2024-01-23 Tonal Systems, Inc. First repetition detection
US11998804B2 (en) 2021-04-27 2024-06-04 Tonal Systems, Inc. Repetition phase detection
US20220379153A1 (en) * 2021-05-28 2022-12-01 Lagree Technologies, Inc. Force Assistance System for an Exercise Machine
US11844976B2 (en) * 2021-06-14 2023-12-19 Christopher Allan Krauser Fitness apparatus and method
KR102645853B1 (ko) 2023-01-16 2024-03-08 (주)뉴텍웰니스 드롭 스쿼트 머신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60607A (de) 1966-07-28 1968-07-31 Schwawalder Karl Körperübungsgerät für Heimgebrauch
US3524644A (en) 1968-07-25 1970-08-18 John F Kane Push-pull spring biased bar-bell type exercising device
AT299038B (de) * 1968-09-10 1972-06-12 Franz Kuelkens Trainingsgerät für Sportzwecke
US3602501A (en) 1970-04-14 1971-08-31 Jimmy D Garner Exercise machine for supporting the user at an angle
US3640529A (en) 1970-06-22 1972-02-08 John F Kane Push-pull spring-type exercising device
US3874656A (en) 1972-08-17 1975-04-01 Karl F Wintersteller Exercise apparatus for skiers
US3792860A (en) 1972-10-17 1974-02-19 A Selnes Pivotal platform training apparatus with selectively connectible components
US4023796A (en) 1974-08-15 1977-05-17 Remsuk Ventures Limited Varying force resisting type exercising device
US4241913A (en) 1978-09-05 1980-12-30 Natural Energy of Oklahoma, Inc. Rapid thrust exercise machine
US4275882A (en) 1980-03-27 1981-06-30 Amf Incorporated Home exercise gym
US4357010A (en) * 1980-11-07 1982-11-02 Telle Jerome R Multipurpose exercising machine
US4357011A (en) 1981-06-08 1982-11-02 Paramount Health Equipment Corporation Adapting structure for exercise machines
US4749184A (en) 1987-03-20 1988-06-07 Tobin Edward D Self-restoring kicking practice apparatus
US4804180A (en) 1987-06-22 1989-02-14 Salaz Ruben D KTB exerciser
US5005831A (en) * 1988-08-01 1991-04-09 Tsutomu Hara Athletic equipment for rehabilitation
US5050868A (en) 1990-03-16 1991-09-24 Criterion Bodybuilding Equipment, Inc. Leg training machine for body builders
US5058884A (en) * 1990-03-29 1991-10-22 Fuller Sr Barney R Exercise machine for conditioning football players
US5072932A (en) * 1991-02-26 1991-12-17 Johnson John B Exercise apparatus
US5263913A (en) 1992-07-31 1993-11-23 Boren John P Exercise machine
US5322492A (en) * 1993-10-04 1994-06-21 Pearson Bob L Exercise apparatus
US5407414A (en) 1994-05-03 1995-04-18 Bass; David Doorway attached exercise device for use in a standing or sitting position
US5569133A (en) 1994-12-07 1996-10-29 Vittone; Larry W. Squat exercise apparatus
US5653667A (en) * 1994-12-30 1997-08-05 Reyes Equipment, Inc. Exercise machine
US5626548A (en) 1995-03-03 1997-05-06 Coyle; Randy Lower-body exercise machine
US5529558A (en) 1995-06-07 1996-06-25 Jam'n Fitness Corp. Exercise apparatus
US5964684A (en) 1996-04-19 1999-10-12 Sokol; Steven D. Exercise method and apparatus
US6482139B1 (en) * 1999-01-18 2002-11-19 Stanley Haag Exercise apparatus
US6350219B1 (en) 1999-07-01 2002-02-26 Pendulum Fitness, Inc. Variable resistance exercise machine
US6251052B1 (en) 1999-09-14 2001-06-26 The Simonson Family Limited Partnership Squat exercise apparatus
US20020137607A1 (en) 2001-03-20 2002-09-26 Ken Endelman Device for attaching an elastic member to exercise apparatus
US6981934B1 (en) 2001-07-19 2006-01-03 Tessema Dosho Shifferaw Machine for doing squats and other exercises
US7806813B2 (en) * 2003-10-22 2010-10-05 Campitelli Frank A Exercise machine
US7361125B2 (en) 2003-11-03 2008-04-22 Hoist Fitness Systems, Inc. Rigid arm pull down exercise machine
USD509549S1 (en) 2003-12-23 2005-09-13 Task Industries, Inc. Weightlifting footrest
US7083552B2 (en) * 2004-02-23 2006-08-01 Task Industries, Inc. Weightlifting machine with dead man grip
US20060100075A1 (en) 2004-04-29 2006-05-11 Harsh Robert R Safety squat and bench press bar
US7125370B1 (en) 2004-05-12 2006-10-2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Exercise apparatus
US7357759B2 (en) * 2004-06-14 2008-04-15 Bonnell Loren W Exercise device
US20060160678A1 (en) 2005-01-18 2006-07-20 Brian Franklin Hold-up assist device for vertically actuated exercise equipment
US7794367B2 (en) 2005-03-08 2010-09-14 Progressive Health Innovations Incorporated Foot exerciser and associated methods
JP2007075509A (ja) * 2005-09-16 2007-03-29 Koji Wakimoto 上体捻転運動のトレーニング装置
US8007423B2 (en) * 2006-06-14 2011-08-30 Mad Dogg Athletics, Inc. Collapsible exercise chair
US7527568B2 (en) * 2006-08-30 2009-05-05 Shoot-A-Way, Inc. System and method for training a football player
CN101069661A (zh) * 2007-06-15 2007-11-14 大连北柳咨询服务有限公司 起立·移动辅助装置
US7608020B2 (en) * 2008-01-28 2009-10-27 Mason Christopher M Arm and shoulder lift apparatus
CN101584921A (zh) * 2008-05-21 2009-11-25 李清水 腰腿锻炼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9772A (ko) * 2014-01-15 2016-10-14 헤네 마르첼 등 스트레칭용 스트레칭 기구
KR101527865B1 (ko) * 2014-11-21 2015-06-10 이차영 운동기구
WO2018217048A1 (ko) * 2017-05-24 2018-11-29 김소용 하체 근력을 강화하기 위한 복합 기능을 포함하는 멀티 스트레칭 운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798748A1 (en) 2011-12-01
JP5903431B2 (ja) 2016-04-13
EP2575974A1 (en) 2013-04-10
US8663075B2 (en) 2014-03-04
ZA201208331B (en) 2014-01-29
EA021697B1 (ru) 2015-08-31
BR112012029441A2 (pt) 2017-02-21
EA201291058A1 (ru) 2013-09-30
EP2575974A4 (en) 2014-07-02
AU2011258876B2 (en) 2016-09-08
CN102971051A (zh) 2013-03-13
AU2011258876A1 (en) 2012-11-29
HK1182352A1 (en) 2013-11-29
EP2575974B1 (en) 2017-11-01
US20110294630A1 (en) 2011-12-01
MX2012013436A (es) 2013-02-12
JP2013526979A (ja) 2013-06-27
CN102971051B (zh) 2015-06-17
WO2011149535A1 (en) 201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3075B2 (en) Change of direction machine and method of training therefor
US8992393B2 (en) Change of direction machine and method of training therefor
US7455633B2 (en) Abdominal exerciser device
US7485079B2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US7585263B2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US7611445B2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US10426991B2 (en) Exercise device
US5702329A (en) Exercise apparatus
US5964684A (en) Exercise method and apparatus
US10058726B2 (en) Exercise apparatus
EP2537564B1 (en) Foot, leg, and arm support for exercise
EP0209563A1 (en) PHYSICAL TRAINING EQUIPMENT.
US8328702B2 (en) Lower back machine and method of training therefor
US8944969B2 (en) Rowing machine
US20140141941A1 (en) Rowing machine
US7524270B2 (en) Exercise machine
US20230302322A1 (en) Strength training apparatuses and methods therefor
CA2184455A1 (en) Exercise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